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7314B1 -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314B1
KR102607314B1 KR1020230130934A KR20230130934A KR102607314B1 KR 102607314 B1 KR102607314 B1 KR 102607314B1 KR 1020230130934 A KR1020230130934 A KR 1020230130934A KR 20230130934 A KR20230130934 A KR 20230130934A KR 102607314 B1 KR102607314 B1 KR 10260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walk
camera
system based
display devic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3013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08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 G08G1/0116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based on the source of data from roadside infrastructure, e.g. beac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4Centralised systems, e.g. external to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신호등과 연계하고 횡단보도의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사각지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개선한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보도 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NVR시스템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무단 횡단하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무단횡단 감지센서와; 상기 NVR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녹화 및 관리하는 관제센터와; 상기 신호등에 적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움직이는 사람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고, 상기 신호등이 녹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INTEGRATED VIDEO CONTROL SYSTEM BASED ON ELIMINATING CROSSWALK BLIND SPOTS}
본 발명은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신호등과 연계하고 횡단보도의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사각지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개선한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 통계에 의하면 도로 중 횡단보도 상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율은 전체 보행자 사망사고 중 가장 높고, 이렇게 횡단보도 상에서 교통사고 발생 사고율이 높은 이유는 차량 운전자와 보행자의 부주의 또는 신호 무시가 대부분이다.
즉,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가 횡단보도용 신호등과 차량용 신호등의 신호를 잘못보거나, 신호등의 신호를 보았음에도 이를 지키지 않고 무시하고 지나치는 경우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바닥 신호등 또는 음성신호(예컨대, 알람이나 경고메시지 방송) 등의 방안이 마련하여 시행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차량이나 보행자들은 여전히 신호 무시를 하고 있어, 교통사고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리고 현재, 학교 주변에 주의력이 떨어지는 어린 학생들을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스쿨존을 정해 놓고 있다.
따라서 스쿨존에서는 제한된 자동차의 운행속도를 준수하며, 차량 운전자의 안전운전이 더욱 필요하다.
하지만, 어린이들의 부주의와 운전자의 제한속도 위반으로 스쿨존에서의 교통사고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어린이 보호용 cctv 시스템은 속도위반 및 발광형 LED표시판을 설치하여 주위를 주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종래의 어린이 보호용 신호등에는 사이렌 및 경광등만 설치되어 있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고, 여전히 우회전 차량 등으로 인한 사고에 대처 가능한 시스템은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선행특허의 일예로, 등록특허 제10-1116696호(2012년 02월 08일 등록)에는 차량 및 보행자에 대한 시각적인 인지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횡단보도의 차량 정지선상에 스크린의 형태로 3차원 홀로그램을 형성하도록 하여, 보행자 신호 점등 시, 차량 정지 안내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특허의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는, 단순히 차량의 정지만을 유도하는 기술로, 차량 통행 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고, 특히 차량과 보행자가 상호간에 서로 안전한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 제10-1116696호(2012년02월08일 등록)의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2. 등록특허 제10-2356084호(2022년 01월 19일 등록)의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3. 등록특허 제10-2367151호(2022년 02월 21일 등록)의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공지능형 횡단보호 신호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바닥신호등과 연계하고 횡단보도의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하여 사각지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한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은,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보도 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NVR시스템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무단 횡단하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무단횡단 감지센서와;
상기 NVR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녹화 및 관리하는 관제센터와;
상기 신호등에 적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움직이는 사람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고, 상기 신호등이 녹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바닥신호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AI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정면 각도 90도, 횡단보도 각도 90도, 우회 사각 90도를 촬영할 수 있는 3면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는 차량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고,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는, LoRa(Long Range)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 속도와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에서 상기 횡단보도에 무단 횡단 물체가 감지되면, 알람이나 상기 표시장치에 주의 표시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상 이벤트 발생 시, 이상 이벤트를 