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4682B1 -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 Google Patents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682B1
KR102614682B1 KR1020207016665A KR20207016665A KR102614682B1 KR 102614682 B1 KR102614682 B1 KR 102614682B1 KR 1020207016665 A KR1020207016665 A KR 1020207016665A KR 20207016665 A KR20207016665 A KR 20207016665A KR 102614682 B1 KR102614682 B1 KR 102614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ample
membrane carrier
substance
test kit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264A (ko
Inventor
유토 아키야마
겐지 몬덴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2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flat sample carriers, e.g. for plates, slides,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01N33/54387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 G01N33/54388Immunochromatographic test strips based on lateral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7/00Detai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25Test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8Regulating or influencing the flow resistance
    • B01L2400/084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 B01L2400/086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using baffles or other fixed flow ob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3)로서, 액체 시료를 수송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2)를 구비하고, 유로(2)의 바닥면에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유로(2) 중에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3)를 제공한다. 막 담체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본 발명은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항원 항체 반응 등을 이용함으로써 감염증으로의 이환이나 임신, 혈당치 등을 측정하는 Point of Care Test(POCT) 시약이 주목받고 있다. POCT 시약은 단시간에 결과의 판별이 가능하고 사용 방법이 간편하며 저가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POCT 시약은 이들 특징으로부터 증상이 경도인 단계에서의 진찰이나 정기 진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재택 의료에서도 중요한 진찰 도구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POCT 시약에서는 혈액 등의 액체 시료를 검사 키트에 도입하여 그 중에 포함되는 특정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함으로써 판정을 행하고 있다. 액체 시료로부터 특정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이란 검사 키트의 막 담체 상에 적하된 액체가 막 담체 상을 이동하는 도중에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가 결합하고 나아가 이들이 검사 키트 중에 고정화된 물질(이하, 검출 물질이라고 함)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그 결과 발생한 색이나 중량 변화 등을 검출한다는 수법이다. 검출 물질은 시약(reagent)이라고 바꿔 말해도 된다.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수법으로서, 표지체로서 착색 라텍스 입자, 형광 라텍스 입자, 금속 콜로이드 입자 등을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색변화를 흡광도 측정기 등의 광학 측정 기기를 통해 검지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상기의 색변화를 광학적으로 판정하는 POCT 시약으로서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이용한 래터럴 플로우형의 키트가 자주 이용되고 있다(특허문헌 1).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은 직경이 수μm 정도인 미세한 구멍을 다수 가지고 있고, 그 구멍 안을 액체 시료가 모세관력에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은 천연물 유래이며 구멍 지름이나 구멍끼리 연결되는 방법이 똑같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막에서 액체 샘플이 흐르는 유속에 차이가 생긴다. 유속을 제어하는 수법으로서 특허문헌 2가 나타나 있는데, 특허문헌 2는 유로가 다공질체이다. 본 발명은 유로가 볼록부를 갖는 미세 구조로서, 특허문헌 2와는 다르다. 특허문헌 2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멍 지름이나 구멍끼리 연결되는 방법이 똑같지 않다는 과제가 있었다. 유속에 차이가 생기면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도 변화해버려서 그 결과 피검출 물질이 결합을 일으키기 전에 비검출로서 잘못 판단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세 유로를 인공적으로 제작한다는 수법이 고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7). 이 수법을 이용하면 균일한 구조를 갖는 막 담체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출 물질이 결합을 일으키기 전에 비검출로서 잘못 판단해 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서는 계 내에서의 유로 구조가 균일하기 때문에 검출 성능에 제한이 있었다. 특허문헌 8에는 인공적인 미세 유로를 이용하였을 때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법으로서 유속 제어를 목적으로 한 홈형 유로와 감도 향상을 목적으로 한 필러형 유로를 조합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14-062820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 제2016/051974호 특허문헌 3: 일본특허 제4597664호 특허문헌 4: 일본공표특허 2012-524894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특허 제5609648호 특허문헌 6: 일본공개특허 2016-011943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공개특허 2013-113633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특허 제5821430호 특허문헌 9: 국제공개 제2016/098740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8에 기재된 수법에서는 검출 물질에만 착안하고 있고 피검출 물질이나 표지체의 흐름에 관해서는 착안하지 않았다. 인공적인 미세 유로를 이용한 계에서는 흐름이 단순한 층류가 되기 쉽고, 그 결과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의 교반이 충분히 행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검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특히 래터럴 플로우형의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는 검출계가 심플한 만큼 유로 구조의 영향이 검사 결과에 반영되기 쉽다.
특허문헌 9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사 키트용의 막 담체로서,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9는 단차에 대해 기재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예를 들어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음을 광학적 수법으로 확인 가능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 고감도의 판정이 가능한 검사 키트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할 수 있는, 일체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2) 상기 미세 구조가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반구, 반타원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1)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3) 상기 단차에서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의 변화량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의 2배 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4)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하류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높이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5) 상기 단차를 경계로 하여 그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상기 미세 구조가 변화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6) 상기 단차를 경계로 하여 그 하류측의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가 상류측보다 작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7)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가 상기 유로 내에서 10μm 이상 500μm 이하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8)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로서,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를 구비하고,
상기 막 담체는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가지며,
상기 검지 존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을 때에 색변화가 발생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9) 상기 검지 존이 상기 유로 내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8)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0)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갖는 표지체가 상기 피검출 물질과 반응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색변화는 상기 피검출 물질과 결합한 상기 표지체에 의해 발생하는, (8) 또는 (9)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1) 상기 표지체가 착색 라텍스 입자 또는 형광 라텍스 입자에 상기 항체 또는 상기 항원 결합성 단편이 결합된 입자인, (10)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2) 상기 검지 존에는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 물질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색변화는 상기 표지체가 상기 검출 물질에 의해 상기 검지 존에 보유되어 색을 나타냄으로써 발생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3) (8)~(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검지 존에 상기 피검출 물질을 상기 검지 존에 보유함으로써 상기 색변화를 발생시키는 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14) (8)~(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를 이용하는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시료와, 상기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체를 혼합하여 혼합 액체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피검출 물질과 상기 표지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혼합 액체 시료를 상기 막 담체에 설치된 적하 존에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미세 구조에 의해 상기 혼합 액체 시료를 상기 적하 존으로부터 상기 검지 존으로 수송하는 공정과,
상기 검지 존에서의 색변화를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15)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막 담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음을 광학적 수법으로 확인 가능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있어서 고감도의 판정이 가능한 검사 키트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적합한 실시형태 및 이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검사 키트의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막 담체의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의 부감도(상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의 부감도(상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의 부감도(상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의 부감도(상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를 갖는 막 담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유로 중에 설치된 단차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유로 중에 설치된 단차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막 담체의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의 일례로서 미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의 개략도(상면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은 개략도이며, 실제의 치수 비율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란 예를 들어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를 말한다.
