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708B1 -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708B1 KR101816708B1 KR1020110128104A KR20110128104A KR101816708B1 KR 101816708 B1 KR101816708 B1 KR 101816708B1 KR 1020110128104 A KR1020110128104 A KR 1020110128104A KR 20110128104 A KR20110128104 A KR 20110128104A KR 101816708 B1 KR101816708 B1 KR 1018167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electrode tab
- electrode tabs
- electrode
- b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팩은, 음극탭과 양극탭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탭이 일측에 형성되며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지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지셀의 전극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탭들이 구부러진 후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탭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절곡에 의한 탄성을 가짐으로써 전극탭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극탭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 위치된 전극탭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고, 전극탭을 구부림에 있어 커넥터와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도록 구부릴 수 있어 용접 등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또, 커넥터와 전극탭의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한 배터리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A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having a pair of electrode tabs each having a negative electrode tab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formed on one side and arranged side by side; The electrode tabs are bent and t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is formed at the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tabs to have elasticity by bending, thereby pressing the electrode tabs And a connector.
Therefore, when the electrode tab locat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the electrode tab can be bent so as to secure the connector and the ground surface in the bending. There is a feature that connection work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plane of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de tab can be ensured widely, there is a feature that a battery pack with a smooth current flow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지셀과 커넥터를 갖는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hav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connector.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primary batteries and are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digital camer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hybrid vehicles.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원으로는 리튬 이차전지가 주로 사용되며, 모터구동 등과 같은 큰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다수 개의 고출력 전지셀이나 셀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대용량의 배터리팩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s a power source of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vehicl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inly used, and since a large electric power such as a motor drive is required, a battery pack of a large capacity constitu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high output battery cells or cell modules in series is used It is common.
일반적으로 배터리팩은 한국 특허출원 제10-2004-0099303호에서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전지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battery pack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series a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99303.
특히, 하이브리트 자동차용 배터리팩의 경우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전지셀이 충전과 방전을 번갈아가면서 수행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충방전 등을 제어하여 배터리가 적정한 동작 상태로 유지하도록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battery pack for a hybrid vehicle, several to several tens of battery cells are alternately charged and discharged, so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such charging / discharging so as to maintain the battery in an appropriate operating state.
또, 배터리팩은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위치되며 양극판, 음극판, 세퍼레이터로 구성되어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극판군(20)을 갖는다.The battery pack has a
또, 극판군(20)의 양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단자(30)로 전달하는 양극연결부재(21)와, 상기한 극판군(20)의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극단자(40)로 전달하는 음극연결부재를 갖는다.The positive
또, 배터리팩은 그 내부에 다수 개의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전지셀이 가지고 있는 전극 탭(통상 '전극 탭' 또는 '셀탭'이라고 함)들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lso, the battery pack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rein, and the electrode tabs (usually called 'electrode tabs' or 'cell tabs') of each battery cel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전극 탭과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작업은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 위치된 상태가 되면서 커넥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통상 전극 탭의 상부가 됨)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린 후 용접을 통해 연결 및 고정한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is establish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and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usu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tab) is bent in the connector direction and is connected and fixed through welding .
그런데 종래 전극탭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커넥터를 잡아주는 힘이 약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고, 전극 탭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러지지 못하여 전극탭과 커넥터의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전극 탭과 커넥터의 접지면이 작을수록 전류의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용접도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함)
However, when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orce to hold the connector is low, so that the workability is poor. When the electrode tab is bent in the connector direction,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can not be bent smoothly. (The smaller the ground plane of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is, the more the current can not flow smoothly and the welding can not be performed firmly.)
본 발명은 전극탭과 커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전극탭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러져 커텍터와 전극탭의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어 전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견고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배터리팩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nect the electrode tab and the connector, and when the electrode tab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 electrode tab is smoothly bent so that the ground plane of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de tab is wide,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battery pack that can be made available.
본 발명에서는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가 커턱터의 외측에 위치되어 커텍터와 커텍터 사이에 위치되는 전극탭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극탭을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전극탭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전극탭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러져 커넥터와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고 용접이 용이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ressing portion having a bending elasticity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to press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to hold the electrode tab, Is flexed smoothly when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thereby ensuring a wider connector and ground plane and facilitating welding.
