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0879B1 - 세포 내 atp 증강제 - Google Patents

세포 내 atp 증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879B1
KR102600879B1 KR1020187007813A KR20187007813A KR102600879B1 KR 102600879 B1 KR102600879 B1 KR 102600879B1 KR 1020187007813 A KR1020187007813 A KR 1020187007813A KR 20187007813 A KR20187007813 A KR 20187007813A KR 102600879 B1 KR102600879 B1 KR 10260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sine
febuxostat
atp
uric acid
d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164A (ko
Inventor
다케시 니시노
나오유키 가마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타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타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타젠
Publication of KR2018003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61K31/70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urine ring system, e.g. guanosine, gua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내의 ATP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 물질, 그 중에서도 이노신 단독, 또는 페북소스타트 단독에 의한 증가 효과를 훨씬 능가하는 강력한 ATP 증가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이하의 A) 및 B)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 내 ATP 증가제.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Description

세포 내 ATP 증강제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 내 ATP 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 내 ATP 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ATP(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이하 간단히 ATP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는 생물의 에너지를 축적하고, 필요한 때에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화합물이고, ATP 감소는 여러가지 질환의 병태에 관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예컨대, 각종 유전성 용혈성 빈혈의 원인으로서, 적혈구 내의 ATP 감소가 용혈의 메카니즘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예컨대, 겸형 적혈구증(비특허문헌 1), 피루베이트 키나아제 결손증(비특허문헌 2), 구상 적혈구증(비특허문헌 3), 타원 적혈구증(비특허문헌 3), 구순상 적혈구증(비특허문헌 4), 탈라세미아(비특허문헌 5) 등이다.
또한,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근 장해의 메카니즘으로서 세포 내 ATP 저하가 시사되어 있고(비특허문헌 6),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약인 알로푸리놀의 고용량 투여에 의해 만성 안정성 협심증의 증상이 억제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7). 저자 등은, 알로푸리놀이 ATP를 증가시킨 것에 의해 허혈성 심질환에 양호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시사하고 있다(비특허문헌 7).
또한, ATP 증강 요법은 심부전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에서는 심부전 환자에 종종 심장 이식이 행해지고 있고, 심부전의 발생으로부터 사망에 이르는 기간이 아니라, 심부전의 발생으로부터 심장 이식에 이르는 기간이 심부전 진행 속도의 기준이 된다. 심장 이식에 이르는 기간이 짧은 것은 심부전의 진행이 빠른 것을 나타낸다. 구미에서는 유전성 근 AMP 데아미나아제(AMPD) 결손증의 빈도가 매우 높고, 약 20%의 일반인이 헤테로 접합체 결손증이다. 연구에 의해 근육의 유전적 AMPD 결손자는, 심부전 발생으로부터 심장 이식에 이르는 기간이 긴 것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8). 또한, AMPD 저해약에 의해 마우스의 심부전이 개선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비특허문헌 9). 일반적으로 운동을 하면 근육의 ATP는 감소한다. 그러나, 유전성 근 AMPD 결손자는 운동 후에도 근육 내 ATP가 감소하지 않거나, 혹은 감소가 억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0). 즉, AMP가 IMP(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이하 간단히 IMP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AMP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ATP 감소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도 1). 이로부터 생각하면, 유전적 근 AMPD 결손증에서는 심근 세포의 ATP 감소가 일어나기 어려워 심부전의 진행이 억제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ATP를 증강함으로써, ATP 저하가 병태에 관계하는 질환의 병태를 개선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노신 투여에 의해 ATP 증가에 의해 근육 운동의 증강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기대하고, 이노신이 근육 운동을 증강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최근에는 그 효과를 부정하는 보고도 있다(비특허문헌 11). 그러나, 이노신에 의한 근 운동 증강 작용이 증명되지 않는 원인은, 이노신만으로는 ATP 증강 작용이 불완전하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니시노 등은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이하, 간단히 ALS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모델 마우스에 페북소스타트 등의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약을 투여하여, 질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했다(비특허문헌 12). 알로푸리놀은 질환 진행을 억제하지 않았다. 니시노 등은 페북소스타트의 투여에 의해 신경 세포의 ATP가 증가하는 것이 질환 진행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알로푸리놀에 효과가 없는 이유는 PRPP를 소비하고, ATP 합성을 오히려 억제하기 때문으로 추측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실제로, ALS 모델 마우스의 Na/K-ATPase를 넉-다운(knock-down)함으로써 신경 세포의 변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2). 또한 ALS 환자에서는 Na/K-ATPase 활성이 갱신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3). 즉, ATP를 감소시키는 Na/K-ATPase의 활성화가 ALS의 발증 혹은 진행을 촉진하고, ATP 감소를 억제하는 Na/K-ATPase의 억제가 ALS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노신 투여에 의해 파킨슨병(비특허문헌 14), 다발성 경화증(비특허문헌 15)의 증상이 경감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 등은 모두 혈청 요산치의 저하가 질환에 관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노신을 투여함으로써 혈청 요산치를 상승시키고,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임상 시험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보고로는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이노신의 단독 투여에 의해서도 세포 내 ATP는 다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실제로, Ogasawara 등은 20-30일 저온에서 방치하고, ATP가 저하된 적혈구에 이노신을 첨가하고 1시간 방치한 후, ATP가 상승한 것을 보고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6). 그러나, 인간 체내에서는 이노신은 히포크산틴, 크산틴을 거쳐 요산으로 신속히 대사된다(도 1). 따라서 이노신만으로 충분한 ATP 증강 작용을 발휘하기에는 불충분했다. 또한, 페북소스타트의 단독 투여에서도 다소의 세포 내 ATP의 증강은 기대할 수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비특허문헌 1: Palek J, Liu SC, Liu PA. Crosslinking of the nearest membrane protein neighbors in ATP depleted, calcium enriched and irreversibly sickled red cells. Prog Clin Biol Res. 1978;20:75-91. 