여기서, 피검출 물질은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병원체, 각종 임상 마커 등 항체와 항원 항체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어떠한 물질이어도 된다. 피검출 물질의 구체예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HAV, HBs, HIV 등의 바이러스 항원, MRSA, A군 용련균, B군 용련균, 레지오넬라속균 등의 세균 항원, 세균 등이 만들어내는 독소,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트라코마티스, 인간 융모성 고나도트로핀 등의 호르몬, C 반응성 단백질, 미오글로빈, 심근 트로포닌, 각종 종양 마커, 농약 및 환경 호르몬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검출 물질이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노로 바이러스, C 반응성 단백질, 미오글로빈 및 심근 트로포닌과 같은 검출과 치료 조치에 긴급을 요하는 것인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의 액체 시료 검사 키트 및 막 담체의 유용성이 특히 크다. 피검출 물질은 단독으로 면역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항원이어도 되고, 단독으로는 면역 반응을 야기할 수 없지만 항체와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해 결합한 경우에 면역 반응을 야기할 수 있는 합텐이어도 된다. 피검출 물질은 통상 액체 시료 중에서 부유 또는 용해된 상태에 있다. 액체 시료는 예를 들어 상기 피검출 물질을 완충액에 부유 또는 용해시킨 시료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이하 검사 키트라고도 함)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한다. 도 1은 검사 키트의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키트(18)는 막 담체(3)와, 막 담체(3)를 수용하는 케이싱(18a)을 구비한다. 막 담체(3)는 그 표면에 액체 시료가 적하되는 적하 존(3x)과,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지 존(3y)을 가지고 있다. 적하 존(3x)은 케이싱(18a)의 제1 개구부(18b)에서 노출되어 있다. 검지 존(3y)은 케이싱(18a)의 제2 개구부(18c)에서 노출되어 있다.
도 2는 막 담체(3)의 모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담체(3)는 액체 시료를 수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2)를 구비하고 있다. 유로(2)는 일체 성형에 의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2)의 바닥면에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도시생략, 상세는 후술). 미세 구조는 적어도 적하 존(3x)과 검지 존(3y)의 사이에 위치한다. 막 담체(3)의 표면 전체에 걸쳐 미세 구조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막 담체(3)의 표면 전체가 액체 시료의 유로(2)이어도 된다. 미세 구조는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킨다. 미세 구조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액체 시료는 미세 구조를 통해 적하 존(3x)으로부터 검지 존(3y)으로(수송 방향(d)을 따라) 수송된다.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이 검지 존(3y)에서 검출되면 검지 존(3y)의 색이 변화한다.
막 담체(3)의 전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어도 된다. 막 담체(3)가 사각형인 경우 막 담체(3)의 세로폭(짧은 방향의 길이)(L1)은 예를 들어 2mm 이상 100mm 이하이어도 되고, 막 담체(3)의 가로폭(길이 방향의 길이)(L2)은 예를 들어 2mm 이상 100mm 이하이어도 된다. 미세 구조의 높이를 제외한 막 담체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mm 이상 10mm 이하이어도 된다.
미세 구조는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반구, 반타원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6은 각각 본 실시형태에서의 유로의 바닥면에 설치된 미세 구조 및 이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6 중, (a)는 각각 미세 구조의 부감도(상면도)이며, (b)는 각각 (a)에 도시된 미세 구조를 구성하는 볼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구조(7)는 볼록부(8)의 총체(집합체)이다. 즉, 미세 구조(7)는 액체 시료의 유로(2)의 바닥면에 상당하는 평탄부(9)와, 평탄부(9)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볼록부(8)를 구비한다. 모세관 작용에 의해 복수의 볼록부(8) 사이의 공간이 액체 시료를 막 담체(3)의 표면을 따라 수송하는 유로(2)로서 기능한다. 바꿔 말하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미세 구조(7)에서의 공극이 액체 시료를 막 담체(3)의 표면을 따라 수송하는 유로(2)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볼록부(8)는 규칙적으로 또는 병진 대칭적으로 막 담체(3)의 표면 상에 나열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a)의 형상은 원뿔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b)의 형상은 사각뿔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c)의 형상은 육각뿔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d)의 형상은 가로로 놓인 삼각기둥(삼각기둥에서의 일측면(사각형의 면)이 평탄부(9)에 접하도록 놓인 삼각기둥)이어도 된다. 미세 구조(7)를 부감하였을(상면에서 보았을) 때에 막 담체(3)의 전체 표면을 시인할 수 있고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을 때의 색변화를 광학적 수법으로 확인하기 쉬운 점에서 이들 중에서는 원뿔이나 다각뿔 등의 뿔체 구조가 볼록부(8)의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뿔체 구조 중에서는 원뿔이 볼록부(8)의 형상으로서 적합하다.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의 형상은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모서리부가 둥그스름한 형상이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존재하는 형상 등이어도 된다.
막 담체(3)에는 유로(2)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단차를 막 담체 두께 방향 및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 각각과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것이다. 도 9와 같이 단차보다 하류의 영역 B는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단차보다 상류의 영역 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단차(11)는 액체 시료 내에서 높이 방향에 관한 교반을 보다 촉진하는 관점에서 유로(2)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단차(11)는 유로(2)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것으로, 볼록 구조(예를 들어 돌출)나 오목 구조(예를 들어 홈)는 제외된다.
