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9916B1 -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 Google Patents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16B1
KR102579916B1 KR1020220149361A KR20220149361A KR102579916B1 KR 102579916 B1 KR102579916 B1 KR 102579916B1 KR 1020220149361 A KR1020220149361 A KR 1020220149361A KR 20220149361 A KR20220149361 A KR 20220149361A KR 102579916 B1 KR102579916 B1 KR 10257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whirlpool
treadmill structure
powered treadmill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원
Original Assignee
최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원 filed Critical 최병원
Priority to KR1020220149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1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adiation therapy
    • A63B2213/002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판(110)과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트랙 전방회전부(130)와 트랙 후방회전부(140)와 무한궤도부(150)로 구성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 욕조 형태의 케이스(200), 및 케이스(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월풀모터와 보일러와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단에 스파기능과 온풍기능과 온수기능을 조작하여 담수상태와 습식상태와 건식상태에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를 통한 워터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주행속도와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터치패드타입의 모니터(301)가 배치된, 제어단(300)을 포함하여,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WHIRLPOOL HAVING NON POWER TREADMILL STRUCTURE}
본 발명은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칼로리소비를 증가시키고, 무중력환경을 제공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할 수 있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밀(treadmill)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전동모터에 의해 러닝 벨트가 돌아가는 형태로 사용자가 반복적인 걷기 또는 러닝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예컨대, 트레드밀은 사용자가 트래킹, 조깅 또는 러닝을 할 수 있도록 회전하는 롤러 조립체에 의해, 롤러 조립체 상부에서 지지되는 루프형 러닝 벨트를 발판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한편, 트레드밀은 수동식 트레드밀 또는 전동식 트레드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운동 강도의 변화를 주기 위해, 특히 비전동식의 트레드밀은 만곡될 수 있고, 수동식 트레드밀은 역방향으로 루프형 벨트의 상당한 이동, 즉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면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트래킹과 러닝시에 러닝 벨트로부터 롤러 조립체와 지면으로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괘적한 운동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층간소음이 발생하여 민원이 제기될 수도 있다.
이에, 스파기능과 결합시켜, 트래킹과 러닝시에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층간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월풀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183호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2019.06.2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761호 (운동 트레드밀, 2020.08.13)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칼로리소비를 증가시키고, 무중력환경을 제공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할 수 있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여 직립 형성되고, 삼각편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상방으로 휘어진 한쌍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 사이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중앙회전부,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의 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전방회전부,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의 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후방회전부, 및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상기 트랙 전방회전부와 트랙 후방회전부의 각 베어링과 접촉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트랙연결띠와, 상기 트랙연결띠의 상단에 무한궤도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웃하는 베어링의 이격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물결형태를 출렁이는 다수의 슬래트로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판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력에 의해 무한회전하는, 무한궤도부로 이루어진,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저면과 양측면과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여 수밀되도록 상호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 구비된 샤워기와,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내측을 향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모듈과, 스파기능 또는 온풍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분사모듈을 구비한, 욕조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되며, 월풀모터와 보일러와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단에 스파기능과 온풍기능과 온수기능을 조작하여 담수상태와 습식상태와 건식상태에서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통한 워터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주행속도와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터치패드타입의 모니터가 배치된, 제어단;을 포함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 측면에 일정높이로 1단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 측면에 일정높이로 2단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후방 내측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탈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래트는 편백나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는 상기 트랙연결띠의 저면에는 압축성 소재의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래트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충격방지패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한궤도부의 상단에는 귀사문석 재질의 지압구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스터드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지지축에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칼로리소비를 증가시키고, 무중력환경을 제공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래킹과 러닝시에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층간소음을 방지하여 쾌적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슬래트가 물결형태로 출렁이도록 하여 트래킹 또는 러닝시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자연스럽게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의 후면도를 예시한 것ㅇ이다.
