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9164B1 -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 Google Patents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164B1
KR102599164B1 KR1020217003389A KR20217003389A KR102599164B1 KR 102599164 B1 KR102599164 B1 KR 102599164B1 KR 1020217003389 A KR1020217003389 A KR 1020217003389A KR 20217003389 A KR20217003389 A KR 20217003389A KR 102599164 B1 KR102599164 B1 KR 10259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group
polyisocyanate
polyol composition
polyurethane fo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986A (ko
Inventor
쇼이치로 고노
Original Assignee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가세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5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1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24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primary and/or secondary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71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09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 C08G18/2027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81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at least two non-condensed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04Two or more polyeth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08G18/482Mixtures of 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one polyether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C08G18/632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onto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8≥50 and <150kg/m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수지의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고, 제조시 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적으로도 외관이 균일한 그대로이고, 게다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이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여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고,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1 ∼ 100 몰 부가 사슬인,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이다.

Description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본 발명은, 폴리올 조성물 및 이것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 안정성이 높은 폴리우레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 조성물,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폼의 수지 강도를 높이는 폴리올로서, 폴리올 중에 각종 수지를 함유한 폴리머 폴리올이 알려져 있다. 이들 폴리머 폴리올에 함유되는 수지로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우레아 수지가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이것들 중,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것으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부가 폴리올 (PIPA 폴리올) 을 들 수 있고, 우레아 수지를 함유하는 것으로는 우레아 분산 폴리올 (PHD 폴리올) 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은 건재, 자동차의 엔진 룸, 철도 차량, 비행기 등의 용도에서는 기계 강도 이외에 엄격한 난연성도 요구된다. 그러나, 이들 폴리머 폴리올 중,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함유하는 것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의 폴리올 중에서의 침강 안정성은 양호하지만, 난연성은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우레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은, 우레탄 폼의 난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폴리올 중에서의 각 수지의 침강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CHEMISTRY AND TECHNOLOGY OF POLYOLS FOR POLYURETHANES, 제1권, 제2판, (2016년 출판), 197 ∼ 253 페이지, 저자 Mihail Ionescu, 출판사 Smithers Rapra Technology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폼이 우수한 난연성과 강도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수지의 분산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여, 제조시 뿐만 아니라 시간 경과적으로도 외관이 균일한 그대로이고, 함유하는 수지가 석출되거나 응집되거나 침강하여 분리된다는 경우가 없는, 폴리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여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상기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함유하고,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1 ∼ 100 몰 부가 사슬인,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 (D) ; 및, 이 폴리올 조성물 (D) 를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폼 (F) 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은, 함유하는 폴리우레아 수지의 분산 안정성이 높고, 이것을 폴리올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고강도이고, 난연성이 높은 폴리우레탄 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 (D) (간단히 폴리올 조성물 (D) 라고도 한다) 는,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여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1 ∼ 100 몰 부가 사슬이다.
상기 화합물 (A) 는,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함유한다. 화합물 (A) 가 1 급 아미노기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우레아기가 생성되지 않고, 1 개 밖에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와의 반응 생성물의 분자량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기계 물성의 향상이 적어진다. 한편, 1 급 아미노기를 3 개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는 삼차원 가교하여 반응 생성물의 분자량이 매우 커져, 점도가 높아지고, 폴리올로서의 취급이 곤란해진다.
화합물 (A) 중에 함유되는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는, 탄소수가 2 ∼ 4 인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반응에서 유래하는 것 (즉 부가 사슬) 이다.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이다.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이어도 된다.
상기 화합물 (A) 로는,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13635702-pct00001
일반식 (1) 중, R1 과 R2 와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렌기로서, R2 가 복수 있을 때에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R3 이 복수 있을 때에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1 은 1 ∼ 5 의 정수이고, n2 는 0 ∼ 5 의 정수이다. AO 는 탄소수가 2 ∼ 4 인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은 n1 개 있는 각 질소 원자에 부가한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n1 개 있는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100 의 수이다.
R1 과 R2 와 R3 으로는, 각각,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기이다.
n1 은 1 ∼ 5 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3 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이다. n2 는 0 ∼ 5 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 3 의 정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이다.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은, 폴리아민 화합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하여 얻어진다. 폴리아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알킬렌테트라민, 트리알킬렌테트라민, 테트라알킬펜타민을 들 수 있고, 구체예로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디프로필렌트리아민 (노스페르미딘), 디부틸렌트리아민 (스페르미딘),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트리부틸렌테트라민 (스페르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트리아민이다.
일반식 (1) 중의 AO 에 있어서의 탄소수가 2 ∼ 4 인 알킬렌옥시기로는, 옥시에틸렌기, 옥시프로필렌기, 옥시부틸렌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옥시에틸렌기 및 옥시프로필렌기이다. 이것들은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혼합이어도 된다.
n1 개 있는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100 의 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40 이다.
