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764B1 -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Google Patents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9764B1 KR100869764B1 KR1020080037051A KR20080037051A KR100869764B1 KR 100869764 B1 KR100869764 B1 KR 100869764B1 KR 1020080037051 A KR1020080037051 A KR 1020080037051A KR 20080037051 A KR20080037051 A KR 20080037051A KR 100869764 B1 KR100869764 B1 KR 100869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support
- earth
- fixed
- inser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요입부가 형성된 H빔과,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흙막이판으로 구성된 건축물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ssembly mud structure, in a mud structure structure consisting of a H beam formed with recesses on both sides, and a plurality of mud plates inserted into the recesses,
일측면에 보강판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수평 관통되는 연결 부재삽입공이 형성된 다수의 흙막이판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 H " 형으로 양측에 지지판요입부가 형성되고, 그 배면에 고정봉삽입홀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이격판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H빔의 상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일측은 길고 타측은 짧은 "ㄷ" 형으로 절곡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한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되는 지지대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토사면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강봉과; 양단이 상기한 지지대의 지지판요입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판과; 상기 흙막이판의 보강판삽입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을 고정 및 흙막이판과 지지판을 연결 고정키 위한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상의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으로,Reinforcement plat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earth retaining plate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with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penetrating horizontally; It has a constant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recess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H" shape on the cross-section, the fixed rod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back, the flange portion spac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pacer plate on the front surface, the plan A plurality of supports coupled to the top of the H beam by the branch; One side is long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bent in a short "c" type, one side is formed with a fixed support fix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rod insertion hole, the other side is a fixed steel bar made of the slope of the earth;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having both end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recesses of the support, the fastening holes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reinforcing plat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plate insertion groove of the earthen board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It is composed of a screw rod-shaped connecting member formed on the end for fixing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fixing key connecting the earthen board and the support plate,
H빔의 토류벽 요입부에 흙막이판의 결합이 용이하고, 흙막이판의 배면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연결부재에 의해 흙막이판과 지지수단을 연결 지지하므로, 토류벽 자체의 강성을 높여줌으로 토류벽의 휨이나 전단파괴를 막아줌은 물론, 장기간 설치시에도 지지수단에 의해 토류벽의 강도를 유지시켜줌으로 토류벽의 중간부위가 절단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아줌으로 대형참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t is easy to combine the retaining plate in the recess of the earth wall of the H-beam, and a separate suppor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upporting member connects and supports the retaining plate by the connecting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earth wall itself. In addition to preventing warpage or shear fail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large catastrophes 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middle part of the earth wall from being cut by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earth wall by the support means even during long-term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그대로 매입하여 보조 외벽으로 사용하여도 토류벽의 강성이 강하여 장마철과 같은 우수기에도 토사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붕괴로부터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which can be used as an auxiliary outer wall, as it is, so that the stiffness of the earth wall is strong, effectively blocking the outflow of soil in rainy seasons such as rainy season, thereby greatly improving safety from collapse. .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된 토사면과 면접되게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흙막이판을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수단과 연결 고정함으로서, 토압에 의해 흙막이판의 중앙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assembly mud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ing means to be interviewed with the excavated soil surface, by fixing the mud plate with the supporting means by the connecting member, by the earth pressure plate It relates to a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center of the destruction.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의 축조 또는 수로 및 각종 판로 매설공사에 따른 지반 굴착공사시 굴착 배면의 토사붕괴나 침하방지 및 변위 억제를 통해 인접지반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설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되며, 이러한 흙막이공사는 안전성과 시공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한다.In general, during construction of ground excavation work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structures or waterways and laying of various tracks in construction sites,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walls should be carried out as a way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adjacent ground by preventing soil collapse, settlement and restraining displacement of the back surface of the excavation. These earthen works should be installed with due consideration of safety and workability.
즉,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의 경우에는 기존 건물에 근접 시공이 많아짐에 따라 지반 굴착으로 인한 지반이 침하 되거나 붕괴되는 등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크기 때문에 가설 흙막이 공사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dense urban centers, the importance of temporary scaffolding construction is more important than ever because there are many problems with the stability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such as the settlement or collapse of the ground due to the excavation of ground due to the increased construction of existing buildings. .
