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044B1 -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 Google Patents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2044B1 KR102612044B1 KR1020220019054A KR20220019054A KR102612044B1 KR 102612044 B1 KR102612044 B1 KR 102612044B1 KR 1020220019054 A KR1020220019054 A KR 1020220019054A KR 20220019054 A KR20220019054 A KR 20220019054A KR 102612044 B1 KR102612044 B1 KR 1026120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joint
- modular unit
- vertical
- body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와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ㄷ형강인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는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어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수직부재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연결부 및 상기 본체블록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수평부재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평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결부의 본체블록 측 상면에는 띠형 강판인 연결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수평연결부의 내부에 정착되는 복수의 스터드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플랜지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joining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a modular unit, and relates to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that is composed of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s and ensures structural performance, has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and is economical.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unit consisting of a vertical member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member which is a U-shaped steel provid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neighboring vertical member, and a modular unit for join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Regarding a joint for a unit, the joint for a modular unit is formed of a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 and includes a body block, a vertical connector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ody block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a vertical member, and a side of the body block. It consists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rt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 connection plate, which is a strip-shaped steel plat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on the main body block sid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Stud bolts are provided so that the upper flange of the horizontal member is weld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joining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a modular unit, and relates to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that is composed of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s and ensures structural performance, has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and is economical.
모듈러 구조는 현장에서 부재의 조립이나 시공이 이루어지는 기존 건축물과 달리, 공장에서 박스형으로 사전 제작된 모듈러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좌우로 적층 조립하여 완성되는 구조 시스템이다.Unlike existing buildings where assembly or construction of members is performed on site, a modular structure is a structural system that is completed by stacking and assembling modular units pre-manufactured in a box-type factory at the site, up, down, left and right.
이러한 모듈러 시스템은 골조 프레임뿐 아니라 각종 내외장재, 기계설비, 전기 배선 등의 공정이 대부분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우수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고, 현장 공정을 최소화하여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다.In this modular system, most of the processes such as the structural frame,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mechanical equipment, and electrical wiring are carried out in the facto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excellent quality and significantly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minimizing field processes.
특히, 공동주택에서 각 세대층은 평면이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갱폼 등 대형 거푸집에 의해 각 층마다 반복 시공 가능하다. In particular, since the floor plan of each household floor in an apartment complex is maintained the same, repeated construction on each floor is possible using large forms such as gang form.
반면, 옥탑층은 하부 세대와는 평면 형상이 달라 대형 거푸집에 의한 시공이 어렵다. 이에 주로 재래식 거푸집에 의해 RC 공법으로 시공되는데, 이러한 재래식 공법은 균일한 품질 확보가 어려운 편이다. 또한, 옥탑층은 골조 공사 마무리 시점에 시공되므로, 현장 인력 수급이나 타워크레인 등 장비 활용이 제한되어 시공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모듈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oftop floor has a different plan shape from the lower unit, making construction using large forms difficult. Accordingly, it is mainly constructed using the RC method using conventional formwork,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uniform quality with this conventional method. In addition, since the rooftop floor is constructed at the end of the frame construction, the supply of on-site manpower and the use of equipment such as tower cranes are limited, making construction difficult. Accordingly, demand for modular systems is increasing.
모듈러 시스템을 이루는 모듈러 유닛은 통상 육면체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에 수직부재가 구비되고,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수평부재로 연결된다.The modular unit that makes up the modular system is usually made of a hexahedron and has vertical members at each corner,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vertical members are connected by horizontal members.
종래 모듈러 유닛은 공장 제작 시 주로 용접에 의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였다(등록특허 제10-0923637호, 제10-1031299호 등).Conventional modular units were manufactured in factories by mainly joining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by welding (Patent Nos. 10-0923637, 10-1031299, etc.).
