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6201B1 - 파일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201B1
KR102586201B1 KR1020210115276A KR20210115276A KR102586201B1 KR 102586201 B1 KR102586201 B1 KR 102586201B1 KR 1020210115276 A KR1020210115276 A KR 1020210115276A KR 20210115276 A KR20210115276 A KR 20210115276A KR 102586201 B1 KR102586201 B1 KR 10258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ader
vibration
fixing
p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2436A (ko
Inventor
박인수
Original Assignee
박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수 filed Critical 박인수
Priority to KR1020210115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20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36A/ko
Priority to KR1020230131204A priority patent/KR2023014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6Placing by using several means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는,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리더연결부; 상기 리더연결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에 연결되는 파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고정부는 제1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타설물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본체; 및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고정부는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으며, 시공의 효율성 및 안전성, 파일 시공 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 시공 장치{FILE CON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파일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가해지는 여러 가지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구조물을 기초 구조물이라고 하며, 기초 구조물의 시공을 총칭하여 기초공사라고 한다. 기초공사는 지반이 충분한 내력(耐力)을 지니고 있을 경우에는 직접 지반 위에 기초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으나 지반이 약할 경우에는 지반을 개량하거나 말뚝을 박아 그 위에 기초 구조물을 구축한다. 이러한 파일 등의 시공은 구조물 및 건축물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기초공사에서 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타설시공법과 굴삭시공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타설시공법은 기중기에 수직으로 설치한 리더의 상부에 설치된 권양로프를 이용하여 중량체의 해머를 상승시켰다가 하강시키면서 파일을 타설하여 지반에 삽입 설치하는 공법인데, 이러한 시공법은 해머로서 파일 상단을 타설시 타격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굴착시공법은 터널시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항타기의 리더에 설치되는 오거스크류를 이용하여 파일공을 천공하는 천공 작업을 하고 오거스크류를 통한 천공 작업이 완료되면, 파일공의 천공을 위한 스크류를 역회전시켜서 굴착된 파일공에서 빼낸 다음 천공된 파일공에서의 흙더미가 무너지는 등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리더가 작동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시트파일(SHEEIT PILE : 강널말뚝)을 인양하고, 인양된 시트파일을 오거스크류에 별도로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천공된 파일공에 시트파일을 설치하는 근입 작업을 하게 된다.
또 파일공을 천공하고 천공된 파일공에 시트파일의 근입이 완료되면, 천공이 완료된 1차 파일공에 근접하여 2차 파일공의 천공을 상기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으로 시트파일을 근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굴착시공법에 의하면, 오거스크류를 이용한 천공 작업과 리더를 통한 시트파일의 인양 및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시트파일의 근입 작업이 각각 별개로 진행되고, 번갈아가면서 반복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하나의 파일공을 천공하고 시트파일을 근입하는 데 많은 작업과 공정과 함께 장비가 복잡해져 시공작업을 복잡하게 하였다. 나아가 작업장의 효율적 사용을 어렵게 하여 이에 따른 공기(工期)를 증가되어 공사비 증가는 물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른쪽으로 열린 'ㄷ'자 형상의 시트파일(제1형 시트파일)과 왼쪽으로 열린 'ㄷ'자 형상의 시트파일(제2형 시트파일)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에는 제1형 시트파일을 고정해서 삽입과정이 종료된 후 제2형 시트파일을 정위치시키기 위하여 리더 또는 차체가 이동해야 하는 경로가 복잡하여 시공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시공의 효율성 및 안전성, 파일 시공 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선할 수 있는 파일 시공 장치를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진동을 이용하여 파일 시공을 하는 과정에서, 파일고정부가 리더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리더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파일 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는,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리더연결부; 상기 리더연결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진동발생부에 연결되는 파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고정부는 제1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타설물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본체; 및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고정부는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더연결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리더연결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발생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각도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을 회동시키는 동력원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타설물 또는 상기 제2 타설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부는 하우징, 진동유닛 및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각도조절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진동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에 의하여 상기 파일고정부가 진동하고, 상기 진동유닛에서 발생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은 상기 탄성부에서 감소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의 일면에는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연결부는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견인로프가 연결되어 승강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풀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편; 제1 이동편; 및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이동편이 상기 