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7509B1 -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09B1
KR102617509B1 KR1020217026642A KR20217026642A KR102617509B1 KR 102617509 B1 KR102617509 B1 KR 102617509B1 KR 1020217026642 A KR1020217026642 A KR 1020217026642A KR 20217026642 A KR20217026642 A KR 20217026642A KR 102617509 B1 KR102617509 B1 KR 10261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upport
arm
arms
sheet ele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036A (ko
Inventor
끌로드 꽁베르
기욤 페롱
Original Assignee
봅스트 리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9568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1750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봅스트 리옹 filed Critical 봅스트 리옹
Publication of KR2021011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65H2405/323Cantilever finger member, e.g. reciprocating in parallel to plane of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65H2405/324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between operative position and non 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ing Counted Batches (AREA)
  • Pile Receive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시트 요소들의 번들 중 출력 컨베이어 (3) 에 적층 테이블 (2) 로부터 이송될 시트 요소들 (9) 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1) 로서,
-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지지부 (10);
- 상기 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 (11);
- 횡방향으로 이격된,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개의 아암들 (13) 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 (13) 은 지지부에 대해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아암의 이동이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제 1 측 상에서 상기 지지부 (10) 에 대해 오버행 길이를 변경시키는, 상기 여러개의 아암들 (13);
- 상기 아암을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고 상기 아암들 중 또 다른 아암을 종방향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 (12)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본 발명은, 특히 패키징의 제조를 위해, 이러한 시트 요소들을 프린팅 또는 변환하기 위한 라인의 출력부에서,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을 번들 출력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번들 형성 사이클들의 중단을 회피하도록 의도된 장비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프린팅 또는 변환 작업을 거친 후, 시트 요소들은 사전규정된 수의 그리고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 시트 요소를 갖는 번들들로 적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변환 기계의 하류에서, 시트-요소 카운팅 스테이션, 적층 테이블 상에 시트 요소들을 적층하기 위한 스테이션, 및 적층들을 분리하도록 출력 컨베이어로 스택을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자유 낙하 적층 스테이션은 적층 테이블을 포함한다. 디바이스는 시트 요소들을 적층 테이블 상으로 순차적으로 낙하시켜 스택을 형성하게 허용한다. 스택 테이블은 스택이 성장하는 속도로 하강한다. 번들에 상응하는 시트 요소들의 수에 도달하면, 그후 시트 요소 공급 사이클을 방해하지 않고 이러한 번들을 정확하게 배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문헌 EP 0501213 에는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을 적층,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한 스테이션이 설명된다. 스테이션은 시트 요소들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번들 배출 장치 위에 배치된, 일시적인 적층 매거진을 형성하는 후퇴가능한 지지부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스테이션은 단점을 갖는다. 특히, 적층 매거진에 도달하는 제 1 시트 요소는 후퇴가능한 지지부들과 접촉하고 그에 의해 손상될 것이다. 또한, 후퇴가능한 지지부들의 고정된 높이 위치로 인해, 일시적인 적층 매거진은 높은 속도에 도달하는 시트 요소들로 더 빠르게 포화될 것이고, 이는 프린팅 또는 변환 라인의 전체 생산성을 제한한다.
문헌 EP 0666234 에는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을 적층,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한 스테이션이 설명된다. 스테이션은 수직으로 이동하여 적층될 테이블 상에 낙하하는 시트 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 테이블을 포함한다. 테이블은 이러한 번들이 형성된 후에 시트 요소들의 번들을 수집 및 배하는, 출력 컨베이어의 레벨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세퍼레이터는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한다. 번들이 형성된 후, 세퍼레이터는 적층 테이블에 걸쳐 수직으로 위치되고 그 자체가 다음 번들의 시트 요소들을 지지하도록 자체로 개재된다. 적층 테이블은 그후 번들을 배출하는 출력 컨베이어로 방금 형성된 번들을 이송한다. 그후 세퍼레이터는 후퇴되고 그후 적층 테이블이 다음 번들의 시트 요소들을 수집할 수 있다.
