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130B1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Google Patents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2130B1 KR102592130B1 KR1020200169233A KR20200169233A KR102592130B1 KR 102592130 B1 KR102592130 B1 KR 102592130B1 KR 1020200169233 A KR1020200169233 A KR 1020200169233A KR 20200169233 A KR20200169233 A KR 20200169233A KR 102592130 B1 KR102592130 B1 KR 102592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horizontal
- outlet
- vertical
-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해서 외부공기의 흐름속도를 증가시켜 실내공기의 배기흐름을 상향 배출로 유도하여 신속 토출하도록 하였으며, 구조 자체를 역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제작한 역풍방지 후드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통형이나 반원통형의 중공관체로서 닥트연결용의 수평 연통관과,
이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에 연통하는 확장관, 이 확장관의 상단으로 상기 수평배출구의 상단에서 연장하여 상향으로 축소하는 네크관, 이 네크관의 배출구에 연장되는 축소관을 형성한 수직유도관 및 수직평판면의 대향 측으로 상기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 측으로 최대 볼록곡률이 배치된 유선형유도면을 갖고 상기 수직유도관의 확장관 및 네크관을 구획하는 유도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관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축소관으로 흐르는 외부공기가 상기 최대 볼록곡률의 유선형유도면에 의해 빠른 공기흐름으로 가속되어 상기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상향으로 끌고 배출을 신속하게 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외부를 원형으로 제작하여 역풍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한 역풍방지 후드캡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Bernoulli's principle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external air to induce upward discharge of indoor air to enable rapid discharge, and provides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whose structure itself is manufactured to be unaffected by backwinds. there is.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or semi-cylindrical hollow pipe, including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for duct connection,
An expans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outlet of this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a neck pip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horizontal discharge port to the top of this expansion pipe and narrowing upward, a vertical guide pipe forming a narrowing pipe extending to the discharge port of this neck pipe, and It has a streamlined guide surface disposed with a maximum convex curvature toward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rtical plate surface, and includes an induction partition plate that partitions the expansion pipe and the neck pipe of the vertical induction pipe,
The outside air flowing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expansion pipe and flowing into the reduction pipe is accelerated into a fast air flow by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of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pulling the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upward and discharging quickly. This can be achieved by using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that is designed to fundamentally block the inflow of backwinds by making the outside circul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 등의 실내공기를 실외로 환기 할 때 건물의 외벽 부분에 설치되는 후드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해서 외부공기에 흐름속도를 증가시켜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흐름을 상향으로 배가시키면서 배기되도록 하며, 구조적으로 역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풍방지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od cap installed on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when indoor air in an apartment or house is ventilated to the outdoor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indoor air that is exhausted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outside air using Bernoulli's principle. It relates to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that doubles the flow upward and allows exhaust, and structurally prevents backwind.
일반적으로 후드캡은 건물의 실외 측에 연통되는 닥트에 연결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외부로부터 역풍이 강할 경우 실내로 역류하거나, 내부 송풍기 바람과 공명현상을 일으켜 실내에 소음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Generally, the hood cap is connected to a duct connected to the outdoor side of the building and is used to ventilate indoor polluted air. However, in reality, when there is a strong headwind from the outside, it flows back into the room or causes a resonance phenomenon with the wind from the internal blower. It has the drawback of generating noise indoors.
이러한 후드캡은 건물의 벽에 설치된 통풍구에 장착되어 실내,외측과 연통하는 닥트에 삽입 설치되는 수평 연통관과, 이 수평 원통관의 끝단에 등간격으로 배기통로를 형성하여 배치된 지지연결편에 방풍판을 설치하거나, 원형의 캡에 하부에 반원형이 절개된 차폐판을 형성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This hood cap is mounted on a ventilation hole installed on the wall of a building and has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inserted into a duct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nd an exhaust passage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the end of this horizontal cylindrical pipe, and a windbreak plat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connection piece disposed. It is installed 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shielding plate with a semicircular cut is formed at the bottom of a circular cap.