도 3은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의 평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의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의 분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의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의 슬래트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4의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의 변형예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은, 전체적으로, 지지판(110)과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트랙 전방회전부(130)와 트랙 후방회전부(140)와 무한궤도부(150)로 구성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 욕조 형태의 케이스(200), 및 케이스(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월풀모터와 보일러와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단에 스파기능과 온풍기능과 온수기능을 조작하여 담수상태와 습식상태와 건식상태에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를 통한 워터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주행속도와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터치패드타입의 모니터(301)가 배치된, 제어단(300)을 포함하여,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을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지판(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여 직립 형성된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삼각편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상방으로 휘어져서, 무한궤도부(150)의 전방이 후방보다 높도록 하여 트래킹과 러닝이 사용자가 전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110) 사이에는 가로질러 보강판이 결합되어 직립구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고하면, 지면과 접촉하는 저면의 전단과 중앙과 후단에는 코일스프링(111)이 각각 배치되어서, 트래킹과 러닝시에, 사용자의 하중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완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판(110)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전단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경사조절구가 형성되고, 경사조절구는 무한궤도부(150)의 회전속도에 따라 경사도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수동작동없이도 트래킹과 러닝에 적합한 경사도록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무한궤도부(15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인코더를 통해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여서,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기어단을 통해 나사체결되는 부시에 결합되는 지지판(110)의 저면의 높이를 조절하여 저속 운동시에 비해 고속운동시에 경사도를 높게 가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래트(152)의 양단과 대향하는 지지판(110)의 내측면에는 슬래트(152)의 양단을 가압하는 클러치(미도시)가 형성되고, 클러치를 통해 무한궤도부(150)의 회전부하를 조정하여서, 사용자에 의해 클러치에 의한 가압정도를 제어하여 트래킹과 러닝시의 운동효과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트랙 중앙회전부(120)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지지판(110)의 상부 사이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고 지지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다수 배열된 지지축(121)과, 지지축(12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무한궤도부(150)의 무한회전을 유도하는 한 쌍의 베어링(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축(121)은 스터드볼트로 이루어지며, 지지축(121)의 양단은 각 지지판(110)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베어링(122)은 지지축(121)에 너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122)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되어서, 무한궤도부(15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여 사용시에 역방향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숟도 있다.
트랙 전방회전부(130)는, 도 5를 참고하면,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지지판(110)의 전단에 결합되며, 지지판(110)의 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131)과, 지지축(13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1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트랙 전방회전부(130)는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지지판(110)에서 무한궤도부(150)의 슬래트(152)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트랙 후방회전부(140)는, 도 5를 참고하면,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지지판(110)의 후단에 결합되며, 지지판(110)의 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141)과, 지지축(141)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14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트랙 후방회전부(140)는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지지판(110)에서 무한궤도부(150)의 슬래트(152)가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무한궤도부(1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트랙 중앙회전부(120)와 트랙 전방회전부(130)와 트랙 후방회전부(140)의 각 베어링(122,132,142)과 각각 접촉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트랙연결띠(151)와, 트랙연결띠(151)의 상단에 무한궤도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웃하는 베어링(122,132,142)의 이격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물결형태를 출렁이는 다수의 슬래트(152)로 구성되어서, 지지판(110)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력에 의해 무한회전하도록 한다.
즉, 도 6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슬래트(152)의 폭(W)은 이웃하는 베어링(122,132,142)의 이격폭(D)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서, 슬래트(152)가 특히 트랙 중앙회전부(120)의 베어링(122)에 의해 지지되면서 물결형태를 출렁이도록 하여서, 트래킹 또는 러닝시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자연스럽게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슬래트(152)는 나무재질, 특히 편백나무로 이루어져서, 피톤치드의 천연 항균물질을 발산하여 발바닥의 냄새를 제거하고 살균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래트(152)의 양측면은 일정곡률반경으로 라운드져 가공되어 무한궤도방식의 회전시에 이웃하는 슬래트(152)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어링(122)과 접촉하는 트랙연결띠(151)의 저면에는 압축성 소재의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되어서, 사용시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여 쾌적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층간소음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개별 슬래트(152)의 외주면, 특히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충격방지패드(153)가 배치되어서, 사용시 충격과 소음을 흡수하여 쾌적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층간소음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방지패드(153)는 슬래트(152)의 상면에 측면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어서, 충격방지패드(153)의 손상시에 교체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래트(152)의 상단에는 귀사문석 재질의 지압구(154)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서, 운동시에 사용자의 발바닥에 지압효과를 제공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압구(154)는 슬래트(152)의 상단에 볼트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서 개별 지압구(154)의 손상시에 개별적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개별 슬래트(152)별로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H빔 형태의 보강바(155)가 삽입되어서, 슬래트(152)의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시에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을 참고하면, 개별 슬래트(152)별로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탄성소재의 띠(156)가 이격 배치되어 이웃하는 무한궤도방식의 회전시의 슬래트(152)와의 접촉시의 손상 또는 소음을 완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케이스(200)는 편백나무재질로 구성되고 배수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욕조 형태로 형성되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저면과 양측면과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여 수밀되도록 상호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 구비된 거치형 샤워기(201)와,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내측공간을 향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모듈(202)과, 스파기능 또는 온풍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분사모듈(203)을 구비한다.
