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8937B1 - 트윈 커피머신 - Google Patents

트윈 커피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937B1
KR102598937B1 KR1020230049776A KR20230049776A KR102598937B1 KR 102598937 B1 KR102598937 B1 KR 102598937B1 KR 1020230049776 A KR1020230049776 A KR 1020230049776A KR 20230049776 A KR20230049776 A KR 20230049776A KR 102598937 B1 KR102598937 B1 KR 10259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wing
unit
queue
space
uni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Priority to KR102023004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1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복수의 추출기를 포함하는 트윈 커피머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제1 큐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트윈 커피머신{TWIN 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음료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추출기를 포함하는 트윈 커피머신에 관한 것이다.
에스프레소는 커피음료의 일종으로서, 곱게 분쇄한 커피 분말에 물을 매우 높은 온도 및 압력으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근래에 커피를 음미할 줄 아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커피음료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시중에는 에스프레소 등의 커피음료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가정용 및 상업용 기기가 유통되고 있다.
커피음료를 판매하는 영업소에서는 하루 매출의 상당 부분이 점심 시간대와 같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는 반면, 나머지 시간대에는 비교적 느린 페이스로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주문이 집중되는 시간대에 커피음료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하면 소비자는 다른 영업소를 찾게 되어 매출이 감소할 우려가 있는 한편, 이에 대응하기 위해 커피제조장치를 여러 대 구비하면 수요가 높지 않은 다른 시간대에는 이들이 활용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67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5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579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트윈 커피머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실린더는 제1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1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1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실린더는 제2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2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2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은 상기 제1 추출부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를 토출하는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은 상기 센서가 상기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된 것으로 감지할 때 음료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제1 공급부 및 제2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급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공급부가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토출슈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각각 실린더, 추출부 및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상기 큐에서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 브류잉 유닛의 제1 큐가 비어 있고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해당하는 제2 브류잉 유닛의 제2 큐에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기록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여러 잔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서로 연동할 수 있는 트윈 커피머신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윈 커피머신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에 적용가능한 브류잉 모듈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윈 커피머신(2000)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에 적용가능한 브류잉 모듈(10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과 도 2에는 트윈 커피머신(2000)의 일부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다수의 공통점을 공유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트윈 커피머신이 커피 음료를 제조하는 것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제조되는 음료의 종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은 커피 음료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은 제1 브류잉 유닛(1001), 제2 브류잉 유닛(1002),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스팀공급부(1500) 및 제어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류잉 유닛(1001)은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2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이와 유사하게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브류잉 모듈(10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브류잉 모듈(1000)의 실린더(300)와 추출부(500)가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제1 및 제2 실린더와 제1 및 제2 추출부로 기능할 수 있다.
실린더(300)는 개구부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브류잉공간(330)을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브류잉공간(330)으로 연통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호퍼(210)가 구비될 수 있다. 추출부(500)는 가운데에 추출헤드(510)를 포함할 수 있고, 추출헤드(510)의 중앙에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브류잉 모듈(1000)이 동작할 때, 실린더(300)는 크랭크(700)의 구동에 의해 제1 각도와 제2 각도에 위치할 수 있다. 실린더(300)가 제1 각도에 있을 때 재료공급부(1200)는 호퍼(210)를 통해 분말재료를 브류잉공간(33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그 이후 크랭크(700)는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하도록 제2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추출부(500)를 향하는 상태에서 크랭크(700)는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그 결과 추출헤드(510)가 실린더(300)의 브류잉공간(33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물공급부(1300)는 고온고압의 물을 분말재료가 수용된 브류잉공간(330) 내에 압입하여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브류잉 모듈(1000)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951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65795호에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가 생략되어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제어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료에 대한 주문(order) 및/또는 설정을 제어패널(미도시)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해당 주문을 각각의 큐(queue)에 기록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각각의 입력부(2101, 2102)가 관리하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는 각각의 큐에 기록된 주문에 대한 음료의 제조가 완료되면 해당 음료에 관한 주문을 큐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제1 및 제2 입력부(2101, 2102)를 개별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각각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별도의 커피머신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재료공급부(12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실린더(300)의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재료공급부(1200)가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를 포함한다. 제1 그라인더(1201)는 커피 원두 등의 원재료를 분쇄하여 분말재료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1 토출슈트(1211)와 제1 호퍼(211)를 통해 제1 브류잉 유닛(1001)에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그라인더(1202)도 원재료를 분쇄하여 분말재료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제2 토출슈트(1212)와 제2 호퍼(212)를 통해 제2 브류잉 유닛(1002)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재료공급부(1200)는 제1 그라인더(1201)와 제2 그라인더(1202)에 원재료를 공급하는 공통의 저장소를 포함할 수도 있고, 원재료를 공급하는 저장소 역시 제1 및 제2 그라인더(1201, 1202)에 각각 개별적으로 원재료를 공급하는 전용 저장소로 나뉘어질 수도 있다.