이러한 구조의 후드캡은 비바람이 불어올 때 상기 후드캡에 의한 배기류에 영향을 미치어 역류하여 연통닥트을 통해 유입되어 내부설비(배기팬)에 과부하를 발생하여 실내 소음발생과 수명단축 및 누전요인으로 지적되었다.The hood cap of this structure affects the exhaust flow caused by the hood cap when rain or wind blows, causing it to flow backwards and flow in through the flue duct, causing overload on the internal equipment (exhaust fan), causing indoor noise, shortened lifespan, and leakage. was pointed out.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문헌 1 내지 5가 개시된 바 있다.Patent Documents 1 to 5 have been disclosed to solve these problems.
특허문헌 1에서는, 외부로부터 닥트로 바람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유입방지날개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유로를 막아 우회로가 형성되게 하는 커버로 이루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외부로부터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방수형 환기구캡을 제공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 1, it consists of a main body having inflow prevention wings inclined toward the outside to prevent wind from flowing back into the duct from the outside, and a cover that blocks the flow path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o form a detour from the outside. We provide a waterproof ventilation cap that not only prevents air from flowing back inside to ensure efficient ventilation, but also prevents rainwater from flowing back from the outside.
특허문헌 2에서는, 역풍방지커튼이 형성된 역풍방지막이 후드캡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는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반면, 외부공기와 빗물의 유입은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역풍방지용 후드캡이 개시되었다.In
특허문헌 3에서는, 환기캡을 공기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외부풍압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됨에 따른 소음발생은 줄이고 환기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방지하며, 실내공기의 배기 성능은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3, the ventilation cap is improved to a structure that can reduce air resistance, thereby minimizing interference from external wind pressure, reducing noise generation, preventing a decrease in ventilation efficiency, and maximizing indoor air exhaust performance. A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특허문헌 4에서는, 환기관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역풍차단관의 선단부 위치가 환기관에 형성된 환기구 보다 전방으로 위치될 수 있게 하여 환기관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역풍차단관에 막혀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어 외부 공기의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역풍방지용 후드캡이 개시되었다.In Patent Document 4, the position of the tip of the backwind blocking pipe installed inside the ventilation pipe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ventilation pipe, so that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ventilation pipe is blocked by the backwind blocking pipe and is blocked from flowing inside, and is blocked to the outside. A hood cap for preventing backwinds that can prevent backwinds of air has been disclosed.
상기한 특허문헌 1은 캡본체에 형성된 역류 방지용 유입방지날개가 빗물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으나, 외부에 강하게 부는 바람이 배기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유입하여 내부기기에 과부하를 발생하는 단점이 여전히 남아있고, 복잡한 커버 구조로 인한 제조원가의 증가를 불러온다.In Patent Document 1, the backflow prevention inflow prevention wing formed on the cap body prevents rainwater from flowing back inside, but the strong wind blowing outside blocks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and flows in, overloading the internal equipment. Disadvantages still remain, and the complex cover structure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이를 감안한 특허문헌 2는 역풍방지막을 채용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에 역풍방지막의 눈메움 현상으로 교체가 필요하고, 복잡한 구조는 해소하지 못하였다.Taking this into account,
또한, 특허문헌 3은 차단커버에 의한 외부바람이 배출유도면과 배출유도구의 경사면을 타고 중앙에 형성된 역류방지구간으로 유도되어 유입된 반대방향으로 강제 배출되도록 풍속이 빨라지는 벤츄리작용이 발휘하여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모색되었으나, 급격한 외기시에는 중앙의 역류방지공간이 확장된 구조이어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압을 이기고 오히려 역류하는 현상을 고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3 shows that the external wind caused by the blocking cover is guided to the backflow prevention section formed in the center along the slope of the discharge guide surface and the discharge guide port, and a venturi effect is exerted to increase the wind speed so that the wind is forcibly dischar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ich it was introduced, thereby causing backflow. Prevention of this phenomenon has been sought, but the central backflow prevention space is expanded in the case of rapid outdoor air, so it has the disadvantage of failing to take into account the phenomenon of backflow overcoming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d indoor air.
