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제어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 될 수 있고 더 나은 기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휠 조립체를 갖는 휠 달린 이송 장치를 기술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휠 달린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속항들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는 선택적인 실시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 달린 이송 장치는: 스탠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물, 스탠딩 프레임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휠을 수용하는 제1 휠 마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휠은 제1 휠 마운트에 대해 제1 휠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스탠딩 프레임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포함하는 로킹 조립체를 포함하되, 제1 휠 마운트 래치는 제1 휠 마운트를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 휠 마운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1 휠 마운트를 언로킹 시키기 위해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켜서, 제1 휠 축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제1 휠 마운트가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며, 휠 마운트 래치에 결합된 작동 조립체, 및 제1 휠 마운트 래치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한 위치에서 프레임 구조물에 제공된 작동 부분을 포함하는 릴리스 메커니즘을 포함하되, 상기 릴리스 메커니즘은 작동 조립체가 제1 휠 마운트를 작동시켜서 제1 휠 마운트가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은 작동 조립체가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밀거나 끌어 당겨서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조립체는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연결된 로킹 스프링을 포함하되, 로킹 스프링은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휠 마운트와 결합시키기 위해 편향력(biasing forc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물은 스탠딩 프레임에 결합된 핸들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며, 선택적으로는, 작동 부분은 핸들 프레임에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프레임 구조물, 특히, 핸들 프레임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 및 연결 부분을 포함하되, 링크 액츄에이터는 프레임 구조물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부분은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킨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을 작동시키도록, 특히 연결 부분을 밀거나 끌어 당기도록 이동 가능하며,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분은 케이블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케이블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프레임 구조물은 바 링크장치에 의해 스탠딩 프레임에 결합되는 핸들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고, 링크 액츄에이터는 바 링크장치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바 링크장치는 각각 핸들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진 바를 포함하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상기 바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핸들 프레임에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되, 링크 액츄에이터는 프레임 구조물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작동 부분은 램프 표면(ramp surface)을 가지고, 릴리스 메커니즘은 램프 표면 및 링크 액츄에이터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를 언로킹 시키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프레임 구조물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배럴(barrel)을 포함하며, 작동 조립체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은 배럴에 고정된 단부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하며, 배럴은 케이블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 위해 회전 가능하고 제1 휠 마운트 래치는 작동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도록 작동되어, 특히 작동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도록 밀리거나 끌어 당겨지도록 작동되어,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프레임 구조물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배럴, 및 프레임 구조물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튼을 포함하며, 작동 조립체는 연결 부분을 포함하고, 연결 부분은 배럴에 고정된 단부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하며, 버튼은 케이블을 작동시키기 위해 배럴이 회전하게끔 작동되며 제1 휠 마운트 래치는 작동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도록 작동되고, 특히 케이블을 끌어당기기 위해 제1 휠 마운트 래치는 작동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도록 끌어 당겨져서,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딩 프레임은 레그 프레임을 포함하며, 작동 부분은 레그 프레임에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그 프레임은 서로 고정 연결된 측면 세그먼트(side segment) 및 횡단방향 세그먼트(transversal segment)를 포함하며, 작동 부분은 측면 세그먼트 또는 횡단방향 세그먼트에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각각 작동 부분 및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연결된 2개의 맞은편 단부를 가진 단일 케이블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휠 달린 이송 장치는, 추가로: 스탠딩 프레임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휠을 수용하는 제2 휠 마운트를 포함하되, 제2 휠은 제2 휠 마운트에 대해 제2 휠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며, 제1 및 제2 휠 마운트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달린 이송 장치의 길이방향 축(lengthwise axis)을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고; 스탠딩 프레임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포함하는 제2 로킹 조립체를 포함하되, 제2 휠 마운트 래치는 제2 휠 마운트를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2 휠 마운트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2 휠 마운트를 언로킹 시키기 위해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켜서, 제2 휠 마운트가 제2 휠 축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구조물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스탠딩 프레임에 결합된 핸들 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며, 릴리스 메커니즘은 핸들 프레임의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제1 휠 마운트 및 제2 휠 마운트가 동시에 언로킹 될 수 있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프레임 구조물, 특히 스탠딩 프레임 또는 핸들 프레임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 및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키는 제1 연결 부분,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키는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되;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2 연결 부분을 작동시켜서, 특히 제2 연결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1 연결 부분을 릴렉스 시켜서,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1 연결 부분을 작동시켜서, 특히 제1 연결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제2 연결 부분을 릴렉스 시켜서, 제2 휠 마운트 래치가 제2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 중 임의의 연결 부분은 케이블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피벗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상기 피벗축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은 작동 부분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되, 결합 부분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링크 액츄에이터는 결합 부분이 제2 상태에 있고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핸들 프레임 또는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2 휠 마운트 래치는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는 결합 부분이 제2 상태에 있고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핸들 프레임 또는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 휠 마운트 래치는 제1 휠 마운트로부터 제2 방향으로 분리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분은 핸들 프레임과 함께 수용되고 핸들 프레임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 및 핸들 프레임은 결합 부분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추가로: 링크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제1 스프링을 포함하되, 제1 스프링은 링크 액츄에이터를 편향시켜 스탠딩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되거나; 및/또는 링크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제2 스프링을 포함하되, 제2 스프링은 링크 액츄에이터를 편향시켜 스탠딩 프레임 및 핸들 프레임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은 핸들 프레임과 함께 수용되며 작동 부분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되, 결합 부분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 및 핸들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링크 액츄에이터 및 핸들 프레임은 결합 부분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결합 부분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핸들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부분은 제1 상태에서 링크 액츄에이터와 결합되어 링크 액츄에이터가 핸들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링크 액츄에이터는 결합 부분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제1 또는 제2 스프링의 편향력 하에서 핸들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은 결합 부분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될 때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링크 액츄에이터는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결합 부분이 핸들 프레임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제2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1 연결 부분을 작동시키고, 특히 제1 연결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기고, 작동 부분은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결합 부분이 핸들 프레임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제1 스프링에 의해 편향된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2 연결 부분을 작동시키고, 특히 제2 연결 부분을 밀거나 끌어 당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는 일반적으로 V-형태의 슬롯, 및 슬롯의 바닥에서 노치를 가지며, 결합 부분은 제1 상태에서 노치와 결합되고 제2 상태에서는 노치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케이블에 의해 결합 부분과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며 작동 부분을 제1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케이블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되, 작동 부분은 케이블 조립체를 작동시켜서, 특히 케이블 조립체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들이 각각 제1 및 제2 휠 마운트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조립체는, 슬라이딩 부분, 슬라이딩 부분과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과 작동 부분과 연결된 제3 케이블을 포함하고, 제1 케이블 부분은 제1 연결 부분 또는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추가로 연결되며, 제2 케이블 부분은 제2 연결 부분 또는 제2 휠 마운트 래치와 추가로 연결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회전 결합 메커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회전 결합 메커니즘은, 핸들 프레임의 회전 동안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를 핸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고, 휠 달린 이송 장치를 접기 위해 핸들 프레임이 회전될 때 링크 액츄에이터를 핸들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딩 프레임은 제1 결합 부분을 포함하며, 핸들 프레임은 제1 결합 부분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결합 부분을 포함하고, 회전 결합 메커니즘은 링크 액츄에이터와 함께 수용된 캐칭 부분(catching part) 및 제1 결합 부분에 제공된 안내 슬롯(guide slot)을 포함하며, 캐칭 부분은 안내 슬롯에 수용된 돌출부를 가지고, 안내 슬롯은 제1 슬롯 부분 및 제1 슬롯 부분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제2 슬롯 부분을 가지며, 캐칭 부분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캐칭 부분은 제2 결합 부분과 결합되며 돌출부는 링크 액츄에이터를 핸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1 상태에서 제1 슬롯 부분 내에 수용되고, 캐칭 부분은 제2 결합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돌출부는 링크 액츄에이터를 핸들 프레임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제2 상태에서 제2 슬롯 부분 내에 수용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칭 부분의 돌출부는 핸들 프레임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때 제1 슬롯 부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결합 메커니즘은 각각 캐칭 부분 및 링크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캐칭 부분이 제1 상태를 향하도록 편향시킨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되,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되면, 핸들 프레임은 링크 액츄에이터와 접촉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며,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면, 핸들 프레임은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링크 액츄에이터는 스프링의 편향력 하에서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 부분 및 제2 연결 부분은 단일 케이블에 의해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핸들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열된 링크 액츄에이터; 및 제1 휠 마운트 래치에서 루핑된(loop) 중간 부분, 및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에 고정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연결 부분을 포함하되,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릴렉스 시켜서,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릴렉스 시켜서, 제2 휠 마운트 래치가 제2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조립체는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연결된 제1 로킹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2 로킹 조립체는 제2 휠 마운트 래치와 연결된 제2 로킹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1 로킹 스프링은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제1 휠 마운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편향력을 제공하는데, 상기 편향력은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휠 마운트와 결합시키기 위해 제2 로킹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편향력보다 크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케이블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며, 작동 부분은 핸들 프레임이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있을 때, 제1 및 제2 휠 마운트를 언로킹 시키기 위해 링크 액츄에이터가 제1 및 제2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은 링크 액츄에이터 또는 케이블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된 구동 요소와 연결되며, 작동 부분은 링크 액츄에이터가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핸들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열된 링크 액츄에이터; 및 링크 액츄에이터에서 루핑된 중간 부분, 및 각각 제1 휠 마운트 래치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에 고정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진 연결 부분을 포함하되,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릴렉스 시켜서,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릴렉스 시켜서, 제2 휠 마운트 래치가 제2 휠 마운트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과 함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며 작동 부분을 제1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케이블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작동 부분은 케이블 조립체를 작동시켜서, 특히 케이블 조립체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들이 각각 제1 및 제2 휠 마운트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조립체는, 슬라이딩 부분, 슬라이딩 부분과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과 작동 부분과 연결된 제3 케이블을 포함하고, 제1 케이블 부분은 연결 부분의 제1 부분 또는 제1 휠 마운트 래치와 추가로 연결되며, 제2 케이블 부분은 연결 부분의 제2 부분 또는 제2 휠 마운트 래치와 추가로 연결되고, 연결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접힌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는: 스탠딩 프레임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링크 액츄에이터; 및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제1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키는 제1 연결 부분, 및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제2 링크 액츄에이터에 결합시키는 제2 연결 부분을 포함하며; 핸들 프레임과 고정 연결되고 가압 부분을 가진 결합 부분을 포함하되;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되면, 가압 부분은 제1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링크 액츄에이터가 움직이고 특히 제2 링크 액츄에이터가 밀거나 끌어당겨져서, 제2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2 휠 마운트 래치가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되고 특히 제2 휠 마운트 래치가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밀거나 끌어 당겨지며,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면, 가압 부분은 제2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링크 액츄에이터가 움직이고 특히 제1 링크 액츄에이터가 밀거나 끌어당겨져서, 제1 링크 액츄에이터는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되고 특히 제1 휠 마운트 래치가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밀거나 끌어 당겨진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은 핸들 프레임과 함께 수용된 제1 및 제2 가압 부분, 및 제1 및 제2 가압 부분들과 연결되고 작동 부분에 결합된 릴리스 액츄에이터를 추가로 포함하되, 제1 가압 부분은 제1 링크 액츄에이터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2 가압 부분은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2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2 가압 부분은 제2 링크 액츄에이터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제1 가압 부분은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작동 부분은 제1 가압 부분이 제1 링크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도록 작동되고 특히 제1 링크 액츄에이터를 밀거나 끌어당기도록 작동되며, 제1 링크 액츄에이터는 핸들 프레임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작동시켜서 특히 제1 휠 마운트 래치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1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며, 작동 부분은 제2 가압 부분이 제2 링크 액츄에이터를 움직이게 하도록 작동되고 특히 제2 링크 액츄에이터를 밀거나 끌어당기도록 작동되며, 제2 링크 액츄에이터는 핸들 프레임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작동시켜서 특히 제2 휠 마운트 래치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제2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킨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휠 달린 이송 장치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다.
