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2754B1 - 치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754B1
KR102572754B1 KR1020217008216A KR20217008216A KR102572754B1 KR 102572754 B1 KR102572754 B1 KR 102572754B1 KR 1020217008216 A KR1020217008216 A KR 1020217008216A KR 20217008216 A KR20217008216 A KR 20217008216A KR 102572754 B1 KR102572754 B1 KR 10257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dental composition
mass
fluorescent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127A (ko
Inventor
사토시 진
다쿠마사 기무라
쿄우스케 히라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99530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7275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씨
Publication of KR2021004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7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15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A61K6/16Refractive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20Protective coatings for natural or artificial teeth, e.g. sealings, dye coatings or varni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60Preparations for dentistry comprising organic or organo-metallic additives
    • A61K6/65Dyes
    • A61K6/66Photochromic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80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 A61K6/884Preparations for artificial teeth, for filling teeth or for capping teeth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resins
    • A61K6/887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치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를 함유하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이 320nm를 초과하며 500nm 이하인 영역에서 극대 흡수를 갖지 않는다.

Description

치과용 조성물
본 발명은 치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우식(dental caries), 파절 등에 의해 손상을 입은 치아를 수복(restoration)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복합 레진(composite resin)이라고 불리우는 페이스트상의 광 경화성 조성물이 사용되고 있다.
복합 레진 경화체에는 천연 치아와 유사한 심미성이 요구된다. 심미성으로는, 각 환자의 천연 치아 색조와의 매칭(matching)이 좋을 것에 더해,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의 변색이 적을 것, 즉, 광 안정성이 우수할 것도 중요하다. 실제로, JIS T 6514에서는, 복합 레진 경화체를 태양광에 10시간 동안 노출시켰을 때에, 육안으로 변색이 용이하게 인식되지 않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하여, 복합 레진에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천연 치아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미약한 형광을 발광하므로, 복합 레진에는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가 배합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근래에는, LED의 발전에 의해, 여러 가지 색의 광을 발광하는 LED 조명을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다. 근자외선은 자외선보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점에서, 의료 현장이나 거리에서 근자외선 LED 조명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2014-015408호
여기에서,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는 자외선 및 근자외선을 흡수하여 형광을 발광한다. 한편,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은,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가 흡수하는 자외선을 흡수하지만,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가 흡수하는 근자외선을 흡수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은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의 자외선 흡수를 저해하므로, 복합 레진의 배합을 조정하더라도, 복합 레진 경화체에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照射)한 경우의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와 동등하게 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우수해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경화체의 형광성을 천연 치아의 형광성과 동등하게 할 수 있는 치과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치과용 조성물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를 함유하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이 320nm를 초과하며 500nm 이하인 영역에서 극대(極大) 흡수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우수해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경화체의 형광성을 천연 치아의 형광성과 동등하게 할 수 있는 치과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설명한다.
<치과용 조성물>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를 함유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
