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72649B1 - Battery assembly - Google Patents

Battery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649B1
KR102572649B1 KR1020190164641A KR20190164641A KR102572649B1 KR 102572649 B1 KR102572649 B1 KR 102572649B1 KR 1020190164641 A KR1020190164641 A KR 1020190164641A KR 20190164641 A KR20190164641 A KR 20190164641A KR 102572649 B1 KR102572649 B1 KR 102572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ies
piece
outer circumferential
along
protr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6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3885A (en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649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6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전지 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전지 조립체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와, 제1, 제2 전지를 개재하고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접속부재로서, 각각의 탄성편은,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압편의 쌍과, 쌍을 이루는 가압편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배열된 지지돌기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지그 재그로 휘어진 변형편을 구비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전지의 단순 끼움 결합을 통하여 이들 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재가 적용되며, 전지의 외주면을 폭 넓게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넓은 통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지의 단부가 아닌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전지의 단부에 접속되는 또 다른 접속수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전지 조립체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assembly is disclosed. The battery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batter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pair of elastic pieces disposed facing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terposed therebetween. As a member, each of the elastic pieces includes a pair of pressure pieces that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nd a deformed piece that is bent in a zigzag patter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s arranged in rows between the pair of pressure pieces.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member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different batteries to each other through simple fitting and coupling is applied, and a wide conducting surface can be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wide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another connection means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ttery through a connection member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instead of the end of the battery is provided.

Figure R1020190164641
Figure R1020190164641

Description

전지 조립체{Battery assembly}Battery assembly {Battery assembly}

본 발명은 전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ssembly.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모듈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as energy sources for mobile devices,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electric bicycles,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etc. It is also used in the form of a module in which batteries are connected and bundled into a single unit.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다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가 선호되며,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Small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n oper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ith the output and capacity of a single battery, but when long-term driving and high-power driving are required, such as electric cars and hybrid cars that consume a lot of power, many problems with output and capacity are required. A module type including batteries is preferred, and output voltage or output current can be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uilt-in batt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서로 다른 전지의 단순 끼움 결합을 통하여 이들 전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접속부재가 적용된 전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ssembly to which a connection member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different batteries to each other is applied through simple fitting and coupling of different batterie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전지의 외주면을 폭 넓게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넓은 통전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전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forming a wide conductive surface through a connection member wide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전지의 단부가 아닌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전지의 단부에 접속되는 또 다른 접속수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전지 조립체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ssembly capabl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another connection means connected to an end of the battery through a connection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not the end of the battery.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조립체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the battery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 및 first and second batter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상기 제1, 제2 전지를 개재하고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접속부재로서, 각각의 탄성편은,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압편의 쌍과, 쌍을 이루는 가압편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배열된 지지돌기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지그 재그로 휘어진 변형편을 구비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A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pair of elastic piec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each elastic piece pressuriz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air of pieces and a deformed piece bent in a zigzag whil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s arranged in rows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pieces.

예를 들어,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제2 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상기 가압편은, 상기 전방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The pressing piece may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front end.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는, 각각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캔과, 캔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each include a can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n to seal the electrode assembly,

상기 가압편은,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상에서 캡 조립체와 캔의 결합부를 둘러쌀 수 있다. The pressing piece may surround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ap assembly and the ca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가압편은, 제2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상부 외주면 및 하부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을 포함하고,For example, the pressure piece includes an upper pressure piece and a lower pressure piece that respectively sur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The upper pressing piece and the lower pressing piece may be elastically biased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terposed therebetween.

예를 들어, 상기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은, For example, the upper pressure piece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제2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정점 위치에서,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대해 가압 접촉되며, Pressing contact is made with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at the apex positions furthest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2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t positions closes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지지돌기는, For example, the support protrusion,

제1 방향을 따라 중앙 위치에 배치된 센터 돌기; 및a center projection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상기 센터 돌기의 양편으로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A pair of side protrus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may include.

예를 들어, 상기 변형편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돌기와 사이드 돌기의 서로 반대되는 외주를 둘러싸면서 센터 돌기와 사이드 돌기의 외주 상에서 변곡되며 휘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formable piece may be bent and ben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er protrusion and the side protrusion while surrounding outer circumferences opposite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변형편은, 상기 변형편과 연결된 가압편을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formable piece may elastically bias the pressing piece connected to the deformable piec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지지돌기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부 열의 지지돌기와 하부 열의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protrusion may include an upper row of support protrusions and a lower row of support protrusi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지지돌기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3x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protrusions may be arranged in a 3x2 matrix form along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열의 지지돌기와 하부 열의 지지돌기 사이에는 이격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For example, a spac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upper row and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lower row.

예를 들어, 상기 변형편은, For example, the deformed piece,

상부 열의 지지돌기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 변형편; 및 An upper deformation piece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upper row of support protrusions; and

하부 열의 지지돌기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 변형편을 포함하며, Including a lower deformation piec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row of support projections,

상기 가압편은, The pressure piece,

상기 상부 변형편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변형편에 의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상부 가압편의 쌍; 및 a pair of upper pressing pie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deformable piece and elastically biased downward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y the upper deformable piece; and

상기 하부 변형편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변형편에 의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하부 가압편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A pair of lower pressing pie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deformable piece and elastically biased upward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y the lower deformable piece.