본 특허출원은, 스탠딩 프레임, 및 스탠딩 프레임의 바닥에 제공된 복수의 휠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휠 달린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휠 조립체들은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될 수 있으며, 언로킹된 휠 조립체가 휠 축의 수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르면, 몇몇 휠 조립체들은 로킹되고 다른 휠 조립체들은 언로킹되거나, 또는 모든 휠 조립체들은 원할 때 동시에 언로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휠 달린 이송 장치들은 사용 시에 보다 유연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동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휠 달린 이송 장치의 실시예들은 어린이 유모차 장치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 및 특징들을 통합할 수 있는 휠 달린 이송 장치들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어린이 유모차 장치, 트롤리, 쇼핑 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성 및 특징들은 휠을 가진 임의의 타입의 제품들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되고 있는 휠 달린 이송 장치들은 하기 예시된 예들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5은 어린이 유모차 장치의 한 예인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한 실시예를 예시한 다양한 개략도이다. 도 1-5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10)는 서로 결합된 핸들 프레임(14)과 스탠딩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 구조물(11), 및 스탠딩 프레임(12)의 바닥에 제공된 복수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스탠딩 프레임(12)은 2개의 레그 프레임(20 및 22)들, 2개의 측면 연결 바(24)들, 및 2개의 측면 지지 바(26)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 프레임(20)은 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으며, 레그 프레임(22)은 예시적으로 전방 레그 프레임일 수 있다. 각각의 레그 프레임(20 및 22)들은, 각각, 스탠딩 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 예컨대, 레그 프레임(20)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A)들과 레그 프레임(22)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2A)들, 및 2개의 측면 세그먼트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 예컨대, 레그 프레임(20)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A)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20B), 및 레그 프레임(22)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22A)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22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 및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는, 각각, 하나의 측면 연결 바(24)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측면 지지 바(26)는 측면 세그먼트(20A 및 22A)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측면 세그먼트(22A)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레그 프레임(20 및 22), 측면 연결 바(24)들 및 측면 지지 바(26)들은 휠 달린 이송 장치(10)를 접고 펴는 동안에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은 2개의 바 링크장치(28)들에 의해 스탠딩 프레임(12)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 링크장치(28)는 각각 스탠딩 프레임(12) 및 핸들 프레임(14)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단부들을 가진 바(28A)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 프레임(14)은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측면 부분(14A)들, 및 2개의 측면 부분(14A)들과 연결된 그립 부분(14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은, 하나의 측면 연결 바(24)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측면 지지 바(26)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바(28A)에 의해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바(28A)는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 및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과 각각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5를 보면, 각각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은 스탠딩 프레임(1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휠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휠 축 주위에서 휠 마운트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휠을 수용하고, 휠 마운트는 휠 축의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휠 조립체(16)들이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들의 하측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휠 조립체(18)들이 레그 프레임(22)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22A)들의 하측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휠 조립체(16)는 레그 프레임(2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휠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휠 축(32A) 주위에서 휠 마운트(3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휠(32)을 수용하고, 휠 마운트(30)는 휠 축(32A)의 수평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휠 조립체(18)는 레그 프레임(2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34)를 포함할 수 있는데, 휠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휠 축(36A) 주위에서 휠 마운트(3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휠(36)을 수용하고, 휠 마운트(34)는 휠 축(36A)의 수평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다. 휠 마운트(30)들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휠 마운트(34)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도 3 및 5를 보면, 2개의 휠 조립체(16)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휠 조립체(16)에서, 휠 마운트(30)는 피벗 액슬(31) 주위에서 레그 프레임(2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30) 및 휠 마운트에 수용된 휠(32)은 피벗 액슬(31) 주위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휠 마운트(30)는 피벗 액슬(31)에 의해 레그 프레임(2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우징(33)을 포함할 수 있다. 휠 축(32A)을 형성하는 휠 액슬(35)이 휠 마운트(30)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하우징(33)을 통해 배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휠 액슬(35)은 수직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측면 하우징(33)에 조립된 슬라이딩 부분(37)을 통해 배열될 수 있으며, 스프링(38)이 슬라이딩 부분(37) 및 하우징(33)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38)은 사용 동안에 바람직하지 못한 충격 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해 휠이 휠 마운트(30)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도 3 및 5를 보면, 휠 마운트(30)를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 시키기 위해 로킹 조립체(39)가 제공된다. 로킹 조립체(39)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 래치(40), 및 휠 마운트 래치(40)와 연결된 로킹 스프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휠 마운트 래치(40)는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면 세그먼트(20A)는 공동(44)을 가질 수 있고, 휠 마운트 래치(40)는 공동(44)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기다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공동(44) 외부로 돌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후퇴되도록(retract)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공동(44)은 공동(44)의 내부보다 크기가 좁은 개구(44A)를 가질 수 있고, 휠 마운트 래치(40)는 공동(44)의 개구(44A)를 통해 이동되는 외측 부분보다 큰 내측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공동(44)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42)은 공동(44) 내부에 배열될 수 있으며, 측면 세그먼트(20A) 및 휠 마운트 래치(40)과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로킹 스프링(42)은 휠 마운트(30)와 결합을 위해 휠 마운트 래치(40)를 공동(44) 외부로 돌출되도록 편향시킬 수 있다.