비특허문헌 2: Glader BE. Salicylate-induced injury of pyruvate-kinase-deficient erythrocytes. N Engl J Med. 1976 Apr 22;294(17):916-8. 비특허문헌 3: de Jong K, Larkin SK, Eber S, Franck PF, Roelofsen B, Kuypers FA. Hereditary spherocytosis and elliptocytosis erythrocytes show a normal transbilayer phospholipid distribution. Blood. 1999 Jul 1;94(1):319-25. 비특허문헌 4: Mentzer WC Jr, Smith WB, Goldstone J, Shohet SB. Hereditary stomatocytosis: membrane and metabolism studies. Blood. 1975 Nov;46(5):659-69. 비특허문헌 5: Wiley JS. Increased erythrocyte cation permeability in thalassemia and conditions of marrow stress. J Clin Invest. 1981 Apr;67(4):917-22. 비특허문헌 6: Vogt AM, Ackermann C, Yildiz M, Schoels W, Kubler W. Lactate accumulation rather than ATP depletion predicts ischemic myocardial necrosi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thal myocardial injury. Biochim Biophys Acta. 2002 Mar 16;1586(2):219-26 비특허문헌 7: Noman A, Ang DS, Ogston S, Lang CC, Struthers AD. Effect of high-dose allopurinol on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stable angina: a randomised, placebo controlled crossover trial. Lancet. 2010 Jun 19;375(9732):2161-7. 비특허문헌 8: Loh E, Rebbeck TR, Mahoney PD, DeNofrio D, Swain JL, Holmes EW. Common variant in AMPD1 gene predicts improved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irculation. 1999 Mar 23;99(11):1422-5. 비특허문헌 9: Borkowski T, Slominska EM, Orlewska C, Chlopicki S, Siondalski P, Yacoub MH, Smolenski RT. Protection of mouse heart against hypoxic damage by AMP deaminase inhibition.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2010 Jun;29(4-6):449-52. 비특허문헌 10: Norman B, Sabina RL, Jansson E. Regulation of skeletal muscle ATP catabolism by AMPD1 genotype during sprint exercise in asymptomatic subjects. J Appl Physiol (1985). 2001 Jul;91(1):258-64. 비특허문헌 11: McNaughton L, Dalton B, Tarr J. Inosine supplementation has no effect on aerobic or anaerobic cycling performance. Int J Sport Nutr. 1999 Dec;9(4):333-44. 비특허문헌 12: Yasuko Abe, Shinsuke Kato, Takeshi Nishino. Therapeutic agent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 Patent US 8318792 B2, European Patent EP2050467 A1 비특허문헌 13: Gallardo G, Barowski J, Ravits J, Siddique T, Lingrel JB, Robertson J, Steen H, Bonni A. An α2-Na/K ATPase/α-adducin complex in astrocytes triggers non-cell autonomous neurodegeneration. Nat Neurosci. 2014 Dec;17(12):1710-9. 비특허문헌 14: Parkinson Study Group SURE-PD Investigators, Schwarzschild MA, Ascherio A, Beal MF, Cudkowicz ME, Curhan GC, Hare JM, Hooper DC, Kieburtz KD, Macklin EA, Oakes D, Rudolph A, Shoulson I, Tennis MK, Espay AJ, Gartner M, Hung A, Bwala G, Lenehan R, Encarnacion E, Ainslie M, Castillo R, Togasaki D, Barles G, Friedman JH, Niles L, Carter JH, Murray M, Goetz CG, Jaglin J, Ahmed A, Russell DS, Cotto C, Goudreau JL, Russell D, Parashos SA, Ede P, Saint-Hilaire MH, Thomas CA, James R, Stacy MA, Johnson J, Gauger L, Antonelle de Marcaida J, Thurlow S, Isaacson SH, Carvajal L, Rao J, Cook M, Hope-Porche C, McClurg L, Grasso DL, Logan R, Orme C, Ross T, Brocht AF, Constantinescu R, Sharma S, Venuto C, Weber J, Eaton K. Inosine to increase serum and cerebrospinal fluid urate in Parkinson diseas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Neurol. 2014 Feb;71(2):141-50. 비특허문헌 15: Markowitz CE, Spitsin S, Zimmerman V, Jacobs D, Udupa JK, Hooper DC, Koprowski H.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with inosine. J Altern Complement Med. 2009 Jun;15(6):619-25. 비특허문헌 16: Ogasawara N, Goto H, Yamada Y, Nishigaki I, Itoh T, Hasegawa I, Park KS.Deficiency of AMP deaminase in erythrocytes. Hum Genet. 1987 Jan;75(1):15-8.
본 발명은, 세포 내의 ATP를 증강시키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 그 중에서도 이노신 단독, 또는 페북소스타트 단독에 의한 증강 효과를 능가하는 ATP 증강제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나아가서는, ATP를 증강하기 위해 이노신을 투여할 때에, 이노신에 의한 혈청 요산치의 증가를 억제한 새로운 ATP 증강제의 제공, ATP 증강 방법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이하의 A) 및 B)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 내 ATP 증강제.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2>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가, 페북소스타트, 토피록소스타트(후지 약품), 알로푸리놀, 히드록시알칸, 카르프로펜 및 Y-700(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1>에 기재된 세포 내 ATP 증강제.
<3> 합제 또는 키트제의 형태인, <1> 또는 <2>에 기재된 ATP 증강제.
<4> 세포 내 ATP 증강제로서, 이노신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페북소스타트.
<5> 이하의 A) 및 B)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합제 또는 키트제인 의약품.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투여 방법도 제공한다.
<6> 이하의 A) 및 B)를 인간 또는 동물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인간 또는 동물의 세포 내 ATP 증강 방법.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7>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가, 페북소스타트, 토피록소스타트(후지 약품), 알로푸리놀, 히드록시알칸, 카르프로펜 및 Y-700(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6>에 기재된 세포 내 ATP 증강 방법.
<8> A) 및 B)가 A) 및 B)를 포함하는 합제인 <6> 또는 <7>에 기재된 세포 내 ATP 증강 방법.
<9> 이하의 A) 및 B)를 용혈성 빈혈,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파킨슨병 또는 ADSL 결손증의 환자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세포 내 ATP 증강 방법.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본 발명의 이하의, A) 및 B)의 병용 투여에 의한 ATP 증강 효과에 의해, ATP 감소가 병태의 일부를 형성하는 여러가지 질환, 나아가서는 ATP의 과잉 공급에 의해 병태의 진행이 억제되는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도 1은, ATP 합성에 관한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 투여의 스케줄과 혈청 요산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혈청 요산치 측정일, 종축은 혈청 요산치(단위 mg/dL)를 나타낸다.