그러한 스테이션은 단점을 갖는다. 특히, 세퍼레이터는 소정 관성을 나타낸다. 시트 요소들에 대해 요구되는 적층 속도와 양립되는 속도로 사이클 중에 이동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는 또한 시트 요소들의 횡방향 정렬의 소정 모드들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 입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 요소들의 번들 중 출력 컨베이어에 적층 테이블로부터 이송될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고, 세퍼레이터는
-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지지부;
- 상기 지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
- 횡방향으로 이격된,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개의 아암들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은 지지부에 대해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아암의 이동이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제 1 측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오버행 길이를 변경시키는, 상기 여러개의 아암들;
- 동시에 상기 아암을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아암들 중 또 다른 아암을 종방향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변형예들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는 다음의 변형예들의 특징들의 각각이 중간 일반화를 구성하는 임의의 방법 없이 상기 특징들과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변형에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은,
- 횡방향으로 전개되고 회전 구동되는 샤프트;
- 상기 샤프트와 함께 하나로서 회전하는 각각의 아암을 위한 피니언;
- 상기 아암에 고정된 랙;
- 상기 랙에 대해 상기 피니언을 선택적으로 커플링 및 커플링해제하도록 구성된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각각의 아암의 상기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는 상기 아암에 대해 상기 랙을 선택적으로 맞물림 또는 맞물림해제시키도록 상기 아암과 연관된 상기 피니언을 샤프트의 축을 따라 병진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추가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들의 각각은 상기 아암과 연관된 피니언의 맞물림해제 중에 연관된 상기 아암의 병진 슬라이딩을 고정시키는 로크 볼트를 구동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피니언은 키를 통해 샤프트에 커플링된다.
하나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아암은,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아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고정된 슬라이드웨이와 협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아암들은 지지부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수직 레벨로 배열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아암들은, 상기 제 1 측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대해 시트 요소의 번들을 유지하기 위해 오버행 길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아암은 적층 테이블의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의 분리부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세퍼레이터는,
- 하향으로의 지지부의 슬라이딩;
- 제 1 측에 대해 오버행을 갖는 전개된 위치 내로의 여러개의 상기 아암의 이동;
- 제 1 측에 대해 후퇴된 위치에서의 모든 상기 아암들의 배치;
- 상향으로 지지부의 슬라이딩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추가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스텝 및 정지 (stoppage) 로 상기 지지부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패키징 제조용 기계를 위한 시트 요소를 수용하고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을 배출하기 위한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표시에 의해 이하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일 예의 사시도들이다.
[도 3] 은 아암용 클러치 디바이스 및 구동 시스템의 영역에서 세퍼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구동 시스템의 축에서 세퍼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적층 테이블과 연관된 세퍼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적층 테이블과 세퍼레이터의 조합의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7] 은 적층 테이블과 세퍼레이터의 조합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적층 테이블과 세퍼레이터의 조합의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6] 은 다양한 작동 단계 중에 세퍼레이터의 운동학을 도시한다.
종방향은 패키징 제조 기계를 통한, 시트-요소 수용 스테이션을 통한, 그들의 중앙 종방향 축을 따른 시트 요소들의 트레블 또는 구동 방향을 참조하여 규정된다. 횡방향은 수평 평면에서 시트 요소들의 트레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규정된다. 상류 및 하류 방향은, 기계에 진입하는 것으로부터 기계 및 시트 요소 수용 스테이션을 나가는 것까지, 전체 패키징 제조 기계 전체에 걸쳐 종방향으로 시트 요소들의 트레블 방향을 참조하여 규정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 (1) 의 사시도이다. 세퍼레이터 (1) 는 이러한 시트 요소의 번들의 적층 테이블로부터 출력 컨베이어로 이송될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의도된다 (이하 상세히 설명됨). 따라서, 세퍼레이터 (1) 는 예를 들어, 패키징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 대해 시트 요소들을 수용하고 이러한 요소들의 번들들을 배출하기 위한 스테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 (1) 는 섀시 (18), 지지부 (10), 구동 디바이스 (11), 구동 시스템 (12), 아암 (13) 및 제어 유닛 (19) 을 포함한다.