로킹 조립체(39)에서,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의 하우징(33)에 제공된 개구(46)와 결합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30)를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휠 마운트(30)를 휠 마운트(30)의 개구(46)로부터 분리시켜(disengage) 언로킹 시키도록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서, 휠 마운트(30)가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42)은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편향력(biasing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로킹 조립체(39)가 각각의 2개의 휠 조립체(16)들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10)는 휠 마운트 래치(40)에 결합된 작동 조립체(4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연결 부분(50)들, 및 휠 마운트 래치(40)로부터 떨어진 한 위치에서 프레임 구조물(11)에 제공된 작동 부분(54)을 포함하는 릴리스 메커니즘(52)을 포함한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48)는 프레임 구조물(11)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56), 및 2개의 휠 조립체(16)들의 휠 마운트 래치(40)들을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각각 결합시키는 2개의 연결 부분(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56)는 프레임 구조물(11)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들, 예컨대, 스탠딩 프레임(12), 핸들 프레임(14), 또는 핸들 프레임(14)을 스탠딩 프레임(12)에 결합시키는 바 링크장치(28)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56)는 바 링크장치(28)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액츄에이터(56)는 바 링크장치(28)의 바(28A)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일체형 부분으로서 바(28A)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연결 부분(50)들은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물(11)의 적어도 한 부분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routed).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부분(50)들은 2개의 상이한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한 단부 및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를 가진다. 또 다른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50)들은 하나의 단일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2개의 휠 마운트 래치(40)들 및 링크 액츄에이터(56)와 연결된 중간 부분에 고정된 2개의 단부들을 가진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56)는 각각의 연결 부분(50)을 끌어 당기고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부분(50)을 릴렉스 시켜서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40)가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4 및 5를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52)은 작동 조립체(48)가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게 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52)은 작동 조립체(48)에 결합되고 핸들 프레임(14)에 위치된 작동 부분(5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분(54)은 도 1 및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측면 부분(14A)에 배열되거나, 또는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에 배열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작동 부분(54)은 핸들 프레임(14)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일체형 부분으로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분(54)은 핸들 프레임(14)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52)은 작동 부분(54)을 작동 조립체(48)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5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58)은 작동 부분(54)을 작동 조립체(48)의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결합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예시적으로, 각각 작동 부분(54) 및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고정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보육사는 작동 부분(54)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링크 액츄에이터(56)가 이동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휠 마운트(30)들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 1-5과 함께, 도 6 및 7은 릴리스 메커니즘(52)의 변형 구성을 예시한 2개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6 및 7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52)의 연결 부분(58)은 핸들 프레임(14)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8)은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작동 조립체(48)의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결합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60)는 작동 부분(54)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작동 부분(54)은 핸들 프레임(14)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또는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 동안, 링크 액츄에이터(60)와 슬라이딩 접촉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액츄에이터(60)는 램프 표면(62)을 가질 수 있으며, 작동 부분(54)은 램프 표면(62)과 슬라이딩 접촉되는 돌출부(64)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육사는 작동 부분(54)을 가압하여, 램프 표면(62) 및 돌출부(64)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으로 인해 링크 액츄에이터(60)가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하고 링크 액츄에이터(56)가 이동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언로킹된 휠 마운트(30)들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도 1-5과 함께, 도 8 및 9는 릴리스 메커니즘(52)의 또 다른 변형 구성을 예시한 2개의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8 및 9를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52)의 작동 부분(54)은 핸들 프레임(14)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배럴(6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배럴(6)을 포함하는 작동 부분(54)은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작동 부분(54) 및 배럴(66)은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작동 부분(54)은 연결 부분(58)에 의해 작동 조립체(48)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부분(58)은 작동 부분(54)을 작동 조립체(48)의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결합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예시적으로, 각각 작동 부분(54)의 배럴(66) 및 링크 액츄에이터(56)에 고정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육사는 작동 부분(54)을 작동시키고 배럴(66)을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회전시켜 연결 부분(5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길 수 있고 링크 액츄에이터(56)가 이동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휠 마운트(30)들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제부터, 도 1-9에 대해,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예시적인 작동이 기술된다. 휠 달린 이송 장치(10)가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휠 마운트(30)들의 자유 회전을 필요로 하게 되면, 보육사는 작동 부분(54)을 작동시켜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가 상응하는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고, 휠 마운트(30)들은 언로킹 되어, 휠 축(32A)의 수평 배향을 변형시키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한다. 휠 마운트(30)들은, 작동 부분(54)이 릴리스 되지 않는 한, 언로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이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휠 달린 이송 장치(100)는 증가된 유연성으로 조종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 모드가 필요할 때, 각각의 휠 마운트(30)는 일반적인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일반적인 위치에서는, 휠 축(32A)이 횡단 방향으로 배향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통상 수직이다. 그 뒤, 작동 부분(54)은 릴리스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다. 휠 마운트(30)들은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휠 마운트 래치(40)가 로킹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 부분(54)은 구동 트랜스미션(drive transmission)에 의해 연결 부분(50 및 58)들을 통하여 초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16은, 각각, 앞에서 기술된 작동 조립체(48) 및 릴리스 메커니즘(52)을 대체할 수 있는 작동 조립체(68) 및 릴리스 메커니즘(70)을 포함하는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다양한 도면이다. 도 10-15를 보면, 작동 조립체(68)는,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2개의 휠 마운트 래치(40)들과 연결된 2개의 연결 부분(50)들, 및 프레임 구조물(11)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레그 프레임(20)의 횡단방향 세그먼트(20B)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연결 부분(50)은 하나의 휠 마운트 래치(40)를 하나의 링크 액츄에이터(72)에 결합시킬 수 있다. 2개의 연결 부분(50)들은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A)를 따라 레그 프레임(20)의 횡단방향 세그먼트(20B)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 부분(50)들은 2개의 상이한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도 15에 잘 도시됨)에 고정된 한 단부 및 링크 액츄에이터(72)(도 11에 잘 도시됨)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를 가진다.
도 10 및 11을 보면,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레그 프레임(20)의 횡단방향 세그먼트(20B)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 프레임(20)의 횡단방향 세그먼트(20B)는 브래킷(74)과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횡단방향 세그먼트(20B)에 대해 브래킷(74) 내부에서 횡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브래킷(74)은 베이스 부분(74A) 및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 부분(74A)은 횡단방향 세그먼트(20B)와 고정 연결되고,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은 서로 평행한 베이스 부분(74A)으로부터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 사이에 형성된 틈(76)만큼 돌출된다. 마운트 부분(74B)들 및 베이스 부분(74A)을 포함하는 브래킷(74)은 단일 부분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은 커버(78)로 닫힌 중공 내부(74C)를 가질 수 있으며,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각각,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의 중공 내부(74C)에 수용되고 마운트 부분(74B)들에 제공된 개구(74D)들을 통해 틈(76)으로 연장된다.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마운트 부분(74B)들에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각각의 링크 액츄에이터(72)는 스템 부분(72A), 앵커링 부분(72B) 및 핀(72C)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템 부분(72A)은 마운트 부분(74B)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앵커링 부분(72B)은 커버(78)에서 마운트 부분(74B)의 중공 내부(74C)로 제공된 홀을 통해 안내될 수 있는 연결 부분(50)의 한 단부와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핀(72C)은 개구(74D)를 통해 틈(76)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72)는 틈(76)을 향해 연결 부분(50)을 끌어 당기고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0)을 릴렉스 시켜서,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40)가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14를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70)은 레그 프레임(20)에 위치된 작동 부분(8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부분(80)은 레그 프레임(20)의 횡단방향 세그먼트(20B)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80)은 틈(7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브래킷(74)의 2개의 결합 부분(74B)들에 제공된 2개의 홀(74E)들 및 작동 부분(80)에 제공된 홀(80A)을 통해 배열된 샤프트(도시되지 않음) 주위로 브래킷(74)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부분(80)은 결합 부분(80B) 및 작동 부분(80C)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 부분(80B)은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의 핀(72C)들에 인접하게 틈(76) 내에 배열되고, 작동 부분(80C)은 틈(76) 외부로 돌출된다. 홀(80A)은 결합 부분(80B)에 제공될 수 있으며, 결합 부분(80B)의 각각의 2개의 맞은편 측면들은 하나의 링크 액츄에이터(72)의 핀(72C)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에 있는 홀(80A)로부터 편심된(eccentric) 램프 표면(A)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72)가 틈(76)을 향해 편향되게 하여, 링크 액츄에이터(72)가 작동 부분(80)의 램프 표면(A)과 슬라이딩 접촉 상태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82)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82)은 마운트 부분(74B)에 배열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링크 액츄에이터(72) 및 커버(78)와 함께, 2개의 맞은편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램프 표면(A) 및 링크 액츄에이터(72)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 때문에, 링크 액츄에이터(72)는 틈(76)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또는 틈(7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8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 부분(50)을 끌어 당기거나 릴렉스 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작동 부분(80)은,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를 결합시키고 로킹하도록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분리되어 언로킹 시키도록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5는 로킹 상태에 있는 휠 마운트(30)를 예시하고, 도 16은 언로킹 상태에 있는 휠 마운트(30)를 예시한다. 작동 부분(80)이 각각의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에 유사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작동 부분(80)은 레그 프레임(20)의 2개의 휠 마운트 래치(40)들의 언로킹 및 로킹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도 17-19는, 각각, 앞에서 기술된 작동 조립체들 및 릴리스 메커니즘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작동 조립체(68') 및 릴리스 메커니즘(70')의 변형 구성을 예시한 다양한 도면들이다. 도 17-19를 보면, 작동 조립체(68')는,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각각 2개의 휠 마운트 래치(40)들과 연결된 2개의 연결 부분(50)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2개의 링크 액츄에이터(72)들은 없다. 릴리스 메커니즘(70')은 연결 부분(50)들과 연결되고 레그 프레임(20)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20A)들 중 하나에 배열된 작동 부분(86)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동 부분(86)은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배럴(88), 및 배럴(88)로부터 돌출된 작동 부분(9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90) 및 배럴(88)을 포함하는 작동 부분(86)은 단일 부분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부분(86)은 배럴(88)에 제공된 홀(92)을 통해 배열된 샤프트(도시되지 않음) 주위로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부분(50)은, 예시적으로, 작동 부분(86)의 배럴(88)에 고정된 한 단부 및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맞은편 단부를 가진 단일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도 15 및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배럴(88)은 2개의 연결 부분(50)들의 각각의 단부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노치(88A)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배럴(88)은, 로킹 스프링(42)들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 래치(40)들이 휠 마운트(30)들과 결합하고 로킹할 수 있도록 연결 부분(50)들을 풀고 릴렉스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들이 각각 연결 부분(50)들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각각 휠 마운트(30)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연결 부분(50)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0 및 21은, 앞에서 기술된 릴리스 메커니즘들을 대체할 수 있는 릴리스 메커니즘(93)의 또 다른 변형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20 및 21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93)은 휠 달린 이송 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에 배열된 작동 부분(9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분(94)은, 프레임 구조물, 예컨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튼(98) 및 배럴(96)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96)은 피벗 액슬(99) 주위로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각각의 연결 부분(50)은, 예시적으로, 배럴(96)에 고정된 한 단부 및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맞은편 단부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도 15 및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배럴(96)은 2개의 연결 부분(50)들의 각각의 단부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맞은편 위치들에서 2개의 노치(96A)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배럴(96)은, 로킹 스프링(42)들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 래치(40)들이 휠 마운트(30)들과 결합하고 로킹할 수 있도록 연결 부분(50)들을 릴렉스하기 위해 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들이 각각 연결 부분(50)들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각각 휠 마운트(30)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연결 부분(50)들을 끌어 당기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버튼(98)은 그립 부분(14B)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피벗 액슬(99)로부터 편심된 한 위치에서 배럴(96)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버튼(98)은 피벗 액슬(99)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버튼(98)은, 휠 마운트 래치(40)들이 각각 연결 부분(50)들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각각 휠 마운트(30)들로부터 분리되도록, 2개의 연결 부분(50)들을 동시에 끌어 당기기 위해 배럴(96)이 회전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22는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투시도로서, 예시적으로 어린이 유모차 장치이다. 도 22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100)는 서로 결합된 핸들 프레임(14)과 스탠딩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프레임 구조물(102)을 포함할 수 있다. 