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3043B1 -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043B1
KR102603043B1 KR1020190062247A KR20190062247A KR102603043B1 KR 102603043 B1 KR102603043 B1 KR 102603043B1 KR 1020190062247 A KR1020190062247 A KR 1020190062247A KR 20190062247 A KR20190062247 A KR 20190062247A KR 102603043 B1 KR102603043 B1 KR 10260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locking
locking cam
bracket
flap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571A (ko
Inventor
백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43B1/ko
Priority to US16/571,988 priority patent/US11446992B2/en
Publication of KR2020013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4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57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two or more pivoted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4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 E05D3/145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05D3/147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four parallel pins and two arm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for vehicle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60J5/0491Special type lid, e.g. for luggage compartment accessible at vehicl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바디브라켓과; 플랩도어에 고정되는 플랩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링크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링크의 상측에서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링크와; 상기 상측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상기 플랩브라켓에 대한 상기 하측링크의 회전축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접촉하는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의 회전 방향을 탄성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브라켓과 상기 록킹캠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LOCKING APPARATUS FOR FLAP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버스 등과 같은 차량의 플랩도어를 록킹시키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버스 등과 같은 차량은 차량 측방 하부에 플랩도어를 구비하고, 이를 개폐함으로써, 정비 및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랩도어는 상단이 차체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단을 들어올려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오픈되는데, 이러한 오픈상태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버스의 창문틀 또는 창문틀 근처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와이어 행거의 고리를 걸어 고정하거나, 열린 상태의 플랩도어 하측을 오픈로드로 지지하거나, 가스리프트 등을 사용하여 오픈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와이어 행거를 사용하는 방법은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고, 상기 오픈로드나 가스리프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비교적 높은 비용이 소요되고 플랩도어가 충분히 열린 각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9990018232 A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플랩도어의 오픈 상태를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이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매우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각도의 플랩도어 오픈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의 외관도 미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바디브라켓과;
플랩도어에 고정되는 플랩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링크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링크의 상측에서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링크와;
상기 상측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상기 플랩브라켓에 대한 상기 하측링크의 회전축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접촉하는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의 회전 방향을 탄성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브라켓과 상기 록킹캠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그루브와 스토퍼돌기는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록킹캠이 상기 스토퍼그루브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돌기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캠은 타원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에 의해, 상기 함몰부의 양쪽에 두 엣지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엣지부는 상기 록킹캠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장엣지부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단엣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캠은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상측링크의 일단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캠은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면서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단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이격된 상태로 넘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캠에는 캠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플랩브라켓에는 상기 캠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록킹캠이 상기 록킹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캠의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다가, 상기 플랩도어가 상기 록킹상태보다 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돌기에 의해 상기 록킹캠의 캠돌기가 상기 제한돌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수준 이상 회전되면, 상기 단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록킹캠의 회전축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록킹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플랩도어의 오픈 상태를 고정하여 록킹하거나 이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동작을 매우 손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원하는 각도의 플랩도어 오픈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의 외관도 미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플랩도어가 오픈된 상태로 고정되는 록킹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플랩도어가 오픈되면서 록킹상태가 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플랩도어가 록킹상태로부터 해제되어 클로즈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플랩도어가 클로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는, 차체에 고정되는 바디브라켓(1)과; 플랩도어(3)에 고정되는 플랩브라켓(5)과;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브라켓(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링크(7)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링크(7)의 상측에서 상기 바디브라켓(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링크(9)와; 상기 상측링크(9)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그루브(11) 및 스토퍼돌기(13)와; 상기 플랩브라켓(5)에 대한 상기 하측링크(7)의 회전축에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그루브(11) 및 스토퍼돌기(13)와 접촉하는 록킹캠(15)과; 상기 록킹캠(15)의 회전 방향을 탄성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브라켓(5)과 상기 록킹캠(15)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바디브라켓(1)과, 플랩브라켓(5), 하측링크(7) 및 상측링크(9)가 4절 링크를 구성하여, 상기 플랩브라켓(5)과 일체로 설치되는 플랩도어(3)를 차체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시켜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록킹캠(15)과 스토퍼그루브(11) 및 스토퍼돌기(13)에 의해 상기 플랩도어(3)가 개방된 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하는 록킹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디브라켓(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플랩브라켓(5)은 플랩도어(3)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측링크(9)와 하측링크(7)를 통해 상기 플랩도어(3)를 상기 바디브라켓(1)에 대하여 지지한다.
