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66000B1 -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000B1
KR102566000B1 KR1020217019500A KR20217019500A KR102566000B1 KR 102566000 B1 KR102566000 B1 KR 102566000B1 KR 1020217019500 A KR1020217019500 A KR 1020217019500A KR 20217019500 A KR20217019500 A KR 20217019500A KR 102566000 B1 KR102566000 B1 KR 102566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ember
clamp
rod
housing
clamp r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822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시미
준이치 고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멕
Publication of KR2021009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23Q3/183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63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 B23Q1/0081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using an expanding clamping member insertable in a receiving hole
    • B23Q1/009Connecting non-slidable parts of machine tools to each other using an expanding clamping member insertable in a receiving hole the receiving hole being cylindrical or 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클램프 장치는,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지지 부재(19)의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34)와,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과 로크 부재(23)의 결합을 유지하는 결합 유지 기구(26)를 구비한다.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클램프 로드(7)가 지지 부재(19)를 통해 로크 부재(23)을 선단측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클램프 장치
본 발명은, 워크(workpiece) 등의 클램프(clamp) 대상물을 클램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클램프 장치로서, 종래에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그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는, 워크의 구멍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와, 이 로크 부재에 위쪽으로부터 쐐기(wedge) 결합하는(engage) 클램프 로드(rod)와, 로크 부재를 소정의 힘으로 상방(上方)(언클램프(unclamp)측)으로 미는 진출 스프링을 구비한다. 로크 부재의 돌출부에 의해 워크의 구멍의 둘레벽(주벽(周壁), peripheral wall)이 위쪽으로부터 눌림으로써 워크는 클램프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16-107370호 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에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상기 클램프 장치의 각부(各部)의 구성에 따라서는, 로크 부재가 확경 위치(diameter-expanded position)에 위치할 때, 즉 클램프 상태일 때, 로크 부재의 베이스부의 외주면(外周面)과 워크의 구멍의 내주면(內周面)이, 소성(塑性) 변형으로 달라붙거나 강력하게 밀착하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 상태에서 클램프 로드가 상방(언클램프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크 부재가 워크를 파지(把持)한 채 상승하는 것에 의해, 워크의 재치(載置)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언클램프 구동시에서의 워크 등의 클램프 대상물의 들어올림(lift)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의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는, 또한 하기와 같은 개선해야 할 과제가 있다. 클램프 구동시에, 로크 부재가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면, 워크의 구멍의 내주면이 로크 부재에 의해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서는, 핀 부재와, 가이드 부재의 기단(base end)측 부분의 둘레벽에 형성된 해당 핀 부재가 삽입되는 핀 구멍으로 구성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relative movement restriction mechanism)에 의해, 상기 손상을 억제할 수 있지만, 이 상대 이동 제한 기구는,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워크 등의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내주면이 클램프 구동시에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종래보다 간이(簡易)한 구성의 기구를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leading end)측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를 구비한다.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로크 부재의 외주면과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내주면이 달라붙거나 강력하게 밀착하거나 하고 있었다고 해도, 클램프 로드가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로크 부재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선단측으로 이동하므로, 로크 부재가 클램프 대상물을 파지한 채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筒部, tubular portion)(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통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상(環狀) 홈(32)과, 상기 환상 홈(annular groove)(32)에 장착된 링 모양의 탄성 부재(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저항 부여 기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측벽에 뚫린 횡공(橫孔, lateral hole)(38)과, 상기 횡공(38)에 장착된, 결합 부재(engagement member)(39) 및 이 결합 부재(39)를 상기 통부(20)를 향해 부세(付勢, bias)하는 부세 수단(4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통부(20)의 외주에 형성된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42)에 기단측으로부터 결합하는 쐐기 부재(43)로서, 상기 경사면(42)과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된 쐐기 부재(43)와, 상기 쐐기 부재(43)를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44)과, 상기 부세 수단(44)을 상기 통부(20)의 외주면측에 보지(保持)하는 보지 수단(holding means)(45)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결합 유지 기구(26)는,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에 형성된 로드측 결합 홈(rod-side engagement groove)(24a) 또는 로드측 결합부(rod-side engagement portion)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형성된, 상기 로드측 결합 홈(24a)에 끼워 맞추는(감합(嵌合))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 또는 상기 로드측 결합부에 끼워 맞추는 로크 부재측 결합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결합 유지 기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클램프 로드(7)가 기단측으로 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 로드(7)에 대해 상기 로크 부재(23)가 소정량을 