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8293B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293B1
KR102568293B1 KR1020220162555A KR20220162555A KR102568293B1 KR 102568293 B1 KR102568293 B1 KR 102568293B1 KR 1020220162555 A KR1020220162555 A KR 1020220162555A KR 20220162555 A KR20220162555 A KR 20220162555A KR 102568293 B1 KR102568293 B1 KR 10256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lverized
rotating screw
screw
cuto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경
윤예빈
Original Assignee
조성경
윤예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경, 윤예빈 filed Critical 조성경
Priority to KR102022016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길이와 둘레에 걸쳐 레이져를 이용하여 땅콩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 절단 부분이 여리한 절개부를 지그재그로 형성한 하우징과 나사산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첨단부에 요철 모양으로 홈을 연속 형성한 회전스크류를 결합하되 회전스크류이 하우징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절개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쇄기{a crusher}
본 발명은 냉동 과일 및 건조한 과일, 건조한 견과류, 커피 원두 등의 미세한 분말을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동력을 구성하는 몸체와, 몸체의 동력과 결합하여 회전력을 구성하는 회전 스크류와, 몸체에 고정되고 그 둘레와 그 길이에 걸쳐 땅콩 모양의 무늬로 연속 천공하여 절개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절개부와 마찰에 의해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류와, 상기 하우징에 씌워져서 하우징의 절개부로 배출되는 분쇄가루를 수용하여 배출하는 커버와,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하여 미분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형성한 배출판과 배출판과, 하우징에 몸체에 고정하고 커버를 하우징에 고정하며 배출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의 양단부와 그 중앙에 돌출되어 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브라켓과,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출판을 고정하기 위해 브라켓에 고정되는 배출컵으로 구성되어 호퍼로 유입되는 분쇄물이 하우징을 통과하면서 절개부의 크기 이하의 분쇄가루는 절개부로 배출되고 미분쇄된 분쇄물은 배출판의 배출구로 배출되며 배출된 미분쇄물을 호퍼로 이송하고 연속 분쇄하여 절개부의 크기 이하의 분쇄가루를 연속하여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는 내벽에 형성되고 소정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회전축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마찰에 의해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로 유입되는 분쇄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하우징과 회전축의 나사산의 마찰에 의해 분쇄를 할 수 있지만 회전하여 마찰의 진행 중에 나사산이 마모되면서 소량의 쇳가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 10-2022-0082274(곡물분쇄기, 이하, 종래의 기술이라 함)호가 예시되어 고춧가루, 곡물가루 및 입자가 작은 곡물류의 동결을 위한 질소가스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내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물류를 질소가스가 수용된 내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투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내측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서 급속동결된 곡물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곡물류를 이송하며 이동되는 곡물류를 2차 급속동결하는 냉각관로가 구성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곡물류를 미세한 분말체로 분쇄하여 분리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를 통해 분쇄된 곡물류를 기준 크기로 선별하는 선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 곡물의 동결에 의해 파쇄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기어와 기어 사이를 통과하면서 기어와 기어의 압착에 의해 곡물이 파쇄되고 기어와 기어가 압착하는 과정에서 기어와 기어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기어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과 비용의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의 스크류와 회전축의 하우징 사이에 회전축과 하우징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면서 호퍼를 통하여 유입되는 분쇄물을 하우징 내에서 스크류로 압출하는 과정에서 압박 상태로 회전하여 하우징에 땅콩 모양으로 형성하되 지그재그로 연속 천공하여 분쇄물이 하우징의 절개부에 충돌하면서 분쇄물을 절개부의 크기 이하로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을 분쇄와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회전스크류와 하우징의 간접 마찰을 통하여 분쇄가루를 배출하는 절개부 크기 이하로 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분쇄물의 분쇄가루가 절개부를 통과하여 절개부 이하의 크기로 부쇄되고 더 미세하게 분쇄할 경우 절개부를 통과한 분쇄가루를 반복하여 분쇄함으로 미세한 정도를 만족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는 하우징과 스크류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여 분쇄 가루에 쇠가루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하우징과 스크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간접 마찰을 구성하는 회전스크류는 나사산의 피치의 넓이를 조절하여 분쇄물의 압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회전스크류의 나사산의 첨단부는 그 길이에 걸쳐 평면으로 구성하고 그 길이에 걸쳐 나사산을 횡단하여 요철을 형성하고 분쇄물의 압축과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몸체에는 