예를 들어, 상기 변형편에는, 상기 지지돌기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홀이 형성되며, For example, a locking hol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deformation piece,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 홀과 결착되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A locking jaw coupled to the locking hole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인입부가 형성되며, For example, inlet portions ar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인입부에 끼워지도록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may be formed on the pressing piece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돌기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상으로 가압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압편의 단부로부터 제1, 제2 전지와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의 조립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sing piece is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pressing pie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nd is assembled in a shape bent from an end of the pressing piece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 guide may be formed.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는, 제1, 제2 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편의 후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ssembly guide may b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pressing pie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ssembly guide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지지돌기 및 지지돌기 사이의 이격부재는, 제1, 제2 전지의 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절연부재로부터 제1, 제2 전지 사이를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spacer member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may protrude to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from an insulating member extending across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예를 들어, 상기 접속부재는, 제1, 제2 전지의 같은 극성끼리 병렬 연결하며,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of the same polarity in parallel,

상기 절연부재 상에는, 제1, 제2 전지의 또 다른 극성끼리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On the insulating member,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of different polarities in parallel may be disposed.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제1, 제2 전지를 접속부재에 대해 단순히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1, 제2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용접, 솔더링, 와이어 본딩과 같은 일련의 접합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simply fitting and coupling different first and second batteries to a connecting member, a series of bonding processes such as welding, soldering, and wire bonding are required. It doesn't wor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폭 넓게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넓은 통전면을 형성하므로, 접속 저항으로 인한 출력 손실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wide conductive surface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wide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output loss due to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제2 전지의 단부가 아닌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접속부재를 통하여 제1, 제2 전지의 단부에 접속되는 또 다른 접속수단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ference with another connecting mean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rough a connecting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no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an avoid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일부에 관한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부재에, 제1, 제2 전지가 끼워진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접속부재 및 제1, 제2 전지의 조립 상태를 전방 단부에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접속부재의 탄성 바이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3의 V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접속부재의 결합 돌기 및 조립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3의 V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접속부재의 걸림 홀과 지지돌기의 걸림 턱 간의 결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shown in FIG. 3 from the front end.
In FIG. 5, a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V of FIG. 4 is show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astic bias of the connection memb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II of FIG. 3, and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ssembly guide of the connection member is show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III of FIG. 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ing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holding protrus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셀의 일부에 관한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battery cell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지 조립체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이웃한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제2 전지(C1,C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 조립체는, 제1, 제2 전지(C1,C2)와, 상기 제1, 제2 전지(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전지(C1,C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3)을 따라 전방 단부(FE) 및 후방 단부(RE) 사이에서 원통형 외주면(CP)을 포함하는 원형 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3 방향(Z3)이란 제1, 제2 전지(C1,C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battery assembly includes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posi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a first direction Z1 .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assembly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a connection member 15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may be formed of batterie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between the front end FE and the rear end RE along the third direction Z3. It may be formed as a circular battery including a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For reference,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rd direction Z3 may mea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지(C1,C2)는, 전극 조립체(1)를 수용하도록 개구된 전방 단부를 갖는 캔(81)과, 캔(81)의 개구된 전방 단부를 밀봉하기 위해 캔(81)의 개구된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캔(81)과 캡 조립체(85)는, 실링 가스켓(88)을 개재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실링 가스켓(88)을 개재하여 캔(81)의 개구된 전방 단부가 캡 조립체(85)의 외주를 감싸도록 클램핑되면서 결합부(80)를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2 전지(C1,C2)는 외주면(CP)을 둘러싸는 접속부재(1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접속부재(15,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부재 15의 가압편 20)는,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중에서 전방 단부(FE)와 인접한 외주면(CP)을 둘러쌀 수 있으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에서 캔(81)과 캡 조립체(85)의 결합부(80)를 둘러쌀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nclude a can 81 having a front end opened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a can ( and a cap assembly 85 coupled to the open front end of the can 81 to seal the open front end of 81). At this time, the can 81 and the cap assembly 85 having different polaritie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via a sealing gasket 88, and the opened front end of the can 81 via the sealing gasket 88. The coupling portion 80 may be formed while being clamp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p assembly 85 .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15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the connecting member (15, more specifically, the pressing piece 20 of the connection member 15) ma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adjacent to the front end FE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 The coupling portion 80 of the can 81 and the cap assembly 85 may be surroun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상기 캡 조립체(8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캔(81)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및 후방 단부(RE)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및 후방 단부(RE)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 또는 후방 단부(RE)가 아닌,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싸면서 제1, 제2 전지(C1,C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접속부재(15)가 적용될 수 있다. The cap assembly 85 may form front ends F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the can 81 may form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P) and a rear end (RE). Accordingly, the front ends F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and rear ends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have different polarities. can hav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s not the front end FE or the rear end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 connection member 15 may be appli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o each other while surrounding the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는, 캔(81)의 개구된 전방 단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85)를 지지하기 위하여 캔(81)의 일부가 병목을 형성하면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인입부(IN)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형성된 인입부(IN)에는 접속부재(15)의 결합 돌기(F)가 끼워질 수 있으며, 결합 돌기(F)를 통하여 접속부재(15)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에서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 can 81 is provided to support a cap assembly 85 coupled to the open front end of the can 81. An inlet portion IN may be formed concavely drawn inward while a part of the bottleneck is form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protrusion F of the connection member 15 can be fitted into the inlet portion I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 Through F), the connection member 15 can firmly form surface contact without slipp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나 후방 단부(RE)가 아닌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싸면서 제1, 제2 전지(C1,C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접속부재(15)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금속 소재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니켈 등의 도금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 되어 가압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적정의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 소재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5 cover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rather than the front end FE or the rear end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hile enclos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is end, the connection member 15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conductivity,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 thin plat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or may include a plating layer such as nickel.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member 15 can be elastically biased and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can be formed of a thin metal plate capable of exhibiting appropriate elasticity. can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에 대한 용접이나 남땜 등과 같은 고온 열 공정에 의하지 않고, 제1, 제2 전지(C1,C2)와의 물리적인 접촉, 그러니까, 탄성적인 가압 접촉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하므로, 상기 접속부재(15)의 소재로서 용접성이나 납땜성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속부재(15)에 대해, 제1, 제2 전지(C1,C2)를 단순히 끼움 결합함으로써, 제1, 제2 전지(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용접, 솔더링, 와이어 본딩과 같은 일련의 접합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속부재(15)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폭 넓게 둘러싸면서 넓은 통전면을 형성하므로, 접속 저항으로 인한 출력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접속부재(15)가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 또는 후방 단부(RE)를 통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경우, 상대적으로 협소한 면적을 갖는 전방 단부(FE) 및 후방 단부(RE)에 의해 통전 면적이 제한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5 is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at is, without relying on a high-temperature thermal process such as welding or brazing for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 Since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formed by elastic pressure contact,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weldability or solderability as a material for the connecting member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simply fitting and coupl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o the connecting member 15, welding , a series of joining processes such as soldering and wire bonding are not requir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member 15 widely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forms a wide conducting surface, output loss due to connection resistance can be prevented. can If the connection member 15 forms an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front end FE or the rear end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 front end having a relatively narrow area. The conduction area can be limited by (FE) and the rear end (R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부재(15)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C1,C2)의 같은 극성끼리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충, 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고전위 라인 및 저전위 라인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부재(15) 외에, 또 다른 접속수단(55)이 고전위 라인 및 저전위 라인 중 나머지 하나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싸므로,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 또는 후방 단부(RE)에 접속되는 접속수단(55)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중에서 전방 단부(FE)와 인접한 외주면(CP)을 둘러쌀 수 있고, 또 다른 접속수단(55)은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 전지(C1,C2)의 극성 연결이 모두 전방 단부(FE) 측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1, 제2 전지(C1,C2)의 후방 단부(RE)를 통하여 제1, 제2 전지(C1,C2)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15 may connect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same polarity in parallel.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15 may form one of a high-potential line and a low-potential line forming a charging and discharging pat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the connection member 15 In addition to (15), another connection means 55 may form the other one of the high potential line and the low potential line, and the connection member 1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Since i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means 55 connected to the front end FE or rear end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be avoid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15 ma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adjacent to the front end FE am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another connecting means 55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s F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in this wa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polarity conn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By being formed on the front end FE side, cooling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through the rear end R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접속부재에, 제1, 제2 전지가 끼워진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접속부재 및 제1, 제2 전지의 조립 상태를 전방 단부에서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V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접속부재의 탄성 바이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3의 V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접속부재의 결합 돌기 및 조립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3의 V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접속부재의 걸림 홀과 지지돌기의 걸림 턱 간의 결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1 ,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shown in FIG. 3 .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from the front end is shown. In FIG. 5, a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V of FIG. 4 is show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elastic bias of the connection memb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II of FIG. 3, and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ssembly guide of the connection member is shown.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part VIII of FIG. 3,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atching hol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atching protrus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재(15)는, 상기 제1, 제2 전지(C1,C2)를 개재하고,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탄성편(15a,15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탄성편(15a) 및 하부 탄성편(15b)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제2 방향(Z2)이란 한 쌍의 탄성편(15a,15b)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nnecting member 15 is a pair of elastic pieces 15a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nterposed therebetween. , 15b), and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an upper elastic piece 15a and a lower elastic piece 15b. For 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second direction Z2 may mean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elastic pieces 15a and 15b face each other.

