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94118B1 -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18B1
KR102594118B1 KR1020190021155A KR20190021155A KR102594118B1 KR 102594118 B1 KR102594118 B1 KR 102594118B1 KR 1020190021155 A KR1020190021155 A KR 1020190021155A KR 20190021155 A KR20190021155 A KR 20190021155A KR 102594118 B1 KR102594118 B1 KR 10259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ard
out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765A (ko
Inventor
강현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18B1/ko
Priority to US16/566,011 priority patent/US11190237B2/en
Publication of KR2020010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04B5/00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G06K19/0715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the arrangement including means to regulate power transfer to the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H04B5/0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신호 생성 회로는 카드로 제 1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제 1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신호들 및 카드로 공급되는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한다. 감지 회로는 카드로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제 2 통신 신호가 출력된 경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한다. 신호 생성 회로는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제 2 통신 신호에 의해 카드로 제 2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 1 통신 신호들 및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CTING CARD}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은 근거리에 위치한 리더가 무선으로 카드에 전력을 공급하고 무선으로 카드와 통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 주파수 식별(RFID)의 일 예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장치는 리더의 기능 및 카드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NFC)은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를 리더 및 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높은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주로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에 탑재된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안테나의 크기도 소형화되고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소형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카드 감지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해 짧은 감지 펄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를 감지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카드로 제 1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제 1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신호들 및 카드로 공급되는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회로는 카드로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제 2 통신 신호가 출력된 경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제 2 통신 신호에 의해 카드로 제 2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 1 통신 신호들 및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카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신호들 및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회로는 카드로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제 2 통신 신호가 출력된 경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제 2 통신 신호가 전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갖도록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통신 신호들은 전력 신호가 출력된 후에 출력되고, 제 2 통신 신호는 제 1 통신 신호들이 출력된 후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감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카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및 전력에 기초하여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감지 회로는 통신 신호들 중 카드의 타입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카드를 감지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는 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가 전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갖도록 통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카드로 전력을 공급하는 구간(가드 타임)의 시간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카드를 감지하는데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감지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2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변조 지수가 '0'과 '1' 사이의 값('0'과 '1'은 제외)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변조 지수가 '1'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변조 지수가 '0'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장치들(110,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들(110, 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 장치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들(110, 120)은 각각 안테나들(111, 121)과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들(110, 120) 각각은 리더 모드 또는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무선 통신 장치(120)가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무선 통신 장치(110)가 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설명들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리더 모드로 동작하고 무선 통신 장치(120)는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10)는 리더(reader)로 표현될 수 있고, 카드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 통신 장치(120)는 카드(card)로 표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안테나(111)와 안테나(121) 사이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20)로 감지 신호(ds2)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2)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는 전력 신호,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송신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응답 신호(rs2)를 수신하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전력 신호,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는 차례대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전력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송신 신호가 출력되고, 송신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수신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다양한 타입의 송신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정보 신호가 변조되는 정도(즉, 변조 지수)를 다르게 하여 다양한 타입의 송신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서로 다른 타입의 송신 신호들은 리더 모드로 동작하는 서로 다른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들(120)과 대응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에 대응하는 타입의 송신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신호들의 타입들은 타입 A, 타입 B, 타입 F, 타입 V, 타입 K일 수 있다. 