동력을 일체로 형성하여 회전 스크류와 직접 결합도록 구성하고 상기 동력에는 감속기를 구성하여 회전축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쪽 단부와 중앙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전방의 단턱은 몸체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후방의 단턱은 배출판을 포함하여 배출캡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하우징은 하우징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몸체에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역으로 볼트를 해제하여 하우징을 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하우징은 소정의 길이로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회전 스크류와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하우징은 그 둘레에 걸쳐 땅콩 모양의 절개부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천공하여 구성하고 연속하여 하우징의 길이에 걸쳐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를 땅콩 모양으로 구성한 것은 분리되는 것과 어느 쪽이든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즉, 길이 방향으로는 절개부의 곡선 부분이 서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수직 방향으로는 하우징의 수직방향 부분이 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절개부가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이 작동하여 회전스크류가 회전하면서 분쇄물을 전방으로 압축하게 되면 절개부의 간격에 미세한 이동이 있을 수 있으나 땅콩 모양으로 절개된 모양에 의해 절개부의 간격은 언제나 같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절개부의 크기는 분쇄의 효과와 분쇄물의 배출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우징에서 분쇄물의 압축 상태에서도 동일한 분쇄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커버를 씌워 절개부에서 분쇄되는 분쇄가루를 수용하고 퇴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커버는 하우징의 중앙 브라켓과 하단부 브라켓에 긴밀하게 씌워지도록 구성하고 볼트로 커버를 중앙 브라켓과 하단부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하였다.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배출캡을 결합하여 고정하되 하우징의 하단부 브라켓의 측면에 볼트로 고정하고 하우징의 단부와 배출캡 사이에 배출판을 수용하고 결합하였다.
상기 배출판에는 하우징의 분쇄 과정에서 미분쇄된 분쇄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배출구를 형성하였다.
하우징에 결합하는 스크류의 나사산의 피치는 전방으로 갈 수록 좁아져서 스크류가 회전할 수록 분쇄물의 압축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분쇄물과 하징의 내벽과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쇄물이 스크류와 하우징 내벽에서 압축력이 커지게 되면 나사산과 분쇄물 사이에서 마찰력이 커져서 스크류와 같이 회전하는 분쇄물이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과하면서 파쇄하며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쇄물의 분쇄과정에서 미분쇄물은 다시 호퍼로 이송하여 분쇄하면서 절개부 크기의 이하 분쇄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은 분쇄물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절개부 간격의 크기에 따라 하우징을 교환하면서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본 발명은 이용하여 절개부 간격의 크기 이하의 분쇄가루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분쇄가루를 재 분쇄를 연속으로 실시 하여 더 부드러운 가루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 및 냉동한 과일류를 식감을 위해 씹히는 크기로 분쇄하기 위한 것이나 과일 및 야채류의 즙을 낼 수 있도록 야채류는 스크류의 요철 구조에 의해 야채의 절단과 압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는 스크류와 하우징 내벽에서 직접적인 마찰이 없으므로 스크류와 하우징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퍼로 유입되는 분쇄물이 하우징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와 하우징의 내벽의 절개부 사이의 마찰에 의해 분쇄되면서 분쇄 가루는 하우징의 절개부의 크기 이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분쇄가루를 이용한 요리의 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물은 냉동한 과일류를 분쇄하여 식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미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도록 절개부의 크기에 따라 구성되는 하우징을 교환하는 수단으로 분쇄물의 분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에 야채를 인입하게 되면 스크류의 나사산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과하면서 나사산의 요철 부분이 야채를 절단하게 되므로 야채의 즙을 구성할 수 있고 압축한 야채의 찌꺼기가 용이하게 배출하여 야채즙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쇄기 전체도
도 2는 분쇄기의 분리도
도 3은 분쇄기의 종단면도
도 4는 하우징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작업도
도 6은 분쇄물의 배출 상세도
본 발명은 분쇄기에 있어서, 동력(100)을 수용하는 몸체(11)와 몸체(11)에 연계하여 분쇄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쇄부는 몸체(11)에 결합 고정되고 호퍼(17)를 포함하는 하우징(12)과 회전스크류(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하우징(12)의 브라켓(16a)에 의해 몸체(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스크류(13)는 몸체(11)의 동력(100)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스크류(13)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은 그 둘레와 그 길이에 걸쳐 절개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15)는 레이져를 이용하여 천공하여 절개부(15) 단면이 예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전방 단부와 그 중앙과 하단부에 브라켓(16q,16b,16c)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방 