물공급부(13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실린더(300)의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물을 공급하는 튜브와 제조된 음료를 공급하는 튜브 및 노즐이 생략되어 있다. 즉, 물공급부(1300)는 물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다양한 밸브와 튜브, 그리고 가열장치(1301, 1302)를 통해 제1 및 제2 브류잉공간(3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실린더(300)가 추출부(500)를 향해 이동하여 추출헤드(510)가 브류잉공간(33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을 때 고온고압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공급부(1500)는 제조되는 음료에 스팀이 요구되는 경우 이를 토출장소에 공급할 수 있다. 스팀공급부(1500)는 제1 및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 모두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500; 도 5 참조)는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및 스팀공급부(15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제어부(2500)가 생략되어 있다.
특히, 제어부(2500)는 제1 입력부(2101)의 제1 큐와 제2 입력부(2102)의 제2 큐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1 큐와 제2 큐 중 어느 하나가 비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조가 시작되지 않은 음료에 대한 주문이 있으면, 제어부(2500)는 해당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2101)에는 원하는 음료에 대한 주문을 입력하지 않고 제2 입력부(2102)에는 원하는 음료 3잔에 대한 주문을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1 입력부(2101)의 제1 큐는 빈 상태로 남아 있고, 제2 입력부(2102)의 제2 큐에는 3개의 주문이 추가될 수 있다.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제2 큐에서 가장 먼저 입력된 주문에 따라 음료 제조를 시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2500)는 제2 큐의 3개 주문 중 제조가 시작된 음료에 관한 주문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주문 중 하나를 제1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큐에 주문이 추가됨에 따라 제1 브류잉 유닛(1001)은 이동된 주문과 관련된 음료를 해당 설정에 따라 제조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중 어느 하나의 큐에 주문량이 집중되는 경우, 제어부(2500)는 주문 중 일부를 나머지 하나의 큐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업무를 분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에서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협동할 수도 있다.
제1 입력부(2101)와 제2 입력부(2102) 중 어느 하나에 사전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매우 많은 수의 주문이 입력되면, 제어부(2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어느 하나의 큐의 주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력부(2101)에는 주문을 2개 입력하였고 제2 입력부(2102)에는 주문을 10개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어부(2500)는 제2 큐의 주문 10개 중 일부를 제1 큐로 이동시켜 동시에 입력된 주문에 대한 음료가 더 신속하게 제공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중 적어도 하나는 추출부(500)를 통해 제조되는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장소(1801, 1802)에 센서(1901, 1902)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1901, 1902)는 토출장소(1801, 1802)에 컵, 머그 등의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브류잉 유닛(1001, 1002)은 용기가 배치된 경우에만 음료를 토출하거나 음료의 제조를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2500)가 브류잉 유닛(1001, 1002) 중 어느 하나의 주문을 다른 하나가 분담하게 하는 경우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위치에서 음료가 토출되어 낭비될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이 개념적으로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일부 참조번호는 제1 실시예에 해당 참조번호가 적용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재료공급부(1200)가 하나의 공통된 그라인더(1205)와 토출슈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슈트(1220)는 제1 통로(1221)와 제2 통로(1222)로 분기될 수 있는데, 제1 통로(1221)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통로(1222)는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로(1221)는 그 출구가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제1 호퍼(211)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통로(1222)는 그 출구가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제2 호퍼(2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슈트(1220)에는 제어부(2500)의 제어에 따라 제1 통로(1221)와 제2 통로(1222)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1240)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 각각에서 실린더(300)는 호퍼(211, 212)와 토출헤드(51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300)가 호퍼(211, 212)를 향하는 제1 각도에서는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가 공급될 수 있고, 토출헤드(510)를 향하는 제2 각도에서는 브류잉공간(33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트윈 커피머신(2002)의 재료공급부(1200)가 하나의 그라인더(1205)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과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실린더(300)가 분말재료를 공급받을 때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는 실린더(300)가 대기하게 하거나 추출부(500)와 상호작용하여 커피를 제조하도록 제어하고,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실린더(300)에 대한 분말재료의 공급이 완료된 후에야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실린더(300)가 제2 호퍼(212)를 향하여 분말재료를 공급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어느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실린더가 분말재료를 공급받는지에 따라 제어부(2500)는 밸브플랩(1240)이 제1 통로(1221) 또는 제2 통로(1222)가 개방되게 하여 필요한 브류잉 유닛(1001, 1002)의 브류잉공간(330)으로 분말재료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500)는 물공급부(1300)의 작동도 이에 대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0)는,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 실린더(300)가 토출헤드(510)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브류잉공간(330)에 압축된 분말재료에 