그러나 이 경우 품질 저하 우려가 있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자동화 생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용접 접합 및 해체 시 각 부재를 절단해야 하므로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자재 재활용이 곤란하다. 아울러 부재 절단 시 길이 오차가 발생하면 수정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quality deterioration, productivity is low, and there are limits to automated production. In addition, since each member must be cut during welding, joining and disassembly, dismantling is cumbersome and recycling of materials is difficult. In addition, if a length error occurs when cutting a memb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orrect.
뿐만 아니라 등록특허 제10-1628092호에서는 기둥과 보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강재 코너 블록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기둥과 보 부재를 코너 블록에 용접 결합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강재 블록은 주조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조 비용이 고가이고, 강재량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며, 내화 처리를 별도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Registered Patent No. 10-1628092, steel corner blocks are used to join columns and beam members. However, this technology has low productivity because it welds column and beam members to corner blocks. In addition, since steel blocks are manufactured by cast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 large amount of steel is required, which reduces economic efficiency, and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fireproof treat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that is economical and has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while ensuring structural performance for joining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a modular unit.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와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ㄷ형강인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는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어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수직부재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연결부 및 상기 본체블록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수평부재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평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결부의 본체블록 측 상면에는 띠형 강판인 연결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수평연결부의 내부에 정착되는 복수의 스터드볼트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플랜지가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 modular unit consisting of a vertical member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member, which is a U-shaped steel,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jacent vertical members, wherein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It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modular unit for joining, wherein the connector for the modular unit is formed of a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 and includes a main body block, a vertical connection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block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a vertical member, and the It consists of a horizontal connection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block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A connection plate, which is a strip-shaped steel plat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block, and the inner 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Provides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wherein a plurality of stud bolts are provided and the upper flange of the horizontal member is weld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late.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직연결부의 측면과 수평연결부의 상하부면에는 각각 인서트 너트가 매립되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결합볼트가 상기 인서트 너트에 체결되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접합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nsert nuts are embedd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and a coupling bolt penetrating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is fastened to the insert nut to connect the vertical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Provides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joint.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접합구의 내부에는 용접 철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welded wire mesh is provided inside the join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의 본체볼록 상면에는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접합구의 본체블록 하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pin is formed protruding on the convex upp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joint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member,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block of the join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member. Provides HPC joints for modular unit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본체블록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 및 본체블록 일측의 외측면과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block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hole and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block.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러 유닛에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구성되어 구조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that is designed to join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in a modular unit and is made of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s to ensure structural performance.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몰드 등에 의해 원하는 치수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용접 공정이 필요 없어 조립이 편리하며, 강재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because it can be formed into the desired size and shape using a plastic mold, etc., it is convenient to assembl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welding process,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steel, making it economical HPC bonding for modular units. A phrase can be provided.
도 1은 모듈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와 접합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된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연결플레이트와 수평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연결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수평연결부에 용접 철망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0은 양측 수평연결부에 용접 철망이 연속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11은 상하부 모듈러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un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etween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unction hol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junction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members and horizontal members and joints.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horizontal member.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late.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welded wire mesh is disposed in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Figure 10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welded wire mesh is continuously disposed on both horizontal connection parts.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모듈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ular uni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etween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본 발명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는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2)와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ㄷ형강인 수평부재(3)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1)에서, 상기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4)는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ular unit consisting of a vertical member (2) provided at the four corne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member (3), which is a U-shaped steel,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djacent vertical members (2). In the
본 발명은 모듈러 유닛(1)에서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조립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join the vertical member (2) and the horizontal member (3) in the modular unit (1), and to provide an HPC joint for the modular unit that secures structural performance, has excellent assembly properties, and is economical.
상기 모듈러 유닛(1)은 옥탑구조물뿐 아니라 생활주택, 학교 시설, 각종 숙박시설, 오피스텔, 임시 재난 시설 등 다양한 건물에 사용 가능하다.The modular unit (1) can be used in various buildings such as residential houses, school facilities, various lodging facilities, officetels, and temporary disaster facilities as well as rooftop structures.
