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82991B1 - 차량용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991B1
KR102582991B1 KR1020180115193A KR20180115193A KR102582991B1 KR 102582991 B1 KR102582991 B1 KR 102582991B1 KR 1020180115193 A KR1020180115193 A KR 1020180115193A KR 20180115193 A KR20180115193 A KR 20180115193A KR 102582991 B1 KR102582991 B1 KR 10258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input device
switching
vehicl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21A (ko
Inventor
백조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991B1/ko
Priority to US16/207,783 priority patent/US10596908B1/en
Priority to CN201811485764.9A priority patent/CN110949278B/zh
Publication of KR2020003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9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7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retractable; Flush control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01H2003/085Retractable turn knobs, e.g. flush 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타입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용 입력장치는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노브를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및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타입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차량용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사용자에게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장치들이 내장되고 있고, 전자장치에는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차량용 입력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차량의 기능들을 쉽게 호출함으로써 기능 조작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차량용 입력장치들에 관한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입력장치 중 하나로, 다이얼을 돌려 조작하는 다이얼 입력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직접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함으로써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장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입력장치들은 차량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이얼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노브를 잡고 회전하며, 상하 좌우 또는 다방형 스크롤 등의 동작을 하는 돌출형 타입, 및 사용자가 손으로 노브를 잡을 필요가 없이 손가락의 끝으로 노브링을 돌리거나, 상하 좌우 또는 다방향 스크롤 등의 동작을 하도록 개선된 오목형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형 타입은 단순히 손가락만으로 돌출형 타입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입력 방식과 조작 방식을 단순화 시켜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돌출형 타입에 익숙한 사용자는 손가락만을 사용하는 오목형 타입의 방식에 익숙하지 않아 돌출형 타입을 선호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다이얼 입력장치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돌출형 타입이나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돌출형 타입과 오목형 타입으로 상호 전환되도록 개선된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가 이동 가능하도록 개선된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노브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도록 개선된 차량용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상기 노브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의 제1전환단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노브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상기 노브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전환부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노브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가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노브 및 상기 전환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전환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제1커버단부가 상기 전환부재의 제2전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환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2커버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커버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노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의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고, 대향하는 회전부는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상기 노브에 연결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노브를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돌출형 타입과 오목형 타입으로 상호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노브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는 노브와 함께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개선된 전환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돌출형 타입과 오목형 타입으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기어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에서 돌출형 타입으로 전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의 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회전부가 고정된 단위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회전부가 회전되는 단위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의 전환부재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기어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43)의 후방은 센터콘솔(47)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어박스(43)와 센터콘솔(47)이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달리 기어박스(43)와 센터콘솔(47)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기어박스(43)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장치(46) 및 변속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이 설치 또는 내장될 수 있다. 기어박스(43)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입력수단들이 설치될 수 있다.
기어박스(43)에는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입력수단(43a)들이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미려한 디자인과 통일된 조작을 위해 하나의 입력수단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센터콘솔(47)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센터콘솔(47)의 상부에는 운전자가 팔을 내려 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부(48)가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는 암레스트부(48)에 팔을 지지한 채로 변속장치(46)를 조작하거나, 버튼입력수단(43a)을 누를 수 있다.