지지부 (10) 는 섀시 (18)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다. 섀시 (18) 는 2개의 수직 직립부 (180) (도시된 방향 Z) 및 수직 직립부 (180) 를 연결하고 횡방향으로 배향된 하나의 크로스부재 (181) 를 포함한다. 지지부 (10) 는 직립부 (180) 에 형성될 수 있는 수직 레일들에 의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수직 슬라이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지지부 (10) 는 횡방향 (도시된 Y 방향) 으로 세장형인 빔을 형성한다. 횡방향은 수평이고, 세퍼레이터 (1) 에 도달하는 시트 요소의 이송 방향 (방향 X) 에 수직이다. 구동 디바이스 (11) 는 지지부 (10) 를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 디바이스 (11) 는 제어 유닛 (19) 에 의해 제어되는 기어식 전기 모터 (110), 및 한편으로는 샤프트 (112) 를 통해 기어식 모터 (110) 의 로터와 맞물리고 각각의 벨트들 (111) 상의 픽싱된 지점에 고정된 지지부 (10) 와 맞물리는 벨트들 (111) 을 포함한다. 벨트들 (111) 은 노치형 풀리들 (113) 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 모터는 크로스부재 (181) 에 고정된다.
아암들 (13) 은 종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방향으로 이격된다. 아암들 (13) 은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그들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지지부 (10) 상에 장착된다. 각각의 아암들 (13) 의 이동은 지지부 (10) 에 대해, 특히 이러한 수평 방향으로 지지부 (10) 에 대해 제 1 측 상에서 그 오버행 길이를 변경한다. 지지부 (10) 에 대한 아암들 (13) 의 오버행은, 예를 들어, 방향들 (Y 및 Z) 을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부 (10) 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평면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후퇴된 위치에서, 아암들 (13) 은 지지부 (10) 에 대해 제 2 측에 위치되고, 지지부 (10) 에 대해 제 1 측에 최소 또는 0 의 양의 오버행을 갖는다.
구동 시스템 (12) 은 하나 이상의 아암들 (13) 을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고 하나 이상의 다른 아암들 (13) 을 그 종방향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 시스템 (12) 은 횡방향으로 전개되고,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다양한 베어링들 및 볼 베어링들을 통해 지지부 (10) 에 의해 회전 안내되는 샤프트 (15) 를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 (12) 은 샤프트 (15) 를 회전 구동하는 기어식 전기 모터 (120) 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아암들 (13) 에 대해, 구동 시스템 (12) 은 각각의 치형 피니언 (150) 을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피니언들 (150) 은 샤프트 (15) 와 일체로 회전한다. 각각의 아암들 (13) 에 대해, 구동 시스템 (12) 은 또한 이러한 아암 (13) 에 고정된 랙 (130) 을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 (12) 은 피니언 (150) 과 랙 (130) 을 선택적으로 커플링 및 커플링해제하도록 구성된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 (14) (이하 상술됨) 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3 은 아암 (13) 을 위한 클러치-형성 장치 (14) 및 구동 시스템 (12) 의 영역에서의 세퍼레이터 (1) 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구동 시스템 (12) 및 이러한 클러치-형성 디바이스 (14) 에서의 단면도이다.