여기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는 케이스(200)의 저면에 만입된 공간에 수용되며, 만입된 공간의 양측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거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만입된 공간의 양측면에는 무한궤도부(150)의 양단을 커버하는 고무패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사모듈(203)은 저면과 양측면과 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후면에는 사용자가 출입가능하도록 힌지회전하고, 케이스(200)의 후면과 출입문(204) 사이에는 실링이 형성되어 수밀되도록 하는 출입문(204)이 형성될 수 있고, 출입문(204)의 일측은 케이스(200)에 일측면에 힌지결합하고, 출입문(204)의 타측은 걸쇠를 통해 개폐되도록 하며, 제어단(300)은 센설르 통해 걸쇠에 의한 출입문(204)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케이스(200)의 내부공간으로의 물의 주입을 단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출입문(204)에는 누수센서(미도시)가 형성되어, 누수시에 제어단(300)의 스피커를 부저음을 전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내측 측면에 일정높이로 1단 손잡이(205)가 형성되고, 케이스(200)의 상단 측면에 일정높이로 2단 손잡이(206)가 형성되어서, 사용자의 키높이 또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2단 손잡이(206)는 제어단(300)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전기모터의 구동축에 기어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2단 손잡이(206)의 외주면에는 전기모터와 연동하여 캠링크회전하는 지압구가 형성되어, 지압구가 2단 손잡이(206)로부터 일정시간간격으로 전후진하여 손바닥에 지압효과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고, 2단 손잡이(206)의 내측에는 열선이 내장되어 제어단(300)의 조작에 의해 열선을 통해 히팅기능을 제공하여 추운 환경에서도 추위로 인한 불편함없이 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200)의 후방 내측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탈부착되도록 배치되어서, 의자에 앉아 스파에 의한 마사지를 제공받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저면에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모듈(미도시)이 배치되어서, 사용자의 보폭 또는 케이스(200)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의 경사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앞선 언급한 바와 같이, 워터워크 후 배수한 후에, 분사모듈(203)을 통해 온풍을 송풍하여 건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바닥판 저면에는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휠(207)이 형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의 양측면에는 투명창(208)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운동상태와 수위를 외부에서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00)에는 아로마향의 액상액을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통해 운동시 또는 스파시에 액상액이 투입되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워터워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단(3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케이스(200)의 전방에 형성되며, 스파기능을 제공하는 월풀모터와, 온수를 제공하는 보일러와 순환펌프가 내장되어 구비되고, 상단에 스파기능과 온풍기능과 온수기능을 조작하여 담수상태와 습식상태와 건식상태에서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100)를 통한 워터워크(waterwalk)가 가능하도록 하고, 무한궤도부(150)의 주행속도와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터치패드타입의 모니터(301)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의 구성을 통해, 워터워크를 수행하여 수압에 의해 혈액순환을 개선하도록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칼로리소비를 증가시키고, 무중력환경을 제공하여 관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지지판 111 : 코일스프링
120 : 트랙 중앙회전부 121 : 지지축
122 : 베어링 130 : 트랙 전방회전부
131 : 지지축 132 : 베어링
140 : 트랙 후방회전부 141 : 지지축
142 : 베어링 150 : 무한궤도부
151 : 트랙연결띠 152 : 슬래트
153 : 충격방지패드 154 : 지압구
155 : 보강부 156 : 띠
200 : 케이스 201 : 샤워기
202 : 원적외선모듈 203 : 분사모듈
204 : 출입문 205 : 1단 손잡이
206 : 2단 손잡이 300 : 제어단
301 : 모니터

Claims (9)

  1.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여 직립 형성되고, 삼각편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방향을 향해 일정각도 상방으로 휘어진 한쌍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 사이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중앙회전부,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의 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전방회전부,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지지판의 후단에 가로질러 결합되어 고정되는 4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으로 구성된, 트랙 후방회전부, 및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랙 중앙회전부와 상기 트랙 전방회전부와 트랙 후방회전부의 각 베어링과 접촉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트랙연결띠와, 상기 트랙연결띠의 상단에 무한궤도 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이웃하는 베어링의 이격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물결형태를 출렁이는 다수의 슬래트로 구성되어서, 상기 지지판에 의해 가이드되어 외력에 의해 무한회전하는, 무한궤도부로 이루어진,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저면과 양측면과 전후면을 각각 커버하여 수밀되도록 상호 결합되고, 전방 내측에 구비된 샤워기와, 양측면 내부에 형성되어 내측을 향해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모듈과, 스파기능 또는 온풍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분사모듈을 구비한, 욕조 형태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형성되며, 월풀모터와 보일러와 순환펌프가 구비되고, 상단에 스파기능과 온풍기능과 온수기능을 조작하여 담수상태와 습식상태와 건식상태에서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통한 워터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주행속도와 온수온도를 표시하는 터치패드타입의 모니터가 배치된, 제어단;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 측면에 일정높이로 1단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단 측면에 일정높이로 2단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슬래트는 편백나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래트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충격방지패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지면과 접촉하는 저면의 전단과 중앙과 후단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전단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경사조절구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조절구는 상기 무한궤도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경사도를 조정하고,