휠 달린 이송 장치(100)에서, 핸들 프레임(14)은, 어린이가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는 상이한 방향으로, 휠 달린 이송 장치(100)를 밀기 위해 상이한 경사의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14)은 한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휠 달린 이송 장치(100)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들은 측면 연결 바(24)들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으며, 핸들 프레임(14)은 상이한 경사의 2개의 위치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조절을 위해 측면 연결 바(24)들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스탠딩 프레임(12)은 앞에서 기술된 휠 달린 이송 장치(10)의 스탠딩 프레임과 유사하며,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캐리어 바(1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핸들 프레임(14)은 바(28A)를 포함하는 바 링크장치(28)에 의해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스탠딩 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다. 캐리어 바(104)는 측면 연결 바(24)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측 부분, 및 측면 지지 바(26)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측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은 공통 피벗축(R) 주위에 배열된다. 바(28A)는, 각각, 피벗축(R) 주위로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 및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핸들 프레임(14)은 상이한 위치의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조절을 위해 바 링크장치(28)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스탠딩 프레임(12)은 레그 프레임(20)에 제공된 2개의 휠 조립체(16)들, 및 레그 프레임(22)에 제공된 2개의 휠 조립체(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와 함께, 도 23은 하나의 휠 조립체(16)를 예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2 및 23을 보면, 휠 조립체(16)는 앞에서 기술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레그 프레임(2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30) 및 휠 마운트에 수용된 휠(32)은 레그 프레임(20)에 대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로킹 조립체(39)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휠 마운트(30)를 회전 가능하게 로킹하고 언로킹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데, 로킹 조립체(39)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 래치(40), 및 휠 마운트(30)와 결합시키기 위해 휠 마운트 래치(40)를 편향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로킹 스프링(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와 함께, 도 24는 하나의 휠 조립체(18)를 예시한 확대 투시도이다. 도 22 및 24를 보면, 휠 조립체(18)는 앞에서 기술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레그 프레임(2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34)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34) 및 휠 마운트에 수용된 휠(36)은 레그 프레임(22)에 대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휠 마운트(34)를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 시키기 위해 로킹 조립체(110)가 제공된다. 로킹 조립체(110)는 휠 조립체(16)의 로킹 조립체(39)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로킹 조립체(110)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 래치(112), 및 휠 마운트 래치(112)와 연결된 로킹 스프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마운트 래치(112)는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로킹 스프링(114)은 측면 세그먼트(22A) 및 휠 마운트 래치(112)와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와 결합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34)를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휠 마운트(34)가 휠 축(36A)의 수평 배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휠 마운트(34)를 분리하고 언로킹 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114)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휠 마운트 래치(112)를 편향시킬 수 있다.
도 22-24와 함께, 도 25-27은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추가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22-27을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100)는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에 결합된 작동 조립체(120), 및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로부터 떨어진 한 위치에서 프레임 구조물(102)에 제공된 작동 부분(124)을 포함하는 릴리스 메커니즘(1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조립체(120)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126), 휠 마운트 래치(40)를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128), 및 휠 마운트 래치(112)를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16 및 18)와 결합된다.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연결 부분(1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1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0)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1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상이한 경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핸들 프레임(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피벗축(R)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1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스탠딩 프레임(12)의 캐리어 바(14)에 의해 피벗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 또는 핸들 프레임(14)의 한 측면 부분(14A)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126)를 위한 적절한 구성 예들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회전식 플레이트, 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27을 보면, 2개의 연결 부분(128 및 130)들은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128 및 130)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결합시키는 2개의 개별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128)은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단부(128A) 및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128B)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부분(130)은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단부(130A) 및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130B)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128)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40)로부터,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 측면 연결 바(24) 및 캐리어 바(104)를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126)로 안내될 수 있다. 연결 부분(130)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112)로부터,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 측면 연결 바(24) 및 캐리어 바(104)를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126)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연결 부분(1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1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128)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를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1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2-27을 보면, 작동 조립체(120)는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연결된 2개의 스프링(132 및 13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2개의 스프링(132 및 134)들은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126) 및 캐리어 바(104)와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2개의 스프링(132 및 134)들은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2개의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32)은 연결 부분(130)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128)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링크 액츄에이터(126)를 스탠딩 프레임(12) 및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134)은 연결 부분(128)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130)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링크 액츄에이터(126)를 스탠딩 프레임(12) 및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도 22-27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122)이 작동되는 동안, 핸들 프레임(14)은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한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122)은 케이블(138)에 의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부분(136) 및 작동 부분(12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부분(124)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에 제공될 수 있으며, 결합 부분(136)은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과 함께 수용될 수 있다. 결합 부분(136)은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핸들 프레임(14) 및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대해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126) 및 핸들 프레임(14)은 결합 부분(136)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피벗축(R) 주위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고,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결합 부분(136)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스탠딩 프레임(12) 및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일반적으로 V-형태의 슬롯(140), 및 슬롯(140)의 바닥에서 노치(142)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연결 부분(128 및 130)들은, 각각, 슬롯(140)의 2개의 측면들에서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 부분(136)은 제1 상태에서 노치(14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태에서는 노치(14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결합 부분(136)은 핸들 프레임(14)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분(136)은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템 부분(144), 및 스템 부분(144)으로부터 옆으로 돌출되는 스템 부분(144)과 고정 연결된 핀(146)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136)은 핀(146)이 노치(142)와 결합되는 제1 상태 및 핀(146)이 노치(142)로부터 분리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부분(136)이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제1 상태에서 결합되면, 링크 액츄에이터(126)가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 부분(136)이 노치(142)로부터 분리된 제2 상태에 있으면,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스프링(132 또는 134)의 편향력 하에서 스탠딩 프레임(12) 및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도 22-27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122)은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결합된 제1 상태를 향해 결합 부분(136)을 편향시키기 위해 스프링(14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148)은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 및 결합 부분(136)의 스템 부분(144)과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22-27과 함께, 도 28은 작동 부분(124)의 세부 구성을 예시한 확대도이다. 도 22 및 28을 보면, 작동 부분(124)은 배럴(150) 및 버튼(152)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150)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138)은 배럴(150)에 고정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버튼(152)은 그립 부분(14B)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배럴(15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버튼(152)은 케이블(138)을 끌어 당기기 위하여 배럴(150)이 회전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결합 부분(136)은 스프링(148)의 편향력에 대해 이동되고 링크 액츄에이터(126)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2개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1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120) 및 릴리스 메커니즘(122)은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124)에 결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으로, 핸들 프레임(14)은 결합 부분(136)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데, 핸들 프레임(14)은 제1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제2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될 때 연결 부분(130)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128)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와 분리되고 언로킹 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와 결합되어 로킹될 수 있다. 반대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연결 부분(128)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130)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와 분리되고 언로킹 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와 결합되어 로킹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고 작동 부분(124)이 릴리스 되는 동안, 스프링(148)의 편향력은 결합 부분(136)이 제1 상태에서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를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 마운트(30)와 결합되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로부터 초기 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휠 마운트(34)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 된다. 핸들 프레임(14)의 제1 위치에서, 스프링(134)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는 스프링(132)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보다 높을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는 동안,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언로킹 하기 위하여, 보육사는 결합 부분(136)이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동되도록 작동 부분(124)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134)에 의해 편향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고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연결 부분(128)을 끌어 당길 수 있다.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이렇게 링크 액츄에이터(126)가 제2 방향으로 각변위(angular displacement) 되면,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를 향해 앞에서 언급한 초기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제한 변위되어,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제1 위치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고 작동 부분(124)이 릴리스 되는 동안, 스프링(148)의 편향력은 결합 부분(136)이 제1 상태에서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를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 마운트(34)와 결합되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로부터 초기 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휠 마운트(30)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 된다. 핸들 프레임(14)의 제2 위치에서, 스프링(132)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는 스프링(134)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보다 높을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언로킹 하기 위하여, 보육사는 결합 부분(136)이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동되도록 작동 부분(124)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132)에 의해 편향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휠 마운트 래치(112)를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연결 부분(130)을 끌어 당길 수 있다. 휠 마운트 래치(112)를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이렇게 링크 액츄에이터(126)가 제1 방향으로 각변위 되면,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를 향해 앞에서 언급한 초기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큼 제한 변위되어,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제2 위치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도 29-31은 앞에서 기술된 작동 조립체(120)를 대체할 수 있는 작동 조립체(12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9-31을 보면, 작동 조립체(120')는 링크 액츄에이터(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연결 부분(128 및 130)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결합시키고, 2개의 스프링(132 및 134)들은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연결된다. 작동 조립체(120')에 사용되는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작동 조립체(120)의 링크 액츄에이터(126)와 일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으며, 피벗축(R)에 중심이 위치되고 아치 형태를 가진 안내 슬롯(160)을 추가로 포함한다. 게다가, 작동 조립체(120')에 사용되는 2개의 연결 부분(128 및 130)들은, 링크 액츄에이터(126)에 제공된 앵커링 개구(162) 및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2개의 단부들을 가진 단일의 연속 케이블, 및 휠 마운트 래치(40)에서 루핑되고(loop) 슬라이딩 접촉되는 중간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작동 조립체(120')의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 사이에서 로킹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결합 부분(136)이 링크 액츄에이터(136)와 결합된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결합 부분(136)은 동일한 시간에서 모든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언로킹 하기 위해 스프링(132 또는 134)의 편향력 하에서 회전될 수 있다. 휠 달린 이송 장치(100)가 보관을 위해 접히면, 결합 부분(136)의 핀(146)은 안내 슬롯(1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의 예들은 스프링 메커니즘에만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한 변형 실시예에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진 구동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고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재는 구동 요소가 제2 상태에 있을 때 링크 액츄에이터(126)가 회전되도록 작동시킨다.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단일 케이블(138)이 각각 구동 부재 및 작동 부분(124)과 연결된 2개의 맞은편 단부들을 가질 수 있으며, 보육사는 구동 부재가 핸들 프레임(14) 또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이동되도록 작동 부분(124)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구동 요소에 의해 구동된 링크 액츄에이터(126)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휠 마운트 래치를 휠 마운트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연결 부분(128 또는 130)을 끌어 당길 수 있다.