제1 고정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타설물을 상기 제1 이동편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타설물을 상기 파일고정부에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2 고정편; 제2 이동편; 및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2 이동편이 상기 제2 고정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타설물을 상기 제2 이동편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타설물을 상기 파일고정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일 시공과정에서 리더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진동을 이용하여 파일을 시공하면서도 진동이 파일고정부 이외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파일 시공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가 적용된 건설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를 활용해서 진행되는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가 적용된 건설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를 활용해서 진행되는 시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1000)는 리더연결부(400), 각도조절부(500), 진동발생부(600), 파일고정부(7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더연결부(400)는 리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리더(110)는 리더연결부(400), 각도조절부(500), 진동발생부(600), 파일고정부(700) 등의 장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과장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리더(110)는 차체(1)에 결합되어 이송 가능할 수 있고, 차체(1)와 리더(110) 사이에 붐(2)이 개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더연결부(400)는 베이스패널(410), 가이드부(420), 제1 스페이서(430), 제2 스페이서(440), 풀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420)는 베이스패널(4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420)는 리더(110)의 일면에 구비된 레일부(1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20)는 레일부(11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풀리(450)에는 견인로프(120)가 연결되어 풀리(450)가 승강될 수 있다. 풀리(450)와 베이스패널(410)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제1 스페이서(430)가 구비 될 수 있다. 또한, 풀리와 베이스부재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기 위해 제2 스페이서(44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발생부(600) 및 파일고정부(700)의 무게중심과 각도조절유닛(510)의 회전축 사이의 편차가 작을수록 파일고정부(700)의 승강과정 및 각도조절과정 등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풀리(450)의 중심축과 각도조절유닛(510)의 회전축 사이에 편차가 작을수록 파일고정부(700)의 승강과정 등에서 각종 결합부위에 불필요한 하중이 인가되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리더(110)와 파일고정부(700)의 이격거리를 결정하고, 파일고정부(700)의 무게중심, 진동발생부(600)의 무게중심 등을 고려해서 각도조절부(500)와 리더(110) 사이의 거리, 풀리(450)의 회전축과 리더(110) 사이의 거리 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풀리(450)의 회전축과 리더(110) 사이의 이격거리가 결정되면 베이스패널(410)과 풀리(450) 사이의 공간에 제1 스페이서(430)를 구비하되, 풀리(450), 각도조절부(500), 진동발생부(600), 파일고정부(700), 파일고정부(700)에 결합될 타설물의 하중 등을 고려해서 제1 스페이서(430)의 재질, 두께, 크기, 형상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440)는 제1 스페이서(430)에 결합되는 풀리(450)와 각도조절부(5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스페이서(430) 등이 진동발생부(6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500)는 리더연결부(400)와 진동발생부(600) 사이에 구비되며, 베이스부재(530), 각도조절유닛(510) 및 모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530)는 리더연결부(4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각도조절유닛(510)은 그 일측이 베이스부재(5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은 진동발생부(6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모터(520)는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각도조절유닛(510)을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도조절유닛(510)의 회전을 통해서 파일고정부(7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리더의 위치나 각도 변화 없이도 제1 타설물 또는 제2 타설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설물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차체(1)나 리더(110)를 이동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발생부(600)는 하우징(610), 진동유닛(620), 진동모터(625) 및 탄성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0)은 각도조절부(50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룰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진동유닛(620)은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유닛(620)에는 진동모터(625)가 구비되고, 이 진동모터(625)의 회전에 의하여 편심 중량체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유닛(620)이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진동유닛(620)에는 파일고정부(700)의 커넥터(7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진동유닛(620)에서 발생된 진동이 커넥터(750)를 거쳐서 파일고정부(700)로 전달되어 파일고정부(700)가 진동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진동유닛(620)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에 의하여 파일고정부(700)가 진동하고, 이를 통해 시트파일 등의 타설물이 파일공 내부로 삽입되는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탄성부(630)는 진동유닛(620)과 하우징(610) 사이에 결합되어 진동유닛(620)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이 하우징(610)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630)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탄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이격되는 제1 탄성유닛(631), 제2 탄성유닛(632) 각각의 일측은 진동유닛(620)에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61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유닛(6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하우징(61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파일 시공 장치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일고정부(700)는 클램프본체(710), 제1 고정부(720), 제2 고정부(730), 커넥터(750)를 포함하며, 리더(11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리더(110)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클램프본체(710)에는 