아암 (13) 은 여기서 슬라이더 (131) 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131) 는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의 아암 (13) 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지지부 (10) 의 슬라이드웨이 (100) 와 연동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150) 은 샤프트 (15) 에 대해 횡방향 (샤프트 (15) 의 회전축의 방향에 상응함) 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다. 또한, 샤프트 (15) 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피니언 (150) 은 키 (151) 를 사용하여 샤프트 (15) 에 커플링된다. 따라서, 피니언 (150) 은 2개의 횡방향 위치들, 즉 아암 (13) 의 랙 (130) 과 맞물리는 도 4 에 도시된 위치, 및 랙 (130) 으로부터 커플링해제되는 좌측을 향해 추가로 오프셋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아암 (13) 의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 (14) 는 여기서 액추에이터 (140) 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140) 의 몸체는 지지부 (10) 에 고정된다. 액추에이터 (140) 는 피스톤 (142) 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그 제어부 (19) 에 의해 제어된다. 피스톤 (142) 은 피니언 (150) 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 (153) 는 피니언 (150) 과 단편이고 피니언 및 샤프트 (15) 와 동축인 부싱 (154) 의 일 단부에 고정된다. 플랜지 (153) 는 피스톤 (142) 의 자유 단부에 고정된 포크 (152) 와 맞물린다. 따라서, 플랜지 (153) 는 피스톤 (142) 에 의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스톤 (142) 의 이동은 피니언 (150) 이 랙 (130) 에 대해 커플링되거나 커플링해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피니언 (150) 이 랙 (130) 으로부터 커플링해제되거나 맞물림해제될 때, 샤프트 (15) 의 회전은 아암 (13) 의 병진 운동을 구동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세퍼레이터 (1) 는 이러한 아암이 디바이스 (12) 에 의해 구동되지 않을 때 아암 (13) 이 병진 운동의 관점에서 움직이지 않게 허용하는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핀 (141) 은 플랜지 (152) 로부터 횡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된다. 핀 (141) 은 아암 (13) 에 형성된 보어 (132) 를 향해 위치된다. 피니언 (150) 과 랙 (130) 을 커플링해제하거나 맞물림해제하는 피스톤 (142) 의 이동 시에, 핀은 보어 (132) 에 끼워질 (lodge) 때까지 구동된다. 따라서, 핀 (141) 은 아암 (13) 이 병진 운동의 관점에서 움직이지 않게 허용한다.
아암들 (13) 의 종방향 이동은 시트 요소들에 대한 일시적인 지지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아암들 (13) 은 번들들의 형태로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수용 격자를 형성하도록 전개되고, 아암 (13) 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 테이블의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을 (간섭하지 않고) 교차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아암 (13) 의 이동에 있어서의 관성은, 전체 세퍼레이터 (1) 의 관성이 그것을 이동시키는 데 필수적인 것보다 현저히 낮다.
시트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아암들 (13) 은 지지부 (10) 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되어, 이들 시트 요소들의 도달에 상응하는 측에서 지지부 (10) 에 대해 시트 요소들의 번들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오버행 길이를 달성할 수 있다. 아암들 (13) 상에 놓이는 시트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최적의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아암들 (13) 은 유리하게는 모두 지지부 (10) 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수직 레벨로 배열된다.
상기 아암 (13) 은 후술하는 적층 테이블의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의 분리부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횡방향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아암들 (13) 은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들을 십자형으로 만들 수 있다.
제어 유닛 (19) 은 지지부 (10) 를 적절한 수직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구동 디바이스 (11) 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 (19) 은 또한 어떤 아암이 적층 테이블을 향해 이동되어야 하고 어떤 아암이 적층 테이블에 대해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는 적층 테이블 (2) 과 상기 세퍼레이터 (1) 의 조합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6 은 적층 테이블 (2) 과 세퍼레이터 (1) 의 조합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은 적층 테이블 (2) 과 세퍼레이터 (1) 의 조합의 단면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적층 테이블 (2) 과 세퍼레이터 (1) 의 조합의 정면도이다.
세퍼레이터 (1) 의 섀시 (18) 는 적층 테이블 (2) 의 섀시에 고정된다. 적층 테이블 (2) 은 지지부 (23) 상에 장착된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을 포함한다. 이러한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은 세퍼레이터 (1) 의 종방향에 공통인 종방향으로 시트 요소들을 병진식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 에서, 모든 아암들 (13) 은 적층 테이블 (2) 의 측 상의 오버행이다. 도 7 에서, 시트 요소를 선택적으로 유지 또는 배출하도록 구성된 시트 요소 흡입 디바이스 (22) 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요소는 그후 분리부 (1) 의 아암들 (13) 또는 적층 테이블 (2) 의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상에 중력의 영향 하에 놓인다.
