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7795B1 -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795B1
KR102617795B1 KR1020210068640A KR20210068640A KR102617795B1 KR 102617795 B1 KR102617795 B1 KR 102617795B1 KR 1020210068640 A KR1020210068640 A KR 1020210068640A KR 20210068640 A KR20210068640 A KR 20210068640A KR 102617795 B1 KR102617795 B1 KR 102617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ont panel
pile
supporting unit
excavation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60419A (en
Inventor
이종필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이종필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필, 김석환 filed Critical 이종필
Priority to KR1020210068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795B1/en
Publication of KR20220160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9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10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 E02D5/12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굴착면의 하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서포팅 유닛과 이격 형성되어, 서포팅 유닛을 커버하고, 침투수를 배출시키는 프론트 패널 유닛(front panel unit); 및 서포팅 유닛과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어, 서포팅 유닛과 프론트 패널 유닛의 간극을 채워 상호 결합시키는 메시 유닛(mesh unit)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which includes a supporting unit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to form a wall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a front panel unit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unit,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discharging permeating water; and a mesh uni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o fill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Description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Retaining wall system combines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굴착면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굴착면을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비하여, 굴착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며 토압와 수압 등의 측압에 저항하는 리테이닝 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More specifically,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retaining wall system that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perpendicularly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supports the excavation surface, preventing soil loss from the excavation surface and resisting later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흙막이 공법은 지반 굴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굴착 작업 시 현장 내로 주변의 흙이나 물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지반 붕괴를 막고, 흙막이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 등의 측압에 저항하도록 구조물을 설치하는 공법이다.The earth retaining method is designed to ensure safe ground excavation by installing a support structure to prevent ground collapse while preventing the inflow of surrounding soil or water into the site during excavation work, and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o resist later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cting on the back of the earth retaining material. This is an installation method.

또한, 흙막이 공법은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위해 굴착 작업 시 목재, 강재 또는 콘트리트 기둥 및 연속벽 등의 벽체와 함께 타이로드, 앵커, 버팀 공법을 사용하여 토사의 붕괴를 막고 토압 및 수압을 지탱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earth retaining method uses tie rods, anchors, and support methods along with walls such as wood, steel, or concrete columns and continuous walls during excavation work to build underground structures to prevent soil collapse and support earth and water pressure. .

흙막이 구조물은 흙막이 벽체와 지지구조가 결합된 구성으로, 벽체 형식과 지지 구조에 따라서 분류된다.Earth retaining structures are a combination of an earth retaining wall and a support structure, and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all type and support structure.

흙막이 벽체에 따른 흙막이 공법에는 엄지 말뚝과 흙막이 공법, 널말뚝 공법, 주열식 벽체 공법, 지하 연속 벽체 공법 등이 있으며, 흙막이 벽체는 구조적 안정적, 인접건물의 노후와 및 중요도, 굴착 깊이, 공기, 공사비 등을 검토하여 선정하게 된다.The earth retai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earth retaining wall include the thumb pile and earth retaining method, the board pile method, the column-type wall method, and the underground continuous wall method. The earth retaining wall is structurally stable, and depends on the age and importance of adjacent buildings, excavation depth,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cost, etc. will be reviewed and selected.

흙막이 지지 구조에 따른 흙막이 공법에는 자립식 구조, 버팀보공법, 지반 앵커 공법, 역타공법, 쏘일네일링공법, 레이커공법, 타이로드 공법 등이 있으며, 흙막이 지지 구조는 벽체의 안정성, 시공성, 인접건물의 이격 거리, 지하층 깊이, 민원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구조를 선정하게 된다.Earth retai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earth retaining support structure include self-supporting structure, brace method, ground anchor method, reverse drilling method, saw nailing method, raker method, tie rod method, etc. The earth retaining support structure includes the stability of the wall, constructability, and the safety of adjacent buildings. The most appropriate structure i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separation distance, basement depth, civil complaints, etc.