제1 고정부(720)와 제2 고정부(730)가 구비되며, 커넥터(750)를 통해 진동발생부(600)와 클램프본체(71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720)는 제1 고정편(721), 제1 이동편(722), 제1 실린더(7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실린더(723)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제1 이동편(722)이 제1 고정편(72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타설물을 제1 이동편(722)에 가압함으로써 제1 타설물을 파일고정부(7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730)는 제2 고정편(731), 제2 이동편(732), 제2 실린더(733)를 포함하며 제2 고정부(730)에서 제2 타설물을 고정하는 방법 등은 제1 고정부(7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초 파일공(10)에 기초 시트파일(20)이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 시트파일(20)의 일측에 제1 시트파일(21)이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제1 시트파일(21)을 제1 파일공(11)에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시트파일(21)의 일측에 제2 시트파일(22)이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제2 시트파일(22)을 제2 파일공(12)에 삽입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기초 시트파일(20)과 제2 시트파일(22)은 아래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시트파일(21)은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를 활용하면, 파일고정부(700)의 제1 고정부(720)에 기초 시트파일(20)을 고정한 상태로 기초 시트파일(20) 삽입과정을 진행한 다음, 파일고정부(700)의 제2 고정부(730)에 제1 시트파일(21)을 고정한 상태로 제1 시트파일(21) 삽입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로 볼록한 시트파일과 아래로 볼록한 시트파일이 반복적으로 시공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는 파일고정부(700)를 180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도 3의 도면을 기준으로 도면의 상하 방향에 해당하는 수평방향으로 파일고정부(700)를 이동하지 않더라도 기초 시트파일(20), 제1 시트파일(21), 제2 시트파일(22)을 파일고정부(700)에 고정시키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따라서, 파일공들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시트파일들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리더(11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시공 장치는, 진동을 이용해 파일을 시공하지만, 진동이 파일고정부 이외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서 파일 시공 장치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트파일 등의 타설물을 파일공 등에 삽입하는 시공과정에서 시트파일의 설치방향이나 위치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파일고정부가 리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리더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으므로, 파일 시공과정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1000 : 파일 시공 장치
110 : 리더
111 : 레일부
400 : 리더연결부
410 : 베이스패널
420 : 가이드부
430 : 제1 스페이서
440 : 제2 스페이서
450 : 풀리
500 : 각도조절부
510 : 각도조절유닛
520 : 모터
530 : 베이스부재
600 : 진동발생부
610 : 하우징
620 : 진동유닛
625 : 진동모터
630 : 탄성부
631 : 제1 탄성유닛
632 : 제2 탄성유닛
633 : 제3 탄성유닛
700 : 파일고정부
710 : 클램프본체
720 : 제1 고정부
721 : 제1 고정편
722 : 제1 이동편
723 : 제1 실린더
730 : 제2 고정부
731 : 제2 고정편
732 : 제2 이동편
733 : 제2 실린더
750 : 커넥터

Claims (5)

  1.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리더연결부;
    상기 리더연결부에 결합되며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
    상기 리더연결부와 상기 진동발생부 사이에 구비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진동발생부에 연결되는 파일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일고정부는,
    제1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1 타설물과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타설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본체; 및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진동발생부와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고정부는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상기 리더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리더연결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재;
    일측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진동발생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각도조절유닛; 및
    상기 각도조절유닛을 회동시키는 동력원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타설물 또는 상기 제2 타설물의 위치 또는 방향이 조절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는 하우징, 진동유닛 및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각도조절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는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탄성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진동유닛을 둘러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에서 발생되는 진동력에 의하여 상기 파일고정부가 진동하고, 상기 진동유닛에서 발생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진동력은 상기 탄성부에서 감소되어, 상기 각도조절부, 상기 리더연결부 및 상기 리더로의 진동력 전달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더의 일면에는 레일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연결부는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견인로프가 연결되어 승강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상기 베이스패널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풀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스페이서 및 제2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풀리의 회전축과 상기 리더 사이의 거리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제1 고정편; 제1 이동편; 및 제1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 이동편이 상기 제1 고정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타설물을 상기 제1 이동편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타설물을 상기 파일고정부에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제2 고정편; 제2 이동편; 및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2 이동편이 상기 제2 고정편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타설물을 상기 제2 이동편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타설물을 상기 파일고정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 장치.