이를 위한 흙막이 공사로는 토류벽 공법과 토류벽 지지공법으로 분류되는데 그중 도심지에서의 건축공사에 가장 접합한 토류벽 공법은 지반붕괴 방지 및 굴착배면 지하수위의 저하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여 인접지반의 변위 및 인접건물의 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The earth wall construction is classified into earth wall method and earth wall support method. Among them, the earth wall method, which is most bonded to building construction in urban areas, prevents ground collapse, lowers the groundwater level of the excavation back ground, and prevents the outflow of soil. The settlement of the building should be minimized.
상기 토류벽 공법은 양단에 토류벽 요입부가 구비된 강재말뚝(또는 H빔)을 다수개 지반에 타설하여 설치 후 터파기 굴착작업을 진행하면서 상기 다수의 강재말뚝 사이에 목재 등으로 된 토류벽으로 이용되는 흙막이판을 횡방향으로 다수개 끼워 넣어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흙막이판과 굴착된 토사면과의 이격 공간에는 되메움에 의해 이격공간을 없애주어 토사의 붕괴를 박아주는 흙막이 공사를 시행하게 된다.In the earth wall method, the earth piles (or H beams) having the earth wall indents at both ends ar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grounds, and then the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after the excavation work. A plurality of plates are inse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wall, and the space is separated from the earthen board and the excavated soil surface to remove the space by backfilling, and the earthen work is carried out to drive the collapse of the soil.
도 1은 종래 조립식 흙막이의 평면도로, H빔(100)이 지중에 다수개 매설되고 각각의 H빔(100) 사이에 흙막이판(110)이 삽입 설치되어 조립식 흙막이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FIG. 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prefabricated mudguard, and a plurality of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흙막이 구조는, H빔에 형성된 토류벽 요입부에 토류벽으로 사용되는 흙막이판을 별도의 지지구조 없이 단순히 끼워서 상기 토류벽 자체 강성만으로 토사의 토압을 견디도록 한 것이나 이는 토압이 작용하면 토류벽은 자체 강성이 크지 않아 휨이나 전단파괴 등이 발생되고, 장기간 설치시에는 강도가 약화 되어 토류벽이 길이 방향의 중간부위가 그대로 절단되면서 토사가 밀려오는 현상이 발생 되는 것인바, 이로 인해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등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the conventional prefabricated mudston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y simply inserting the mud plate used as the earth wall in the earth wall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H beam without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of the soil by the soil wall itself stiffness, but the earth pressure action If the earth wall is not large in its own rigidity, bending or shear failure occurs, and when it is installed for a long time, the strength is weakened, and the earth wall is pushed out as the middle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ut as it is. A very serious problem occurred, leading to a disaster.
또한, 그대로 매입하여 건축물의 보조 외벽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류벽의 강성이 너무 약하여 장마철과 같은 우수기에는 더욱 토상의 흘러내림을 제대로 차 단하지 못하고 붕괴되어 건축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it is purchased as it is used as an auxiliary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stiffness of the earth wall is so weak that in the rainy season such as rainy season it is not able to properly prevent the flow of the soil down and collapse, causing a threat to the safety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흙막이판의 배면에 상기 흙막이판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흙막이판이 토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게 한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eparate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retaining plate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plate, to provide a building prefabricated earth structure of the retaining plate to effectively withstand from earth pressu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양측에 요입부가 형성된 H빔과,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흙막이판과,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단면상 " H " 형으로 양측에 지지판요입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양단이 상기 지지대의 지지판요입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에 있어서,H beams having recesses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earthen boards inserted into the recesses, a plurality of support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plate recesses formed on both sides in a cross-section of "H",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In the building assembly premise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recess of the,
상기 흙막이판의 일측면에는 보강판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삽입홈의 중앙에는 수평 관통되는 연결부재삽입공이 형성되고; A reinforcing plat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taining plate, and a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late inserting groove;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이격판에 의해 전면으로 이격되며 상기 H빔의 상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배면에는 고정봉삽입홀이 형성되며;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s spaced apart by the separation plate in the front and the flang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 beam by a bolt and nut is formed integrally, the back of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fixed rod insertion hole;
상기 각각의 지지판의 중앙에는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측은 길고 타측은 짧은 "ㄷ" 형으로 절곡 형성되고, 일측은 상기 지지대의 고정봉삽입홀에 삽입되는 지지대고정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토사면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강봉과, A fastening hole having a thread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supporting plates;
One side is long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bent in a short "c" type, one side is formed with a support bar fix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ed rod insertion hole of the support, the other side is a fixed steel bar made of the slope of the fixing section,
상기 흙막이판의 보강판삽입홈에 삽입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보강판과, 양단이 상기한 지지대의 지지판요입부에 삽입되며, 중앙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공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판과;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plate insertion grooves of the retaining plate and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recesses of the support base and having fastening holes having a screw threa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보강판, 상기 흙막이판 및 상기 지지판을 연결 고정시키기 위해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봉상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It can be achieved by further comprising a screw-shaped connecting member formed with a screw portion at the end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upport pla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는, H빔의 토류벽 요입부에 흙막이판의 결합이 용이하고, 흙막이판의 배면에 별도의 지지수단을 구비하되, 연결부재에 의해 흙막이판과 지지수단을 연결 지지하므로, 토류벽 자체의 강성을 높여줌으로 토류벽의 휨이나 전단파괴를 막아줌은 물론, 장기간 설치시에도 지지수단에 의해 토류벽의 강도를 유지시켜줌으로 토류벽의 중간부위가 절단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막아줌으로 대형참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Building structure prefabric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combine the retaining plate in the earth wall concave portion of the H-beam,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 means on the back of the retaining plate, connecting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upport means by the connecting member As it supports, it prevents bending and shear failure of the earth wall by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earth wall itself, and effectively prevents the middle part of the earth wall from being cut by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earth wall by supporting means even during long-term install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large catastrophe in advance.
