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3983B1 -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983B1
KR102573983B1 KR1020210061790A KR20210061790A KR102573983B1 KR 102573983 B1 KR102573983 B1 KR 102573983B1 KR 1020210061790 A KR1020210061790 A KR 1020210061790A KR 20210061790 A KR20210061790 A KR 20210061790A KR 102573983 B1 KR102573983 B1 KR 10257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s
gap
adjusting member
contact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362A (ko
Inventor
임권묵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메디코프
Priority to KR102021006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83B1/ko
Priority to PCT/KR2021/018469 priority patent/WO2022239922A1/ko
Publication of KR2022015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61F2/447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substantially parallelepipedal, e.g. having a rectangular or trapezoidal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7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 A61F2002/305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justable for adjusting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79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chanically expandable devices, e.g.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35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593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30771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 A61F2002/30878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applied in original prostheses, e.g. holes or grooves with non-sharp protrusions, for instance contacting the bone for anchoring, e.g. keels, pegs, pins, posts, shanks, stems,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67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 A61F2002/3092Special external or bone-contacting surface, e.g. coating for improving bone ingrowth having an open-celled or open-pored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척추와 접촉되는 두 개의 접촉 부재; 및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Disc implant assembly}
본 발명은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천추골을 제외하고 24개의 뼈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척추뼈 사이에는 디스크라 불리는 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척추를 지지하며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목이나 허리 등에서 척추 뼈를 서로 연결시켜 주고 있는 디스크는 나이가 들수록 퇴행성 변화를 일으켜 탄력성이 저하되고, 수분량이 감소하여 디스크의 마모 또는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주요 기능인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스크의 기능이 상실하게 되면, 통증을 유발하고, 여기서 더 진행되면 섬유가 심하게 늘어나거나 파열되면서 뒤쪽에 위치한 신경근을 눌러서 골반, 다리 등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며, 이후 척추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거나 척추 뼈가 내려앉으면서 척추변형이 일어나 척추와 관련된 각종 질병으로 유발하게 된다.
최근 고령화 사회에 따른 척추관 협착증 및 퇴행성 척추 등의 요추 퇴행성 질환이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이탈되고 변형된 추간체를 제거하고 척추유합 케이지를 삽입하여 척추체의 원래의 디스크 높이를 회복하고 척추체를 하나로 융합시키는 척추유합술(Bone Fusion)이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척추에서 등에 가까운 부분의 뼈 사이의 간격보다 등에서 멀리 위치된 부분의 뼈사이의 간격이 크다. 따라서, 척추유합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척추유합 케이지의 설치를 위하여 척추 사이를 벌리는 과정에서 피가 나는 등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한, 척추유합술은 골 유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특이 체질 환자 등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골질이 약한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척추유합 케이지와 척추와의 고정력이 감소되면서 시술 실패 및 재수술이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환자마다 척추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점이 발생될 수 있다. 종래의 척추유합 케이지는 다양한 환자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높이 및 각도에 맞춰 각각 제품이 준비되어 있어야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척추유합 케이지의 제조를 위하여 많은 금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척추유합 케이지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560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척추와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척추의 다양한 형상 및 간격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척추와 접촉되는 두 개의 접촉 부재; 및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는 최대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는 최대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 수용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레일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간격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유지부에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과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촉 부재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 부재에 수용된 상태를 벗어나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의 간격이 확장되게 하는 간격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확장부는 두 개이고, 상기 두 개의 간격 확장부 각각은 상기 간격 유지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은,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간격 유지부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에는 상기 간격 확장부와 대응되도록 인입되는 인입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은,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와 접촉되는 부분에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경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밀착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삽입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의 후단보다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와 간격 조절 부재는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두 개의 접촉 부재와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척추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가 척추 사이에 삽입된 이후에는 간격 조절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척추와의 고정력이 전체 두께가 가변되지 않는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보다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척추 사이를 강제로 벌려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삽입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같이 척추 사이를 벌리는 과정에서 피가 나는 등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다양한 형상의 간격 조절 부재들과 접촉 부재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환자의 뼈의 상태에 따라 간격 조절 부재들과 접촉 부재들 적절하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금형을 여러 개 제작하여 뼈의 형상이나 뼈들 사이의 간격에 맞게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는 체결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체결 부재는 간격 조절 부재와 두 개의 접촉 부재가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거나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척추의 고정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간격 조절 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간격 조절 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간격 조절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가 척추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는 두 개의 접촉 부재(110)와 간격 조절 부재(12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척추와 접촉된다.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후술할 간격 조절 부재(12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척추에서 제거된 디스크가 있던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는 뼈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접촉 부재(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간격 조절 부재(120)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접촉 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최대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최대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의 후단보다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 및 제2 위치는 두 개의 접촉 부재(110)와 간격 조절 부재(120)의 상대적인 위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는 일례로 베이스부(121), 레일부(122), 간격 유지부(123) 및 간격 확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21)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에 수용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121)의 형상은 일례로 블록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베이스부(121)의 상측에 어느 하나의 접촉 부재(110)가 위치되고, 베이스부(121)의 하측에 나머지 하나의 접촉 부재(110)가 위치될 수 있다.