그 중에서도, 엄지 말뚝 흙막이 공법은 굴착 전에 H파일(엄지 말뚝)을 일정한 간격으로 근입한 후, 굴착하면서 흙막이 판을 엄지 말뚝 사이에 끼워 넣어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공법이다.Among them, the thumb pile retaining method is a method of inserting H piles (thumb piles) at regular intervals before excavation and then inserting retaining plates between the thumb piles during excavation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이와 관련된 선행 특허문헌의 예로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등록번호 제10-0949781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n example of a prior patent document related to this is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egistration No. 10-094978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에 따른 발명의 경우, 기초지반에 하단이 매립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지주와, 수직지주의 노출된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브래킷과, 수평브래킷으로 고정된 수직지주의 노출된 부분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외장패널과, 수직지주와 외장패널 배면 성토지를 층따기하여 계단형으로 형성하고, 성토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무게추와, 무게추의 상부에 적층되는 성토층 및 수평브래킷에 연결되고, 성토층의 토압을 분산시키는 토압분산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the lower end is buried in the foundation ground and includes vertical support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horizontal brackets connecting the exposed portions of the vertical suppor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supports fixed with the horizontal brackets. A plurality of exterior panels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exposed portion of the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fill on the back of the exterior panel are layered to form a stepped shape, a weigh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ll, and the top of the weight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rovided that is connected to a stacked embankment layer and a horizontal bracket and includes an earth pressure distribution member that distributes the earth pressure of the embankment layer.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에이치빔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및 그 에이치빔 구조체 (등록번호 제10-0659997호,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there is “Earth retaining method using H-beam and its H-beam structure (Registration No. 10-065999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서로 다른 부피를 갖는 에이치빔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에이치빔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및 그 에이치빔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그 공법은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들 사이에 웨브가 수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대경 에이치빔을 수직으로 매설하여 서 로 이격되게 설치하고, 그 설치된 에이치빔의 플랜지들 사이 내측면에 대경 에이치빔의 플랜지들 사이의 간격보다 폭이 좁은 소경 에이치빔의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결합하며, 소경 에이치빔의 타단부 외측면에 다른 대경 에이치빔을 결합한 후에 그 상호간에 접촉되는 부위들을 일체화시키고, 대경 에이치빔들의 플랜지들 사이에 소경 에이치빔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것이 다수개 연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벽체로 연결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그 구조는 서로 마주보는 플랜지들 사이에 웨브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각각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면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다수개의 대경 에이치빔들과, 그 대경 에이치빔들 사이의 플랜지 양측에 개재되도록 양단부가 대경 에이치빔의 플랜지 내부에 각각 수용되어 양측 플랜지의 외측면이 각각 면접촉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소경 에이치빔으로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t relates to an earth retaining method using H-beams that continuously combines H-beams with different volumes to prevent gaps from occurring, and to the H-beam structure. The method involves installing large-diameter H-beams, which have a structure in which webs are vertically connected between flanges facing each other, vertically and installing them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langes of large-diameter H-beams are placed on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flanges of the installed H-beams. One end of a small-diameter H-beam that is narrower than the gap between the two is joined to fit, and after joining another large-diameter H-beam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mall-diameter H-beam, the parts that contact each other are integrated, and the flanges of the large-diameter H-beam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wo ends of the small-diameter H-beams are joined together in a series of steps to form a single wall. The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eb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flanges facing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large-diameter H-beams are embedded vertically in the ground at equal intervals, and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between the large-diameter H-beam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ll-diameter H-beams, where both ends are preferably accommodated inside the flange of the large-diameter H-beam,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both flanges are in surface contact, and are integrally joined by coupling means.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흙막이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등록번호 제10-2091972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 example of another patent document, there is “Thumb pile for retaining soil and thumb pile re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Registration No. 10-20919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흙막이용 엄지말뚝과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매립되는 일단부는 지반에 수직한 직선 상태를 유지하고, 지반에서 돌출되는 타단부는 일단부에 대해 일정 곡률로 굽힘 가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인가한 H형 파일; 및 H형 파일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 지며, H형 파일의 굽힘면에 부착되어 H형 파일이 굽힘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굽힘유지부재;를 포함하며, 굽힘유지부재가 부착된 H형 파일은 일정 곡률로 굽힘된 상태로 지반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용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을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it relates to a thumb pile for retaining soil and a thumb pile re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one end buried in the ground maintains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protrudes from the ground. is an H-type pile in which prestress is applied by bending one end to a certain curvature; And a bending retaining membe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H-type pile and attached to the bending surface of the H-type pile to maintain the bending of the H-type pile. A H-type pile to which the bending retaining member is attached. Provides a thumb pile for retaining earth,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uried in the ground in a state bent at a certain curvature, and a thumb pile re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또 다른 특허문헌의 예로서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 (등록번호 제10-1549938호, 이하 특허문헌4이라 한다.)”이 존재한다.As another example of a patent document, there is “Earth Retain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Concrete Earth Plate and H Beam (Registration No. 10-154993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토류벽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엄지말뚝과 콘크리트 토류판의 결합을 한 조로 구성하고, 폭 빙향으로 이격되는 또 다른 한 조의 엄지말뚝과 콘크리트 또 다른 한 조의 엄지말뚝과 콘크리트 토류판을 구성하여서 되는 흙막이 가설구조에 있어서, 일측 엄지말뚝의 전면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빔을 버팀보와 연결하여 구성하고, 대향되는 타측의 엄지말뚝에는 타측 엄지말뚝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1열의 연결빔 또는 2열의 연결빔을 연결한 연결지지빔으로 형성하되, 횡단하여 고정 연결되는 지지빔과 연결한 버팀보를 연결빔 또는 연결지지빔에 고정하여 횡단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에 관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thumb piles and concrete earth plate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front of the earth wall, and another set of thumb piles and another set of concrete thumb pile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consisting of a concrete earth plate, support beams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braces on the front of one thumb pile, and the thumb pile on the other side is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thumb pile on the other opposite side. It is formed as a connection support beam connecting one row of connection beams or two rows of connection beam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al connection is formed by fixing the support beam connected to the support beam that is fixedly connected transversely to the connection beam or connection support beam, This is about an earth retaining temporary structure using concrete earth plates and H beams.

