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13B1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Google Patents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9713B1 KR102169713B1 KR1020190128916A KR20190128916A KR102169713B1 KR 102169713 B1 KR102169713 B1 KR 102169713B1 KR 1020190128916 A KR1020190128916 A KR 1020190128916A KR 20190128916 A KR20190128916 A KR 20190128916A KR 102169713 B1 KR102169713 B1 KR 102169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plate
- frame
- wiring duct
- speaker
- 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04R1/282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화된 구조의 프레임 및 브라켓, 스피커와 덮개판을 포함하여, 심플한 외관으로 배선덕트에 일체화됨으로써 제작 및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유지관리가 편한 스피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assembly incorporating a wiring duct, including a frame and bracket of a simplified structure, a speaker and a cover plate, and is integrated into a wiring duct with a simple appearan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and a speaker that is easy to maintain. It relates to the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선덕트에 일체화되는 스피커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제작 및 설치, 유지 관리가 쉬운 스피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assembly integrating a wiring 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assembly that is easy to manufacture, install, and maintain components by improv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 speaker integrated in a wiring duct.
배선덕트는 건물의 주차장 등 건축 구조물 내에서 전력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 케이블 등과 같은 배선을 안전하게 수납함으로써 보호하는 덕트형 구조체이다. 이러한 배선덕트는 배선을 수납하는 기능 외에도 설치되는 장소의 조건에 따라 개선되어 기술이 발전해왔으며, 그 구조를 개선하여 형광등이나 회전형 감시카메라 또는 LED 조명 등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기술이 존재한다. 예를들어, 등록특허 제10-0784175호 “주차장용 멀티 덕트”와 등록특허 제10-1307834호 “시스템 배선관로용 스피커”는 배선덕트에 스피커를 일체화하여 조명등, 감시카메라와 스피커를 서로 연계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The wiring duct is a duct-type structure that protects by safely storing wiring such as power lines, communication lines, telephone lines, and data cables in building structures such as parking lots of building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the wiring, the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by improving the wiring duct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d there is a technology that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a fluorescent lamp, a rotating surveillance camera, or an LED lighting by improving its structure. For example, Registration Patent No. 10-0784175 "Multi-duct for parking lot" and Patent No. 10-1307834 "Speaker for system wiring channel" integrates a speaker into a wiring duct to connect lighting, surveillance cameras and speakers. Technology that can be used.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배선덕트의 구조가 복수 부재의 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배선덕트를 일체화하기 위해 형성된 스피커 구조체가 복잡하여, 그 제작과 설치, 유지 관리에 불편함이 상존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structure of the wiring duct is formed by screwing a plurality of members, or the speaker structure formed to unify the wiring duct is complicated, so that there is always inconvenience in manufactur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solving this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한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로서, 배선덕트에 쉽게 탈부착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배선덕트 내부에 일체화되는 스피커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eaker assembly in an integrated wiring duct, which has improved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s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iring duct and is integrated into the wiring duc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상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 측면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된 덕트결합부와 상기 양 측면의 하단에 형성된 덮개판결합부를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중간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스피커를 안착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스피커;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하부를 연결하는 덮개판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 측면의 상단이 상기 덮개판결합부와 결합되는 덮개판;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덮개판이 연결된 구조체의 양 끝단에 구비된 마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이 배선덕트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iddle portion connect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upper portions of the both sides, and the duct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th sides and the lower end of the both sides A frame having a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formed; And a bracket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to mount a speaker; and a speaker coupled to the bracket; and a cover plate connect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h sides. A cover plate including an intermediate portion, and having upper ends of the both side surfaces coupled to the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And finishing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frame and the cover plate are connected, and the frame is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wiring duct.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결합부는 상기 배선덕트의 개방된 하부의 좌우 양측 끝단의 내면과 대응되는 모양을 가져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배선덕트 내부로 슬라이딩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Preferably, the duct coupling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wiring duct, so that the fram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iring duct by sliding or forcibly fitting.