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892B1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4892B1 KR102574892B1 KR1020210188630A KR20210188630A KR102574892B1 KR 102574892 B1 KR102574892 B1 KR 102574892B1 KR 1020210188630 A KR1020210188630 A KR 1020210188630A KR 20210188630 A KR20210188630 A KR 20210188630A KR 102574892 B1 KR102574892 B1 KR 102574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ate
- inflow
- torque
- amount
- eg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34 in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47—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 F02D41/005—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according to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W20/16—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for reducing engine exhaust emis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41/0007—Controlling intake air for control of turbo-charged or super-charged engin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35—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means for cleaning or treating the recirculated gases, e.g. catalysts, condensate traps, particle filters or hea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33—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using a model or simulation of the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8—Control of the engine output torqu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는 응축수 생성 실험모델(10)의 구성도이고,
도 3b는 응축수 제거 실험모델(20)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운전자요구 토크(30)와 e-SC를 이용한 과급에 의한 엔진 실제토크(34)와 MHSG 토크의 관계 설명도이다.
도 5a는 팁인 상황에서의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구성도이다.
도 5b는 팁아웃 상황에서의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기능성을 평가한 실험 데이터 및 응축수 분할 유입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16)
- 마일드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스템에서의 엔진에 유입될 응축수의 누적량을 산정하는 유닛;
상기 응축수의 누적량을 근거로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유닛; 및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실행하는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운전자요구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량이 산정된 응축수의 유입에 필요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최소 변동 토크에 상응하는 엔진 토크를 만들기 위해 e-SC가 과급압을 형성하도록 e-SC를 제어하고, 운전자요구 토크와 상기 엔진 토크와의 차이만큼 MHSG가 발전기로 동작하도록 MHSG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추가로, 가속페달이 팁인 상황인지 또는 팁아웃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팁인 또는 팁아웃 판단 모듈이 현재 가속페달이 팁아웃 상황으로 판단한 때에는, 응축수 유입에 필요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여 이 토크값으로 e-SC를 과급 동작시켜 엔진 토크를 생성하고 응축수 유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누적량 산정 유닛은
응축수 생성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EGR 응축수의 생성 조건을 확인하는 모듈;
상기 생성 조건 충족시에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하는 모듈;
응축수 제거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응축수 제거량을 추정하는 모듈;
상기 응축수 생성 실험모델을 통해 추정된 응축수 생성량과 응축수 제거 실험모델을 통해 추정된 응축수 제거량의 차로써 응축수 누적량을 산정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생성량 추정 모듈은
상기 응축수 생성 조건 확인 모듈에 의해 상기 생성 조건들이 충족시에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시, 사전 구축된 '외기온 및 습도에 대한 응축수 생성량 맵'을 이용하여 최종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제거량 추정 모듈은 사전 구축된 '엔진RPM 및 공기량에 대한 응축수 제거량 맵'을 이용해 추정한 제거량에 '흡기 유량 급증시 방출되는 응축수 증가량'을 가산하여 최종 응축수 제거량을 추정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유닛은
상기 산정된 응축수 누적량이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모듈; 및
응축수 누적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개시시키는 모듈을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유닛은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개시하기 전에 응축수 유입 대응 개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조건 판단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상기 팁인 또는 팁아웃 판단 모듈에 의해 팁인 상황으로 판단된 때에는 운전자요구 토크를 산정하고, 응축수 유입을 위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여 이 토크값에 따라 e-SC를 제어하여 운전자요구 토크 이상으로 과급압을 형성하여 응축수 유입시에도 운전자요구 토크가 충족되도록 엔진 토크를 생성하고, 운전자요구 토크 대비, 추가 발생된 엔진 실제 토크 분에 대해서 MHSG를 발전기로 작동시켜서 상쇄시키기 위하여 MHSG 토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 삭제
- 마일드하이브리드 자동차의 EGR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엔진에 유입될 응축수의 누적량을 산정하는 단계;
상기 응축수의 누적량을 근거로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운전자요구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누적량이 산정된 응축수의 유입에 필요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고, 상기 최소 변동 토크에 상응하는 엔진 토크를 만들기 위해 e-SC가 과급압을 형성하도록 e-SC를 제어하고, 운전자요구 토크와 상기 엔진 토크와의 차이만큼 MHSG가 발전기로 동작하도록 MHSG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추가로, 가속페달이 팁인 상황인지 또는 팁아웃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여, 현재 가속페달이 팁아웃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때에는, 응축수 유입에 필요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여 이 토크값으로 e-SC를 과급 동작시켜 엔진 토크를 생성하고 응축수 유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누적량 산정 단계는
