[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2118B1 -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18B1
KR102622118B1 KR1020210129458A KR20210129458A KR102622118B1 KR 102622118 B1 KR102622118 B1 KR 102622118B1 KR 1020210129458 A KR1020210129458 A KR 1020210129458A KR 20210129458 A KR20210129458 A KR 20210129458A KR 102622118 B1 KR102622118 B1 KR 10262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oil phase
cosmetic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446A (ko
Inventor
권보미
김지영
최기환
강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2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18B1/ko
Priority to CN202280062026.1A priority patent/CN117979947A/zh
Priority to PCT/KR2022/014106 priority patent/WO2023054972A1/ko
Priority to US18/695,532 priority patent/US20240285491A1/en
Priority to JP2024519737A priority patent/JP2024533810A/ja
Publication of KR2023004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4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polyoxyalkylene group, e.g. cetyl dimethicone copoly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4Free of silic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정제수 2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28 내지 55 중량% 및 유상을 포함하고,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의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외관이 투명하여 제품의 심미적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입술 도포시, 광택을 부여할 수 있고, 수분 공급을 통한 보습, 및 착색 효과로 인한 지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Transparent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본 발명은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제수, 글리세린 및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개발함에 있어, 화장료의 질감이나 기능 뿐만 아니라 심미성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화장품의 미적 요소를 차별화하기 위한 예로 외관이 투명한 화장료가 있다. 투명한 외관은 제품에 맑고 깨끗한 이미지 또는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부여하기도 하며, 제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속성을 돋보이게 해주기도 한다.
한편, 입술용 화장료를 개발함에 있어, W/O(유중수형) 유화 기술은 유상에 고굴절률의 오일을 사용하여 광택감을 주고 수분 공급 및 이로 인한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입술용 화장료, 특히 립글로스 에멀젼에 많이 사용된다. 오일 중 옥틸도데칸올은 오일 중에서 1.453 이라는 높은 굴절률을 가져 화장료의 광택을 높이는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슷한 굴절률을 갖는 다른 오일 대비 끈적임이 적고 점증제인 에칠셀룰로오스의 용제로서 적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W/O 립글로스 에멀젼은 수상이 유상 내에 작은 입자로 분산되어 백탁 현상이 나타나므로 투명한 외관을 구현하기 어렵다.
투명한 외관의 W/O 에멀젼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여 유상과 수상의 굴절률을 매칭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은 수질 오염 및 피부에 유해하다는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부정적인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유의 실키하고 가벼운 사용감으로 인해 광택감있는 립글로스 제형에 사용되기 부적합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 마이크로 에멀젼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유화 입자가 100nm 이하로 미세하게 쪼개져 빛이 입자에 의해 산란되지 않기 때문에 투명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나 고압유화기라는 특수한 장비를 이용해야 하거나 다량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여 광택감이 우수하면서 실리콘 오일과 고압 유화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한 외관을 구현하는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외관이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조성물을 제공하면서, 입술 피부에 향상된 수분감과 광택감을 부여하고 착색 지속력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옥틸도데칸올을 유상 중 상당량으로 배합하여 정제수 함량을 낮추면서 글리세린 함량을 높여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정제수 2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28 내지 55 중량% 및 유상을 포함하고,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의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성을 갖는 립글로스 형태인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외관이 투명하여 제품의 심미적 효과를 부여함과 동시에 입술 도포시, 광택을 부여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하여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수분 공급을 통한 보습, 및 착색 효과로 인한 지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1 에 따라 4주 경과된 실시예 1 내지 4의 샘플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1 에 따라 4주 경과된 비교예 1 내지 9의 샘플의 외관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정제수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면서 유상 중 옥틸도데칸올의 중량비가 5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정제수 2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28 내지 55 중량% 및 유상을 포함하고,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의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은 입사하는 빛의 일부 또는 전부를 투과하는 것을 의미하고, 반투명한 것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당업자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투명”은 투명 용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배치하고 투명 용기의 단면보다 크기가 작은 물질을 용기에 넣을 때 해당 물질이 확인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화 제형임에도 외관이 투명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입술에 도포하였을 때 광택과, 수분 공급을 통한 보습을 부여해줄 수 있고, 입술의 각질층에 착색되어 색상을 유지할 수 있다.
유상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중량%, 또는 37 내지 63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상을 다량 함유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옥틸도데칸올의 함량은 상기 유상을 기준으로 정하였으며, 유상 성분 중에서 옥틸도데칸올이 50% 이상 차지하였을 때, 글리세린과 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투명감을 나타낼 수 있다.
옥틸도데칸올의 함량은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내지 90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90중량%, 50 내지 85 중량%, 또는 53 내지 85중량%,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를 가질 경우, 물과 글리세린의 함량을 조절하여 투명한 형태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미만일 경우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옥틸도데칸올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20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중량%, 또는 25 내지 4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제수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중량%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중량%, 2 내지 9.5중량%, 또는 2.5 내지 9.5중량%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중량%일 수 있다. 정제수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인 경우, 염료 및 염을 용해시키는데 제한이 있어 제조가 되지 않거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갖추어야할 본래 기능인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상실할 수 있다. 정제수의 함량이 10 중량% 를 초과할 경우, 백탁이 생겨 투명한 외관을 구현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28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53중량%, 또는 30 내지 50중량%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중량%일 수 있다. 글리세린의 함량이 28중량% 미만인 경우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수분 공급력이 저하되며 유화로 인한 점증력이 사라지면서 밀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5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유화가 되지 않거나 안정성이 좋지 않아 제품화가 어렵다.