도 6 에서, 소정 아암 (13) 만이 적층 테이블 (2) 의 측 상에 전개되었다. 다른 아암들 (13) 은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암들 (13) 은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되는 지지부 (10) 의 횡방향 단부들에 위치된다. 후퇴된 위치에서 아암들 (13) 은 시트 요소들의 번들들을 위한 출력 컨베이어 (3) 와 수직으로 일직선으로 된다. 시트 요소 (9) 는 적층 테이블 (2) 의 측 상에서 전개된 아암들 (13) 상에 디포짓팅된다.
시트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션은 시트 요소들 (9) 의 각각의 측 상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노킹-업 버퍼들 (knocking-up buffers) 또는 조거들 (joggers : 21) 을 포함한다. 진동에 의해, 조거들 (21) 은 시트 요소들 (9) 의 횡방향 위치가 고정되어 양호하게 정렬된 요소 (9) 와 함께 번들 (90) 을 형성하도록 허용한다. 아암들을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하는 주요 기능은 폭의 외측에 있고 따라서 측방향 조그들 (21) 을 타격하는 아암들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후퇴된 위치에서 아암 (13) 은 이러한 조거들 (21) 과 충돌할 임의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 (1) 는 또한 아암 (13) 이 선택적으로 맞물림해제되거나 맞물림되게 하여, 주어진 폭의 시트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필수적인 수의 아암 (13) 만을 전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짧은 지속기간의 사이클을 실행해야 하는 세퍼레이터 (1) 에 대해, 아암 (13) 의 구동 시에 관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수의 아암 (13) 을 후퇴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은, 지지부 (10) 에 대해 횡방향 축선 주위로 선회 모멘트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8 은 적층 테이블 (2) 과 세퍼레이터 (1) 의 조합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세퍼레이터 (1) 의 아암들 (13) 은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과 동일한 레벨에 있다. 전개된 아암들 (13) 은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사이에 개재된다.
적층 테이블 (2) 및 세퍼레이터 (1) 는 시트 요소 (9) 를 연속적으로 잇달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하류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6 은 적층 테이블 (2) 및 컨베이어 (3) 와 협력하여, 그 작동에서 다양한 페이즈들 중에 세퍼레이터 (1) 의 운동학을 도시한다. 이러한 운동학을 구현하기 위해, 제어 유닛 (19) 은,
- 지지부 (10) 의 하향으로의 슬라이딩;
- 지지부 (10) 에 대해 제 1 측을 오버행시키는 전개된 위치 내로 몇개 또는 모든 아암들 (13) 의 이동, 필요하다면, 이러한 제 1 측에 대해 후퇴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들 (13) 의 상응하는 상태로의 유지;
- 제 1 측에 대해 후퇴된 위치에의 모든 아암 (13) 의 배치;
- 지지부 (10) 의 상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순차적으로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제어 유닛 (19) 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스텝 및 정지 (stoppage) 로 지지부 (10) 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9 에 도시된 구성에서, 지지부 (13) 의 아암들은 적층 테이블 (2) 에 걸쳐, 특히 흡입 디바이스 (22) 에 걸쳐 전개된 위치에 있다.
도 10 에 도시된 구성에서, 아암 (13) 은 흡입 디바이스 (22) 에 걸쳐 전개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시트 요소 (9) 는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상에 적층된다. 지지부 (23) 는 시트 요소들 (9) 이 적층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하강된다.
도 11 에 도시된 구성에서, 아암들 (13) 은 후퇴된 위치로 움직이고, 이어서 지지부 (10) 는 흡입 디바이스 (22) 의 레벨 아래로 다시 하강된다. 아암들 (13) 은 흡입 장치 (22) 아래에 (단순화를 위해, 모든 아암들은 여기에 전개됨) 그리고 지지부 (23) 위에 전개된다. 따라서, 도달하는 시트 요소 (9) 는 세퍼레이터 (1) 의 전개된 아암들 (13) 상에 적층된다. 따라서,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상에 위치된 시트 요소들 (9) 은 멀리 이동될 수 있는 한편, 새로운 시트 요소들 (9) 의 도달 사이클은 연속된다.