응축수 생성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EGR 응축수의 생성 조건을 확인하고;
상기 생성 조건 충족시에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하고;
응축수 제거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응축수 제거량을 추정하고;
상기 응축수 생성 실험모델을 통해 추정된 응축수 생성량과 응축수 제거 실험모델을 통해 추정된 응축수 제거량의 차로써 응축수 누적량을 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생성량 추정은
상기 응축수 생성 조건 확인에 의해 상기 생성 조건들이 충족시에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시, 사전 구축된 '외기온 및 습도에 대한 응축수 생성량 맵'을 이용하여 최종 응축수 생성량을 추정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제거량 추정은 사전 구축된 '엔진RPM 및 공기량에 대한 응축수 제거량 맵'을 이용해 추정한 제거량에 '흡기 유량 급증시 방출되는 응축수 증가량'을 가산하여 최종 응축수 제거량을 추정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정된 응축수 누적량이 사전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응축수 누적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개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의 개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을 개시하기 전에 응축수 유입 대응 개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조건을 판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유입 대응 로직은
가속페달이 팁인 상황인지 또는 팁아웃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현재 가속페달이 팁인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때에는 운전자요구 토크를 산정하고, 응축수 유입을 위한 최소 변동 토크를 계산하여 이 토크값에 따라 e-SC를 제어하여 운전자요구 토크 이상으로 과급압을 형성하여 응축수 유입시에도 운전자요구 토크가 충족되도록 엔진 토크를 생성하고, 운전자요구 토크 대비, 추가 발생된 엔진 실제 토크 분에 대해서 MHSG를 발전기로 작동시켜서 상쇄시키기 위하여 MHSG 토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8630A KR102574892B1 (ko) | 2021-12-27 | 2021-12-27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8630A KR102574892B1 (ko) | 2021-12-27 | 2021-12-27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9750A KR20230099750A (ko) | 2023-07-05 |
KR102574892B1 true KR102574892B1 (ko) | 2023-09-07 |
Family
ID=8715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8630A Active KR102574892B1 (ko) | 2021-12-27 | 2021-12-27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489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12191A (ja) | 2008-11-04 | 2010-05-20 | Toyota Motor Corp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US20140109568A1 (en) * | 2012-10-19 | 2014-04-2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for purging condensate from a charge air cooler |
JP2017206984A (ja) | 2016-05-17 | 2017-11-24 | 株式会社Soken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2020062931A (ja) * | 2018-10-16 | 2020-04-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 |
-
2021
- 2021-12-27 KR KR1020210188630A patent/KR10257489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12191A (ja) | 2008-11-04 | 2010-05-20 | Toyota Motor Corp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US20140109568A1 (en) * | 2012-10-19 | 2014-04-2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for purging condensate from a charge air cooler |
US9145823B2 (en) | 2012-10-19 | 2015-09-2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for purging condensate from a charge air cooler |
JP2017206984A (ja) | 2016-05-17 | 2017-11-24 | 株式会社Soken | 内燃機関の制御装置 |
JP2020062931A (ja) * | 2018-10-16 | 2020-04-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9750A (ko) | 2023-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57417B1 (en) | Control device for turbocharger with electric motor | |
EP2165059B1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ga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exhaust gas control system | |
JP4378700B2 (ja) |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JP2006242065A (ja) |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JP2003239755A (ja) | 過給圧制御装置 | |
CN107575315B (zh) | 车辆的控制装置 | |
KR20180068186A (ko) |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mhsg 제어 방법 및 장치 | |
JP4289194B2 (ja) | 多気筒内燃機関の過給装置 | |
CN1930386B (zh) | 带电动增压器的内燃机的控制装置 | |
JP4378701B2 (ja) | 過給機付き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JP2009149195A (ja) |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の制御装置 | |
JP4086005B2 (ja) | ディーゼル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低圧縮比エンジンの暖機制御方法 | |
KR102574892B1 (ko) |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egr 응축수 유입 대응 장치 및 방법 | |
JP4626383B2 (ja) | 電動機付き過給機を有する内燃機関の制御装置 | |
JP2004208420A (ja) | 車両制御装置 | |
JP7676924B2 (ja) | ハイブリッド車両の暖機制御方法および暖機制御装置 | |
JP2006238700A (ja) | 車両制御装置 | |
JP2003269180A (ja) | 過給圧制御装置 | |
JP2003322038A (ja) | 内燃機関制御装置 | |
JP4582054B2 (ja) | 車両用エンジンシステムの制御装置 | |
KR20180111166A (ko) | 엔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518594B1 (ko) | 연료 증기 듀얼 퍼지 시스템이 적용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7360804B2 (ja) | 車両の制御方法及び車両 | |
JP7173301B2 (ja) |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 |
JP2010174682A (ja) | 内燃機関の吸気温度検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