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70B1 -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Google Patents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1470B1 KR102571470B1 KR1020210174333A KR20210174333A KR102571470B1 KR 102571470 B1 KR102571470 B1 KR 102571470B1 KR 1020210174333 A KR1020210174333 A KR 1020210174333A KR 20210174333 A KR20210174333 A KR 20210174333A KR 102571470 B1 KR102571470 B1 KR 1025714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or
- regenerative braking
- voltage
- signal
- sp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B60L7/10—Dynamic electric 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10—Electrical machine ty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4—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60—Regenerative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인버터의 구성도.
도 3은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전자가 회전시 홀센서들의 파형도.
도 4는 도 2의 인버터의 U상 인버터의 구성도.
도 5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구동시 제1홀센서감지신호가 하이 논리값일때의 U상 인버터의 전류 흐름도.
도 6은 개방권선 전동기의 구동시 제1홀센서감지신호가 로우 논리값일때의 U상 인버터의 전류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시 제1홀센서감지신호가 하이 논리값일때의 U상 인버터의 전류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시 제1홀센서감지신호가 로우 논리값일때의 U상 인버터의 전류 흐름도이다.
30 : 인버터 31 : U상 인버터
33 : V상 인버터 34 : W상 인버터
40 : 회전자 위치속도 산출부 41 : 회전자위치 산출부
43 : 회전자 각도 산출부 45 : 회전자 속도 산출부
50 : 지령속도 감지부 60 : 제동기 감지부
70 : 가감속 제어부 80 :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
Claims (6)
- 직류전압(Vdc)을 공급해 주는 배터리(10);
양단이 개방된 복수의 코일(UC,VC,WC)들과 회전자(L)와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출력하는 홀센서(H1,H2,H3)로 구성되어 전기차량의 가감속시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직류전압(Vdc)을 공급받아 전기차량을 구동시키며, 회생제동시 상기 회전자(L)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에 역기전력(VBF)을 발생시키는 개방권선 전동기(20);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전기차량의 구동시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수신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PWM)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Vdc)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를 구동 제어하고, 회생제동시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제어신호(RBC)에 의해 상기 역기전력(VBF)을 승압시켜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승압전압(VBS)을 출력하여 상기 승압전압(VBS)으로 상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인버터(30);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중 회전자(L)의 현재 위치 각도인 회전자 위치각도(LP)와, 회전자(L)가 회전하는 회전자 속도(LV)를 산출하는 회전자 위치속도 산출부(4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가속레버(ACC) 조작에 대응되는 전기차량의 주행지령속도(UEV)를 출력하는 지령속도 감지부(5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제동기 조작 유무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동기 감지신호(BS)를 출력하는 제동기 감지부(60);
상기 지령속도 감지부(50)로부터 출력되는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속도(LV)를 수신하여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보다 크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감속신호(FL)를 출력하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이면 활성화되는 회생제동신호(RB)를 출력하는 가감속 제어부(70); 및
상기 가감속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가감속신호(FL)와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와,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상기 가감속신호(FL)에 대응되는 듀티비가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출력하고, 상기 회생제동신호(RB)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출력하는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80)를 구비하며,
상기 가감속 제어부(70)는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일때, 상기 회전자속도(LV)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기준 회전자속도(RLV)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자속도(LV)가 상기 기준 회전자속도(RLV) 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회생제동신호(RB)는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전자속도(RLV)는 회생제동시 상기 인버터(30)에서 출력되는 상기 승압전압(VBS)이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 보다 큰 전압을 갖도록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회전자(L)의 회전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위치속도 산출부(40)는,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수신하여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의 각각의 상승에지시점과 하강에지시점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상승에지시점과 하강에지시점에 의해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의 홀센서주기(HT)를 판단하고, 상기 상승에지시점과 하강에지시점에 의해 각 에지 사이의 시간인 에지시간(ET)을 산출하고, 상기 상승에지시점 또는 하강에지시점에서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의 논리값에 따라 회전자(L)의 회전에 따른 회전자 절대각도(ABV)를 산출하는 회전자위치 산출부(41);