상기 상부 탄성편(15a) 및 하부 탄성편(15b) 각각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싸는 가압편(10)의 쌍과, 쌍을 이루는 가압편(10)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배열된 지지돌기(2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지그 재그로 형태로 휘어진 변형편(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압편(10)은, 접속부재(15)의 서로 대칭적인 4개소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가압편(101) 및 제2 가압편(102)과,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10)은 제1 가압편(101) 및 제2 가압편(102)으로 언급하고,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가압편(10)은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Each of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forms a pair of pressing pieces 1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10) may include a deformed piece 11 bent in a zigzag form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s 20 arranged in rows between them.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ieces 10 may be formed at four symmetrical locations of the connecting member 15, and the first pressing element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It may include a piece 101 and a second pressure piece 102, and an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a lower pressure piece 10b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sing pieces 10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sing piece 101 and the second pressing piece 102, and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pressing piece 101 and the second direction Z1. The pressure pieces 10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Z2) will be referred to as an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a lower pressure piece 10b.

상기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제1, 제2 전지(C1,C2)의 서로 반대되는 상부 외주면(CP) 및 하부 외주면(CP)을 둘러싸도록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향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따라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정점 위치(P)에서,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대해 가압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정점 위치(P)에서 가장 큰 탄성 복원력으로,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다.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o as to surround the opposit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and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At this time,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are elastically biased along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nterposed therebetween. can 4 and 6,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at the apex position P most farthes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the first,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second batteries C1 and C2 may be pressed and contacted, and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are most distant from each other at the apex position P. With a large elastic restoring force,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can be elastically biased.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정점 위치(P)란 상부 가압편(10a)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를 포함하는 만곡된 부분을 둘러싸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어느 한 개소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정점 위치(P)는 하부 가압편(10b)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하부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하부를 포함하는 만곡된 부분을 둘러싸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어느 한 개소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는, 제2 방향(Z2)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가장 높을 레벨에 배치된 최상부 및 제2 방향(Z2)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가장 낮은 레벨에 배치된 최하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를 포함하는 만곡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pex position (P) may mean a portion surrounding the top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along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It may refer to a region surrounding the curved portion including the upp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C2), and may not be limited to any one location. Similarly, the apex position P may refer to a portion surrounding the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and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It may refer to a region surrounding the curved portion including the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C2), and may not be limited to any one location. In addition,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disposed at the highest level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It does not mean only the lowermost portion disposed at the lowest level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along the direction Z2, but includes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part can mea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가장 근접한 위치(E)에서,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가압편(10, 또는 접속부재 15)이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싼다는 것은, 가압편(10)이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를 따라 외주면(CP)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압편(10)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폐루프 형태로 둘러싸지는 않을 수 있다. 즉,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가장 근접한 위치(E)에서,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압편(10)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를 따라 외주면(CP)의 절반 이상을 둘러쌀 수 있으며, 이런 의미에서, 상기 가압편(10, 또는 접속부재 15)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대부분을 둘러싼다고 할 수 있으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대부분을 둘러싸면서 넓은 통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are at positions E closes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C2).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fact that the pressing piece 10 or the connecting member 15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means that the pressing piece 10 has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 C2) may mean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iece 10 is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 C2) may not be surrounded in a closed loop form. That is,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facing each other are positioned closes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at a position 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However, the pressing piece 10 may surround more than half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n this sense, the pressing piece ( 10 or connecting member 15) may be said to surround mo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mos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is possible to form a wide conductive surface while surrounding.

