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86079B1 -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079B1
KR102286079B1 KR1020190135763A KR20190135763A KR102286079B1 KR 102286079 B1 KR102286079 B1 KR 102286079B1 KR 1020190135763 A KR1020190135763 A KR 1020190135763A KR 20190135763 A KR20190135763 A KR 20190135763A KR 102286079 B1 KR102286079 B1 KR 10228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ic acid
cosmetic composition
lips
transparent gel
col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028A (ko
Inventor
김아름
최혜선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0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0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겔링제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겔링제의 착색이 방지되어 투명한 외관이 유지되고, 발색 및 착색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transparent gel lips}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의 화장을 위한 제품으로는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및 립락커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립틴트는 립글로스와 비슷하게 용기에 붓이 들어있는 형태가 대부분이고, 최근에는 좀더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립스틱과 같은 스틱형이 개발되었다. 립틴트는 입술색을 커버해주고 자연스러운 발색을 돕는 것이 특징이다. 장시간 발색이 지속되며 음식을 먹은 뒤에도 잘 지워지지 않아 기본적인 립메이크업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틴트 착색제 염료는 pH에 의해 발색이 되며, 일반적으로 pH 4.5이상에서 발현되어 발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와 접촉시 피부에 있는 수분과 발현하여 색이 착색된다.
일반적인 겔에 틴트 착색제를 적용하면 pH 변화에 의해 투명한 겔의 외관에 착색제가 발현되어 미관상 예쁘지 않고 반전의 효과가 적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투명겔 립틴트에 대한 연구(한국 등록특허 10-1839763)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겔링제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겔링제 및 구연산을 포함하는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겔링제란 맑고 투명한 겔을 형성하는 물질로써,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Dibutyl Lauroyl Glutamide) 및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겔링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1 내지 10, 5 내지 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겔링제의 구성성분인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와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의 혼합 중량비는 1:1 내지 5:1, 1:1 내지 4:1, 1:1 내지 3:1, 1:1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1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비의 범위를 벗어날 시엔 녹는점이 너무 높아져 립스틱 제조 및 성형시 립스틱에 사용한 다른 오일들의 변취 및 변색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은 투명 겔의 변색을 방지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투명한 외관을 가지지만, 피부에 적용시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구연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0.01 내지 0.1 중량% 포함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연산은 이중결합을 단일결합으로 끊어지게 하는 특성이 있다. 대부분의 유기색소는 이중결합을 갖고 있어, 많은 함량의 구연산을 적용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색소에 있는 이중결합을 끊어 발색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범위 외의 구연산을 첨가하게 되면, 소량일 시엔 구연산의 효과가 없어 투명 겔이 변색되거나, 다량일 시엔 구연산이 분산되지 못하여 덩어리져 분리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에스테르계 오일 5 종류 내외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 내지 90, 75 내지 90, 80 내지 90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착색제 0.01 내지 1, 0.05 내지 1, 0.1 내지 1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아이소트라이데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Neopentyl Glycol Diethylhexanoate),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의 함량이 너무 과다하면 사용감에 있어서 기름기가 많고 답답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는 명시하지 않아도 "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수치는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의 값은 대략 5의 범위는 갖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중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크림, 립펜슬, 립라이너펜슬, 또는 액상루즈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 목적에 따라 아이섀도(eye shadow), 치크(cheek), 또는 블러셔(Blusher) 등의 다양한 색조 메이크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착색제, 색소, 보존제,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용해제,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유화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정제수, 분산제, 충전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이온 봉쇄제, 냉감제 또는 제한제 등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예를 들어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가열, 혼합 및 냉각을 포함하는 통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사용된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구연산의 첨가로 겔링제와 착색제의 반응이 차단되어 투명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겔링제의 용해 여부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갤링제와 착색제의 반응 여부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구연산의 분산 여부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아크릴 판과 피부에서의 발색 여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UV-백색 광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명세서의 범주에 포함된다.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배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의 원료 중 겔링제(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옥틸도데칸올)와 구연산을 제외한 조성물을 비커 1에 계량하여 85~90℃로 가열 용해한 후, 호모게나이져로 25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겔링제는 옥틸도데칸올에 미리 분산시켜놓고, 따로 비커 2에 계량 후 90~10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커 1과 비커 2를 혼합 후 85~90℃의 온도에서 구연산을 투입하여 2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하기 표 1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제조된 혼합물은 탈기, 부향 및 냉각의 과정을 거쳐 립 메이크업을 제조하였다.
종류 성분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점증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겔링제 옥틸도데칸올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 2.50 3.33 3.75 2.50 2.50 2.50 2.50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2.50 1.67 1.25 2.50 2.50 2.50 2.50
피부컨디셔닝제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아이소스테아레이트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피부컨디셔닝제 아이소트라이데실아이소노나노에이트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피부컨디셔닝제 네오펜틸글라이콜다이에틸헥사노에이트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분산제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4.80 4.80 4.80 4.80 4.80 4.80 4.80
착색제 적색218호 0.20 0.20 0.20 0.20 0.20 0.20 0.20
구연산(citric acid) 0.03 0.03 0.03 - 0.45 0.6 0.01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1 내지 4에 나타난 성분과 함량으로 립 메이크업 제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겔링제 비율에 따른 립 메이크업 제형물을 제조시, 도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와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의 혼합비가 1:1인 경우 100℃에서 다 녹아 맑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1인 경우 완전히 녹지 않고 약간의 겔 덩어리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1인 경우 겔이 거의 녹지 않아서 덩어리가 많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각 실시예의 녹는점 측정 시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와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의 혼합비가 1:1일 때는 68℃, 2:1일 때는 73℃, 3:1일 때는 79℃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구연산의 첨가로 인한 외관 색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1에 대하여 투명 겔링제와 착색제의 외관 색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연산을 첨가한 제형인 실시예1과 첨가하지 않은 제형인 비교예1의 온도별 외관 색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5℃, 45℃, 80℃, 100℃에서의 외관 색을 확인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모든 온도에서 겔링제와 착색제가 반응하지 않아 투명하고 맑은 외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비교예1은 모든 온도에서 겔링제와 착색제가 반응하여 외관이 분홍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5℃에서 비교예 1 내지 4를 비교한 것을 보면 구연산이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1은 외관이 핑크색으로 변하였고, 구연산을 과량 넣은 비교예 2 및 3은 외관이 투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잇었다. 또한 구연산을 매우 극소량 첨가한 비교예 4 또한 약간 반응하여 외관이 주황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구연산 함량에 따른 분산성 확인
구연산은 유상 성분에는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고함량을 적용 시 분산되지 않고 서로 뭉쳐서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포함되어있는 옥틸도데칸올 성분은 지방족 알코올로써 수상에 용해되는 히드록시기를 소량 갖고 있기 때문에 일정량의 구연산을 용해시킬 수 있어, 립 메이크업 제형에서 구연산의 분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2 내지 4에서 제조한 립 메이크업 제형의 구연산의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구연산이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2에서는 분산성이 떨어지며 구연산이 살짝 뭉쳐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은 고함량의 구연산이 서로 뭉쳐서 바닥에 가라 앉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는 구연산의 분산성은 좋지만, 겔링제와 착색제가 반응하여 외관이 핑크색으로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구연산의 함량에 따른 발색 및 착색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아크릴 판 및 피부에 제품 도포 시 발색 여부 확인과 착색여부 확인을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pH변화에 의해 착색 염료가 수분과 반응하였을 때 발색이 되므로, 수분이 없는 아크릴판과 수분을 가지고 있는 피부에서의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하여 아크릴 판과 피부에 실시예 1을 도포 후 발색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후 제품을 휴지로 닦아낸 후 피부의 착색여부를 확인하였다.
아크릴판과 피부에서의 발색 차이를 비교한 결과,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크릴 판에 도포 시 발색이 되지 않고 투명한 것을 확인하였고, 피부에 제품 도포 시 피부에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발색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품을 닦아낸 후에도 착색이 되어 피부에 색이 남아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1과 비교예 2 내지 4의 샘플을 변색 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UV-백색 광테스트를 실시하여 틴트 색소의 발색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Light Metter(파장 340~800)기기를 이용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2 내지 4의 3일 후 발색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였다.
도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도포 직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피부에 도포하면 틴트색소가 반응하여 핑크색으로 발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광테스트 3일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피부에 도포하면 실시예 1과 구연산을 넣지 않은 비교예 1은 핑크색으로 발색이 되지만, 구연산을 많이 넣은 비교예 2 및 3은 피부 도포시 발색이 되지 않거나 약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연산을 극소량 넣은 비교예 4는 발색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4)