상기 회전자 절대각도(ABV)와 에지시간(ET)를 수신하여 상기 에지시간(ET)에 의해 상기 펄스폭변조신호(PWM)의 한 주기당 각도변화량(CH)을 산출하고, 상기 회전자 절대각도(ABV) 산출시점부터 현재의 회전자(L)의 위치까지의 펄스폭변조신호(PWM)의 총계(PN)를 산출하여 회전자(L)의 회전에 대응되는 회전자(L)의 현재 위치 각도인 회전자 위치각도(LP)를 산출하는 회전자 각도 산출부(43); 및
상기 홀센서주기(HT)를 수신하여 상기 홀센서주기(HT)에 의해 회전자(L)의 회전자 분당 회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자 분당 회전수에 의해 회전자(L)의 회전속도(LV)를 산출하는 회전자 속도 산출부(4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직류전압(Vdc)을 공급해 주는 배터리(10);
양단이 개방된 복수의 코일(UC,VC,WC)들과 회전자(L)와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출력하는 홀센서(H1,H2,H3)로 구성되어 전기차량의 가감속시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직류전압(Vdc)을 공급받아 전기차량을 구동시키며, 회생제동시 상기 회전자(L)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에 역기전력(VBF)을 발생시키는 개방권선 전동기(20);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전기차량의 구동시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수신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PWM)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Vdc)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를 구동 제어하고, 회생제동시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제어신호(RBC)에 의해 상기 역기전력(VBF)을 승압시켜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승압전압(VBS)을 출력하여 상기 승압전압(VBS)으로 상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인버터(30);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중 회전자(L)의 현재 위치 각도인 회전자 위치각도(LP)와, 회전자(L)가 회전하는 회전자 속도(LV)를 산출하는 회전자 위치속도 산출부(4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가속레버(ACC) 조작에 대응되는 전기차량의 주행지령속도(UEV)를 출력하는 지령속도 감지부(5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제동기 조작 유무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동기 감지신호(BS)를 출력하는 제동기 감지부(60);
상기 지령속도 감지부(50)로부터 출력되는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속도(LV)를 수신하여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보다 크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감속신호(FL)를 출력하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이면 활성화되는 회생제동신호(RB)를 출력하는 가감속 제어부(70);
상기 가감속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가감속신호(FL)와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와,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상기 가감속신호(FL)에 대응되는 듀티비가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출력하고, 상기 회생제동신호(RB)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출력하는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80); 및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의 구동시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을 감지하고, 회생제동시 상기 배터리(10)에 충전되는 승압전압(VBS)을 감지하는 인버터 전압 감지부(90)를 구비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80)는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의 구동시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이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듀티비가 가변된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출력하고, 회생제동시 상기 인버터 전압 감지부(90)에서 산출된 상기 승압전압(VBS)이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승압한계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갖도록 듀티비가 가변된 상기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직류전압(Vdc)을 공급해 주는 배터리(10);
양단이 개방된 복수의 코일(UC,VC,WC)들과 회전자(L)와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출력하는 홀센서(H1,H2,H3)로 구성되어 전기차량의 가감속시 상기 배터리(10)로부터 직류전압(Vdc)을 공급받아 전기차량을 구동시키며, 회생제동시 상기 회전자(L)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에 역기전력(VBF)을 발생시키는 개방권선 전동기(20);
상기 복수의 코일(UC,VC,WC)들의 양단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전기차량의 구동시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수신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PWM)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Vdc)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를 구동 제어하고, 회생제동시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제어신호(RBC)에 의해 상기 역기전력(VBF)을 승압시켜 상기 배터리(10)의 직류전압(Vdc)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승압전압(VBS)을 출력하여 상기 승압전압(VBS)으로 상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키는 인버터(30);
상기 홀센서감지신호(HS1,HS2,HS3)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자(L)의 회전 중 회전자(L)의 현재 위치 각도인 회전자 위치각도(LP)와, 회전자(L)가 회전하는 회전자 속도(LV)를 산출하는 회전자 위치속도 산출부(4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가속레버(ACC) 조작에 대응되는 전기차량의 주행지령속도(UEV)를 출력하는 지령속도 감지부(5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전기차량의 제동기 조작 유무에 따라 활성화되는 제동기 감지신호(BS)를 출력하는 제동기 감지부(60);
상기 지령속도 감지부(50)로부터 출력되는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속도(LV)를 수신하여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보다 크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주행지령속도(UEV)와 상기 회전자 속도(LV)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가감속신호(FL)를 출력하고, 상기 주행지령속도(UEV)가 0이면 활성화되는 회생제동신호(RB)를 출력하는 가감속 제어부(70);
