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89Y1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Google Patents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5389Y1 KR200415389Y1 KR2020060005214U KR20060005214U KR200415389Y1 KR 200415389 Y1 KR200415389 Y1 KR 200415389Y1 KR 2020060005214 U KR2020060005214 U KR 2020060005214U KR 20060005214 U KR20060005214 U KR 20060005214U KR 200415389 Y1 KR200415389 Y1 KR 2004153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ake
- exhaust
- building
- outdoor air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399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6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 공기환경을 쾌적하도록 조성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기라인과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라인으로 구성되고, 배기라인이 흡기라인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중력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공기의 흐름, 즉 굴뚝효과를 이용한 중력환기)(굴뚝효과는 실내외 온도차와 흡배기 높이차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한다)에 의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고 <2>흡기라인의 흡기입구와 배기라인의 배기출구에 흡기입구로 배기되고 배기출구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가 각각 설치되어 항상 흡기라인은 양압(+)이고 배기라인은 음압(-)이 되기 때문에 풍압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실내외 온도차(동절기에는 크지만 하절기에는 작다)에 관계없이 연중 환기를 시킬 수 있으며 <3>흡기라인 상에 실외공기의 흐름을 지체시켜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 따위의 이물을 비중차에 의하여 침강시키는 집진기구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물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흡입되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or for creating a pleasant air environment in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he air inlet line comprises an intake line for sucking outdoor air and an exhaust line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Since it is located above the intake line,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using gravity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at is, gravity ventilation using the chimney effect) (the chimney effect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intake and exhaust height difference. (2) backflow prevention dampers are installed at the inlet and inlet of the intake line and the exhaust outlet of the exhaust line to prevent intake and intake at the exhaust outlet. (+) And exhaust line becomes negative pressure (-), so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by natural ventilation method using wind pressure (large in win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year-round ventilation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air). <3> Foreig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intake line by delaying the flow of outdoor air, so tha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outdoor air are settled by specific gravity. It relates to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that can be sucked into the room with the outdoor ai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room.
건축물, 굴뚝효과, 댐퍼, 자연환기, 중력, 집진, 풍압, 환기 Building, Chimney Effect, Damper, Natural Ventilation, Gravity, Dust Collection, Wind Pressure, Ventilation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환기장치를 측면에서 본 상태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mechanical ventilator viewed from the sid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device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댐퍼의 확대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non-return damper shown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집진기구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ust collecting mechanism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집진기구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mechanis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가 다층건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device using a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multi-storey building.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device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a, 2b, 2c, 2d : 건축물의 벽 4 : 건축물의 바닥2a, 2b, 2c, 2d: wall of building 4: floor of building
6 : 건축물의 천장 12a, 12b : 흡기입구6:
14 : 흡기출구 16 : 흡기덕트14 Intake Outlet 16 Intake Duct
22a, 22b : 배기출구 24 : 배기입구22a, 22b: exhaust outlet 24: exhaust inlet
26 : 배기덕트 32 : 흡기조절기구26: exhaust duct 32: intake control mechanism
34 : 배기조절기구 42, 44 : 역류방지댐퍼34:
52, 152 : 집진실 54, 154 : 집진벽52, 152:
60 : 수직덕트60: vertical du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 공기환경을 쾌적하도록 조성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공기 흐름, 즉 중력환기와 바람의 압력 둘 모두를 이용,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creating a pleasant air environment in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maintain a constant ventilation amount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the season by using both air flow, that is, gravity ventilation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근래 들어 건축물 부문 에너지절약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건축물의 밀폐성능은 나날이 향상되고 있는 반면에 이 높은 밀폐성능으로 건축물 내(실내) 공기의 오염도는 악화되어 가고 있는 바, 수시로 환기를 시켜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여야 실내의 공기환경을 쾌적하도록 조성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energy saving standards of the building sector have been strengthened, the sealing performance of buildings has improved day by day, while the pollution of indoor (indoor) air is deteriorating due to this high sealing performance. It must be exchanged with ai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air environment.