도 3은, 이노신의 투여량과 혈청 요산치의 관계를 분석한 회귀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이노신의 1일 투여량(단위 g/일), 종축은 혈청 요산치(단위 mg/dL)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식은 회귀 직선을 나타내는 식이다. 이 x는 이노신의 1일 투여량, y는 혈청 요산치를 나타낸다.
도 4는, 페북소스타트 또는 이노신의 단독 투여, 및 양약제의 병용의 스케줄과 혈청 요산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혈청 요산치 측정일(예컨대, 20150501은 2015년 5월 1일을 나타냄), 종축은 혈청 요산치(단위 mg/dL)를 나타낸다.
도 5는,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 병용시와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을 때의 말초혈 중의 각종 퓨린체의 양을 비교한 도면이다. 퓨린체의 양은 전부 전혈 1 L 내의 몰량으로 나타냈다. 페북소스타트(40 mg)+이노신(2 g):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 병용시의 값임. None: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을 때의 값임.
도 6은, A∼E 군의 투여를 행한 경우의 혈청 요산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측정 기간(주), 종축은 혈청 요산치(단위 mg/dL)를 나타낸다. A 군: 페북소스타트 20 mg, 1일 2회, 14일간, B 군: 이노신 500 mg, 1일 2회, 14일간, C 군: 페북소스타트 20 mg+이노신 500 mg, 1일 2회, 14일간, D 군: 페북소스타트 20 mg+이노신 1000 mg, 1일 2회, 14일간, E 군: 페북소스타트 30 mg, 1일 2회, 14일간(이하의 도면에서도 동일)
도 7은, A∼E 군의 투여를 행한 경우의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측정 기간(주), 종축은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비)를 나타낸다.
도 8은, A∼E 군의 투여를 행한 경우의 혈액 중 ATP 및 ADP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측정 기간(주), 종축은 ATP 또는 ADP 농도(단위 μM)를 나타낸다. ATP: 실선, ADP: 파선.
도 9는, A∼E 군의 투여를 행한 경우의 혈액 중 Hx(히포크산틴), X(크산틴)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횡축은 측정 기간(주), 종축은 Hx 또는 X 농도(단위 μM)를 나타낸다. Hx: 실선, X: 파선.
도 10은, A∼E 군의 투여를 행한 경우의 뇨 중의 각종 퓨린체의 농도(μM)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효 성분은, A)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 저해제로는, 페북소스타트, 토피록소스타트(후지 약품), 알로푸리놀, 히드록시알칸, 카르프로펜 및 Y-700(타나베 미츠비시 제약)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페북소스타트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유효 성분은,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다. 이 중에서도 이노신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포 내 ATP 증강제란,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이 세포 내에서 ATP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말한다. 증가에는, 정상으로부터의 증가, 또는 감소를 억제하는 것, 혹은 감소한 상태로부터 정상에 가까워지게 하는 것의 어느 것이나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효과의 확인은, 세포 내 ATP 농도의 직접적인 측정 외에, ATP 증가에 의해 초래되는 다른 대사 경로의 산물의 측정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A) 및 B)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다」란, A)의 성분과 B)의 성분이 투여 대상의 체내에서 ATP 증강 작용을 발휘하도록 투여될 수 있도록 조합된 양태를 전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A)의 성분과 B)의 성분이 혼합되어 조성물을 형성하고 있는 합제, 혹은 혼합되지 않고, 물리적으로 따로따로 존재하지만, 투여될 때에 동 시기에 투여되도록 통합되어 존재하는 약제의 양자를 포함한다. A)의 성분과 B)의 성분이 혼합되어 조성물을 형성하고 있는 합제의 예로는, 혼합되어 제제화된 것을 들 수 있다. 제제화의 예로는, 과립, 분체, 고형제, 액체 등의 경구제를 들 수 있다. 물리적으로 따로따로 존재하지만, 투여될 때에 동 시기에 투여되도록 통합되어 존재하는 약제로는, 소위 키트제나, 하나의 주머니에 모아지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동 시기란, 반드시 엄밀한 의미에서의 동시를 의미하지 않고, 본 발명의 ATP 증강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에서 간격을 두는 경우도 본 발명의 동 시기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예컨대, 한쪽을 식전, 한쪽을 식후에 먹는 것과 같은 경우는 본 발명의 동 시기에 투여되는 경우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투여량은, A)의 페북소스타트는, 1일 10∼80 mg/일이 바람직하다. B)의 이노신은, 0.5 ∼4.0 g/일이 바람직하다.
투여법은, 상기 투여량을 각각 1일 1회 또는 2회 이상으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중에서도, 페북소스타트는, 종래의 페북소스타트의 용법과 같이 1일 1회 투여가 아니라, 1일 2회의 투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노신도 1일 1회보다 2회의 투여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노신, 페북소스타트 모두 1일 2회로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합제로 하는 경우는, 1일의 투여량, 투여 방법을 고려하여 조정하면 되고,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을, 페북소스타트 20 mg, 또는 40 mg에 이노신 0.5 g, 1 g, 1.5 g, 또는 2 g을 첨가한 것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여 대상은, 인간 또는 동물이고, ATP의 증강이 필요한 상태에 있는 인간 또는 동물이다.
대상 질환으로는, ATP 감소가 병태에 관련하고 있는 것이 강하게 시사되는, 이하의 질환
(1) 용혈성 빈혈 (2) 허혈성 심질환 (3) 심부전 (4)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5) 파킨슨병 (6) ADSL 결손증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2) 허혈성 심질환 (3) 심부전 (4)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ATP 증강제는, 본 발명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의약과 더욱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예 1] 제1회째의 투여 시험(병용 투여)
1. 혈청 요산치의 측정 방법
임상 화학 자동 분석 장치는 아크레이 주식회사 제조의 건식 임상 화학 분석 측정 유닛을 이용하고, 혈청 요산치의 측정은 우리카아제-페록시다아제법을 이용했다.