기존의 선행문헌들에서는 H파일을 일정한 간격으로 근입한 후, 굴착하면서 흙막이 판을 엄지 말뚝 사이에 끼워 넣어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공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흙막이 벽과 외면에 설치되는 옹벽 패널과의 간극을 최소화하는 기술 요소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Existing prior literature discloses a method of supporting an earth retaining wall by inserting H pile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n inserting earth retaining plates between thumb piles while excavating. However, the gap between the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panel installed on the outside is limited.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in technical elements that minimize

등록번호 제10-0949781호Registration number 10-0949781 등록번호 제10-0659997호Registration number 10-0659997 등록번호 제10-2091972호Registration number 10-2091972 등록번호 제10-1549938호Registration number 10-1549938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to be solved.

첫째, 지반의 굴착 작업 중, 굴착면의 토사 유실과 붕괴를 막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한다.First, during ground excavation work, we want to install a structure to prevent soil loss and collapse on the excavation surface.

둘째,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굴착면의 측압에 저항하고자 한다. Second, the wall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is installed vertically to resis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셋째, 굴착면에 설치된 각각의 구조물 사이를 채우고 결합하여, 구조물 간의 간극을 최소화하고자 한다.Third, we aim to minimize the gap between structures by filling and combining each structure installed on the excavation surface.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굴착면의 하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상기 서포팅 유닛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을 커버하고, 침투수를 배출시키는 프론트 패널 유닛(front panel unit); 및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간극을 채워 상호 결합시키는 메시 유닛(mesh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unit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and forms a wall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a front panel unit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unit,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discharging permeating water; and a mesh uni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o couple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o each other by filling a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굴착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일링(piling)부; 및 상기 파일링부의 각각에 상호 체결되어 상기 소정의 간격에 배치되어, 양 끝단은 상기 파일링부에 지지되며 후면은 상기 굴착면에 밀착되어 상기 굴착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상기 굴착면의 측압을 지지하는 래깅(lagg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upporting uni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ing parts that are vertically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 and each of the piling parts is interconnected and disposed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piling part and the rea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to prevent soil loss from the excavation surface and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lagg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파일링부는, 상기 파일링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굴착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래깅부의 전측 이동을 블로킹하는 제1파일부; 상기 파일링부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굴착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파일부와 이격하게 형성되어 상기 래깅부의 후측 이동을 블로킹하는 제2파일부; 및 상기 제1파일부와 상기 제2파일부의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래깅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파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iling par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le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ing part, formed parallel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blocking the front movement of the lagging part; a second pile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ling part, adjacent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e part to block rearward movement of the lagging part; And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pile part formed vertically between the first pile part and the second pile part to prevent the lagging part from being separated.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파일링부는, 상기 제1파일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터벌(interval)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il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pile portion and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leaving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val units that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메시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의 외면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에 대한 지압력을 분포시키는 플레이트(plate)부;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철근이 격자 형태로서 고정 배치되는 메시(mesh)부; 일측은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에 고정되어, 인장력을 제공하는 픽싱(fixing)부; 및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 사이의 상기 간극 채우며, 상기 굴착면의 토압에 저항하는 필링(fill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sh uni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portion provided at a preset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to distribute ground pressure to the supporting unit; A mesh porti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and the plat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fixedly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 fixing portion that is fixed to one side to the front panel unit and to the plate portion to provide tensile force to the other side; and a filling portion that fills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and resists earth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메시부는, 상기 격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호 체결하는 포인트(point)부; 및 상기 픽싱부 또는 상기 인터벌부가 관통되도록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클리어(clear)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sh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 portion for connecting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tersect to maintain the grid shape; and a clear part providing an insertion space so that the fixing part or the interval part penetrates.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클리어부는, 상기 삽입 공간 중,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기 지압력의 증진되는 공간에 상기 픽싱부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lear par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art selectively penetrates the space where the ground pressure of the plate part is increased among the insertion spaces.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픽싱부는, 일측은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에 제공되고, 타측은 상기 메시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네일(nail)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기 네일부에 결속되는 너트(nut)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il part provided on one side to the front panel uni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mesh part and the plate part; and a nut portio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and fastened to the nail portion penetrating the plat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은, 지반으로부터 수평하게 제공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자중이 유지되도록 하는 블록(block)부; 상기 블록부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메시 유닛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패널(panel)부; 및 상기 패널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침투수가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보드(board)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ront panel uni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portion provided horizontally from the ground to maintain the self-weight of the front panel unit; a plurality of panel parts stacked on top of the block part and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the mesh unit; and a board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nel portion to allow the permeating water to flow downward.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상기 패널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부 중 상기 블록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상기 패널부에 제공되어, 상기 침투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는 배수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nel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each panel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block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portions, and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permeating water is drained.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drain hole portion formed.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re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설치하여, 굴착면의 측압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First, by installing walls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vertic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is possible to resis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둘째, 플레이트부와 픽싱부를 통해 서포팅 유닛과 프론트 패널 유닛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ovide tension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hrough the plate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셋째, 필링부로부터 서포팅 유닛과 프론트 패널 유닛의 간극을 채우고 상호 결합하여, 구조물 간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ird, b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from the filling part and joining them togeth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structure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메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sh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several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메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sh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panel unit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굴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 굴착 전에 굴착면 또는 굴착 경계면에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여, 굴착면의 토사 붕괴를 막고 토압 및 수압에 저항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 구조물은 소정의 심도까지 천공 후 H파일(H-pile)을 삽입한 뒤, 굴착을 진행하면서 토류판을 H파일 사이에 끼워 넣는 공법을 통해 설치된다. 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safely excavate the ground, a support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excavation surface or excavation boundary surface before excavation, so that the soil and sand on the excavation surface are maintained. This is to prevent collapse and resist earth and water pressure. The support structure is installed by drilling to a predetermined depth, inserting H-piles, and then inserting earthen plates between the H-piles while excavating.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경우, 굴착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토압과 수압 등의 측압에 저항하기 위해서, 수직하게 삽입되어 굴착면을 지지하는 서포팅 유닛(100)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간극을 채워 상호 결합시키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In the case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oil loss from the excavation surface and resist lateral pressure such as earth pressure and water pressure, a supporting unit ( 100), as well as a technical idea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coupling them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경우,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100), 메시 유닛(200)(mesh unit. 200) 및 프론트 패널 유닛(front panel unit, 300)을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a supporting unit (100), a mesh unit (200) (mesh unit. 200), and It includes a front panel unit (300).