실내의 공기환경을 인간의 보건위생에 적합하도록 개선하고자 사용되었던 종래 대표적인 환기방법으로는 창문을 열어 건축물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 창으로부터는 실외공기를 들여오고 반대 창으로는 실내의 오염공기를 배출하여 교환시키는 풍력환기가 있다.Conventional ventilation methods that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indoor air environment to be suitable for human health and hygiene include the opening of windows to introduce outdoor air from the wind-winding window of the building and the discharge of indoor polluted air to the opposite window. There is a wind ventilation to exchange.
그러나 이와 같은 풍력환기는 바람이 있을 때는 문제가 없으나, 바람은 시시각각으로 강도와 풍향이 변하므로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하기가 어려웠고, 실외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따위의 이물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들어와 실내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wind ventilation is not a problem when there is wind, but because the strength and wind direction changes with tim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ventilation amoun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outdoor air come into the room with outdoor ai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terior becomes dirty easily.
또 풍력환기와 함께 자연환기에 속하는 중력환기가 있다. 환기통에 의한 환기는 중력환기의 예로서, 실내의 온도가 외부보다 높을 때는 그 속의 따뜻한 공기는 외부의 찬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흘러 환기가 된다.In addition to wind ventilation, there is gravity ventilation belonging to natural ventilation. Ventilation by the ventilation cylinder is an example of gravity ventila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outside, the warm air therein is lighter than the cold air outside, and the air flows upward.
그러나 이 중력환기 또한 실내외의 온도차가 계절에 따라 상이하므로 언제나 일정한 환기량을 기대할 수 없었다. 즉 동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커서 환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하절기에는 실내외의 온도차가 작은 데다 냉방 시 오히려 실내온도가 실외보다 낮아 환기가 불안정하고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is gravity ventilation also could not expect a constant amount of ventilation at all times becau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varies depending on the season. That is, in winter,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and ventilation is actively performed, while in summer,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is small, and when cooling,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outdoor, so the ventilation is unstable and insufficient.
이와 같은 자연환기(풍력환기ㆍ중력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이 바로 팬 등을 이용, 강제로 환기를 시키는 기계식 환기장치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natural ventilation (wind ventilation, gravity ventilation) is a mechanical ventilation device for forced ventilation using a fan or the like.
일반적인 기계식 환기장치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mechanical ventilator is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식 환기장치는 흡기입구(111), 흡기출구(112), 배기입구(113) 및 배기출구(114)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10)과,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각각 흡기입구(111)와 배기입구(113)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한 후 흡기출구(112)와 배기출구(114)로 각각 토출시키는 흡기팬(121) 및 배기팬(122)과,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을 교환시키는 열교환기(130)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110)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되고, 열교환기(130)는 내부로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됨이 없이 열을 교환한 뒤 각각 흡기출구(112)와 배기출구(114)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echanical ventilator includes a
따라서 흡기팬(121)과 배기팬(122)을 작동시키면, 이 흡기팬(121)과 배기팬(122)의 작용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흡기입구(111)와 배기입구(113)를 통하여 하우징(110)으로 각각 흡입되는 바, 이 흡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면서 열을 교환한 뒤 흡기출구(112)와 배기출구(114)를 통하여 각각 실내와 실외로 토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환기장치는 흡기팬(121)과 배기팬(122)으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환기를 시키므로 자연환기에 비하여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기는 하나, 소음 발생과 에너지 소비가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같은 단점으로 기계식 환기장치(기계환기ㆍ강제환기)보다는 친환경적 인 자연환기를 더 선호하는 현 시대적 흐름에 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설치를 위해서는 하우징(110)의 두께에 상당하는 벽의 두께가 확보되어야만 비로소 가능하였고, 이 설치개소의 벽에는 창문을 낼 수가 없어 채광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점도 있었다.However, the mechanical ventilation device is forced to flow outdoor air and indoor air through the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외의 온도차를 이용한 중력환기에 의하여 환기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항시 흡기라인은 양압(+)이고 배기라인은 음압(-)이 되어 실내외의 온도차에 관계없이 풍압에 의해서도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음의 발생 및 에너지의 소비 없이 연중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는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ventilation is made by gravity ventilation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nd the intake line is always positive pressure (+) and the exhaust line is negative pressure (-), so that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which can maintain a constant ventilation amount throughout the year without generating