하나의 감지 신호(ds2)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들의 타입들은 상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은 타입 A, 타입 B, 타입 F, 타입 V, 타입 K 중 하나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이 타입 A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타입 A의 송신 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전력 신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자체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20)는 전력을 공급받은 이후에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에 대응하는 타입의 송신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2)는 송신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뒤이어 수신되는 수신 신호가 변조된 신호일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안테나(121) 및 안테나(111) 사이의 전자기 유도를 통해 응답 신호(rs2)를 무선 통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무선 통신 장치(110)는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기 위해 감지 신호(ds2)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가 감지 신호(ds2)의 카드 감지 거리 내에 있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감지 신호(ds2)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의 카드 감지 거리는 무선 통신 장치(110)가 감지 신호(ds2)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응답 신호(rs2)를 수신하여 카드 감지 거리 내에 있는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장치(11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이 함께 참조된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안테나(111), 송수신기(112), 신호 생성 회로들(113, 114), SOF(Start of Frame) 감지 회로(115), 폴링(polling) 회로(116) 및 컨트롤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20)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113)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1)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의해, 감지 신호(ds1)는 주기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113)는 감지 신호(ds1)를 송수신기(112)로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감지 신호(ds1)를 무선 통신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1)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1)가 출력되었을 때 감지 신호(ds1)의 카드 감지 거리 내에 무선 통신 장치(120)가 있는 경우, 전자기 유도에 의해 안테나(11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안테나(111)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10)의 내부 전압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전압의 크기는 안테나(111) 양단의 전압차를 의미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무선 통신 장치(110)의 내부 전압의 크기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응답 신호(rs1)를 신호 생성 회로(113)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113)는 응답 신호(rs1)가 수신되는 경우, 응답 신호(rs1)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17)로 송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17)는 신호 생성 회로(113)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3)가 감지 신호(ds1)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신호 생성 회로(113)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113)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1)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1)가 일정 시간 이상 출력되면, 신호 생성 회로(113)는 응답 신호(rs1)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1)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1)가 수신됨 없이 감지 신호(ds1)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4)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감지 신호(ds2)는 전력 신호,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의 구성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송수신기(112)는 감지 신호(ds2)를 무선 통신 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의 카드 감지 거리 내에 무선 통신 장치(120)가 있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감지 신호(ds2)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112)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는 경우, 응답 신호(rs2)를 SOF 감지 회로(115)로 출력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2)는 SOF를 포함할 수 있다. SOF 감지 회로(115)는 SOF를 감지할 수 있다. SOF 감지 회로(115)는 SOF가 감지되는 경우,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117)로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17)는 SOF 감지 회로(115)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4)가 감지 신호(ds2)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신호 생성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생성 회로(114)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2)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가 일정 시간 이상 출력되면, 신호 생성 회로(114)는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지 않더라도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감지 신호(ds2)를 생성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2)가 수신됨 없이 감지 신호(ds2)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3)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다시 감지 신호(ds1)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신호(s1) 또는 응답 신호(s2)가 수신되는 경우, 폴링 회로(116)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폴링은 무선 통신 장치(110)가 다른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식별 절차이며,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표준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폴링을 수행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폴링 회로(116)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폴링 신호(ps)를 출력할 수 있다. 