폴리아민의 아미노기의 활성 수소와 알킬렌옥사이드의 반응은 분자 내의 모든 아미노기에 대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은, 말단의 1 급 아미노기가 아니라 분자 사슬 중의 2 급 아미노기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알킬렌옥사이드를 반응시키기 위해서, 1 급 아미노기 부분을 케티민화하여 블록한 케티민 화합물을 경유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다.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9748호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 생성물 (C) 는, 상기한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고, 화합물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반응시켜 얻어지지만,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분자 내에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로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2),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3),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4) 및 이것들의 변성물 (B5) 를 들 수 있다. (B) 는 1 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로는, 탄소수 (NCO 기 중의 탄소 원자를 제외한다 ; 이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탄소수도 동일) 6 ∼ 16 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탄소수 6 ∼ 20 의 방향족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조제물 (粗製物),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1,3- 및/또는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조제 TDI,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폴리메틸렌폴리페닐렌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제 MDI, 또는 폴리메릭 MDI), TDI 와 폴리메릭 MDI 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2) 로는, 탄소수 6 ∼ 10 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3) 으로는, 탄소수 6 ∼ 16 의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4) 로는, 탄소수 8 ∼ 12 의 방향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5) 로는, 우레탄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알로파네이트기, 우레아기, 뷰렛기, 이소시아누레이트기, 또는 옥사졸리돈기 함유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우레탄 변성 MDI,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MDI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중, 난연성의 관점에서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및 그 변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은, 10 ∼ 4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 생성물 (C) 자체는, 수산기를 적어도 2 개 갖는다.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는 반응 생성물 (C) 는, 화합물 (A) 이외에,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의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와 반응할 수 있는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해도 상관없고, 이 중,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를 갖지만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지 않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 (D) 는, 상기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이외에, 추가로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를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우레아 반응시킬 때에 이 폴리올 (E) 를 함유시키면, 일부의 폴리올 (E)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가 반응함으로써 우레아 수지의 분산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로는,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E1), 폴리에스테르폴리올 (E2) 등의 폴리올 및 우레아기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머 폴리올 (E3) 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E1) 로는,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트리메틸올프로판, 자당 등의 다가 알코올 ;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다가 페놀 ; 및 그것들의 혼합물에, 알킬렌옥사이드 (이하, AO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를 부가한 화합물이다. 부가하는 AO 로는 탄소수 2 ∼ 4 의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필렌옥사이드 (이하, PO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에틸렌옥사이드 (이하, EO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부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고, 2 종 이상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한 것은 PO 단독, EO 단독, 및 PO 와 EO 의 혼합이다. 2 종 이상 병용시의 부가 형식은 블록상이어도 되고 랜덤상이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 (E2) 로는, 다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 또는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2 가 알코올 ; 상기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E1) (특히 2 가의 폴리에테르폴리올) ; 또는 이것들과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3 가 또는 그 이상의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과, 아디프산, 세바크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 혹은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등 산 무수물, 테레프탈산디메틸 등의 저급 알킬 (알킬기의 탄소수 : 1 ∼ 4) 에스테르 등〕 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 상기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AO 의 축합 반응물 ; 이것들의 축합 반응물의 AO (EO, PO 등) 부가물 ; 다가 알코올을 개시제로 하여, 락톤 (ε-카프로락톤 등) 을 개환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락톤폴리올 ; 다가 알코올과 알킬렌카보네이트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또, 천연 유래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 피마자유, 피마자유 유도체, 및 그것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도 폴리에스테르폴리올 (E2) 로서 들 수 있다.
우레아기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머 폴리올 (E3) 으로는, 폴리올 중에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중합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폴리올, 폴리올 중에서 우레탄 반응을 실시한 PIPA 폴리올, 폴리올 중에서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중축합한 멜라민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의 수산기가 (단위 : mgKOH/g. 이하 동일.) 는 20 ∼ 2,000 이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20 미만에서는, 후술하는 성형품의 강도가 불충분하고, 수산기가가 2,000 을 초과하면 우레탄 폼을 발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수산기가는, 바람직하게는 20 ∼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1,000 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산기가는, JIS K 0070 (1995년판) 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또, 폴리올이 2 종 또는 3 종 이상인 경우, 수산기가는 각 폴리올의 수산기가의 중량에 의한 상가 (相加) 평균값이다.
폴리올 조성물 (D) 중의 우레아기의 함유량은, (D) 의 중량에 기초하여, 0.01 ∼ 2.0 mmol/g 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 1.5 mmo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 1.2 mmol/g 이다. 우레아기 함량이 0.01 mmol/g 미만이면, 난연 성능이나 고강도화에 대해 효과가 없고, 2.0 mmol/g 을 초과하면 화합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폴리올 중으로의 안정적인 분산이 곤란해진다.
또, 반응 생성물 (C) 중의 우레아기의 함유량은 0.02 ∼ 6.0 mmol/g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 4.0 mmo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2.0 mmol/g 이다.