    상기 슬래트의 양단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래트의 양단을 가압하는 클러치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방지패드는 상기 슬래트의 상면에 측면으로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충격방지패드의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 내측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가 탈부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의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모듈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는 상기 트랙연결띠의 저면에는 압축성 소재의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부의 상단에는 귀사문석 재질의 지압구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스터드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지지축에 너트를 통해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KR1020220149361A 2022-11-10 2022-11-10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Active KR10257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361A KR102579916B1 (ko) 2022-11-10 2022-11-10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361A KR102579916B1 (ko) 2022-11-10 2022-11-10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16B1 true KR102579916B1 (ko) 2023-09-15

Family

ID=8801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361A Active KR102579916B1 (ko) 2022-11-10 2022-11-10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5837A (ko) 2023-10-18 2025-04-25 (주)동아금속 4d형 트레드밀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92U (ko) * 1999-04-24 2000-11-25 신재욱 좌대를 가진 욕조
KR20030086474A (ko) * 2003-09-23 2003-11-10 민용기 런닝머신용 지압벨트
KR200349186Y1 (ko) * 2003-11-25 2004-05-04 이정교 운동기구용 부쓰
US20140011642A1 (en) * 2009-11-02 2014-01-09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KR101982183B1 (ko) 2017-10-27 2019-05-24 주식회사 디랙스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JP6635572B1 (ja) * 2019-02-18 2020-01-29 株式会社ナチュラルクリエイト 運動機器
KR20200096761A (ko) 2017-12-06 2020-08-13 라이프코어 피트니스, 인크. 운동 트레드밀
CN111821650A (zh) * 2019-04-16 2020-10-27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无动力履带式跑步机
KR20200143266A (ko) * 2019-06-15 2020-12-23 장보영 저항장치를 이용한 부하조절 무동력 슬랫 포함 트레드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992U (ko) * 1999-04-24 2000-11-25 신재욱 좌대를 가진 욕조
KR20030086474A (ko) * 2003-09-23 2003-11-10 민용기 런닝머신용 지압벨트
KR200349186Y1 (ko) * 2003-11-25 2004-05-04 이정교 운동기구용 부쓰
US20140011642A1 (en) * 2009-11-02 2014-01-09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KR101982183B1 (ko) 2017-10-27 2019-05-24 주식회사 디랙스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KR20200096761A (ko) 2017-12-06 2020-08-13 라이프코어 피트니스, 인크. 운동 트레드밀
JP6635572B1 (ja) * 2019-02-18 2020-01-29 株式会社ナチュラルクリエイト 運動機器
CN111821650A (zh) * 2019-04-16 2020-10-27 环玮健康科技国际企业股份有限公司 无动力履带式跑步机
KR20200143266A (ko) * 2019-06-15 2020-12-23 장보영 저항장치를 이용한 부하조절 무동력 슬랫 포함 트레드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55837A (ko) 2023-10-18 2025-04-25 (주)동아금속 4d형 트레드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8473A (en) Treadmill with trampoline-like surface
KR200176650Y1 (ko) 자동 온열 치료장치
KR102579916B1 (ko)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US20110082400A1 (en) Massage mechanism with a moveable massage set having a biased movement
KR20100094336A (ko) 운동장치
US20100248922A1 (en)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US4892090A (en) Guided running belt over massage rollers having varying projections
CN111228740B (zh) 多方式减重干湿两用全方位步行康复训练系统
KR101553784B1 (ko) 발반사구 지압유도 워킹머신
KR100317232B1 (ko) 온열치료용 침대
JP4925449B2 (ja) マッサージ機
JP2022504375A (ja) ウォータジェットを用いて乾式マッサージするための装置
CN201012165Y (zh) 具有腿部按摩功能的家用温热理疗床
KR101194018B1 (ko) 지압 런닝머신
KR200247978Y1 (ko) 다리마사지장치
KR102579917B1 (ko) 월풀용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
WO2008040985A1 (en) Treadmill device
CN212235820U (zh) 多方式减重干湿两用全方位步行康复训练系统
KR102393226B1 (ko)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KR20210090025A (ko) 애완동물의 수중겸용 러닝머신
KR200424594Y1 (ko) 자동 전신 맛사지기
KR100513566B1 (ko) 안마장치
KR100531143B1 (ko) 물을 이용한 롤링 마사지 침대
KR100698556B1 (ko) 워킹머신
KR102180390B1 (ko) 수중 걷기 운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