2. 투여 시험
(1) 투여 대상
인간 연령 67세, 남, 신장 180 cm, 체중 77 kg
(2) 투여 스케줄
투여 스케줄을 도 2에 나타낸다. 우선, 페북소스타트를 40 mg/일 투여하고(페북소스타트 단독 투여), 얼마 후에, 그것에 더하여 이노신을 투여하고(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 투여), 이노신의 투여량을 0.5 - 3 g/일로 점증하는 제1회째의 임상 시험을 행했다. 이 사이, 도 2의 횡축에 나타내는 타이밍에서 채혈하여, 혈청 요산치를 측정했다.
3. 혈청 요산치 측정 결과
각 투여 시기의 혈청 요산치를 도 2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면 페북소스타트 40 mg/일의 투여에 의해 기대대로 요산치는 8.4 mg/dL(2014.07.05)로부터 4.7 mg/dL(2014.07.12)로 저하되었다. 그 후, 페북소스타트에 더하여 이노신을 0.5 g/일로부터 3 g/일까지 점증적으로 투여한 결과, 이노신 0 g, 0.5 g, 1 g, 2 g, 3 g 투여시의 혈청 요산치는 4.9(2014.08.23), 5.1(2014.9.01), 5.5(2014.09.06), 6.0(2014.09.11), 6.4(2014.09.26) mg/dL이고, 회귀 분석에 의해 이노신 1 g당, 0.51 mg/dL의 비율로 혈청 요산치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도 3). 이것은 도 3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51로 되어 있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즉 x(이노신)가 1 증가하면, y(혈청 요산치)는 0.51 증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 이노신 3 g/일 투여에 의해서도 유해 사상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시험예 2] 제2회째의 투여 시험
1. 혈청 요산치의 측정 방법
시험예 1과 동일
2. 투여 시험
(1) 투여 대상은 시험예 1과 동일
(2) 투여 스케줄
투여 스케줄을 도 4에 나타낸다. 시험예 1을 끝낸 환자에, 충분한 기간을 둔 후, 다시 페북소스타트 40 mg/일을 투여하고, 3일 후에 혈청 요산치를 측정했다. 그 후 페북소스타트를 중지하고, 얼마 후에 다음으로 이노신 2 g/일 투여(조, 석식 후 1 g 투여)를 개시하고, 그 후에 이노신 2 g/일과 페북소스타트 40 mg(조, 석식 후 20 mg 투여)을 병용했다. 도 4의 횡축에 기재한 시점에서 혈청 요산치를 측정했다.
3. 혈청 요산치 측정 결과
각 투여 시기의 혈청 요산치를 도 4에 나타낸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을 투여하고, 3일 후에 측정한 혈청 요산치는, 투여 전의 8.2 mg/dL(20150501)로부터 투여 후의 4.8 mg/dL(20150515)로 3.4 mg/dL 저하되어 있었다. 이것은 전회 시험의 3.7 mg/dL 저하와 거의 동일하다.
그 후, 페북소스타트를 중지하고, 혈청 요산치가 8.1 mg/dL(20150605), 8.3 mg/dL(20150703)로 이전과 거의 동일한 값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했다(도 4). 20150704부터, 이노신 2 g/일 투여(조, 석식 후 1 g 투여)를 개시하고, 6일 후에 측정한 혈청 요산치는, 13.4 mg/dL로 매우 상승되어 있었다. 즉, 이노신 2 g/일 투여에 의해 5.1 mg/dL 상승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노신 1 g/일 투여당 2.55 mg/dL 상승한 것이 된다. 그 후, 페북소스타트 40 mg(조, 석식 후 20 mg 투여)을 병용한 결과, 혈청 요산치는 4.4 mg/dL(20150717)였다(도 4). 유해 사상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시험예 3] 제3회째의 투여 시험
1. 분석 방법
(1) 퓨린체의 측정 방법
말초혈 중의 각종 퓨린체의 측정은, 문헌(1)에 의했다. 간단히 서술하면, 말초혈을 EDTA 채혈하고, 500 μL+500 μL 아주 찬 8% PCA와 혼합하고, 즉시 5초 Vortex 12,000x g으로 4℃에서 10분간 원심, 상청을 -80도에서 보존했다. 샘플이 모인 상태에서, 용해하고, 용해액 650 μL에 6 M KOH 중 2 M K2CO3 40 μL를 첨가하고, PCA의 침전과 중성화를 동시에 행했다. 이것을, 12,000 x g으로 섭씨 4도에서 10분간 원심 후, 상청 40 μL에 이동상 160 μL를 첨가하여 HPLC에 가했다. HPLC의 조건도 하기 문헌(1)에 의했다. 퓨린체의 양은 전혈 1 L 중에 포함되는 몰량으로 나타냈다.
문헌(1) Coolen EJ, Arts IC, Swennen EL, Bast A, Stuart MA, Dagnelie PC.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and its metabolites in human whole blood by RP-HPLC and UV-detection. J Chromatogr B Analyt Technol Biomed Life Sci. 2008 Mar 15;864(1-2):43-51.
(2) 요산의 측정 방법
시험예 1과 동일
2. 투여 시험
(1) 투여 대상은 시험예 1과 동일
(2) 투여 스케줄
이노신 2 g/일(조, 석식 후 1 g 투여), 페북소스타트 40 mg(조, 석식 후 20 mg 투여)을 병용한 7일 후에, 말초혈 중의 각종 퓨린체 측정을 위한 채혈을 행했다(도 5의 페북소스타트 (40 mg)+이노신 2 g). 계속해서, 모든 약제를 중지하고, 7일 후에, 말초혈 중의 각종 퓨린체 측정을 위한 채혈을 행했다(도 5의 none).
3. 시험 결과
시험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요산치는 이노신, 페북소스타트 병용시에 있어서, 약물 복용 없을 때의 0.54배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제2회째의 투여 시험의 성적에서, 약물 복용 없는 혈청 요산치가 8.2, 8.1, 8.3 mg/dL이고, 이노신 2 g/일(조, 석식 후 1 g 투여), 페북소스타트 40 mg(조, 석식 후 20 mg 투여)일 때의 혈청 요산치가 4.4 mg/dL였기 때문에 4.4/8.1 = 0.54이고 타당한 값이다. 즉, 이노신 2 g/일, 페북소스타트 40 mg/일, 병용시의 혈청 요산치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을 때의 1/2 정도이다.
