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8186B1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8186B1 KR102588186B1 KR1020220145173A KR20220145173A KR102588186B1 KR 102588186 B1 KR102588186 B1 KR 102588186B1 KR 1020220145173 A KR1020220145173 A KR 1020220145173A KR 20220145173 A KR20220145173 A KR 20220145173A KR 102588186 B1 KR102588186 B1 KR 1025881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box
- plate
- disposed
- fixture
- finis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건축용 통신단자함은 전력 수급과 함께 필요한 곳으로 세밀하고 고른 전력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다.In general,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are designed to be used as a means of supplying power and supplying power in a detailed and even manner to where it is needed.
이때,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의 외형을 유지하는 케이스는 여러 면의 단면 패널로 함체 형태로 구성하되 함체 한쪽 면에 개구부를 구성하고 여기에 개폐문을 구비하는 것이 보편적이다.At this time, the case that maintains the external shape of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is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box with cross-section panels on several sides, and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rovided there.
그리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설비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 및 제어기기 등이 설비되는 전기패널을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인 물리적 외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먼지와 같은 불순물뿐만 아니라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여 전기패널의 손상을 예방하도록 하여 설비된 기기들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ase prevents direct physical external pressure from the outside on the electrical panel in which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nd control devices are installed, as well as the inflow of moisture as well as impurities such as various dusts generated from the outside. It has the function of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ical panel and ensuring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operation of the installed devices.
또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을 실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경우 케이스 내부에 설비된 전기패널의 각종 기기에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는 등 나날이 발전하는 전기패널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음이나 방열뿐만 아니라 방수에 이르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이 필요로하게 됨에 따라 최근에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은 물론 기능까지 유지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을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indoors, a function must be added to prevent noise generated from various devices of the electrical panel installed inside the cas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 electrical panel that are evolving day by day. As there is a need for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that have various functions ranging from soundproofing and heat dissipation to waterproofing for efficient use, there has been a recent trend of developing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erminal boxes that maintain various shapes and forms as well as function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벽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situation, and is a waterproof structure for an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erminal box that can block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ll of a building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while also blocking cold air or heat transmitted from the wall or structure from being transmit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통신부품을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 커버가 각각 장착되는 체결구가 결합되는 단자함 케이스;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단자함 커버;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는 상기 체결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부가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판; 상기 지지판과 마감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외측면으로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지지홈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는 간격부재로 구성되는 간격유지구; 및 상기 마감판의 상부와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단자함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마감판을 지지하는 마감고정구;를 포함한다. The waterproof structure of an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an entrance formed on the outside to allow installation or separation of communication components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n inner surface that can be fixed to the wall. A terminal box case in which fasteners, each of which is equipped with a fastener cover, are combined so that each fastener cover is mounted; a terminal box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box case and opening or blocking the receiving space; a support plat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erminal box case and having horizontal supports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stener; A finishing plate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n insulating finishing material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It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finish plate, and consists of a fixture with anti-slip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both ends and a support groove formed on the inside, and a spacing member whose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 grooves of the fixture. gap maintenance device; and a finishing fixture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ishing plate and fixed to the terminal box case to support the finishing plate.
그리고 상기 지지판과 마감판 및 간격유지구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판과 단자함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물기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 배출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물 배출수단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의 수용공간 하부에 배치되며 내측 끝단에는 돌출부가 돌출형성되는 하부 지지구; 상기 하부 지지구의 돌출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단이 고정되는 고무판; 상기 고무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의 관통공에 장착되는 일방향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water discharge means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the finish plate, and the gap maintainer to discharge water form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terminal box case or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and the water discharge means is a lower support memb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terminal box case and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inner end; a rubber plate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protrus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and having one end fixed thereto; It may include a one-way valve mounted on a through hole of the terminal box cas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ubber plate.