상기 가압편(10)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됨으로써 제1, 제2 전지(C1,C2)의 전기적인 연결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도 불구하고 제1, 제2 전지(C1,C2)의 전기적인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경시적으로 제1, 제2 전지(C1,C2)의 연결 상태가 느슨하게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편(10)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제1, 제2 전지(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이즈 마다 별도의 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공용 부품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제1, 제2 전지(C1,C2)를 연결할 수 있다.The pressing piece 10 elastically presses and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reby forming a stro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despite external shock or vibration,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over time. can be prevented from loosening. In addition, the pressure piece 10 elastically presses and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re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of various sizes.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it is manufactured as a common part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esign for each siz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of various sizes can be connected.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압편(10)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에 형성된 인입부(IN)에 끼워지는 결합 돌기(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F)는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에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상기 결합 돌기(F)는,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인입부(IN)의 일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F)는,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이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를 둘러싸면서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위치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가장 큰 탄성 복원력으로,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으므로,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 형성된 결합 돌기(F)는,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형성된 인입부(IN)에 대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pressing piece 10 is firmly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be firmly fixed. )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F) fitted into the inlet portion (I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The coupling protrusions F may be formed in pairs on the upper and lower pressing pieces 10a and 10b (see FIG. 1). The coupling protrusion F may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may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inlet portion IN.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 (F) may be formed at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ing piece 10, a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C2), the first, It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ure piece 10 is such that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facing each other surround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Corresponds to the position farthest apart, and thus can be elastically bia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ith the largest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e apex position of the pressure piece 10 ( The coupling protrusion F formed on P) can be firmly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IN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이와 같이, 가압편(10)의 결합 돌기(F)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의 인입부(IN)가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가압편(10)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CP) 상에서 미끄럼 없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외부충격이나 진동에도 불구하고, 제1, 제2 전지(C1,C2)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upling protrusion F of the pressing piece 10 and the inlet portions I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ssing piece 10 is It can be firmly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without slipping,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be stably maintained despite external shock or vibration.

상기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에는 제3 방향(Z3)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을 타고 가압편(10)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가압편(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조립 가이드(G)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가이드(G)는,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에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립 가이드(G)는,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로부터 제1, 제2 전지(C1,C2)와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 가이드(G)는,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로부터 전방 측을 향하여 커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가이드(G)의 형상은, 제1, 제2 전지(C1,C2)가 끼워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가압편(10)이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으로 진입할 때,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으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로부터 전방 측을 향하여 커브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ing piece 10 can easily enter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ing piece 10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third direction Z3. An assembly guide G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pressure piece 10 may be formed. The assembling guide G may be formed in pairs on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For example, the assembly guide G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from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ure piece 10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More specifically, the assembly guide (G)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ing piece (10). The shape of the assembly guide G is such that, as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fitted, the pressing piece 10 relatively forms the outer circumferen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hen entering the top,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ing piece 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CP of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and the first and second cells C1 and C2 To facilitate entry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it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ing piece (10).