noise and energy consumption by configuring ventilation to be performed even by wind pressure regardless of wind pressur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할 때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실외공기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that can prevent the interior from being contaminated by separa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outdoor air from outdoor air when inhal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한쪽 벽과 반대쪽 벽에 각각 형성된 흡기입구와, 건축물의 바닥 측에 형성된 흡기출구와, 상기 각 흡기입구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흡기출구로 유출되어 실내로 흡입되도록 상기 각 흡기입구와 흡기출구를 연결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각 흡기입구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건축물의 한쪽 벽과 반대쪽 벽에 각각 형성된 배기출구와, 건축물의 천장 측에 형성된 배기입구와, 상기 배기입구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각 배기출구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각 배기출구와 배기입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흡기출구와 배기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하는 흡기조절기구 및 배기조절기구와, 상기 각 흡기입구와 배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흡기입구로 배기되고 상기 배기출구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an intake inlet formed on one wall and the opposite wall of the building, an intake outlet formed on the floor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each intake inlet to the intake outlet An intake duct connecting the respective intake inlets and the intake outlet to be discharged and sucked into the room; an exhaust outlet respectively formed on one wall and the opposite wall of the building so as to be located above the intake inlet; The exhaust inlet formed, an exhaust duct connecting the exhaust outlet and the exhaust inlet so that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exhaust outlet is discharged to the exhaust outlets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intake control mechanism and an exhaust control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gas and the exhaust volume, and each of the intake and exhaust outlets And a backflow prevention damper which is exhausted to the intake air inlet and prevents the intake to the exhaust outlet.
또한 상기 각 흡기입구와 흡기덕트의 사이에는 실외공기의 유속이 감속되도록 용적이 확장된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실이 갖추어지고, 상기 집진실에는 실외공기의 흐름을 지체시킴으로써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비중차로 침강시키는 일정 높이의 집진벽이 다수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between each intake inlet and the intake duct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volume of the outdoor air is reduc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outdoor air is reduced, and the foreign matter i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y delaying the flow of the outdoor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arge number of dust collecting walls of a certain height settle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또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지하 한쪽 벽과 지하 반대쪽 벽에 각각 형성된 흡기입구와, 상기 각 흡기입구와 지상이 연결되도록 건축물의 지하 한쪽 벽과 지하 반대쪽 벽의 바깥쪽에 각각 설치된 수직덕트와, 건축물의 바닥 측에 형성된 흡기출구와, 상기 각 흡기입구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각 흡기입구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흡기출구로 유출되어 실내로 흡입되도록 상기 각 흡기입구와 흡기출구를 연결하는 흡기덕트와, 상기 각 흡기입구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건축물의 지상 한쪽 벽과 지상 반대쪽 벽에 각각 형성된 배기출구와, 건축물의 천장 측에 형성된 배기입구와, 상기 각 배기출구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배기입구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각 배기출구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되도록 상기 각 배기출구와 배기입구를 연결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흡기출구와 배기입구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하는 흡기조절기구 및 배기조절기구와, 상기 각 흡기입구와 배기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흡기입구로 배기되고 상기 배기출구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e intake inlet formed in each of the basement wall and the basement opposite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outer one of the basement wall and the basement opposite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each intake and the ground is connected The vertical duct installed, the intake outlet formed at the bottom side of the building, and the intake inle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each intake inlet flows out into the intake outlet and is sucked into the room. An intake duct connecting an inlet and an intake outlet, an exhaust outlet formed on one wall of the building and an opposite wall of the ground so as to be positioned relatively above the respective intake inlets, an exhaust inlet formed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he exhaust outle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exhaust inlet i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exhaust outlets. Exhaust ducts connecting the exhaust outlets and the exhaust inle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reverse flow prevention damper installed at each of the exhaust outlets to prevent exhaustion to the intake air inlet and intake to the exhaust outlet.
