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764B1 -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 Google Patents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86764B1 KR102586764B1 KR1020220148017A KR20220148017A KR102586764B1 KR 102586764 B1 KR102586764 B1 KR 102586764B1 KR 1020220148017 A KR1020220148017 A KR 1020220148017A KR 20220148017 A KR20220148017 A KR 20220148017A KR 102586764 B1 KR102586764 B1 KR 102586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frame
- shoe
- footrest
- horizontal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618 Intervertebral Disc Displace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80—Devices for putting-on or removing boots or shoes, e.g. boot-hooks, boot-jacks
- A47G25/82—Shoe hor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후단에 그 수평프레임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랫폼;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수평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 착용대상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의 일측(여기서 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연결됨)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가압에 의한 일시적인 각도 변화시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주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comprising: a horizontal frame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with a flat bottom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having a horizontal rail groove formed long along a one-directional axis; A support platform including a vertical frame portion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 movable bracket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horizontal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 footrest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shoes to be worn can be placed, and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the center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bracket; And,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can be adjusted,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ring (where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to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It includes a spatula member that can maintain an angled state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when the angle changes temporarily due to external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고, 신발을 신을 때 손을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allows one to easily wear shoes without putting strain on the body and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se one's hands when putting on shoes. This relates to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to solve the problem.
일반적으로 구두주걱(이하, '구둣주걱'이라 함)은 발뒤꿈치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안내부와 안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며, 주로 신발장 근처에 걸어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사이즈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사용한다. 구둣주걱은 다양한 구두를 포함한 신발을 신을 때 그 신발의 후면부와 발 뒷꿈치의 간섭으로 생기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새 신발이나 꽉 끼는 신발의 경우 신발을 신기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게 된다. In general, a shoe hor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hoe horn') consists of a guide part with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heel and a handle part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guide part, and is mainly used by hanging near a shoe rack or by adjusting the size. It is made small and can be carried in a pocket for use. Shoe horns are mainly used to relieve discomfort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back of the shoe and the heel of the foot when wearing shoes, including various types of shoes. Especially in the case of new or tight shoes, it is often used because it is more difficult to put on the shoes.
이와 같은 종래의 구둣주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의 일부를 신발에 넣은 상태로 상기 구둣주걱의 안내부를 신발의 삽입부 후단에 삽입시키고, 발 뒷꿈치를 신발 삽입부로 삽입시키면서 구둣주걱의 안내부를 빼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보통 무릎과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신발을 신게 되고, 더욱이 소형 구둣주걱의 경우에는 보다 심하게 무릎과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신발을 신게 된다.In order to use such a conventional shoehorn, the guide portion of the shoehorn must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hoe with a part of the foot inserted into the shoe, and the shoehorn guide portion must be pulled out while inserting the heel of the foot into the shoe insertion portion. In this process, the user usually wears the shoes with their knees and waist bent, and in the case of small shoehorns, the user wears the shoes with their knees and waist bent more severely.
이에 따라 종래의 구둣주걱은, 허리와 무릎을 숙여 구둣주걱을 이용하기 힘든 노약자, 무릎관절이 약하거나 허리디스크 환자들,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 손이나 팔에 장애가 있는 환자들에게 환부 통증을 유발하거나 신체에 무리를 주게 되고 용이하게 신발을 신기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Accordingly, conventional shoehorns cause pain in the affected area in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bending their waist and knees to use a shoehorn, patients with weak knee joints or herniated discs, patients with impaired mobility, and patients with hand or arm disabilities. Otherwise, it puts a strain on the body and makes it difficult to wear shoes easily.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6209호가 있다. As a prior art, there is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562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people to easily wear various types of shoes that require shoehorns without putting a strain on the body, and to improve the mobility of the hands and upper body. We aim to provide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llowing the user to put on shoes using only their feet without intervention and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저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부와,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후단에 그 수평프레임부와 직교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랫폼; 상기 수평프레임부의 수평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브라켓; 착용대상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심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브라켓이 상기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외부 가압에 의한 일시적인 각도 변화시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주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horizontal frame part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flat bottom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has a horizontal rail groove formed long along a one-way axis, a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frame part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part. an advocacy platform that includes wealth; A movable bracket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horizontal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 footrest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shoes to be worn can be placed, and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the center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bracket; And,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can be adjusted,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ring to maintain a state tilt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and is subject to external pressure. and a spatula member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upon a temporary change in angle.