상기 조립 가이드(G)는,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는, 서로 마주하는 상부 가압편(10a) 및 하부 가압편(10b)이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를 둘러싸면서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위치에 해당되며, 이에 따라 가장 큰 탄성 복원력으로,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탄성 바이어스 될 수 있으므로, 가압편(10)이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상으로 진입할 때, 가장 큰 진입 저항이 야기될 수 있는 개소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 형성된 조립 가이드(G)는, 제1, 제2 전지(C1,C2)의 최상부 및 최하부 상으로 가압편(10)이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는, 결합 돌기(F) 및 조립 가이드(G)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방향(Z3)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돌기(F)는 가압편(10)의 전방 단부(10f)와 후방 단부(10r)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립 가이드(G)는 가압편(10)의 후방 단부(10r)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F) 및 조립 가이드(G)는, 가압편(10)의 정점 위치(P)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정점 위치(P)로부터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assembly guide G may be formed at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ing piec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first and second cell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cells C1 and C2.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ure piece 10 is such that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facing each other surround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respectively. Corresponds to a position farthest away from , and thus can be elastically bias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ith the largest elastic restoring force. , when entering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of the second cells C1 and C2, it may correspond to a location where the largest entry resistance may occur. The assembly guide G formed at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ure piece 10 guides the pressure piece 10 to smoothly enter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can do i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F and the assembly guide G may be formed together at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ure piece 10,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along the third direction Z3. can be formed in place.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F may be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10f and the rear end 10r of the pressure piece 10, and the assembly guide G is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piece 10. (10r). The coupling protrusion (F) and the assembly guide (G) may be formed at the apex position (P) of the pressure piec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C2) from the apex position (P). (CP) It may be forme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재(15)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다른 개소에 형성된 제1, 제2 가압편(101,102) 사이에서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진 변형편(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편(11)은, 제1, 제2 가압편(101,102)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배열된 지지돌기(2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지그 재그 형태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편(11)은,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면서 지지돌기(20)의 외주 위치에서 변곡되어 휘어지고, 그 결과 변형편(11)의 양단에 연결된 가압편(1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편향시킴으로써, 가압편(10)이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4 and 5, the connecting member 15 i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ieces 101 and 102 formed at different locations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an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It may include a deformation piece 11 fitted in. The deformable piece 11 may be formed in a shape bent in a zigzag shape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ieces 101 and 102 . The deformable piece 11 is bent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and as a result, the pressing piece 1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eformable piece 11 By deflecting upward or downward, the pressing piece 10 can be strongly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상기 변형편(11)은,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 변형편(11a)과,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 변형편(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변형편(11a)은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부 변형편(11a)의 양단에 연결된 상부 가압편(10a)을 하방으로 편향시키려고 하나, 하방으로 가세된 상부 가압편(10a)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과 접하면서 상방으로 변형된다. 이때, 이와 같은 큰 변형에 수반되는 탄성 바이어스에 의해 상부 가압편(10a)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하부 변형편(11b)은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 사이에 끼워지면서 하부 변형편(11b)의 양단에 연결된 하부 가압편(10b)을 상방으로 편향시키려고 하나, 상방으로 가세된 하부 가압편(10b)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과 접하면서 하방으로 변형되며 이와 같은 큰 변형에 수반되는 탄성 바이어스에 의해 하부 가압편(10b)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가압 밀착될 수 있다. The deformable piece 11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lower row R2. A lower deformation piece 11b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tries to deflect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upper row R1, but downward. The biased upper pressing piece 10a is deformed upward whil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t this time,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can be pres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by the elastic bias accompanying such a large deformation. Similarly,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tries to deflect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upward while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lower row R2, but upwar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loaded with is deformed down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10b is moved by the elastic bias accompanying such a large deformation. The silver may be pressurized and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상기 지지돌기(20)는, 제1, 제2 전지(C1,C2) 사이에서 제1 방향(Z1) 및 제2 방향(Z2)을 따라 매트릭스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돌기(20)는 제1 방향(Z1) 및 제2 방향(Z2)을 따라 3x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0)는,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이웃한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및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및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에는, 각각 상부 변형편(11a) 및 하부 변형편(11b)이 끼워질 수 있으며, 상부 변형편(11a)은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하부 변형편(11b)은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The support protrusions 20 may be arranged in a matrix patter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and the second direction Z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s 20 may be arranged in a 3x2 matrix form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and the second direction Z2. The support protrusion 20 may include support protrusions 20 of an upper row R1 and support protrusions 20 of a lower row R2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 An upper deformable piece 11a and a lower deformable piece 11b may be fitted into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lower row R2, respectively, and the upper deformable piece ( 11a) may be fit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may be fit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lower row R2.

상기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및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는 각각 제1 방향(Z1)을 따라 중앙의 센터 돌기(25)와 상기 센터 돌기(25)의 양편으로 배치된 사이드 돌기(21)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돌기(20)는 제2 방향(Z2)을 따라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및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 및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센터 돌기(25)와 센터 돌기(25) 양편에서 쌍을 이루는 사이드 돌기(21)를 포함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지지돌기(20)는 제1 방향(Z1) 및 제2 방향(Z2)을 따라 3x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lower row R2 have a center protrusion 25 at the center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respectively,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It may include a pair of side protrusions 21 disposed as . 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 20 includes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lower row R2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Including,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each upper row R1 and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lower row R2 are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center protrusion 25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Since paired side protrusions 21 are included, the support protrusions 20 may be arranged in a 3x2 matrix form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and the second direction Z2.