또한 상기 각 수직덕트 내 하단에는 실외공기의 유속이 감속되도록 용적이 확장된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실이 갖추어지고, 상기 집진실에는 실외공기의 흐름을 지체시킴으로써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비중차로 침강시키는 일정 높이의 집진벽이 다수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chambe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vertical duct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volume of the outdoor air is reduced, and the dust collecting chamber settle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with a specific gravity by delaying the flow of outdoor ai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arge number of dust collecting walls of a certain heigh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이 각각 도시된 확대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d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2 respectively.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 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를 건축물 내(실내)로 흡입하는 흡기라인(10),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라인(20), 흡기량과 배기량을 조절하는 흡기조절기구(32) 및 배기조절기구(34), 흡기라인(10)으로 배기되고 배기라인(20)으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42)(44),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 따위의 이물을 실외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집진기구(50)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흡기라인(10)은 건축물의 벽에 형성된 흡기입구(12a)(12b)와, 실내의 바닥(4) 측에 형성되고 흡기조절기구(32)가 설치된 흡기출구(14)와, 실외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도록 흡기입구(12a)(12b)와 흡기출구(14)를 연결하는 흡기덕트(16)로 구성된다.The
흡기입구(12a)(12b)는 풍향에 관계없이 항상 실외공기가 유입되도록 건축물의 한쪽 벽(2a) 및 반대쪽 벽(2b)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마주하고, 흡기출구(14)는 바닥(4)이나 바닥(4)과 근접하도록 벽에 위치된다.The
흡기덕트(16)는 각 흡기입구(12a)(12b)로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흡기출구(14)로 유출되어 실내로 흡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각 흡기입구(12a)(12b)가 서로 통하도록 최단거리로 연결하고, 여기에서 분기되어 흡기출구(14)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또 실내에 노출되어 있으면 미관을 저해하고 불필요하게 공간을 점유하게 되 므로 바닥(4)에 매몰되어 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흡기덕트(16)가 매몰되는 바닥(4)이라 함은 이미 건설된 건축물의 경우에는 흡기덕트(16)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직접 설치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작업이므로 바람직하게는 난방층을 말하며, 난방층이 없는 건축물의 경우에는 아래층의 천장 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겠다.In addition, if it is exposed to the room, it hinders aesthetics and occupies the space unnecessarily, so that it is buried in the
배기라인(20)은 건축물의 벽에 형성된 배기출구(22a)(22b)와, 실내의 천장(6) 측에 형성되고 배기조절기구(34)가 설치된 배기입구(24)와,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배기출구(22a)(22b)와 배기입구(24)를 연결하는 배기덕트(26)로 구성된다.The
배기출구(22a)(22b)는 흡기입구(12a)(12b)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풍향에 관계없이 항상 실내공기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건축물의 한쪽 벽(2a) 및 반대쪽 벽(2b)에 각각 위치되어 서로 마주한다. 또 배기입구(24)는 천장(6) 또는 천장(4)과 근접하도록 벽에 위치된다.The
참고로 이 구조는 실내외의 온도차에 따른 밀도차로 인하여 공기가 위쪽으로 흐르게 되는 것, 즉 굴뚝효과(stack effect)를 이용하여 환기를 시키는 중력환기가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굴뚝효과의 경우 실내외 온도차와 흡배기 높이차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흡기출구(14)와 배기입구(24)는 높이차가 최대이도록 각각 바닥(4)과 천장(6)에 근접하도록 벽에 위치시키는 것보다는 직접 바닥 (4)과 천장(6)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is structure is to allow the air to flow upward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s, that is, to make the gravity ventilation to be ventilated by using the stack effect. The
배기덕트(26)는 배기입구(24)로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각 배기출구(22a)(22b)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기되게 하는 것으로서, 흡기덕트(16)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각 배기출구(22a)(22b)가 서로 통하도록 최단거리로 연결하고, 여기에서 분기되어 배기입구(24)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The
이러한 배기덕트(26)는 휴면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천장(6)과 지붕틀(8)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다.The
흡기조절기구(32)는 실외공기가 흡기출구(14)에서 실내로 확산되도록 유출하는 한편 이 유출되는 실외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실외공기 유출량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디퓨저이다.