이러한 본 발명의 배터리팩은, 음극탭과 양극탭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탭이 일측에 형성되며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지셀을 갖는다.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pair of electrode tabs each comprising a negative electrode tab and a positive electrode tab.
또,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의 전극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탭들이 구부러진 후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탭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절곡에 의해 탄성을 가짐으로써 전극탭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tabs are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 tabs of adjacent battery cells, the electrode tabs are bent and then contact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electrode tabs .
본 발명의 배터리팩에 구비된 커넥터는, 절곡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가 외측에 위치되어 커텍터와 커텍터 사이에 위치되는 전극탭의 측면을 가압하여 전극탭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극탭과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해 커넥터와 커넥터 사이에 위치된 전극탭을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고, 전극탭을 구부림에 있어 커넥터와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도록 구부릴 수 있어 용접 등의 연결작업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The connector provided in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lient pressing portion having bending and elasticity is located outside and the electrode tab is held by pressing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de tab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The electrode tab can be bent smoothly when the electrode tab located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electrode tab and the electrode tab can be bent so as to secure the connector and the ground surface in the bending, Feature.
또, 커넥터와 전극탭의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류의 흐름이 원활한 배터리팩이 되도록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round plane of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de tab can be ensured widely,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a battery pack with a smooth current flow can be obtained.
도 1은 종래의 배터리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커넥터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터리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배터리팩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battery pack structure;
2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nector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pa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pa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only typic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ider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지셀과 커넥터로 이루어진 2차전지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connector.
따라서 본 발명의 배터리팩도 종래와 같이 음극탭(112)과 양극탭(111)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탭(110)이 일측에 형성되며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지셀(100)을 갖는다.Therefore, the battery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plurality of
또,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100)의 전극탭(11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탭(110)들이 구부러진 후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200)를 갖는다.The
상기 커넥터(2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압센싱라인(300)이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And a
또, 커넥터(200)에는 커넥터(200)의 연결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전압센싱라인(300)에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전지셀(100)의 전극탭(110)들과 상기 전압센싱라인(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400)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전지셀(100)은 양극, 음극, 전해질 및 격리판 등으로 이루어져 전기를 발생시키는 부분인 전극체(113)에 그 일측으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전극탭(11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상기 전극탭(110)은 양극탭(111) 및 음극탭(112)으로 이루어지고, 전기적으로 도체인 금속 재질이며, 구부러지기 쉬운 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도 5 과 같이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전지셀(100)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지셀(100)들의 전극탭(110) 사이에 상기 커넥터(200)가 개재되는데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100)은 양극탭(111)과 음극탭(112)이 마주보도록 교번 배치되고 그 사이에 상기 커넥터(200)가 개재된다.5, the plurality of