ATP는 약물 투여에 의해 1.05배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것은 정상자이고 ATP 저하가 보이지 않는 인간의 투여 실험이기 때문에 타당하다. 정상인에 있어서는 ATP는 충분히 있고, 그 이상 증강할 필요는 없다. IMP는 ATP에 비교하면 매우 소량이고(약물 없음의 상태에서 IMP 량은 ATP 량의 1/204), 약물 투여에 의해 1.16배로 되어 있다(도 5). 즉,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 병용에 의한 IMP의 증가는 약간이다. 가장 증가가 현저한 퓨린체는 예상대로 히포크산틴이다. 이것은 27.3배로 증가하고 있다(도 5). 이노신은 1.65배로, 크산틴은 5.76배로 증가하고 있다. 이노신을 1일 2 g 투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노신은 약간밖에 증가하지 않고, 히포크산틴의 증가에 소비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행히 결석의 보고가 있는 크산틴의 증가는 한정된 양이다. 당연히, 페북소스타트 때문에 요산의 증가는 현저히 억제되어 있다.
금번의 실험은 정상인에서 행한 것이고, 정상인에 있어서는 ATP는 충분히 있어, 그 이상 증강할 필요는 없다.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의 병용에 의해 큰 증가는 없었다. 그러나, 히포크산틴의 증가가 현저하기 때문에 ATP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즉시 그것을 보급하는 회로가 작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도 1).
또한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의 병용에 의해, 이노신이나 크산틴은 약간밖에 증가하지 않고, 요산은 오히려 저하되었다. 히포크산틴만이 대폭 증가했다. 크산틴의 증가도 비교적 적고, 요산의 양에 비교하면 문제없는 양이다. 이것은,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의 병용에 의해 결정 뇨나 결석의 가능성이 낮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4. 제1∼제3회째의 시험 결과의 고찰
제2회째의 시험의 결과를 제1회째의 시험의 결과와 비교하면, 제1회째의 시험에서는 40 mg/일의 페북소스타트의 존재하에서 이노신 1 g/일 투여당 혈청 요산치는 0.51 mg/dL 상승했기 때문에, 페북소스타트는 이노신에 의한 혈청 요산치의 증가를 0.51/2.55 = 1/4.47로 억제한 것이 된다.
즉, 페북소스타트는 혈청 요산치를 저하시키고, 이노신은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지만, 이노신의 혈청 요산 증가 작용은 페북소스타트에 의해 대폭(1/4.47, 즉 22.4%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꿔 말하면, 페북소스타트는 혈청 요산치를 낮출 뿐만 아니라, 이노신에 의한 혈청 요산 증가 작용을 대폭 억제한다.
페북소스타트가 이노신에 의한 혈청 요산치 증가 작용을 대폭 억제한다는 데이터는, 페북소스타트의 작용에 의해, 이노신으로부터 얻어진 히포크산틴이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의 억제에 의해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이것은 제3회째의 시험의 결과(도 5)에 의해 확인되었다. 이 증가는 이노신 단독 투여보다 대폭 큰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노신 단독의 투여에서는 혈청 요산치의 증가에서 보이듯이, 즉시 요산까지 대사되어 히포크산틴의 증가 작용이 불충분하고, ATP 증강도 불충분한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3회째의 시험에서는,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의 병용에 의해 이노신의 증가는 약간이었다. 대부분이 히포크산틴의 증가에 소비되고 있었다. 그 히포크산틴이 ATP 증강에 공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도, 이노신에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PNP)가 작용하고, 즉시 히포크산틴과 리보스-1-포스페이트로 변환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도 1). 여기서 생긴 히포크산틴과 리보스-1-포스페이트의 양쪽이 ATP를 증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도 1). 더구나, 페북소스타트가 크산틴 옥시다아제/크산틴 데히드로게나아제를 강하게 억제하기 때문에 히포크산틴의 크산틴으로의 분해가 억제되어 히포크산틴 농도가 높아지고, 이것이 더욱 퓨린 화합물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시에, 히포크산틴의 증가만이 현저했던 것에 의해 뒷받침된다(도 5). 히포크산틴은 HPRT 효소에 의해 PRPP와 반응하여 IMP를 합성한다(도 1). IMP는 2개의 반응에 의해 AMP가 되고, 이것은 ATP가 된다. 한편, 리보스-1-포스페이트는 리보스-5-포스페이트를 통해 PRPP의 공급원이 되고, 아데닌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제(APRT)의 작용에 의해 아데닌과 결합하여 AMP를 발생하고, 더욱 ATP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PRPP가 드노보(de novo) 퓨린 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 HPRT의 기질이 되어 IMP를 증가시키는 작용도 큰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중요한 것은 이노신과 페북소스타트의 병용을 행하는 경우의 페북소스타트의 투여법이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 이노신 2 g/일 투여의 경우, 제1회째, 제2회째의 시험 모두 이노신은 1회 1 g으로 조석식 후의 투여였다. 그러나, 페북소스타트는 제1회째의 시험에서는 40 mg을 1회, 조식 후 투여였지만, 제2회째의 시험에서는 20 mg을 2회, 조석식 후 투여였다. 그리고, 전자에서는 혈청 요산치가 6.0 mg/dL, 후자에서는 4.4 mg/dL이고, 1.5 mg/dL의 큰 차이가 있었다. 이것은 페북소스타트의 40 mg 1일 1회의 투여보다, 20 mg 1일 2회의 투여 쪽이 혈청 요산치의 저하 작용이 강한 것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부터, 페북소스타트를 이노신과 병용하는 경우, 종래의 페북소스타트의 용법과 같이 1일 1회 투여가 아니라, 이노신과 마찬가지로 1일 2회의 투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예 4] 임상 시험(병용 투여)
상기 제1회째∼제3회째의 투여 시험은, 그 투여 대상이 동일 대상이었지만, 본 시험에서는 투여 대상의 범위를 넓혀 임상 레벨의 시험을 행하고, 제1회째∼제3회째의 시험 결과가 옳은 것을 확인했다.
1. 각종 측정 방법
(1) 임상 검사
하기 항목 이외는 정법에 의해 측정했다.