또한, 특허문헌 4는 연결관 동일한 선상으로 돌출되는 역풍차단관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외기의 풍속이 강할 경우에는 배출공기을 역류시켜 내부장비에 부하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4 adopts a backwind blocking pipe that protrudes along the same line as the connecting pipe, but this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exhaust air to flow backwards when the wind speed of the outside air is strong, thereby creating a load on the internal equip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실내에서 연장된 수평 연통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수직방향에서 유입되는 외기의 상승된 기체속도에 의해 배출공기를 가속 토출하도록 유도하는 장치로, 수직방향으로 연통하는 확장관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 축소관으로 흐르는 외부공기가 최대 볼록곡률의 유선형유도면에 의해 빠른 공기흐름으로 전환되어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상향으로 끌어 올려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외면은 원형으로 역풍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역풍방지를 극대화하고, 내부 공기는 신속히 배출하게 할 수 있는 역풍방지 후드캡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accelerate and discharge the polluted air discharged from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extending indoors by the increased gas velocity of the outdoor air flowing i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 device that guides the outside air that flows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ly communicating expansion pipe and flows to the upper reduction pipe into a fast air flow by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with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thereby directing the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The goal is to provide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that is pulled upward to encourage rapid discharge, while the outer surface is circular to effectively block backwind inflow to maximize backwind prevention and allow internal air to be discharged quick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풍방지 후드캡은,The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중공의 원통형상의 닥트연결용의 수평 연통관; A hollow cylindrical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for duct connection;
이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에 연통하는 확장관, 이 확장관의 상단으로 상기 수평배출구의 상단에서 연장하여 상향으로 축소하는 네크관, 이 네크관의 배출구에 연장되는 축소관을 형성한 수직유도관; 및,A vertical guide pipe forming an expans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a neck pip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horizontal discharge port to the top of the expansion pipe and narrowing upward, and a narrowing pipe extending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neck pipe; and,
수직평판면의 대향 측으로 상기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 측으로 최대 볼록곡률이 배치된 유선형유도면을 갖고 상기 수직유도관의 확장관 및 네크관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하는 유도구획판을 포함하고,It has a streamlined guide surface disposed with a maximum convex curvature toward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vertical plate surface, and includes an induction partition plate that vertically divides the extension pipe and the neck pipe of the vertical induction pipe,
상기 확장관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축소관 상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수평연통관의 수평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중간의 최대 볼록곡률의 유선형유도면에 의해 빠른 공기흐름으로 변화되어 상향으로 유도 배출하는 구조로 고안되어 외부의 바람이 강하면 강할수록 내부의 공기배출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In the process where the air flowing in from the lower part of the expansion pipe flows to the upper part of the reduction pipe, the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outlet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is changed into a fast air flow by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with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in the middle, and is guided and discharged upward. The structure is designed so that the stronger the wind outside, the faster the internal air is discharg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유도구획판은 상기 수직유도관의 유입구 외측에서 구획되고 상기 네크관의 배출구 이상의 상기 축소관의 유입구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배출구 출구단의 유선형유도면의 볼록곡률과 뒷면의 수직수평판의 기체흐름의 편차로 유선형유도면의 볼록곡률의 기체흐름이 상대적으로 신속해져 수평배출구의 내부공기가 신속하게 빠지도록 유도하여 1차로 공기흐름 속도를 배가하여 배출하고, 동시에 상기 네크관의 배출구와 하단 확장관의 단면적의 흡입량 차이로 2차로 빠른 공기흐름을 유도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uction partition plate is partitioned outside the inlet of the vertical induction pipe and extends inside the inlet of the narrowing pipe beyond the outlet of the neck pipe, and the convex curvature of the streamlined induction surface of the outlet end of the horizontal outlet and the back of the Due to the deviation of the gas flow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lates, the gas flow of the convex curvature of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becomes relatively fast, leading to the internal air of the horizontal outlet to escape quickly, thereby doubling the air flow speed and discharging in the first order, and at the same time, the neck pi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by inducing a secondary fast air flow due to the difference in suction amount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outlet and the lower expansion pipe.