본 발명의 우레아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 (D) 는, 상기한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함유하는 폴리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 (D) 의 제조 방법으로는,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1 ∼ 100 몰 부가 사슬인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는 화합물 (A), 바람직하게는 상기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여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상기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반응시켜,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함유하는 폴리올 조성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 (D) 를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폼 (F) 는, 예를 들어, 상기한 폴리올 성분 (G),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와, 필요에 따라 우레탄화 촉매 (J), 후술하는 정포제 (I), 발포제 (K) 를 용기에 넣고, 혼합하여, 우레탄 반응에 의해 경화시켜 얻어진다.
폴리우레탄 폼 (F) 를 얻기 위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로는, 전술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와 동일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 (F) 를 얻기 위한 폴리올 성분 (G) 로는, 폴리올 조성물 (D), 및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그 이외의 폴리올을 함유한다.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그 이외의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를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의 비율을 이소시아네이트 지수 [(NCO 기/OH 기의 당량비) × 100] 로 나타냈을 경우, 지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0 ∼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115 이다.
또,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의 반응 방법으로는, 원숏법이어도 되고, 미리 (G) 의 혼합물의 일부와 (H) 를 반응시켜 NCO 말단 프레폴리머를 형성시킨 후, 나머지의 (G) 와 반응시키거나, 혹은 미리 폴리올 성분 (G) 와, (H) 의 일부를 반응시켜 OH 말단 프레폴리머를 형성시킨 후, 나머지의 (H) 와 반응시키는 프레폴리머법이어도 된다.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경화 반응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우레탄화 촉매 (J) 로는, 우레탄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통상적인 우레탄화 촉매는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로서, 트리에틸렌디아민, 비스(N,N-디메틸아미노-2-에틸)에테르, N,N,N',N'-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의 PO 부가물 등의 3 급 아민 및 그 카르복실산염 ; 아세트산칼륨, 옥틸산칼륨, 스태너스옥토에이트 등의 카르복실산 금속염 ;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경화 반응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정포제 (I) 로는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디메틸실록산계 정포제 [도레이·다우코닝 (주) 제조의 「SRX-253」, 「PRX-607」등] 및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실록산계 정포제 [도레이·다우코닝 (주) 제조의 「SZ-1142」, 「SRX-294A」, 「SH-193」, 「SZ-1720」, 「SZ-1675t」, 「SF-2936F」, 「SZ-1346」, 「SF-2962」, 「SZ-1327」및 데구사 재팬 (주) 제조 「B8715LF2」, 「B8738LF2」, 「B8737」, 「B8742」, 「B490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 합동 회사 제조의 「L-540」, 「L-595」, 「L-3601」, 「L-3640」, 「L-5309」등] 를 들 수 있다. 정포제의 사용량은, 기계 물성, 기계 물성의 시간 경과적 변화 및 폼의 변색의 관점에서,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부이다.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경화 반응시킬 때에 사용할 수 있는 발포제 (K) 로는, 물, 수소 원자 함유 할로겐화탄화수소, 저비점 탄화수소 및 액화 탄산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발포제 (K) 로서 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물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폴리우레탄 폼의 성형성 및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1.0 ∼ 7.0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5.5 중량부이다. 다른 발포제와 병용하는 경우의 물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폼의 성형성 및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1.0 ∼ 5.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 중량부이다.
수소 원자 함유 할로겐화탄화수소로는, HCFC (하이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타입의 것 (예를 들어 HCFC-123, HCFC-141b, HCFC-22 및 HCFC-142b) ; HFC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타입의 것 (예를 들어 HFC-134a, HFC-152a, HFC-356mff, HFC-236ea, HFC-245ca, HFC-245fa 및 HFC-365mfc) ; HFO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타입의 것 (예를 들어 HFO-1233zd (E), HFO-1336mzz (Z)) 등을 들 수 있다. 폼의 연소성의 관점에서, 이것들 중 바람직한 것은, HCFC-141b, HFC-134a, HFC-356mff, HFC-236ea, HFC-245ca, HFC-245fa, HFC-365mfc, HFO-1233zd (E), HFO-1336mzz (Z) 및 이것들의 2 종 이상의 혼합물이다.
수소 원자 함유 할로겐화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폼의 성형성 및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5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45 중량부이다.
저비점 탄화수소는, 비점이 -5 ∼ 50 ℃ 인 탄화수소이며, 그 구체예로는, 부탄, 펜탄, 시클로펜탄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저비점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폼의 성형성 및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4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이다.
액화 탄산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량은, 폴리올 성분 (G) 100 중량부에 대해, 폼의 성형성 및 기계 물성의 관점에서, 3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F) 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L) 을 함유시킬 수 있다. 첨가제로는, 탈수 제, 활제, 가소제, 틱소성 부여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노화 방지제, 항산화제, 착색제, 난연제, 방미제, 항균제, 분산제 (침강 방지제), 소포제, 무기 필러, 유기 필러, 마이크로 벌룬 등을 들 수 있다. 각종 첨가제의 첨가량은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의 합계 중량에 기초하여, 통상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 는 중량%, 부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용량 2 ℓ 의 교반 용기에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930.2 부를 넣고, 액온 25 ℃, 회전수 150 rpm 으로 15 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교반 용기를 냉각시켜 액온을 25 ℃ 로 유지하며 교반하면서, TDI (B-1) [토소 (주) 제조 「콜로네이트 T-80」] 69.8 부를 30 분에 걸쳐 적하하여 우레아화 반응을 완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 (D-1) 1000 부를 얻었다.