폴링 회로(116)는 폴링 신호(ps)를 출력하여 응답 신호(rs1) 또는 응답 신호(rs2)를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1)가 출력됨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110)의 내부 전압의 크기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송수신기(112)는 폴링 신호(ps)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1)를 폴링 회로(116)로 출력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는 경우, 송수신기(112)는 폴링 신호(ps)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폴링 회로(116)로 출력할 수 있다. 폴링 회로(116)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제 1 모드의 폴링 및 제 2 모드의 폴링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응답 신호(rs1)가 수신되는 경우, 폴링 회로(116)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제 1 모드의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모드의 폴링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제 1 타입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타입들은 감지 신호(ds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들일 수 있다. 예로서, 제 1 타입들은 타입 A, 타입 B, 타입 F, 타입 V 및 타입 K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는 경우, 폴링 회로(116)는 컨틀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제 2 모드의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모드의 폴링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의 제 2 타입들 중 컨트롤러(117)에 의해 지정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타입들에 대해 폴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타입들은 감지 신호(ds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120)의 타입들일 수 있다. 예로서, 제 2 타입들은 타입 A, 타입 B, 타입 F, 타입 V 및 타입 K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타입들과 제 2 타입들은 상이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감지 신호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가 함께 참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신호 생성 회로(113)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신호(ds1)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ds1)는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신호(ds1)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제 1 구간(1st interval)에서 주기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신호(ds1)가 제 1 구간의 시간 길이 동안 출력됨에도 응답 신호(s1)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3)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신호(ds1)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대신, 신호 생성 회로(114)가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신호(ds2)를 출력할 수 있다. 신호(ds2)는 제 2 구간(2nd interval)에서 출력될 수 있다. 신호(ds2)가 제 2 구간의 시간 길이 동안 출력됨에도 응답 신호(s2)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신호 생성 회로(114)는 컨트롤러(117)의 제어에 따라 신호(ds2)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응답 신호(s1) 또는 응답 신호(s2)가 수신될 때까지 위에서 설명한 동작들을 반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응답 신호(s1) 또는 응답 신호(s2)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들(ds1, ds2)을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의 진폭은 감지 신호(ds1)의 진폭보다 더 클 수 있다. 즉, 감지 신호(ds2)의 세기는 감지 신호(ds1)의 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감지 신호(ds2)의 카드 감지 거리는 감지 신호(ds1)의 카드 감지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2)를 이용하여 보다 더 멀리 있는 무선 통신 장치(120)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이용함으로써, 제 2 구간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공급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10)는 궁극적으로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도 2가 함께 참조된다. 이하 설명들에서, 통신 신호(cs(n))는 송신 신호(ts(n)) 및 수신 신호(cw1)를 의미한다. 통신 신호(cs(n)) 및 송신 신호(ts(n))는 n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120)에 대응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하 설명들에서, 통신 신호(cs(n)) 및 송신 신호(ts(n))는 각각 n 타입의 통신 신호 및 n 타입의 송신 신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n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120)는 송신 신호(ts(n))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감지 신호(ds2)는 하나의 전력 신호(cw0) 및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신호(cs(1))는 송신 신호(ts(1)) 및 수신 신호(cw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신호(cs(2))는 송신 신호(ts(2)) 및 수신 신호(cw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신호(cw0)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전력 신호(cw0)는 연속파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하나의 전력 신호(cw0)를 출력한 후 뒤이어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은 서로 다른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120)에 대응하는 신호들일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은 타입 A, 타입 B, 타입 F, 타입 V, 및 타입 K의 통신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전력 신호(cw0)가 출력되는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이 출력되는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공통 가드 구간(CGT) 및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은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공통 가드 구간(CGT) 및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이 나열된 순서는 공통 가드 구간(CGT) 및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에 대응하는 전력 신호(cw0) 및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이 출력되는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 및 도 9 내지 도 11은 시간 구간들을 도시한다. 시간 구간들은 감지 신호(ds2)에 포함된 신호들이 출력되는 구간들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2)에 포함된 신호들을 차례대로 출력할 수 있다. 시간 구간들이 나열된 순서는 무선 통신 장치(110)에서 신호들이 출력되는 순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공통 가드 구간(CGT) 및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이 나열된 순서대로 전력 신호(cw0) 및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이 출력되는 순서는 송신 신호들(ts(1) 내지 ts(m))의 변조 지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이 출력되는 순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공통 가드 구간(CGT)에서 전력 신호(cw0)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전력 신호(cw0)를 출력한 후, 송신 신호(ts(1))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ts(1))는 제 1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1))를 출력한 후 수신 신호(cw1)를 출력할 수 있다. 