상기 지지돌기(20)는,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 및 사이드 돌기(21) 사이에서 제2 방향(Z2)을 따라 변형편(11)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변형편(11)이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휘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는 센터 돌기(25)와 상기 센터 돌기(25)의 양편에 배치된 사이드 돌기(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와 사이드 돌기(21)는 제2 방향(Z2)을 따라 상부 변형편(11a)을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급격하게 편향시킴으로써, 상부 변형편(11a)과 연결된 상부 가압편(10a)을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고, 상부 가압편(10a)을 하방으로 가세함으로써,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상부 가압편(10a)을 가압 밀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변형편(11a)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와 사이드 돌기(21)의 서로 반대되는 외주를 따라 지그재그로 변형되며, 센터 돌기(25)의 상부 외주를 감싸면서 센터 돌기(25)와 이웃한 사이드 돌기(21)의 하부 외주를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센터 돌기(25)의 상부 외주로부터 사이드 돌기(21)의 하부 외주를 향하여 급격한 경사로 하방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상부 변형편(11a)을 추종하여, 상기 상부 변형편(11a)과 연결된 상부 가압편(10a)은 하방으로 가세되지만,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과 접하여 상방으로 급격하게 휘어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강도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상부 가압편(10a)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가압 밀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20 deforms the deformable piece 11 in opposite directions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between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side protrusion 21 adjacent to each other, thereby forming the deformable piece 11 It bends at a relatively large angle. For example, the support protrusion 20 of the upper row R1 may include a center protrusion 25 and side protrusions 2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25) and the side protrusion 21 abruptly deflect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from the upper position to the lower posi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thereby forming an upper pressing piece 10a connected to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can be elastically biased downward, and by pressing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downward,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can be pressuriz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re is. More specifically,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is deformed in a zigzag pattern along opposit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side protrusion 21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and the center protrusion ( 25) while being deformed to wrap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adjacent side protrusion 21 while wrapping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toward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side protrusion 21 The upper pressing piece 10a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incline and following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connected to the upper deformable piece 11a, is biased downward, bu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hile rapidly bending upwar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with a relatively high elastic restoring force, the upper pressure piece 10a presses and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can be.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와 유사하게, 상기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는 센터 돌기(25)와 상기 센터 돌기(25)의 양편에 배치된 사이드 돌기(2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와 사이드 돌기(21)는 제2 방향(Z2)을 따라 하부 변형편(11b)을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 급격하게 편향시킴으로써, 하부 변형편(11b)과 연결된 하부 가압편(10b)을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고, 하부 가압편(10b)을 상방으로 가세함으로써,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하부 가압편(10b)을 가압 밀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변형편(11b)은,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와 사이드 돌기(21)의 서로 반대되는 외주를 따라 지그재그로 변형되며, 센터 돌기(25)의 하부 외주를 감싸면서 센터 돌기(25)와 이웃한 사이드 돌기(21)의 상부 외주를 감싸도록 변형되면서, 센터 돌기(25)의 하부 외주로부터 사이드 돌기(21)의 상부 외주를 향하여 급격한 경사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하부 변형편(11b)을 추종하여, 상기 하부 변형편(11b)과 연결된 하부 가압편(10b)은 상방으로 가세되지만,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과 접하여 하방으로 급격하게 휘어지면서, 상대적으로 큰 강도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 가압편(10b)은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에 대해 가압 밀착될 수 있다.Similar to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upper row R1,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lower row R2 include a center protrusion 25 and side protrusions 2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side protrusion 21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rapidly deflect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from the lower position to the upper posi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so that the lower deformable piece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connected to (11b) can be elastically biased upward, and by biasing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up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can be pressuriz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More specifically,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is deformed in a zigzag patter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center projection 25 and the side projection 21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which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center projection ( While wrapp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adjacent side protrusion 21 while wrapp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 sharp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extending upward along the incline and following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connected to the lower deformable piece 11b, is biased upward, bu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While rapidly bending downward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P, the lower pressing piece 10b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by a relatively high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attached.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변형편(11)에는 지지돌기(2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홀(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편(11)의 걸림 홀(11`)에는 지지돌기(20)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 턱(25a)이 맞닿으면서 변형편(11)이 지지돌기(20)의 외부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변형편(11)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돌기(20)는 절연부재(50, 도 1 참조)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변형편(11)의 걸림 홀(11`)은, 지지돌기(20)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변형편(11)의 위치를 고정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편(11)의 걸림 홀(11`)이 지지돌기(20)의 걸림 턱(25a)에 결착되면서 변형편(11)을 포함하는 탄성편(15a,15b)이 지지돌기(20)가 형성된 절연부재(50, 도 1 참조)에 대해 간접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걸림 턱(25a)은, 지지돌기(20) 중에서 탄성편(15a,15b)과 접촉을 형성하는 센터 돌기(25)의 외주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열(R1)에 속한 센터 돌기(25)의 상부 외주와, 하부 열(R2)에 속한 센터 돌기(25)의 하부 외주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locking hole 11'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protrusion 20 may be formed in the deformable piece 11 . The deformable piece 11 is deformed so that the deformable piece 11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while the deformable piece 11 is in contact with the deformable piece 11 with the protrusion 25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Separation of the piece 11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 20 may protrude from the insulating member 50 (see FIG. 1), and the holding hole 11' of the deformable piece 11 is The position of the deformable piece 11 may be fixed along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protrusion 20 . For example, as the hooking hole 11′ of the deformable piece 11 is attached to the hooking protrusion 25a of the support protrusion 20,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including the deformable piece 11 are attached to the support protrusion. 20 may be indirectly fixed to the insulating member (50, see FIG. 1) formed there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trusion 25a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forming contact with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among the support protrusions 20, and the upper row ( It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belonging to R1)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trusion 25 belonging to the lower row R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열(R1)의 지지돌기(20)와 하부 열(R2)의 지지돌기(20) 사이에는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을 서로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S)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S)는,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이 서로 맞닿지 않도록 물리적인 간섭을 차단함으로써,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을 지지돌기(20)의 외주 사이에 끼워 조립할 때, 조립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을 서로 이웃한 센터 돌기(25)와 사이드 돌기(21)의 외주를 따라 지그재그로 끼워 조립할 때, 탄성편(15a,15b)의 탄성력과 서로 밀접하게 배치된 지지돌기(20)의 구조에 의해 조립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 사이에 이격부재(S)를 개재함으로써,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 사이의 물리적인 간섭을 회피하고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4 and 5, an upper elastic piece 15a and a lower elastic piece 15b are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upper row R1 and the support protrusions 20 of the lower row R2. A spacer member (S) for spaced apart from may be interposed. The spacer member S blocks physical interference so that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are supported by a support protrusion ( 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ssembly when assembling by fittin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More specifically, when assembling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by zigza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center protrusion 25 and the side protrusion 21 adjacent to each other,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Assembly may not be easy due to the elastic force and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rotrusions 20 disposed closely to each other,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r member between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 By interposing S), it is possible to avoid phys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and ensure ease of assembly.