실시예 2 ∼ 7 및 비교예 1
표 1 에 기재된 부수로,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실시예 2 ∼ 7 의 폴리올 조성물 (D-2) ∼ (D-7) 및 비교예 1 의 폴리올 조성물 (D'-1) 을 얻었다.
비교예 2
용량 2 ℓ 의 교반 용기에 폴리올 (E-3) 800 부를 넣고, 액온 25 ℃, 회전수 150 rpm 으로 15 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동 조건하에서, 하이드라진 1 수화물 48.4 부를 첨가하고 15 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액온 40 ∼ 60 ℃ 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반 용기를 냉각시키면서 콜로네이트 T-80 (B-1) 169 부를 30 분에 걸쳐 투입하였다. 이어서 액온 120 ℃, 회전수 150 rpm, 감압도 30 mmHg 로 2 시간 감압 탈수하여, 비교예 2 의 폴리올 조성물 (D'-2) 1000 부를 얻었다.
비교예 3
용량 2 ℓ 의 교반 용기에 폴리올 (E-3) 800 부를 넣고, 액온 25 ℃, 회전수 150 rpm 으로 15 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동 조건하에서, 트리에탄올아민 72.7 부와, 우레탄화 촉매 (J-6) [디부틸주석, 닛토 화성 제조 「네오스탄 U-100] 0.1 부를 첨가하고 15 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회전수를 500 rpm 으로 높이고, 콜로네이트 T-80 (B-1) 123.7 부를 10 초에 걸쳐 투입하고, 추가로 교반을 120 초 계속하여, 폴리올 조성물 (D'-3) 1000 부를 얻었다.
실시예 1 ∼ 7 의 폴리올 조성물 (D-1) ∼ (D-7) 및 비교예 1 ∼ 3 의 폴리올 조성물 (D'-1) ∼ (D'-3) 의 우레아기 함량 (mmol/g), 수산기가, 25 ℃ 에서의 점도를 표 1 에 나타냈다. 또, 제조 직후의 25 ℃ 에서의 육안 관찰에 의한 외관과, 25 ℃ 에서 30 일간 보존한 후의 외관을 표 1 에 나타냈다.
또한, 표 1 에 기재된 화합물은 이하와 같다.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 화학식 (1) 의 R1 과 R2 가 에틸렌기이고, n1 이 1 이며 n2 는 0 이고, m 이 3 인 디에틸렌트리아민의 PO 3 몰 부가물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2) : 산아밀 TAP-1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화학식 (1) 의 R1 과 R2 가 에틸렌기이고, n1 이 1 이며 n2 는 0 이고, m 이 10 인 디에틸렌트리아민의 PO 10 몰 부가물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3) : 산아밀 TAP-4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화학식 (1) 의 R1 과 R2 가 에틸렌기이고, n1 이 1 이며 n2 는 0 이고, m 이 40 인 디에틸렌트리아민의 PO 40 몰 부가물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4) : 화학식 (1) 의 R1 과 R2 가 에틸렌기이고, n1 이 2 이며 n2 는 0 이고, 1 개의 m 이 1 이며, 다른 1 개의 m 이 0 인 트리에틸렌테트라민의 PO 1 몰 부가물
1 급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A'-1) : 디에틸렌트리아민
1 급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A'-2) : 하이드라진 1 수화물 (키시타 화학 제조)
우레탄화 촉매 (J-6) : 디부틸주석, 닛토 화성 제조,「네오스탄 U-100」
폴리올 (E-1) : 산닉스 GP-25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글리세린의 PO 부가물, 수산기가 673]
폴리올 (E-2) : 산닉스 GP-40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글리세린의 PO 부가물, 수산기가 400]
폴리올 (E-3) : 산닉스 FA-725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글리세린의 PO·EO 부가물, 수산기가 34]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1) : 콜로네이트 T-80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 8 : 2 혼합물. 토소 (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 48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2) : 밀리오네이트 MT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토소사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 33.6 중량%]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7 의 폴리올 조성물은 모두 제조 직후에도 30 일 후에도 균일했지만, 비교예 1 의 (D'-1) 은 제조 직후에 겔상물이 생성되어 점도와 수산기를 측정할 수 없어, 우레탄 폼으로서의 평가도 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의 (D'-2) 는, 생성 직후에는 균일하지만 30 일 보관 후에는 우레아 수지의 미립자가 침강하여 분리되었다. 동일하게, 비교예 3 의 (D'-3) 도 생성 직후에는 균일하지만 30 일 보관 후에는 우레탄 수지의 미립자가 침강하여 분리되었다.