본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라 함은,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또는 아크릴로일옥시기(이하에서,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라 함)를 갖는 화합물(예를 들어,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을 의미한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2개 이상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2개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산성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기를 갖지 않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1,3-디(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판,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티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디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은, 0.5~70질량%이면 바람직하며, 10~60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함유량이 0.5질량% 이상이면 치과용 조성물의 접착성이 향상되며, 70질량% 이하이면 다른 성분의 함유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치과용 조성물의 성능이 향상된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영역에 극대 흡수를 가지는데, 파장이 320nm를 초과하며 500nm 이하인 영역에서는 극대 흡수를 갖지 않는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에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형광제의 흡수가 잘 저해되지 않으므로,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의 형광성과 동등하게 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이 250nm를 초과하며 320nm 이하인 영역에서 극대 흡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이 500nm를 초과하며 700nm 이하인 영역에서도 극대 흡수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에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형광제의 흡수가 더욱 저해되지 않게 되므로,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의 형광성에 더 가깝게 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일반식
(상기 일반식에서, R1은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이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콕시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면 바람직하다.
R1, R2, R3에서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2, R3에서의 알콕시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메틸,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에틸,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이외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4-아미노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01~30질량%이면 바람직하며, 0.1~10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01질량% 이상이면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며, 30질량% 이하이면 치과용 조성물의 광 경화성이 향상된다.
[형광제]
형광제는 일반식
(상기 일반식에서, R4 및 R5는 수소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이며,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이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면 바람직하다.
R6, R7에서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탄소수가 1~3인 알킬기가 바람직하며, 탄소수가 1~2인 알킬기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5-디히드록시테레프탈산디메틸, 2,5-디히드록시테레프탈산디에틸, 2,5-디아미노테레프탈산디메틸, 2,5-디아미노테레프탈산디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2)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이외의 형광제로는, 예를 들어, o-프탈알데히드 등과 같은 프탈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형광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형광제 함유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001~20질량%이면 바람직하며, 0.0005~1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형광제 함유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001질량% 이상 20질량% 이하이면,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의 형광성에 더 가깝게 된다.
[그 밖의 성분]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은 충전제,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촉진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다.
(충전제)
충전제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 바륨 유리,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제는 실란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도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예를 들어, 3-글리시딜옥시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충전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충전제의 갯수 기준이 되는 메디안 직경(median diameter)은, 0.005~5㎛이면 바람직하며, 0.05~0.5㎛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충전제 함유량은 40~95질량%이면 바람직하며, 60~80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충전제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이면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며, 95질량% 이하이면 치과용 조성물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캄퍼퀴논(camphorquinone), 벤질, 디아세틸,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벤질비스(2-메톡시에틸)케탈, 4,4`-디메틸(벤질디메틸케탈),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1-클로로안트라퀴논, 2-클로로안트라퀴논, 1,2-벤즈안트라퀴논, 1-히드록시안트라퀴논, 1-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1-브로모안트라퀴논, 티오크산톤(thioxanthone),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니트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클로로-7-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크산톤, 티오크산톤-10, 10-디옥시드, 티오크산톤-10-디옥시드,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페논, 비스(4-디메틸아미노페닐)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TPO),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 함유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1~10질량%이면 바람직하며, 0.1~5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개시제 함유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1질량% 이상이면 치과용 조성물의 광 경화성이 향상되며, 10질량% 이하이면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광중합 촉진제)