상기 모듈러 유닛(1)은 4개의 수직부재(2)와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 가능하다. The
상기 모듈러 유닛(1)의 각 모서리에는 접합구(4)가 구비되어 수직부재(2) 및 수평부재(3)의 단부가 서로 접합된다.A
상기 접합구(4)는 고성능(HPC: High Performance Concrete)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다. The
고성능 콘크리트는 고강도, 고내구성, 고유동성을 갖는 콘크리트로, 압축강도뿐 아니라 인장강도도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하게 우수하여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고, 유동성이 좋아 성형성이 뛰어나다.High-performance concrete is a concrete that has high strength, high durability, and high fluidity. It has superior structural performance as it has superior compressive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ordinary concrete, and has excellent formability due to its good fluidity.
상기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은 압축강도 90MPa 이상, 인장강도 6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 preferably has a compressive strength of 90 MPa or more and a tensile strength of 6 MPa or more.
상기 고성능 콘크리트는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를 포함한다. The high-performance concrete includes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
상기 접합구(4)는 플라스틱 몰드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강재 블록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접합구(4)는 별도의 내화 처리가 필요 없고, 용접 공정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편리하다.In addition, the
도 3은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와 접합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ertical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and a join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구(4)는 본체블록(41), 상기 본체블록(4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수직부재(2)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연결부(42) 및 상기 본체블록(4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수평부재(3)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평연결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상기 접합구(4)에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결합하기 위해 접합구(4)는 본체블록(41)과 수직연결부(42) 및 수평연결부(43)로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ouple the vertical member (2) and the horizontal member (3) to the joint (4), the joint (4)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block (41), a vertical connection portion (42), and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43). .
상기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는 각각 본체블록(4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블록(4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 가능하다.The
상기 모듈러 유닛(1)의 모서리에 구비되는 접합구(4)는 한 쌍의 수평연결부(43)가 평면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도 5). The joint 4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상기 수직연결부(42)는 하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경우에는 본체블록(4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경우에는 본체블록(41)의 하면에 수직연결부(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connecting
상기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각각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에 결합하기 위해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는 각각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의 단면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couple the
이에 상기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는 각각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의 단부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를 위해 상기 수직부재(2)는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그리고 상기 수평부재(3)는 상하부플랜지(31, 32) 및 웨브(33)로 구성된 ㄷ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다.And the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연결부(42)의 측면과 수평연결부(43)의 상하부면에는 각각 인서트 너트(44)가 매립되고,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관통하는 결합볼트(5)가 상기 인서트 너트(44)에 체결되어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가 접합구(4)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5, insert nuts 44 are embedd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상기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각각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에 고정하기 위해 접합구(4)에 인서트 너트(44)를 매립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이때, 상기 수직연결부(42)의 경우에는 수직연결부(42)의 각 측면마다 인서트 너트(44)를 매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상기 수평연결부(43)의 경우에는 수평부재(3)의 휨을 전달하기 위해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인서트 너트(44)를 매립 설치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상기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에는 상기 인서트 너트(44)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A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상기 관통공(H)을 통해 결합볼트(5)를 삽입하여 인서트 너트(44)에 체결함으로써,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각각 수직연결부(42)와 수평연결부(43)에 고정할 수 있다. By inserting the
상기 접합구(4)는 성형성이 우수한 고성능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내부에 인서트 너트(44)를 쉽게 매립할 수 있다.Since the joint 4 is made of high-performance concrete with excellent formability, the
상기 인서트 너트(44)는 수직연결부(42)의 측면과 수평연결부(43)의 상하부면에 사전 매립되므로, 결합볼트(5)를 일방향으로 쉽게 체결할 수 있다.Since the
도 6은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된 접합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연결플레이트와 수평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연결플레이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at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ion plate and a horizontal member,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plate.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부(43)의 본체블록(41) 측 상면에는 띠형 강판인 연결플레이트(4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5)의 하면에는 수평연결부(43)의 내부에 정착되는 복수의 스터드볼트(451)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재(3)의 상부플랜지(31)가 상기 연결플레이트(45)의 단부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a connecting
상기 수평부재(3) 단부의 부모멘트를 전달하기 위해 수평연결부(43)의 상면에 연결플레이트(45)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the negative moment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 a connection plate (45)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43).