표 1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7 의 모든 폴리올 조성물 (D-1) ∼ (D-7) 의 외관은 제조 직후 뿐만 아니라 25 ℃ 에서 제조 30 일 보관 후에도 균일하고, 겔상물의 석출이나 미립자가 침강하는 경우는 없었다. 한편, 폴리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이 아니라 디에틸렌트리아민을 사용한 비교예 1 의 폴리올 조성물 (D'-1) 의 제조 직후의 외관은 불균일하고 겔상물이 분리되어 있었다. 또 비교예 2 의 이른바 PHD 폴리올 (D'-2) 는 제조 30 일 보관 후에는 우레아 수지 입자가 침강하여 불균일해지고, 비교예 3 의 이른바 PIPA 폴리올 (D'-3) 은 제조 30 일 보관 후에는 우레탄 수지 입자가 침강하여 불균일해졌다.
연질 폼용의 처방으로의 폴리우레탄 폼 (F) 의 제조
실시예 8
실시예 1 에서 제작한 폴리올 조성물 (D-1), 실시예 3 에서 제작한 폴리올 조성물 (D-3) 과, 폴리올 (E-3), 폴리올 (E-4), 폴리올 (E-5), 정포제 (I-1) [골드슈미트사 제조 「TEGOSTAB B8738LF2」], 우레탄화 촉매 (J-1) [에어 프로덕츠 재팬 (주) 사 제조 「DABCO-33LV」], 우레탄화 촉매 (J-2) [토소 (주) 사 제조 「TOYOCAT ET」], 발포제로서의 (K-1) 물을 표 2 에 기재한 양으로 1 ℓ 컵에 넣고, 믹서로 3000 RPM 의 회전수로 60 초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H-1) 을 넣고, 즉시 믹서로 3000 RPM 의 회전수로 10 초간 교반하여, 70 ℃ 로 온도 조절한 30 ㎝ × 30 ㎝ × 10 ㎝ 의 금형 안에 넣고, 10 분간 경화시킴으로써, 실시예 8 의 폴리우레탄 폼 (F-1) 을 얻었다.
실시예 9 ∼ 12 와 비교예 4 ∼ 6
표 2 에 기재된 부수로, 실시예 8 과 동일한 조작으로, 실시예 9 ∼ 12 의 폴리우레탄 폼 (F-2) ∼ (F-5) 와 비교예 4 ∼ 6 의 폴리우레탄 폼 (F'-1) ∼ (F'-3) 을 얻었다.
또한, 표 2 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표 1 에 기재가 없는 것은 이하와 같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H-1) : 콜로네이트 1021 [TDI-80 (2,4- 및 2,6-TDI, 2,4- 체의 비율이 80 %)/조제 MDI = 80/20 혼합물 (중량비), 토소 (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 = 44.6 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H-2) : 밀리오네이트 MR-200 [폴리메릭 MDI, 토소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율 31.5 %]
폴리올 (E-4) : 산닉스 SP-75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소르비톨의 PO 부가물, 수산기가 490]
폴리올 (E-5) : 산닉스 FA-177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글리세린의 PO·EO 부가물, 수산기가 25]
폴리올 (E-6) : 산닉스 KC-900 [산요 화성 공업 (주) 제조,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폴리올, 폴리머 농도 34 중량%, 수산기가 22]
정포제 (I-1) : 골드슈미트사 제조 「TEGOSTAB B8738LF2」
우레탄화 촉매 (J-1) : 에어 프로덕츠 재팬 (주) 사 제조 「DABCO-33LV」(트리에틸렌디아민의 33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용액)
우레탄화 촉매 (J-2) : 토소 (주) 사 제조 「TOYOCAT ET」, (비스(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의 7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용액)
발포제 (K-1) : 물
난연제 (L-1) : 다이하치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다이가드 880 (비할로겐계 축합 인산에스테르)]
실시예 8 ∼ 12 및 비교예 4 ∼ 6 에서 제작한 폴리우레탄 폼 (F-1) ∼ (F-5), 및 (F'-1) ∼ (F'-3) 에 대해, 폼 밀도, 25 % 압축 경도, 50 % 압축 경도, C 경도, 난연성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냈다.
<폼 밀도>
JIS K 6400 에 준거하여 폼 밀도 (㎏/㎥) 를 측정하였다.
<압축 경도>
저밀도의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서는 JIS K 6400 에 준거하여 25 % 압축 경도와 50 % 압축 경도 (N/100 ㎠),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서는 JIS K 7312 에 준거하여 C 경도를 측정하였다.