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16a)과 몸체(11)에 볼트(25)로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정스크류(13)는 하우징(12)에 결합하여 하우징(12)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전 스크류(13)의 길이에 걸쳐 나사산(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23)은 그 길이에 걸쳐 피치(23-1)를 3단계로 구성하여 피치(23-1)의 넓이를 차별하여 구성하고 분쇄물(101)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산(23)의 첨단부(23-2)는 평면을 구성하고 나사산(23)의 길이에 걸쳐 나사산(23)을 횡단하여 요철 모양으로 연속하여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4)은 압축하는 분쇄물(101)과 절개부(15) 사이에서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14)는 하우징(12)에 씌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커버(14)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12)의 중앙 브라켓(16b)에 볼트(25)로 고정되고 후방 단부는 하우징(12)의 후방 단부의 브라켓(16c)에 볼트(25)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14)는 하우징(12)에 씌워지는 구성으로 하우징(12)의 절개부(15)에서 배출되는 분쇄 가루(102)를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퇴출구(2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스크류(13)의 나사산(23)의 피치(23-1)의 간격은 여러 단계로 구성하여 분쇄물(101)의 압축을 단계적으로 높여서 분쇄물(101)이 역류하는 것과 분쇄물(101)을 압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스크류(13)의 회전에 의해 분쇄물(101)과 하우징(12)의 절개부(15) 사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나사산(23)의 첨단부(23-2)는 평면으로 구성하고 나사산(23)을 따라 나사산(23)을 횡단하여 홈(24)을 연속하여 형성하여 나사산(23)에 거칠기를 형성하고 하우징(12) 내의 회전 스크류(13)와 절개부(15) 사이에서 분쇄물(101)의 분쇄력을 더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2)의 후방 브라켓(16c)에는 배출컵(18)을 볼트(25)로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컵(18)과 하우징(12) 하단부 사이에는 배출판(19)을 수용하고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배출판(19)에는 여러 개의 배출구(21)가 형성되어 하우징(12)을 통과하는 미분쇄물(103)이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분쇄물(101)의 분쇄 과정에서 분쇄물(101)에 일정한 압축력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출판(19)은 분쇄물(101)의 압축력에 의해 분리할 수 없도록 하우징(12)의 단부와 배출컵(18)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커버(14)는 중앙브라켓(16b)에 볼트(25)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단부 브라켓(16c)에 볼트(25)로 고정되어 있으며 하우징(12)의 절개부(15)에서 배출되는 분쇄가루(102)를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어느 지점에 아래 방향으로 분쇄가루(102)를 배출할 수 있도록 퇴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절개부(15)는 그 절단부가 예리하도록 레이저를 이용하여 천공되어 있으며 절개부(15) 모양은 땅콩 모양으로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절개되어 절개부(15)의 곡선 부분에 의해 절개부(15)에서 어느 방향으로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전 후 방향으로 견인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절개부(15)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분쇄물(101)의 분쇄가루(102) 크기는 절개부(15) 간격의 이하의 분말로 구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2)의 소재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금속과 내구성이 강하고 쉽게 마모되지 않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우징(12)에서 분쇄는 하우징(12)의 절개부(15)와 회전스크류(13)의 나사산(23) 사이에서 분쇄물(101)과 마찰에 의해 분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쇄물(101)은 회전스크류(13)의 회전으로 하우징(12) 내에서 고압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분쇄물(101)은 항상 회전스크류(13)와 같이 회전함으로 공간이 있는 곳에 분쇄물(101)이 배출할려는 힘이 강해 분쇄물(101)의 일부는 절개부(15)에서 배출될려고 하는 힘에 의해 분쇄물(101)의 일부가 절단되어 분쇄가루(102)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분쇄물(101)의 분쇄 과정에서 회전스크류(13)의 나사산(23)의 첨단부(23-2)는 그 길이에 걸쳐 횡단하여 요철 모양으로 반복하여 홈(24)을 형성하여 회전하는 회전스크류(13)의 나사산(23)의 홈(24)에 분쇄물(101)의 일부가 유입되고 분쇄물(101)의 일부의 일 부분은 절개부(15)에 유입되어 회전 스크류(13)의 회전에서 하우징(12)의 내벽과 큰 마찰을 형성하게 되고 그 마찰에 의해 분쇄물(101)이 분쇄되어 이를 회전 스크류(13)의 반복 회전에 의해 반복하여 분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1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쇄물은 로스팅된 커피콩으로 구성하고 하우징의 절개부 간격은 1mm로 구성하였으며 스크류의 피치는 3단계로 구성하여 1단계의 피치는 10mm, 2단계의 피치는 6mm, 3단계의 피치는 3mm로 구성하고 회전스크류의 외경과 하우징의 내벽 사이는 2mm로 구성한 조건으로 분쇄를 실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쇄기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분쇄기의 구성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분쇄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하우징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분쇄기의 분쇄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 스크류(13)는 몸체(11)의 동력(100)과 결합 고정되어 회전 스크류(13)가 동력(10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롤 구성된다.