상기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은, 제1, 제2 전지(C1,C2)가 조립되지 않은 미 조립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가, 제1, 제2 전지(C1,C2)가 조립되면서 제2 방향(Z2)을 따라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이격되면서 팽팽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을 지지돌기(20) 사이에 조립할 때는, 제1, 제2 전지(C1,C2)가 조립되지 않은 미 조립 상태이므로, 느슨하게 이완되어 이들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은 서로 접촉하려고 할 수 있고, 이들 사이에 물리적인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탄성편(15a)을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 탄성편(15b)을 조립할 때, 상부 탄성편(15a)의 물리적인 간섭으로 하부 탄성편(15b)의 조립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이 서로 맞닿지 않고 이격되도록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 사이에 이격부재(S)를 개재할 수 있다.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in a relatively loosely relaxed state in an unassemble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not assembled. ,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Z2 while the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assembled, they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ightly. When assembling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0, since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are not assembled, they are loosely relaxed, The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may try to contact each other, and physical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m. For example, when assembling the lower elastic piece 15b while the upper elastic piece 15a is assembled, it may be difficult to assemble the lower elastic piece 15b due to physical interference of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 spacer member 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so that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탄성편(15a)의 단부를 지지해주기 위한 상측 단부 돌기(30a)와, 하부 탄성편(15b)의 단부를 지지해주기 위한 하측 단부 돌기(30b)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이격부재(S)는, 상기 상측 단부 돌기(30a)와 하측 단부 돌기(30b) 사이에서 상부 탄성편(15a)과 하부 탄성편(15b)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시켜줌으로써, 선 조립된 상부 탄성편(15a)의 간섭을 회피하여 하부 탄성편(15b)이 용이하게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end protrusion 30a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a lower end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lower elastic piece 15b ( 30b)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in the spacer member S,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the lower elastic piece 15b contact each other between the upper end protrusion 30a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30b. By spaced apart so as not to occur,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pre-assembled upper elastic piece 15a so that the lower elastic piece 15b can be easily assembled.

상기 탄성편(15a,15b)은, 제1, 제2 전지(C1,C2)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1, 제2 전지(C1,C2)의 외주면(CP)을 둘러싸면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탄성편(15a,15b)은, 요구되는 개수의 전지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전지들의 외주면(CP)을 연속적으로 둘러싸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전지들 사이에는 지지돌기(20)의 배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15a,15b)은, 다수의 전지들이 배열된 제1 방향(Z1)을 따라 최외측 전지의 외측에서 단부를 형성하면서 종단될 수 있고, 탄성편(15a,15b)의 단부를 지지해주기 위해 최외측 전지의 외측에는 단부 돌기(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15a,15b)의 단부는 단부 돌기(30)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휘어진 형태로 단부 돌기(30)의 외주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부 돌기(30)는, 각각 상부 탄성편(15a)의 단부를 지지해주기 위한 상측 단부 돌기(30a)와 하부 탄성편(15b)의 단부를 지지해주기 위한 하측 단부 돌기(3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may exten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CP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to each other. .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may extend while continuous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CP of a plurality of batteries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a required number of batteries to each other. An array of support protrusions 20 may be formed between the batteries. At this time,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may terminate while forming ends at the outside of the outermost battery along the first direction Z1 in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ies are arranged, and the ends of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An end protrusion 3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most battery to support it.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elastic pieces 15a and 15b may be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rojection 30 in a curved form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projection 30 . For example, the end protrusion 30 includes an upper end protrusion 30a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upper elastic piece 15a and a lower end protrusion 30b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lower elastic piece 15b. can includ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지지돌기(20)와, 지지돌기(20) 사이의 이격부재(S)는,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절연부재(50)로부터 제1, 제2 전지(C1,C2)의 사이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20) 및 지지돌기(20) 사이의 이격부재(S)는, 절연부재(5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50)는, 접속부재(15)를 절연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제1, 제2 전지(C1,C2)를 수용하는 케이스(미도시), 또는 제1, 제2 전지(C1,C2)의 위치 고정을 위한 홀더(미도시)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부재(15)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C1,C2)의 같은 극성끼리 병렬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부재(50) 상에는, 제1, 제2 전지(C1,C2)의 또 다른 극성끼리 병렬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5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부재(50)에는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단자 홀(5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속수단(55)은, 상기 단자 홀(50`)을 통하여 노출된 제1, 제2 전지(C1,C2)의 전방 단부(FE)에 접속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rotrusion 20 and the spacer member S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20 are the front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t may protrude to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from the insulating member 50 extending across (FE). That is, the support protrusion 20 and the spacer member S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0 may be fixed on the insulating member 50 . The insulating member 50 may be configured to insulate the connection member 15, and may be a case (not shown) accommodat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or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 It may be formed as a part of a holder (not shown) for fixing the position of C1 and C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15 can connect in parallel the same polarity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 the insulating member 50, Connection means 55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in parallel to other polarities may be disposed. For example, a terminal hole 50′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ends F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may be formed in the insulating member 50, and the connecting means 55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s F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C1 and C2 exposed through the terminal hole 50'.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10: 가압편 10a: 상부 가압편
10b: 하부 가압편 101: 제1 가압편
102: 제2 가압편 15: 접속부재
15a: 상부 탄성편 15b: 하부 탄성편
20: 지지돌기 21: 사이드 돌기
25: 센터 돌기 30: 단부 돌기
C1, C2: 제1, 제2 전지 CP: 외주면
G: 조립 가이드 F: 결합 돌기
P: 정점 위치 S: 이격부재
10: pressure piece 10a: upper pressure piece
10b: lower pressure piece 101: first pressure piece
102: second pressing piece 15: connection member
15a: upper elastic piece 15b: lower elastic piece
20: support protrusion 21: side protrusion
25: center projection 30: end projection
C1, C2: first and second cells CP: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G: Assembly guide F: Coupling protrusion
P: apex position S: separation member