(2) 혈청 요산치
시험예 1과 동일
(3)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
뇨 중 요산 농도는 뇨량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뇨 중 크레아티닌 농도로 나눈, 뇨 중 요산/크레아티닌의 값을 이용하여, 뇨 중 요산량을 평가했다. 요산치의 측정 방법은 시험예 1과 동일.
(4) 혈액 중 퓨린체 농도
시험예 3과 동일
(5) 뇨 중 퓨린체 농도
시험예 3과 동일
2. 투여 시험
(1) 투여 대상
일본인의 건강 성인 남성 16명을, 제Ⅰ기는 1명, 제Ⅱ기는 15명을 A 군∼E 군에 각 군 3명씩으로 나누어 하기 투여 시험을 행했다.
(2) 투여 스케줄
(2-1) 제Ⅰ기
1명에 대하여, 페북소스타트 20 mg과 이노신 500 mg, 1일 2회의 동시 투여를 14일간 행하고, 안전성을 확인했다.
(2) 제Ⅱ기
제Ⅰ기 종료 후, 하기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각 군 3명에 투여를 행했다.
A 군 페북소스타트 20 mg, 1일 2회, 14일간
B 군 이노신 500 mg, 1일 2회, 14일간
C 군 페북소스타트 20 mg+이노신 500 mg, 1일 2회, 14일간
D 군 페북소스타트 20 mg+이노신 1000 mg, 1일 2회, 14일간
E 군 페북소스타트 30 mg, 1일 2회, 14일간
3. 결과
3-1. 제Ⅰ기
(1) 유해 사상
(1-1) 신체 소견 등
피검자는 자각 소견, 및 신체 소견에서 유해 사상은 없었다.
(1-2) 임상 검사
8일째의 AST가 49 U/L(기준치 10∼40)로 이상치를 나타냈지만, 15일째에 29 U/L로 기준치로 회복되었다. 8일째의 크레아티닌이 1.09 mg/dL(기준치 0.61∼1.04)로 이상치를 나타냈지만, 15일째에 0.98 mg/dL로 기준치로 회복되었다. 8일째의 혈당치가 66 mg/dL, 15일째가 67 mg/dL(기준치 70∼109)로 이상치를 나타냈다.
(2) 요산치의 변화
혈청 요산치는, 1일째 4.9 mg/dL, 8일째 2.5 mg/dL, 15일째 2.9 mg/dL였다. 페북소스타트 40 mg, 이노신 1 g의 복용에 의해, 평균 2.2 mg/dL 저하된 것이 된다.
3-2. 제Ⅱ기
(1) 유해 사상
(1-1) 신체 소견
연령, 신장, 체중, BMI,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맥박, 체온에 군 사이의 현저한 차는 없었다. 최고 혈압, 최저 혈압, 맥박, 체온도, 피검자 1명에 있어서 맥박수의 현저한 증가가 보인 것 이외에는, 현저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1-2) 각 검사치의 유해 사상(요산치를 제외함)
총단백, 알부민, 총빌리루빈, AST, ALT, AL-P, LD, γ-GT, 총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정량, 요산,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나트륨, 크롤, 칼륨, 칼슘, 혈당 검사, HbA1c(NGSP), 백혈구수 WBC, 적혈구수 RBC, 혈색소량 Hb, 헤마토크리트 Ht, 혈소판수 PLT, BASO, EOSINO, NEUTRO, LYMPH, MONO에 관하여 측정했다.
특히 각 군의 배경에 차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혈청 요산치 이외에는 특별히 현저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2) 혈청 요산치의 변화
도 6에 A∼E의 군마다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노신만을 투여한 B 군에서는 혈청 요산치의 현저한 증가가 보였다(최고 8.1 mg/dL). A, C∼E 군에서는 혈청 요산치의 저하가 보였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 투여예에서는 혈청 요산치가 2 mg/dL 미만으로 저하된 예는 없었지만, 페북소스타트 60 mg/일 투여군인 E 군에서는 혈청 요산치가 2 mg/dL 미만이 되는 예가 보였다.
페북소스타트 40 mg/dL의 투여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2.53 mg/dL 저하되었지만(A 군), 동시에 이노신을 1일 1 g 투여한 예에서는 2.23 mg/dL 저하(C 군), 1일 2 g 투여한 예에서는 1.47 mg/dL 저하(D 군)되었다.
페북소스타트 60 mg/dL의 투여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3.93 mg/dL 저하되었다(E 군). 1일 1 g의 이노신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평균 2.57 mg/dL 상승했다(B 군). 이것을 페북소스타트 투여하에 있어서의 이노신의 혈청 요산치 증가 효과로부터 검토하면, 페북소스타트 40 mg/일의 하에서는 이노신 1 g/일 투여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0.3 mg/dL, 2 g/일 투여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1.06 mg/dL 증가한 것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페북소스타트 비투여하에서는 1 g/일의 이노신 투여에 의해 혈청 요산치는 2.57 mg/dL 증가했기 때문에 페북소스타트 투여하에서는 이노신에 의한 혈청 요산 상승 작용이 대폭 억제되게 된다.
(3)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
각 군마다의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의 0주부터 2주까지의 변화를 도 7에 나타냈다. 뇨 중 요산/크레아티닌은 B 군만이 이노신 투여에 의해 현저히 증가했다. A, C-G 군은 전부 뇨 중 요산/크레아티닌이 저하되었다. 이들 뇨 중 요산 농도/크레아티닌 농도의 변화는, 혈청 요산치의 변화의 패턴과 거의 동일했다.
(4) 혈액 중 퓨린체 농도
각 군마다의 혈액 중의 퓨린체의 농도의 0주부터 2주까지의 변화를 도 8∼9에 나타냈다.