먼저, 서포팅 유닛(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면의 하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구성이다.First, the supporting unit 100 is inserted perpendicularly into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as shown in FIGS. 1 and 2 to form a wall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서포팅 유닛(100)은 터파기를 진행한 뒤 수직 천공을 통해 시공하게 되며, 굴착면의 토질 상태에 따라 길이와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The supporting unit 100 is constructed through vertical drilling after digging, and its length and spacing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soil condition of the excavation surface.

서포팅 유닛(100)의 설치 후에는 양질의 토사, 모래, 소일 시멘트(soil cement), 콘크리트 등으로 빈틈을 완전하게 충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installing the supporting unit 100, it is desirable to completely fill the gap with high quality soil, sand, soil cement, concrete, etc.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100)과 이격 형성되어, 서포팅 유닛(100)을 커버하고 침투수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ront panel unit 300, as shown in FIG. 6,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unit 100, covers the supporting unit 100, and discharges permeating water.

여기서 말하는 침투수(percolating water)는 굴착면 또는 프론트 패널 유닛(300)으로 스며들게 되는 강우수, 지표수, 지하수로 정의될 수 있다. 침투수를 배출하지 못할 경우, 지반침하 또는 지하수위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배수 시설이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ercolating water herein may be defined as rainfall, surface water, or groundwater that permeates into the excavation surface or the front panel unit 300. If the seepage water cannot be discharged, ground subsidence or a drop in the groundwater level may occur, so it is desirable to build a drainage facility to minimize damage.

또한, 프론트 패널 유닛(300)은 서포팅 유닛(100)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굴착면을 지지하고 붕괴를 방지하는 구성이므로,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panel unit 300 not only covers the supporting unit 100, but also supports the excavation surface and prevents collapse, so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strength.

아울러, 프론트 패널 유닛(300)은 외부에 노출되는 유일한 구성이 될 수 있으므로, 프론트 패널 유닛(300)은 천연 색상 또는 천연 석재 등을 이용해서 다양한 질감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주변 경관과의 이질감을 없앨 수 있으며,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panel unit 300 can be the only component exposed to the outside, the front panel unit 300 can express various textures using natural colors or natural ston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e of difference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can be eliminated,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size of the front panel unit 300.

메시 유닛(200)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사이에 제공되어,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간극을 채워 상호 결합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mesh unit 200, as shown in Figure 5, it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to fill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It is a composition that connects each other.

메시 유닛(200)은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 사이에서 간극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을 상호 본딩시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mesh unit 200 not only minimizes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but also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by bonding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to each other.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서포팅 유닛(1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링(piling)부(110) 및 래깅(lagging)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unit 10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ing part 110 and a lagging part 120, as shown in FIG. 4. can do.

먼저, 파일링부(110)는 굴착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First, the piling parts 110 are a plurality of components that are vertically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파일링부(110)는 강재 말뚝의 일종으로, H형강(H-section steel pile) 또는 엄지말뚝이라 불리는 것으로, 플랜지의 폭이 긴 H자 모양의 형강을 뜻한다.The piling unit 110 is a type of steel pile, called an H-section steel pile or thumb pile, and refers to an H-shaped section steel with a long flange.

파일링부(110)는 충분한 근입 깊이를 확보한 후, 굴착면에서 소정의 심도까지 근입하며, 근입 과정에서 파일링부(110)의 수직도를 확인하여야 한다.After securing a sufficient penetration depth, the piling part 110 is driven into the excavation surface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verticality of the piling part 110 must be checked during the penetration process.

또한, 파일링부(110)는 이음할 경우, 이음 위치는 동일 높이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filing portion 110 is joined, it is desirable to avoid the same height as the joint location.

아울러, 파일링부(110)의 설치 후에는 천공주변을 양질의 토사, 모래, 소일 시멘트(soil cement), 콘크리트 등으로 빈틈없이 채우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installing the piling part 110, the area around the perforation must be filled tightly with high-quality soil, sand, soil cement, concrete, etc.