본 발명에 의하면,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할 수 있는 수직유도관을 통해 환기공기를 외부공기가 끌고 상승하여 배출하며, 외부의 직풍을 방지하며 오히려 외풍이 강할수록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신속히 빠지도록 기체의 흐름의 구조로 만들었으며, 실내에 구비된 내부설비의 역풍에 대한 소음과 고장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air is dragged by the outside air, rises, and is discharged through a vertical induction pipe that can use the Bernoulli principle, and prevents direct wind from outside. Rather, the stronger the draft, the faster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It is made with a flow structure, and can reduce noise and breakdowns caused by headwinds of internal equipment installed indoo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조로서 건물의 배출닥트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보장되고, 공업적으로도 양산(量産)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 제품보다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 절약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assembled and used in the exhaust duct of a building, ensuring versatility, industrial mass production effects can be expect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r than existing products, reducing the cost. Saving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기구없이 외부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내부공기의 환기를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장점과 고장의 염려도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ventilation of the internal air can be stably achieved by using the flow of external air without a separate device and there is no risk of breakdow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설치에 따른 공기흐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반 단면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빗물차단커버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로서, 저면방향의 사시도 및 평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alf-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air flow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a half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ainwater blocking cover install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and 12 are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반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half-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설치에 따른 공기흐름 보여주는 작동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주택의 외벽(100) 내에 설치되어 실내(200)의 환기목적의 내부설비 측과 실외(300)에 연통하는 닥트(400)에 수평유입구(10a) 측을 끼워 삽입되는 수평연통관(10), 이 수평연통관에 연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유도관(20), 이 수직유도관의 내부를 구획하는 유도구획판(3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Figure 4 is an operational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se drawings, it is installed within the outer wall 100 of the house to provide ventilation for the indoor 200 and the outdoor 300.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0) is inserted by inserting the side of the horizontal inlet (10a) into the duct (400) communicating with the duct, a vertical induction pipe (20) is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is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and the interior of this vertical induction pipe is divided. It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induction partition plate (30).
상기 수직유도관(20)은 수직방향으로서 상기 수평연통관(10)의 수평배출구(10b)에 연통하는 확장관(21), 이 확장관의 상단으로 상기 수평배출구(10b)의 상단에서 연장하여 상향으로 축소하는 네크관(22), 이 네크관의 배출구(22b)에 연장되는 축소관(23)이 형성된다.The vertical guide pipe 20 has an
이러한 수직유도관(20)은 유입구(21a)와 배출구(21b)을 갖는 중공의 상기 확장관(21), 이 확장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입구(22a)을 갖고 외향으로 돌출 만곡상태로 연장되어 상측에 배출구(22b)을 갖는 중공의 상기 네크관(22), 이 네크관의 배출구(22b)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입구(23a) 및 배출구(23b)를 갖는 중공의 상기 축소관(23)으로 형성된다.This vertical guide pipe 20 has a
이때, 상기 확장관(21)의 직경은 상기 수평연통관(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서, 일측에서 상기 수평연통관(10)의 배출구(10b)의 직경이 관통되고 용접 등에서 의해 수평연통관(10)과 수직유도관(20) 상호간이 직교하여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상기 유도구획판(30)은 상기 수직유도관(20)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하는 상태로 부착된다.The
상기 유도구획판(30)은 일측에 수직 평판면(32)과 타측에 하측에서 상측로 가면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곡률(31a)을 갖는 유선형유도면(31)으로 형성되고, 이 유선형유도면(31)은 상측에서 상기 수직평판면(32)과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평판면(31b)로 연장 형성된다.The
이러한 유도구획판(30)은 상기 유선형유도면(31)의 최대 볼록곡률(31a)이 상기 수평연통관(10)의 수평배출구(10b) 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평행평판면(31b)이 상기 네크관(22)의 배출구(22b) 이상의 상기 축소관(23)의 유입구(23a) 내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수직유도관(20)의 확장관(21) 및 네크관(22)을 구획하여 부착된다.In this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인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실내(200)의 오염된 공기가 닥트(400)을 통해 수평연통관(10)의 유입구(10a)로 유입되고 배출구(10b)로 배출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200 flows into the
물론, 이런한 배출은 내부설비의 배기팬(미도시함)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풍되면서 배출된다.Of course, such emissions are discharged by being forcibly blown by an exhaust fan (not shown) of the internal equipment.