상기 지지 플랫폼의 수직프레임부는, 상하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본체부; 및,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수직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브라켓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frame portion of the support platform includes a frame body portion in which vertical rail grooves are formed long along the vertical axis; And, one sid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rail groove of the fram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s a height adjustment bracket part on which the spatula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otrest may include a weigh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end so that the front end can be maintained tilte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before the shoe is placed.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의한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중량이 가벼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ootrest is designed to guide the placing position of the shoe by contacting the back of the shoe when the shoe is placed.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and is positioned above the w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ip tilt state caused by the weigh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member having a light weigh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이동 브라켓이 지지 플랫폼의 수평프레임부에 형성된 수평레일홈을 따라 이동되고, 발판이 이동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놓여지게 하며, 발판에 신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그 발판이 수직프레임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주걱부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하고 발 뒷꿈치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발판이 수평프레임부의 외측으로 다시 이동되면서 원래의 기울어진 위치로 회전되어서 반복적으로 신발이 놓여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無理)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movable bracket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rail groove formed in the horizontal frame of the support platform, and the footres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bracket. This allows the shoe to be easily placed on the footrest, and when the footrest is moved toward the vertical frame while the shoe is placed on the footrest, the spatula member guides the heel of the foot into the inside of the shoe in an inclined state and places it on the heel of the foot.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i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ootrest is mov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frame and rotated to its original tilted position, allowing shoes to be placed repeatedly, allowing various types of shoes that require a shoehorn to be worn. It allows you to wear shoes easily without putting a strain on your body, allows you to wear shoes only with your feet without involving your hands and upper body,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탄성부재 및 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process of a user wearing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lastic member and weight employ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탄성부재 및 무게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explai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Figures 4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a user wearing shoes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elastic member and weight.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지지 플랫폼(100), 이동 브라켓(200), 발판(300) 및 주걱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지지 플랫품(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놓여지고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수 있도록 발판(300) 및 주걱부재(4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부(110)와 수직프레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랫품(100)의 수평프레임부(11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서 바닥면에 놓여지며,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와 후단이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평프레임부(110)는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을 구비하고, 그 수평레일홈(111)을 통해 상기 발판(300)이 그 수평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며, 그 발판(300)이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은,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발판과 연결된 이동 브라켓(200)의 수평프레임부(110)에 대한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그 발판(300)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위치변경될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직프레임부(120)는 그 수평프레임부(110)와 직교되게 배치되고 수평프레임부(1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부(120)는 수평프레임부(110)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편 단부측이 상기 주걱부재(400)와 연결되고, 그 주걱부재(400)를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고, 상기 발판(300)이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수직프레임부(120)측으로 근접했을 때에 그 주걱부재(400)의 일측이 발판에 놓여진 신발의 후면부 측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이동 브라켓(200)은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 브라켓(200)은 일측이 그 수평레일홈(111)을 관통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발판(300)과 연결되며, 상기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신발이 놓여진 상기 발판(300)을 주걱부재(400)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발판(300)은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되고, 그 이동 브라켓(200)의 이동 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체결된 주걱부재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브라켓(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300)은 착용대상인 신발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상기 연결브라켓(310)과 결속된다. 상기 발판(300)은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지 않을 경우에 상기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측(수직프레임부의 반대편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신발을 그 발판의 상면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발판(300)의 연결브라켓(310)은, 발판(300)의 하면에 결속되고 이동 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그 발판(300)을 이동 브라켓(200)에 연결시키고 사용자의 발로부터 압력을 전달받을 경우에 상기 발판을 수평프레임부(110) 측으로 회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310)은, 주걱부재(400)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 착용이 완료된 이후 그 신발이 발판(300)에서 이탈된 경우, 상기 발판(300)을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연속해서 발판(300)에 신발(10)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하고 그 신발(10)을 연속해서 착용할 수 있게 한다(도 3 및 도 7 참조).The
상기 주걱부재(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그 수직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401)의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주걱부재(400)는 사용자의 발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각도가 변화되면서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위치되고 그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스프링(401)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사용자가 반복해서 용이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401)의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걱부재(4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며 그 주걱부재(400)에 탄성력을 인가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발판(300)은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신발이 용이하게 놓여질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발에 걸쳐진 신발이 상면에 놓여진 후 사용자에 의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이동된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발판(300)은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이동 브라켓(200)과 연결되어서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된다(도 5 참조). 이후 상기 주걱부재(400)는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각도 변화되면서 상기 발 뒷꿈치(20)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한다(도 6 참조). If the operating state of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the
