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6764B1 -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 Google Patents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764B1
KR102586764B1 KR1020220148017A KR20220148017A KR102586764B1 KR 102586764 B1 KR102586764 B1 KR 102586764B1 KR 1020220148017 A KR1020220148017 A KR 1020220148017A KR 20220148017 A KR20220148017 A KR 20220148017A KR 102586764 B1 KR102586764 B1 KR 10258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shoe
footrest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림
Original Assignee
박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림 filed Critical 박예림
Priority to KR102022014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 A47G25/82Shoe hor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후단에 그 수평프레임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랫폼;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수평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 착용대상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의 일측(여기서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됨)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가압에 의한 일시적인 각도 변화시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주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본 발명은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고, 신발을 신을 때 손을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주걱(이하, '구둣주걱'이라 함)은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안내부와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며, 주로 신발장 근처에 걸어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사이즈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사용한다. 구둣주걱은 다양한 구두를 포함한 신발을 신을 때 그 신발의 후면부와 발 뒷꿈치의 간섭으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새 신발이나 꽉 끼는 신발의 경우 신발을 신기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둣주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의 일부를 신발에 넣은 상태로 상기 구둣주걱의 안내부를 신발의 삽입부 후단에 삽입시키고, 발 뒷꿈치를 신발 삽입부로 삽입시키면서 구둣주걱의 안내부를 빼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보통 무릎과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신발을 신게 되고, 더욱이 소형 구둣주걱의 경우에는 보다 심하게 무릎과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신발을 신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둣주걱은, 허리와 무릎을 숙여 구둣주걱을 이용하기 힘든 노약자, 무릎관절이 약하거나 허리디스크 환자들,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 손이나 팔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환부 통증을 유발하거나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고 용이하게 신발을 신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620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후단에 그 수평프레임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랫폼;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수평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 착용대상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가압에 의한 일시적인 각도 변화시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주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플랫폼의 수직프레임부는, 상하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본체부; 및,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수직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의한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중량이 가벼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이동 브라켓이 지지 플랫폼의 수평프레임부에 형성된 수평레일홈을 따라 이동되고, 발판이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놓여지게 하며, 발판에 신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그 발판이 수직프레임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주걱부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하고 발 뒷꿈치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발판이 수평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다시 이동되면서 원래의 기울어진 위치로 회전되어서 반복적으로 신발이 놓여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탄성부재 및 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탄성부재 및 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지지 플랫폼(100), 이동 브라켓(200), 발판(300) 및 주걱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플랫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놓여지고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발판(300) 및 주걱부재(4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부(110)와 수직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랫품(100)의 수평프레임부(11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서 바닥면에 놓여지며,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와 후단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평프레임부(110)는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을 구비하고, 그 수평레일홈(111)을 통해 상기 발판(300)이 그 수평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며, 그 발판(300)이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발판과 연결된 이동 브라켓(200)의 수평프레임부(11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발판(300)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위치변경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직프레임부(120)는 그 수평프레임부(110)와 직교되게 배치되고 수평프레임부(1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120)는 수평프레임부(11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 단부측이 상기 주걱부재(400)와 연결되고, 그 주걱부재(400)를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고, 상기 발판(300)이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수직프레임부(120)측으로 근접했을 때에 그 주걱부재(400)의 일측이 발판에 놓여진 신발의 후면부 측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이동 브라켓(200)은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 브라켓(200)은 일측이 그 수평레일홈(111)을 관통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판(300)과 연결되며, 상기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신발이 놓여진 상기 발판(300)을 주걱부재(400)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발판(300)은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되고, 그 이동 브라켓(200)의 이동 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체결된 주걱부재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300)은 착용대상인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상기 연결브라켓(310)과 결속된다. 상기 발판(300)은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지 않을 경우에 상기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측(수직프레임부의 반대편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을 그 발판의 상면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한다.
상기 발판(300)의 연결브라켓(310)은, 발판(300)의 하면에 결속되고 이동 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그 발판(300)을 이동 브라켓(200)에 연결시키고 사용자의 발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발판을 수평프레임부(110) 측으로 회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10)은, 주걱부재(400)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 착용이 완료된 이후 그 신발이 발판(300)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발판(300)을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해서 발판(300)에 신발(10)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하고 그 신발(10)을 연속해서 착용할 수 있게 한다(도 3 및 도 7 참조).
상기 주걱부재(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40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걱부재(400)는 사용자의 발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각도가 변화되면서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위치되고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40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사용자가 반복해서 용이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01)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걱부재(4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며 그 주걱부재(400)에 탄성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판(300)은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이 용이하게 놓여질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발에 걸쳐진 신발이 상면에 놓여진 후 사용자에 의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이동된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발판(300)은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되어서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된다(도 5 참조). 이후 상기 주걱부재(400)는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각도 변화되면서 상기 발 뒷꿈치(20)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한다(도 6 참조).
이 과정에서 상기 발판(300)은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과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부(110)를 향해 회동되면서, 상기 주걱부재(400)가 신발의 후면부(11) 측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발 뒷꿈치(20)의 자연스러운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도 7 참조). 이후 상기 발판(300)은, 사용자 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수평레일홈(11)을 따라 외측으로 위치이동되며, 그 외측을 향해 회전되어서 기울어짐으로써, 반복적인 신발 착용을 가능하게 한다(도 8 참조). 상기 신발의 착용이 완료된 후 발판에서 그 신발이 분리된 경우에, 상기 주걱부재(400)는 스프링(40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서 그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이동 브라켓(200)이 지지 플랫폼(100)의 수평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되고, 발판(300)이 이동 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놓여지게 하며, 발판(300)에 신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그 발판이 수직프레임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주걱부재(4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하고 발 뒷꿈치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발판(300)이 수평프레임부(110)의 외측으로 다시 이동되면서 원래의 기울어진 위치로 회전되어서 반복적으로 신발이 놓여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직프레임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부재(4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프레임본체부(121) 및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의 프레임본체부(121)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후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R)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수직레일홈(R)을 따라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가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수직레일홈(R)에 높이조절 브라켓부(12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그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와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타측에 상기 수직레일홈(R)을 한정하는 마개(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의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121)의 수직레일홈(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는, 수직레일홈(R)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를 프레임본체부(121)에 밀착되게 하는 볼트부재(1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본체부(121)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수평프레임부(110)에 직교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R)을 구비하며, 그 수직레일홈(R)을 따라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의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서 주걱부재(40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신발의 형태 등에 맞춰서 그 주걱부재(400)의 높이를 조절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주걱부재(400)를 신발(10)과 발 뒷꿈치(20)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여기서 상기 주걱부재(400)는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4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41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이 주걱부재(400)의 하면(수직프레임부를 향하는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에 접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발 착용 완료 이후 외부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원래의 위치 즉,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주걱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게 하며, 반복적으로 상기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지지 플랫폼(100)은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평레일홈(111)을 관통한 이동 브라켓(200)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발판(300)에 신발이 올려진 이후 사용자에 의해 그 발판(300)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이동될 때 늘어나고, 사용자의 신발 착용 이후 그 발판(300)에서 신발이 분리된 경우에 형태 복원되면서 탄성력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20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반복해서 신발을 발판(300)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발판(300)은 무게추(320) 및 가이드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300)에 마련된 무게추(320)는, 그 발판(300)의 하면에서 선단(지지 플랫폼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무게추(320)는 신발(10)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310)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게추(320)는, 신발과 발판이 서로 분리된 후 탄성부재(130)의 형태복원에 따라 상기 발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발판(300)의 선단을 자동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걸쳐진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게 하고 신발의 착용 준비를 반복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신발이 발판(300)에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발판(300)에서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발판에서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320)에 의한 상기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가벼운 중량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어서 그 후단 상면에 걸림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신발이 발판의 상면에 놓여진 후 사용자에 의해 그 발판(300)이 주걱부재(400)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발판에서 신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신발을 주걱부재(400) 측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그 주걱부재를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신발 11: 신발의 후면부
20: 발 뒷꿈치 100: 지지 플랫폼
110: 수평프레임부 111: 수평레일홈
120: 수직프레임부 121: 프레임본체부
R: 수직레일홈 C: 마개
122: 높이조절 브라켓부 123: 볼트부재
130: 탄성부재 200: 이동 브라켓
300: 발판 310: 연결브라켓
320: 무게추 330: 가이드부재
400: 주걱부재 401: 스프링
410: 스토퍼