도 8은 A∼E 군마다의 혈액 중 ATP/ADP의 농도를 나타낸다. A, B 군은 ATP 농도는 변화 없고, C, D 군에서는 ATP가 상승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E 군은 일정한 경향이 보이지 않는다. 즉, 페북소스타트, 이노신 단독 투여에서는 ATP의 상승은 보이지 않지만, 병용예, 특히 페북소스타트 40 mg/일, 이노신 1∼2 g/일의 예에서는 ATP의 상승이 보였다. 이들의 양을 넘은 페북소스타트, 이노신의 병용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도 9는 A∼E 군마다의 혈액 중 히포크산틴(Hx)과 크산틴(X)의 농도를 나타낸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만의 투여군(A 군)에서는 Hx 농도는 불변이지만, X는 현저히 증가했다. 이노신 1 g/일만의 투여군(B 군)에서는 Hx, X 모두 불변이었다. 또, 혈액 중 이노신 농도도 측정했지만, 이노신 단독 투여군을 포함하여, 이노신의 농도의 상승은 보이지 않았다(A-E 군). 이것은 이노신을 Hx로 변환하는 효소, 퓨린 뉴클레오시드 포스포릴라제(PNP)의 농도가 혈액 중에서 매우 높고, 이노신은 신속히 Hx로 분해되고, 나아가서는 Hx, X로 분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페북소스타트 40 mg/일에 이노신을 1∼2 g/일 병용한 예에서는 Hx와 X의 양쪽의 현저한 상승이 확인되었다. 즉, 페북소스타트 단독에서도 이노신 단독에서도 보이지 않은 「혈액 중의 Hx의 상승」이라는 효과가 병용에 의해 보였다(도 9).
페북소스타트 60 mg/일의 단독 투여예에서는 X의 상승과 함께 Hx의 경미한 상승이 보였다(도 9E).
(5) 뇨 중 퓨린체 농도
각 군마다의 뇨 중 이노신, Hx, X, 요산의 농도의 0주부터 2주까지의 변화를 도 10에 나타낸다. 뇨 중 Hx는 페북소스타트 단독 투여예에서는 중정도의 상승을 나타내지만,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예에서는 현저한 상승을 나타냈다. 이노신 단독 사용예에서는 Hx와 X의 상승은 확인되지 않았다. X의 농도는 페북소스타트의 단독 투여예에서도 현저히 상승했지만,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예에서는 더욱 현저히 상승했다.
뇨 중 X의 각 군에서의 최대의 농도는, A 군 556.0, B 군 61.9, C 군 2023.3, D 군 1474.8, E 군 867.7 μM이었다. 즉, 페북소스타트 40 mg과 이노신 1, 2 g을 병용한 예에서는, 페북소스타트 40 mg 단독 투여군에 비교하여 최대 뇨 중 X 농도가 3.64, 2.65배였다.
4. 시험예 4의 고찰
(1)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은, 2주간 연속 복용 시험에 있어서, 페북소스타트 40 mg/일, 이노신 2 g/일 이하의 용량으로 안전했다. 또한, 이들의 병용군에서 혈액 중 ATP의 증가가 보였지만, 그것 이외의 단독 투여군에서는 그러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페북소스타트 단독 투여에서는 혈청 요산치의 현저한 감소, 이노신의 단독 투여에서는 혈청 요산치의 현저한 증가가 보이고, 병용 요법에서는 중정도의 저하가 보였다.
(3) 어떤 군에서도 이노신의 증가는 보이지 않고, PNP에 의해 Hx로 대사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4) 이노신의 단독 투여군에서는 혈액 중에도 뇨 중에도 Hx도 X도 증가하지 않고, 요산으로 변화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5) 페북소스타트 단독 투여군에서는 X가 중정도 증가했지만, Hx는 혈액 중, 뇨 중을 포함하여 경도-중정도 증가했다.
(6)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에서는 Hx, X가 혈액 중, 뇨 중 모두 현저히 증가했다. 혈액 중의 Hx의 증가가 ATP의 증가의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7) 상기 임상 시험에 의해, 이노신, 페북소스타트의 단독 투여에서는 불가능한 약리 작용이 이들의 병용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은 신규한 약리 작용인 혈액 중 히포크산틴과 ATP의 증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제예] 합제의 예
1정당 하기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의 합제(정제 타입)를 제조했다.
페북소스타트 20 mg
이노신 0.5 g
알파화 전분(붕괴 바인더) 70 mg
규화 미결정 셀룰로오스(충전제) 32.656 mg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붕괴제) 1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윤활제) 0.8 mg
[제제예] 키트제의 예
페북소스타트를 포함하는 하기 A의 조성의 정제와 이노신을 포함하는 하기 B의 조성의 의약을 제조하고, 각각 혼합되지 않도록 구획한 동일 주머니에 넣고, 1회분을 조정했다. 이것을 2회분 즉 1일분을 동일한 상자에 곤포하여 키트제를 제조했다.
A. 페북소스타트정
페북소스타트 20 mg
알파화 전분(붕괴 바인더) 70 mg
규화 미결정 셀룰로오스(충전제) 32.656 mg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붕괴제) 1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윤활제) 0.8 mg
B. 이노신
이노신 0.5 g
페북소스타트와 이노신의 병용 투여에 의해 세포 내 ATP의 증강이 가능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약제에 없는, 새로운 약리 작용이다. 따라서, 여러가지 ATP 감소를 병태로 하는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노신이 갖는 요산치 상승 작용이, 페북소스타트와의 병용에 의해 억제되었다. 따라서, 고요산혈증의 치료를 위해 페북소스타트를 투여하는 환자에 대하여, 고요산혈증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고, ATP의 증가를 할 수 있다.

Claims (5)

  1. 이하의 A) 및 B)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용혈성 빈혈,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파킨슨병 또는 ADSL 결손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품:
    A) 페북소스타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B) 이노신, 이노신산, 히포크산틴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합제 또는 키트제의 형태인 의약품.
  3. 이노신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페북소스타트를 포함하는, 용혈성 빈혈, 허혈성 심질환, 심부전,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파킨슨병 또는 ADSL 결손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품.