관제센터에 송신하고, 이상 이벤트를 사이렌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이상 이벤트를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문자나 이미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신호등과 연계하고, 횡단보도의 사각지대를 집중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AI 및 3면 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사각지대를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며, 촬영 영상을 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관제센터에서 이상 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단횡단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무단횡단 물체가 감지되면, 알람을 울리거나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은, 횡단보도용 신호등(2)과, 이 횡단보도용 신호등(2)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3)이 설치된 도로의 횡단보도(1) 주변 예컨대, 가로등이나 차량용 신호등의 기둥(4)에 설치되어, 횡단보도(1) 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10)와, 이 카메라(10)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NVR시스템(120)과, 상기 카메라(10)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30)와, 상기 횡단보도(1) 주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1)를 무단 횡단하는 움직이는 물체, 예컨대, 사람(P)이나 동물 등을 감지하는 무단횡단 감지센서(33)와, 상기 NVR시스템(120)이 구비되어 카메라(10)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을 녹화 및 관리하는 관제센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횡단보도용 신호등(2)보다는, 이 횡단보도용 신호등(2)과 연동되는 바닥신호등(3)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바닥신호등(3)은 횡단보도용 신호등(2)과 동일한 색으로 동시에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카메라(10)가 횡단보도용 신호등(2)을 촬영하고 식별하는 것보다는 바닥신호등(3)을 촬영하고 식별하는 것이 더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10)는 움직이는 물체 즉, 사람(P)은 물론이고 차량, 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AI 카메라를 포함하고, 이 AI 카메라는 정면 각도 90도, 횡단보도 각도 90도, 우회 사각 90도를 촬영할 수 있어, 횡단보도 주변의 사각지대까지 모두 촬영할 수 있는 3면 카메라이기도 하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0)는 차량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고,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0)는 IoT 카메라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VR시스템(120)은, NVR(Network Video Recorder) 녹화 시스템으로, 최신 기술이 적용되었다. 즉, 기존의 DVR(Digital Video Recorder) 시스템보다 더 유연하고 첨단 기술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NVR시스템(120)은 카메라(10)에서 영상(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얼굴 인식과 같은 향상된 스마트 기능 및 비디오 분석이 가능하며, IoT 또는 IP 기능 구성이 포함되어 있어 오디오와 비디오를 기록하고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30)는 화질이 우수하고 슬림하며 코스트가 낮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33)는, LoRa(Long Range)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 속도와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무단횡단 감지센서(33)는, LoRa 통신을 이용해 무선으로 관제센터(100) 또는/및 관리자 단말기(130)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Lora 통신이 이루어지는 통신모듈은 HSM(Hardware Security Module)을 포함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33)에서 횡단보도(1)에 무단 횡단 물체 예컨대, 사람(P)이 감지되면, 스피커(40)를 통해 알람을 하거나, 상기 표시장치(30)에 주의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부(55)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은, 상기 바닥신호등(3)에 적색 신호가 점등되고, 횡단보도(1)로 진입하는 움직이는 물체(예컨대, 사람(P)이나 동물)가 있으면, AI 카메라이면서 3면 카메라인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표시장치(30)에 팝업(pop-up)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신호등(3)이 녹색 신호가 점등되고, 횡단보도(1)로 진입하는 차량(V)이 있으면, 마찬가지로,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표시장치(30)에 팝업이 되게 제어하는 제어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로, 상기 바닥신호등(3)이 적색 신호이고, 차량 신호등이 녹색 신호이면 상기 카메라(10)가 횡단보도 상황에 대하여 연속 촬영 중일 수 있으며, 상기 바닥신호등(3)이 녹색 신호이고, 차량 신호등이 적색 신호이면 상기 카메라(10)의 우회 사각 90도에 대한 감시 촬영이 활성화 되어 이벤트 영상이 표시장치(30)에 팝업(pop-up)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5)는 이상 이벤트 발생 시, 이상 이벤트를 관제센터(100)에 송신하고, 이상 이벤트를 사이렌(또는 알람)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횡단보도 주변에 스피커(4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상 이벤트를 관제센터(100)의 관리자 단말기(130)에 실시간으로 문자나 이미지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130)는, 담당자 개인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번호 6은 cctv 카메라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도면번호 110은 통신장비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 제어부(55), 카메라(10), 표시장치(30) 등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관제센터(100)에 구비된다.
특히, 관리자 단말기(130)도 상기 통신장비(110)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비(110)는, 특정한 통신장비로 한정하지는 않지만, 보안장비, LTE 라우터, 허브 장비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번호 50은 통신 모듈(50)이며, 이 통신 모듈(50)을 통해 상기 통신장비(110)와 통신을 한다.
통신 모듈(50)은 LTE망을 통한 고속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LTE라우터일 수 있으며, 정보 보호를 위해 SSL VPN(Secure Sockets Layer Virtual Private Network)를 통한 보안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50)은 LoRa 망을 제공하여 저전력 장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은, 횡단보도에 설치된 바닥신호등(3)의 신호와 삼면 및 AI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10)를 연동한 것으로, 사고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바로 알 수 있어, 골든타임을 절대 놓치지 않도록 한 시스템이다.