도 32-39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 휠 달린 이송 장치(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2-39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200)는, 도 22-24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프레임 구조물(102), 휠 조립체(16 및 18)들 및 로킹 조립체(39 및 110)들을 가질 수 있으며, 앞에 기술된 실시예의 작동 조립체(120) 및 릴리스 메커니즘(122)을 대체하는 작동 조립체(220) 및 릴리스 메커니즘(2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2-39를 보면, 작동 조립체(220)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226), 휠 마운트 래치(40)를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228), 및 휠 마운트 래치(112)를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2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16 및 18)와 결합된다.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연결 부분(2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2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228)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2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상이한 경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핸들 프레임(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피벗축(R)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1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은 피벗축(R)을 따라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232)과 고정 연결될 수 있고,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캐리어 바(104)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제공된 홀(226A)을 통해 샤프트 부분(232)과 결합함으로써 핸들 프레임(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두 링크 액츄에이터(226) 및 핸들 프레임(14)은 모두 피벗축(R) 주위에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226)를 위한 적절한 구성 예들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회전식 플레이트, 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2-39를 보면, 2개의 연결 부분(228 및 230)들은 개별 케이블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단일 케이블로부터 형성된 케이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228 및 230)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결합시키는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228)은 결부 부분(234)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고정되고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단부를 가진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부분(230)은 결부 부분(234)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226)에 고정되고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단부를 가진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228)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40)로부터,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 측면 연결 바(24) 및 캐리어 바(104)를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226)로 안내될 수 있다. 연결 부분(230)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112)로부터,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 측면 연결 바(24) 및 캐리어 바(104)를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226)로 안내될 수 있다. 연결 부분(228 및 230)들은 캐리어 바(104)를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228 및 230)들은 단일 케이블로 형성되어 일체형 연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데, 링크 액츄에이터(226)에서 루핑된(loop) 중간 부분 및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연결 부분(2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2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228)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를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2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2-39를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222)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에 제공된 작동 부분(22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작동 부분(224)은 구성에 있어서 앞에서 기술된 작동 부분(124)과 유사할 수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222)이 작동되는 동안, 핸들 프레임(14)은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작동 조립체(220)는 링크 액츄에이터(226)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며 작동 부분(224)을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케이블 조립체(23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부분(224)은 케이블 조립체(236)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이 각각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케이블 조립체(236)는 슬라이딩 부분(238), 슬라이딩 부분(238)과 연결된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 및 각각 슬라이딩 부분(238) 및 작동 부분(224)과 연결된 케이블(244)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분(238)은 캐리어 바(104)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캐리어 바(10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은 각각 슬라이딩 부분(238)과 연결된 2개의 개별 케이블들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슬라이딩 부분(238)에서 루핑되고 접촉되는 단일 케이블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부분(240)은 연결 부분(228) 또는 휠 마운트 래치(40)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 부분(242)은 연결 부분(230) 또는 휠 마운트 래치(112)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7은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이 2개의 체결 부재(246)들에 의해 각각 연결 부분(228 및 230)들에 결부된 구성을 예시한다. 도 38은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이,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이 중복적으로 연결 부분(228 및 230)들에 연결된 2개의 단부들을 가질 수 있는 변형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케이블 부분(240) 및 연결 부분(228)은 슬리브(248)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케이블 부분(242) 및 연결 부분(230)은 또 다른 슬리브(248)를 통해 서로 인접하게 안내될 수 있다. 도 39는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이, 각각,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이 중복적으로 연결 부분(228 및 230)들에 연결된 2개의 단부들을 가질 수 있는 또 다른 변형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2개의 연결 부분(228 및 230)들 및 2개의 케이블 부분(240 및 242)들은 4개의 개별 슬리브(250)들을 통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휠 달린 이송 장치(200)에서, 핸들 프레임(14)은 제1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으며, 제2 위치에서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될 때 연결 부분(230)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228)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와 분리되고 언로킹 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와 결합되어 로킹될 수 있다. 반대로, 링크 액츄에이터(226)는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연결 부분(228)을 끌어 당기고 연결 부분(230)을 릴렉스 시키기 위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와 분리되고 언로킹 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와 결합되어 로킹될 수 있다.
2개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2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220)는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224)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고 작동 부분(224)이 릴리스 되는 동안,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를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 마운트(30)와 결합되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로부터 초기 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휠 마운트(34)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 된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는 동안,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언로킹 하기 위하여, 보육사는 케이블 조립체(236)를 끌어 당기고, 링크 액츄에이터(226)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부분(22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 조립체(236)를 통해 제공된 끌어당김 작동(pulling action)은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게 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계속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제1 위치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고 작동 부분(224)이 릴리스 되는 동안,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를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시키기 위해 휠 마운트(34)와 결합되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로부터 초기 거리만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어, 휠 마운트(30)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 된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언로킹 하기 위하여, 보육사는 케이블 조립체(236)를 끌어 당기고, 링크 액츄에이터(226)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부분(224)을 작동시킬 수 있다. 케이블 조립체(236)를 통해 제공된 끌어당김 작동은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게 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는 계속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제1 위치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도 40-45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 휠 달린 이송 장치(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0-45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300)는, 도 22-24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프레임 구조물(102), 휠 조립체(16 및 18)들 및 로킹 조립체(39 및 110)들을 가질 수 있으며, 앞에 기술된 실시예의 작동 조립체 및 릴리스 메커니즘을 대체하는 작동 조립체(320) 및 릴리스 메커니즘(3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0-45를 보면, 작동 조립체(320)는, 링크 액츄에이터(326), 및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링크 액츄에이터(3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328)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3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16 및 18)와 결합된다.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핸들 프레임(14)에 인접하게 배열되며, 바 링크장치(28)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피벗축(R)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12) 또는 바 링크장치(28)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링크장치(28)의 바(28A)는 공동(330)을 가질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일체형 부분으로서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공동(33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326)를 위한 적절한 구성 예들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회전식 플레이트, 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핸들 프레임(14)은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1 위치(도 4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및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2 위치 사이에서 바 링크장치(28)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결합 부분(332)이 핸들 프레임(14)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14)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수용된 결합 부분(332)은 링크 액츄에이터(326)와 접촉하여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결합 부분(332)은 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부분(332)은 핸들 프레임(14)에 대해 측면 부분(14A)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2개의 측벽(334A 및 334B)들 사이에 형성된 만입부(334)를 가질 수 있으며, 결합 부분(332)은 2개의 측벽(334A 및 334B)들 중 임의의 측벽과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결합 부분(332)이 만입부(334)의 내부를 향하게 편향시키도록 스프링(336)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프링(336)은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 및 결합 부분(332)과 각각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스프링(336)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력은 링크 액츄에이터(326)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0-45를 보면, 연결 부분(328)은 레그 프레임(20)의 휠 마운트 래치(40)에서 루핑될 수 있고(loop), 레그 프레임(22)의 휠 마운트 래치(112) 및 링크 액츄에이터(326)에 고정된 2개의 단부(328A 및 328B)들을 가질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연결 부분(328)은 연속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연속 케이블은, 휠 마운트 래치(40)에서 루핑되는 중간 부분(328C)을 가지고,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 및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를 따라 안내되며, 레그 프레임(22)의 휠 마운트 래치(112) 및 링크 액츄에이터(326)에 고정된 2개의 단부(328A 및 328B)들을 가질 수 있다. 도 44는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샤프트(338) 주위로 루핑되는 연결 부분(328)의 중간 부분(328C)을 예시한다. 그에 따라, 연결 부분(328)은 휠 마운트 래치(40)와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도 44 및 45를 보면, 로킹 스프링(42)은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은,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킹 스프링(114)에 의해 휠 마운트 래치(112)에 제공된 편향력보다 크다. 