초과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로크 부재의 외주면과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내주면이 달라붙거나 강력하게 밀착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돌출부(30)로서, 해당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이,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은, 또는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대 이동 제한 기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와, 상기 통부(20)의 선단측에 형성된 주벽부(周壁部)(21)로서,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21a)을 가지는 주벽부(21)와, 상기 주벽부(21)의 선단측에 형성된 끝이 가는(tapered) 꼭대기 벽부(頂壁部, top wall portion)(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 대상물의 반입시,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둘레벽이 로크 부재에 충돌하는 것을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구동시 및 언클램프 구동시에는, 로크 부재의 작동이 더 안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예를 들면 도 13a 내지 도 15,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과,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 모양(tubular)의 상부 하우징(5)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19)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로드(7)는, 로드 본체(52)와, 상기 로드 본체(52)의 선단부에 핀 부재(53)를 통해 해당 로드 본체(5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선단부(54)로서, 상기 쐐기면(24)이 형성된 로드 선단부(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멍이 조금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이어도, 그 구멍을 지지 부재의 주벽부에 적절하게 바깥으로 끼울(外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클램프 장치에서, 예를 들면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과,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고정된 통 모양의 상부 하우징(5)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19)가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로드(7)는, 로드 본체(52)와, 상기 로드 본체(52)의 선단부에 핀 부재(53)를 통해 해당 로드 본체(5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선단부(54)로서, 상기 쐐기면(24)이 형성된 로드 선단부(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멍이 조금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이어도, 그 구멍을 지지 부재의 주벽부에 적절하게 바깥으로 끼울 수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0, 도 13a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장치를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26)와, 상기 클램프 로드(7)가 기단측으로 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 로드(7)에 대해 상기 로크 부재(23)가 소정량을 초과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를 구비한다. 상기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돌출부(30)로서, 해당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이,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거나, 또는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보다 작다.
이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내주면이 클램프 구동시에 손상되는 것을 종래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언클램프 구동시에서의 워크 등의 클램프 대상물의 들어올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클램프 대상물의 구멍의 내주면이 클램프 구동시에 손상되는 것을 종래보다 간이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램프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立面視, elevational view)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상기 클램프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로부터 클램프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상기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상기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램프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8]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램프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9]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램프 장치의 언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클램프 장치의 클램프 상태에서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3a] 도 1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키기 전의 상태에서의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3b] 도 13b는, 도 13a의 A-A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도 13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켜 그 구멍의 하부 모서리부(下角部, 하부 에지부)가 지지 부재의 꼭대기 벽부의 측면에 닿은 상태에서의 상기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5]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클램프 대상물을 더 하강시켰을 때의 상기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키기 전의 상태에서의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켰을 때의 상기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로서,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8]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키기 전의 상태에서의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9]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클램프 대상물을 하강시키기 전의 상태에서의 클램프 장치의 입면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는, 클램프 대상물로서의 워크(W)를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워크(W)는, 예를 들면, 자동차용 패널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강판으로서, 그 두께는 예를 들면 약 1㎜∼2㎜이다. 이 워크(W)에는 구멍(Wa)이 뚫려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테이블 등의 고정대(T)에 하우징(1)이 장착된다.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과, 하부 하우징(2)에 형성된 실린더 구멍(2a)의 하단부 개구(開口)를 보밀상(保密狀, hermetically)으로 막는(閉止) 덮개 부재(3)와,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볼트(4)로 고정되는 통 모양의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2)은, 상기 실린더 구멍(2a)과 소경(小徑, small-diameter) 구멍(2b)을 아래에서부터 차례로 가진다.