Claims (20)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제1, 제2 전지; 및
상기 제1, 제2 전지를 개재하고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접속부재로서, 각각의 탄성편은,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가압편의 쌍과, 쌍을 이루는 가압편 사이에서 열을 이루어 배열된 지지돌기의 외주를 둘러싸면서 지그 재그로 휘어진 변형편을 구비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중앙 위치에 배치된 센터 돌기; 및
상기 센터 돌기의 양편으로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편은,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센터 돌기와 사이드 돌기의 서로 반대되는 외주를 둘러싸면서 센터 돌기와 사이드 돌기의 외주 상에서 변곡되며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first and second batter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 pair of elastic piec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each elastic piece pressuriz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pair of pieces and a deformed piece bent in a zigzag patter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s arranged in rows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pieces,
The support protrusion,
a center protrusion disposed at a central position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ing; a pair of side protrus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rotrusion,
The deformable piece is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nflection and bend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center proj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제2 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편은, 상기 전방 단부와 인접한 외주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pressing piece is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djacent to the front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지는, 각각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캔과, 캔의 전방 단부에 결합되어 전극 조립체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편은,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상에서 캡 조립체와 캔의 결합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each include a can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cap assembly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can to seal the electrode assembly,
The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iece surrounds the joint between the cap assembly and the ca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제2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상부 외주면 및 하부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는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piece includes an upper pressure piece and a lower pressure piece that respectively sur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e upper pressing piece and the lower pressing piece are elastically biased in directions facing each other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terposed therebetw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압편 및 하부 가압편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정점 위치에서,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대해 가압 접촉되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4,
The upper pressure piece and the lower pressure piece,
Pressing contact is made with the upper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t the apex positions farthest from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t positions closest to each other along the second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편은, 상기 변형편과 연결된 가압편을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deformable piece elastically biases the pressing piece connected to the deformable piec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상부 열의 지지돌기와 하부 열의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rotrusion includes an upper row of support protrusions and a lower row of support protrusions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3x2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9,
The support protrusions are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3x2 matrix form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열의 지지돌기와 하부 열의 지지돌기 사이에는 이격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9,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spacer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upper row and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lower ro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편은,
상부 열의 지지돌기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상부 변형편; 및
하부 열의 지지돌기의 외주 사이에 끼워지는 하부 변형편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편은,
상기 상부 변형편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변형편에 의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상부 가압편의 쌍; 및
상기 하부 변형편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변형편에 의해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는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하부 가압편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9,
The deformation piece,
An upper deformation piece inser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upper row of support projections; and
Including a lower deformation piece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jection of the lower row,
The pressure piece,
a pair of upper pressing pie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deformable piece and elastically biased downward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y the upper deformable piece; and
and a pair of lower pressing pie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deformable piece and elastically biased upward towa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y the lower deformable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편에는, 상기 지지돌기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 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에는, 상기 걸림 홀과 결착되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 locking hol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deformed piece,
The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engaged with the lock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인입부에 끼워지도록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n inle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he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portion is formed on the pressing pie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4,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에는, 상기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상으로 가압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압편의 단부로부터 제1, 제2 전지와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의 조립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n assembly guide is formed on the pressing piece to guide the sliding of the pressing pie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nd has a shape bent from an end of the pressing piece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제1, 제2 전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가압편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6,
The assembly guide is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pie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제1, 제2 전지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제2 전지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6,
The assembly guid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및 지지돌기 사이의 이격부재는, 제1, 제2 전지의 단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절연부재로부터 제1, 제2 전지 사이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spacer member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from an insulating member extending across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towar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제1, 제2 전지의 같은 극성끼리 병렬 연결하며,
상기 절연부재 상에는, 제1, 제2 전지의 또 다른 극성끼리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접속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9,
The connection member connects the same polar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in parallel,
A batter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insulating member,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atteries of different polarities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disposed.
KR1020190164641A 2019-12-11 2019-12-11 Battery assembly Active KR102572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41A KR102572649B1 (en) 2019-12-11 2019-12-11 Battery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41A KR102572649B1 (en) 2019-12-11 2019-12-11 Battery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85A KR20210073885A (en) 2021-06-21
KR102572649B1 true KR102572649B1 (en) 2023-08-31

Family

ID=7660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641A Active KR102572649B1 (en) 2019-12-11 2019-12-11 Battery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64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63A (en) * 2005-06-16 2006-12-28 Honda Motor Co Ltd Holding member and battery pack
JP2007323951A (en) * 2006-05-31 2007-12-13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1363A (en) * 2005-06-16 2006-12-28 Honda Motor Co Ltd Holding member and battery pack
JP2007323951A (en) * 2006-05-31 2007-12-13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85A (en)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877B2 (en)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of assembling type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US11831034B2 (en) Battery pack having flexible line to detect voltage and temperature
CN103415942B (en) Battery cell holder with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module using same
JP4559389B2 (en) Battery module
US9142809B2 (en) Battery module
US8765290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terminal junction and prong
US8592079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50064543A1 (en) Battery module
JP7178593B2 (en) battery module
KR102587699B1 (en) Battery Pack
KR102609868B1 (en) Battery pack
CN101599553A (en) Battery pack
US20160141588A1 (en) Secondary battery
US20160336564A1 (en) Battery module
US10431782B2 (en) Battery pack
CN108475744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12218382B2 (en) Battery pack
KR102572649B1 (en) Battery assembly
KR101816708B1 (en) Battery pack
KR20200102189A (en) Battery pack
CN214542458U (en) Conducting strip structure and mobile energy storage device
JP6688465B2 (en) Battery pack
KR102490864B1 (en) Secondary battery
US20250167405A1 (en) Battery pack
KR20160094227A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