그 결과, 2개의 상이한 인장력들이 연결 부분(328)의 중간 부분(328C) 및 단부(328B)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만입부(334)의 측벽(334A)이 결합 부분(332)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편향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으로,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핸들 프레임(14)이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1 위치 및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때, 휠 마운트(30 및 34)들 사이에서 로킹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될 때, 링크 액츄에이터(326)는 로킹 스프링(42)에 의해 제공된 편향력 때문에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328)의 단부(328B)를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를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328)의 중간 부분(328C)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링크 액츄에이터(326)의 회전 변위(rotational displacement)는, 공동(330)에 제공된 스톱 돌출부(342) 및 링크 액츄에이터(326)에 제공된 리브(34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중지될 수 있는데, 이는 핸들 프레임(14)의 제1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30)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34)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될 때,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수용된 결합 부분(332)은 만입부(334)의 측벽(334A)과 접촉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326)가 로킹 스프링(42)의 편향력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링크 액츄에이터(326)가 제2 방향으로 회전 변위되면, 연결 부분(328)의 중간 부분(328C)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328)의 단부(328B)를 릴렉스 시켜서, 로킹 스프링(114)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34)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30)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0 및 42를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322)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에 제공된 작동 부분(32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작동 부분(324)은 구성에 있어서 앞에서 기술된 작동 부분(124)과 유사할 수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322)이 작동되는 동안, 핸들 프레임(14)은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한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작동 부분(324)은 케이블(344)에 의해 링크 액츄에이터(326)와 연결될 수 있다. 작동 부분(324)은 핸들 프레임(14)의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케이블(344)을 끌어 당기고 링크 액츄에이터(326)가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언로킹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며, 결합 부분(332)은, 작동 부분(324)의 작동에 의해 유도되는 링크 액츄에이터(326)의 회전 동안, 링크 액츄에이터(326)에서 만입부(334)의 측벽(334B)과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분(324)이 작동되면, 링크 액츄에이터(326)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328)을 끌어 당겨서 휠 마운트 래치(40)는 휠 마운트(30)로부터 이동되어 분리될 수 있다. 작동 부분(324)의 작동에 의해 유도되는 링크 액츄에이터(326)의 이러한 회전 변위는 제한되고,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될 때 발생되는 링크 액츄에이터(326)의 회전 변위보다 작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는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동일한 시간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작동 부분(324)이 작동되면, 링크 액츄에이터(326)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328)을 끌어 당겨서 휠 마운트 래치(4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에 따라 연결 부분(328)은 휠 마운트 래치(112)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모든 휠 마운트(30 및 34)들은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동일한 시간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한 변형 구성 예에 따르면, 케이블(344)에 의해 작동 부분(324)을 링크 액츄에이터(326)에 결합하는 대신, 작동 조립체(320)는 도 37-39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케이블 조립체(236)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324)이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링크 액츄에이터(326)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조립체(236)의 케이블(244)은 각각 슬라이딩 부분(238) 및 작동 부분(324)과 연결되고, 케이블 부분(240)은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 부분(328)의 제1 부분 또는 휠 마운트 래치(40)와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 부분(242)은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 부분(328)의 제2 부분 또는 휠 마운트 래치(11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접힌다. 이러한 변형 구성으로, 핸들 프레임(14)이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있는 동안, 작동 부분(324)은, 케이블 조립체(236)를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끌어 당겨서 링크 액츄에이터(326)와 상관 없이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분리하고 언로킹 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2개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3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320)는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32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6-49는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 휠 달린 이송 장치(4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6-49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400)는, 도 22-24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프레임 구조물(102), 휠 조립체(16 및 18)들 및 로킹 조립체(39 및 110)들을 가질 수 있으며, 앞에 기술된 실시예의 작동 조립체 및 릴리스 메커니즘을 대체하는 작동 조립체(420) 및 릴리스 메커니즘(4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6-49를 보면, 작동 조립체(420)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426), 휠 마운트 래치(40)를 링크 액츄에이터(4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428), 및 휠 마운트 래치(112)를 링크 액츄에이터(426)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4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4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16 및 18)와 결합된다.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연결 부분(4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4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428)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0)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4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상이한 경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핸들 프레임(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스탠딩 프레임(12)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바(104)는 안내 슬롯(434)을 가질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안내 슬롯(4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안내될 수 있다. 게다가,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핸들 프레임(14)과 작동 가능하게 상호작동 시키기 위해 노출되고 캐리어 바(104)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도 47을 보면, 2개의 연결 부분(428 및 430)들은 개별 케이블로서 제공되거나 또는 단일 케이블로부터 형성된 케이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1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428 및 430)들은 단일의 연속 케이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은, 캐리어 바(10)와 연결된 안내 부재(436) 주위로 루핑될 수 있고, 안내 슬롯(434)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로 형성된 2개의 연결 부분(428 및 430)들은 안내 부재(436)의 2개의 측면들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부분(428)은, 예시적으로, 캐리어 바(104)로부터, 레그 프레임(20)의 측면 세그먼트(20A) 및 측면 연결 바(24)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40)에 고정된 단부(428A)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분(430)은, 예시적으로, 캐리어 바(104)로부터, 레그 프레임(22)의 측면 세그먼트(22A) 및 측면 연결 바(24)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단부(430A)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분(428 및 430)들은 캐리어 바(104)를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426)는, 연결 부분(430)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428)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안내 슬롯(434)을 따라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428)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를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43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432)은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426)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링크 액츄에이터(426)에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스프링(432)은,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연결된 2개의 단부들 및 캐리어 바(104)에 제공된 앵커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휠 달린 이송 장치(400)의 핸들 프레임(14)은 레그 프레임(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1 위치 및 레그 프레임(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2 위치 사이에서 바 링크장치(28)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되면,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은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접촉되고 스프링(432)의 편향력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에는,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 회전될 때,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접촉되어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돌출부(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30)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34)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핸들 프레임(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면,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14A)은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접촉된 것이 떨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스프링(432)의 편향력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34)는 스탠딩 프레임(12)에 대한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30) 및 스탠딩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6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422)은 핸들 프레임(14)의 그립 부분(14B)에 제공된 작동 부분(42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작동 부분(424)은 구성에 있어서 앞에서 기술된 작동 부분(124)과 유사할 수 있다. 릴리스 메커니즘(422)이 작동되는 동안, 핸들 프레임(14)은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30 및 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작동 조립체(420)는 도 37-39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케이블 조립체(236)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명확성을 위해 도 46 및 47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휠 달린 이송 장치(400)에 사용된 케이블 조립체(236)는, 작동 부분(424)이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링크 액츄에이터(426)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 조립체(236)의 케이블(244)은 각각 슬라이딩 부분(238) 및 작동 부분(424)과 연결되고, 케이블 부분(240)은 연결 부분(428) 또는 휠 마운트 래치(40)와 연결될 수 있고, 케이블 부분(242)은 연결 부분(430) 또는 휠 마운트 래치(112)와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핸들 프레임(14)이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있는 동안, 작동 부분(424)은, 케이블 조립체(236)를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을 끌어 당겨서 링크 액츄에이터(426)와 상관 없이 휠 마운트(30 및 34)들을 분리하고 언로킹 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2개의 휠 조립체(16 및 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4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420)는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424)에 결합될 수 있다.
한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휠 달린 이송 장치(400)에 제공된 작동 조립체는 핸들 프레임(14) 또는 스탠딩 프레임(12)에 인접하게 배열된 링크 액츄에이터, 휠 마운트 래치(40) 및 휠 마운트 래치(112)에 고정된 제1 및 제2 단부 및 링크 액츄에이터에서 루핑되는 중간 부분을 가진 연결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휠 마운트 래치(112)를 제2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40)가 휠 마운트(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14) 또는 스탠딩 프레임(12)과 함께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는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작동시켜서, 특히 연결 부분의 중간 부분을 밀거나 끌어당겨서, 휠 마운트 래치(40)를 휠 마운트(34)로부터 분리시키고,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의 제2 단부를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112)가 휠 마운트(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핸들 프레임(14)과 함께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작동 조립체는 링크 액츄에이터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며 작동 부분(424)을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케이블 조립체(가령, 예컨대, 도 37-39에 도시된 케이블 조립체(23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부분(424)은 케이블 조립체를 작동시켜서, 특히 케이블 조립체를 밀거나 끌어당겨서 휠 마운트 래치(40 및 112)들이 각각 휠 마운트(30 및 34)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상기 변형 실시예에서, 케이블 조립체는 도 37-39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케이블 조립체(236)와 유사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 부분, 슬라이딩 부분과 연결된 제1 및 제2 케이블 부분, 및 슬라이딩 부분과 작동 부분(424)과 연결된 제3 케이블을 포함하고, 제1 케이블 부분은 연결 부분의 제1 부분 또는 휠 마운트 래치(40)와 추가로 연결되며, 제2 케이블 부분은 연결 부분의 제2 부분 또는 휠 마운트 래치(112)와 추가로 연결되고, 연결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접힌다.