그리고 배기조절기구(34)는 배기입구(24)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실내공기 유입량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배기그릴이다.In addition, the
역류방지댐퍼(42)(44)는 건축물의 한쪽 벽에 바람이 불면 여기는 양압(+)이 되고 반대쪽 벽은 음압(-)이 되는 원리를 이용, 실내공기가 흡기입구(12a)(12b)로 유출되고 실외공기가 배기출구(22a)(22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흡기라인(10)은 양압이 유지되고 배기라인(20)은 음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역류방지댐퍼(42)(44)는 흡기입구(12a)(12b) 및 배기출구(22a)(22b)에 각각 설치되고 풍력으로 작동되며 개폐도어가 한쪽 방향에 한하여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바, 흡기입구(12a)(12b)에 설치된 역류방지댐퍼(42)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회전되고, 배기출구(22a)(22b)에 설치된 역류방지댐퍼(44)는 실내공기가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회전된다.Such
집진기구(50)는 각 흡기입구(12a)(12b)와 흡기덕트(16) 사이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서, 집진실(52)과 다수의 집진벽(54)으로 구성되고, 이 집진실(52)과 집진벽(54)에 의하여 실외공기를 인위적으로 저속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비중차로 자연히 침강시켜 분리한다.The
집진실(52)은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이 모이는 공간으로 이 집진실(52)로 유입된 실외공기의 유속이 감속되도록, 그래서 이 집진실(52)에 모인 이물의 비산이 방지되도록 그 용적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집진벽(54)은 집진실(5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진 일정 길이의 벽으로 실외공기의 흐름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지체시키는 한편 집진실(52)에 모인 이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여기에서 집진벽(54)은 그 높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바, 실외공기 흐름의 부분적 차단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외공기가 흡기입구(12a)(12b)에 서 흡기덕트(16)로 흐르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은 순서로 배열된다.Here, the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는 역류방지댐퍼(42)(44)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흡기입구(12a)(12b)로 배출됨이 없고 실외공기가 배기출구(22a)(22b)로 흡입됨이 없으므로 항상 흡기라인(10)은 양압을 유지하고 배기라인(20)은 음압을 유지한다.(풍압에 의한 환기) 그리고 배기라인(20)이 흡기라인(10)에 비하여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실외보다 높을 때(동절기)는 실내공기가 실외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쪽으로 흘러 배기라인(20)의 배기입구(24)로 향하는 상태를 유지한다.(중력(굴뚝효과)에 의한 환기)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indoor air is not discharged to the
따라서 실외공기는 흡기입구(12a)(12b), 집진기구(50), 흡기덕트(16), 흡기출구(14)를 순차적으로 지나 실내로 흡입되고, 실내공기는 배기입구(24), 배기덕트(26), 배기출구(22a)(22b)를 순차적으로 지나 실외로 배출되어 환기가 된다.Therefore, the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room sequentially through the
물론 이 같은 환기과정에서 집진실(52)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유로의 용적이 확장되는 것에 의하여 유속이 감속되고, 더불어 집진벽(54)이 흐름을 방해하는 것에 의하여 그 흐름이 지체되어 집진실(52)을 저속으로 통과하게 되는 바, 이 통과과정에서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은 비중차에 의하여 침강, 실외공기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이 분리된 이물은 집진벽(54)과 실외공기가 저속으로 흐르는 것에 의하여 비산됨이 없이 집진실(52)에 모이게 된다.Of course, the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한편 실내온도가 실외보다 낮거나 큰 차이가 없을 때(하절기)라도 풍압에 의해서는 항상 환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연중 일정한 환기량이 유지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outdoor or there is no big difference (summer), the ventilation is always performed by the wind pressure, so a constant ventilation amount is maintained throughout the year.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집진기구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ust collecting mechanis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집진기구(50)가 도 2에서는 각 흡기입구(12a)(12b)와 흡기덕트(16)의 사이에 각각 개별적으로 갖추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지하실 등에 하나의 집진기구(50)를 갖추어 공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FIG. 5 shows that th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1실시예가 다층건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device using a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multi-storey building.