고온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물공급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0)는 필요한 밸브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305)에 저장된 물을 제2 튜브(1306)를 통해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실린더(3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제1 브류잉 유닛(1001)에서 실린더(300)가 토출헤드(510)를 향해 이동하면, 제어부(2500)는 제2 브류잉 유닛(1002)에서 실린더(300)가 제조된 음료를 토출하고 브류잉공간(330)의 잔여 찌꺼기를 배출한 후 제2 호퍼(212)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밸브플랩(1240)이 제2 통로(1222)를 개방하게 하여 제2 브류잉 유닛(1002)의 브류잉공간(330)에 분말재료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2500)는 필요한 밸브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305)에 저장된 물을 제1 튜브(1304)를 통해 제1 브류잉 유닛(1001)의 실린더(30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는 가열장치(1301, 1302)가 생략되어 있고, 물이 저수탱크(1305)에서 곧바로 공급되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으나, 저수탱크(1305)의 물이 공통의 가열장치(미도시)로 공급된 후 각각의 튜브(1304, 1306)를 통해 제1 및 제2 브류잉 유닛(1001, 1002)에 공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2)은 하나의 그라인더(1205)를 두 개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이 공유하게 하고 브류잉 유닛(1001, 1002)들이 그라인더(1205)로부터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공정이 엇갈리게 할 수 있다. 하나의 브류잉 유닛에서 분말재료의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 동안 다른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으므로, 그라인더(1205)를 공유하더라도 대기하는 데 낭비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트윈 커피머신(2000, 2002)을 이용하면, 복수의 브류잉 유닛(1001, 1002)을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협동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재료공급부(1200), 물공급부(1300), 스팀공급부(1500) 등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공유하게 할 수 있어 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필요한 때에 주문 처리량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0, 2002: 트윈 커피머신
1001, 1002: 브류잉 유닛 1200: 재료공급부
1300: 물공급부 1500: 스팀공급부

Claims (5)

  1. 제1 실린더, 제1 추출부 및 제1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실린더는 제1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1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1 추출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1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브류잉 유닛;
    제2 실린더, 제2 추출부 및 제2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2 실린더는 제2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제2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제2 추출부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제2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제1 브류잉공간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제1 브류잉 유닛,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입력부 및 상기 제2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각각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개별 방식과 협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협동 방식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제1 큐 및 상기 제2 큐 중 어느 하나의 큐에 기록된 주문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제1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는 동안 상기 제2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류잉 유닛과 상기 제2 브류잉 유닛 각각은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토출장소에 용기가 배치된 것으로 감지할 때 음료를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제1 그라인더 및 제2 그라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인더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그라인더는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부는,
    상기 제1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1 통로 및 상기 제2 브류잉공간에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토출슈트;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 중 어느 하나는 폐쇄하고 다른 하나는 개방하도록 구성된 밸브플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5. 각각 실린더, 추출부 및 입력부로 구성되되, 상기 실린더는 개구부를 통해 개방된 브류잉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브류잉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추출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추출부에서 제조되어야 할 음료에 대한 주문을 기록하는 큐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분말재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재료공급부;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큐에 기록된 주문과 관련된 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브류잉공간에 각각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부;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상기 재료공급부 및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각각의 상기 입력부는 제조가 완료된 음료에 대한 주문을 상기 큐에서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이 개별 방식과 협동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운영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협동 방식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1 브류잉 유닛의 제1 큐 및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 중 다른 하나에 해당하는 제2 브류잉 유닛의 제2 큐 중 어느 하나의 큐에 기록된 주문을 다른 하나의 큐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브류잉 유닛의 작동 과정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어느 하나의 브류잉 유닛이 분말재료를 공급받는 동안 다른 하나의 브류잉 유닛이 물을 공급받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커피머신.