수신 신호(cw1)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응답 신호(rs2)를 수신하기 위해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수신 신호(cw1)는 연속파일 수 있다. 예로서, 수신 신호(cw1)는 전력 신호(cw0)와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가 제 1 타입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송신 신호(ts(1))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1))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rs2)를 무선 통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 구간(WT(1))의 시간 길이는 사용자(예로서, 발명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무선 통신 장치(110)의 내부 프로세서 또는 외부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수신 구간(WT(1))에서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송신 신호(ts(2))를 출력할 수 있다. 송신 신호(ts(2))는 제 2 타입의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수신 구간(WT(1))과 송신 구간(TX(2)) 사이에서 별도의 전력 신호(cw0)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공통 가드 구간(CGT)에서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공통 가드 구간(CGT)의 시간 길이는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시간 길이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2))를 출력한 후 수신 신호(cw1)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가 제 2 타입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송신 신호(ts(2))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응답 신호(rs2)는 SOF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SOF를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2))에서 SOF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 신호(ds2)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2)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 2 모드의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구간들((WT(1)) 내지 (WT(m)))은 각각 수신 구간들((WT(1)) 내지 (WT(m)))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로부터 응답 신호(rs2)가 출력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10)가 응답 신호(rs2)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길이일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무선 통신 장치가 감지 신호(ds2)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도 2 및 도 4가 함께 참조된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공통 가드 구간(CGT)에서 전력 신호(cw0)를 출력할 수 있다(S210).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n)) 및 수신 신호(cw1)를 출력할 수 있다(S220). 무선 통신 장치(110)가 전력 신호(cw0)를 출력한 직후에 수행되는 S220 동작에서, n은 1일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전력 신호(cw0)를 출력한 다음 송신 신호(ts(1)) 및 수신 신호(cw1)를 출력할 수 있다. n은 S250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1만큼씩 증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가 n 타입인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송신 신호(ts(n))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rs2)를 출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n))에서 응답 신호(rs2)를 감지하는 경우(S230, Yes), 감지 신호(ds2)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S260).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제 2 모드의 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수신 구간(WT(n))에서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S230, No), S240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220 동작에서 송신 신호(ts(m))가 출력된 경우(S240, Yes), 무선 통신 장치(110)는 응답 신호(rs2)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도 감지 신호(ds2)를 출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S260).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10)는 감지 신호(ds2) 대신 감지 신호(ds1)를 출력할 수 있다.
S220 동작에서 송신 신호(cs(m))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S240, No),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n+1)) 및 수신 신호(cw1)를 출력할 수 있다(S250, S220).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n+1)) 및 수신 신호(cw1)를 출력하기 전에 다시 전력 신호(cw0)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 사이에 무선 통신 장치(110)로 전력을 공급하는 별도의 가드 구간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공통 가드 구간(CGT)의 시간 길이는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m), WT(m)))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시간 길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장치(110)가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은 무선 통신 장치(110)가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순서로 출력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이 출력되는 순서는 복수의 송신 신호들(ts(1) 내지 ts(m))의 변조 지수와 관련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가 통신 신호들(cs(1) 내지 cs(m))을 출력하는 순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변조 지수가 '0'과 '1' 사이의 값('0'과 '1'은 제외)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변조 지수가 '1'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변조 지수가 '0'인 송신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내지 도 8이 함께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 및 도 4가 함께 참조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정보 신호를 변조하여 복수의 송신 신호들(ts(1) 내지 ts(m))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신호들(ts(1) 내지 ts(m))의 변조 지수들은 상이할 수 있다. 변조 지수는 정보 신호가 변조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변조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0'과 '1'도 포함)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타입 F, 타입 V, 타입 B의 송신 신호들의 변조 지수들은 '0'과 '1' 사이의 값('0'과 '1'은 제외)을 가질 수 있다. 타입 V의 송신 신호 중 변조 지수가 '1'인 송신 신호도 있지만 별다른 언급이 없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타입 V의 송신 신호는 변조 지수가 약 '0.1'인 송신 신호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타입 F, 타입 V, 타입 B의 송신 신호들의 변조 지수들은 '0.08'과 '0.1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타입 F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타입 V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보다 크고, 타입 V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타입 B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보다 클 수 있다. 변조 지수가 '0'과 '1' 사이의 값('0'과 '1'은 제외)인 송신 신호의 파형은 도 6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다.