다음으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와 벽체 사이로 외부 고정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 고정수단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물배출공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 상기 벽체 고정구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측 중앙으로 상하부에 대칭 경사면이 형성된 체결구 장착홈이 형성되는 외부 간격 유지구; 상기 체결구 장착홈에 배치되면서 상기 벽체에 체결되어 벽체 고정구와 간격 유지구를 고정하는 체결구; 및 상기 체결구 장착홈에 배치되고 상하부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 경사면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an external fixing means is installed between the terminal box case and the wall, the external fixing means is fixed to the wall,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top, water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side, and rubber or Wall fixtures made of silicone; An external gap maintainer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fixture and having a fastener mounting groove having symmetrical inclined surfaces at the top and bottom at the center of the outside. A fastener disposed in the fastener mounting groove and fastened to the wall to secure the wall fixture and the gap maintainer; and a protective cover disposed in the fastener mounting groove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the cover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the cover can be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지지판과 마감판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하부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에 고정되는 스프링;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gap maintenance fixture includes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each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finish plate; A cylinder with both ends coupl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Springs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ylinder and whose ends are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a holder cover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an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는 건축물의 벽체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벽체이나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냉기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blocks water flowing down from the wall of the building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but also blocks cold air or heat transmitted from the wall or structure from being transmitted, and is maintained as it is composed of an assembled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easy to rep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간격유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maintenance device constituting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proof structure of a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r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Addition is not ruled ou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를 구성하는 간격유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aterproofing structure for a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ructure,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ap maintenance device constituting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단자함 케이스(20), 단자함 커버(30), 지지판(40), 마감판(50), 간격유지구(60), 마감고정구(70)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or's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10) includes a terminal box case (20), a terminal box cover (30), a support plate (40), a finish plate (50), a gap maintainer (60), and a finish fixture (70).
상기 단자함 케이스(20)는 단독으로 사용시 벽체(W)에 고정되고 타 구성과 병합시 외부 고정수단(200)에 고정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단자함 케이스(20)는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수용공간(21)에 통신부품을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입구(22)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 커버(C1)가 각각 장착되는 체결구(C)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즉, 상기 단자함 케이스(20)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외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통신단자, 지지판(40), 마감판(50), 간격유지구(60), 마감고정구(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이 형성된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단자함 케이스(2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단자함 케이스가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상기 단자함 커버(30)는 단자함 케이스(20)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된다. The
즉, 상기 단자함 커버(30)는 단자함 케이스(20)의 외측면에 경첩 등의 연결구를 통해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작동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단자함 커버(3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단자함 커버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상기 지지판(40)은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배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지지판(40)은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 상기 체결구(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부(41)가 형성된다. And the
즉, 상기 지지판(40)은 측단면상 " " 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배치되고,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수평 지지부(41)를 통해 단자함 케이스(20)의 끝단과 간격을 두고 배치하게 된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수평 지지부(41)는 원활한 간격 조절을 위해 끼움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상기 마감판(50)은 지지판(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마감판(50)은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마감재(51)가 부착된다. And the
즉, 상기 마감판(50)은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장착되고, 외측면에 장착되는 절연마감재(51)를 통해 전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That is, the
상기 간격유지구(60)는 지지판(40)과 마감판(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The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60)는 양측 끝단에 외측면으로 미끄럼방지돌기(6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홈(63)이 형성되는 고정구(61) 및 상기 고정구(61)의 지지홈(63)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는 간격부재(64)로 구성된다. And the