<난연성 (연소 시험)>
저밀도의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서는 하기의 FMVSS302 에 준거하여 난연성을 평가하고, 고밀도의 폴리우레탄 폼에 대해서는 하기의 UL 94V 시험법에 준거하여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1) FMVSS302 연소 시험법
자동차 내장 재료의 연소 시험으로, 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 규격으로서 알려져 있다. 개략하면, 우단으로부터 38 ㎜ 버너염을 15 초간 접염 (接炎) 시키고, 우단 표선 A 로부터 좌단 표선 B 까지의 254 ㎜ 길이의 연소 거리를 측정하였다.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불연성 : 시험편에 착화되지 않거나, 또는 A 표선의 앞에서 자소한다
자기 소화성 : 연소 거리가 51 ㎜ 이하 또한 연소 시간이 60 초 이내에서 자소한다
합격 : 연소 속도가 102 ㎜/분 이하인 것
불합격 : 상기를 만족하지 않는 것
(2) UL 94V 연소 시험법
일반적으로 수지 재료의 난연성의 평가에 사용되는 UL 94V 연소 시험법 (20 ㎜ 수직 연소 시험) 에 준거하여,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V0 : 시험편의 연소 거리가 125 ㎜ 미만, 연소 시간이 10 초 이하, 시험편 5 개의 합계 연소 시간이 50 초 이하, 연소 드립이 탈지면을 착화시키지 않는다
V1 : 시험편의 연소 거리가 125 ㎜ 미만, 연소 시간이 30 초 이하, 시험편 5 개의 합계 연소 시간이 250 초 이하, 연소 드립이 탈지면을 착화시키지 않는다
V2 : 시험편의 연소 거리가 125 ㎜ 미만, 연소 시간이 30 초 이하, 시험편 5 개의 합계 연소 시간이 250 초 이하, 연소 드립이 탈지면을 착화시킨다
불합격 : 상기를 만족하지 않는 것
표 2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을 사용하여 연질 폼 제조 처방으로 제조한 실시예 8 과 실시예 9 의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과 실시예 10 ∼ 12 의 고밀도 폴리우레탄 폼은 압축 강도가 고강도이고, FMVSS302 연소 시험법 또는 UL-94V 연소 시험법에서 높은 난연 성능을 나타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 (D) 는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폴리올을 사용한 비교예 4 의 폴리우레탄 폼 (F'-1) 은, 난연 성능이 불합격이었다. 동일하게 이른바 PHD 폴리올 (D'-2) 를 사용한 비교예 5 의 (F'-2) 와 이른바 PIPA 폴리올 (D'-3) 을 사용한 비교예 6 의 (F'-3) 도 난연 성능이 불합격이었다.
경질 폼용의 처방으로의 폴리우레탄 폼 (F) 의 제조
실시예 13
실시예 5 에서 제작한 폴리올 조성물 (D-5) 와, 폴리올 (E-2), 정포제 (I-2), 우레탄화 촉매 (J-3) [에어 프로덕츠 재팬사 제조 「POLYCAT 201」], 우레탄화 촉매 (J-4) [토소사 제조, 「TOYOCAT DM-70」], 우레탄화 촉매 (J-5) [에어 프로덕츠 재팬사 제조, 「DABCO K-15)], 발포제로서의 물 (K-1) 과 (K-2) [하니웰사 제조, 「솔스티스 LDA」], 난연제 (L-2)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를 표 3 에 기재한 양으로 1 ℓ 컵에 넣고, 믹서로 3000 RPM 의 회전수로 60 초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 (H-2) 를 넣고, 즉시 믹서로 3000 RPM 의 회전수로 10 초간 교반하고, 혼합액을 골판지로 제작한 40 ㎝ × 40 ㎝ × 20 ㎝ 의 형 안에 넣어, 발포시킴으로써 실시예 13 의 폴리우레탄 폼 (F-6) 을 얻었다.
실시예 14 ∼ 15
표 3 에 기재된 부수로, 실시예 13 과 동일한 조작으로, 실시예 14 ∼ 15 의 폴리우레탄 폼 (F-7) ∼ (F-8) 을 얻었다.
또한, 표 3 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지금까지 기재가 없는 것은 이하와 같다.
우레탄화 촉매 (J-3) : 에어 프로덕츠 재팬사 제조 [POLYCAT 201]
우레탄화 촉매 (J-4) : 토소 제조 [TOYOCAT DM-70]
우레탄화 촉매 (J-5) : 에어 프로덕츠 재팬사 제조 [DABCO K-15]
발포제 (K-2) : 하니웰사 제조 [솔스티스 LDA (HFO-1233zd (E)]
난연제 (L-2) : 다이하치 화학 공업 (주) 사 제조 [TMCPP (트리스(클로로프로필)포스페이트)]
실시예 13 ∼ 15 에서 제작한 폴리우레탄 폼 (F-6) ∼ (F-8) 에 대해, 폼 밀도, 경도, 난연성에 대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냈다.
<폼 밀도>
JIS K-7222 에 준거하여 폼 밀도 (㎏/㎥) 를 측정하였다.
<경도>
JIS K-7220 에 준거하여 압축 강도 (N/㎟) 를 측정하였다.