이렇게 배출되는 오염공기는 상기 수직유도관(20)에 의해 상향으로 유도 배출된다.The contaminated air discharged in this way is guided and discharged upward by the vertical guide pipe (20).
즉, 상기 확장관(21)의 유입구(21a)를 통해 유입되고 배출구(21b) 및 상기 네크관(22)의 유입구(22a)→ 배출구(22b)→상기 축소관(23)의 유입구(23a)→배출구(23b)로 유도 배출된다.That is, it flows in through the
이러한 외부공기의 흐름에 의한 상향의 배출은 상기 수직유도관(20)의 형상이 하부의 확장관(21)과 상부의 축소관(23)이 축소되는 곡률관인 네크관(22)에 의한 벤츄리 효과에 의해 역풍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더해 수직으로 구비되는 유도구획판(30)에 의해 상기 수평연통관(10)의 배출구(10b)에 역풍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This upward discharge due to the flow of external air is a venturi effect caused by the
즉, 상기 수직유도관(20)을 통해 흐르는 외부공기는 상기 유도구획판(30)의 수직평판면(32) 측 공간을 흐르는 외부 공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공기흐름으로 차이가 없으나, 상기 수평연통관(10)의 배출구(10b)에 최대 볼록곡률(31a)의 유선형유도면(31)에 의해 더욱 빠른 공기흐름으로 상기 수평 연통관(10)에서 배출구(10b)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상향으로 끌고 신속하게 배출된다(베르누이 원리 효과).That i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air flowing through the vertical induction pipe 20 and the external air flowing in the space on the side of the vertical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구획판(30)은 상기 수직유도관(20)의 확장관(21)의 유입구(21a)의 외측에서 구획되고, 상기 네크관(22)의 배출구(22b) 이상의 상기 축소관(23)의 유입구(23a)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배출구(10b) 출구단과 상기 유선형 유도면(31)의 볼록곡률 간의 축소 간격(W1)에서 1차로 공기흐름 속도를 증가하여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네크관(22)의 배출구(22b)와 축소관(23)의 유입구(23a) 를 구획한 평행평판면(31b) 간의 축소 간격(W2)에서 2차로 빠른 공기흐름을 유도하여 오염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축소관(23)에서 상기 수직평판면(32) 측의 배출공기와 합류하여 배출됨으로서 상기 수평연통관(10)의 배출구(10b)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상향으로 끌어 올리는 기체흐름도가 형성되어 역풍유입은 저절로 차단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 2 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상기 수평 연통관(10)의 배출구(10b) 상단 내주면에는 빗물이나 습기 물방울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기차단방지돌기판(11)을 구성한 것이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5 and 6, rainwater or moisture droplets flow inwar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outlet (10b) of the
이러한 실시예는 실내공기나 외부공기, 또는 빗물이 상기 축소관(23)과 네크관(22)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림시에 상기 물기차단방지돌기판(11)에 의해 맺힌 물방울의 낙하를 유도하여 배출구(10b)로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indoor air, outside air, or rainwater flows dow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유도관(20)의 축소관(23) 배출구(23b)에 빗물차단커버(40)을 조립하여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third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rainwater blocking cover 40 on the
이러한 제3 실시예는 외부의 빗물이 상기 빗물차단커버(40)의 지붕에 의해 차단되어 수직유도관(20)의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third embodiment, external rainwater is blocked by the roof of the rainwater blocking cover 40, thereby preventing inflow into the vertical guide pipe 20.