도 6은 다층건물에 적용할 때 흡기입구(12a)(12b)와 배기출구(22a)(22b)를 각 층마다 갖출 필요 없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FIG. 6 shows that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device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의 제2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흡기입구(12a)(12b)가 건축물의 지하 한쪽 벽(2c)과 지하 반대 쪽 벽(2d)에 각각 형성된다는 점, 지하에 위치된 흡기입구(12a)(12b)가 실외공기를 유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 흡기입구(12a)(12b)와 지상이 연결되도록 건축물의 지하 한쪽 벽(2c)과 지하 반대쪽 벽(2d)의 바깥쪽에 각각 수직덕트(60)가 설치된다는 점, 그리고 집진기구(150)가 각 수직덕트(60) 내의 하단에 각각 갖추어진다는 점만이 상이하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s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2b) is formed in each of the underground one wall (2c)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ment wall (2d) of the building, respectively, in order to enable the intake air inlet (12a) (12b) located in the basement to be able to enter the outdoor air The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흡기입구(12a)(12b)와, 수직덕트(60)와, 건축물의 바닥(4) 측에 형성된 흡기출구(14)와, 각 흡기입구(12a)(12b)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함과 각 흡기입구(12a)(12b)와 흡기출구(14)를 연결하는 흡기덕트(16)와, 각 흡기입구(12a)(12b)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건축물의 지상 한쪽 벽(2a)과 지상 반대쪽 벽(2b)에 각각 형성된 배기출구(22a)(22b)와, 건축물의 천장(6) 측에 형성된 배기입구(24)와, 각 배기출구(22a)(22b)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각 배기출구(22a)(22b)와 배기입구(24)를 연결하는 배기덕트(26)와, 흡기출구(14)와 배기입구(24)에 각각 설치된 흡기조절기구(32) 및 배기조절기구(34)와, 각 흡기입구(12a)(12b)와 배기출구(22a)(22b)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입구(12a)(12b)로 배기되고 배기출구(22a)(22b)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42)(44)와, 집진기구(150)로 구성된다.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여기에서 집진기구(150)는 실외공기의 유속이 감속되도록 용적이 확장된 공간을 각 수직덕트(60) 내 하단에 형성하는 집진실(152)과, 실외공기의 흐름을 지체시킬 수 있도록 집진실(152)에 세워져 실외공기에 포함된 이물을 비중차로 침강시 키는 다수 개의 집진벽(154)으로 구성된다.He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흡기라인과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라인으로 구성되고, 배기라인이 흡기라인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중력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으므로 소음 발생 및 에너지 소비가 전혀 없는 등 친환경적이다는 이점이 있다.It is composed of an intake line for sucking outdoor air into the indoor structure and functioning as described above, and an exhaust line for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and since the exhaust line is located above the intake line,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using grav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ventilated by environmentally friendly, such as no noise generation and no energy consumption.
또한 흡기라인의 흡기입구와 배기라인의 배기출구에 흡기입구로 배기되고 배기출구로 흡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가 각각 설치되어 항상 흡기라인은 양압(+)이고 배기라인은 음압(-)이 되기 때문에 풍압을 이용한 자연환기방식에 의하여 실내외 온도차(동절기에는 크지만 하절기에는 작다)에 관계없이 연중 환기를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ackflow prevention dampers are installed at the inlet and inlet of the intake line to prevent intake and exhaust at the inlet and outlet lines, so that the intake line is always positive (+) and the exhaust line is negative (-). Because of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using the wind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ventilated year-round regardless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big in winter, but small in summer).