도 12 에 도시된 구성에서,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상에 존재하는 번들 (90) 은 이들 벨트들에 의해 출력 컨베이어 (3) 상으로 이송된다. 시트 요소들 (9) 이 전개된 아암들 (13) 상에 적층됨에 따라 지지부 (10) 는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도 13 에 도시된 구성에서, 출력 컨베이어 (3) 는 번들 (90) 을 배출한다. 따라서, 지지부 (23) 는 아암들 (13) 의 레벨까지 다시 상승한다. 이어서,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은 그것들이 시트 요소들 (9) 의 스택을 지지하게 될 때까지 전개된 아암들 (13) 사이에 자체로 개재된다. 따라서, 세퍼레이터 (1) 는 시트 요소들 (9) 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요소들의 다양한 번들들이 분리될 수 있게 허용하고 그것들이 출력 컨베이어 (3) 로 이송될 수 있게 허용한다.
도 14 에 도시된 구성에서, 전개된 아암들 (13) 은 이때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 요소들 (9) 을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암들 (13) 은 그 후퇴된 위치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15 에 도시된 구성에서, 아암 (13) 은 모두 그 후퇴된 위치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아암 (13) 중 어느 것도 적층 테이블 (2) 을 오버행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아암 (13) 은 적층 테이블 (2) 의 지지부 (23) 의 경로로부터 후퇴된다.
도 16 에 도시된 구성에서, 지지부 (10) 는 흡입 디바이스 (22) 위로 상승되었다. 아암들 (13) 은 유리하게는 이들이 흡입 디바이스 (22) 에 걸쳐 오버행하도록 이동되어, 출력 컨베이어 (3) 에 걸쳐 작동자와 수직으로 간섭할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

Claims (12)

  1. 시트 요소들의 번들 중 출력 컨베이어 (3) 에 적층 테이블 (2) 로부터 이송될 시트 요소들 (9) 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1) 로서,
    -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된 지지부 (10);
    - 상기 지지부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 디바이스 (11);
    - 횡방향으로 이격된,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여러개의 아암들 (13) 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암 (13) 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고, 상기 아암의 이동이 상기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제 1 측 상에서 상기 지지부 (10) 에 대해 상기 아암의 오버행 길이를 변경시키는, 상기 여러개의 아암들 (13);
    - 동시에 상기 아암을 상기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아암들 중 또 다른 아암을 종방향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구동 시스템 (12)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시스템 (12) 은,
    - 상기 횡방향으로 전개되고 회전 구동되는 샤프트 (15);
    - 상기 샤프트와 함께 하나로서 회전하는, 각각의 아암을 위한 피니언 (150);
    - 상기 아암 (13) 에 고정된 랙 (130);
    - 상기 랙 (130) 에 대해 상기 피니언 (150) 을 선택적으로 커플링 및 커플링해제하도록 구성된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 (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 (1).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 (13) 의 상기 클러치 형성 디바이스 (14) 는 상기 아암에 대해 상기 랙 (130) 을 선택적으로 맞물림 또는 맞물림해제시키도록 상기 아암 (13) 과 연관된 상기 피니언 (150) 을 상기 샤프트 (15) 의 축을 따라 병진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 (140) 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1).