이러한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수직유도관(20)을 통해 배출되는 배출공기는 빗물차단커버(40)의 지붕에 의해 하향으로 전환되어 최종 배출됨을 당연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해도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It is obvious that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induction pipe 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verted downward by the roof of the rainwater blocking cover 40 and is finally discharged, and it will be fully understood even if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제4 실시예)(Example 4)
제4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유도관(20)의 확장관(21)은 상기 유도구획판(30)의 수직평판면(32) 측을 절개한 확장유입구(21c)를 형성한 것이며, 수직의 외벽(100)에 밀착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평판면(32) 측의 반원통 형상과 상기 유선형유도면(31) 측으로 사각통 형상으로 된 반원통형의 "" 형상의 평단면 형상의 확장유입구(21c)를 형성하였으며, 기체흐름의 가속을 위해 수직방향에 일정간격을 갖고 요설된 다수의 V자 형의 기체흐름 세로유도홈(32a)을 성형하여 구성된 것이다.In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유도구획판(30)의 구획에 의해 상기 수직평판면(32)의 공기흐름이 상기 다수의 V자 형의 기체흐름 세로유도홈(32a)에 의해 공기흐름을 가속하고 보다 공기유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ir flow of the vertical
(제5 실시예)(Example 5)
제5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의 외벽(100)에 밀착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직평판면(32) 측의 반원통 형상과 상기 유선형유도면(31) 측으로 사각통 형상으로 된 반원통형의 "" 형상의 평단면 형상으로 상기 수직유도관(20)의 확장관(21)은 상기 유도구획판(30)의 하단부을 수용하는 연장부(24)를 형성하되, 이 연장부에는 상기 유입구(21a)에 연통하는 공기유입개구(24a)를 등간격으로 관통 구성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0, the fifth embodiment has a semi-cylindrical shape on the vertical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유도구획판(30)의 하단부 노출을 차단하면서 유입구(21a)와 협조하여 연장부(24)에 관통된 공기유입개구(24a)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흐름이 유도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와 작용효과와는 큰 차이가 없다.In this embodiment, the flow is induced as air flows in from the air inlet opening (24a) penetrating the extension portion (24) in cooperation with the inlet (21a) while blocking exposure of the lower end of the induction partition plate (30).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ample and the effect.
(제6 실시예)(Example 6)
제6 실시예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유도관(20)을 제4 실시예 및 도 5와 같이, 반원통형의 "" 형상의 평단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를 수직 구획하는 상기 유도구획판(30)의 유선형 유도면(31)은 중앙의 최대 볼록곡률을 정점으로 좌,우의 기체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양끝으로 하향 유선형으로 점차 곡률은 축소하여 끝단에서는 상기 평행평판면(31b)과 높이를 같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six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vertical guide pipe 20 is formed into a semi-cylindrical shape as in the fourth embodiment and FIG. 5. "The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유선형 유도면(31)의 최대 볼록곡률(31a)의 양 측을 비행기의 날개 단면형상과 같이 곡률을 서서히 줄여서 기체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provide more smooth gas flow by gradually reducing the curvature of both sides of the maximum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유도구획판(30)의 유선형유도면(31)을 상부와 하부 양측에 대향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비대칭 유선형 유도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역풍방지 후드캡은 건물의 외벽에 연통하는 닥트에 설치되어 외관성은 물론 외풍에 의한 역류방지로 내부설비의 과부하를 없애서 화재발생 및 소음 등을 방지하는 안전수단으로 유용하다.The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and is useful as a safety measure to prevent fires and noise by eliminating overload of internal facilities by preventing backflow caused by drafts as well as appearance.