본 발명의 유상은 옥틸도데칸올 외에 오일, 유상 점증제, 에몰리언트, 및 유화제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유상으로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을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유상은 유화제 및 유상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오일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로는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옥타노에이트,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의 석유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식물성 스쿠알렌 등의 식물계 오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유, 메도폼유, 로즈힙오일, 아보카도유, 동백유, 마카데미아너트오일, 피마자유, 호호바유 등을 식물성 오일로 예시 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오일로는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메칠트리메치콘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옥틸도데칸올 외에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또는 1 내지 13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음”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중량% 미만, 0.1중량% 미만, 0.001중량% 미만, 또는 0.00001 중량% 미만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유화제는 실리콘계 유화제,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계 유화제는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 소르비탄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Sorbitan Sesquistearate), 소르비탄팔미테이트(Sorbitan Palmitate), 소르비탄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소르비탄올리에이트(Sorbitan Oleate),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Sorbitan Trioleate),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소르비틸라우레이트(Sorbitan Stearate and Sorbityl Laurate),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65,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폴리소르베이트 8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는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콘계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중량%, 또는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8 중량% 또는 0.3 내지 0.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소르비탄계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 또는 0.8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실리콘계 유화제 2 내지 4 중량% 및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 0.1 내지 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유상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오스, 에칠셀룰로오스, 사이클로메틸셀룰로오스, 사이클로에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덱스트린팔미테이트/에칠헥사노에이트, 덱스트린팔미테이트, 스테아로일이눌린과 같은 덱스트린계 또는 이눌린계의 점증제, 브이피/에이코센코폴리머,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와 같은 비닐피롤리돈계 폴리머, 에칠렌디아민/스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코폴리머, 에칠렌디아민/하이드로제네이티드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코폴리머비스-디-C14-18알킬아마이드와 같은 코폴리머류, 실리카실릴레이트 또는 실리카디메칠실릴레이트와 같은 흄드실리카(Fumed silica)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점증 후 백탁 현상이 생기지 않는 유상 점증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의 예로 에칠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상 점증제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중량% 또는 1.5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점도 조절제, 착색제, 보습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색소 0.1 내지 1중량% 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색소는 착색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투명한 외관을 구현하기 위해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색소의 범위가 0.1중량% 미만인 경우 착색 효과가 미미하고, 1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실리콘계 유화제 2 내지 4 중량%,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 0.1 내지 1중량%, 색소 0.1 내지 1중량% 및 유상 점증제 0.5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동성이 있으며, 조성물의 점도가 3000~20000cps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100ml 안정성 용기에 내용물을 목선까지 채운 후 25℃항온조 1일 보관한 후의 조성물에 대해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점도의 측정 방법은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rheometer)에서 스핀들 No.4를 이용하여 30rpm/min으로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온에서 유동성을 나타낼 수 있어 액체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조성물일 수 있으며, 립글로스, 립 리퀴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립 글로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일 뿐이므로,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조성물의 제조
하기 성분 1 내지 6을 상온에서 1번 아지믹서에 혼합한 다음 90도로 가온하고 아지믹서로 교반하였다. 성분 7 및 9 내지 10을 40도에서 다른 2번 아지믹서에 혼합한 후 교반하였으며, 여기에 성분 8을 투입한 후 아지믹서로 교반하였다. 상기 2개의 아지믹서를 60도에서 안정화시킨 후, 1번 아지믹서 내 혼합물에 2번 아지믹서내 혼합물을 투입한 후 호모믹서로 10분간 교반하였고, 28도까지 냉각시켰다. 이에 따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낸 조성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9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투명성, 안정성 및 밀착도 평가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9의 조성물에 대해 하기 실험에 따라 투명성, 안정성 및 밀착도를 평가하였다.
투명성은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의 육안 관찰 결과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안정성은 4주 후 상온 분리 여부에 따라 평가하였다. 밀착 정도는 20~30대 여성 10명에게 블라인드 테스트하여 품평한 후 결과를 종합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투명성
안정성(분리없음)
밀착
평가항목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투명성 X X X - X
안정성(분리없음) X X X X X X
밀착 X - X
◎ : 아주 좋음○ : 좋음
△ : 보통
X : 나쁨
- : 평가 불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틸도데칸올, 물, 글리세린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투명성, 안정성 및 밀착도에 있어 우수하였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수의 함량이 각각 30중량%, 30중량%, 및 20중량%인 비교예 1 내지 3은 투명성이 저하되었다. 정제수 함량이 1중량%인 비교예 6은 색소와 염이 녹지 않아 유화물이 제조되지 않아 투명성 및 밀착도 평가가 불가하였으며, 안정성 또한 떨어졌다. 옥틸도데칸올의 전체 유상 함량 대비 50중량% 미만인 비교예 7은 투명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안정성이 떨어졌다. 비교예 4, 5 및 8은 글리세린 함량이 각각 25중량%, 10중량%, 9중량%이고, 이는 수상 함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유화 입자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안정성이 떨어졌으며, 밀착도도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9는 글리세린 함량이 60중량%이고, 투명성과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실험예 2. 보습 및 광택 평가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4, 비교예 1 및 8의 조성물에 대해 수분 공급에 의한 보습 및 광택 항목을 평가하였다.