다른 예로서, 타입 A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1'일 수 있다. 타입 A의 송신 신호는 변조 지수가 '1'인 타입 V의 송신 신호로 대체될 수 있다. 변조 지수가 '1'인 송신 신호의 파형은 도 7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20)로 타입 A의 송신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달되는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시점(t0)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점(t0)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변조 지수가 '1'을 초과하는 송신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시점(t0)을 포함하는 시간 구간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타입 A가 아닌 무선 통신 장치(120)는 시점(t0) 또는 시점(t0)을 포함하는 구간에서, 리셋(reset)되거나 턴 오프(turn off)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다시 전력을 공급 받아야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타입 K의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0'일 수 있다. 변조 지수가 '0'인 송신 신호의 파형은 도 8에 도시된 파형과 유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변조 지수가 '0'인 송신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10)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120)로 일정한 크기의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변조 지수가 '0'인 송신 신호의 파형은 도 4의 전력 신호(cw0) 또는 수신 신호(cw1)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타입 K의 송신 신호가 출력되기 이전에 타입 A의 송신 신호가 출력되었더라도, 별도의 가드 구간에서 전력 신호(cw0)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전력 신호(cw0)를 다시 출력할 필요 없이 타입 K의 송신 신호만을 출력하여 타입 K의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이 함께 참조된다.
도 9는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3), WT(3)), (TX(K)/WT(K)))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여, 공통 가드 구간(CGT)과 통신 구간(TX(K)/WT(K)) 사이에 세 개의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을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가드 구간(CGT)과 통신 구간(TX(K)/WT(K)) 사이에 하나 이상의 통신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무선 통신 장치(110)는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3), WT(3)), (TX(K)/WT(K)))이 나열된 순서대로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3), WT(3)), (TX(K)/WT(K)))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3), WT(3)))은 제 1 통신 구간들로 표현될 수 있다. 제 1 통신 구간들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들의 변조 지수는 '0'보다 클 수 있다. 예로서, 제 1 통신 구간들은 제 1 통신 구간들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들의 변조 지수가 낮은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들은 각각 타입 B, 타입 V, 타입 F의 신호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통신 구간들은 마지막에 위치하는 통신 구간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가 가장 크도록 나열될 수 있다. 제 1 통신 구간들 중 마지막에 위치하는 통신 구간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1'일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순서는 실시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공통 가드 구간(CGT)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로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공통 가드 구간(CGT)의 시간 길이는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시간 길이일 수 있다. 도 9는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을 도시한다.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의 수평 방향은 시간을 나타내고,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의 수직 방향은 진폭을 나타낸다.
통신 구간(TX(K)/WT(K))에서 출력되는 통신 신호(ts(k))의 변조 지수는 '0'일 수 있다. 통신 신호(ts(k))는 타입 K의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통신 신호(ts(k))의 파형은 수신 신호(cw1)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신호(ts(k))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통신 구간(TX(K)/WT(K))도 송신 구간 및 수신 구간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신호(ts(k))를 이용하여 통신 구간(TX(K)/WT(K)) 전반에 걸쳐서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신호(ts(k))를 이용하여 통신 구간(TX(K)/WT(K)) 전반에 걸쳐서 응답 신호(rs2)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는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 각각의 시간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통신 신호(ts(k))의 파형은 수신 구간(WT(3))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수신 구간(WT(3))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를 통신 신호(ts(k))로써 이용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10)는 수신 구간(WT(3))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가 더 짧아질 수 있다.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가 짧아진다는 것은 무선 통신 장치(110)가 통신 신호(ts(k))를 출력하는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구간(TX(K)/WT(K))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소모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 및 도 6 내지 도 9가 함께 참조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감지 신호(ds2)의 통신 구간(TX(3), WT(3))이 통신 구간(TX(A), WT(A))인 경우를 도시한다. 즉, 도 10은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A), WT(A)), (TX(K)/WT(K)))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공통 가드 구간(CGT)과 통신 구간(TX(A), WT(A)) 사이에 두 개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통 가드 구간(CGT)과 통신 구간(TX(A), WT(A)) 사이에 하나 이상의 통신 구간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을 도시한다.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의 수평 방향은 시간을 나타내고, 신호들(cw0, cw1, ts(k))의 파형들의 수직 방향은 진폭을 나타낸다.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들 각각의 변조 지수는 '0'과 '1' 사이 값('0'과 '1'은 제외)일 수 있다. 송신 구간(TX(A))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0'일 수 있다. 이하, 송신 구간(TX(A))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는 송신 신호(ts(a))로 표현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타입 A가 아닌 무선 통신 장치(120)가 송신 신호(ts(a))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20)는 시점(t0)에서 리셋되거나 턴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a))를 출력한 이후에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다시 공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A))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를 통해 전력을 일부 공급받을 수 있으나,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수신 구간(WT(A))에서 공급되는 전력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별도의 가드 구간이 필요할 수 있다.