상기 스토퍼그루브(11)와 스토퍼돌기(13)는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플랩도어(3)가 개방될 때, 상기 록킹캠(15)이 상기 스토퍼그루브(11)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돌기(13)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돌기(13)는 상기 스토퍼그루브(11)로부터 연결되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록킹캠(15)이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면, 바로 록킹캠(15)의 일부가 상기 스토퍼돌기(13)의 측면에 접촉하는 상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록킹캠(15)은 타원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9)에 의해, 상기 함몰부(19)의 양쪽에 두 엣지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엣지부는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장엣지부(21)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단엣지부(2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록킹캠(15)은 전체적으로는 타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타원형 외곽 중 일부에 상기 함몰부(19)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함몰부(19) 양쪽에 뾰족한 상기 장엣지부(21)와 단엣지부(23)가 형성되는 구조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캠(15)은 상기 플랩도어(3)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상측링크(9)의 일단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플랩도어(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상기 록킹캠(15)의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프링(17)의 탄성력으로 상기 상측링크(9)의 일단부 표면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면서 이동하다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하게 되고, 이 록킹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상기 플랩도어(3)를 놓아도 플랩도어(3)가 닫히지 않고 개방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캠(15)은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면서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단엣지부(23)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이격된 상태로 넘어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함몰부(19)의 형상과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장엣지부(21)까지의 거리 및 상기 단엣지부(23)까지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함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록킹캠(15)에는 캠돌기(25)가 구비되고, 상기 플랩브라켓(5)에는 상기 캠돌기(25)에 접촉하여, 상기 록킹캠(15)이 상기 록킹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27)가 구비된다.
상기 캠돌기(25)와 제한돌기(27)는 상기 록킹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의 록킹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플랩브라켓(5)은 플랩도어(3)의 자중에 의해 상기 상측링크(9)와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고 함과 아울러,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축도 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려고 하는데, 상기 록킹캠(15)의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축이 상기 플랩브라켓(5)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면 상기 록킹캠(15)이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 즉 상기 플랩브라켓(5)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 하지만, 상기 캠돌기(25)의 시계방향 회전을 상기 제한돌기(27)가 막고 있어서,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이 억제되고, 상기 록킹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캠(15)의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스프링(17)은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다가, 상기 플랩도어(3)가 상기 록킹상태보다 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돌기(13)에 의해 상기 록킹캠(15)의 캠돌기(25)가 상기 제한돌기(27)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수준 이상 회전되면, 상기 단엣지부(23)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17)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17)의 일단과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축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록킹캠(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상기 플랩도어(3)를 상기 록킹상태로부터 해제하여 다시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상태로부터 상기 플랩도어(3)를 더욱 개방되는 방향, 즉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캠(15)은 상기 스토퍼돌기(13)에 의해 밀려서, 상기 플랩브라켓(5)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량이 늘어나서 상기 소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스프링(17)에 의해 상기 단엣지부(23)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상태 이후에는 상기 플랩도어(3)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닫으면 상기 단엣지부(23)가 상기 스토퍼돌기(13)에 밀착하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그루브(11)에 삽입되지 않고 지나가게 되어, 상기 록킹상태가 해제되고 플랩도어(3)를 도 5와 같이 완전히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록킹캠(15)에 작용하는 스프링(17)의 탄성력 방향이 바뀌도록 하는 상기 록킹캠(15) 회전량의 소정수준은, 상기 스프링(17)의 일단과 상기 록킹캠(15)의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상기 스프링(17)의 타단이 넘어서는 수준을 의미한다.