즉, 상기 간격유지구(60)는 지지판(40)의 외측면과 마감판(50)의 내측면 동일선상으로 지지홈(63)이 형성되는 고정구(61)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구(61)와 고정구(61)의 사이에 간격부재(64)를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간격유지구(60)는 원활한 장착 및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구(61)를 지지판(40)과 마감판(50)의 동일선상에 고정한 후 상기 지지판(40) 또는 상기 마감판(50)의 고정구(61)에 간격부재(64)의 일단을 고정한 다음 상기 마감판(50)의 결합시 간격부재(64)를 결합하게 된다. At this time, for smooth installation and fixation of the
상기 마감고정구(70)는 마감판(50)의 상부와 하부 끝단에 배치된다. The
즉, 상기 마감고정구(70)는 마감판(50)의 외측면 상부와 외측면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판(50)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즉,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지지판(40)과 마감판(50) 및 간격유지구(60)의 하부에 상기 지지판(40)과 단자함 케이스(20)의 사이에 형성되는 물기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 배출수단(10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at is, the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그리고 상기 물 배출수단(100)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 하부에 배치되며 내측 끝단에는 돌출부(111)가 돌출형성되는 하부 지지구(110)와 상기 하부 지지구(110)의 돌출부(111)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단이 고정되는 고무판(120) 및 상기 고무판(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20)의 관통공(23)에 장착되는 일방향 밸브(130)를 포함한다. And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is disposed in the lower part of the
즉, 상기 물 배출수단(100)은 단자함 케이스(20)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 물을 관통공(23)을 통해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일방향 밸브(130)를 일방향 작동을 통해 물을 하부로 배출하게 된다. That is,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moves water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이때, 상기 하부 지지구(110)에 장착되는 고무판(120)은 외부와 내부의 열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씰링 역할을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도시된 도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즉,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와 벽체(W) 사이로 외부 고정수단(200)을 장착하여, 방수 기능을 향상시킴을 물론이고 열의 이동에 따른 습기와 물기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That is, the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그리고 상기 외부 고정수단(200)은 상기 벽체(W)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물배출공(212)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210)와 상기 벽체 고정구(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측 중앙으로 상하부에 대칭 경사면(222)이 형성된 체결구 장착홈(221)이 형성되는 외부 간격 유지구(220)와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면서 상기 벽체(W)에 체결되어 벽체 고정구(210)와 간격 유지구(220)를 고정하는 체결구(230) 및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고 상하부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 경사면(241)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240)로 구성된다. And the external fixing means 200 is fixed to the wall W, and an
즉, 상기 외부 고정수단(200)는 벽체(W)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벽체 고정구(210)와 외부 간격 유지구(220)를 장착한 후 상기 외부 간격 유지구(220)의 체결구 장착홈(221)에 보호 커버(240)를 결합하게 된다. That is, the external fixing means 200 is installed with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an embodiment of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architectural communication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is provided.
먼저, 벽체(W)의 외면으로 상기 벽체(W)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물배출공(212)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210)와 상기 벽체 고정구(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측 중앙으로 상하부에 대칭 경사면(222)이 형성된 체결구 장착홈(221)이 형성되는 외부 간격 유지구(220)와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면서 상기 벽체(W)에 체결되어 벽체 고정구(210)와 간격 유지구(220)를 고정하는 체결구(230) 및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고 상하부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 경사면(241)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240)로 구성되는 외부 고정수단(200)을 장착한다. First, it is fixed to the wall (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W), and an inclined surface (211) is formed at the top, and water discharge holes (212)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inside, and are made of rubber or silicone. A
그리고 상기 외부 고정수단(200)의 외면으로 내부에 수용공간(2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수용공간(21)에 통신부품을 설치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입구(22)가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외부 간격 유지구(2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구 커버(C1)가 각각 장착되는 체결구(C)가 결합되는 단자함 케이스(20)를 결합한다. In addition, an
다음으로,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는 상기 체결구(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부(41)가 형성되는 지지판(40)를 장착한 후 상기 마감판(50)의 외면으로 양측 끝단에 외측면으로 미끄럼방지돌기(6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홈(63)이 형성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지지홈(63)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는 간격부재(64)로 구성되는 간격유지구(60)를 간격을 두고 장착한다. Next, a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60)의 끝단으로 외측면에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마감재(51)가 부착되는 마감판(50)을 장착한 후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외측면에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단자함 커버(3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면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And, after mounting the finishing
여기서, 상기 본원발명인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Here, it is revealed that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abov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외부 고정수단(200)의 벽체 고정구(210)를 통해 벽체(W)를 따라 이동하는 빗물이나 물을 외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더불어, 상기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10)는 지지판(40)과 마감판(50)의 이중 구조를 통해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으로 빗물이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10) has the advantage of blocking rain or water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21) of the terminal box case (20)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finishing plate (50). There is thi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expres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that are equivalent or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20 : 단자함 케이스 21 : 수용공간