상기 단차(11)는 상류측보다 하류측에서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져 있다. 이 경우 액체 시료의 표면 장력에 의해 단차(11)를 초과하여 액체 시료는 전개되고, 그 때에 액체 시료 내에서 높이 방향에 관한 교반이 촉진되어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의 반응률이 향상되기 때문에 검사 키트의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단차(11)의 바닥면 레벨의 높이의 변화량은 단차(11)보다 상류측의 미세 구조(8A)의 높이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차(11)에서의 모세관력에 의한 액체 시료의 진행이 한층 더 원활하게 행해진다. 여기서, 미세 구조(8A)의 높이는 예를 들어 볼록부(8)의 높이이다.
또한, 상기 단차(11)의 바닥면 레벨의 높이의 변화량 즉 단차(11)의 높이는 예를 들어 5μm 이상 1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500μm 이하이다.
상기 단차(11)의 하류측의 영역 B에서는 영역 B의 하류측의 높이 레벨(예를 들어 특정의 한 변(20A)의 대변(20B))이 그 상류측의 높이 레벨(예를 들어 특정의 한 변(20A))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경사는 하류측으로 향하여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력의 영향으로 유로 내의 액체 시료가 전개되기 쉬워 반응 시간의 단축이나 액체 시료 전개 후의 잔존 표지체에 의한 백그라운드의 착색 억제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차(11)를 경계로 하여 상기 볼록부(8)의 형상이 변화해도 된다. 단차(11)에서 전개 중인 액체 시료의 액면 높이의 변화가 발생하지만, 상기 볼록부(8)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미세 구조와 액체 시료의 접촉을 촉진할 수 있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액면 높이란 각 영역에서의 유로 바닥면으로부터 전개 중인 액체 시료의 액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상기 볼록부(8)의 형상에는 볼록부(8)의 크기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차(11)를 초과한 직후의 액면 높이는 단차의 상류측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액체 시료의 유량도 작아지지만, 단차(11)를 경계로 하여 미세 구조 전체와 액체 시료가 접촉함으로써 미세 구조와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의 접촉을 촉진할 수 있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차(11)를 경계로 하여 단차(11)의 하류측의 미세 구조의 높이를 작게 한 경우, 미세 구조와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의 접촉을 보다 촉진할 수 있고 감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유량이란 단위시간당 액체 시료의 전개 방향과 수직 방향의 유로 단면을 통과한 액체 시료의 부피를 말한다.
상기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의 높이(6)는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500μm 이하이다. 볼록부(8)의 높이(6)는 복수의 볼록부(8) 사이에서 이 범위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서로 달라도 된다). 볼록부(8)의 높이(6)가 10μm 이상인 경우 유로(2)의 부피가 커지고 액체 시료가 보다 단시간에 전개 가능해진다. 볼록부(8)의 높이(6)가 500μm 이하인 경우 미세 구조(7)를 제작하는 시간과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미세 구조(7)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볼록부(8)의 높이(6)는 평탄부(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의 최대 길이로서 정의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a)의 형상이 원뿔인 경우 볼록부(8a)의 높이(6a)는 평탄부(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a)의 최대 길이(원뿔의 높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b)의 형상이 사각뿔인 경우 볼록부(8b)의 높이(6b)는 평탄부(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b)의 최대 길이(사각뿔의 높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c)의 형상이 육각뿔인 경우 볼록부(8c)의 높이(6c)는 평탄부(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c)의 최대 길이(육각뿔의 높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d)의 형상이 가로로 놓인 삼각기둥인 경우 볼록부(8d)의 높이(6d)는 평탄부(9)에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d)의 최대 길이(가로로 놓인 삼각기둥의 높이)이다.
볼록부(8)의 바닥면(10)의 지름(4)은 볼록부(8)의 바닥면(10)에서의 대표 길이로서 정의된다. 바닥면(10)에서의 대표 길이는 바닥면(10)의 형상이 원인 경우는 직경,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경우는 가장 짧은 한 변의 길이,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경우는 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 그 이외의 형상인 경우는 바닥면(10)에서의 최대 길이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미세 구조(7a)를 갖는 막 담체(3)의 VII-VII선에 따른 화살표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a)의 형상이 원뿔인 경우 볼록부(8a)의 바닥면(10a)의 지름(4a)은 원뿔의 바닥면(원)의 직경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b)의 형상이 정사각뿔인 경우 볼록부(8b)의 바닥면(10b)의 지름(4b)은 바닥면(정사각형)(10b)의 변의 길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c)의 형상이 정육각뿔인 경우 볼록부(8c)의 바닥면(10c)의 지름(4c)은 바닥면(정육각형)(10c)의 중심을 통과하는 대각선의 길이(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8d)의 형상이 가로로 놓인 삼각기둥인 경우 볼록부(8d)의 바닥면(10d)의 지름(4d)은 바닥면(직사각형)(10d)의 가장 짧은 한 변의 길이(도 6에서는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d)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상기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의 바닥 면적(볼록부(8)의 바닥면(10) 하나당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75μm2 이상 250000μm2 이하이다. 볼록부(8)의 바닥 면적은 복수의 볼록부(8) 사이에서 이 범위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서로 달라도 된다). 볼록부(8)의 바닥 면적이 75μm2 이상인 경우 미세 가공이 용이해지고 미세 구조의 제작 비용이 보다 저감된다. 볼록부(8)의 바닥 면적이 250000μm2 이하인 경우 하나의 검사 키트 내에서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의 수가 많아지고 액체 시료의 전개가 보다 용이해진다.
상기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끼리의 최근접 거리(5)는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μm 이상 100μm 이하이다. 볼록부(8)끼리의 최근접 거리(5)는 복수의 볼록부(8) 사이에서 이 범위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서로 달라도 된다). 볼록부(8)끼리의 최근접 거리(5)는 0μm보다 작은 경우는 있을 수 없고, 500μm 이하인 경우 액체 시료와 유로(2)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이에 의해 모세관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액체 시료를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여기서, 「볼록부(8)끼리의 최근접 거리」란 동일한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볼록부(8)의 최근접 거리이다.