레일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1)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 레일부(122)는 상기 베이스부(121)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한 접촉 부재(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간격 유지부(123)는 상기 베이스부(121)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한다. 이를 위한 간격 유지부(123)는 리본 형상일 수 있다. 간격 유지부(123)는 베이스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간격 유지부(123)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간격 확장부(124)는 상기 간격 유지부(123)에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과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촉 부재(110)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부(121)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 부재(110)에 수용된 상태를 벗어나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의 간격이 확장되게 한다.
이러한 간격 확장부(124)는 두 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간격 확장부(124) 각각은 상기 간격 유지부(123)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최소로 가까워진 상태인 경우, 어느 하나의 간격 확장부(124B)는 접촉 부재(110)의 외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간격 확장부(124A)는 접촉 부재(110)의 일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인 경우, 두 개의 간격 확장부(124A, 124B)는 두 개의 접촉 부재(110)의 앞부분과 뒷부분 각각의 사이에 위치되어 두 개의 접촉 부재(110)가 안정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은 일례로 몸체부(111), 인입부(112) 및 복수의 돌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접촉 부재(110)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11)는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레일부(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1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112)는 상기 몸체부(111)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의 간격 유지부(123)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에는 상기 간격 확장부(124)와 대응되도록 인입된다. 인입부(112)의 형상은 일례로 간격 확장부(124)가 삽입되었다가 이탈이 가능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은, 간격 확장부(124)가 인입부(112)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은 간격 유지부(123)의 두께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는 것은, 두 개의 접촉 부재(110)와 간격 조절 부재(120)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상태이고, 간격 확장부(124)가 인입부(112)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은 간격 유지부(123)와 간격 확장부(124)를 합한 두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는 인입부(112)의 인입된 깊이와 간격 확장부(124)의 두께를 조절하여 두 개의 접촉 부재(110) 사이의 간격의 가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112)의 인입된 깊이와 간격 확장부(124)의 두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특정 수치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척추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는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척추 사이에 삽입된 이후에는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는 전체 두께가 가변되지 않는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비교하여 척추와의 고정력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는 척추 사이를 강제로 벌려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를 삽입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같이 척추 사이를 벌리는 과정에서 피가 나는 등 척추에 무리가 갈 수 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113)는 상기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부(113)의 형상은 일례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끝부분이 뾰족하게 이루어진 복수의 돌기부(1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척추 사이에 삽입된 이후에 척추와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은 마찰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114)는 상기 몸체부(111)에서 척추와 접촉되는 부분에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114)는 척추와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매끈한 소재로 이루어진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보다 척추와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골 유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특이 체질 환자의 몸에 설치되더라도, 마찰부(114)에 의해 뼈와의 고정력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수술 성공률이 증가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접촉 부재(210)에서 상기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경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가 척추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간격 조절 부재(12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11)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몸체부(111)의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진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의 경사각은 접촉 부재(11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특정 각도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접촉 부재(310)에서 상기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상기 베이스부(121)와 평행하도록 이루어진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촉 부재(110)들이 여러 개 준비되어 간격 조절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에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와 간격 조절 부재(120)는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1)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의 경사각이 다양하게 이루어진 접촉 부재(110)들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간격 조절 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촉 부재(110)들과 간격 조절 부재(120)들은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여러 형상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간격 조절 부재(120)들은 각각의 간격 유지부(123)의 간격이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부재(120)는 간격 유지부(123)가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에 따른 간격 조절 부재(220)는 간격 유지부(123)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간격 조절 부재(120)들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로 되돌아가서, 다양한 형상의 접촉 부재(110)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간격 조절 부재(120)와 접촉 부재(110)가 다양한 조합으로 조립될 수 있다.