암레스트부(48)는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푹신하거나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암레스트부(48)는 고급스러운 외관을 위해 가죽으로 마감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센터콘솔(47)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암레스트부(48)를 개방하면 수납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기어박스(43)에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 내부의 디스플레이장치들과 접속되어, 디스플레이장치들에 표시되는 각종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기어박스(43)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는 커서(Cursor)를 움직이거나 또는 아이콘(Icon)을 실행할 수 있다. 아이콘(Ion)은 메인 메뉴, 선택 메뉴,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의 운행 조건을 설정하거나, 차량의 주변 기기들을 실행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다이얼 입력장치, 터치 입력장치, 또는 혼합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고 회전 조작이 가능한 노브(knob)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고, 터치 입력장치는 상부면에 터치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다이얼을 잡고 회전하며, 상하 좌우 또는 다방형 스크롤 등의 동작을 하는 돌출형 타입, 및 사용자가 손으로 다이얼을 잡을 필요가 없이 손가락의 끝으로 다이얼링을 돌리거나, 상하 좌우 또는 다방향 스크롤 등의 동작을 하도록 개선된 오목형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형 타입은 단순히 손가락만으로 돌출형 타입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입력 방식과 조작 방식을 단순화 시켜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돌출형 타입에 익숙한 사용자는 손가락만을 사용하는 오목형 타입의 방식에 익숙하지 않아 돌출형 타입을 선호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다이얼 입력장치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돌출형 타입이나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다이얼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혼합형을 포함할 수 있고, 돌출형 타입 및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 가능한 다이얼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차량 내의 뒷자석에 마련되는 센터플레이트(미 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뒷자석의 센터플레이트(미 도시)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 뒷자석 좌측 시트(미 도시)와 우측 시트(미 도시)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컵홀더 또는 다양한 버튼 등의 입력수단들이 마련되어 뒷자석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플레이트(49)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110), 및 노브(110)와 함께 회전되도록 노브(110)와 연결되는 전환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0)는 노브바디(112) 및 노브바디(112)의 상부에 마련되는 터치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110)의 외측면을 쥔 상태에서 돌리는 동작에 의해 차량용 입력장치(100)에 회전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노브(110)는 소정의 회전축을 따라 소정의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110)는 노브(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110)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노브(110)를 회전시키거나 노브(110)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소정의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노브(110)는 그 내부에 동작과 관련된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노브(110)의 내부에는 노브(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부재(미 도시) 및 이와 관련된 각종 부품, 일례로 베어링(미 도시)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노브(110)는 상면에 터치를 통한 입력이 가능한 터치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1)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지시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한 형상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오목한 곡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터치부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터치부(111)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1)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터치부(111)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촉감으로 터치부(111)의 터치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스핀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의 내부에는 각종 반도체칩 및 인쇄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반도체칩은 정보 처리를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부(111)는 누름 동작 또는 기울어짐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부(111)에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111)의 일 부분을 누르거나 기울임으로써 그에 따른 실행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누름 동작은 터치부(111)가 평행하게 눌려지는 경우와 기울어지게 눌려지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11)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는 경우 일 부분만이 눌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의 돌출 또는 요입에 따라 돌출형 타입 또는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돌출형 타입을 적용시킬 경우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를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고, 오목형 타입을 적용시킬 경우 노브(100) 및 전환부재(130)를 플레이트(49)로부터 요입시킬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터치부(111)의 외곽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전환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전환부재(130)는 노브(110)의 원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노브(110)의 터치부(111)는 제스처입력부로서, 그리고 노브(100) 및 전환부재(130)는 스와이핑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는 전환부재(130)를 따라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환부재(13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스와이핑 제스처가 입력되는 시점과 종점이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제스처로 입력될 수 있다.
노브(11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전환부재(130)에 입력되는 스와이핑 제스처와 노브(11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전환부재(130)에 입력되는 스와이핑 제스처는 서로 다른 동작을 야기시킬 수 있다.
같은 지점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여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제스처의 종점이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는 위치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는 탭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탭 하는 전환부재(13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명령이나 지시를 내릴 수 있다.
전환부재(130)의 경사도는 전환부재(130)와 터치부(111)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터치부(111)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1)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전환부재(130)의 경사도가 터치부(111)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터치부(111)의 터치영역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터치부(111)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전환부재(130)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부(111)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전환부재(130)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터치부(111)의 제스처 입력과 전환부재(130)의 스와이핑 제스처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전환부재(130)는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되는 노브(110)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플레이트(49)로부터 요입되는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오목형 타입에서 돌출형 타입으로 전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9, 도 3 참조)는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가 수용되는 수용부(49a)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재(130)의 제1전환단부(131)는 전환부재(130)가 노브(110)와 함께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노브(110)에 지지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노브(110)를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120)은 노브(110)를 이동시키도록 노브(110)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21) 및 이동부재(121)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재(121)는 링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부재(12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유닛(120)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 하도록 한다.