<난연성 (연소 시험)>
일반적으로 건축 재료용의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난연성의 평가에 사용되는 JIS A 9511B 법에 준거하여 연소 거리와 연소 시간을 평가하였다. 건축 재료용의 경질 폴리우레탄 폼으로는, 일반적으로 연소 거리는 50 ㎜ 이하가, 또 연소 시간은 60 초 이하가 필요하게 된다.
표 3 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질 폼 제조 처방으로 제조한 실시예 13 ∼ 15 의 폴리우레탄 폼은 압축 강도가 높고, JIS A 9511B 법의 연소 시험법에서 우수한 난연 성능을 나타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은,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범용적인 우레탄 폼의 원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올 조성물을 사용한 우레탄 폼은 고강도이고, 또한, 난연성이 우수한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고농도로 함유하기 때문에, 높은 난연성과 물성이 요구되는 우레탄 수지제 엔진 커버, 철도 차량용 우레탄 시트 쿠션, 교통 차량용 우레탄 시트 쿠션, 건재용 단열 우레탄 보드 등의 용도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Claims (9)

  1. 분자 내에 2 개의 1 급 아미노기와 1 개 이상의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를 갖는 화합물 (A)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를 필수 원료로 하여 상기 화합물 (A) 가 갖는 1 급 아미노기와 상기 (B) 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여 얻어지는 우레아기를 갖는 반응 생성물 (C) 를 함유하고, 폴리알킬렌옥시 사슬 (a) 가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사이드 1 ∼ 100 몰 부가 사슬인, 폴리우레탄 폼 원료용 폴리올 조성물로서, 상기 화합물 (A) 가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1 급 아미노기 함유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A1) 인, 폴리올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3055973244-pct00005

    [일반식 (1) 중, R1 과 R2 와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렌기로서, R2 와 R3 은, 각각, 복수 있을 때에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n1 은 1 ∼ 5 의 정수이고, n2 는 0 ∼ 5 의 정수이다. AO 는 탄소수가 2 ∼ 4 인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은 n1 개 있는 각 질소 원자에 각각 부가한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n1 개 있는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100 의 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우레아기의 함유량이 0.01 ∼ 2.0 mmol/g 인 폴리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중의 n1 개 있는 m 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50 인 폴리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중의 R1 과 R2 가 에틸렌기인 폴리올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중의 n1 이 1 ∼ 3 의 정수인 폴리올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를 함유하는 폴리올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우레아기를 갖지 않는 폴리올 (E) 의 수산기가가 20 ∼ 2,000 mgKOH/g 인 폴리올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 조성물을 함유하는 폴리올 성분 (G) 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H) 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폴리우레탄 폼 (F).
  9. 삭제
KR1020217003389A 2018-08-22 2019-08-20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Active KR102599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55436 2018-08-22
JP2018155436 2018-08-22
PCT/JP2019/032382 WO2020040117A1 (ja) 2018-08-22 2019-08-20 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986A KR20210045986A (ko) 2021-04-27
KR102599164B1 true KR102599164B1 (ko) 2023-11-06

Family

ID=6959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89A Active KR102599164B1 (ko) 2018-08-22 2019-08-20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70567B2 (ko)
JP (1) JP7083906B2 (ko)
KR (1) KR102599164B1 (ko)
CN (1) CN112566954B (ko)
WO (1) WO2020040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08002B2 (ja) * 2019-09-30 2022-07-27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アルコ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7545203B2 (ja) * 2019-12-04 2024-09-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オール組成物、発泡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CN113980236B (zh) * 2021-10-18 2023-03-03 中国地质大学(武汉) 抗滴落聚氨酯软泡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231274B1 (ja) 2021-11-30 2023-03-01 サンノプコ株式会社 カルボン酸アミ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0739A (ja) 2013-10-30 2015-06-1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1172A (en) * 1974-05-17 1978-02-15 Bayer A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s
US4067833A (en) * 1976-03-08 1978-01-10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Urethane-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s from oxyalkylated aniline and aromatic polyisocyanates
JPS5327693A (en) 1976-08-27 1978-03-15 Dainippon Ink & Chem Inc Preparation of rigid polyurethane open cell foam
JPS57212235A (en) 1981-06-24 1982-12-27 Mitui Toatsu Chem Inc Preparation of polyurea foam
DE3608962A1 (de) 1985-10-08 1987-04-09 Bayer Ag Oligoharnstoffpolyole, daraus erhaltene polyetherpolyole und die verwendung dieser polyole im isocyanat-polyadditions-verfahren
WO1988008009A1 (en) 1987-04-07 1988-10-20 The Dow Chemical Company Flexible polyurea or polyurea-polyurethane foams prepared from high equivalent weight amine-terminated compound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4845133A (en) 1987-04-07 1989-07-04 The Dow Chemical Company Flexible polyurea or polyurea-polyurethane foams prepared from high equivalent weight amine-terminated compounds