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판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의 양 측면의 상단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cover pl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부는 마감면의 상단의 가장자리에 상기 마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레임결합부를 구비하고, 마감면의 하단의 가장자리에 상기 마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덮개판받침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finishing portion includes a frame coupling portion at an edge of the top of the finish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ishing surface, and a cover plate support portion at an edge of the bottom of the finishing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ishing surface.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중간부에는 스피커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a hole through which the wire of the speaker can pass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판중간부의 상부에 스펀지를 포함한다. Further, preferably, a sponge is inclu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cover plat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부는 상기 마감면의 가장자리에 마감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배선덕트와 결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clos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wiring duct by further including a closing coupling portion at an edge of the closing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판받침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배선덕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덮개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preferably, the cover plat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cover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iring duct. do.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피커조립체의 프레임 형상이 단순화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조립체는 배선덕트와의 탈부착이 자유롭고 편리하면서도 배선덕트와 결합이 견고하여 설치 후 장기간 사용에도 분리될 우려가 없다. 또한, 스피커조립체의 대부분이 배선덕트 내부로 매입되므로 외부 환경으로부터 스피커 유닛이 보호되며, 장치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쉬운 수리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shape of the speaker assembly is simplified,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t low cost. 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and convenient to attach and detach with the wiring duct, the connection with the wiring duct is solid, so there is no fear of being separated even after long-term use after installation.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speaker assembly is embedded inside the wiring duct, the speaker unit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maintenance of the device is easy. In addition, even if deformation occurs due to external impact, easy repair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배선덕트와 결합된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마감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배선덕트와 결합된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의 사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assembly incorporating a wiring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wiring duct-integrated speaker assembly.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ing duct-integrated speaker assembly combined with a wiring duc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ing portion.
5 is a photograph of a wiring duct integrated speaker combined with a wiring 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하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도이며, 도 3은 스피커조립체(100)가 배선덕트(200)와 결합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피커조립체(100)는 프레임(110), 덮개판(140), 스펀지(160), 마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0)과 스피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프레임(110)은 스피커조립체(10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로서, 스피커조립체(100)가 배선덕트(200)에 결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브라켓(120)이 결합되는 몸체가 된다. The
프레임(110)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115)과 상기 양 측면(115)의 상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중간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양 측면(115)의 하단부 외면에 형성된 덕트결합부(111)와 상기 양 측면(115)의 하단에 형성된 덮개판결합부(112)를 구비한다. 그리고 프레임 중간부(114)에는 홀(113)이 형성되어 스피커(130)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재질은 강성을 가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덕트결합부(111)는 프레임(110)의 양 측면(115)의 하부 외면에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모양은 배선덕트(200)의 개방된 하부의 좌우 양측 끝단의 내면과 대응되므로, 덕트결합부(111)를 통해 프레임(110)을 배선덕트(200) 내부로 슬라이딩하거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The
덮개판결합부(112)는 프레임 양 측면(115)의 하부 끝단에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덮개판 측면(141)의 상단과 대응되는 모양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판결합부(112)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로 모양의 홈일 수 있으며, 덮개판(140)은 측면(141)의 상단이 상기 덮개판결합부(112)에 결합되어 프레임(110)과 연결된다. The cover
덮개판(140)은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141)과 상기 양 측면의 하부를 연결하는 덮개판중간부(142)를 포함한다. 덮개판(140)은 스피커망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타공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강성을 가진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 The
스피커조립체(100)는 덮개판중간부(142)의 상부에 위치한 스펀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펀지(160)는 덮개판중간부(142)를 덮거나, 이에 더하여 덮개판 측면(141)의 내부 면까지 커버할 수 있다. 스펀지(160)는 덮개판(140)을 통과해 침입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가진다. The
브라켓(120)은 스피커(130)가 안착되는 스피커홈(121)과 고정부(122)를 구비하며, 프레임중간부(114)의 저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홈(121)은 스피커(130)가 가진 형상에 알맞도록 브라켓(120)의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The