동력(100)에 고정된 회전스크류(13)에 하우징(12)을 씌우고 하우징(12)의 전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6a)을 몸체(11)에 볼트(25)로 고정하게 된다.
몸체(11)에 고정된 하우징(12) 외부에는 커버(14)를 씌우고 고정하게 된다.
상기 커버(14)의 전 단부는 하우징(12)의 중앙브라켓(16b)에 결합되고 볼트(25)로 고정된다.
상기 커버(14)의 하단부는 하우징(1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브라켓(16c)에 결합되고 볼트(25)로 고정된다.
커버(14)의 하단부를 포함하는 하우징(12)의 하단부에는 배출판(19)을 결합하고 그 위에 배출컵(18)을 결합한 후 배출컵(18)을 하우징(12)의 하단부에 형성된 브라켓(16c)에 결합하고 볼트(25)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회전 스크류(13)가 동력(100)에 결합 고정된 후 회전전스크류(13)가 회전하는 동안 편축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 스크류(13)를 배출판(19)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판(19)의 배출구(21)는 하우징(12) 내에서 분쇄물(101)을 분쇄할 수 있는 압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구성된다.
상기과 같은 구성으로 호퍼(17)에 커피콩으로 구성되는 분쇄물(101)을 유입하게 되면 분쇄물(101)은 회전 스크류(13)의 피치(23-1)를 통과하면서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는 과정에서 분쇄물(101)의 일부가 파쇄되고 파쇄되는 분쇄물(101)의 일부는 절개부(15)로 배출되고 이송되는 일부는 나사산(23)의 첨단부(23-2)와 하우징(12) 내벽을 통과하면서 분쇄물(101)의 압축력에 의해 마찰력이 더 커지게 되어 나사산(23)의 홈(24)과 절개부(15)에 의해 더 큰 마찰력을 형성하면서 분쇄물(101)이 절개부(15)에서 커팅되어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15)로 배출되는 분쇄가루(102)는 적어도 절개부(15)의 간격인 1mm이하의 크기로 커팅된 가루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물(101)을 분쇄하는 과정을 통하여 미분쇄 되어 배출되는 미분쇄물(103)은 배출판(19)의 배출구(21)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미분쇄물(103)은 호퍼(17)로 다시 이송하여 연속하여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이미 분쇄된 1mm 이하의 분쇄가루(102)를 더 미세하게 분쇄할 경우 퇴출구(22)로 배출된 가루를 가루를 호퍼(17)에 반복 유입하여 연속 분쇄하게 되면 미세한 분말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싱시 예-2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분쇄물(101)을 과일로 제한하여 실시한 것이다.
실시 예-2에서 과일은 생과일과 냉동과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과일을 분쇄물로 실시하는 것은 과일을 요리의 레스피로 사용할 경우 동일한 크기로 식감을 구현할 수 있고 생과일인 경우 충분한 육즙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2에서 생과일을 분쇄물로 실시하는 경우 호퍼(17)로 유입이 가능한 크기로 절단하여 실시하게 된다.
상기 과일이 호퍼(17)로 유입이 되면 1차 회전스크류(13)의 나사산(23)에 의해 커팅이 되고 커팅이 된 과일은 1단계 피치(23-1)에서부터 압축되면서 압축된 과일이 절개부(15)에서 배출하게 되며 분쇄물(101)이 냉동인 과일의 경우 호퍼(17)로 유입되면 호퍼(17)에 노출되는 1단계 피치(23-1)의 나사산(23)이 딱딱한 과일을 커팅하면서 이송하게 되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축에 의해 과일은 절개부(12)의 크기로 절단되면서 절개부(12)로 배출하게 된다.