상기 미세 구조(7)를 구성하는 볼록부(8)의 애스펙트비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2.0 이하이다. 여기서 말하는 애스펙트비란 볼록부(8)의 높이(6(Lh))를 볼록부(8)의 바닥면(10)의 대표 길이(지름(4))(Lv)로 나눈 값(Lh/Lv)이다. 애스펙트비가 0.1 이상인 경우 액체 시료와 유로(2)의 접촉 면적이 증대하고, 이에 의해 모세관력이 증대하기 때문에 액체 시료를 이동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애스펙트비가 2.0 이하인 경우 미세 구조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미세 구조(7)는 동일 영역 내에서 서로 동일한 볼록부(8)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미세 구조(7)는 동일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볼록부(8)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서로 다른 볼록부(8)는 동일 영역 내에서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d)을 따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나열되어도 된다. 즉, 볼록부(8)는 동일한 영역 내에서 예를 들어 볼록부(8)의 바닥면(10)의 지름(4), 볼록부(8)의 높이(6), 볼록부(8)끼리의 최근접 거리(5) 및 볼록부(8)의 애스펙트비(높이(6)/지름(4)) 중 적어도 하나가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d)을 따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화(증대 또는 감소)하도록 나열되어도 된다.
도 10은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의 막 담체의 상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막 담체(3)에서는 영역 B에 검지 존(3y)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10에 도시된 막 담체(13)에서는 영역 B1에 검지 존(13y)이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하 존(13x) 및 검지 존(13y)은 막 담체(13)의 짧은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시료 검사 키트(18)의 미세 구조(7) 및 막 담체(3)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바꿔 말하면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막형상의 베이스재(基材)를 가공함으로써 미세 구조(7)를 갖는 막 담체(3)를 제작할 수 있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 임프린트, UV 임프린트, 사출 성형, 에칭, 포토리소그래피, 기계 절삭, 레이저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저가로 정밀한 가공을 실시하는 수법으로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대한 열 임프린트가 적합하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불소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임프린트나 사출 성형 등의 금형을 이용한 가공 방법의 경우 뿔체는 바닥면에 비해 상부가 가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바닥면의 기둥체를 제작하는 것보다 금형 제작시에 깎아내는 부피는 적어도 되므로 금형을 저가로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의 검출을 보다 저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막 담체(3)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18)용 막 담체(3)로서, 막 담체(3)의 일면 상에 설치된,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7)와, 미세 구조(7)에 의해 형성된, 액체 시료를 수송하는 유로(2)를 구비하고, 막 담체(3)에는 유로(2)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11)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시료 검사 키트(18)에서는 막 담체(3)가 갖는 검지 존(3y)에서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을 때에 색변화가 발생한다. 색변화는 광학적 수법으로 확인 가능한 색변화이면 된다.
상기 광학적 수법으로서는 주로 육안에 의한 판정과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수법 2가지를 들 수 있다. 육안에 의해 판정하는 경우에는 검지 전과 검지 후의 색을 CIE1976L*a*b* 색공간의 표색계로 측정하였을 때의 2개의 색자극 간의 색차(JIS Z8781-4: 2013에 기재된 ΔE)가 0.5 이상이 되는 색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색차가 0.5 이상이면 색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판정하는 경우에는 검지 존(3y)에서의 형광 강도(Fl1)와 검지 존(3y)에 인접하는 상류역 및 하류역에서의 형광 강도(Fl2)의 비(Fl1/Fl2)=10/1 이상이 되는 색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10/1 이상이면 시그널과 노이즈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시료 검사 키트(18)에 검지 존(3y)을 제작하기 위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로(2)의 적어도 일부에 검출 물질이 고정화되어 있다. 즉, 검지 존(3y)에는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 물질이 고정되어 있다.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는 피검출 물질이 검출 물질에 의해(검출 물질과 반응하여) 검지 존(3y)에 보유됨으로써 발생한다.
바꿔 말하면 액체 시료 검사 키트(18)의 제조 방법은 검지 존(3y)에 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검출 물질로서는 피검출 물질을 검지 존(3y)에 보유함으로써 색변화를 발생시키는 검출 물질이 바람직하다. 검지 존(3y)에 검출 물질(시약)을 보다 효율적으로 고정화할 수 있는 점에서 막 담체(3)에서의 검지 존(3y)을 설치하는 개소에 미리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UV 조사, UV/오존 처리, 각종 플라즈마 처리, 3-Aminopropyltriethoxysilane이나 Glutaraldehyde에 의한 표면 수식 등의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검출 물질(시약)로서는 예를 들어 항체를 들 수 있다. 항체는 피검출 물질과 항원 항체 반응하는 항체로서, 폴리클로날 항체이어도 되고 모노클로날 항체이어도 된다.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갖는 표지체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어도 된다. 색변화는 예를 들어 표지체가 검출 물질에 의해(검출 물질과 반응(결합)하여) 검지 존(3y)에 보유되어 색을 나타냄으로써 발생한다.
표지체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입자, 라텍스 입자 등의 입자에 상기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이 결합된 것이어도 된다. 항원 결합성 단편이란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편을 말하고, 예를 들어 항체의 항원 결합성 단편을 말한다. 표지체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통해 피검출 물질에 결합할 수 있다. 입자는 자성 또는 형광 발광성을 가져도 된다. 콜로이드 입자로서는 금 콜로이드 입자, 백금 콜로이드 입자의 금속 콜로이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입자는 입경 제어, 분산 안정성 및 결합 용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라텍스 입자이다. 라텍스 입자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입자는 시인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착색 입자 또는 형광 입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색 입자이다. 착색 입자는 육안으로 색이 검출 가능한 것이면 된다. 형광 입자는 형광 물질을 함유하면 된다. 입자는 착색 라텍스 입자 또는 형광 라텍스 입자이어도 된다. 입자가 착색 라텍스 입자인 경우 상술한 색변화가 육안에 의해 적합하게 판정된다. 입자가 형광 라텍스 입자인 경우 상술한 색변화가 형광 강도의 측정에 의해 적합하게 판정된다.