22 : 입구 23 : 관통공
30 : 단자함 커버
40 : 지지판 41 : 수평 지지부
50 : 마감판
60 : 간격유지구 61 : 고정구
62 : 미끄럼방지돌기 63 : 지지홈
64 : 간격부재
61a : 간격유지 고정구 62a : 실린더
63a : 스프링 64a : 유지구 커버
70 : 마감고정구
100 : 물 배출수단
110 : 하부 지지구 111 : 돌출부
120 : 고무판
130 : 일방향 밸브
200 : 외부 고정수단
210 : 벽체 고정구 211 : 경사면
212 : 물배출공
220 : 외부 간격 유지구 221 : 체결구 장착홈
222 : 경사면
230 : 체결구
240 : 보호 커버 241 : 커버 경사면10: Waterproof structure of communication terminal box for construction
20: terminal box case 21: accommodation space
22: entrance 23: through hole
30: Terminal box cover
40: support plate 41: horizontal support
50: Finishing plate
60: gap maintenance tool 61: fixture
62: Anti-slip protrusion 63: Support groove
64: Spacing member
61a:
63a:
70: Finishing fixture
100: Water discharge means
110: lower support 111: protrusion
120: rubber plate
130: one-way valve
200: External fixing means
210: wall fixture 211: slope
212: Water discharge hole
220: External gap maintainer 221: Fastener mounting groove
222: slope
230: fastener
240: protective cover 241: cover slope
Claims (4)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용공간(21)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단자함 커버(30);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에 배치되고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는 상기 체결구(C)와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수평 지지부(41)가 형성되는 지지판(40);
상기 지지판(40)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외측면에는 절연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마감재(51)가 부착되는 마감판(50);
상기 지지판(40)과 마감판(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외측면으로 미끄럼방지돌기(62)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지지홈(63)이 형성되는 고정구(61)와 상기 고정구(61)의 지지홈(63)에 양측 끝단이 지지되는 간격부재(64)로 구성되는 간격유지구(60); 및
상기 마감판(50)의 상부와 하부 끝단에 배치되고 단자함 케이스(20)에 고정되어 상기 마감판(50)을 지지하는 마감고정구(70);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유지구(60)는,
상기 지지판(40)과 마감판(50)의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간격유지 고정구(61a);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a)에 양측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실린더(62a);
상기 실린더(62a)의 상하부에 위치하고 끝단이 간격유지 고정구(61a)에 고정되는 스프링(63a); 및
상기 간격유지 고정구(61a)의 외부를 감싸며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유지구 커버(6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An accommodating space 21 is formed inside, and an entrance 22 is formed on the outside to allow installation or separation of communication components in the accommodating space 21, and is fastened to the inner side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wall (W). A terminal box case (20) to which the fasteners (C) on which the old covers (C1) are respectively mounted are coupled;
A terminal box cover (30)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box case (20) and opening or blocking the receiving space (21);
A support plate 4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21 of the terminal box case 20 and having horizontal supports 41 formed at its upper and lower ends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astener C;
A finishing plate (50)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support plate (40) and having an insulating finishing material (51)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its outer surface;
A fixture 61 is dispos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finishing plate 50, and has anti-slip protrusions 62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at both ends and a support groove 63 formed on the inside, and A spacer 60 consisting of a spacer 64 whose both ends are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63 of the fixture 61; and
It includes a finishing fixture (70)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ishing plate (50) and fixed to the terminal box case (20) to support the finishing plate (50),
The gap maintenance device 60 is,
A pair of gap maintenance fixtures (61a) each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finishing plate (50);
A cylinder (62a) whose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a);
A spring (63a)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ylinder (62a) and whose end is fixed to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a); and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omprising a retainer cover (64a) formed of a rubber material and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gap maintenance fixture (61a).
상기 지지판(40)과 마감판(50) 및 간격유지구(6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판(40)과 단자함 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는 물기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물 배출수단(100)이 장착되고,
상기 물 배출수단(100)은,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의 수용공간(21) 하부에 배치되며 내측 끝단에는 돌출부(111)가 돌출형성되는 하부 지지구(110);
상기 하부 지지구(110)의 돌출부(111)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단이 고정되는 고무판(120);
상기 고무판(1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자함 케이스(20)의 관통공(23)에 장착되는 일방향 밸브(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In claim 1,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40, the finish plate 50, and the gap maintainer 60 are provided so that moistur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late 40 and the terminal box case or wate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Equipped with water discharge means 100,
The water discharge means 100,
A lower support member 110 disposed below the receiving space 21 of the terminal box case 20 and having a protrusion 111 protruding from an inner end;
A rubber plate 120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protrusion 111 of the lower support 110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
A waterproof structure for a construction communication terminal box, comprising: a one-way valve (130) mounted on the through hole (23) of the terminal box case (2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ubber plate (120).