전환부재(130)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노브(1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전환부재(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전환부재(130)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재(141) 및 노브(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142)는 노브바디(11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노브바디(11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141)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고, 제2가이드부재(140)는 노브(110)의 이동과 연동되어 노브(11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승 또는 하강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도넛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가이드부재(141)에는 별도의 키버튼(미 도시) 또는 터치버튼(미 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부(111)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고, 전환부재(130) 주위의 제1가이드부재(141)에 마련되는 버튼(미 도시)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제1가이드부재(141)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지지수단(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전환부재(130)는 제1가이드부재(141)와의 경계선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재(130)는 제1가이드부재(141)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제1가이드부재(141)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전환부재(130)가 제1가이드부재(141)와의 경계선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환부재(13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는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제1가이드부재(141)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가 전환부재(1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커버부재(150)의 제1커버단부(151)는 전환부재(130)의 제2전환단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제1가이드부재(14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전환부재(1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전환부재(130)의 이동과 연동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플레이트(49)의 수용부(49a)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수용부(49a)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노브(110) 및 커버부재(1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원형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50)는 도넛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재(140)는 전환부재(130)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43)는 제1가이드부재(141)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144) 및 제2가이드부재(142)에 마련되는 제2고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44)는 커버부재(150)의 제2커버단부(152)를 고정할 수 있고, 제2고정부(145)는 커버부재(150)의 제1커버단부(151)를 고정할 수 있다. 제1커버단부(151)는 제2전환단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143)는 커버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 또는 돌출형 타입으로 전환되는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로부터 요입되어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에서, 구동부재(122)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부재(121)가 노브(110)를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브(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제1전환단부(131)가 노브(110)의 일측에 연결된 전환부재(130)와 함께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가 돌출되며 노브(110)의 외주면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플레이트(49)의 수용부(49a)는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에 배치된 커버부재(15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즉, 제1커버단부(151)가 전환부재(130)의 제2전환단부(132)에 연결되어 전환부재(1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커버부재(150)가 슬라이딩하며 제1가이드부재(141)로부터 인출되어 수용부(49a)를 커버할 수 있다.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전환된 경우 인출된 커버부재(150)의 제1커버단부(151)가 제2가이드부(142)에 배치된 제2고정부(14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도 커버부재(150)와 함께 고정되어,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차량용 입력장치(100)를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하는 경우, 제2고정부(145)에 고정된 커버부재(150)의 고정이 해제되고 구동유닛(120)에 의해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로부터 요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환부재(130)의 이동에 연동되어 커버부재(150)가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제2커버단부(152)가 제1가이드부재(141)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1고정부(14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도 커버부재(150)와 함께 고정되어,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의 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회전부가 고정된 단위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회전부가 회전되는 단위전환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상태의 전환부재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재(130)는 전환부재(130)가 노브(110, 도 3 참조)를 둘러싸도록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는 노브(110)와 연결되는 지지부(133) 및 지지부(1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34)는 지지부(133)의 양측에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134)는 지지부(133)와 포개어질 수 있다. 회전부(134)는 지지부(133)의 배면에 포개어질 수 있다.
회전부(134)는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 도 3 참조)로부터 요입되는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펼쳐지도록 지지부(133)의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34)는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로부터 요입되는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펼쳐지도록 지지부(13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134)는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되는 노브(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부(133)의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34)는 전환부재(130)가 플레이트(49)로부터 돌출되는 노브(1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지지부(133)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는 회전부(134)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지지부(133)에 마련되는 제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135)는 지지부(133)와 포개어질 수 있다.
제한부(135)는 차량용 입력장치(100, 도 3 참조)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 회전부(134)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회전부(134)의 일측은 제한부(135)의 일측과 접촉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제한부(134)는 지지부(133)의 배면에 포개어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13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고 배열되어 노브(1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대향하는 회전부(134)는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지지부(133)는 사각형상을 포함하고, 회전부(134) 및 제한부(135)는 삼각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133), 회전부(134), 및 제한부(135)는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 또는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 또는 오목형 타입으로 전환되는 경우, 전환부재(130)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돌출형 타입으로 적용된 경우,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133)는 노브(110)의 외주면을 완전히 감쌀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133)는 면접촉할 수 있다.
회전부(134)는 제한부(13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고 지지부(133) 및 노브(11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대향하는 회전부(134)는 서로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다. 회전부(134)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두 개의 지지부(133)에 반씩 포개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가 오목형 타입으로 적용된 경우,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133)는 노브(110)의 둘레를 따라 펼쳐질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지지부(133)는 선접촉할 수 있다.