  4.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추에이터들 (140) 은 상기 아암과 연관된 상기 피니언 (150) 의 맞물림해제 중에 연관된 상기 아암 (13) 의 병진 슬라이딩을 고정시키는 로크 볼트 (141) 를 구동하는, 세퍼레이터 (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150) 은 키 (151) 를 통해 상기 샤프트에 커플링되는, 세퍼레이터 (1).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13) 은, 상기 종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상기 아암 (13) 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지지부 (10) 에 고정된 슬라이드웨이 (100) 와 협동하는 슬라이더 (131) 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 (13) 은 상기 지지부 (10) 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수직 레벨에 배열되는, 세퍼레이터 (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 (13) 은, 상기 제 1 측 상에서 상기 지지부 (10) 에 대해 시트 요소들의 번들 (90) 을 유지하기 위해 오버행 길이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 (10) 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장착되는, 세퍼레이터 (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들 (13) 은 상기 적층 테이블 (2) 의 무단 컨베이어 벨트들 (20) 사이의 분리부에 상응하도록 구성된 거리만큼 상기 횡방향으로 이격되는, 세퍼레이터 (1).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 하향으로의 상기 지지부 (10) 의 슬라이딩;
    - 상기 제 1 측에 대해 오버행을 갖는 전개된 위치 내로의 여러개의 상기 아암 (13) 의 이동;
    - 상기 제 1 측에 대해 후퇴된 위치에서의 모든 상기 아암들 (13) 의 배치;
    - 상향으로 상기 지지부 (10) 의 슬라이딩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 (19) 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 (19) 은, 연속적인 슬라이딩 스텝 및 정지 (stoppage) 로 상기 지지부 (10) 의 하향 슬라이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세퍼레이터 (1).
  12. 패키징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용의 시트 요소들을 수용하고 시트 요소들의 번들을 배출하기 위한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은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션.
KR1020217026642A 2019-02-26 2020-02-25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Active KR10261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01939 2019-02-26
FR1901939A FR3093097B1 (fr) 2019-02-26 2019-02-26 Séparateur pour réception transitoire d’éléments en plaque entre une table élévatrice et un transporteur de sortie de paquets d’éléments
PCT/EP2020/025090 WO2020173606A1 (fr) 2019-02-26 2020-02-25 Separateur pour reception transitoire d'elements en plaque entre une table elevatrice et un transporteur de sortie de paquets d'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036A KR20210115036A (ko) 2021-09-24
KR102617509B1 true KR102617509B1 (ko) 2023-12-22

Family

ID=6795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642A Active KR102617509B1 (ko) 2019-02-26 2020-02-25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12524B2 (ko)
EP (1) EP3931138B1 (ko)
JP (1) JP7280964B2 (ko)
KR (1) KR102617509B1 (ko)
CN (1) CN113474272A (ko)
DK (1) DK3931138T3 (ko)
ES (1) ES2989507T3 (ko)
FR (1) FR3093097B1 (ko)
PL (1) PL3931138T3 (ko)
TW (1) TWI736149B (ko)
WO (1) WO2020173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30580A1 (de) * 2023-11-06 2025-05-08 Koenig & Bauer Ag Auslageaggregat, Bearb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r Verstellung von Bestandteilen eines Auslageaggrega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0763A1 (en) * 2010-08-16 2013-06-06 Joachim Jakob Non-Sto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675Y1 (ko) * 1970-11-30 1973-01-24
JPH03115056A (ja) * 1989-09-27 1991-05-16 Mazda Motor Corp シート素材集積装置
FR2673170A1 (fr) 1991-02-26 1992-08-28 Martin Sa Dispositif de transport et d'empilage d'objets plats.
DE4203500C2 (de) 1992-02-07 2001-05-17 Roland Man Druckmasch Bogenanleger
FR2715911B1 (fr) * 1994-02-07 1996-04-19 Martin Sa Station d'empilage, de séparation et d'évacuation de lots d'éléments en plaque empilés en sortie d'une machine de transformation de tels éléments.