KR1020230049776A 2023-04-17 2023-04-17 트윈 커피머신 Active KR10259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776A KR102598937B1 (ko) 2023-04-17 2023-04-17 트윈 커피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776A KR102598937B1 (ko) 2023-04-17 2023-04-17 트윈 커피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37B1 true KR102598937B1 (ko) 2023-11-06

Family

ID=8874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776A Active KR102598937B1 (ko) 2023-04-17 2023-04-17 트윈 커피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562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달콤 무인 커피 음료 제조 머신을 이용한 커피 음료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90421B1 (ko) * 2011-11-23 2019-06-18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21065350A (ja)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Tree Field 装置
KR102396787B1 (ko) 2022-03-23 2022-05-12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KR102419517B1 (ko)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KR102465795B1 (ko)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421B1 (ko) * 2011-11-23 2019-06-18 스타벅스 코포레이션 음료를 브루잉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817562B1 (ko) * 2017-05-30 2018-01-11 주식회사 달콤 무인 커피 음료 제조 머신을 이용한 커피 음료 주문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1065350A (ja) * 2019-10-21 2021-04-30 株式会社Tree Field 装置
KR102419517B1 (ko) 2022-03-17 2022-07-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KR102396787B1 (ko) 2022-03-23 2022-05-12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토출슈트, 그라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제조장치
KR102465795B1 (ko) 2022-04-04 2022-11-11 주식회사 에이스라이프 커피음료 제조장치 및 커피음료 제조장치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116B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CN108463146B (zh) 具有用于清洁咖啡分配系统的系统的浓缩咖啡机
CN1830369B (zh) 制咖啡机
EP0472272B2 (en) Automated coffee apparatus
US6155158A (en) Beverage brewing system
US20030155101A1 (en) Liqui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2013521059A (ja) 加速低圧力ブリューワー
US20100224075A1 (en) Coffee machines with at least two brewing groups
US20210353094A1 (en) Coffee bean feeder, selecting unit comprising such feeder and coffee machine comprising such selecting unit
KR102598937B1 (ko) 트윈 커피머신
US11910952B2 (en) Customizable multiple port automated beverage brewer and system
WO2011130439A2 (en) High speed brewing apparatus
CN114466606B (zh) 用于分配饮料的系统和方法
JP7406554B2 (ja) コーヒーマシン、およびこのようなコーヒーマシン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JP2022149700A (ja) 飲料供給装置および飲料供給方法
USRE15707E (en) Signments
EP3697272B1 (en) Automati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101407738B1 (ko) 일회용 드립식 커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하여 드립식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
JP7315103B2 (ja) 飲料供給装置
KR101006553B1 (ko) 무 동력식 액상음료 배출기
KR0167195B1 (ko) 원두커피판매용 자동판매기 및 그 원두커피액 제조공급 제어방법
KR200225727Y1 (ko) 자동판매기 컵배출구의 컵그릴구조
JP4933857B2 (ja) 飲料抽出装置
HK40068959A (en) Beverage maker having an outlet device
AU2007200590A1 (en) Liquid Beverage Disp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