이 과정에서 상기 발판(300)은 연결브라켓(310)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과 연결된 상태에서 수평프레임부(110)를 향해 회동되면서, 상기 주걱부재(400)가 신발의 후면부(11) 측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발 뒷꿈치(20)의 자연스러운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도 7 참조). 이후 상기 발판(300)은, 사용자 발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수평레일홈(11)을 따라 외측으로 위치이동되며, 그 외측을 향해 회전되어서 기울어짐으로써, 반복적인 신발 착용을 가능하게 한다(도 8 참조). 상기 신발의 착용이 완료된 후 발판에서 그 신발이 분리된 경우에, 상기 주걱부재(400)는 스프링(401)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서 그 수직프레임부(120)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8 참조). In this process, th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는, 이동 브라켓(200)이 지지 플랫폼(100)의 수평프레임부(110)에 형성된 수평레일홈(111)을 따라 이동되고, 발판(300)이 이동 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놓여지게 하며, 발판(300)에 신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그 발판이 수직프레임부 측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주걱부재(40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하고 발 뒷꿈치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발판(300)이 수평프레임부(110)의 외측으로 다시 이동되면서 원래의 기울어진 위치로 회전되어서 반복적으로 신발이 놓여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구둣주걱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신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진다. In the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is configuration, the moving
한편 상기 지지 플랫폼(100)의 수직프레임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걱부재(400)의 높이 조절을 위해 프레임본체부(121) 및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the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의 프레임본체부(121)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후단에 직교되게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R)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수직레일홈(R)을 따라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가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수직레일홈(R)에 높이조절 브라켓부(122)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그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와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타측에 상기 수직레일홈(R)을 한정하는 마개(C)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의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121)의 수직레일홈(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40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는, 수직레일홈(R)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를 프레임본체부(121)에 밀착되게 하는 볼트부재(1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본체부(121)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The height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본체부(121)는 수평프레임부(110)에 직교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R)을 구비하며, 그 수직레일홈(R)을 따라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의 위치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수직프레임부(120)에서 주걱부재(40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신발의 형태 등에 맞춰서 그 주걱부재(400)의 높이를 조절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주걱부재(400)를 신발(10)과 발 뒷꿈치(20)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In this way, the
여기서 상기 주걱부재(400)는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토퍼(4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410)는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이 주걱부재(400)의 하면(수직프레임부를 향하는 하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부(122)에 접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발 착용 완료 이후 외부 가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원래의 위치 즉,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주걱부재(400)가 위치될 수 있게 하며, 반복적으로 상기 발 뒷꿈치를 신발의 내부로 가이드할 수 있게 한다. Here, th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지지 플랫폼(100)은 탄성부재(1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부(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수평프레임부(110)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평레일홈(111)을 관통한 이동 브라켓(200)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발판(300)에 신발이 올려진 이후 사용자에 의해 그 발판(300)이 수직프레임부(120) 측으로 이동될 때 늘어나고, 사용자의 신발 착용 이후 그 발판(300)에서 신발이 분리된 경우에 형태 복원되면서 탄성력으로 상기 이동 브라켓(20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발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반복해서 신발을 발판(300)에 용이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하고, 손과 상체의 개입 없이도 발로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The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발판(300)은 무게추(320) 및 가이드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판(300)에 마련된 무게추(320)는, 그 발판(300)의 하면에서 선단(지지 플랫폼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설치된다. 즉 상기 무게추(320)는 신발(10)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310)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무게추(320)는, 신발과 발판이 서로 분리된 후 탄성부재(130)의 형태복원에 따라 상기 발판(300)이 최초의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상기 발판(300)의 선단을 자동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걸쳐진 신발이 그 발판에 용이하게 올려질 수 있게 하고 신발의 착용 준비를 반복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ly, the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신발이 발판(300)에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발판(300)에서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발판에서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320)에 의한 상기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가벼운 중량을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재(330)는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어서 그 후단 상면에 걸림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신발이 발판의 상면에 놓여진 후 사용자에 의해 그 발판(300)이 주걱부재(400)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발판에서 신발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신발을 주걱부재(400) 측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하면서, 그 주걱부재를 신발의 후면부(11)와 발 뒷꿈치(20)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The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발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developments can be mad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elf-explanatory.
10: 신발 11: 신발의 후면부
20: 발 뒷꿈치 100: 지지 플랫폼
110: 수평프레임부 111: 수평레일홈
120: 수직프레임부 121: 프레임본체부
R: 수직레일홈 C: 마개
122: 높이조절 브라켓부 123: 볼트부재
130: 탄성부재 200: 이동 브라켓
300: 발판 310: 연결브라켓
320: 무게추 330: 가이드부재
400: 주걱부재 401: 스프링
410: 스토퍼10: Shoe 11: Rear part of shoe
20: heel 100: support platform
110: Horizontal frame part 111: Horizontal rail groove
120: Vertical frame part 121: Frame body part
R: Vertical rail groove C: Stopper
122: Height adjustment bracket part 123: Bolt member
130: elastic member 200: moving bracket
300: Footrest 310: Connection bracket
320: Weight 330: Guide member
400: spatula member 401: spring
410: stopper
Claims (4)
상기 지지 플랫폼의 수직프레임부는, 상하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된 수직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본체부; 및 일측은 상기 프레임본체부의 수직레일홈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주걱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A horizontal frame part that has a plate shape with a flat bottom so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and has a horizontal rail groove formed long along a one-way axis, and a vertical frame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horizontal frame part at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part. an advocacy platform that includes wealth; A movable bracket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the horizontal rail groove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 footrest having a flat upper surface in the form of a plate so that shoes to be worn can be placed, and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the center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movable bracket;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can be adjusted,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ring (where the other side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and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It includes a spatula member that can maintain an inclined state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when the pressing force is released when the angle changes temporarily due to external pressure,
The vertical frame portion of the support platform includes a frame body portion in which vertical rail grooves are formed long along the vertical axis; And one sid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vertical rail groove of the frame body, and the other side is a height adjustment bracket part on which the spatula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comprising a. .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지기 전에 상기 연결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후단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선단 하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caffolding is,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including a weigh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tip so that the tip can be maintained tilted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around the connection bracket before the shoe is placed.