래깅부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링부(110)의 각각에 상호 체결되어 소정의 간격에 배치되어, 양 끝단은 파일링부(110)에 지지되며, 후면은 굴착면에 밀착되어, 굴착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굴착면의 측압을 지지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lagging part, as shown in Figure 4, it is mutually fastened to each of the piling parts 110 and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piling part 110, and the rea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It is designed to prevent soil loss from the excavation surface and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여기서 말하는 측압은 굴착면의 토사로 인해 발생하는 토압이나, 굴착면 주변 지반의 지하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압이 래깅부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뜻한다.The lateral pressure referred to here refers to the force ex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agging part by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by the soil on the excavation surface or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groundwater in the ground around the excavation surface.

래깅부는 굴착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최대한 신속하게 설치되어야 한다.The lagging section should be installed as quickly as possible as the excavation work progresses.

예컨대, 래깅부는 굴착 작업 시 굴착 높이가 0.5m가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즉시 설치하며, 최종 굴착 깊이에서 최대측압강도로 계산된 판의 두께 이상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desirable to install the lagging part immediately during excavation work within the excavation height not exceeding 0.5m, and to use a member whose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plate thickness calculated as the maximum lateral pressure strength at the final excavation depth.

래깅부는 양 끝단이 파일링부(110)에 지지되고, 후면이 굴착면에 밀착됨에 따라 파일링부(110)의 사이에 체결되어, 파일링부(1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Both ends of the lagging part are supported by the piling part 110, and the rear side is fastened between the piling parts 110 as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so that it does not escape from the piling part 110.

또한, 래깅부는 굴착면과 밀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지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agging part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thereby preventing ground de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파일링부(1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부(111), 제2파일부(112), 제3파일부(113) 및 인터벌(interval)부(140)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piling part 11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ile part 111, a second pile part 112, and a third pile part. It includes 113 and an interval part 140.

먼저, 제1파일부(111)는 파일링부(110)의 일측에 제공되어, 굴착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래깅부의 전측 이동을 블로킹하게 된다.First, the first pile part 11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ing part 110, is formed parallel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blocks the front movement of the lagging part.

제2파일부(112)는 타측에 제공되어, 굴착면에 인접하여 제1파일부(111)와 이격하게 형성되어, 래깅부의 후측이동을 블로킹하게 된다.The second pile portion 11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is formed adjacent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e portion 111, thereby blocking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lagging portion.

제1파일부(111)와 제2파일부(112)를 통해 파일링부(110)에 체결된 래깅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lagging part fastened to the piling part 110 through the first pile part 111 and the second pile part 112.

또한, 제1파일부(111)와 제2파일부(112)를 통해 래깅부와 파일링부(110)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토사 유실 및 지하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lagging part and the piling part 110 is minimized through the first pile part 111 and the second pile part 112, thereby preventing loss of soil and outflow of groundwater.

제3파일부(113)는 제1파일부(111)와 제2파일부(112)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래깅부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third pile portion 113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le portion 111 and the second pile portion 112 to prevent the lagg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제3파일부(113)는 파일링부(110)를 지지하여 축방향 응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third pile portion 113 supports the piling portion 110 and provides axial stress.

인터벌부(114)는 제1파일부(1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The interval portion 114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first pile portion 111 and is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인터벌부(1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일부(111)의 전면을 향해 돌출됨에 따라,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하부에 기초가 되는 블록부(310)와 서포팅 유닛(1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interval part 114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pile part 111, and the block part 310 and the supporting unit (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m.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메시 유닛(200)의 경우, 플레이트(plate)부(210), 메시(mesh)부(220), 픽싱(fixing)부(230) 및 필링(filling)부(240)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esh unit 20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portion 210, the mesh portion 220, and the fixing portion 230. and a filling portion 240.

먼저, 플레이트부(210)의 경우, 서포팅 유닛(100)의 외면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어 서포팅 유닛(100)에 대한 지압력을 분포시키는 구성이다.First, in the case of the plate portion 210, it is provided at a preset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100 to distribute the acupressure force to the supporting unit 100.

플레이트부(210)는 서포팅 유닛(100)의 외면에 정착되는 장치로서, 메시 유닛(200)의 인장력에 의한 지압력을 넓게 분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The plate portion 210 is a devic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100 and is installed to widely distribute the acupressure force caused by the tensile force of the mesh unit 200.

메시부(220)는 서포팅 유닛(100)과 플레이트부(210)의 전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철근이 격자 형태로서 고정 배치되는 구성이다.The mesh portion 22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plate portion 210 and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fixedly arranged in a lattice form.

메시부(22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철근은 횡연결 철근으로서, 휨 모멘트에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부재축 방향의 철근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stituting the mesh portion 220 are transversely connected reinforcing bars, and are preferably arranged to resist bending moment in the direction of the member axis.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메시부(220)는 포인트(point)부(221) 및 클리어(clear)부(222)를 포함하게 된다.The mesh part 22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int part 221 and a clear part 222.

먼저, 포인트부(221)는 메시부(220)의 격자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호 체결한 구성이다.First, the point portion 221 is composed of intersecting points whe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tersect in order to maintain the grid shape of the mesh portion 220.

포인트부(221)는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되어 만나는 지점을 용접하여 각각의 이음할 수 있게 된다.The point portion 221 can be connected by welding the point whe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tersect and meet.