다만, 통신 구간(TX(A), WT(A)) 뒤에 통신 구간(TX(K)/WT(K))이 위치하는 경우, 무선 통신 장치(110)는 별도의 가드 구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송신 신호(ts(k))의 파형은 전력 신호(cw0)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k))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A))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 및 통신 구간(TX(K)/WT(K))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ts(k))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구간들((TX(A), WT(A)), (TX(K)/WT(K)))이 마지막에 위치하는 감지 신호(ds2)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 및 도 6 내지 도 10이 함께 참조된다.
도 11은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K)/WT(K)), (TX(2), WT(2)), (TX(3), WT(3)))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통신 구간(TX(K)/WT(K))이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K)/WT(K)), (TX(2), WT(2)), (TX(3), WT(3))) 중 두 번째 통신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처럼, 통신 신호(ts(k))의 파형은 수신 신호(cw1)의 파형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신호(ts(k))는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신호(ts(k))를 이용하여 통신 구간(TX(K)/WT(K)) 전반에 걸쳐서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신호(ts(k))를 이용하여 통신 구간(TX(K)/WT(K)) 전반에 걸쳐서 응답 신호(rs2)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는 나머지 통신 구간들((TX(1), WT(1)), (TX(2), WT(2)), (TX(3), WT(3))) 각각의 시간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10)는 통신 구간(TX(K)/WT(K)) 앞에 위치한 수신 구간(WT(1))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를 통신 신호(ts(k))로써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무선 통신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가 더 짧아질 수 있다. 통신 구간(TX(K)/WT(K))의 시간 길이가 짧아진다는 것은 통신 구간(TX(K)/WT(K))에서 무선 통신 장치(110)가 소모하는 전력의 크기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신호(ts(k))의 파형이 전력 신호(cw0)의 파형과 동일하므로, 무선 통신 장치(110)는 송신 신호(ts(k))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2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20)는 수신 구간(WT(A))에서 출력되는 수신 신호(cw1) 및 통신 구간(TX(K)/WT(K))에서 출력되는 송신 신호(ts(k))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가드 구간(CGT)의 시간 길이는 통신 구간(TX(K)/WT(K))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구간들((TX(1), WT(1)) 내지 (TX(3), WT(3)))에서 무선 통신 장치(120)가 무선 통신 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시간 길이일 수 있다.
따라서, 공통 가드 구간(CGT) 및 복수의 통신 구간들((TX(1), WT(1)), (TX(K)/WT(K)), (TX(2), WT(2)), (TX(3), WT(3))) 전체의 시간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신호(ds2)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120)를 감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외부의 카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로 제 1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상기 제 1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신호들 및 상기 카드로 공급되는 제 2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상기 카드로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상기 제 2 통신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상기 제 2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카드로 상기 제 2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및 상기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0인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신호가 출력되는 가드 구간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제 1 전력을 상기 카드로 공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길이인 무선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은 상기 카드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송신 신호들 및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신호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들 중 하나의 수신 신호가 출력되는 수신 구간의 시간 길이는 상기 수신 구간에서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감지 회로가 상기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길이인 무선 통신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수신 신호들 중에서 가장 나중에 출력되는 수신 신호 또는 상기 제 2 통신 신호에 의해 상기 카드로 상기 제 2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및 상기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외부의 카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1 통신 신호들 및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상기 카드로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또는 상기 제 2 통신 신호가 출력된 경우,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제 2 통신 신호가 상기 전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갖도록 상기 제 2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은 상기 전력 신호가 출력된 후에 출력되고,
    상기 제 2 통신 신호는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이 출력된 후에 출력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중 제 3 통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상기 제 1 통신 신호들 중 상기 제 3 통신 신호보다 나중에 출력되는 제 4 통신 신호의 변조 지수보다 낮은 무선 통신 장치.