상술한 표지체가 적하되는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과 반응할 수 있도록 검사 키트(18)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표지체는 예를 들어 검사 키트(18) 중의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막 담체(3)의 유로(2)의 적어도 일부(검지 존(3y)보다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피검출 물질과 반응(결합)한 표지체는 검출 물질에 의해(검출 물질이 피검출 물질과 반응(결합)함으로써) 검지 존(3y)에 보유된다. 이에 의해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표지체에 의해 색을 나타냄)가 발생한다.
검지 존(3y)은 단차(11)보다 하류측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경사부에서는 중력의 영향으로 유로 내의 액체 시료가 전개되기 쉽고, 액체 시료 전개 후의 잔존 표지체에 의한 백그라운드의 착색 억제가 특히 현저해진다. 따라서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가 특히 인식하기 쉬워지고 피검출 물질의 검출 감도가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의 일 측면에 관한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은 검사 키트(18)를 이용하는 검사 방법이다.
검사 키트(18)를 이용하는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은 액체 시료와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체를 혼합하여 혼합 액체 시료(혼합 완료된 액체 시료)를 조제하고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과, 혼합 액체 시료를 막 담체(3)에 설치된 적하 존(3x)에 적하하는 공정과, 미세 구조(7)에 의해 혼합 액체 시료를 적하 존(3x)으로부터 검지 존(3y)으로 수송하는 공정과,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표지체의 색을 나타냄)를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검사 방법은 액체 시료를 막 담체(3)의 표면 중 적하 존(3x)에 적하하는 공정과, 막 담체(3)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 구조(7)(복수의 볼록부(8))가 나타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미세 구조(7)를 통해 액체 시료를 적하 존(3x)에서 검지 존(3y)으로 수송하는 공정과, 수송 과정에서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상기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통해 표지체와 결합시키고, 나아가 피검출 물질을 검지 존(3y)에 고정된 시약과 결합시켜 검지 존(3y)에서의 색변화를 검지하는(색변화의 유무를 광학적으로 판정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된다.
상기 검사 방법의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에서는 액체 시료와 표지체를 혼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지체가 들어간 용기에 액체 시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도 되고, 예를 들어 표지체를 포함하는 액체와 액체 시료를 혼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액체 시료가 들어간 용기의 적하구에 필터를 끼워 그 필터 중에 표지체를 고정화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몰드의 준비>
몰드는 레이저 가공 및 기계 절삭에 의해 제작하였다. 도 11에 미세 구조를 작성하기 위한 몰드(20)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몰드(20)는 복수의 영역(제1 영역(A), 제2 영역(B))을 가지며, 그 표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미세 구조(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도시생략). 몰드(20)는 알루미늄 합금 A5052제이다. 이 몰드(금형)의 중심부에는 30mm×30mm의 범위로 미세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몰드(20)의 가공 범위 중 특정의 한 변(20A)으로부터 가공 범위 내측에 5mm의 위치에 특정의 한 변(20A)과 평행하게 깊이(높이) 100μm의 단차(11)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와 특정의 한 변(20A) 사이의 영역(영역 A)과 영역 A 이외의 영역(영역 B)에는 각각 지름이 100μm, 깊이(표에서는 높이라고 하기도 함) 100μm의 원뿔형 오목부(미세 구조를 전사하였을 때에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부)가 미세 구조끼리의 최근접 거리(최근접 미세 구조간 거리)(5)를 5μm로 하여 도 3이나 도 8의 삼각 배열 형식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몰드의 요철면에 대해, 전사하였을 때의 몰드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박리를 용이하고 확실히 하기 위해 이형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형 처리는 다이킨 공업사 제품 옵툴 HD-2100TH에 약 1분간 담그고 건조시킨 후 하룻밤 정치(靜置)함으로써 행하였다.
<미세 구조의 전사>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몰드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미세 구조를 전사하였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스티렌(덴카 주식회사 제품 덴카스티렌 시트, 막두께 300μm)을 이용하였다. 가공 방법으로서 열 임프린트를 이용하고, 장치는 SCIVAX사 제품 X-300을 이용하였다. 성형 온도는 120℃, 인가 압력은 5.5MPa로 하고 10분간 전사를 행하였다. 전사 후는 압력을 인가한 채로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몰드를 80℃까지 냉각하고, 그 후 압력을 제거함으로써 일단측으로부터 차례대로 영역 A 및 영역 B를 갖는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10μm, 영역 A 및 영역 B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3]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 및 영역 B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4]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μm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5]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200μm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6]
실험예 1에서의 영역 B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7]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8]
실험예 1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하고, 영역 B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9]
도 12에 실험예 9의 미세 구조를 작성하기 위한 몰드(20)를 나타낸다. 특기하지 않는 한 실험예 1의 몰드(20)와 동일하다. 도 12는 미세 구조(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도시하지 않는다. 영역 B 중 단차(11)로부터 특정의 한 변(20A)과 반대 방향으로 5mm 폭분의 영역(영역 B1)에 경사를 부여하고, 영역 B 중 영역 B1 이외의 영역(영역 B2)의 몰드면의 높이 레벨과 영역 A의 몰드면의 높이 레벨을 일치시킨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단, 특정의 한 변(20A)의 높이 레벨, 특정의 한 변(20A)의 대변(20B)의 높이 레벨, 영역 B1과 영역 B2의 경계선(20C)의 높이 레벨은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예 10]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μm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1]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200μm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2]
실험예 9에서의 영역 B1 및 영역 B2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3]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4]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하고, 영역 B1 및 영역 B2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5]
실험예 9에서의 영역 B1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6]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 및 영역 B2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7]
실험예 9에서의 단차의 깊이를 500μm, 영역 A 및 영역 B2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500μm, 깊이 50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하고, 영역 B1의 미세 구조를 지름이 10μm, 깊이 10μm의 원뿔형 오목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8]
몰드의 미세 가공 범위 내에 단차를 설치하지 않고, 30mm×30mm의 전체 범위에 걸쳐 지름이 100μm, 깊이 100μm의 원뿔형 오목부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19]
단차의 상류측보다 하류측에서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100μm 낮아지는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20]
단차의 깊이를 300μm로 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막 담체를 제작하였다.