JPH0768188B2 (ja) 1988-03-30 1995-07-26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アミン及びその製造法
NZ234512A (en) * 1989-07-19 1992-05-26 Mitsui Toatsu Chemicals Polyols prepared by adding alkylene oxide onto a compound containing at least one ester and/or amide linkage; polyurethane resins and foams prepared therefrom
JPH03285906A (ja) 1989-07-19 1991-12-17 Mitsui Toatsu Chem Inc ポリオール、ポリウレタン樹脂とその利用
US5397810A (en) 1989-07-19 1995-03-14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olyol, polyurethane resin and utilization thereof
US5068280A (en) 1989-09-12 1991-11-26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urethane and/or polyurea dispersions in active hydrogen-containing compositions
JP2966863B2 (ja) 1989-11-17 1999-10-25 三井化学株式会社 スプレーによる速硬化ポリウレタン・ポリウレア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EP0507173B1 (en) * 1991-04-05 1995-10-18 Bayer Corporation Aqueous polyurethane-urea dispersions based on bis-(4-isocyanatocyclohexyl)-methane enriched in the trans,trans-isomer and coatings or films prepared therefrom
KR0157186B1 (ko) 1995-09-25 1998-12-01 니시가와 노리오 반경질우레탄폼, 그 제조법 및 일체성형법
JPH1135791A (ja) 1997-07-14 1999-02-09 Sanyo Chem Ind Ltd オキシメチレン(共)重合体組成物
JP2000007748A (ja) * 1998-04-24 2000-01-11 Dainippon Ink & Chem Inc 多官能ポリウレタン尿素ポリオ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用接着剤組成物
CN1230459C (zh) * 2003-04-30 2005-12-07 华南理工大学 一种聚脲多元醇的制备方法
JP4650132B2 (ja) 2005-07-11 2011-03-16 横浜ゴム株式会社 二液常温硬化型ウレタン組成物
EP2292675A1 (de) * 2009-09-08 2011-03-09 BYK-Chemie GmbH Polyharnstoffe als Rheologiesteuerungsmittel
WO2013148252A1 (en) 2012-03-30 2013-10-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Tin free polymer polyols
ES2813958T3 (es) 2013-09-13 2021-03-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Espuma de poliuretano modificada en combustión a base de PIPA
AU2014366358B2 (en) 2013-12-19 2018-04-26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 dispersions having nanosized polyurea particles dispersed in a polyether
HUE052380T2 (hu) 2016-06-15 2021-04-28 Basf Se Poliamid-diszperzió poliolban és elõállítás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0739A (ja) 2013-10-30 2015-06-18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63666A1 (en) 2021-06-03
JPWO2020040117A1 (ja) 2021-08-10
US11970567B2 (en) 2024-04-30
CN112566954B (zh) 2022-09-09
WO2020040117A1 (ja) 2020-02-27
KR20210045986A (ko) 2021-04-27
CN112566954A (zh) 2021-03-26
JP7083906B2 (ja)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164B1 (ko) 폴리올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 폼
US8268906B2 (en) Process for produc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 process for producing hot press molded product, and hot press molded product
ES2343216T3 (es) Procedimiento de produccion de espumas rigidas y semi-rigidas con pequeñas cantidades de diisocianato usando polioles polimericos caracterizados por un alto contenido de solidos y un alto indice de hidroxilo y las espumas resultantes.
KR101425240B1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US20070254973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Materials
RU2595687C2 (ru) Содержащие фосфор антипирены для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ов
JP2009524718A (ja) 粘弾性的で軟質の連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10793692B2 (en) Viscoelastic flexible foams comprising hydroxyl-terminated prepolymers
CN101541850A (zh) 硬质聚氨酯泡沫塑料的制造方法及硬质聚氨酯泡沫塑料
EP2115026A1 (en) Amine-initiated polyols and rigid polyurethane foam made therefrom
EP2231742A2 (en) Thermally insulating isocyanate-based foams
CN105518049A (zh) 基于pipa的燃烧改性的聚氨基甲酸酯泡沫
WO2008062792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e mousse de polyuréthanne dure
KR20020045568A (ko)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그 폴리이소시아네이트조성물로부터 저습윤 노화 압축 영구 변형된 저밀도 연질포옴을 제조하는 방법
KR20090091113A (ko) 폴리머 분산 폴리올의 제조 방법
EP2483325A1 (en) Polyol mixtures containing a 1,3-and/or 1,4-bis(aminomethyl) cyclohexane-initiated polyol and at least one of a methylene bis (cyclohexylamine)-initiated polyol and a cyclohexanediamine-initiated polyol, and polyurethanes made therefrom
JP7108002B2 (ja) アルコ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22031183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2018178100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20110124759A1 (en) Polyol blends containing ortho-cyclohexanediamine-initiated polyols for rigid polyurethane foams
JP2020041066A (ja) ポリマーポリオール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6050840B2 (ja) ポリエーテル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963900B (zh) 可燃性降低的柔性聚氨酯泡沫
JP2015052042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6419546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スラブ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