포인트부(221)는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호 체결함에 따라서, 메시부(220)를 상호 고정함에 따라 복수 개의 철근 사이에 결속력을 강화시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oint portion 221 fastens the mesh portion 220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tersect, thereby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nd preventing separation.

클리어부(222)는 픽싱부(230) 또는 인터벌부(114)가 관통되도록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구성이다.The clear part 222 is configured to provide an insertion space so that the fixing part 230 or the interval part 114 penetrates.

클리어부(222)는 메시부(220)에서 포인트부(22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서, 파일링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인터벌부(114)가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clear part 222 is the remaining area of the mesh part 220 excluding the point part 221, and the interval part 114 protruding from the filing part 110 can selectively pass through.

또한, 클리어부(222)는 프론트 패널 유닛(300)과 플레이트부(210) 사이에 형성되는 픽싱부(230)가 관통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clear portion 222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fixing portion 230 formed between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the plate portion 210 passes.

아울러, 클리어부(222)는 클리어부(222)의 삽입 공간 중 플레이트부(210)의 지압력이 증진되는 곳이 픽싱부(230)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clear part 222 is configured so that the fixing part 230 selectively penetrates the area where the acupressure force of the plate part 210 is increased among the insertion spaces of the clear part 222.

픽싱부(230)는 일측은 프론트 패널 유닛(300)에 고정되고, 타측은 플레이트부(210)에 고정되어 인장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fixing part 230 is configured to have one side fixed to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plate part 210 to provide a tensile force.

픽싱부(230)는 프론트 패널 유닛(300)과 플레이트부(210) 사이 배치되어, 프론트 패널 유닛(300)과 플레이트부(210)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리테이닝 월 시스템을 강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The fixing part 2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the plate part 210, and provides a pulling force between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the plate part 210 to strengthen the retaining wall system. It become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픽싱부(230)는, 네일(nail)부(231) 및 너트(nut)부(232)를 포함하게 된다.The fixing part 23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the H pile and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il part 231 and a nut part 232.

네일부(231)는 일측은 프론트 패널 유닛(300)에 제공되고 타측은 메시부(220)와 플레이트부(21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성이다.One side of the nail portion 231 is provided to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hrough the mesh portion 220 and the plate portion 210.

너트부(232)는 플레이트부(210)의 후면에 제공되어, 플레이트부(210)를 관통한 네일부(231)에 결속되는 구성이다.The nut portion 23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late portion 210 and is fastened to the nail portion 231 penetrating the plate portion 210.

너트부(232)는 네일부(231)와 결속됨에 따라서, 네일부(231)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the nut portion 232 is coupled to the nail portion 231, it serves to secure the nail portion 231.

필링부(240)의 경우, 서포팅 유닛(100)과 프론트 패널 유닛(300) 사이의 간극을 채우며, 굴착면의 토압에 저항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lling portion 240, it fills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is configured to resist the earth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필링부(240)는 리테이닝 월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빈틈이나 간극을 메꿔주어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된다.The filling portion 240 serves to fill and reinforce voids or gaps that occur within the retaining wall system, and is mainly made of concrete.

필링부(240)는 메시부(220)와 결합하게 됨에 따라, 필링부(240)의 압축력과 메시부(220) 및 픽싱부(230)의 인장력이 일체되어 상호 보완될 수 있게 된다.As the peeling portion 240 is combined with the mesh portion 220,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peeling portion 240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mesh portion 220 and the fixing portion 230 become integrated and can complement each other.

또한, 필링부(240)를 통해서 토압에 저항함은 물론, 굴착면의 토사 유실 및 붕괴를 방지하게 되며, 굴착면으로부터 침투수의 침입을 막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lling portion 240 not only resists earth pressure, but also prevents soil loss and collapse of the excavation surface, and prevents infiltration of seepage water from the excavation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의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경우, 도6에 도시된 봐와 같이, 블록(block)부(310), 패널(panel)부(320) 및 보드(board)부를 포함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ront panel unit 300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combining H piles and reinforcing bar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a block portion 310 and a panel portion 320 ) and a board part.

먼저, 블록부(310)는 지반으로부터 수평하게 제공되어,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자중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First, the block portion 310 is provided horizontally from the ground to maintain its own weight of the front panel unit 300.

블록부(310)는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기초 지지력을 향상시켜,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부등침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block portion 310 improves the foundation support capacity of the front panel unit 300 and prevents uneven settlement of the front panel unit 300.

패널부(320)는 블록부(3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서포팅 유닛(100)과 메시 유닛(200)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구성이다.The panel portion 320 is stacked on top of the block portion 310 and consists of a plurality of panels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100 and the mesh unit 200.

복수 개의 패널부(320) 각각은 top-down 또는 bottom-up 방식으로 적층이 가능하다.Each of the plurality of panel units 320 can be stacked in a top-down or bottom-up manner.

또한, 패널부(320)의 경우, 배수홀부(321)를 포함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panel portion 320 includes a drain hole portion 321.

배수홀부(321)는 복수 개의 패널부(320) 중 블록부(310)에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패널부(320)에 제공되어, 침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출구가 될 수 있다.The drain hole portion 321 is provided in each panel portion 320 disposed adjacent to the block portion 310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portions 320, and may serve as an outlet for discharging permeating water to the outside.

