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9990B1 -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990B1
KR102589990B1 KR1020210133462A KR20210133462A KR102589990B1 KR 102589990 B1 KR102589990 B1 KR 102589990B1 KR 1020210133462 A KR1020210133462 A KR 1020210133462A KR 20210133462 A KR20210133462 A KR 20210133462A KR 102589990 B1 KR102589990 B1 KR 10258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inflator
airbag device
side airbag
airbag cush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135A (ko
Inventor
변종기
권태익
파르 산딘게
폰투스 구스타프손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1013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990B1/ko
Priority to PCT/KR2022/013297 priority patent/WO2023058915A1/ko
Publication of KR2023005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의 등받이에 내장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상체 측면에 대응되도록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충격감지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고, 장착공간이 형성된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등받이의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이용해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자동차 측면 이동을 저지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 충돌 시 충격 감지 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여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에 마련되는 스티어링 휠이나 데쉬보드, 시트, 측벽 등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전면이나 측면을 향해 팽창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즉, 자동차에는 운전석 및 동승석 전방에서 전개되는 정면 에어백, 측면 충돌이 발생한 방향(이하 '충돌측'이라 함)에서 전개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및 사이드 에어백, 승객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에어백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에는 승객과 도어 등의 차체 구성 부재 사이에 팽창 전개하고,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내측으로 돌출되는 차체의 구성 부재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이른바 니어 사이드 에어백(near side airbag)과, 측면 충돌의 반동으로 차량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탑승자의 이동을 제한하는 파 사이드 에어백(far side airbag) 또는 센터 사이드 에어백(center side airbag)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66083호(2018년 6월 11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08213호(2017년 2월 20일 공고)
한편, 사이드 에어백은 시트에 마련된 등받이의 일측에 설치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등받이의 일측에 설치된 커버의 외부로 인출되어 탑승자의 측면에 팽창 전개된다.
즉, 사이드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을 폴딩한 상태에서 등받이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공간의 외측에는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하는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등받이의 커버는 상하 방향을 따른 평면으로 형성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다양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등받이의 측면에 설치되어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한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사이드 에어백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일정 강성을 갖도록 제조된 커버가 결합된다.
그러나 합성수지와 같은 하드한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커버는 과도하게 높은 강성을 갖는 경우, 자동차의 충돌 발생시 측면으로 이동하는 탑승자에게 충격을 가해 상해치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직물과 같이 강성이 낮은 소프트한 재질의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커버를 제조하는 방안도 제시되었으나, 이 경우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효과적으로 한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탑승자와의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의 일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의 에어백 쿠션 및 인플레이터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할 수 있는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승자와의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해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의 등받이에 내장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상체 측면에 대응되도록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충격감지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고, 장착공간이 형성된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의하면, 등받이의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강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이용해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하고, 탑승자와의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해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유닛의 전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자동차의 시트를 중심으로 스티어링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와 함께,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와 함께, 이하에서는 에어백 쿠션에서 탑승자를 기준으로 탑승자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inside)'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외측(outside)'이라 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 후(F, B) 방향과 좌, 우(L, R) 방향 및 내측(I)과 외측(O) 방향은 각각 가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상, 하(U, D) 방향은 세로 방향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운전석에 설치되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뿐만 아니라, 파 사이드 에어백 또는 센터 사이드 에어백에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유닛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1)의 등받이(12)에 내장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상체 측면에 대응되도록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0) 및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격 감지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 쿠션(20)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 쿠션(20)은 일측에 연결되는 인플레이터(30)와 함께 롤링 또는 폴딩 방식으로 폴딩되어 하나의 패키지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에어백 쿠션(20)과 인플레이터(30)를 패키지로 약칭한다.
이러한 패키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트(11)에 마련된 등받이(12)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등받이(12)의 일측에는 패키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13)이 마련되고, 패키지는 장착공간(13)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상기 패키지의 외면을 차폐하고, 장착공간(13)이 형성된 등받이의 일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커버부재(4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재(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갖는 제1 부재(50) 및 제1 부재(50)와 결합되고 패키지의 외면을 차폐하는 제2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50)는 패키지 및 등받이(12)에 형성된 장착공간(13) 외면을 차폐하고, 등받이(12) 외면 형상을 한정하기 위해, 일정한 강성을 갖도록 제2 부재(60)에 비해 강성이 큰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재(50)는 등받이(12)에 형성된 장착공간(1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재(50)는 등받이(12)의 측면 형상에 따라 직선면 또는 다양한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재(60)는 패키지의 외면을 감싸서 차폐하고, 제1 부재(50)에 비해서 강성이 작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50)는 니들 펠트(needle felt)를 압축해서 일정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니들 펠트는 공예 바늘로 찔러 축융을 하는 방법으로, 양모 슬리버를 도안에 놓고 가지가 달린 펠트용 바늘로 찔러서 서로 엉기게 한 것이다.