상기 가감속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가감속신호(FL)와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와,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를 수신하여, 상기 회생제동신호(RB)와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상기 가감속신호(FL)에 대응되는 듀티비가 가변되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출력하고, 상기 회생제동신호(RB)가 활성화되거나 상기 제동기 감지신호(BS)가 활성화되면 상기 회전자 위치각도(LP)에 따라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출력하는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80); 및
상기 인버터(30)에서 발생되는 인버터전류(INV)를 감지하는 인버터전류 감지부(100)를 구비하여,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제어부(80)는 상기 개방권선 전동기(20)의 구동시 상기 인버터전류(INV)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구동한계전류(IL) 보다 크면 상기 인버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펄스폭변조신호(PWM)를 출력하고, 회생제동시 상기 인버터전류(INV)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회생한계전류(RIL) 보다 크면 상기 인버터(3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회생제동제어신호(RBC)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4333A KR102571470B1 (ko) | 2021-12-08 | 2021-12-08 |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74333A KR102571470B1 (ko) | 2021-12-08 | 2021-12-08 |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048A KR20230086048A (ko) | 2023-06-15 |
KR102571470B1 true KR102571470B1 (ko) | 2023-08-28 |
Family
ID=86763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4333A Active KR102571470B1 (ko) | 2021-12-08 | 2021-12-08 |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7147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16041B1 (ko) * | 2024-12-06 | 2025-06-04 | 주식회사에이로봇 | 로봇용 리니어 액추에이터의 회생 제동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07446A1 (en) * | 2012-05-18 | 2013-11-21 | Makita Corporation | Braking Apparatus for Three-Phase Brushless Motor, and Motor-Driven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32823B2 (ja) | 1993-11-16 | 2001-11-2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電気自動車の回生制動制御方法 |
KR101141770B1 (ko) | 2010-10-12 | 2012-05-11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차량의 회생제동장치의 에너지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1641560B1 (ko) * | 2014-07-28 | 2016-07-21 |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자전거의 회생제동 제어장치 |
KR102005028B1 (ko) | 2017-12-08 | 2019-07-29 |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스쿠터 회생제동 전력제어 장치 |
KR102565333B1 (ko) * | 2018-12-12 | 2023-08-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
KR20220062832A (ko) * | 2020-11-09 | 2022-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모터 구동 장치를 이용한 멀티 입력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
2021
- 2021-12-08 KR KR1020210174333A patent/KR10257147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307446A1 (en) * | 2012-05-18 | 2013-11-21 | Makita Corporation | Braking Apparatus for Three-Phase Brushless Motor, and Motor-Driven Appliance Provided with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6048A (ko) | 2023-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95342B2 (ja) | 電動機の制御装置 | |
JP6062327B2 (ja) |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電動車両 | |
US7643733B2 (en) | Control device for driving a brushless DC motor | |
EP0582470B1 (en) | Synchronous motor control for electric vehicle | |
JP5643496B2 (ja) |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を適用した電動車両 | |
CN105471359B (zh) | 车辆控制装置 | |
WO2008102916A1 (ja) | 回転電機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車両 | |
US6879125B2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t least one electrical rotating machine using compound current | |
WO2018150793A1 (ja) |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電動車両 | |
JP4032516B2 (ja) | 自動車用電動駆動装置 | |
US6611127B2 (en) | Drive circuit for motor/generator | |
KR102571470B1 (ko) | 개방권선 전동기의 회생제동장치 | |
JP3958274B2 (ja) | 放電制御装置、放電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Deepa et al. | A novel switching scheme for regenerative braking and battery charging for BLDC motor drive used in electric vehicle | |
JP5797983B2 (ja) | 電気自動車のコンデンサ電荷放電装置 | |
JP3907453B2 (ja) | 電気動力装置付き車輌の制御装置 | |
CN102055391A (zh) | 电动汽车用开关磁阻电机绝对位置传感器及其控制方法 | |
JP3515047B2 (ja) | Dc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 | |
CN201910728U (zh) | 电动汽车用开关磁阻电机绝对位置传感器 | |
JP5673068B2 (ja) | 車両駆動装置 | |
JP3663166B2 (ja) |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 |
US12199539B2 (en) |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and motor control method | |
JP5325806B2 (ja) | 鉄道車両駆動制御装置 | |
Reddy et al. | Development of BLDC Motor Controller using Sensor-Based Method | |
CN101854085A (zh) | 电动机的电力回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