상기 연결플레이트(45)는 띠형 강판으로 형성되어 수평연결부(43)의 내측 단부 즉, 본체블록(41) 측 상면에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연결플레이트(45)가 수평연결부(43)의 내부에 정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연결플레이트(45)의 하면에는 복수의 스터드볼트(451)가 구비될 수 있다(도 6, 도 8).A plurality of
상기 수평연결부(43)와 결합되는 수평부재(3)는 상부플랜지(31)의 단부를 연결플레이트(45)에 용접(W)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플레이트(45)는 수평부재(3)의 상부플랜지(31)와 두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긴 단차 부분에 용접살이 채워지도록 필렛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도 9는 수평연결부에 용접 철망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양측 수평연결부에 용접 철망이 연속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welded wire mesh is disposed in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and FIG. 10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welded wire mesh is continuously disposed in both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s.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합구(4)의 내부에는 용접 철망(46)이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a welded
상기 접합구(4)의 본체블록(41)에서 돌출 형성된 수평연결부(43)는 길이에 비해 춤이 큰 부재로, 스트럿 타이 모델에 의해 설계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connecting
스트럿 타이 모델은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응력 흐름이 복잡한 콘크리트 구조 부재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 방식이다.The strut tie model is a reasonable design method for concrete structural members with complex stress flows due to their geometry.
이에 상기 수평연결부(43)는 수평부재(3)의 하중에 대해 하향 경사진 스트럿(S: strut)과 상부에서 본체블록(41) 측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타이(T: tie)로 모델링할 수 있다. 상기 접합구(4)는 압축강도가 매우 큰 고성능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자체로 스트럿(S)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러나 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훨씬 크다 하더라도 타이(T) 부분은 별도의 인장재가 필요하다.However, even though the tensile strength of high-performance concrete is much greater than that of ordinary concrete, the tie (T) part requires a separate tension member.
이를 위해 상기 접합구(4)의 내부에 타이(T)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용접 철망(46)을 배치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 welded
상기 용접 철망(46)은 수평연결부(43) 내부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본체블록(41) 내측으로 연장되게 배치할 수 있다(도 9).The welded
또한, 서로 직교하는 수평연결부(43)의 우각부를 보강하기 위해 이웃하는 수평연결부(43)를 가로지르도록 대각 방향으로 용접 철망(46)을 배치할 수도 있다(도 10).In addi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right angles of the
이에 따라 응력에 최적화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performance optimized for stress can be secured.
상기 용접 철망(46)은 용접 철근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welded
도 11은 상하부 모듈러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본체볼록(41) 상면에는 가이드핀(4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본체블록(41) 하면에는 삽입공(412)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a
상하부 모듈러 유닛(1, 1')을 상하로 적층 시공하는 경우,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러 유닛(1')을 하부에 기설치된 모듈러 유닛(1)의 상부 정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직부재(2) 상부의 접합구(4)에는 가이드핀(411)이 구비되고, 하부의 접합구(4)에는 삽입공(412)이 형성될 수 있다.When constructing the upper and lower modular units (1, 1') by stacking them up and down, the modular unit (1') installed at the upper part must be able to be install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modular unit (1) alread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For this purpose, a
따라서 하부 모듈러 유닛(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411)이 상부 모듈러 유닛(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공(412)에 삽입되어 상하부 모듈러 유닛(1, 1')이 결합될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가이드핀(411)이 삽입공(412)에 쉽게 진입하여 삽입되도록 가이드핀(411)은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지게 형성할 수 있다.To allow the
상기 가이드핀(411) 및 삽입공(412)은 적층되는 모듈러 유닛(1, 1')의 위치를 가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하부 모듈러 유닛(1, 1')들은 수평부재(3)를 상호 결합하여 최종 고정될 수 있다.The