수분 공급에 의한 보습 항목은 피부 수분함량 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도포 2시간 이후 피부 수분 보유량이 100% 이상 증가했을 경우 ◎, 30 ~ 100% 증가했을 경우 ○, 0 ~ 30% 증가했을 경우 △, 감소했을 경우 X 로 평가하였다.
광택 항목은 흑지에 시료를 0.3mm로 도포한 후 glossmeter로 측정(입사각 : 75도)하여 광택도가 90 이상일 경우 ◎, 90 미만 70 이상일 경우 ○, 70 미만 50 이상일 경우 △로 표기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8
수분 공급에 의한 보습
평가항목 실시예4 비교예1
광택
표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조성물은 피부 수분 보유량 및 광택을 크게 향상시켰지만, 비교예 1 및 8의 조성물은 피부 수분 보유량 증가율이 낮았고, 비교예 1은 광택도가 떨어졌다.

Claims (7)

  1.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정제수 2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28 내지 55 중량% 및 유상을 포함하고,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의 옥틸도데칸올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내지 70 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옥틸도데칸올의 함량은 유상 전체 중량 대비 50중량% 내지 9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옥틸도데칸올 외에 오일, 유상 점증제, 에몰리언트, 및 유화제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실리콘계 유화제 2 내지 4 중량% 및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 0.1 내지 1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유화제는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피이지-10 디메치콘 라우릴 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 및 라우릴 폴리글리세릴-3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스테아레이트계 유화제는 피이지-30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색소 0.1 내지 1중량% 를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이 립글로스의 형태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9458A 2021-09-30 2021-09-30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62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58A KR102622118B1 (ko) 2021-09-30 2021-09-30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202280062026.1A CN117979947A (zh) 2021-09-30 2022-09-21 透明的油包水型嘴唇用化妆料组合物
PCT/KR2022/014106 WO2023054972A1 (ko) 2021-09-30 2022-09-21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18/695,532 US20240285491A1 (en) 2021-09-30 2022-09-21 Transparent Water-In-Oil-Type Lip Cosmetic Composition
JP2024519737A JP2024533810A (ja) 2021-09-30 2022-09-21 透明な油中水型唇用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58A KR102622118B1 (ko) 2021-09-30 2021-09-30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446A KR20230046446A (ko) 2023-04-06
KR102622118B1 true KR102622118B1 (ko) 2024-01-08

Family

ID=8578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458A Active KR102622118B1 (ko) 2021-09-30 2021-09-30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285491A1 (ko)
JP (1) JP2024533810A (ko)
KR (1) KR102622118B1 (ko)
CN (1) CN117979947A (ko)
WO (1) WO20230549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8748A1 (de) * 1991-08-29 1993-03-04 Beiersdorf Ag Kosmetische stifte
US5908631A (en) * 1997-02-27 1999-06-01 L'oreal S.A. Monohydric alcohol-free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solubilized ethylcellulose
KR102323105B1 (ko) * 2015-06-3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FR3054437B1 (fr) * 2016-07-28 2018-09-07 Lvmh Recherche Produit cosmetique pour les levres sous la forme d'une emulsion eau-dans-huile et procede de maquillage
KR102286079B1 (ko) * 2019-10-29 2021-08-05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33810A (ja) 2024-09-12
US20240285491A1 (en) 2024-08-29
KR20230046446A (ko) 2023-04-06
CN117979947A (zh) 2024-05-03
WO2023054972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8439B (zh) 液晶型乳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758585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EP3357488B1 (en) Cosmetic material
JP6134998B1 (ja) 目元用化粧料組成物
US10799435B1 (en) Skin-tightening composition
JP5689639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3706870A1 (en) Composition with luminous satin effect comprising particles of cellulose, of boron nitride and of satin nacres
CN113645952A (zh) 油性混合组合物、化妆料和化妆料的制造方法
JPH11279021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JP5825768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20170231896A1 (en) Silicone elastomer in oily phase
CN115379822B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KR102622118B1 (ko)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7562917B2 (ja) 化粧料
JP2012111723A (ja) ジェル状水中油型乳化組成物
GB2275419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gum
JP735624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2014144923A (ja)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729098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7141971B2 (ja) ジェル状化粧料
JP4423121B2 (ja) 油中水型皮膚用化粧料
JP5616094B2 (ja) 油性アイライナー化粧料
KR20200125504A (ko) 유성 겔상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