그런데 본 발명은 전극탭(110)과 커넥터(200)를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전극탭(110)을 커넥터(200) 방향으로 구부릴 때 원활하게 구부러져 커텍터(200)와 전극탭(110)의 접지면이 넓게 확보되어 전류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견고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팩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nect the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는, 커넥터(200)가 전극탭(110)을 가압, 고정해줌으로써 전극탭(110)을 커넥터(200) 방향으로 구부릴 때 커넥터(200)와의 접지면이 넓도록 원활하게 구부러지고, 용접 등의 연결작업을 할 때도 움직이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구조를 안출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found that when the
즉, 커넥터(200) 중 전극탭(110)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절곡되어 있는 등의 이유로 탄성을 가짐으로써 전극탭(110)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250)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탄성가압부(250)의 가압에 의해 전극탭(11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이다.That is, a portion of the
이러한 탄성가압부(250)를 갖는 커넥터(200)의 형상은 배터리팩의 사양에 따라 달라지며, 여러 가지 사양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즉, 도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커넥터(2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와 같은 탄성가압부(250)는 커넥터(200) 중 전극탭(110)과 마주하는 부분이 절곡된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전극탭(110)과 접촉되는 부분이 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The resilient pressing
또, 커넥터(200)의 외측에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체가 일체화되게 고정되어 있도록 인서트 사출을 하는 방법 등을 통해 상기 탄성체의 일부분이 탄성가압부(250)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may be made to be the elastic pressing
전술한 탄성가압부(250)는 도 3과 같이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elastic
즉, 탄성가압부(250)는 커넥터(200)의 좌, 우측에 형성되어 있되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길어 커넥터(200)의 좌, 우측에 각각 1개의 탄성가압부가 형성되는 구조는 탄성가압부의 움직임이 양극탭(111)이나 음극탭(112)에 원활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길이가 작은 탄성가압부가 커넥터(200)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 구비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일부 탄성가압부는 양극탭(111)에 대응되고 일부 탄성가압부는 음극탭(112)을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elastic
본 발명에서 서로 이웃하는 전지셀(100)의 양극탭(111)과 음극탭(112)은 상기 커넥터(200)의 상면에 구성되는 제1연결부재(221)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221) 쪽으로 구부려진 후 레이져 또는 초음파 용접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즉, 전극탭(110)은 커넥터(200)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커넥터(200)와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커넥터(20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커넥터(200)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전지셀(100) 사이에 하나만 개재된다.The
즉,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전지셀(100)은 양극탭(111)과 음극탭(112)이 마주보도록 두 쌍의 전극탭(110)이 구성되므로, 한 쌍의 전극탭(110)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200)가 개재되어 상기 커넥터(200)의 제1연결부재(221)에 결합된다.That is, since the pair of
그리고 나머지 한 쌍의 전극탭(110)은 다시 그 이웃하는 전지셀(100)의 전극탭(110)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200)의 제1연결부재(221)에 결합된다.And the other pair of
그리하여 수개의 전지셀(100)들 사이에 커넥터(200)가 지그재그로 개재되고 전극탭(110)들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Thus, the
상기와 같이 전극탭(110)들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전지셀(100)들의 전극탭(110) 사이에는 상기 커넥터(200)가 개재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도 4와 같이 제1연결부재(221)가 형성되지 않은 고정커넥터(200c)가 개재되어 상기 전극탭(11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즉, 마주보는 전지셀(100)의 두 쌍의 전극탭(110) 사이에 각각 커넥터(200)가 개재되도록 하되 한 쌍의 전극탭(110) 사이에는 전극탭(1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221)가 형성된 연결커넥터(200a)가 개재되어 전극탭(110)이 연결커넥터(200a) 안쪽으로 구부러져 결합되고, 다른 한 쌍의 전극탭(110) 사이에는 전극탭(110)이 결합되지 않으며 바깥쪽으로 전극탭(110)을 밀착시키는 역할만을 하는 고정커넥터(200c)가 개재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고정커넥터(200c)는 단순히 전극탭(110)을 밀착시키는 역할만을 하게 되며 전압센싱라인(300)이 연결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전지셀(100)은 하나의 탭(양극탭 또는 음극탭)만 남게 되는데, 이는 엔드커넥터(200b-1 또는 200b-2)를 개재하고 하나의 전극탭(110)만 결합하여 연결된다.In the
커넥터(200)의 일측에는 상기 전압센싱라인(300)이 연결되며, 상기 전압센싱라인(300)은 상기 커넥터(200)의 제1연결부재(221)에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The
즉, 상기 전압센싱라인(300)은 상기 커넥터(200)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셀(100)의 전극탭(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That is, the
미설명 부호 500은 케이스이고, 600은 엔드커버이다.
10. 케이스 20. 극판군
21. 양극연결부재 30. 양극단자
40. 음극단자 100. 전지셀
110. 전극탭 111. 양극탭
112. 음극탭 113. 전극체
200. 커넥터 200a. 연결커넥터
200b-1, 200b-2. 엔드커넥터 200c. 고정커넥터
210. 몸체 221. 제1연결부재
250. 탄성가압부 300. 전압센싱라인
400. 퓨즈 500. 케이스
600. 엔드커버10.
21.
40.
110.
112.
200.
200b-1, 200b-2.
210.
250.
400.