또한,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그대로 매입하여 보조 외벽으로 사용하여도 토류벽의 강성이 강하여 장마철과 같은 우수기에도 토사의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붕괴로부터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if the earthe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as it is used as an auxiliary outer wall is strong stiffness of the earth wall can effectively block the flow of earth and sand even in rainy seasons such as rainy season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safety from collaps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배면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배면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의 평단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는, 양측에 요입부(11)가 형성된 통상의 다수 H빔(10)과; 양측이 상기 H빔의 요입부에 삽입되는 다수의 흙막이판(20)과; 상기한 H빔의 배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30)와; 상기한 지지대 및 토사면에 삽입 타설되는 다수의 고정강봉(40)과; 양측이 상기한 지지대(30)에 삽입되는 다수의 지지판(50)과; 상기 흙막이판(20)의 보강 및 지지판(50)과 연결키 위한 보강판(60) 및 연결부재(70)로 구성된 것으로,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ual multiple H-
상기 H빔(10)은 통상적으로 흙막이구조의 기초로 사용되는 강재의 금속재 빔으로 구성된 것이다.The
상기 흙막이판(2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목재로된 판재로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전면에 직사각형상의 보강판삽입홈(21)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수평 관통되는 연결부재삽입공(22)이 형성된 것이다.The
상기 지지대(30)는, 수직방향으로 상기한 H빔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금속재의 "빔" 으로 단면상 " H "형으로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양측에 지지판요입부(31)가 형성되고, 그 배면에 고정봉삽입홀(32)이 형성되며, 전면으로 상기한 H빔(10)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게 이격판(33)이 형성되고, 그 이격판(33)의 단부 양측에는 H빔(10)과 결합키 위한 플랜지부(34)가 형성된 것이다.The
이때, 상기한 이격판(33)의 길이는 H빔(10)을 굴착지의 지면에 타설시 토사면과의 이격거리에 따라 제작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이때, 상기한 H빔(10)과 지지대(30)를 결합키위한 수단으로는 플랜지부(34)를 이용한 볼트(B) 및 너트(N) 결합이나 용접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B) 및 너트(N) 체결됨을 체택하여 구성한다.At this time, the means for coupling the
상기 고정강봉(40)은, " ㄷ " 자 형으로 절곡된 다수의 강봉으로 지지대(30)를 고정키 위한 것으로, 절곡된 그 일측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며 지지대(30)의 고정봉삽입홀(32)에 삽입되어 지면에 타설되는 지지대고정부(41)가 형성되고, 그 타측은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지며 토사면의 상부에 타설되는 토사면고정부(42)로 구성된 것이다.The
상기 지지판(5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금속판재로 상기한 지지대(30)의 지지판요입부(31)에 삽입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내주면에 나사산(52)을 갖는 관통형 체결공(51)이 형성된 것이다.The
상기 보강판(60)은, 중앙에 관통홀(61)이 형성되며, 상기한 흙막이판(20)의 전면에 형성된 보강판삽입홈(21)에 삽입되는 금속판재로서, 흙막이판(20)을 보강키 위한 것이다.The
상기 연결부재(70)는, 일측단에 나사부(71)가 형성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봉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강판(60)의 관통홀(61)과 흙막이판(20)의 연결부재삽입공(22)을 관통하여 지지판(50)의 체결공(51)에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설치관계 및 그 작용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of the structure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그 설치관계를 살펴보면,First, look at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건축물을 축조키 위해서는 지하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인바, 그 굴착지의 둘레에는 토사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요입부(11)형성된 다수의 H빔(10)이 일정한 간격으로 타설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 4 and 5 to build the building is an underground excavation work is carried out, the circumference of the excavation site is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이 H빔(10)이 타설되면 그 배면 즉, 굴착지의 토사면과 면접되게 다수의 지지대(30)가 설치되며, 설치되는 지지대(30)는 그 상부가 이격판(33)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34)에 의해 H빔(10)의 상부에 볼트(B)와 너트(N)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지지대(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30)를 고정키 위한 고정강봉(40)이 타설되는 것으로, 상기한 고정강봉(40)은 그 긴측 즉, 지지대고정부(41)는 지지대(30)의 고정봉삽입홀(32)에 삽입되어 그 하단부가 지면에 타설되어 지지대(30)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며, 그 짧은측 즉, 토사면고정부(42)는 토사면의 상부로부터 타설되어 고정되는 것이다.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때, 상기와 같이 설치 시공되는 H빔(10) 및 지지대(30)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열 설치 시공함이 바람직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기와 같이 고정강봉(40)에 의해 지지대(30)가 고정된 상태에서 흙막이판(20) 및 지지판(50)이 설치되는 것으로,As the