상기 본체블록(4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412) 및 본체블록(41) 일측의 외측면과 연통되는 중공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가이드핀(411)과 삽입공(412)은 상부에 적층 시공되는 모듈러 유닛(1')의 위치 설정을 가이드하고, 상하부 모듈러 유닛(1, 1')을 가고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411)을 삽입공(412) 내부에 정착시키면, 가이드핀(411)이 다우얼바 역할을 함으로써 상하부 모듈러 유닛(1, 1')의 접합부에서 횡력에 대해 구조적으로 일체화하여 저항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해 상기 본체블록(41)의 내부에 삽입공(412)과 연통되는 중공부(413)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413)는 본체블록(41) 외측면으로 개방되게 구성할 수 있다.To this end, a
이에 따라 하부 모듈러 유닛(1)의 가이드핀(411)이 상부 모듈러 유닛(1')의 삽입공(412) 내부에 삽입되도록 적층 시공한 후, 중공부(413)와 삽입공(412)으로 무수축 모르타르 등을 주입함으로써 가이드핀(411)을 삽입공(412) 내부에 정착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laminating construction so that the
상기 가이드핀(411)을 다우얼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정착 길이 확보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핀(411)은 길이를 길게 하여 중공부(413) 내부까지 연장되게 구성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the
한편, 모듈러 유닛(1, 1')의 바닥슬래브 시공을 위해 하부의 수평부재(3) 사이에는 거푸집이나 데크플레이트 등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때 중공부(413)와 삽입공(412)에 동시 타설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부(413)는 이웃하는 수평연결부(43)의 사이 측이 개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for floor slab construction of modular units (1, 1'), formwork or deck plates, etc.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horizontal members (3) and then concrete can be pour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1: 모듈러 유닛
2: 수직부재
3: 수평부재
31: 상부플랜지
32: 하부플랜지
33: 웨브
4: 접합구
41: 본체블록
411: 가이드핀
412: 삽입공
413: 중공부
42: 수직연결부
43: 수평연결부
44: 인서트 너트
45: 연결플레이트
451: 스터드볼트
46: 용접 철망
5: 결합볼트
H: 관통공
S: 스트럿
T: 타이
W: 용접1: Modular unit
2: Vertical member
3: Horizontal member
31: Upper flange
32: Lower flange
33: web
4: junction
41: Body block
411: Guide pin
412: Insertion hole
413: Ministry of Heavy Industries
42: Vertical connection
43: horizontal connection part
44: Insert nut
45: Connection plate
451: stud bolt
46: welded wire mesh
5: Combined bolt
H: Through hole
S: Strut
T: tie
W: welding
Claims (7)
상기 모듈러 유닛용 접합구(4)는 고성능 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어 본체블록(41), 상기 본체블록(4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돌출되어 수직부재(2)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연결부(42) 및 상기 본체블록(4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수평부재(3)의 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수평연결부(43)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결부(43)의 본체블록(41) 측 상면에는 띠형 강판인 연결플레이트(4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45)의 하면에는 수평연결부(43)의 내부에 정착되는 복수의 스터드볼트(451)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부재(3)의 상부플랜지(31)가 상기 연결플레이트(45)의 단부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
In the modular unit (1) consisting of a vertical member (2) provided at four corner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rizontal member (3), which is a U-shaped steel, provided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neighboring vertical member (2), the vertical member (2) It relates to a connector (4) for a modular unit for joining a member (2) and a horizontal member (3),
The connector 4 for the modular unit is formed of a high-performance concrete block and includes a body block 41, a vertical connection portion 42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ody block 41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member 2. ) and a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 43 tha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block 41 and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member 3,
A connection plate 45, which is a strip-shaped steel plate,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43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block 41, and a plurality of studs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43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late 45.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451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flange 31 of the horizontal member 3 is weld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late 45.