광중합 촉진제로는, 예를 들어, 4-(N,N-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 N,N-디메틸-p-톨루이딘, 트리에탄올아민, 톨릴디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벤조산메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산이소아밀 등과 같은 3급 아민, 바르비투르산, 1,3-디메틸바르비투르산, 1,3,5-트리메틸바르비투르산, 1,3,5-트리에틸바르비투르산, 5-부틸바르비투르산, 1-벤질-5-페닐바르비투르산, 1-시클로헥실-5-에틸바르비투르산 등과 같은 바르비투르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광중합 촉진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촉진제 함유량은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1~10질량%이면 바람직하며, 0.1~5질량%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 중의 광중합 촉진제 함유량이 (메타)아크릴레이트에 대해 0.01질량% 이상이면 치과용 조성물의 광 경화성이 향상되며, 10질량% 이하이면 치과용 조성물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더욱 향상된다.
[치과용 조성물의 형태 및 용도]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의 형태로는, 예를 들어, 액체, 페이스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치과용 조성물로는, 치과용 복합 레진, 치과용 접착 충전 재료, 치과용 접착제, 치과 절삭용 레진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비교예 1~3]
Bis-GMA(60질량부), 3G(20질량부) 및 NPG(20질량부)를 혼합하여 모노머 조성물을 얻었다.
모노머 조성물(100질량부)에 대해, 자외선 흡수제(소정량), 형광제(소정량), 충전제(325질량부), 광중합 개시제(0.2질량부) 및 광중합 촉진제(0.5질량부)를 첨가하고, 마노(agate) 사발에서 균일한 페이스트로 될 때까지 혼련(混鍊)한 후, 진공 하에서 거품을 제거하여 페이스트상의 복합 레진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의 참가량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구체적인 모노머, 자외선 흡수제, 형광제, 충전제,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촉진제를 이하에 나타낸다.
모노머
Bis-GMA: 비스페놀A디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G: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NPG: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CDFA: 유비눌3039(BASF사 제조,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산2-에틸헥실)
DMABA: 4-(디메틸아미노)벤조산2-에틸헥실
BT: 티누빈P(BASF사 제조,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형광제: Lumilux Blue LZ(Honeywell社 제조, 2,5-디히드록시테레프탈산디에틸)
충전제: 갯수 기준인 메디안 직경이 0.4㎛인 3-글리시딜옥시트리메톡시실란에 의해 표면처리되어 있는 플루오로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필러
광중합 개시제: (±)-캄퍼퀴논
광중합 촉진제: 4-(N,N-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틸(DMABE)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성)
1번 앞니 형상의 틀에 복합 레진을 충전한 후, 광중합 조사기(G-Light Prima, GC사 제조)를 이용하여 20초간 광을 조사하여 치아 형상의 복합 레진 경화체를 얻었다.
복합 레진 경화체와 천연 치아를 나란히 놓은 후, 형광등 및 근자외선 LED 조명을 이용해서 각각 파장이 365nm인 자외선과 파장이 405nm인 근자외선을 조사하고,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 발광 상태를 천연 치아의 형광 발광 상태와 대비하여 관찰함으로써,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성 판정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수: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 발광 상태가 천연 치아의 형광 발광 상태와 동등한 경우
양호: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 발광 상태가 천연 치아의 형광 발광 상태보다는 약간 못하지만, 사용상의 문제는 없는 경우
불가: 복합 레진 경화체의 형광 발광 상태가 천연 치아의 형광 발광 상태보다 떨어져서 사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
(복합 레진 경화체의 광 안정성)
직경 15mm, 두께 1mm의 링 형상 금형에 복합 레진을 충전한 후, 폴리프로필렌제 필름으로 압접하였다. 이어서, 광중합 조사기 G-Light Prima(GC사 제조)를 이용하여 링 형상 금형의 표면 및 뒷면에 유리판을 통해 10초씩 9개소에 광을 조사하여, 복합 레진 경화체(시험편)를 얻었다. 이어서, 링 형상 금형으로부터 시험편을 꺼낸 후, 37℃의 건조한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험편의 반을 알루미늄 박으로 덮은 후 광 챔버에 넣고 37℃의 물 속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조도가 150,000룩스인 크세논 표준 백색 광원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이 때, 수위(水位)는 시험편의 상방 10±3mm로 유지하였다. 이어서, 알루미늄 박을 제거한 시험편을 37℃의 건조한 암소에서 5일간 보관한 후, 측색계(미놀타社 제조)를 이용하여 시험편의 비노광부와 노광부의 색을 측정하고, 식
ΔE*={(ΔL*)2+(Δa*)2+(Δb*)2}1/2
ΔL*=L1*-L2*
Δa*=a1*-a2*
Δb*=b1*-b2*
으로부터 색차(ΔE*)를 산출함으로써, 시험편의 광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L1*은 시험편의 비노광부의 명도 지수이고, a1*, b1*은 시험편의 비노광부의 채도 지수이다. 또한, L2*은 시험편의 노광부의 명도 지수이고, a2*, b2*은 시험편의 노광부의 채도 지수이다.
첨가량 형광성 광 안정성
ΔE
CDFA DMABA BT 형광제 자외선 근자외선
실시예1 0.1 - - 0.006 우수 우수 1.96
실시예2 0.3 - - 0.006 우수 우수 1.62
실시예3 0.5 - - 0.006 우수 우수 1.43
실시예4 0.8 - - 0.006 우수 우수 1.33
실시예5 1.0 - - 0.006 우수 우수 1.20
실시예6 0.3 - - 0.003 양호 양호 1.55
실시예7 0.3 - - 0.009 양호 양호 1.64
실시예8 0.3 - - 0.012 양호 양호 1.72
실시예9 - 0.3 - 0.006 우수 우수 1.98
비교예1 - - 0.1 0.028 양호 불가 1.84
비교예2 - - 0.1 0.006 불가 우수 1.23
비교예3 - - 0.3 0.083 우수 불가 1.19
표 1로부터, 실시예 1~9의 복합 레진은,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하더라도,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의 형광성과 동등하거나, 천연 치아의 형광성보다는 약간 못하지만 경화체의 광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 1~3의 복합 레진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파장 340nm에서 극대 흡수를 갖는 BT를 함유하는 바,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을 조사한 경우의 경화체의 형광성이 천연 치아의 형광성보다 떨어진다.
본 출원은 2018년 9월 26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기초출원 2018-17987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2)