도 50-61은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 휠 달린 이송 장치(5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50-61을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500)는 서로 결합된 핸들 프레임(514)과 스탠딩 프레임(512)으로 구성된 프레임 구조물(502), 및 스탠딩 프레임(512)의 바닥에 제공된 복수의 휠 조립체(516 및 5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딩 프레임(512)은 서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레그 프레임(520 및 5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레그 프레임(520 및 522)들은, 각각, 스탠딩 프레임(512)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측면 세그먼트, 예컨대, 레그 프레임(520)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20A)들과 레그 프레임(522)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22A)들, 및 2개의 측면 세그먼트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 예컨대, 레그 프레임(520)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20A)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520B), 및 레그 프레임(522)을 위한 2개의 측면 세그먼트(522A)들과 고정 연결된 횡단방향 세그먼트(522B)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 및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는 각각 서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그 프레임(520 및 522)들은, 휠 달린 이송 장치(500)의 접힘 및 펴짐 동안에, 서로에 대해 피벗축(P)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514)은 피벗축(P)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512)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핸들 프레임(514)은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으로 배열된 2개의 측면 부분(514A)들, 및 2개의 측면 부분(514A)들과 연결된 그립 부분(514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핸들 프레임(14)의 측면 부분(514A)은 스탠딩 프레임(51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스탠딩 프레임(512)은 결합 부분(5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은 피벗축(P) 주위로 결합 부분(524)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결합 부분(526)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분(524)은, 예시적으로,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 또는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와 고정 연결된 하우징일 수 있으며, 결합 부분(526)은, 예시적으로, 핸들 프레임(514)의 측면 부분(514A)과 고정 연결된 쉘(shell)일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핸들 프레임(514)은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1 위치 및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0 및 51을 보면, 2개의 휠 조립체(516)들이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들의 하측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으며, 2개의 휠 조립체(518)들은 레그 프레임(522)의 2개의 측면 세그먼트(522A)들의 하측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휠 조립체(516)는 레그 프레임(520)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5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휠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휠 축(532A) 주위에서 휠 마운트(53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적어도 휠(532)을 수용하고, 휠 마운트(530)는 휠 축(532A)의 수평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휠 조립체(518)는 레그 프레임(52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534)를 포함할 수 있는데, 휠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휠 축(536A) 주위에서 휠 마운트(534)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적어도 휠(536)을 수용하고, 휠 마운트(534)는 휠 축(536A)의 수평 배향을 변경하기 위해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휠 마운트(530)들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휠 달린 이송 장치(500)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휠 마운트(534)들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도 50-52를 보면, 2개의 휠 조립체(516)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휠 조립체(516)에서, 휠 마운트(530)는 피벗 액슬(538) 주위에서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530) 및 휠 마운트에 수용된 휠(532)은 피벗 액슬(538) 주위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휠 마운트(530)를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 시키기 위해 로킹 조립체(539)가 제공된다. 로킹 조립체(539)는 스탠딩 프레임(5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 래치(540), 및 휠 마운트 래치(540)와 연결된 로킹 스프링(542)을 포함할 수 있다. 휠 마운트 래치(540)는 휠 마운트(530)와 결합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530)를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휠 마운트(530)가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휠 마운트(530)를 언로킹 시켜 휠 마운트(530)를 분리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542)은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0, 51 및 53을 보면, 2개의 휠 조립체(518)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휠 조립체(518)에서, 휠 마운트(534)는 피벗 액슬(544) 주위에서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와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534) 및 휠 마운트에 수용된 휠(536)은 피벗 액슬(544) 주위로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휠 마운트(534)를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로킹 및 언로킹 시키기 위해 로킹 조립체(546)가 제공된다. 로킹 조립체(546)는 스탠딩 프레임(5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휠 마운트 래치(548), 및 휠 마운트 래치(548)와 연결된 로킹 스프링(550)을 포함할 수 있다. 휠 마운트 래치(548)는 휠 마운트(534)와 결합하도록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534)를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휠 마운트(534)가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휠 마운트(534)를 언로킹 시켜 휠 마운트(534)를 분리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550)은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편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0-61을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500)는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에 결합된 작동 조립체(552), 및 핸들 프레임(514)에 제공된 작동 부분(556)을 포함하는 릴리스 메커니즘(554)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2-55를 보면, 작동 조립체(552)는, 스탠딩 프레임(5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558), 휠 마운트 래치(540)를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560), 및 휠 마운트 래치(548)를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5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5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516 및 518)와 결합된다.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연결 부분(562)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56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60)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540)를 휠 마운트(530)로부터 분리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562)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상이한 경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한 핸들 프레임(514)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피벗축(R) 주위로 스탠딩 프레임(51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일체형 부분으로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결합 부분(524 및 526)들 사이에 형성된 공동 내에 실린더(563) 주위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실린더(563)는 결합 부분(524)과 고정 연결된다.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위한 적절한 구성 예들은, 이들에만 제한되지는 않지만, 회전식 플레이트, 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2-54를 보면, 2개의 연결 부분(560 및 562)들은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51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560 및 562)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을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결합시키는 2개의 개별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560)은 휠 마운트 래치(540)에 고정된 단부(560A) 및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560B)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62)은 휠 마운트 래치(548)에 고정된 단부(562A) 및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고정된 또 다른 단부(562B)를 가진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560)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540)로부터,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을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558)로 안내될 수 있다. 연결 부분(562)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548)로부터,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을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558)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연결 부분(562)을 끌어 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로부터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560)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와 결합되고 로킹될 수 있도록 제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560)을 끌어당기고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를 분리시키고 언로킹 시키며, 그와 동시에 연결 부분(562)을 릴렉스 시켜서,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와 결합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2를 보면, 작동 동안 연결 부분(560)이 적절하게 인장되는 지를 보장하기 위하여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에서 인장 메커니즘(tensioning mechanism)이 연결 부분(560)에 결합될 수 있다. 인장 메커니즘은, 연결 부분(560)에 결부된 슬라이딩 부분(564),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와 고정 연결된 안내 부재(565), 및 슬라이딩 부분(564)과 안내 부재(565)에 각각 연결된 스프링(56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560)은 안내 부재(565)를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부분(564)은 안내 부재(565) 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제한된다. 스프링(566)은 연결 부분(560)이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의해 끌어 당겨질 때 슬라이딩 부분(564)에 의해 로딩되며, 편향력을 제공하여, 링크 액츄에이터(558)가 연결 부분(560)을 릴렉스 할 때 연결 부분(560)의 인장을 용이하게(facilitate) 하기 위해 슬라이딩 부분(564)을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부분(562)을 위해, 동일한 인장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4-59를 보면, 작동 조립체(552)는 회전 결합 메커니즘(56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 결합 메커니즘(568)은, 핸들 프레임(514)의 회전 동안 상이한 경사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핸들 프레임(5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휠 달린 이송 장치(500)를 접기 위해 핸들 프레임(514)이 회전될 때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핸들 프레임(514)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도록 구성된다. 회전 결합 메커니즘(568)은, 스탠딩 프레임(512)의 결합 부분(524)에 제공된 안내 슬롯(570), 링크 액츄에이터(558)와 함께 수용된 캐칭 부분(572), 및 스프링(574)(도 59에 도시된)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슬롯(570)은, 예시적으로, 결합 부분(524)의 실린더(563)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피벗축(P) 주위에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안내 슬롯(570)은, 슬롯 부분(570A), 및 두 맞은편 측면에서 슬롯 부분(570A)과 연결되고 슬롯 부분(570A)에 대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2개의 슬롯 부분(570B)들을 가질 수 있다.
캐칭 부분(572)은 피벗축(P)으로부터 편심된 한 위치에서 링크 액츄에이터(558)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핸들 프레임(5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상태와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핸들 프레임(514)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제2 상태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캐칭 부분(572)은 피벗축(P)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링크 액츄에이터(558)와 조립될 수 있다. 캐칭 부분(572)은 캐칭 부분(572)이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526)과 결합되는 제1 상태와 캐칭 부분(572)이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526)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링크 액츄에이터(558)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분(526)은 개구(576)를 가질 수 있고, 캐칭 부분(572)은 제1 상태에서 개구(576)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상태에서는 개구(57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574)은 각각 캐칭 부분(572) 및 링크 액츄에이터(558)와 연결될 수 있으며, 캐칭 부분(572)이 제1 상태를 향하도록 편향시킬 수 있다.
도 54-59를 보면, 캐칭 부분(572)은 옆으로 돌출되고 결합 부분(524)의 안내 슬롯(570) 내에 수용되는 돌출부(578)를 가질 수 있다. 캐칭 부분(572)은 결합 부분(526)과 결합되고, 돌출부(578)는 캐칭 부분(572)이 링크 액츄에이터(558)를 핸들 프레임(5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제1 상태에 있을 때 슬롯 부분(570A)에 수용된다. 핸들 프레임(514)이 상이한 경사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회전될 때,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제1 상태에서 캐칭 부분(572) 및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캐칭 부분(572)의 돌출부(578)는 슬롯 부분(570A)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514)이 휠 달린 이송 장치(500)를 접기 위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반경을 초과하여 회전되면, 돌출부(578)는 슬롯 부분(570A)으로부터 2개의 슬롯 부분(570B)들 한 슬롯 부분 내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캐칭 부분(572)이 제2 상태로 이동되어 결합 부분(526)으로부터 분리된다. 링크 액츄에이터(558)는 핸들 프레임(514)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링크 액츄에이터(558)가 상이한 경사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514)의 회전 반경 내에서 적절하게 작동되고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으로,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0)는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534) 및 스탠딩 프레임(5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4)는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530) 및 스탠딩 프레임(5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0-54, 60 및 61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554)은 핸들 프레임(514)의 그립 부분(514B)에 제공된 작동 부분(556)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이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동안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530 및 5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 조립체(556)는 링크 액츄에이터(558)로부터 작동 가능하게 분리되며 작동 부분(556)을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케이블 조립체(5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작동 부분(556)은 케이블 조립체(58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이 각각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530 및 534)들로부터 분리되도록 작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케이블 조립체(580)는, 휠 마운트 래치(540)와 연결된 케이블 부분(580A), 휠 마운트 래치(548)와 연결된 케이블 부분(580B), 및 작동 부분(556)과 케이블 부분(580A 및 508B)들에 각각 연결된 케이블 부분(580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 부분(556)은 배럴(582) 및 버튼(584)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582)은 핸들 프레임(514)의 그립 부분(514B)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 부분(580C)은 배럴(582)에 고정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버튼(584)은 그립 부분(514B)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배럴(582)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버튼(584)은 케이블(580)을 끌어 당겨 배럴(150)이 회전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언로킹 된다.