11 : 몸체 12 : 하우징
13 : 스크류 14 : 커버
15 : 절개부 16 : 브라켓(a,b,c)
17 : 호퍼 18 : 배출컵
19 : 배출판 21 : 배출구
22 : 퇴출구 23 : 나사산
23-1 : 피치 23-2 첨단부
24 : 홈 25 : 볼트
100 : 동력 101 : 분쇄물
102 : 분쇄가루 103 : 미분쇄물

Claims (7)

  1. 삭제
  2. 동력을 수용하는 몸체와, 동력에 결합 고정되는 회전스크류와, 호퍼를 일체로 형성하고 회전스크류를 수용하여 몸체에 고정되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하우징을 수용하고 하우징에 지지 고정되는 커버와, 하우징과 커버를 일체로 수용하고 하우징의 하단부 브라켓에 고정되어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분쇄물을 제한되게 배출하는 배출컵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스크류의 나사산을 횡단하여 그 길이에 걸쳐 홈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분쇄물이 회전스크류의 홈과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과하면서 분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스크류의 나사산의 피치는 그 간격을 여러 단계로 구성하여 분쇄물의 압축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스크류와 하우징 사이에는 작은 간격을 유지하여 회전스크류와 하우징의 내벽의 직접 마찰을 방지하여 회전 스크류와 하우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분쇄물은 회전스크류의 나사산과 하우징의 절개부를 통과하는 분쇄물이 그 사이에서 압축과 마찰에 의해 분쇄되도록 구성되는 분쇄기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와 그 둘레에 걸쳐 땅콩 모양으로 연속하여 레이져로 예리하게 천공되는 절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절개부는 땅콩 모양의 곡선으로 형성하여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절개부 모양이 축소하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에서 분쇄되는 분쇄가루는 절개부의 크기 이하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6.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단부와 그 단부에 결합하는 배출 캡 사이에는 배출판이 형성되어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미분쇄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7. 삭제
KR1020220162555A 2022-11-29 2022-11-29 분쇄기 Active KR10256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555A KR102568293B1 (ko) 2022-11-29 2022-11-29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555A KR102568293B1 (ko) 2022-11-29 2022-11-29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293B1 true KR102568293B1 (ko) 2023-08-18

Family

ID=8780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555A Active KR102568293B1 (ko) 2022-11-29 2022-11-29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84B1 (ko) * 1997-06-11 1999-08-16 김상주 엽체류 압착기
KR200429957Y1 (ko) * 2006-07-13 2006-10-31 이대기 녹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484B1 (ko) * 1997-06-11 1999-08-16 김상주 엽체류 압착기
KR200429957Y1 (ko) * 2006-07-13 2006-10-31 이대기 녹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64212A (en) Milling process for granular food crop products, including fling impacting in breaking and finishing operations
CN215917656U (zh) 一种猪饲料生产加工粉碎机
JP2023515180A (ja) ビール粕を破砕するデバイス及びそれを含む生産ライン
JPH07313104A (ja) 塊状の食品の切断装置
KR102568293B1 (ko) 분쇄기
KR101837528B1 (ko) 과일용 생즙 분쇄기
US3912179A (en) Grinding mill for nuts
CN212284346U (zh) 一种用于芳香类中药的低温粉碎机
US11845086B2 (en) Machine for reducing the size of feed material
KR101023269B1 (ko) 다용도 미분쇄 장치
KR200212326Y1 (ko) 사료제조기 겸용 목재 파쇄기_
KR200242099Y1 (ko) 고추 분쇄기
KR100462908B1 (ko) 재료 분쇄기
KR200289824Y1 (ko) 식품 분쇄기
CN110882787A (zh) 一种用于芳香类中药的低温粉碎机
KR101932391B1 (ko) 커피 원두 분쇄장치
KR100425545B1 (ko) 회전충격식 분쇄장치
RU2121399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2573335B1 (ko) 식품분쇄장치
KR101647681B1 (ko) 식품분쇄기
KR20140103564A (ko) 건조 식품 분쇄기 및 분쇄방법
CN215843421U (zh) 一种粉碎机静刀盘
RU2032469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N214439714U (zh) 一种火锅底料用香料粉碎装置
KR101843691B1 (ko) 야채 마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