10 : 수평연통관 11 : 물기차단방지돌기판
20 : 수직유도관 21, 21a : 확장관
22 : 네크관 23 : 축소관
30 : 유도구획판 31 : 유선형유도면
31a : 최대 볼록곡률 31b : 평행평판면
32 : 수직평판면 32a : V자 형의 기체흐름 세로유도홈
40 : 빗물차단커버10: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1: Water blocking prevention projection plate
20:
22: neck pipe 23: narrow pipe
30: guidance partition plate 31: streamlined guidance surface
31a: Maximum
32: Vertical
40: Rainwater blocking cover
Claims (8)
상기 수직유도관(20)은 유입구(21a)와 배출구(21b)을 구비하면서 일측에 수평 연통관(10)이 연결되는 중공의 확장관(21)과 상기 확장관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입구(22a)을 갖고 수평배출구(10b)의 상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축소된 상태로 돌출 연장되어 상측에 배출구(22b)을 갖는 중공의 네크관(22) 및 상기 네크관의 배출구(22b)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유입구(23a) 및 배출구(23b)를 구비하면서 상단에 빗물차단커버(40)가 연결되는 중공의 축소관(23)이 상부를 향하여 순차로 연장되며, 상기 확장관(21) 및 네크관(22)의 내측을 수직방향으로 구획토록 하단이 유입구(21a) 외측에 돌출되고 상단이 축소관(23)의 유입구(23a) 내측까지 연장되면서 유선형유도면(31)과 수직평판면(32)을 갖는 유도구획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유도구획판(30)은 일측에 수직평판면(32)이 타측에는 하측에서 상측로 가면서 수평연통관(10)의 수평배출구(10b)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최대 볼록곡률(31a)을 갖는 유선형유도면(31)이 형성되고, 상기 유선형유도면(31)은 수직평판면(32)과 평행하게 연장된 평행평판면(31b)이 상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확장관(21)은 하부 일측을 절개하여 유도구획판(30)의 수직평판면측이 노출되는 확장유입구(21c)가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최대 볼록곡률(31a)의 유선형유도면(31)에 의해 형성된 수평 배출구(10b)의 출구단과 유선형유도면(31)의 최대 볼록곡률(31a) 간의 축소 간격(W1)에서 1차로 공기흐름 속도를 증가하여 배출되고 동시에 상기 네크관(22)의 배출구(22b)와 축소관(23)의 유입구(23a) 간의 축소간격(W2)에서 2차로 빠른 공기흐름을 유도하여 빠른 공기흐름으로 수평연통관(10)의 수평배출구(10b)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상향으로 끌어 올려 신속하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방지 후드캡.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0) made of a cylindrical hollow pip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inlet (10a) of the duct (400)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doors on the exterior wall (100) of the house for indoor ventilation, and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0) It consists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vertical induction pipes (20) that are erected and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outer wall (100) to communicate and form an air flow by natural convection,
The vertical induction pipe 20 has an inlet 21a and an outlet 21b, a hollow expansion pipe 21 connected to a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0 on one side, and an inlet 22a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expansion pipe. It has a hollow neck pipe 22 that protrudes and extends in a reduced state from the top of the horizontal outlet 10b toward the upper side and has an outlet 22b on the upper side, and an inlet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outlet 22b of the neck pipe. (23a) and an outlet (23b), a hollow reduced pipe (23) connected to the top of the rainwater blocking cover (40) sequentially extends upward, and the expansion pipe (21) and the neck pipe (22) The lower end protrudes outside the inlet (21a) to divide the inside of the tub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inlet (23a) of the reduction tube (23), and has a streamlined guide surface (31) and a vertical flat surface (32). A partition plate 30 is installed,
The induction partition plate 30 has a vertical flat surface 32 on one side and a streamlined induction section on the other side with a maximum convex curvature 31a that protrudes convexly toward the horizontal outlet 10b of the horizontal communication pipe 10 while go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surface 31 is formed, and a parallel plate surface 31b extending parallel to the vertical plate surface 32 is formed on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31,
The expansion pipe 21 is cut on one lower side to form an expansion inlet 21c exposing the vertical plate side of the induction partition plate 30,
The outside air is primarily air at the reduced gap (W1) between the outlet end of the horizontal outlet (10b) formed by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31) with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31a) and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31a) of the streamlined guide surface (31). It is discharged by increasing the flow speed,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ary fast air flow is induced in the reduced gap (W2) between the outlet (22b) of the neck pipe (22) and the inlet (23a) of the reduction pipe (23), thereby causing horizontal air flow with fast air flow.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characterized in that indoor air discharged from the horizontal outlet (10b) of the communication pipe (10) is pulled upward and discharged quickly.