  1.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다이부틸에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구연산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부틸라우로일글루타마이드 및 다이부틸헥사노일글루타마이드의 혼합 중량비는 1:1 내지 1:3이고,
    상기 구연산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1중량% 포함하는 투명 겔 입술 발색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35763A 2019-10-29 2019-10-29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28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63A KR102286079B1 (ko) 2019-10-29 2019-10-29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763A KR102286079B1 (ko) 2019-10-29 2019-10-29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028A KR20210051028A (ko) 2021-05-10
KR102286079B1 true KR102286079B1 (ko) 2021-08-05

Family

ID=7591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763A Active KR102286079B1 (ko) 2019-10-29 2019-10-29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118B1 (ko) * 2021-09-30 2024-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투명한 유중수형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92404A1 (en) 2016-10-24 2019-06-27 Ajinomoto Co., Inc. Gel composition
KR102029653B1 (ko) 2018-11-13 2019-10-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591A (ko) * 2008-05-12 2010-12-30 고큐 아르코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용감과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및 그 제법
KR20190035698A (ko) * 2016-08-08 2019-04-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투명 고형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92404A1 (en) 2016-10-24 2019-06-27 Ajinomoto Co., Inc. Gel composition
KR102029653B1 (ko) 2018-11-13 2019-10-08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양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고체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028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A2496305C (en) Lipid bearing cosmetic preparation comprising vegetable-based raw materials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152289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스틱 타입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5150B1 (ko) 적용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메이크-업 조성물
KR102286079B1 (ko) 투명 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674687A (zh) 一种乳化口红及其制备方法
KR20210047069A (ko) 젤 타입의 향수 화장료 조성물
KR20150085932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5245A (ko) 저온 분산 제조 공정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170001687A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폴리다틴을 함유한 베이스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4B1 (ko) 실리콘 중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726323B1 (ko) 묻어나지 않는 비수계 입술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MX2007015243A (es) Composicion en dispersion de pigmentos, que comprende una mezcla de esteres y fabricacion de la misma.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356B1 (ko) 고온 안정도가 높은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84418B1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22470B1 (ko) 셀프태닝용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US20220096343A1 (en) Cosmetic product using photochromic pow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64150B1 (ko) 신규한 화장료 색재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