KR1020210115276A 2021-08-31 2021-08-31 파일 시공 장치 Active KR10258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76A KR102586201B1 (ko) 2021-08-31 2021-08-31 파일 시공 장치
KR1020230131204A KR20230145001A (ko) 2021-08-31 2023-09-27 파일 시공 장치 및 파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276A KR102586201B1 (ko) 2021-08-31 2021-08-31 파일 시공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204A Division KR20230145001A (ko) 2021-08-31 2023-09-27 파일 시공 장치 및 파일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36A KR20230032436A (ko) 2023-03-07
KR102586201B1 true KR102586201B1 (ko) 2023-10-06

Family

ID=855125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276A Active KR102586201B1 (ko) 2021-08-31 2021-08-31 파일 시공 장치
KR1020230131204A Ceased KR20230145001A (ko) 2021-08-31 2023-09-27 파일 시공 장치 및 파일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204A Ceased KR20230145001A (ko) 2021-08-31 2023-09-27 파일 시공 장치 및 파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62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4125A (ja) * 1985-10-18 1987-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イレ装置
KR970006206U (ko) * 1995-07-14 1997-02-21 왕복동형 압축기
JPH0995945A (ja) * 1995-10-03 1997-04-08 Kencho Kobe:Kk 振動杭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001A (ko) 2023-10-17
KR20230032436A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7243B1 (ko) 진동 파일 드라이버
CN210288383U (zh) 旋钻打桩一体机
JP7093076B2 (ja) 吊り治具、吊り姿勢制御装置及び吊り姿勢の制御方法
KR102299439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2637552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2586201B1 (ko) 파일 시공 장치
US10876363B2 (en) Negative angle capable blasthole drilling mast
KR20170077074A (ko) 진동파일 드라이버의 클램프 유닛
KR101000866B1 (ko) 유압 타격식 바이브로 햄머
CN215105234U (zh) 一种插接式振冲碎石桩机装置
JP6254670B1 (ja) 連続壁掘削機
RU230419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работки грунта
JP2015169062A (ja) 杭圧入装置
JP4896549B2 (ja) 構造物の沈設方法
JP3818489B2 (ja) 鋼管圧入装置の運搬据付装置と運搬据付方法
JP3218183B2 (ja) 杭打機のトップシーブ装置
CN113073630A (zh) 一种插接式振冲碎石桩机的施工方法和装置
JP5187250B2 (ja) 振動杭打抜機
KR101300281B1 (ko) 오거부착 바이브로해머를 이용한 강판 근입장치 및 방법
JP3793760B2 (ja) 免震構造物
KR20210061763A (ko) 항타용 직진도유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항타기기
CN204849765U (zh) 一种沉桩扩孔机
KR20150124728A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시트파일 시공장치
CN114657987B (zh) 水泥土桩无震感插入钢管的施工方法
KR102477996B1 (ko) 측면 파지식 진동 파일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4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