  9. 외부의 카드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신호 및 상기 전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들을 생성하는 신호 생성 회로; 및
    상기 통신 신호들 중 상기 카드의 타입에 대응하는 통신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카드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카드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생성 회로는 상기 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가 상기 전력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갖도록 상기 통신 신호들을 생성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들 중에서 가장 나중에 출력되는 통신 신호의 변조 지수는 1인 무선 통신 장치.
KR1020190021155A 2019-02-22 2019-02-22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Active KR10259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55A KR102594118B1 (ko) 2019-02-22 2019-02-22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US16/566,011 US11190237B2 (en) 2019-02-22 2019-09-10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detecting c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55A KR102594118B1 (ko) 2019-02-22 2019-02-22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65A KR20200102765A (ko) 2020-09-01
KR102594118B1 true KR102594118B1 (ko) 2023-10-25

Family

ID=7214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55A Active KR102594118B1 (ko) 2019-02-22 2019-02-22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90237B2 (ko)
KR (1) KR1025941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423A (ja) 2007-12-11 2009-07-02 Sony Corp 通信装置
US20170155429A1 (en) * 2015-12-01 2017-06-0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Power adaptive dual mode card emulation system for nfc and rfid appl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5616B2 (en) * 2004-09-08 2008-05-2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near field communication enabled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4765743B2 (ja) 2006-04-12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20899B2 (ja) 2008-11-27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TWI451238B (zh) * 2010-07-28 2014-09-01 Mstar Semiconductor Inc 電源控制裝置及其方法、以及使用其之行動裝置
US8983371B2 (en) * 2010-08-16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ed enhanced switching between active and power s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odes and related methods
US8824961B2 (en) * 2011-06-28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FC multi-protocol polling duration and power consumption
US8942628B2 (en) * 2011-11-28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s
KR102022867B1 (ko) * 2012-08-07 2019-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Nfc 회로 및 이의 동작 방법
EP2802086A1 (en) * 2013-05-07 2014-11-12 Nxp B.V. NFC architecture
KR102272243B1 (ko) * 2014-09-18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6201674A (ja) 2015-04-10 2016-12-01 日本無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US10212576B2 (en) * 2016-09-08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US10644756B2 (en) * 2018-07-30 2020-05-05 Nxp B.V. Transmitter calibration f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423A (ja) 2007-12-11 2009-07-02 Sony Corp 通信装置
US20170155429A1 (en) * 2015-12-01 2017-06-0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Power adaptive dual mode card emulation system for nfc and rfid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65A (ko) 2020-09-01
US20200274580A1 (en) 2020-08-27
US11190237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4900B (zh) 无线负载调制
US10027169B2 (en) Wireless power supply system,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power receiving apparatus
EP3588792A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for connection establishment in near field communication systems
EP2701314B1 (en) Detection of load-modulated NFC signals
EP3001533A1 (en) Wireless power safety component
JP2014079091A (ja)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送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70220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US9912567B2 (en) Method of handling NFC device with non-fixed low power polling number and NFC device using the same
US10447061B2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id of variant slot timing and simple response indicating acknowledgement, and associated apparatus
US20230163805A1 (en) Detection of nfc devices
JP2016111792A (ja) 受電装置、受電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118164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590291B1 (ko) 위상 변조를 사용하는 백스캐터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상향 링크 통신 방법
US20150271642A1 (en) Wireless network scheduling and locating
KR102594118B1 (ko) 카드를 감지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
EP2632056A1 (en)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654186B2 (en) Portable terminal
CN107623551B (zh) 用于检测邻近有源近场通信设备的方法及电路装置
ES2805006T3 (es) Sincronización de transmisión de pulsos de vigilancia electrónica de artículos
JP2015154111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79561B2 (ja) 電子タグ装置、電子タグシステム及び電子タグの多元接続方法
US20190334366A1 (en) Analog ping detection for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JP6741831B2 (ja) 送電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85571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n NFC transaction
KR10263471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