상기 발판은,
신발이 놓여진 경우에 그 신발 뒷부분에 접촉되어 신발의 놓임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후단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에 의한 선단 기울어짐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그 무게추보다 중량이 가벼운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도움이 필요 없는 기계식 구둣주걱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caffolding is,
When a shoe is placed, it contacts the back of the shoe to guide the position of the sho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and is lighter than the w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ilt of the tip caused by the weight. A mechanical shoehor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hand assistance, compri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8017A KR102586764B1 (en) | 2022-11-08 | 2022-11-08 |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8017A KR102586764B1 (en) | 2022-11-08 | 2022-11-08 |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6764B1 true KR102586764B1 (en) | 2023-10-10 |
Family
ID=8829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8017A Active KR102586764B1 (en) | 2022-11-08 | 2022-11-08 |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67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553734B1 (en) | 2024-02-29 | 2024-09-18 | 花織 古田 | Shoehorn |
US20250176747A1 (en) * | 2023-12-01 | 2025-06-05 | Elise Braegger | Hands-free shoehor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7089A (en) * | 2009-06-22 | 2010-12-30 | 김종완 | Shoe helper, shoe helper |
CN208425854U (en) * | 2017-11-23 | 2019-01-25 | 大连大学 | Double upper limb disability crowd auxiliary wear shoes device |
KR102157252B1 (en) * | 2020-05-29 | 2020-09-17 | 주식회사 엠프로 | Footwear arrangement apparatus |
-
2022
- 2022-11-08 KR KR1020220148017A patent/KR1025867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137089A (en) * | 2009-06-22 | 2010-12-30 | 김종완 | Shoe helper, shoe helper |
CN208425854U (en) * | 2017-11-23 | 2019-01-25 | 大连大学 | Double upper limb disability crowd auxiliary wear shoes device |
KR102157252B1 (en) * | 2020-05-29 | 2020-09-17 | 주식회사 엠프로 | Footwear arrangement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50176747A1 (en) * | 2023-12-01 | 2025-06-05 | Elise Braegger | Hands-free shoehorn |
JP7553734B1 (en) | 2024-02-29 | 2024-09-18 | 花織 古田 | Shoehor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86764B1 (en) | Mechanical shoelace device of do not needed hand assistance | |
US5331989A (en) | Walking aid | |
US4693470A (en) | Auxiliary instrument for stretching and softening exercises | |
JP5878583B2 (en) | Walking assist device | |
JP5050211B2 (en) | Crutches obtained biomechanically | |
JP5943470B2 (en) | Single leg walking support machine | |
JPS58109002A (en) | Correcting apparatus | |
EP3190915B1 (en) | Apparatus for making custom orthotics, insoles and other footwear inserts | |
CN113855358B (en) | Mechanical ankle joint | |
JP2004329945A (en) | Joint orthosis | |
US2557603A (en) | Drop-foot brace | |
KR101635920B1 (en) | Prosthetic foot | |
US4466611A (en) | Active physiotherapeutic device | |
KR101191829B1 (en) | Appliance for correcting bent legs | |
KR20180049508A (en) | Leg exercise and Tilt-adjustable footrest | |
JP5654165B1 (en) | Exercise aid | |
CN215532071U (en) | Insole with foot shape correcting function | |
US2575802A (en) | Knee joint of artificial legs | |
CN218944280U (en) | Active knee joint bending and stretching function exercise device | |
TWM584618U (en) | Adjustable orthopedic insole | |
EP3482735B1 (en) | Shoe assembly for a walking assist device | |
KR20150098829A (en) | Attachable inline skate | |
CN218392079U (en) | Ankle pump motion function exercise instrument | |
KR102496198B1 (en) | Crutches that support the load with the thigh | |
KR102607304B1 (en) | Device to take off and put on sho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