상기 수직연결부(42)의 측면과 수평연결부(43)의 상하부면에는 각각 인서트 너트(44)가 매립되고,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관통하는 결합볼트(5)가 상기 인서트 너트(44)에 체결되어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가 접합구(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
In paragraph 1:
Insert nuts 44 are embedd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connection part 42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part 43, respectively, and a coupling bolt 5 penetrating the vertical member 2 and the horizontal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insert. An HPC joint for a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member (2) and the horizontal member (3) are fastened to the nut (44) and fixed to the joint (4).
상기 접합구(4)의 내부에는 용접 철망(4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
In paragraph 1:
HPC joint for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 welded wire mesh (46) is provided inside the joint (4).
상기 수직부재(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본체볼록(41) 상면에는 가이드핀(41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접합구(4)의 본체블록(41) 하면에는 삽입공(4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
In paragraph 1:
A guide pin 411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nvex 41 of the joint 4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member 2, and the joint 4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member 2 HPC joint for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hole 4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block 41.
상기 본체블록(41)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공(412) 및 본체블록(41) 일측의 외측면과 연통되는 중공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In paragraph 6:
HPC joint for modula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hole 412 and a hollow portion 413 communicating with on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ody block 41 are formed inside the body block 4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054A KR102612044B1 (en) | 2022-02-14 | 2022-02-14 |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9054A KR102612044B1 (en) | 2022-02-14 | 2022-02-14 |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413A KR20230122413A (en) | 2023-08-22 |
KR102612044B1 true KR102612044B1 (en) | 2023-12-07 |
Family
ID=8779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19054A Active KR102612044B1 (en) | 2022-02-14 | 2022-02-14 |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204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4226B1 (en) * | 2023-10-18 | 2025-02-07 | (주)유창이앤씨 | Coupler for Modular corn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7324B1 (en)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Joint structure of internal coupled modular unit |
KR102307326B1 (en)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Horizontal member coupled non-welded modular structure with slab flo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6765B1 (en) * | 2000-04-26 | 2002-10-18 | 우림콘크리트공업 주식회사 | Post-tension Type Corbel Structure and Contructuring Method thereof |
US10870980B2 (en) * | 2017-01-19 | 2020-12-22 | Z-Modular Holding, Inc. | Modular building connector |
-
2022
- 2022-02-14 KR KR1020220019054A patent/KR1026120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7324B1 (en)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Joint structure of internal coupled modular unit |
KR102307326B1 (en) * | 2021-04-06 | 2021-09-29 |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 Horizontal member coupled non-welded modular structure with slab fl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2413A (en)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38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432260B1 (en) | Steel-exposed type 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pillar | |
KR101420203B1 (en) | Th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 |
KR20100043728A (en) |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precast concrete beam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KR100583352B1 (en) | L-shaped steel element joint | |
KR102612044B1 (en) |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nector for modular unit | |
KR102404023B1 (en) | Precast Concrete Modular Structure | |
KR101560908B1 (en) | Connecting sturcture of open type steel sturcture | |
CN113513089B (en) | FRP (fiber reinforced plastic) wrapped cro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H-shaped steel beam connecting node and mounting method | |
KR20100043731A (en) | Precast concrete column using steel material and precast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CN114718216A (en) | A kind of double-piece separated superimposed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425008B1 (en) | The building slab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CN211369158U (en) | A prefabricated shear wall with strong horizontal connection nodes | |
KR101463106B1 (en) | The precast concrete pillar and girder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ilding | |
KR101050166B1 (en) | Slab module and knock-down modular building structure | |
JP5050221B2 (en) | Floor slab | |
KR102289243B1 (en) | Underground Parking Lot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assembled bar column, U-shaped beam, Corrugated deck | |
KR102703613B1 (en)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junction plate | |
KR102703615B1 (en)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anchor plate and joint device | |
KR102703614B1 (en) | Connector for modular unit with joint device | |
KR102791821B1 (en) | HPC connector for modular | |
KR20090093599A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form-less column and slim beam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2554408B1 (en) |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Steel-Concrete Hybrid Columns Using Vetical Member | |
CN217175347U (en) | Assembled die mould skeleton composite wall panel | |
KR20240154986A (en) | HPC connector for modul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