또 흡기라인 상에 실외공기의 흐름을 지체시켜 실외공기에 포함된 먼지 따위의 이물을 비중차에 의하여 침강시키는 집진기구가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이물이 실외공기와 함께 실내로 흡입되어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dust collection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air intake line to delay the flow of outdoor air and to settle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214U KR200415389Y1 (en) | 2006-02-24 | 2006-02-24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214U KR200415389Y1 (en) | 2006-02-24 | 2006-02-24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5389Y1 true KR200415389Y1 (en) | 2006-05-02 |
Family
ID=4176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2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5389Y1 (en) | 2006-02-24 | 2006-02-24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538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440B1 (en) | 2022-08-18 | 2023-07-07 | 한상관 | Schools, military units, subways, underground parking lots, plant breeding houses, livestock breeding grounds, earthworm breeding ground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drying areas, A nature-friendly and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and purifies polluted air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generated inside a building where multiple people reside, and an eco-friendly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is system |
KR20240070375A (en) | 2022-11-12 | 2024-05-21 | 한상관 | Contaminated gaseous molecules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that rise in the right angl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gravity and convection inside cars, trains, subways, ships, and airplanes are transported to the outside using the naturally occurring action of gravity and convection.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naturally purifies indoor air by discharging it. |
-
2006
- 2006-02-24 KR KR2020060005214U patent/KR20041538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440B1 (en) | 2022-08-18 | 2023-07-07 | 한상관 | Schools, military units, subways, underground parking lots, plant breeding houses, livestock breeding grounds, earthworm breeding grounds, livestock manure or food waste drying areas, A nature-friendly and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ollects and purifies polluted air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generated inside a building where multiple people reside, and an eco-friendly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this system |
KR20240070375A (en) | 2022-11-12 | 2024-05-21 | 한상관 | Contaminated gaseous molecules with a light specific gravity that rise in the right angle direction due to the action of gravity and convection inside cars, trains, subways, ships, and airplanes are transported to the outside using the naturally occurring action of gravity and convection. A nature-friendly, eco-friendly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naturally purifies indoor air by discharging i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9025B1 (en) | Air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 |
US11821651B1 (en) | Air cooling system for a building structure | |
JP4792347B2 (en) | Air outlet direction control mechanism and ductless ventilation system | |
CN101957040A (en) | Ventilation system for civil buildings | |
KR200372149Y1 (en) | kitchen-ventilation facilities for a high rise apartment house | |
JP7432956B2 (en) |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 |
JP6023113B2 (en) | Building ventilation structure | |
KR100632186B1 (en)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 |
CN109028429A (en) | A kind of vortex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large-space clean factory building | |
JP2022190656A (en) | Ducted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 |
KR101650811B1 (en) | Energy saving envelope ventilation structure in renovation building | |
Heiselberg | Natural ventilation design | |
KR20210106836A (en) | Building ventilation system | |
KR100816525B1 (en) | Exhaust Hood | |
KR200415389Y1 (en) | Natural ventilation device for building using gravity and wind pressure | |
KR101012282B1 (en) | Ventilation structure formed on the wall of the building | |
Sev et al. | Natural Ventilation for the sustainable tall office buildings of the future | |
CN115095942A (en) | A two-way flow whole house fresh air system with toilet in the room | |
KR200391419Y1 (en) | Natural ventilating device for building | |
KR20200005871A (en) | Air intake and exhaust device | |
JP3201745B2 (en) | Structure and natural ventilation system of natural ventilation building for detached house | |
KR200419410Y1 (en) | Ventilation system that uses ceiling space as air supply duct | |
JP2005350890A (en) | Ventilating structure of building | |
Bohne | Ventilation Systems | |
El-Ahwal et al. | Achieving energy performance in buildings using natural ventilation as passive cooling techn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2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Patent event date: 200701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809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8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0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