특히, 우회전 차량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를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하여 표시장치(30)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한 사각지대를 먼저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운전자 및 주위 사람들이 바로 확인할 수 있고, 관제센터(100)에 이상 신호를 송신하여 사고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하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NVR시스템(120)인 NVR 녹화장치에 통신장비(110)인 무선 LTE 모듈 및 무단횡단 감지센서(33)를 연동 구성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카메라(10)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속도 초과 차량에게는 범칙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비(110)인 LTE 모듈로 이상 상황 발생 시 관리자 단말기(130)에게 문자 및 이미지를 전송하여, 관제센터(10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바닥신호등(3), 표시장치(30), 카메라(10) 등을 연동하되, 특히 카메라(10)를 이용한 움직이는 물체 특히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들도 식별하여 알람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횡단보도
2. 횡단보도용 신호등
3. 바닥신호등
10. 카메라
30. 표시장치
33. 무단횡단 감지센서
40. 스피커
50. 통신 모듈
55. 제어부
100. 관제센터
110. 통신장비
120. NVR시스템
130. 관리자 단말기

Claims (9)

  1.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보도 주변의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NVR시스템과;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무단 횡단하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는 무단횡단 감지센서와;
    상기 NVR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녹화 및 관리하는 관제센터와;
    상기 신호등에 적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움직이는 사람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고, 상기 신호등이 녹색 신호가 점등되고 상기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이벤트 영상이 상기 표시장치에 팝업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바닥신호등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AI 카메라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정면 각도 90도, 횡단보도 각도 90도, 우회 사각 90도를 촬영할 수 있는 3면 카메라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는 차량의 속도를 인식할 수 있고, 차량번호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는, LoRa(Long Range)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 속도와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횡단 감지센서에서 상기 횡단보도에 무단 횡단 물체가 감지되면, 알람이나 상기 표시장치에 주의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상 이벤트 발생 시, 이상 이벤트를 관제센터에 송신하고, 이상 이벤트를 사이렌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이벤트를 상기 관제센터의 관리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문자나 이미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KR1020230130934A 2023-09-27 2023-09-27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Active KR10260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934A KR102607314B1 (ko) 2023-09-27 2023-09-27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0934A KR102607314B1 (ko) 2023-09-27 2023-09-27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314B1 true KR102607314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0934A Active KR102607314B1 (ko) 2023-09-27 2023-09-27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31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96B1 (ko)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KR20150068298A (ko) * 2013-12-09 2015-06-19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5009A (ko) * 2020-04-16 2021-11-12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KR102356084B1 (ko) 2021-07-15 2022-02-08 안재욱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2367151B1 (ko) 2021-10-20 2022-02-25 금정현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공지능형 횡단보호 신호 제어 장치
KR20220146766A (ko) * 2021-04-26 2022-11-02 김병준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KR102540197B1 (ko) * 2022-12-08 2023-06-07 전병법 차량 우회전 안전 보조장치
KR20230120954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루기술 딥러닝 기술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자 우회전차량 간 교통사고 예방 스마트 동영상 제공 전광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696B1 (ko) 2011-08-05 2012-02-22 (주)나노월드엘이디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KR20150068298A (ko) * 2013-12-09 2015-06-19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영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5009A (ko) * 2020-04-16 2021-11-12 주식회사 엔슨소프트 어린이 보호 구역 내 보행자 교통 안전 시스템
KR20220146766A (ko) * 2021-04-26 2022-11-02 김병준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KR102356084B1 (ko) 2021-07-15 2022-02-08 안재욱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102367151B1 (ko) 2021-10-20 2022-02-25 금정현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공지능형 횡단보호 신호 제어 장치
KR20230120954A (ko) * 2022-02-10 2023-08-17 주식회사 이루기술 딥러닝 기술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자 우회전차량 간 교통사고 예방 스마트 동영상 제공 전광판
KR102540197B1 (ko) * 2022-12-08 2023-06-07 전병법 차량 우회전 안전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19079A1 (ko) 상황 예측 기반 교차로 위험 경보 시스템
CN109191829B (zh) 道路安全监控方法及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3070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KR100835085B1 (ko) 무인교통사고기록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사고처리시스템 및 방법
JP7255582B2 (ja)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34187B1 (ko) 스쿨존 내의 횡단보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68579A1 (zh) 交通影音接收与分析系统
KR20010105342A (ko) 충돌 방지 시스템
WO2021159310A1 (zh) 一种违章监控系统及违章监控方法
WO2020063866A1 (en) Traffic monitoring and evidence collection system
CN105590453A (zh) 通过警笛联动实现救援车辆交通执法的取证方法及装置
CN111145496A (zh) 一种驾驶员行为分析预警系统
JP2005234774A (ja) 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装置、及び交通信号無視車両警告・記録装置
KR102526969B1 (ko) 스마트 반사경 장치
KR102607314B1 (ko) 횡단보도 사각지대 제거를 기반한 영상관제 통합시스템
KR102157074B1 (ko) 안면 인식 기술이 적용된 차량 내 방치어린이 예방 안전시스템
JP6053061B2 (ja) 車両の強制停止装置
KR100444762B1 (ko) 도로 차선위반 감시,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38014A1 (en) Vehicle Itself To Report Traffic Violations To The Traffic Police Department
KR102146862B1 (ko)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안심 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RU158678U1 (ru)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нарушений пдд на регулируемом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ереезде
CN207883121U (zh) 一种行人闯红灯监管设备
RU280986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пешеходов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ереезде
KR102645077B1 (ko) 딥러닝 기반 교차로 객체검지 및 자동 알람 방법
CN222233088U (zh) 一种用于人脸识别并视频图传的智慧警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