  1. (메타)아크릴레이트, 자외선 흡수제 및 형광제를 함유하며,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이 320nm를 초과하며 500nm 이하인 영역에서 극대 흡수를 갖지 않으며,
    상기 형광제는 일반식

    (상기 일반식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아미노기, 또는 수산기이며,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이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프탈산에스테르계 형광제인, 치과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일반식

    (상기 일반식에서, R1은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이며,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1~30인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알콕시기이다.)
    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인 치과용 조성물.


KR1020217008216A 2018-09-26 2019-04-22 치과용 조성물 Active KR102572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9878 2018-09-26
JP2018179878 2018-09-26
PCT/JP2019/017020 WO2020066099A1 (ja) 2018-09-26 2019-04-22 歯科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127A KR20210049127A (ko) 2021-05-04
KR102572754B1 true KR102572754B1 (ko) 2023-08-29

Family

ID=6995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216A Active KR102572754B1 (ko) 2018-09-26 2019-04-22 치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133902B2 (ko)
EP (1) EP3858322A4 (ko)
JP (1) JP7153736B2 (ko)
KR (1) KR102572754B1 (ko)
CN (1) CN112752560A (ko)
WO (1) WO2020066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89105A1 (en) * 2022-12-20 2024-06-26 Dentsply DeTrey GmbH Dental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ization shrinkage mediator
JP2024174273A (ja) 2023-06-04 2024-12-16 株式会社松風 紫外線吸収剤を含む歯科用硬化性組成物
KR102585562B1 (ko) * 2023-06-09 2023-10-06 (주)스피덴트 치과용 임시 레진 시멘트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5408A (ja) * 2012-07-06 2014-01-30 Tokuyama Dental Corp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JP2016166138A (ja) * 2015-03-09 2016-09-15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1616A1 (de) * 1980-01-17 1981-07-23 ESPE Fabrik pharmazeutischer Präparate GmbH, 8031 Seefel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zahnersatzteilen durch photopolymerisieren einer verformbaren masse
US5160737A (en) * 1988-05-03 1992-11-03 Perio Products Ltd. Liquid polym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6348518B1 (en) * 1997-12-10 2002-02-19 R. Eric Montgomery Compositions for making an artificial prosthesis
WO2000003688A1 (en) 1998-07-20 2000-01-27 Dentsply International Inc. Translucent wear resistant dental enamel material and method
CN1168725C (zh) 2000-01-28 2004-09-29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用于防止氧化性应激反应的含有苯并呋喃酮衍生物的制剂
JP4152732B2 (ja) * 2001-12-27 2008-09-17 株式会社トクヤマ 樹脂組成物
KR100756325B1 (ko) * 2003-05-23 2007-09-06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 및 그 용도
US20060241205A1 (en) * 2005-04-20 2006-10-26 Weitao Jia Filler materials for dental composites
CN102112097B (zh) 2007-11-01 2013-08-07 3M创新有限公司 牙科组合物以及具有颜色稳定的胺电子供体的引发剂系统
US20090176194A1 (en) 2008-01-07 2009-07-09 Kerr Corporation Method of cementing prosthetic devices and cementation kit
JP5791979B2 (ja) 2010-07-05 2015-10-0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可視光硬化性組成物
EP2642967B1 (en) 2010-11-23 2023-08-02 DENTSPLY SIRONA Inc. High strength dental material