2개의 휠 조립체(516 및 5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5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552)는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556)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2-78은 어린이 유모차 장치로서 구현된 휠 달린 이송 장치(6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62-78를 보면, 휠 달린 이송 장치(600)는, 도 50-53에 대해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프레임 구조물(502), 휠 조립체(516 및 518)들 및 로킹 조립체(539 및 546)들을 가질 수 있으며, 앞에 기술된 실시예의 작동 조립체(552) 및 릴리스 메커니즘(554)을 대체할 수 있는 작동 조립체(620) 및 릴리스 메커니즘(6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2 및 63을 보면,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서,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는 결합 부분(624)과 고정 연결될 수 있고,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는 결합 부분(626)과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의 측면 부분(514A)은 결합 부분(628)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부분(624, 626 및 628)들은 예시적으로 하우징 요소일 수 있고, 피벗축(P) 주위로 서로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 및 레그 프레임(520 및 522)들은 휠 달린 이송 장치를 접고 펴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게다가, 핸들 프레임(514)은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1 위치 및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을 향해 경사진 제2 위치 사이에서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피벗축(R)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4-69를 보면, 작동 조립체(620)는, 스탠딩 프레임(512)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 휠 마운트 래치(540)를 링크 액츄에이터(630)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634), 및 휠 마운트 래치(548)를 링크 액츄에이터(632)에 결합시키는 연결 부분(636), 및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628)에 제공된 가압 부분(638)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휠 마운트 래치(540 및 548)들은, 각각, 휠 달린 이송 장치(600)의 동일한 측면(즉, 좌측 또는 우측면)에 위치된 휠 조립체(516 및 518)와 결합된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링크 액츄에이터(630)는 레그 프레임(520)의 결합 부분(624)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2)는 레그 프레임(522)의 결합 부분(626)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은 결합 부분(624 및 626)들과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피벗축(P)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은 스탠딩 프레임(512)에 대해 상이한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가압 부분(638)은 피벗축(P)으로부터 편심된 한 위치에서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628)에 제공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가압 부분(638)은 결합 부분(628)과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분(638)은 결합 부분(628)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부분(638)은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0 또는 632)들과 접촉하여 피벗축(P)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압한다. 링크 액츄에이터(630 또는 632)는 각각 가압 부분(638) 및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에 제공된 램프 표면들 사이에서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연결 부분(634 또는 636)을 끌어 당기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부분(638)은 링크 액츄에이터(630)를 밀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램프 표면(638A), 및 링크 액츄에이터(632)를 밀어 움직일 수 있게 하는 램프 표면(638B)을 가질 수 있다.
도 64-67을 보면, 2개의 연결 부분(634 및 636)들은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탠딩 프레임(512)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2개의 연결 부분(634 및 636)들은 각각 휠 마운트 래치(540)를 링크 액츄에이터(630)에 결합시키고 휠 마운트 래치(548)를 링크 액츄에이터(632)에 결합시키는 2개의 개별 케이블로서 제공된 2개의 케이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분(634)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540)로부터, 레그 프레임(520)의 측면 세그먼트(520A)을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630)로 안내될 수 있다. 연결 부분(636)은, 예시적으로, 휠 마운트 래치(548)로부터, 레그 프레임(522)의 측면 세그먼트(522A)을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632)로 안내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514)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 부분(638)은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언로킹을 위해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540 또는 548)를 끌어당겨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링크 액츄에이터(630 또는 632)를 가압한다.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회전되면, 가압 부분(638)이 링크 액츄에이터(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2)가 움직이도록 가압하여 링크 액츄에이터(632)가 휠 마운트 래치(548)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534)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연결 부분(634)은 릴렉스 되고 휠 마운트 래치(540)가 로킹 스프링(542)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530)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되면, 가압 부분(638)이 링크 액츄에이터(6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0)가 움직이도록 가압하여 링크 액츄에이터(630)가 휠 마운트 래치(540)를 끌어당겨 휠 마운트(53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며, 연결 부분(636)은 릴렉스 되고 휠 마운트 래치(548)가 로킹 스프링(550)의 편향력 하에서 휠 마운트(534)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0)는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534) 및 스탠딩 프레임(5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4)는 자유 회전을 위해 언로킹된 휠 마운트(530) 및 스탠딩 프레임(5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8 및 71-78을 보면, 릴리스 메커니즘(622)이 작동되는 동안, 핸들 프레임(514)은 제1 및 제2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 배열되어 동일한 시간에서 휠 마운트(530 및 534)들이 언로킹 될 수 있게 한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릴리스 메커니즘(622)은, 핸들 프레임(514)의 그립 부분(514B)에 위치된 작동 부분(624),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수용된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 및 작동 부분(624)에 결합되고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은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628)에 제공된 2개의 공동(646 및 648)들에 수용될 수 있으며, 결합 부분(628)에 대해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을 향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은 결합 부분(628)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을 향하거나 또는 이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벗축(P)에 평행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스프링(650 및 652)들은 각각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이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650)은 각각 가압 부분(640) 및 결합 부분(628)과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스프링(652)은 각각 가압 부분(642) 및 결합 부분(628)과 연결된 2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이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수용되기 때문에,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은 상이한 경사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핸들 프레임(514)의 회전 동안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피벗축(P) 주위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 부분(640)은 링크 액츄에이터(6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압 부분(642)은 링크 액츄에이터(6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가압 부분(642)은 링크 액츄에이터(63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가압 부분(640)은 링크 액츄에이터(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압 부분(640)은 링크 액츄에이터(630)가 움직이도록 가압할 수 있게끔 이동될 수 있고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으며, 가압 부분(642)은 링크 액츄에이터(632)가 움직이도록 가압할 수 있게끔 이동될 수 있고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로부터 분리되게 할 수 있다.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은 각각 램프 표면(640A 및 642A)들을 가질 수 있으며,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은 각각 램프 표면(640A)과 링크 액츄에이터(630)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 및 램프 표면(642A)과 링크 액츄에이터(632)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연결 부분(634 및 636)을 끌어 당기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71-78을 보면,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핸들 프레임(514)과 함께 수용되며, 케이블(654)에 의해 작동 부분(624)에 결합된다.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동시에 2개의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이 움직이도록 가압하게끔 이동될 수 있으며 가압 부분(640 또는 642)이 인접한 링크 액츄에이터(630 또는 632)가 움직이도록 가압하여 상응하는 휠 마운트 래치(540 또는 548)가 언로킹 되게 할 수 있다. 한 구성 예에 따르면,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핸들 프레임(514)의 결합 부분(628)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가압 부분(540 및 542)들의 변위축(displacement axis)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따라 일체형 부분으로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은 각각 링크 액츄에이터(630 및 632)들이 릴리스 액츄에이터(644) 및 가압 부분(640 및 642)들에 제공된 램프 표면들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피벗축(P)을 향해 이동되도록 가압하게끔 이동될 수 있다.
도 62 및 71을 보면, 작동 부분(624)은 배럴(656) 및 버튼(658)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656)은 핸들 프레임(514)의 그립 부분(514B)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654)은 배럴(656)에 고정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버튼(658)은 그립 부분(514B)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배럴(656)과 피벗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버튼(658)은 케이블(654)을 끌어 당기기 위하여 배럴(656)이 회전되도록 가압될 수 있으며,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이동되고, 링크 액츄에이터(630 또는 632)에 대해 가압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압 부분(640 및 642)들이 움직이도록 가압할 수 있다.
핸들 프레임(514)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4)는 가압 부분(638) 및 링크 액츄에이터(632) 사이의 상호작동에 의해 언로킹 상태로 유지되는데, 가압 부분(640)은 링크 액츄에이터(630)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가압 부분(642)은 링크 액츄에이터(6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위치된다. 보육사가 작동 부분(624)을 작동시킬 때,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가압 부분(640)이 움직이도록 가압하게끔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630)가 이동되어 휠 마운트 래치(540)가 휠 마운트(530)로부터 분리되도록 끌어 당긴다. 그에 따라, 휠 마운트(530 및 5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핸들 프레임(514)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휠 마운트(530)는 가압 부분(638) 및 링크 액츄에이터(630) 사이의 상호작동에 의해 언로킹 상태로 유지되는데, 가압 부분(642)은 링크 액츄에이터(632)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가압 부분(640)은 링크 액츄에이터(6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위치된다. 보육사가 작동 부분(624)을 작동시킬 때, 릴리스 액츄에이터(644)는 가압 부분(642)이 움직이도록 가압하게끔 이동되며, 그에 따라 링크 액츄에이터(632)가 이동되어 휠 마운트 래치(548)가 휠 마운트(534)로부터 분리되도록 끌어 당긴다. 그에 따라, 휠 마운트(530 및 534)들은 동일한 시간에서 언로킹 될 수 있다.
2개의 휠 조립체(516 및 518)들이 휠 달린 이송 장치(600)의 각각의 좌측 및 우측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작동 조립체(620) 및 릴리스 메커니즘(622)은 좌측 및 우측면에서 대칭 배열될 수 있으며 작동 부분(624)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휠 달린 이송 장치의 이점들은, 유연한 방식으로 스탠딩 프레임에 대해 휠 조립체를 로킹 하고 언로킹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르면, 몇몇 휠 조립체들은 로킹되고 다른 휠 조립체들은 언로킹되거나, 또는 모든 휠 조립체들은 원할 때 동시에 언로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휠 달린 이송 장치들은 사용 시에 보다 유연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동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휠 달린 이송 장치들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기술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수의 변형예, 수정예, 추가예 및 개선예들이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 수정예, 추가예 및 개선예들 및 그 밖의 다른 변형예, 수정예, 추가예 및 개선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하기 청구범위에서 정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