<검지 존의 제작>
상기와 같이 제작한 막 담체의, 영역 B 중 단차(11)로부터 특정의 한 변(20A)과 반대 방향으로 5mm 폭분의 영역(경사를 갖는 구조에서는 영역 B1)에 UV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부분에 항A형 인플루엔자 NP 항체 부유액 및 항B형 인플루엔자 NP 항체 부유액을 각각 선폭 1mm로 도포하고(도포량은 각 3μL) 온풍 하에서 잘 건조시켜 검출 물질을 고정화하였다.
<표지체의 세팅>
정제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상기와 별도의 항체) 및 정제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상기와 별도의 항체)를 사용하였다. 항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에 입자경 0.394μm의 청색 라텍스 입자(CM/BL 셀라다인 제품)를 공유 결합으로 표지하고, 당, 계면활성제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트리스 완충액에 라텍스 입자의 농도가 0.025w/v%가 되도록 현탁하고 소니케이션을 행하여 충분히 분산 부유시킨 항A형 표지체를 조제하였다. 마찬가지로 항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NP 항체에 청색 라텍스 입자를 표지한 항B형 표지체를 조제하였다.
항A형 표지체와 항B형 표지체를 혼합하였다. 혼합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에 대해 크기가 3cm×1cm인 유리 섬유(33GLASS NO.10539766 Schleicher & Schuell 제품)에 1평방 센티미터당 50μL가 되는 양을 도포하고 온풍 하에서 잘 건조시켜 표지체 패드를 제작하였다. 그 후, 실험예 1~20과 같이 하여 제작한 막 담체의 영역 A의 단부 2mm만큼 표지체 패드를 겹치고 커터로 폭 5mm의 단책(短冊)으로 재단하여 일체화된 액체 샘플 검사 키트를 제작하였다.
<검지 평가>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단부의 표지체 패드 상(적하 존)에 액체 시료를 100μL 적하하였다. 액체 샘플은 희석 용액으로서 덴카 세이켄사 제품 퀵네비 Flu에 부속되어 있는 검체 부유액을 이용하여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Beijing/32/92(H3N2)(이하 A형이라고 하기도 함)를 4×104배로 희석한 것과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Shangdong/7/97(이하 B형이라고 하기도 함)을 4×103배로 희석한 것의 2종을 이용하였다.
검지의 판정은 15분간 후에 검지 존(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부 및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부)의 착색 라인의 유무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여 행하였다.
판정 결과 A/Beijing/32/92(H3N2)를 4×104배로 희석한 것을 이용한 경우는 A형 검지 존에만 색 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B/Shangdong/7/97을 4×103배로 희석한 것을 이용한 경우는 B형 검지 존에만 색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20과 같이 제작한 막 담체로부터 상기와 같이 액체 시료 검사 키트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Beijing/32/92(H3N2)의 희석 배율을 4×104으로부터 크게 하여 갔을 때에 시험 개시 후 15분 후에 착색 라인의 유무를 볼 수 없게 되는 희석 배율(A형 육안 판정 가능한 한계 배율)을 구하였다. 그 희석 배율의 1/2의 희석 배율로 검사하였을 때에 시험 개시하고 나서 착색 라인의 색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A형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실험예 1~20과 같이 제작한 막 담체로부터 상기와 같이 액체 시료 검사 키트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B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Shangdong/7/97의 희석 배율을 4×103부터 크게 하였을 때에 착색 라인의 유무를 볼 수 없게 되는 희석 배율(B형 육안 판정 가능한 한계 배율)을 구하였다. 그 희석 배율의 1/2의 희석 배율로 검사하였을 때에 시험 개시하고 나서 착색 라인의 색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B형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은 A형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과 B형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의 평균값을 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으로서 이용하였다.
표 1~2에는 각 실험예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한 종합 평가의 결과도 아울러 나타낸다.
A: 판정 시간(농도가 안정되기까지의 시간) 6분 이내에 A형에서 7×104 이상 B형에서 7×103 이상의 희석 배율로 판정 가능한 것 또는 A형에서 8×104 이상 B형에서 8×103 이상의 희석 배율로 판정 가능한 것.
B: 종합 평가가 A, C 어느 것에도 맞지 않는 것.
C: 판정 시간이 8분 이상 10분 이하인 것.
D: 판정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것 또는 판정 가능한 희석 배율이 A형에서 4×104 이하 또는 B형에서 4×103 이하인 것.
[실험예 21~37]
실험예 21~37에서의 막 담체의 제작은 영역 A, 영역 B1 및 영역 B2에서 표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차의 깊이, 미세 구조(볼록부)의 지름 및 미세 구조(볼록부)의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는 실험예 1과 같이 하여 행하였다.
다음으로 이용하는 입자를 착색 라텍스 입자에서 형광 라텍스 입자(micromer-F 형광 라텍스 입자 재료 폴리스티렌 코어프론트사 제품)로 변경하고, 시험 개시 후 4분 후에 착색 라인의 유무를 면역크로마토 리더(C11787 하마마츠 포토닉스사 제품)로 판독할 수 없게 되는 배율(형광 판정 가능한 한계 배율)을 구한 것 이외에는 실험예 1~17과 같이 하여 검지 존의 제작, 표지체의 세팅 및 검지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3~4에 나타내었다.
표 3~4에는 각 실험예에 대해 이하의 기준에 기초한 종합 평가의 결과도 아울러 나타낸다.
A: 시험 개시 후 4분에서의 형광 판정 가능한 한계 배율이 A형에서 1×106 이상, B형에서 1×105 이상인 것.
B: 종합 평가가 A, C 어느 것에도 맞지 않는 것.
C: 시험 개시 후 4분에서의 형광 판정 가능한 한계 배율이 A형에서 7×105 미만, B형에서 7×104 미만인 것.