US5882175A (en) * 1997-01-13 1999-03-16 Ward Holding Company Stacker for flexible sheets
JP3332937B2 (ja) 1997-02-05 2002-10-07 エム アー エヌ ローラント ドルックマシーネ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積み紙交換装置
DE19818366C2 (de) 1998-04-24 2001-05-23 Roland Man Druckmasch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tapelwechsel
DE19819596C2 (de) 1998-04-30 2001-03-08 Roland Man Druckmasch Bogenrückhalter für einen Non-Stop-Stapelwechsler
BR0002821A (pt) 2000-05-11 2001-12-04 Net 2 Net Empresa Paulista De Sistema de interconexão de usuários à redemundial de computadores, internet, sem uso delinhas telefônicas tradicionais ou cabos coaxiaisde televisão a cabo
DE102006046823C5 (de) 2005-10-26 2020-10-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Computergesteuertes Ziehen des Rechens im Non-Stop Anleger oder Ausleger
US7402130B1 (en) 2006-09-29 2008-07-22 Roll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lding and handling stacks of continuous web
DE102008036138A1 (de) 2008-08-01 2010-02-04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utomatischen Stapelwechsel an einem Bogenanleger einer Bogendruckmaschine
ES2671726T3 (es) 2011-08-04 2018-06-08 Alliance Machine Systems International, Llc Aparato y método para apilar material en lámina corrugado
TWI538871B (zh) 2012-03-28 2016-06-21 巴柏斯特麥克斯合資公司 用於轉換機的非間斷齒條裝置
CN103287904A (zh) 2013-05-10 2013-09-11 天津长荣印刷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副收纸升降装置及其工作方法
JP2018047515A (ja) * 2016-09-20 2018-03-29 株式会社東芝 ロボットハンド装置およびロボットハンド装置を用いた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0763A1 (en) * 2010-08-16 2013-06-06 Joachim Jakob Non-Sto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93097A1 (fr) 2020-08-28
KR20210115036A (ko) 2021-09-24
EP3931138B1 (fr) 2024-09-04
DK3931138T3 (da) 2024-10-07
CN113474272A (zh) 2021-10-01
JP7280964B2 (ja) 2023-05-24
TW202039347A (zh) 2020-11-01
EP3931138A1 (fr) 2022-01-05
WO2020173606A1 (fr) 2020-09-03
PL3931138T3 (pl) 2025-01-07
TWI736149B (zh) 2021-08-11
JP2022521952A (ja) 2022-04-13
ES2989507T3 (es) 2024-11-26
US20220089399A1 (en) 2022-03-24
FR3093097B1 (fr) 2021-04-23
US11912524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130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führen von produkten mittels greifern
US6322315B1 (en) Web stacker and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CN1138677C (zh) 用于把物体、特别是泡罩条插入折叠盒中的装置
EP3068712A1 (en) A palletizing installation and a method for palletizing
US90039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undles composed of printed products
US9896295B2 (en) Buffer, stacking system including the buffer, and method of buffering
SE441739B (sv) Anordning for stapling av plana arbetsstycken, serskilt kartongemnen
US4457665A (en) Method for removing individual articles from a stack
KR102617509B1 (ko) 요소들의 번들을 위한 적층 테이블과 출력 컨베이어 사이에 시트 요소들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세퍼레이터
US5348436A (en) Store for individual products
CN100496962C (zh) 集聚排出装置
ITBO970348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la formazione di pile ordinate di foglietti o gruppi di foglietti, in particolare banconote
CN106467182B (zh) 用于插放阀口袋的设备和操作方法
JP2009523681A (ja) パレット詰め装置用の仕分け方法及び仕分けステーション
KR102150208B1 (ko)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CN113479605A (zh) 一种纸筒整理机
US4130207A (en) Apparatus for stacking booklets from the top
KR102659385B1 (ko) 패키징 제조 기계용의 시트 형태 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스테이션 및 방법
CN215205599U (zh) 一种物料装箱系统及集积装置
CN214452467U (zh) 奶酪罐装机的异形棒上料输送装置
US20020150462A1 (en) Device for stacking folding-box tubes
JPH0532344A (ja) 層状単位の運搬手段と層状単位の運搬および搬出方法
EP0268438A2 (en) Improvements in collation assemblies
CN223101121U (zh) 一种错位装箱的装箱装置
JPS5941897B2 (ja) 連続的に紙シ−トを箱詰め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