상기 니들 펠트용 바늘은 보통의 바늘과는 다르게 바늘 몸통의 표면에 작은 돌기가 있어서 양모 섬유를 서로 얽히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니들펠트용 바늘을 이용해서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의 니들 펠트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니들 펠트를 가압해서 압축된 니들 펠트를 제1 부재로 적용함으로써, 등받이의 장착공간 외측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일정한 강성을 부여해서 등받이의 외면 형상을 효과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제1 부재(50)를 제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제2 부재(60)는 섬유 재질이나 부직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재(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 형상이나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6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각 꼭지점이 대략 상하좌우측에 위치하도록, 대략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되는 바디(61)와, 바디(6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62,6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1)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50)와 패키지가 배치된다.
이때, 제1 부재(50)와 제2 부재(60)는 제1 부재(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50)의 가장자리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선(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61)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후방 및 전방으로 접혀서 제1 부재(50) 및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6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62,63)는 각각 하방 및 상방으로 접혀서 제1 부재(50) 및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인플레이터(30)의 일측면에는 등받이(12)의 측면에 결합되는 스터드(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스터드(31)는 인플레이터(30)의 일측면, 즉 장착공간(13)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바디(61)의 전측부와 후측부와 제1 및 제2 연장부(62,63)에는 각각 스터드(31)가 삽입되는 삽입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61)의 전측부와 후측부에는 각각 한 쌍의 스터드(61)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장부(62)에는 한 쌍의 스터드(31) 중에서 상부에 배치된 스터드(61)가 삽입되는 하나의 삽입공(64)이 형성되며, 제2 연장부(63)에는 하부에 배치된 스터드(63)가 삽입되는 하나의 삽입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60)는 제1 부재(50) 및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각 삽입공(64)에 스터드(31)가 삽입됨에 따라, 폴딩된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40) 내부에 패키지를 배치해서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등받이(12)의 장착공간(13)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장착공간(13)의 외측에는 등받이(12)의 외면을 감싸는 쿠션부재(도면 미도시)와 직물이나 가죽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시트부재(도면 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등받이의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한 강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이용해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하고, 탑승자와의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해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부재(50)가 패키지와 함께 제2 부재(6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변형 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50)는 제2 부재(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재(50)의 일측, 장착공간(13) 내부를 향하는 내측에 제2 부재(60)가 배치되고, 제1 부재(50)와 제2 부재(60)는 제1 부재(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재봉선(41)은 제1 부재(5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2 부재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의 전후 방향 폭이 패키지의 전후 방향 폭보다 큰 경우, 제2 부재의 외측면에 제1 부재를 결합하고, 제2 부재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감싼 상태로 시트의 등받이에 장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구성과 유사하고, 다만 제1 부재(5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제1 및 제2 절곡부(51,52)가 형성된다.
즉, 등받이(12)에 형성되는 장착공간(13)은 일정한 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제1 부재(50)는 장착공간(13)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전단과 후단에 각각 패키지를 향하는 방향, 즉 장착공간(13) 내부를 향해 절곡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51,5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부재(50)의 전후 방향 폭과, 장착공간(13) 내부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절곡부(51,52)의 좌우 방향 폭은 각각 장착공간(13)의 체적, 즉 장착공간(13)의 전후 방향 폭과 좌우 방향 깊이, 등받이(12)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형상 및 규격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폭이 장착공간(13)에 대응되도록, 패키지의 전후 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부재(5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51,52)는 장착공간(13)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2 부재(60)는 제1 부재(50)와 재봉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배치된 패키지를 감싸도록 폴딩될 수 있다.
또는, 제1 부재(50)의 전후 방향 폭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의 전후 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재(5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51,52)는 장착공간(13)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2 부재(60)는 제1 부재(50)와 재봉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배치된 제1 부재(50)와 패키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부재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등받이의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절곡부를 형성해서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0)의 구성과 유사하고, 다만 제1 부재(50)는 내부에 패키지를 수용해서 패키지의 외면을 차폐하는 제3 및 제4 부재(53,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재(53)와 제4 부재(54)는 각각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 형상과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부재(53)와 제4 부재(54)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절곡부(51,52)가 장착공간(13)의 내측 및 외측을 향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부재(53)와 제4 부재(54)는 각각 내측면과 외측면이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3 및 제4 부재(53,54)는 서로 결합되면 단면이 대략 사각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는 서로 결합된 제3 및 제4 부재(53,54)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3 및 제4 부재(53,54)에 의해 외면이 차폐될 수 잇다.
이러한 제3 및 제4 부재(53,54)는 일측단, 예를 들어 전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축 회전해서 개폐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부재(60)는 서로 결합된 제3 및 제4 부재(53,54)의 외면 일부를 차폐하고, 제3 및 제4 부재(53,54)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부재(60)의 후단부는 제3 부재(53) 후단에 형성된 제2 절곡부(52)에 재봉 방식으로 결합되고, 제2 부재(60)의 전단부에는 인플레이터(30)에 형성된 스터드(31)가 삽입되는 삽입공(64)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4 부재(54)의 일면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60)의 삽입(64)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5) 또는 후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재(51)를 구성하는 제3 및 제4 부재(53,54)는 일측의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축 회전해서 개방 동작하고, 개방 동작된 제3 및 제4 부재(53,54)의 내부 공간에 패키지가 수용된다.