환자마다 뼈와 뼈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고, 한 명의 환자에게서도 뼈들 사이의 형상이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간격 조절 부재(120)들과 접촉 부재(110)들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환자의 뼈의 상태에 따라 간격 조절 부재(120)들과 접촉 부재(110)들 적절하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는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같이 별도의 금형을 여러 개 제작하여 뼈의 형상이나 뼈들 사이의 간격에 맞게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100)를 제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와 비교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200)는 체결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130)는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에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에는 상기 체결 부재(130)가 삽입되는 삽입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결합부(131)와 지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31)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홀(125)에 결합될 수 있다. 나사산이 삽입홀(125)의 내경과 결합부(131)의 외경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31)는 삽입홀(12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32)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2)의 가운데 부분이 결합부(131)의 일단에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지지부(132)의 형상은 일례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1)가 삽입홀(125)에 결합되는 경우, 지지부(132)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110)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체결 부재(130)는 간격 조절 부재(120)와 두 개의 접촉 부재(110)가 외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거나 제1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부재(13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200)와 척추의 고정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200)는 척추 사이에 삽입되기 전에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 두께(T1)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200)가 척추 사이에 삽입된 이후에는 간격 조절 부재(120)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전체 두께(T2)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200)는 척추와의 고정력이 전체 두께가 가변되지 않는 종래의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110: 접촉 부재 111: 몸체부
111a: 가이드홈 112: 인입부
113: 돌기부 114: 마찰부
120: 간격 조절 부재 121: 베이스부
122: 레일부 123: 간격 유지부
124: 간격 확장부 125: 삽입홀
130: 체결 부재 131: 결합부
132: 지지부

Claims (12)

  1. 개별적으로 척추와 접촉되는 두 개의 접촉 부재; 및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접촉부재를 서로로부터 분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촉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게 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 수용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측면과 하부측면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과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하는 레일부;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하는 간격 유지부; 및
    상기 간격 유지부에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과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촉 부재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접촉 부재에 수용된 상태를 벗어나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의 간격이 확장되게 하는 간격 확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간격 유지부를 따라 상기 간격 유지부와 평행을 이루면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측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간격 유지부보다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더 작게 돌출되고,
    상기 간격 유지부는,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사이에서 개별 접촉 부재의 마주하는 양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는 최대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는 최대로 멀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확장부는 두 개이고, 상기 두 개의 간격 확장부 각각은 상기 간격 유지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은,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레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간격 유지부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분에는 상기 간격 확장부와 대응되도록 인입되는 인입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은,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와 접촉되는 부분에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척추를 향하는 면은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에 밀착되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삽입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 각각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제1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후단은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의 후단보다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접촉 부재와 간격 조절 부재는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KR1020210061790A 2021-05-13 2021-05-13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Active KR10257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0A KR102573983B1 (ko) 2021-05-13 2021-05-13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PCT/KR2021/018469 WO2022239922A1 (ko) 2021-05-13 2021-12-07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790A KR102573983B1 (ko) 2021-05-13 2021-05-13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62A KR20220154362A (ko) 2022-11-22
KR102573983B1 true KR102573983B1 (ko) 2023-09-04

Family

ID=8402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790A Active KR102573983B1 (ko) 2021-05-13 2021-05-13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3983B1 (ko)
WO (1) WO202223992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9055A (ja) * 2016-11-01 2018-05-10 ウォーソー・オーソペディ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偏倚された先端を備える拡張可能脊柱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8531096A (ja) * 2015-10-16 2018-10-25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関節接合式拡張可能な椎間インプラント
CN210009183U (zh) * 2019-12-20 2020-02-04 广东施泰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高度的椎间融合器及其配套工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22770B (zh) 2004-06-30 2012-02-08 辛纳吉椎间盘置换公司 人造脊椎盘
KR101352820B1 (ko) * 2012-01-11 2014-01-17 주식회사 디오메디칼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KR102136714B1 (ko) * 2018-04-04 2020-07-23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선된 고정부를 구비한 다공성 추간 유합 임플란트
WO2021072237A1 (en) * 2019-10-11 2021-04-15 Bret Berry Dual expandable spinal implant
CN212547266U (zh) * 2020-04-24 2021-02-19 王文军 一种椎间融合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31096A (ja) * 2015-10-16 2018-10-25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関節接合式拡張可能な椎間インプラント
JP2018069055A (ja) * 2016-11-01 2018-05-10 ウォーソー・オーソペディ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偏倚された先端を備える拡張可能脊柱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210009183U (zh) * 2019-12-20 2020-02-04 广东施泰宝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高度的椎间融合器及其配套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362A (ko) 2022-11-22
WO2022239922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56818B2 (en) Expandable inter vertebral cage
US10258387B2 (en) Fastener retention system for spinal plates
JP4303589B2 (ja) 椎骨安定化アセンブリ
KR101975312B1 (ko) 척추 체내 장치
US8105358B2 (en) Medical implants and methods
US12023256B2 (en) Modular plate and cage elements and related methods
EP2278932B1 (en) Implants for inter-spinous process dynamic stabilization of a spinal motion segment
JP5441997B2 (ja) 拡張可能な椎骨間インプラント
US8083795B2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352820B1 (ko) 척추체간 확장 케이지
US8460387B2 (en) Intervertebral implant and face plate combination
US9474624B1 (en) Intervertebral fusion cage
EP2087857A1 (en) Expandable vertebral device with cam lock
WO2011153536A1 (en) Expandable intervertebral implant
RU2354334C2 (ru) Протез межпозвоночного диска
KR101397192B1 (ko) 탄성력을 지닌 추간 인공 디스크
JP2008511421A (ja) 並進可能なキャリッジ取付装置
KR20090096609A (ko) 정형 외과용 임플란트 및 보철물
EP1343440A4 (en) INTERVERTEBRAL SPACEUR DYNAMIC IMPLANTE
WO2017147340A1 (en) Expandable lateral spine cage with reverse dovetail configuration
AU2006223598A1 (en) Translational plate with spring beam retainer
KR101674490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공간 확장형 케이지 장치
KR101220079B1 (ko) 추간체 유합 케이지
KR102573983B1 (ko) 디스크 이식용 조립체
KR20200031826A (ko) 하나씩 차례로 삽입 후 공간을 확장하는 추간체 유합 케이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