600. End cover
Claims (3)
음극탭과 양극탭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탭이 일측에 형성되며 나란히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전지셀;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전지셀의 두 쌍의 전극탭 사이에 개재되며, 전극탭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전극탭을 가압하는 탄성가압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는,
마주보는 한 쌍의 전극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탭이 구부러진 후 접촉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가 형성된 연결커넥터; 및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전극탭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다른 한 쌍의 전극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는 상태로 바깥쪽으로 밀착시키는 고정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In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having electrode taps formed by negative electrode tabs and positive electrode tabs formed on one side and arranged side by side;
And a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wo pairs of the electrode tabs of the adjacent battery cells and having an elastic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electrode tabs at a portion facing the electrode tabs,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connection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opposing electrode tabs and having a first connection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air of electrode tabs when the pair of electrode tabs are bent and then contacted; And
And a fixed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the other pair of electrode tabs facing each other and making the other pair of electrode tabs adhere to each other without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상기 탄성가압부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elastic press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상기 전극탭은 커넥터 방향으로 구부러진 후 커넥터와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커넥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tab is bent in a connector direction and then welded to the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8104A KR101816708B1 (en) | 2011-12-02 | 2011-12-02 | Battery pack |
PCT/KR2012/010286 WO2013081407A1 (en) | 2011-12-02 | 2012-11-30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8104A KR101816708B1 (en) | 2011-12-02 | 2011-12-02 | Battery p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1840A KR20130061840A (en) | 2013-06-12 |
KR101816708B1 true KR101816708B1 (en) | 2018-01-10 |
Family
ID=4853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8104A Active KR101816708B1 (en) | 2011-12-02 | 2011-12-02 |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708B1 (en) |
WO (1) | WO2013081407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97104A (en) | 2023-12-21 | 2025-06-30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ll-solid-state battery modul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KR20250097105A (en) | 2023-12-21 | 2025-06-30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Operation method of all-solid-state battery modu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1082B1 (en) | 2016-03-23 | 2023-02-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Battery Module |
DE102022106551B4 (en) | 2022-03-21 | 2024-01-18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Battery cell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39780B2 (en) * | 2003-10-10 | 2009-03-1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4829587B2 (en) * | 2005-10-14 | 2011-12-07 | 日本電気株式会社 | Electrical devic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140449B1 (en) * | 2007-09-19 | 2012-04-30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Module pack For Secondary Battery |
BRPI0819583B1 (en) * | 2007-12-25 | 2019-04-02 | Byd Company Limited | Electrochemical Storage Cell |
KR20110008700A (en) * | 2009-07-21 | 2011-01-27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connector |
-
2011
- 2011-12-02 KR KR1020110128104A patent/KR101816708B1/en active Active
-
2012
- 2012-11-30 WO PCT/KR2012/010286 patent/WO201308140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97104A (en) | 2023-12-21 | 2025-06-30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ll-solid-state battery module using planar heating element |
KR20250097105A (en) | 2023-12-21 | 2025-06-30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Operation method of all-solid-state battery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81407A1 (en) | 2013-06-06 |
KR20130061840A (en) | 2013-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244029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 |
CN106410101B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 |
KR101841801B1 (en) | Battery pack having bushing for coupling end plate | |
KR101565115B1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629053B1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urrent collector | |
CN110114932B (en) |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and vehicles including battery modules | |
JP4642010B2 (en) | Conductive plate and battery pack | |
US9178206B2 (en) | Battery module | |
US10446816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US20210194100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same | |
KR102258172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20150142790A (en) | End plat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thereby preventing a change in the external shape of the battery module due to swelling,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 |
KR102066198B1 (en) | Battery pack | |
KR101797693B1 (en) | Battery Pack Prepared Using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Battery Cell with Contact Bending Part | |
US20130122355A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60107416A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ver | |
KR20150137840A (en) |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1816708B1 (en) | Battery pack | |
KR20170028069A (en) | Battery module | |
KR101906923B1 (en) | Battery Module and Laser welding method for Battery Module | |
US8481193B2 (en) |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20077528A (en) | Fixture and storage battery module | |
CN110474012B (en) | Battery and battery system | |
KR20180086697A (en) |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1890014B1 (en) | Electrode lead and battery module for high capacity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