Claims (4)

  1.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후단에 그 수평프레임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랫폼;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수평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 착용대상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의 일측(여기서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됨)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가압에 의한 일시적인 각도 변화시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주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랫폼의 수직프레임부는, 상하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본체부; 및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수직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의한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중량이 가벼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KR1020220148017A 2022-11-08 2022-11-08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Active KR10258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17A KR102586764B1 (ko) 2022-11-08 2022-11-08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17A KR102586764B1 (ko) 2022-11-08 2022-11-08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764B1 true KR102586764B1 (ko) 2023-10-10

Family

ID=8829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17A Active KR102586764B1 (ko) 2022-11-08 2022-11-08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3734B1 (ja) 2024-02-29 2024-09-18 花織 古田 靴ベ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089A (ko) * 2009-06-22 2010-12-30 김종완 신발 도우미, 구두 도우미
CN208425854U (zh) * 2017-11-23 2019-01-25 大连大学 双上肢残疾人群辅助穿鞋器
KR102157252B1 (ko) * 2020-05-29 2020-09-17 주식회사 엠프로 신발정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089A (ko) * 2009-06-22 2010-12-30 김종완 신발 도우미, 구두 도우미
CN208425854U (zh) * 2017-11-23 2019-01-25 大连大学 双上肢残疾人群辅助穿鞋器
KR102157252B1 (ko) * 2020-05-29 2020-09-17 주식회사 엠프로 신발정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53734B1 (ja) 2024-02-29 2024-09-18 花織 古田 靴ベ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1989A (en) Walking aid
US4693470A (en) Auxiliary instrument for stretching and softening exercises
JP5878583B2 (ja) 歩行アシスト装置
JP5050211B2 (ja) 生体力学的に得られる松葉杖
JP5943470B2 (ja) 片脚式歩行支援機
JPS58109002A (ja) 矯正装置
EP3190915B1 (en) Apparatus for making custom orthotics, insoles and other footwear inserts
KR102586764B1 (ko)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CN216651469U (zh) 一种可调节穿戴尺寸的鞋
JP2004329945A (ja) 関節装具
US2557603A (en) Drop-foot brace
KR101635920B1 (ko) 인공발
KR101191829B1 (ko) 휜 다리 교정용 기구
KR20180049508A (ko)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US4466611A (en) Active physiotherapeutic device
JP5654165B1 (ja) 運動補助具
CN215532071U (zh) 一种具有矫正脚型功能的鞋垫
US2575802A (en) Knee joint of artificial legs
KR101574006B1 (ko) 착탈식 인라인 스케이트
CN218944280U (zh) 膝关节主动屈伸功能锻炼装置
TWM584618U (zh) 可調整式矯正鞋墊
EP3482735B1 (en) Shoe assembly for a walking assist device
CN218392079U (zh) 踝泵运动功能锻炼仪
KR102496198B1 (ko) 허벅지로 하중을 지탱하는 목발
KR102607304B1 (ko) 신발을 벗고 신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