표 1~4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액체 시료 검사 키트는 유로 중에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피검출 물질과 표지체의 교반을 촉진할 수 있어 고감도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단차의 하류측의 경사부에 검지 존을 제작함으로써 백그라운드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고감도화로 이어지는 것이 나타났다. 나아가 표 3~4의 결과로부터 상기 액체 시료 검사 키트에 있어서 입자를 형광 라텍스 입자로 한 경우이어도 고감도의 검사가 실시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단차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고감도를 얻을 수 없었다(실험예 18). 단차의 상류측보다 하류측에서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낮은 경우 액체가 하류측으로 흐르지 않아 측정할 수 없었다(실험예 19).
단차에서의 바닥면의 높이 레벨의 변화량이 단차의 상류측의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의 2배를 초과하면 판정 시간이 길었다(실험예 20).
본 실시형태의 액체 시료 검사 키트는 고감도의 검사를 저가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가능한 POCT 시약에 유용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설계 자유도가 높은 인공적인 미세 볼록부를 마련한 유로를 이용함으로써 특허문헌 2와 같이 구조가 균일하지 않은 다공질체의 구멍 지름이나 두께를 조정하는 수법보다 용이하게 액체 시료 검사 키트 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유로 중에 단차를 설치함으로써 피검출 물질이나 표지체의 교반이 촉진되어 평활한 인공 유로를 이용하는 특허문헌 3~8의 경우보다 검지 존에서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출원은 2017년 12월 1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7-236604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2 유로
3, 13 막 담체
3x, 13x 적하 존
3y, 13y 검지 존
4 볼록부의 바닥면에서의 대표 길이(볼록부의 바닥면의 지름)
5 최근접 미세 구조간 거리
6, 6a, 6b, 6c, 6d 볼록부의 높이
8, 8a, 8b, 8c, 8d 볼록부
7, 7a, 7b, 7c, 7d 미세 구조
9 평탄부
10, 10a, 10b, 10c, 10d 볼록부의 바닥면
18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8a 케이싱
18b 제1 개구부
18c 제2 개구부
20 몰드
20A 특정의 한 변
20B 특정의 한 변(20A)의 대변
20C 영역 B1과 영역 B2의 경계선
A 제1 영역
B 제2 영역
B1 영역
B2 B1 이외의 영역
d 액체 시료가 흐르는 방향(수송 방향)

Claims (19)

  1.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할 수 있는, 일체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또한
    상기 액체 시료 내에서 높이 방향에 관한 교반작용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다공질체의 구멍을 상기 유로로 하는 것을 제외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조가 원뿔, 다각뿔, 원뿔대, 다각뿔대, 원기둥, 다각기둥, 반구, 반타원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에서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의 변화량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의 2배 이하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하류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높이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하류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높이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막 담체는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가지며,
    상기 검지 존이 상기 유로 내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
  6.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할 수 있는, 일체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상기 액체 시료를 수송하기 위한 모세관 작용을 발생시키는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변화하는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하류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높이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는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가지며, 상기 검지 존이 상기 유로 내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를 경계로 하여 그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상기 미세 구조가 변화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차를 경계로 하여 그 하류측의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가 상류측보다 작은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조의 높이가 상기 유로 내에서 10μm 이상 500μm 이하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10.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로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를 구비하고,
    상기 막 담체는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가지며,
    상기 검지 존에서 상기 피검출 물질이 검출되었을 때에 색변화가 발생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지 존이 상기 유로 내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 또는 그 항원 결합성 단편을 갖는 표지체가 상기 피검출 물질과 반응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색변화는 상기 피검출 물질과 결합한 상기 표지체에 의해 발생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표지체가 착색 라텍스 입자 또는 형광 라텍스 입자에 상기 항체 또는 상기 항원 결합성 단편이 결합된 입자인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지 존에는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출 물질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색변화는 상기 표지체가 상기 검출 물질에 의해 상기 검지 존에 보유되어 색을 나타냄으로써 발생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표지체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보다도 하류측 또한 상기 검지 존보다도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
  16. 청구항 10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검지 존에 상기 피검출 물질을 상기 검지 존에 보유함으로써 상기 색변화를 발생시키는 검출 물질을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0에 기재된 액체 시료 검사 키트를 이용하는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으로서,
    상기 액체 시료와, 상기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표지체를 혼합하여 혼합 액체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피검출 물질과 상기 표지체를 서로 결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혼합 액체 시료를 상기 막 담체에 설치된 적하 존에 적하하는 공정과,
    상기 미세 구조에 의해 상기 혼합 액체 시료를 상기 적하 존으로부터 상기 검지 존으로 수송하는 공정과,
    상기 검지 존에서의 색변화를 검지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18.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막 담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또한
    상기 액체 시료 내에서 높이 방향에 관한 교반작용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다공질체의 구멍을 상기 유로로 하는 것을 제외함).
  19. 액체 시료 중의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막 담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의 바닥면에 미세 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 중에서 단차가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로서,
    상기 단차가 상기 액체 시료의 수송 방향에 대해 상류측에 비해 하류측의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높아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로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하류측에서 상기 바닥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단차의 상류측의 높이 레벨에 가까워지도록 경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막 담체는 상기 액체 시료 중의 상기 피검출 물질을 검출하는 검지 존을 가지며, 상기 검지 존이 상기 유로 내의 경사부에 설치되어 있는 막 담체.