즉, 도 4에서 상기 스프링(17)의 타단이 상기 스프링(17)의 일단과 록킹캠(15)의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우측에 있다가, 좌측으로 넘어가면서 상기 스프링(17)이 상기 록킹캠(15)을 회전시키는 방향이, 상기 장엣지부(21)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던 방향으로부터 상기 단엣지부(23)가 상기 스토퍼돌기(13)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플랩도어(3) 록킹장치는 플랩도어(3)를 일정수준 이상 개방하면 저절로 플랩도어(3)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록킹상태로부터 상기 플랩도어(3)를 약간 더 오픈방향으로 회전시켰다가 놓으면, 상기 록킹상태가 저절로 해제되면서 상기 플랩도어(3)를 닫을 수 있도록 되어, 매우 용이한 조작성을 제공함은 물론, 와이어 행거나 가스리프트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하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플랩도어(3)의 오픈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바디브라켓
3; 플랩도어
5; 플랩브라켓
7; 하측링크
9; 상측링크
11; 스토퍼그루브
13; 스토퍼돌기
15; 록킹캠
17; 스프링
19; 함몰부
21; 장엣지부
23; 단엣지부
25; 캠돌기
27; 제한돌기

Claims (8)

  1. 차체에 고정되는 바디브라켓과;
    플랩도어에 고정되는 플랩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링크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측링크의 상측에서 상기 바디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링크와;
    상기 상측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상기 플랩브라켓에 대한 상기 하측링크의 회전축에 회전축이 동심축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그루브 및 스토퍼돌기와 접촉하는 록킹캠과;
    상기 록킹캠의 회전 방향을 탄성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랩브라켓과 상기 록킹캠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그루브와 스토퍼돌기는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록킹캠이 상기 스토퍼그루브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돌기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은 타원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에 의해, 상기 함몰부의 양쪽에 두 엣지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엣지부는 상기 록킹캠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장엣지부와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단엣지부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은 상기 플랩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상측링크의 일단부와 접촉하면서 회전하다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은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면서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단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이격된 상태로 넘어가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에는 캠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플랩브라켓에는 상기 캠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록킹캠이 상기 록킹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록킹캠의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그루브에 삽입되어 록킹상태를 형성할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장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다가, 상기 플랩도어가 상기 록킹상태보다 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스토퍼돌기에 의해 상기 록킹캠의 캠돌기가 상기 제한돌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수준 이상 회전되면, 상기 단엣지부가 상기 스토퍼돌기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인가되는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플랩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상기 록킹캠의 회전축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록킹캠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호형으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KR1020190062247A 2019-05-28 2019-05-28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Active KR10260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47A KR10260304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US16/571,988 US11446992B2 (en) 2019-05-28 2019-09-16 Locking apparatus for flap doo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47A KR10260304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71A KR20200136571A (ko) 2020-12-08
KR102603043B1 true KR102603043B1 (ko) 2023-11-15

Family

ID=7355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247A Active KR102603043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46992B2 (ko)
KR (1) KR102603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1713B1 (ko) * 2020-10-07 2024-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용 4절링크형 유동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7710A (en) * 1931-06-06 1934-05-08 Eberhard Mfg Company Door operating mechanism
US2198572A (en) * 1939-02-11 1940-04-23 Brockway Motor Company Inc Vehicle door operating gear
US2725099A (en) * 1952-01-19 1955-11-29 Int Harvester Co Door operator
US3533681A (en) * 1968-01-18 1970-10-13 Edward C Glaser Folding rear view mirror for bus door
KR19990018232U (ko) 1997-11-08 1999-06-05 정몽규 스태이바를 사용한 버스의 플랩도어의 고정구조
US6264267B1 (en) * 1998-09-18 2001-07-24 International Truck And Engine Corporation School bus door operator
KR100980615B1 (ko) * 2008-09-24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플랩도어 열림 고정구조
US10487566B2 (en) * 2017-09-14 2019-11-26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Zero lash torque transfer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46992B2 (en) 2022-09-20
US20200376939A1 (en) 2020-12-03
KR20200136571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2549B1 (en) Bicycle carrier
US4527825A (en) Fuel filler door with dual hinge
US2870477A (en) Hinge
CN206513184U (zh) 自动缓冲开关烤箱门铰链
JPS6271722A (ja) ハツチバツク型蓋板の釣合わせ装置
KR102603043B1 (ko) 차량의 플랩도어 록킹장치
JP2016069845A (ja) 蓋部材の開閉構造
CN206928803U (zh) 车辆尾门及用于车辆尾门的限位铰链系统
CN202413810U (zh) 铁路客车及其脚蹬翻板组成
US2398936A (en) Ash receiver
KR20180046185A (ko) 차량용 커버링쉘프 거치장치
JPS6152010B2 (ko)
CN201753010U (zh) 滑门安装结构及其汽车
CN107458479B (zh) 导流板组件及具有其的车辆
CN110345702B (zh) 瓶框、冰箱门体以及冰箱
JPS581852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10097449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열림 제어장치
KR100424885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CN217080056U (zh) 一种汽车机盖限位器及汽车
CN109555386A (zh) 一种提高车门限位器助关能量结构
US2856629A (en) Hold open door hinge
US2154323A (en) Supporting mechanism
JP2567432Y2 (ja) 戸車装置
KR10055218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JPS5815567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