상기 유도구획판(30)의 유선형유도면(31)은 중앙의 최대 볼록곡률(31a)을 정점으로 좌,우에 양끝으로 하향 유선형으로 점차 곡률은 축소하여 끝단에서는 상기 평행평판면(31b)의 높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방지 후드캡.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eamlined guiding surface 31 of the guiding partition plate 30 has the maximum convex curvature 31a in the center as its peak, and the curvature gradually decreases in a downward streamline shape to both ends on the left and right, so that the height of the parallel plate surface 31b is reached at the ends. A backwind prevention hood cap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233A KR102592130B1 (en) | 2020-12-07 | 2020-12-07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9233A KR102592130B1 (en) | 2020-12-07 | 2020-12-07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0290A KR20220080290A (en) | 2022-06-14 |
KR102592130B1 true KR102592130B1 (en) | 2023-10-19 |
Family
ID=8198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9233A Active KR102592130B1 (en) | 2020-12-07 | 2020-12-07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1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38122A (en) * | 2022-11-10 | 2023-03-07 | 重庆消防安全技术研究服务有限责任公司 | Indoor automatic and manual dual-purpose fireproof equipment |
CN116085860A (en) * | 2022-12-30 | 2023-05-09 | 美智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Air outlet structure, method for adjusting air outlet angle and warm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5431A (en) * | 1998-08-05 | 2000-02-25 | Misawa Homes Co Ltd | Weather cover |
JP2002333177A (en) * | 2001-05-07 | 2002-11-22 | Goodman:Kk | Natural ventilator with simultaneous air supply and exhaust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18196A (en) * | 1997-03-17 | 1998-12-02 | Ekusesu:Kk | Exhaust device |
JP3133187U (en) * | 2007-04-17 | 2007-07-05 | 宏 山村 | Ventilation hood |
KR101543603B1 (en) | 2013-05-01 | 2015-08-13 | 이정아 | waterproof ventilating opening cap |
KR20180089028A (en) | 2017-01-31 | 2018-08-08 | 하리산업주식회사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KR101954419B1 (en) | 2017-04-14 | 2019-03-05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Head wind prevention ventilation cap for direct exhaust |
KR102067180B1 (en) | 2019-07-25 | 2020-01-15 | 하리산업주식회사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
2020
- 2020-12-07 KR KR1020200169233A patent/KR1025921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5431A (en) * | 1998-08-05 | 2000-02-25 | Misawa Homes Co Ltd | Weather cover |
JP2002333177A (en) * | 2001-05-07 | 2002-11-22 | Goodman:Kk | Natural ventilator with simultaneous air supply and exhau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80290A (en) | 2022-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2130B1 (en) | Hood cap for prevent headwinds | |
EP2469166A1 (en) | Combined system for flue gas removal, air supply and ventilation air removal | |
CN206091107U (en) | Room ventilation lighting device | |
TWI650469B (en) | Ventilation heat sink | |
KR100816525B1 (en) | Exhaust Hood | |
US2754816A (en) | Sealed heater venting and combustion air supply system | |
CN106193538B (en) | A kind of fire prevention flow-guiding type flue and difunctional exhaust system | |
CN201935327U (en) | Bidirectional-ventilation outer air port | |
US20080160894A1 (en) | Partitioned chimney cap and fireplace venting system | |
CN210239061U (en) | An unpowered hood with air supply function | |
CN205822707U (en) | Fire-type movable type variable-pressure exhaust passage | |
CN207880858U (en) | The self-service leading-drain type exhaust smoke device of gas heater | |
TWI620856B (en) | Roof exhaust | |
CN205531209U (en) | Exhaust structure on house | |
US20160215978A1 (en) | Throttled direct vent termination | |
CN112128916A (en) | Outdoor rain-proof cap for fresh air system and fresh air pipeline applying rain-proof cap | |
CN221194102U (en) | Public flue with pressure-changing backflow-preventing function | |
KR200415389Y1 (en)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
CN206829557U (en) | A kind of basement high-efficient ventilation pipeline group | |
RU214419U1 (en) | Deflector | |
CN205425110U (en) | Air flue no. 5 of discharging fume fast system device of preapring for an unfavorable turn of events | |
CN205102348U (en) | Rain -proof cover of two unifications of business turn over wind | |
CN214249967U (en) | Outdoor rain-proof cap for fresh air system and fresh air pipeline applying rain-proof cap | |
KR102619881B1 (en) | Ventilation apparatus for building duct | |
CN221300213U (en) | Pressure-variable check valve for public fl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