그리고 제3 및 제4 부재(53,54)는 일측의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축 회전해서 폐쇄 동작 동작하고, 폐쇄 동작된 제3 및 제4 부재(53,54)는 제2 부재(60)의 삽입공(64)에 인플레이터(30)의 스터드(31) 또는 제4 부재(54)에 형성된 삽입돌기(55) 또는 후크가 삽입됨에 따라, 서로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인플레이터(30)는 충돌감지신호에 따라 화약을 점화시켜 가스를 발생하고, 에어백 쿠션(20)은 인플레이터(30)에서 발생한 가스를 공급받아 제2 부재(60)를 파단 또는 손상시킨 후 제1 부재(50) 및 등받이(12)의 장착공간(13) 외부로 팽창한다. 이어서, 에어백 쿠션(20)은 탑승자의 측면에서 전방 및 상방으로 팽창 전개되어 탑승자의 측면을 구속함으로써,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등받이의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에어백 쿠션을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의 측면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한 강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이용해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하고, 탑승자와의 충돌시 충격을 최소화해서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의 일측에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커버부재를 이용해서 등받이의 측면 형상을 한정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1: 시트 12: 등받이
13: 장착공간
20: 에어백 쿠션
30: 인플레이터 31: 스터드
40: 커버부재 41: 재봉선
50: 제1 부재 51,52: 제1,제2 절곡부
53,54: 제3,제4 부재 55: 삽입돌기
60: 제2 부재 61: 바디
62,63: 제1,제2 연장부 64: 삽입공

Claims (10)

  1. 시트의 등받이에 내장되고, 자동차의 측면 충돌 시 탑승자의 상체 측면에 대응되도록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
    충격감지신호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켜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 및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고, 장착공간이 형성된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미리 설정된 강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등받이의 측면 외형을 한정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의 외면을 차폐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장착공간 외면을 차폐하고, 등받이 외면 형상을 한정하기 위한 강성을 갖도록, 상기 제2 부재에 비해 강성이 큰 재질의 재료를 이용해서 판 형상으로 제조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재봉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니들 펠트를 가압한 압축 니들 펠트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재는 섬유 재질 또는 부직포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전측부 및 후측부와 제1 및 제2 연장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를 감싸도록 폴딩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재봉선에 의해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에어백 쿠션 및 인플레이터와 함께 상기 제2 부재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재봉선에 의해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면에는 등받이에 결합되는 스터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를 감싸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등받이의 장착공간 내부에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 절곡부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절곡부는 장착공간에 대응되도록,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내부 공간에 상기 에어백 쿠션과 인플레이터를 수용해서 외면을 차폐하는 제3 및 제4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부재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단에 설치되는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축 회전해서 개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3 부재의 일단에 재봉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형성된 스터드 또는 상기 제4 부재에 형성된 삽입돌기 또는 후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210133462A 2021-10-07 2021-10-07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Active KR10258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62A KR102589990B1 (ko) 2021-10-07 2021-10-07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PCT/KR2022/013297 WO2023058915A1 (ko) 2021-10-07 2022-09-06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62A KR102589990B1 (ko) 2021-10-07 2021-10-07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35A KR20230050135A (ko) 2023-04-14
KR102589990B1 true KR102589990B1 (ko) 2023-10-17

Family

ID=8580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462A Active KR102589990B1 (ko) 2021-10-07 2021-10-07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9990B1 (ko)
WO (1) WO20230589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557A (ja) * 1999-08-23 2001-03-06 Nippon Plast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202004009002U1 (de) * 2004-06-08 2004-08-12 Autoliv Development Ab Fahrzeugsitz-Einheit
KR101708213B1 (ko) 2015-07-22 2017-02-2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866083B1 (ko) 2016-11-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립형 센터 사이드 에어백
US11505156B2 (en) * 2018-08-03 2022-11-2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cove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irbag devices
KR102571626B1 (ko) * 2018-08-07 2023-08-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용 하드 커버
KR102742146B1 (ko) * 2019-05-22 2024-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용 측면 에어백 장치
KR102731811B1 (ko) * 2020-01-15 202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조립방법
EP4095000A4 (en) * 2020-01-20 2024-03-20 Autoliv Development AB AIR BAG DEVICE
JP7606350B2 (ja) * 2020-03-13 2024-12-2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915A1 (ko) 2023-04-13
KR20230050135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36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805914B2 (ja) 重なり合うチャンバを備えた膨張可能なエアバッグ
JP4132259B2 (ja) エアバッグ内蔵シート
JP60417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内蔵の車両用シート
KR2018009074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KR102293580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40040863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CN106494347B (zh) 侧部车柱气帘导向装置
EP4169777B1 (en)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95562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JP2016153262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5899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4544089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CN107826072A (zh) 车辆窗帘气囊装置
KR200418768Y1 (ko) 사이드 에어백용 안내 플레이트
KR20200086023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장치
CN115052786B (zh) 侧面安全气囊装置
KR20100125595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트
JP655984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74829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305552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JP6320264B2 (ja) エアバッグの取付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5533713A (ja) 膨張式クッション用プロファイルチューナパネル
JP2017030680A (ja) 乗員保護装置
EP4410607A1 (en)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