회전부(134)는 제한부(135)와 이격될 수 있고, 회전부(134)는 노브(110)와 제1가이드부재(141, 도 4 참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대향하는 회전부(134)는 서로 일부 포개어질 수 있다. 회전부(134)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130a)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130a)의 두 개의 지지부(133)에 일부씩 포개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에 있어서, 구동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a)는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a)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와의 차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a)의 구동유닛(120a)은 노브(110)를 이동시키도록 노브(110)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21a) 및 이동부재(121a)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120a)은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23), 및 스크류(123)와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너트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22)는 전기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122)인 모터는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스크류(123)는 구동부재(122)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재(124)는 스크류(123)와 결합하여 구동부재(122)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너트부재(124)는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어, 스크류(123)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스크류(123)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너트부재(124)는 스크류(123)가 관통하는 관통홀(미 도시)이 형성되고, 스크류(123)의 외경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너트부재(124)의 내경에 형성되는 나사산(또는 나사골) 사이에는 마찰을 저감할 수 있는 볼베어링(미 도시)이 개재되어 스크류(123)의 회전력 손실을 최소로 하여 너트부재(124)에 전달할 수 있다.
너트부재(124)의 일 측에는 이동부재(121a)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121a)는 너트부재(124)의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12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124)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121a)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출된 노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스크류(123)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너트부재(124)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노브(110)가 플레이트(49)의 수용부(49a)에 수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b)는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유닛(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b)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와의 차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100b)의 구동유닛(120b)은 노브(110)를 이동시키도록 노브(110)와 연결되는 이동부재(121b) 및 이동부재(121b)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120b)은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25), 및 피니언기어(125)와 기어 결합하여 병진 이동하는 랙기어(126)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125)는 구동부재(122)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126)는 피니언기어(125)와 결합하여 구동부재(122)의 회전 운동을 병진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랙기어(126)는 병진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 도시)에 지지되어 피니언기어(125)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랙기어(126)는 이동부재(121b)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10)는 랙기어(126)의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유닛(120b)의 동작 모습을 설명하면,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125)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기어(126)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동부재(121b)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출된 노브(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부재(122)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기어(12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랙기어(126)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노브(110)가 플레이트(49)의 수용부(49a)에 수납될 수 있다.
한편, 구동유닛(120, 도 6 참조)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브(110) 및 전환부재(1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유닛(120)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 도시), 탄성부재(미 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 도시)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동부재(121)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43a: 버튼입력수단 47: 센터콘솔
48: 암레스트부 49: 플레이트
49a: 수용부 100, 100a, 100b: 차량용 입력장치
110: 노브 111: 터치부
112: 노브바디 120, 120a, 120b: 구동유닛
121, 121a, 121b: 이동부재 122: 구동부재
123: 스크류 124: 너트부재
130: 전환부재 130a: 단위전환부재
131: 제1전환단부 132: 제2전환단부
133: 지지부 134: 회전부
135: 제한부 140: 가이드부재
141: 제1가이드부재 142: 제2가이드부재
143: 고정부 144: 제1고정부
145: 제2고정부 150: 커버부재
151: 제1커버단부 152: 제2커버단부

Claims (17)

  1.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노브;
    상기 노브를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 및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거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의 제1전환단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노브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상기 노브에 지지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노브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전환부재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노브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가지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노브 및 상기 전환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커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전환부재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제1커버단부가 상기 전환부재의 제2전환단부와 연결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입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전환부재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2커버단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제1커버단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가지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노브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노브를 둘러싸도록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연결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펼쳐지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전환부재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피봇 회전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전환부재의 지지부는 서로 연결되고, 대향하는 회전부는 서로 포개어지는 차량용 입력장치.
  16.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마련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 또는 요입되도록 상기 노브에 연결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재는 상기 노브를 둘러싸도록 연결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전환부재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노브의 외주면을 감싸는 지지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요입되는 상기 노브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장치.