KR1020207016665A 2017-12-11 2018-12-10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Active KR102614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6604 2017-12-11
JPJP-P-2017-236604 2017-12-11
PCT/JP2018/045367 WO2019117102A1 (ja) 2017-12-11 2018-12-10 液体試料検査キット用膜担体、液体試料検査キット、液体試料検査キットの製造方法、液体試料の検査方法及び膜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264A KR20200097264A (ko) 2020-08-18
KR102614682B1 true KR102614682B1 (ko) 2023-12-19

Family

ID=6682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665A Active KR102614682B1 (ko) 2017-12-11 2018-12-10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8764B2 (ko)
JP (1) JP7306998B2 (ko)
KR (1) KR102614682B1 (ko)
CN (1) CN111465853B (ko)
WO (1) WO2019117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76044A1 (en) * 2020-04-28 2023-06-08 Denka Company Limited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JP7606536B2 (ja) * 2020-12-01 2024-12-25 デンカ株式会社 検出装置
CN112945869B (zh) * 2021-02-01 2021-11-16 杭州赛基生物科技有限公司 智慧医院液体试样检测试剂盒用膜载体、试剂盒及膜载体制造方法
WO2022176897A1 (ja) * 2021-02-19 2022-08-25 デンカ株式会社 デバイス、チップおよび基板
WO2023026820A1 (ja) * 2021-08-27 2023-03-02 デンカ株式会社 溶液供給装置、検出セット及び検出方法
WO2025070573A1 (ja) * 2023-09-26 2025-04-03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検査デバイスおよび検査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3715A (ja) 1999-07-07 2003-01-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流体制御フィルムを有する検出物品
JP2009258136A (ja) * 2009-08-10 2009-11-05 Denka Seiken Co Ltd デバイスおよび検出方法
JP4597664B2 (ja) 2002-06-07 2010-12-15 オーミ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微細流体構造
US20110284110A1 (en) 2010-05-24 2011-11-24 Web Industries Inc. Microfluidic surfaces and devices
JP2014510925A (ja) 2011-04-06 2014-05-01 オーソ−クリニカル・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菱形の突起部を有するアッセイ装置
WO2016098740A1 (ja) * 2014-12-15 2016-06-23 デンカ株式会社 液体試料検査キット用膜担体、液体試料検査キット、及び液体試料検査キット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1625B2 (en) * 2004-01-28 2011-09-20 Dnt Scientific Research, Llc Interrupted, gravity-promoted, diffused flow chromatography strip testing device and method
US7238322B2 (en) * 2004-01-28 2007-07-03 Dnt Scientific Research, Llc Delayed and diffused flow rapid confirmatory immunologica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SE0400662D0 (sv) * 2004-03-24 2004-03-24 Aamic Ab Assay device and method
JP4727997B2 (ja) 2005-01-12 2011-07-20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ィー用キット
JP4888394B2 (ja) * 2005-11-07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リア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液方法
CN101506657B (zh) * 2006-06-20 2013-11-06 阿米克公司 实验设备
EP2016997B1 (en) * 2007-07-10 2011-01-05 Roche Diagnostics GmbH Microfluidic device, method of mixing and use of the device
JP2009258236A (ja) * 2008-04-14 2009-11-05 Nikon Corp 望遠鏡
EP2366450A4 (en) 2008-11-26 2016-03-23 Sumitomo Bakelite Co MICRO CHANNEL DEVICE
US9347931B2 (en) 2009-04-23 2016-05-24 Dublin City University Lateral flow assay device for coagulation monitoring and method thereof
JP5821430B2 (ja) 2011-09-02 201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吸収部材及び生体反応検出システム
JP5683543B2 (ja) 2011-09-29 2015-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キット及びクロマトグラフ方法
JP2013113633A (ja) 2011-11-25 2013-06-10 Nanbu Plastics Co Ltd ストリップ
JP6008670B2 (ja) 2012-09-21 2016-10-19 東洋濾紙株式会社 イムノクロマトグラフ試験ストリップ用メンブレン、試験ストリップ及び検査方法
US8900532B2 (en) * 2012-11-16 2014-12-02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lasma from blood and delayed wetting
CA2900156C (en) * 2013-02-04 2024-02-27 Epona Biotech Ltd Device and diagnostic methods for infections in mammals using serum amyloid a
JP6226624B2 (ja) 2013-08-08 2017-11-08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溶血性レンサ球菌診断イムノクロマト試薬、キット及び検出方法
JP2016011943A (ja) 2013-12-24 2016-01-21 株式会社リコー 分析デバイス
JP2014210925A (ja) 2014-06-04 2014-11-13 学校法人神奈川大学 混合エマルション組成物
US10071373B2 (en) * 2014-08-08 2018-09-11 Ortho-Clinical Diagnostics, Inc. Lateral-flow assay device having flow constrictions
JP6035687B2 (ja) 2014-08-29 2016-11-30 Smk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WO2016051974A1 (ja) 2014-10-02 2016-04-07 ソニー株式会社 標的物質測定キット、標的物質測定システム、イムノクロマト測定キット及びイムノクロマト測定システム
JP6238877B2 (ja) 2014-11-21 2017-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扇風機の制御装置、及び扇風機
US10254228B2 (en) * 2014-12-09 2019-04-09 Konica Minolta, Inc. Detection chip and detection method
JP2017078664A (ja) 2015-10-21 2017-04-27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免疫学的測定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3715A (ja) 1999-07-07 2003-01-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流体制御フィルムを有する検出物品
JP4597664B2 (ja) 2002-06-07 2010-12-15 オーミ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微細流体構造
JP2009258136A (ja) * 2009-08-10 2009-11-05 Denka Seiken Co Ltd デバイスおよび検出方法
US20110284110A1 (en) 2010-05-24 2011-11-24 Web Industries Inc. Microfluidic surfaces and devices
JP2014510925A (ja) 2011-04-06 2014-05-01 オーソ−クリニカル・ダイアグノス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菱形の突起部を有するアッセイ装置
WO2016098740A1 (ja) * 2014-12-15 2016-06-23 デンカ株式会社 液体試料検査キット用膜担体、液体試料検査キット、及び液体試料検査キット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6998B2 (ja) 2023-07-11
CN111465853B (zh) 2024-02-13
US20210181194A1 (en) 2021-06-17
KR20200097264A (ko) 2020-08-18
US11808764B2 (en) 2023-11-07
WO2019117102A1 (ja) 2019-06-20
JPWO2019117102A1 (ja) 2020-12-10
CN111465853A (zh)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682B1 (ko)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액체 시료의 검사 방법 및 막 담체
KR102394394B1 (ko)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및 액체 시료 검사 키트의 제조 방법
US9744534B2 (en) Assay device using porous medium
KR102547418B1 (ko) 막 담체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시료 검사 키트
JP6978489B2 (ja) 膜担体、並びにそれを用いた液体試料検査キ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96975B1 (ko) 액체 시료 검사 키트용 막 담체, 액체 시료 검사 키트 및 막 담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