상기 단자함 케이스(20)와 벽체(W) 사이로 외부 고정수단(200)이 장착되고,
상기 외부 고정수단(200)은,
상기 벽체(W)에 고정되며, 상부에는 경사면(2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물배출공(212)이 형성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벽체 고정구(210);
상기 벽체 고정구(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외측 중앙으로 상하부에 대칭 경사면(222)이 형성된 체결구 장착홈(221)이 형성되는 외부 간격 유지구(220);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면서 상기 벽체(W)에 체결되어 벽체 고정구(210)와 간격 유지구(220)를 고정하는 체결구(230); 및
상기 체결구 장착홈(221)에 배치되고 상하부에는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 경사면(241)이 형성되는 보호 커버(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In claim 1,
An external fixing means (200) is mounted between the terminal box case (20) and the wall (W),
The external fixing means 200 is,
A wall fixture 210 that is fixed to the wall (W), has an inclined surface 211 formed on its upper part, has water discharge holes 212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therein, and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An external gap maintainer 220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wall fixture 210 and having a fastener mounting groove 221 having symmetrical inclined surfaces 222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at the center of the outside.
A fastener 230 disposed in the fastener mounting groove 221 and fastened to the wall W to secure the wall fastener 210 and the spacer 220; and
A protective cover (240) disposed in the fastener mounting groove (221) and having a cover inclined surface (241)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building communication terminal bo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5173A KR102588186B1 (en) | 2022-11-03 | 2022-11-03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5173A KR102588186B1 (en) | 2022-11-03 | 2022-11-03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8186B1 true KR102588186B1 (en) | 2023-10-12 |
Family
ID=8829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5173A Active KR102588186B1 (en) | 2022-11-03 | 2022-11-03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818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7364B1 (en) * | 2012-11-15 | 2013-03-26 | 김종선 | Distributing board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KR20130070788A (en) | 2011-12-20 | 2013-06-28 | 박정이 | The switchboard case which improves a drainage function |
KR20140121182A (en) | 2013-04-05 | 2014-10-15 |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Packing structure for cable service entrance waterproof of that optical terminal box |
KR102133705B1 (en) * | 2020-03-04 | 2020-07-14 | (주)건일엠이씨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KR102223881B1 (en) * | 2020-07-29 | 2021-03-05 | 오영신 | Power distributing box for outdoor installation of cctv |
KR20210146121A (en) * | 2020-05-26 | 2021-12-03 | 이현수 | Distribution panel equipped with vibration suppression and breakage prevention functions |
-
2022
- 2022-11-03 KR KR1020220145173A patent/KR1025881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70788A (en) | 2011-12-20 | 2013-06-28 | 박정이 | The switchboard case which improves a drainage function |
KR101247364B1 (en) * | 2012-11-15 | 2013-03-26 | 김종선 | Distributing board for underground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
KR20140121182A (en) | 2013-04-05 | 2014-10-15 | 이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Packing structure for cable service entrance waterproof of that optical terminal box |
KR102133705B1 (en) * | 2020-03-04 | 2020-07-14 | (주)건일엠이씨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KR20210146121A (en) * | 2020-05-26 | 2021-12-03 | 이현수 | Distribution panel equipped with vibration suppression and breakage prevention functions |
KR102223881B1 (en) * | 2020-07-29 | 2021-03-05 | 오영신 | Power distributing box for outdoor installation of cctv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3705B1 (en)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
US8013242B1 (en) | Outdoor electrical box | |
CN100439614C (en) | Integrated curtain wall and wire slot distribution system | |
KR102101825B1 (en) |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 |
US6953890B2 (en) | Junction box | |
KR102504457B1 (en) |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excellent drainage and ventilation | |
KR101426506B1 (en) | Wall type power and optical cable duct | |
US12025378B2 (en) | Underground equipment eletric power system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 |
AU2019204684A1 (en) | Waterproof and electricity-insulating support structure for solar panels | |
KR101865158B1 (en) | Outer wall electric cable safety device for apartment buildings | |
KR102089071B1 (en) | Electric terminal box fixed structure for apartmenthouse | |
JPH11145635A (en) | Housing structure body for electric or electronic built-in object | |
KR102071306B1 (en) | Solar panel construction structure for sound pro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588186B1 (en)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
KR102201219B1 (en)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
KR102356112B1 (en)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
CN109983835B (en) | Underground base station | |
KR102169713B1 (en)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
CN105072861A (en) | Electrical cabinet | |
KR101975019B1 (en) | Electricity cable protection equipment of apartment building | |
KR102494717B1 (en) |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apparatus having open joint seismic composite panel assembly | |
KR102356114B1 (en) | Communication cable junction box installa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 |
US696302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housing spliced wires on siding | |
KR20190071306A (en) | Window System | |
JP2016160737A (en) | Fix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