KR1020180115193A 2018-09-27 2018-09-27 차량용 입력장치 Active KR10258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93A KR102582991B1 (ko) 2018-09-27 2018-09-27 차량용 입력장치
US16/207,783 US10596908B1 (en) 2018-09-27 2018-12-03 Input apparatus for vehicle
CN201811485764.9A CN110949278B (zh) 2018-09-27 2018-12-06 用于车辆的输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93A KR102582991B1 (ko) 2018-09-27 2018-09-27 차량용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21A KR20200035721A (ko) 2020-04-06
KR102582991B1 true KR102582991B1 (ko) 2023-09-26

Family

ID=6990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193A Active KR102582991B1 (ko) 2018-09-27 2018-09-27 차량용 입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96908B1 (ko)
KR (1) KR102582991B1 (ko)
CN (1) CN1109492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87962B2 (en) 2013-09-03 2025-04-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TWI537810B (zh) 2014-06-27 2016-06-11 蘋果公司 減小尺寸之使用者介面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DE102017217591A1 (de) * 2017-10-04 2019-04-04 Audi Ag Bediensystem mit dreidimensionaler Anzeige für ein Fahrzeug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DE102019114111A1 (de) * 2019-05-27 2020-1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Wahlregler für eine Audioeinheit, Audioeinheit und Fahrzeug
DE102019218786A1 (de) * 2019-12-03 2021-06-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tastenanordnung und Bedienelement mit einer solchen Bedientastenanordnung
JP7323500B2 (ja) * 2020-10-15 2023-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レクタユニット
DE102021108691A1 (de) 2021-04-07 2022-10-13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Schaltereinheit zur Steuerung mindestens einer ersten und einer zweiten Vorrichtung
KR102379119B1 (ko) * 2021-10-30 2022-03-25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조작 장치
IT202200007877A1 (it) 2022-04-21 2023-10-21 Ferrari Spa Manopola di comando per un autoveicolo
WO2024064401A2 (en) * 2022-09-24 2024-03-28 App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input mechanis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101A1 (en) * 2004-07-09 2008-02-21 Daimlerchrysler Ag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US9477329B1 (en) 2015-12-21 2016-10-25 Thunder Power Hong Kong Ltd. Vehicle interior control system having knobs with plurality of display representations
US20170001521A1 (en) 2015-07-02 2017-01-05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5675A1 (de) * 1996-11-06 1998-05-07 Mannesmann Vdo Ag Schalteinrichtung
JPH1196853A (ja) * 1997-09-24 1999-04-09 Harness Syst Tech Res Ltd 多機能制御パネル及び制御装置
US6564661B2 (en) * 2001-02-01 2003-05-20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torable shifter with electronic gear shift reset
DE102004019893B4 (de) * 2004-04-23 2024-03-28 Volkswagen Ag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JP2008201275A (ja) * 2007-02-20 2008-09-04 Tokai Rika Co Ltd 遠隔操作式入力装置
KR101110316B1 (ko) * 2009-01-15 2012-02-1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레인지 스위치 장치
JP2010182446A (ja) * 2009-02-03 2010-08-19 Alps Electric Co Ltd 入力操作装置
KR101722542B1 (ko) * 2015-09-07 2017-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316966B2 (en) * 2016-12-15 2019-06-11 Dura Operating, Llc Biometric shifter for a vehicle
KR102370914B1 (ko) * 2020-12-18 2022-03-08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101A1 (en) * 2004-07-09 2008-02-21 Daimlerchrysler Ag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A Vehicle
US20170001521A1 (en) 2015-07-02 2017-01-05 Hyundai Motor Company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9477329B1 (en) 2015-12-21 2016-10-25 Thunder Power Hong Kong Ltd. Vehicle interior control system having knobs with plurality of display represen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6908B1 (en) 2020-03-24
CN110949278A (zh) 2020-04-03
KR20200035721A (ko) 2020-04-06
CN110949278B (zh) 2024-08-27
US20200101845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2991B1 (ko) 차량용 입력장치
US8259077B2 (en) Electronic device for inputting user command 3-dimensionally and method for employing the same
US9811200B2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input device
KR101728334B1 (ko)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9021291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uman-machine interface and human-machine interface
US20160378200A1 (en) Touch input devic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5891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터치 입력장치의 제어방법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681990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5607772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US10126938B2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05607770B (zh) 触摸输入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车辆
US10514784B2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7844205B (zh) 触摸输入设备以及包括该触摸输入设备的运载工具
JP6221952B2 (ja) 入力装置
WO2014049794A1 (ja) 電子機器
KR10172254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160170507A1 (en) Touch pad module, remote inpu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mote input system
JP6326926B2 (ja) 車両用入力装置
JP5954156B2 (ja) 車載情報処理装置
KR20160064980A (ko) 차량용 집중 조작 시스템
JP2004130979A (ja) 力覚付与型入力装置
KR20200082373A (ko) 차량용 변속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5935671B2 (ja) 車両用入力装置
KR20080050641A (ko) 인체공학적인 터치패드 포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