먼저, 흙막이판(20)은, H빔(10)의 상부로부터 그 양측이 요입부(11)를 따라 삽입하면 되는 것이며, 지지판(50)은 그 양측이 지지대(3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판요입부(31)에 삽입하면 되는 것이다.First, the
상기와 같이 H빔(10) 및 지지대(30)에 삽입된 흙막이판(20) 과 지지판(50)은 별도 구비되는 연결부재(70)에 의해 상호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 흙막이판(20)의 전면에 형성된 보강판삽입홈(21)에는 보강판(60)이 삽입되고, 연결부재(70)를 보강판(60)의 관통홀(61)과 흙막이판(20)의 연결부재삽입공(22)을 관통하여 지지판(50)의 체결공(51)에 나사결합하면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흙막이판(20) 및 지지판(50)은 하부로부터 상부로 적층 시공되는 것으로, 상호 연결 관계는 반복되는 것이며, 흙막이판(20)과 지지판(50)의 각층 시공과 함께 그 이격공간에는 되메움이 이루어짐으로 그 흙막이 구조의 시공이 마무리되는 것이다.The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는 토류벽 배면에 별도의 흙막이판 지지수단이 구비되므로, 지지판에 의해 1차적으로 토압으로부터 견디고, 흙막이판 또한 보강판 및 연결부재에 의해 지지판에 연결 고정되어 토압으로부터 견뎌내는 등 그 견고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etaining plate support means on the back of the earth wall, it is primarily endured from earth pressure by the support plate, and the retaining plate is also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by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fixed Endurance from earth pressure can be maximized.
한편, 이상과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는, 건축물 축조후 그 흙막이 구조를 제거하는 시공방법보다는 본 발명 흙막이 구조를 건축물 축조 후에도 그대로 매입하여 건축물의 보조 외벽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이며, 이때 건축물 외벽의 강성을 높여주는데도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used as above structure is preferable to use the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ary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buy the earth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is after construction,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moving the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At this time, it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도 1은 종래 건축물 흙막이 구조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building retaining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배면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rear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배면 결합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comb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의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도 5는 본 발명 건축물 조립식 흙막이 구조의 시공상태의 평단면도.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 H빔 11 : 요입부10: H beam 11: recessed part
20 : 흙막이판 21 : 보강판삽입홈20: earth plate 21: reinforcement plate insertion groove
22 : 연결부재삽입공 22: connection member insertion hole
30 : 지지대 31 : 지지판요입부30: support 31: support plate recess
32 : 고정봉삽입홀 33 : 이격판32: fixed rod insertion hole 33: spacer
34 : 플랜지부34: flange portion
40 : 고정강봉 41 : 지지대고정부40: fixed steel bar 41: support
42 : 토사면고정부42: Tosa and Sacred Government
50 : 지지판 51 : 체결공50: support plate 51: fastening hole
60 : 보강판 61 : 관통홀60: reinforcing plate 61: through hole
70 : 연결부재 71 : 나사부70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051A KR100869764B1 (en) | 2008-04-22 | 2008-04-22 |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051A KR100869764B1 (en) | 2008-04-22 | 2008-04-22 |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9764B1 true KR100869764B1 (en) | 2008-11-21 |
Family
ID=4028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7051A KR100869764B1 (en) | 2008-04-22 | 2008-04-22 |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9764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82720A (en) * | 2013-07-15 | 2013-11-06 |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 Support rod |
CN103382721A (en) * | 2013-07-26 | 2013-11-06 |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 Connecting piece |
WO2016208934A1 (en) * | 2015-06-25 | 2016-12-29 | 주식회사 금원건설 | Free-stand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wo rows of h-beams and using high-strength steel plates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