배수홀부(321)는 복수 개의 패널부(320) 중에서도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부(320)로부터 침투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The drain hole portion 321 is formed to allow permeating water to drain from the panel portion 320 locat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portions 320.

배수홀부(321)는 침투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배수를 유도시킬 수 있는 각도, 즉, 패널부(32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 유동되도록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hole portion 321 is preferably formed at an angle that prevents backflow of permeating water and induces drainage, that is, it flow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anel portion 320 to one side.

보드부(330)는 패널부(320)의 후면에 제공되어, 침투수가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board portion 33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nel portion 320 to allow permeating water to flow downward.

보드부(330)는 프론트 패널 유닛(300)으로부터 유입되는 침투수를 하향 유동시켜 침투수의 배수를 도울 수 있게 된다.The board portion 330 can help drain the permeat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front panel unit 300 by flowing it downward.

보드부(330)에서 하향 유동된 침투수는 배수홀부(321)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e permeating water flowing downward from the board portion 330 can be discharged into the drain hole portion 321.

또한, 보드부(330)는 침투수가 유동하는 공간이므로, 수분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since the board portion 330 is a space where permeating water flows, it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or damaged by moisture.

아울러, 보드부(330)는 선택적으로 부직포가 부착된 부직포 일체형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oard portion 330 can optionally be provided with an integrated non-woven fabric with non-woven fabric attached.

보드부(330)에 부착된 부직포는 침투수에 포함된 토사를 걸러주는 필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토사나 자갈 등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프론트 패널 유닛(300)의 오염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e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board portion 330 not only serves as a filter to filter out the soil contained in the permeation water, but also prevents soil, gravel, etc. from being lost,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ront panel unit 300. You can do it.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patent claims are not us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s within the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It has to be.

100: 서포팅 유닛 110: 파일링부
111: 제1파일부 112: 제2파일부
113: 제3파일부 114: 인터벌부
120: 래깅부 200: 메시 유닛
210: 플레이트부 220: 메시부
221: 포인트부 222: 클리어부
230: 픽싱부 231: 네일부
232: 너트부 240: 필링부
300: 프론트 패널 유닛 310: 블록부
320: 패널부 321: 배수홀부
330: 보드부
100: supporting unit 110: filing unit
111: first pile part 112: second pile part
113: Third file section 114: Interval section
120: lagging part 200: mesh unit
210: plate part 220: mesh part
221: Point section 222: Clear section
230: fixing unit 231: nail unit
232: nut part 240: peeling part
300: Front panel unit 310: Block portion
320: Panel part 321: Drain hole part
330: Board part

Claims (10)