스피커홈(121)에 스피커(130)를 맞추어 정렬한 뒤 고정부(122)를 통해 스피커(130)를 브라켓(120)에 결합할 수 있다. 나사 결합이 가능하며, 그 밖에 공지의 기술로서 결합할 수 있다. 브라켓(120)은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브라켓(120)은 프레임(110)과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통상의 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After align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마감부(150)는 스피커조립체(100)의 양 종단부가 깔끔하고 심플한 외관을 지니도록 하는 한편, 프레임(110)과 덮개판(140)의 결합구조를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마감부(150)는 프레임(110)과 덮개판(140)이 결합된 구조의 개방된 종단을 폐쇄할 수 있는 마감면(155)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방된 종단의 모양은 사각형이므로 마감면(155)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마감면(155)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마감면(155)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레임결합부(151)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마감면(155)에 수직한 방향으로 덮개판받침부(152)가 형성된다. 프레임결합부(151)는 프레임(110)의 단부 모서리가 연결되고, 덮개판받침부(152)에는 덮개판(140)의 단부 모서리가 연결된다. A
덮개판받침부(152)는 제1 돌출부(153)와 제2 돌출부(154)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출부(154)는 덮개판중간부(142) 모서리와 덮개판 측면(141)의 모서리 일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cover
배선덕트(200)에 스피커조립체(100)가 일체화된 경우 덮개판(140)의 모서리 일부분이 배선덕트(200)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노출 부위를 효과적으로 마감하기 위하여 제2 돌출부(154)는 덮개판중간부(142) 모서리뿐만 아니라 덮개판 측면(141) 모서리의 일부분까지 그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또한, 마감부(150)는 마감면(155)의 양 측 모서리에 마감결합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결합부(156)의 형상은 배선덕트(200)의 개방된 하부의 좌우 양측 끝단의 내면과 대응되어, 마감부(150)가 배선덕트(200) 내부로 슬라이딩 또는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sing
도 5는 스피커조립체(100)가 배선덕트(200)와 일체화된 사진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피커조립체(100) 전체의 약 2/3 이상이 배선덕트(200)에 매입되었고, 노출된 부분의 모서리는 마감부(150)에 의해 깔끔하게 마감처리가 되었다. 5 shows a picture in which the
본 발명은 프레임(110), 덮개판(112), 마감부(150) 등 그 구조를 이루는 구성의 형상이 단순하고 굴곡 면을 포함하지 않으며, 절곡된 부분은 대체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각 구성의 제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배관덕트(200)와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며 장기간의 사용시 유지, 관리상 편의성이 확보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조립체
110: 프레임
111: 덕트결합부
112: 덮개판결합부
113: 홀
114: 프레임중간부
115: 프레임 측면
120: 브라켓
121: 고정홈
122: 고정부
130: 스피커
140: 덮개판
141: 덮개판 측면
142: 덮개판중간부
150: 마감부
151: 프레임결합부
152: 덮개판받침부
153: 제1 돌출부
154: 제2 돌출부
155: 마감면
156: 마감결합부
160: 스펀지
200: 배선덕트100: speak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frame
111: duct coupling part
112: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113: Hall
114: frame middle
115: frame side
120: bracket
121: fixing groove
122: fixing part
130: speaker
140: cover plate
141: cover plate side
142: cover plate middle
150: end
151: frame coupling portion
152: cover plate support
153: first protrusion
154: second protrusion
155: finishing surface
156: closing joint
160: sponge
200: wiring duct
Claims (8)
상기 프레임중간부의 저면에 배치되어 스피커를 안착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결합된 스피커;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의 하부를 연결하는 덮개판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 측면의 상단이 상기 덮개판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덮개판;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덮개판이 연결된 구조체의 양 끝단에 구비된 마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결합부는 배선덕트의 개방된 하부의 좌우 양측 끝단의 내면과 대응되는 모양을 가져 상기 프레임이 상기 배선덕트 내부로 슬라이딩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덮개판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감부는 마감면의 상단의 가장자리에 상기 마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결합부와 상기 마감면의 하단의 가장자리에 상기 마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덮개판받침부 및 상기 마감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배선덕트의 개방된 하부의 좌우 양측 끝단의 내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마감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받침부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배선덕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덮개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
A frame including a frame middle portion connecting both sides facing each other and upper portions of the both sides, and including a duct coupling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both side surfaces and a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formed as a longitudinal groove at the lower end of the both sides;
A bracket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to seat a speaker;
A speaker coupled to the bracket;
A cover plate including a cover plate middle portion connecting both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th side surfaces, and the upper ends of the both side surfaces being coupled to the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 closing portion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tructure to which the frame and the cover plate are connected,
The duct coupling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wiring duct, so that the frame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iring duct by sliding or forcibly fitting,
The cover plat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he finishing portion is a frame coupling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ishing surface at an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finishing surface, a cover plate support portion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nishing surface at the lower edge of the finishing surface Including a closing coupl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wiring duct,
The cover plate support portion include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to surround an edge of the cover pl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iring duct. Wiring duct-integrated speaker assembly.