CN113832985A (en) * | 2021-09-25 | 2021-12-24 | 浙江省浙南综合工程勘察测绘院有限公司 |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855825A (en) * | 2022-06-16 | 2022-08-05 | 北京通成达水务建设有限公司 | Deep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2324A (en) * | 1990-06-21 | 1992-02-20 | Okabe Co Ltd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ts retaining wall |
JPH06306854A (en) * | 1993-04-20 | 1994-11-01 | Ohbayashi Corp | Earth retaining wall body |
KR20060032823A (en) * | 2004-10-13 | 2006-04-18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Two-column pile blocking method |
KR100789209B1 (en) * | 2007-05-08 | 2008-01-02 |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 Block construction using synthetic piles and beams |
-
2008
- 2008-04-22 KR KR1020080037051A patent/KR10086976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52324A (en) * | 1990-06-21 | 1992-02-20 | Okabe Co Ltd |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its retaining wall |
JPH06306854A (en) * | 1993-04-20 | 1994-11-01 | Ohbayashi Corp | Earth retaining wall body |
KR20060032823A (en) * | 2004-10-13 | 2006-04-18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Two-column pile blocking method |
KR100789209B1 (en) * | 2007-05-08 | 2008-01-02 | 주식회사 드림이엔지 | Block construction using synthetic piles and beam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382720A (en) * | 2013-07-15 | 2013-11-06 |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 Support rod |
CN103382721A (en) * | 2013-07-26 | 2013-11-06 |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 Connecting piece |
CN103382721B (en) * | 2013-07-26 | 2015-06-03 | 浙江博雷重型机床制造有限公司 | Connecting piece |
WO2016208934A1 (en) * | 2015-06-25 | 2016-12-29 | 주식회사 금원건설 | Free-standing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wo rows of h-beams and using high-strength steel plates and method for building same |
CN113832985A (en) * | 2021-09-25 | 2021-12-24 | 浙江省浙南综合工程勘察测绘院有限公司 |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3832985B (en) * | 2021-09-25 | 2022-11-18 | 浙江省浙南综合工程勘察测绘院有限公司 |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855825A (en) * | 2022-06-16 | 2022-08-05 | 北京通成达水务建设有限公司 | Deep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N114855825B (en) * | 2022-06-16 | 2023-09-26 | 北京通成达水务建设有限公司 | Deep foundation pi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4974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234513B1 (en) |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0886445B1 (en) | Soil tanks | |
KR100659599B1 (en) | Prefabricated earth plate with width control and drainage | |
KR101171040B1 (en) | Pre-fabricat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ing method using prestressed tendon | |
KR100869764B1 (en) | Building prefabricated structure | |
KR20200124949A (en) | Anchor Tension way sheathing structure and sheathing method of construction | |
KR101149895B1 (en) | Reinforcement block for pillar of tunnel | |
KR100584701B1 (en) | Hypothetical earthing method | |
KR20140013497A (en) |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 |
KR100633796B1 (en) | Central Reinforce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Temporary Construction | |
KR20080007483A (en) | Underground wall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30098579A (en) | Soil protection against build system | |
KR100789209B1 (en) | Block construction using synthetic piles and beams | |
KR20100001516A (en) |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200409056Y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ivil engineering earth plate | |
KR102617795B1 (en) | Retaining wall system combine H-piles with steel reinforcement structure | |
KR200370135Y1 (en) |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 |
KR100744972B1 (en) | Prefabricated Earth Block Structure | |
KR102150531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vertical underground inser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369479Y1 (en) | The land-side protection wall panel | |
KR200270268Y1 (en) | The length adjustable lagging | |
KR100659728B1 (en) | Architecture retaining structure | |
KR100327547B1 (en) | Composi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6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