  4. 삭제
  5. 삭제
KR1020187007813A 2015-08-26 2016-08-24 세포 내 atp 증강제 Active KR102600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6372 2015-08-26
JP2015166372 2015-08-26
PCT/JP2016/074644 WO2017033963A1 (ja) 2015-08-26 2016-08-24 細胞内atp増強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164A KR20180039164A (ko) 2018-04-17
KR102600879B1 true KR102600879B1 (ko) 2023-11-09

Family

ID=5810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813A Active KR102600879B1 (ko) 2015-08-26 2016-08-24 세포 내 atp 증강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682372B2 (ko)
EP (1) EP3342414B1 (ko)
JP (2) JP6153281B1 (ko)
KR (1) KR102600879B1 (ko)
CN (1) CN107921054B (ko)
BR (1) BR112018002648B1 (ko)
CA (1) CA2995052C (ko)
MX (1) MX390332B (ko)
RU (1) RU2728722C2 (ko)
WO (1) WO20170339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4963B1 (fr) * 2016-08-10 2018-09-14 Assistance Publique-Hopitaux De Paris (Ap-Hp) 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a synthese de novo des purines, dans le traitement du deficit en adenylosuccinate lyase
JP6937134B2 (ja) 2016-11-21 2021-09-22 株式会社スタージェン 細胞内atp増強剤
WO2018092911A1 (ja) * 2016-11-21 2018-05-24 株式会社スタージェン 細胞内atp増強剤
US20220072022A1 (en) * 2019-01-18 2022-03-10 Stagen Co., Ltd. Anti-aging agent or life-extending agent
US11491175B2 (en) 2019-02-25 2022-11-08 Celagenex Research (India) Pvt. Ltd. Synergistic bioactive compositions for enhancing cellular energy
JP7333942B2 (ja) 2019-06-07 2023-08-28 株式会社スタージェン 神経変性疾患に対するatp増強療法の効果を予測する方法
CN110441457A (zh) * 2019-08-02 2019-11-12 深圳市绿航星际太空科技研究院 一种检测尿液中同型半胱氨酸的方法
CN116528840A (zh) 2020-12-08 2023-08-01 学校法人东日本学园 细胞内atp增强剂
WO2023135827A1 (ja) * 2022-01-13 2023-07-20 NeSA合同会社 神経変性疾患の進行遅延及び防御剤
CN116763751A (zh) * 2023-07-25 2023-09-19 华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肌苷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0455B1 (en) 1997-09-02 2002-08-27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for modulating the axonal outgrowth of central nervous system neurons
US8318792B2 (en) 2006-07-19 2012-11-27 Nippon Medical School Foundation Therapeutic agent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WO2008015202A2 (en) * 2006-08-02 2008-02-07 INSERM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Anticonvulsiv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2217577B1 (en) * 2007-11-27 2014-08-06 Ardea Biosciences, Inc. Novel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120219536A1 (en) * 2009-08-24 2012-08-30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Purine-targeted diagnosis and therapy of wounds
CN102106896B (zh) * 2009-12-23 2012-05-30 昆明贝叶傣医药研究所 中药材土千年健在制药中的新应用
PL2598494T3 (pl) 2010-07-30 2015-03-31 Ranbaxy Laboratories Ltd Ulepszony sposób wytwarzania febuksostatu
CN103249417A (zh) * 2010-10-15 2013-08-14 阿迪亚生命科学公司 用于治疗高尿酸血症及相关疾病的方法
WO2012122532A2 (en) * 2011-03-09 2012-09-13 Biocryst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hyperuricemia
CN102994537A (zh) * 2012-11-21 2013-03-27 广东肇庆星湖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嘌呤核苷磷酸化酶基因敲除的大肠杆菌Ecoli-SL26的构建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ncer Treatment Reports, 66(5), 1201-1206, 1982.
Heart Vies, 17(2), 184-186, 2013.
Internationa Journal of Poultry Science, 14(1), 37-43,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8110363A3 (ko) 2020-01-29
CA2995052A1 (en) 2017-03-02
MX390332B (es) 2025-03-20
JPWO2017033963A1 (ja) 2017-08-24
US10682372B2 (en) 2020-06-16
EP3342414A1 (en) 2018-07-04
MX2018002263A (es) 2018-03-23
US20180243326A1 (en) 2018-08-30
BR112018002648B1 (pt) 2024-01-09
CN107921054A (zh) 2018-04-17
KR20180039164A (ko) 2018-04-17
CN107921054B (zh) 2020-12-04
JP6153281B1 (ja) 2017-06-28
RU2018110363A (ru) 2019-09-26
BR112018002648A2 (ko) 2018-10-02
RU2728722C2 (ru) 2020-07-30
WO2017033963A1 (ja) 2017-03-02
HK1246165A1 (zh) 2018-09-07
EP3342414B1 (en) 2022-04-06
JP2017141308A (ja) 2017-08-17
EP3342414A4 (en) 2019-04-17
CA2995052C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0879B1 (ko) 세포 내 atp 증강제
Rawson et al. Use of creatine in the elderly and evidence for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in young and old
WO2018092911A1 (ja) 細胞内atp増強剤
Mudd et al. Two patients with hepatic mtDNA depletion syndromes and marked elevations of S-adenosylmethionine and methionine
JP6937134B2 (ja) 細胞内atp増強剤
JP6990934B2 (ja) 異所性脂肪蓄積治療用a3アデノシン受容体リガンド
JP6867142B2 (ja) パーキンソン症状改善用医薬
Leung Iatrogenic mitochondriopathies: a recent lesson from nucleoside/nucleotide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s
CN104159589A (zh) 肝脏状况的治疗
Schwahn et al. Effects of betaine in a murine model of mild cystathionine-β-synthase deficiency
CN112384215A (zh) 通过d-核糖和维生素b3提高哺乳动物中nad含量的方法及成分
Kamatani et al. Clinical studies on changes in purine compounds in blood and urine by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febuxostat and inosine, or by single administration of each
US2022024946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trigonelline to produce intracellular nad+
KR20250034995A (ko) 뉴클레오시드 의약품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0327362B (zh) 次黄嘌呤核苷酸在制备抗抑郁药物中的应用
HK1246165B (zh) 細胞內atp增強劑
EP193382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n basis of reverse transcriptase inhibitor and meldonium
HK40007559A (zh) 細胞內atp增強劑
RU215387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орм изониазида, обладающих пониженной гепатотоксичностью
TWI433673B (zh) 磺胺塞拉金(sulfasalazine)用於增加內源性S-腺核苷甲硫胺酸(SAM)濃度之用途
Osswald Articles in PresS. Am J Physiol Renal Physiol (April 26, 2005). doi: 10.1152/ajprenal. 00465.2004
CN101808643A (zh) 用于治疗马科动物蹄叶炎的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