상기 프레임중간부에는 스피커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A wiring duct-integrated speake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through which wires of the speaker can pass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frame.
상기 덮개판중간부의 상부에 위치한 스펀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일체형 스피커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A speaker assembly incorporating a wiring 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ponge positioned above the middle portion of the cover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8916A KR102169713B1 (en) | 2019-10-17 | 2019-10-17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8916A KR102169713B1 (en) | 2019-10-17 | 2019-10-17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9713B1 true KR102169713B1 (en) | 2020-10-27 |
Family
ID=73136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8916A Active KR102169713B1 (en) | 2019-10-17 | 2019-10-17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97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9516B1 (en) * | 2021-11-09 | 2022-10-26 | 김성수 | Speaker Box |
KR102626930B1 (en) * | 2023-01-02 | 2024-01-19 | 주식회사 이지라인 | Duct speak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4220B1 (en) | 2009-12-23 | 2010-12-15 | 황윤선 | Disposable Glove Making Machine with Nonwoven Gloves |
KR101307834B1 (en) * | 2013-07-17 | 2013-09-12 | 장보영 | Speaker for system wiring line |
KR101487340B1 (en) * | 2013-09-13 | 2015-02-06 |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 LED frame used in combination with lamp instrument integrated with wiring duct |
-
2019
- 2019-10-17 KR KR1020190128916A patent/KR1021697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4220B1 (en) | 2009-12-23 | 2010-12-15 | 황윤선 | Disposable Glove Making Machine with Nonwoven Gloves |
KR101307834B1 (en) * | 2013-07-17 | 2013-09-12 | 장보영 | Speaker for system wiring line |
KR101487340B1 (en) * | 2013-09-13 | 2015-02-06 |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 LED frame used in combination with lamp instrument integrated with wiring duc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9516B1 (en) * | 2021-11-09 | 2022-10-26 | 김성수 | Speaker Box |
KR102626930B1 (en) * | 2023-01-02 | 2024-01-19 | 주식회사 이지라인 | Duct sp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9937B1 (en) | Water-proof reinforced dome type security camera structure | |
US7563979B1 (en) | Protective cable chute for decora cover plate | |
KR102169713B1 (en) |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 |
US11092319B2 (en) | Mount interface for light fixtures | |
KR100993163B1 (en) | Installing structure of security camera | |
KR101589365B1 (en) | Lighting device | |
KR102369917B1 (en) |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 |
KR100649390B1 (en) | Integrated wire protection duct for apartment houses embedded in the wall | |
CN100490502C (en) | Camera attaching device | |
JP6347059B2 (en) | Internal drainage structure of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box | |
KR20180124444A (en) | A connector for electric conduit | |
KR101843778B1 (en) | Wireway system hav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 |
KR102225871B1 (en) |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 |
KR102459516B1 (en) | Speaker Box | |
KR20190042157A (en) | Curtain wall having improved heat isolation property | |
KR101307834B1 (en) | Speaker for system wiring line | |
KR20130047891A (en) | Wall fixable assembly for surveillance camera | |
JPH10210331A (en) | Hood mounting device for outdoor surveillance camera | |
KR100726424B1 (en) | Surveillance Camera Fixture | |
KR102028898B1 (en) | Electric terminal box fixed structure for apartmenthouse | |
US8585126B1 (en) | Vehicle drain hole plug | |
US7946772B2 (en) | Monitoring camera | |
KR102270664B1 (en) | Connection box for vertical cable tray | |
KR101713582B1 (en) | Bathroom post comprising a bottom frame, installing method thereof, and bathroom unit including thereof | |
KR102588186B1 (en) | Construction terminal box waterproof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