JP5216118B2 (ja) 2011-04-08 2013-06-19 株式会社テクノ高槻 電磁部への流体漏洩防止機能付き電磁振動型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5810381B2 (ja) 2011-12-27 2015-11-11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可視光硬化性組成物
ES2879602T3 (es) 2012-11-14 2021-11-22 Dentsply Sirona Inc Sistemas de materiales para la fabricación tridimensional para producir productos dentales
US9931280B2 (en) 2013-10-03 2018-04-03 Dentsply Sirona Inc. Dental composite compositions for reduced shrinkage stress
DE102014219218A1 (de) * 2014-09-24 2016-03-24 Mühlbauer Technology Gmbh Polymerisierbares Dentalmaterial
DE112016003676T5 (de) * 2015-08-12 2018-05-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hemikalienbeständige Mikrokügelchen-Artikel
JP6584338B2 (ja) * 2016-02-10 2019-10-02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硬化性組成物
JP6861079B2 (ja) 2017-04-19 2021-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5408A (ja) * 2012-07-06 2014-01-30 Tokuyama Dental Corp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JP2016166138A (ja) * 2015-03-09 2016-09-15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66099A1 (ja) 2021-08-30
EP3858322A1 (en) 2021-08-04
US20220047465A1 (en) 2022-02-17
JP7153736B2 (ja) 2022-10-14
CN112752560A (zh) 2021-05-04
KR20210049127A (ko) 2021-05-04
US12133902B2 (en) 2024-11-05
WO2020066099A1 (ja) 2020-04-02
EP3858322A4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754B1 (ko) 치과용 조성물
JP5507256B2 (ja) 酸性成分及び光退色性染料を有する歯科用組成物の使用方法
US6221931B1 (en) Dental restorative composition
Silami et al. Color stability of experimental composites containing different photoinitiators
Ely et al. Polymerization kinetics and reactivity of alternative initiators systems for use in light-activated dental resins
US8394869B2 (e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useful as a dental restorative material
David et al. Effect of exposure time on curing efficiency of polymerizing units equipped with light-emitting diodes
JPWO2013145621A1 (ja) 1液型の歯科用接着剤
JP6392687B2 (ja)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WO2010090011A1 (ja) 歯科用充填修復キット
JP2005089729A (ja) 光重合開始剤及び該光重合開始剤を含む歯科用コンポジットレジン
KR20220029591A (ko) 경화성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광 조형용 수지 조성물
JP2025061420A (ja) 歯科用光硬化性組成物用のアリールヨードニウム塩を含む光重合開始剤
US20060035997A1 (en) Curable acrylate polymer compositions featuring improved flexural characteristics
JP5968128B2 (ja) 歯科用光重合性組成物
KR101373086B1 (ko) 치과용 경화성 조성물 및 그 치과용 경화성 조성물용 키트
Lee et al. Influence of light-curing units on the polymerization of low-shrinkage composite resins
JP6584338B2 (ja) 硬化性組成物
JP2006117543A (ja) 歯科用修復材料
US7524889B2 (en) Light emitting diode curable acrylates with reduced yellowing
JP2006076973A (ja) 歯質接着用の光重合型接着剤
JP2007231210A (ja) 光ラジカル重合開始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光ラジカル重合性組成物
JP5203749B2 (ja) 硬化前後における色調変化の少ない光重合性歯科用組成物
US8013032B2 (en) Photopolymerizable dental composition with suppressed change in color tone by monomer
AU2016218284A1 (en) Dent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Z0301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PZ1301 Decision on request for patent revocation

Comment text: Decision on Revocation (Decision on Request for Revocation)

Patent event code: PZ13011R01D

Patent event date: 20250117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