굴착면의 하부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굴착면을 지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서포팅 유닛(supporting unit);
상기 서포팅 유닛과 이격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을 커버하고, 침투수를 배출시키는 프론트 패널 유닛(front panel unit); 및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간극을 채워 상호 결합시키는 메시 유닛(mesh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서포팅 유닛은,
상기 굴착면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하게 삽입되어, 상기 벽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일링(piling)부; 및
상기 파일링부의 각각에 상호 체결되어 상기 소정의 간격에 배치되어, 양 끝단은 상기 파일링부에 지지되며 후면은 상기 굴착면에 밀착되어 상기 굴착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상기 굴착면의 측압을 지지하는 래깅(lagging)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링부는,
상기 파일링부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굴착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래깅부의 전측 이동을 블로킹하는 제1파일부;
상기 파일링부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굴착면에 인접하여 상기 제1파일부와 이격하게 형성되어 상기 래깅부의 후측 이동을 블로킹하는 제2파일부;
상기 제1파일부와 상기 제2파일부의 사이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래깅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파일부; 및
상기 제1파일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복수 개의 인터벌(interval)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 유닛은,
상기 서포팅 유닛의 외면 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에 대한 지압력을 분포시키는 플레이트(plate)부;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전면에 제공되어, 복수 개의 철근이 격자 형태로서 고정 배치되는 메시(mesh)부;
일측은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플레이트부에 고정되어, 인장력을 제공하는 픽싱(fixing)부; 및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 사이의 상기 간극을 채우며, 상기 굴착면의 토압에 저항하는 필링(filling)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부는,
상기 격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철근이 교차하는 지점을 상호 체결하는 포인트(point)부; 및
상기 픽싱부 또는 상기 인터벌부가 관통되도록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클리어(clear)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부는,
상기 삽입 공간 중, 상기 플레이트부의 지압력의 증진되는 공간에 상기 픽싱부가 선택적으로 관통되며,
상기 픽싱부는,
일측은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에 제공되고, 타측은 상기 메시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네일(nail)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플레이트부를 관통한 상기 네일부에 결속되는 너트(nut)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은,
지반으로부터 수평하게 제공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의 자중이 유지되도록 하는 블록(block)부;
상기 블록부의 상부에 적층되어, 상기 서포팅 유닛과 상기 메시 유닛을 커버하는 복수 개의 패널(panel)부; 및
상기 패널부의 후면에 제공되어, 상기 침투수가 하향 유동되도록 하는 보드(board)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부 중 상기 블록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각각의 상기 패널부에 제공되어, 상기 침투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는 배수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홀부는,
상기 복수 개의 패널부 중에서도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부로부터 침투수가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침투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배수를 유도시킬 수 있는 각도에 해당하는 상기 패널부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하향 유동되도록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보드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 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침투수를 하향 유동시켜 상기 침투수의 배수를 도우며, 상기 침투수가 유동하는 공간으로서 수분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A supporting unit that is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and forms a wall supporting the excavation surface;
a front panel unit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unit,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discharging permeating water; and
A mesh uni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o fill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and couple them to each other,
The supporting unit is,
a plurality of piling parts vertically inser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part of the excavation surface to form the skeleton of the wall; and
It is mutually fastened to each of the piling parts and disposed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piling part, and the rear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xcavation surface to prevent soil loss from the excavation surface and support the lateral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cludes a lagging part,
The filing department,
a first pil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ing portion, formed parallel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blocking frontward movement of the lagging portion;
a second pile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iling part, adjacent to the excavation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le part to block rearward movement of the lagging part;
a third pile portion formed perpendicularly between the first pile portion and the second pile portion to prevent the lagg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and
A plurality of interval parts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first pile unit and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provide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The mesh unit is,
A plate portion provided at a preset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to distribute acupressure force to the supporting unit;
A mesh porti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unit and the plate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fixedly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 fixing portion that is fixed to one side to the front panel unit and to the plate portion to provide tensile force to the other side; and
A filling portion that fills the gap between the supporting unit and the front panel unit and resists earth pressure of the excavation surface,
The mesh part,
In order to maintain the lattice form, a point portion for connecting points wher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intersect each other; and
It includes a clear part that provides an insertion space so that the fixing part or the interval part penetrates,
The clear part,
Among the insertion spaces, the fixing part selectively penetrates a space where the acupressure force of the plate part is increased,
The fixing unit,
One side is provided to the front panel unit, and the other side is a nail portion fixed through the mesh portion and the plate portion; and
A nut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late portion and fastened to the nail portion penetrating the plate portion,
The front panel unit is,
A block portion provided horizontally from the ground to maintain its own weight of the front panel unit;
a plurality of panel parts stacked on top of the block part and covering the supporting unit and the mesh unit; and
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anel portion and includes a board portion that allows the permeating water to flow downward,
The panel part,
A drain hole portion provided in each panel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block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portions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permeating water is drained is formed,
The drain hole part,
A hole is formed to allow permeating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panel part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parts, and is directed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panel part to one side corresponding to an angle that can prevent backflow of the permeating water and induce drainage. Form an angle so that it flows,
The board part,
H-piles and re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meat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front panel unit flows downward to help drain the permeating water, and the space through which the permeating water flows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deformed or damaged by moisture. A retaining wall system that combines structur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68640A 2021-05-27 2021-05-27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Active KR102617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40A KR102617795B1 (en) 2021-05-27 2021-05-27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40A KR102617795B1 (en) 2021-05-27 2021-05-27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9A KR20220160419A (en) 2022-12-06
KR102617795B1 true KR102617795B1 (en) 2023-12-22

Family

ID=8440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40A Active KR102617795B1 (en) 2021-05-27 2021-05-27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7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383B1 (en) * 2023-01-17 2023-08-25 조문선 System for retaining wall of self-supporting by using multi-step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86A (en) * 1998-08-06 2000-02-22 Mito Green Service:Kk Embankment wall-surface reinforcing tool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KR102210048B1 (en) * 2020-06-17 2021-02-01 김석환 System of retaining wall for selective draining of percolating wa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997B1 (en) 2006-03-31 2006-12-20 현대제철 주식회사 Soil blocking method using H beam and its H beam structure
KR100949781B1 (en) 2009-07-10 2010-03-30 (주) 태평양지질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nction method
KR101549938B1 (en) 2014-02-07 2015-09-03 (주)나우기술 Concrete timbering and installation structure
KR20200057240A (en)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일정건설 Concrete type die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using it
KR102091972B1 (en) 2019-06-04 2020-03-20 전종근 H-pile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86A (en) * 1998-08-06 2000-02-22 Mito Green Service:Kk Embankment wall-surface reinforcing tool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KR102210048B1 (en) * 2020-06-17 2021-02-01 김석환 System of retaining wall for selective draining of percolating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9A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4314B1 (en) Structure of Self-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34513B1 (en)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US20110142550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WO1999020846A1 (en) Anchored retaining wall system
KR100886445B1 (en) Soil tanks
KR100933660B1 (en) Masonry suppo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1176592B1 (en)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using prestressed tendon
KR20200124949A (en)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KR100584701B1 (en) Hypothetical earthing method
KR101136240B1 (en)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KR100831332B1 (en) Underground wal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633796B1 (en) Central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Temporary Construction
KR100313721B1 (en) Method for designing synthetic underground retaining wall by temporary soil protection structure and working process of underground retaining wall of structure
KR102617795B1 (en)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0869764B1 (e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KR102652422B1 (en) Panel typ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coupler and panel type retaining wall
KR20080025219A (en)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ll using deck plate and deck plate fo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wall
KR102490872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JP5087523B2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KR101787368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597116B2 (en) Embankment found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787366B1 (en) A Retaining wall using Precas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97458B1 (en) Cip Retaining Reinforcing Structure and Method Constructing the Same
KR102482690B1 (en)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KR102150531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