상기 실린더 구멍(2a)에 피스톤(6)이 보밀상으로 삽입되며, 이 피스톤(6)으로부터 상방(上方)으로 돌출하는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소경 구멍(2b)에 보밀상으로 삽입된다. 피스톤(6)의 상측에 형성된 클램프실(8)에 에어 급배(給排) 포트(10)를 통해 압축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된다. 또한, 피스톤(6)의 하측에 형성된 언클램프실(11)에 별도의 에어 급배 포트(12)를 통해 압축 공기가 공급 및 배출된다. 상기 피스톤(6)과 클램프실(8)과 언클램프실(11)로, 클램프 로드(7)를 하방(下方)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상방으로 언클램프 구동하는 구동 수단(13)이 구성된다. 또한, 클램프 로드(7)와 피스톤(6)은 일체 성형품(unitary with each other)이지만, 따로따로 형성된 후에 고정되어 일체가 되어도 된다. 상기 클램프실(8)에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4, 15)이 수납되어 있으며, 이들 스프링(14, 15)은 피스톤(6)을 통해 클램프 로드(7)를 하방으로 부세한다.
상부 하우징(5)의 상단면에는, 워크(W)를 받아들이는 착좌부(着座部, seat portion)(16)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5)의 측벽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검출로(檢出路, detection passage)(17)가 형성된다. 이 검출로(17)의 상단은 착좌부(16)에 개구되고, 하단은 에어 공급 포트(18)에 연통된다.
상부 하우징(5)의 상부측에 지지 부재(19)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 지지 부재(19)는, 하측에서부터 차례로 통부(20)와, 통부(20)보다 소경의 주벽부(21)와, 끝이 가는 꼭대기 벽부(22)를 가진다. 상기 주벽부(21) 및 꼭대기 벽부(22)는, 상부 하우징(5)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워크(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주벽부(21)에는, 그 둘레방향에서 120°마다 3개의 가이드 구멍(21a)이 형성되고, 각 가이드 구멍(21a)에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각 로크 부재(23)는, 하측에서부터 차례로 기단부(27)와 베이스부(28)와 돌출부(29)를 가진다. 상기 기단부(27)는,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상기 통부(20)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29)의 외주면은, 상기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보다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1 등에는, 3개의 로크 부재(23) 중 하나의 로크 부재(23)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5)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돌출부(30)가 설치된다. 이 돌출부(30)는, 클램프 로드(7)가 하방으로 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클램프 로드(7)에 대해 상기 로크 부재(23)가 소정량을 초과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를 구성한다. 상기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은, 워크(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게 된다. 또한,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은, 워크(W)의 구멍(Wa)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되어도 된다.
통부(20) 및 주벽부(21) 내에 클램프 로드(7)가 하측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클램프 로드(7)의 상부에 설치된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의 상기 외주면(28a)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경사면(25)에 상측으로부터 결합한다. 상기 쐐기면(24)과 경사면(25)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클램프 로드(7)의 축심(軸心)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여기서는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부재(23)의 수와 동일하게, 클램프 로드(7)의 둘레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에서 120°마다 총 3면의 쐐기면(24)이 형성된다.
상기 쐐기면(2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측 결합 홈(24a)이 쐐기면(24)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경사면(2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가 경사면(25)에 형성된다. 상기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는 상기 로드측 결합 홈(24a)에 끼워 맞추며,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와 로드측 결합 홈(24a)으로,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과 로크 부재(23)의 경사면(25)을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26)가 구성된다.
클램프 로드(7)의 외주에는 끝이 가는 테이퍼면(7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19)는, 직진(直進) 가이드 기구(3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직진 가이드 기구(35)는, 상부 하우징(5)의 내주벽에 장착된 볼(36)과,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상기 통부(2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직진 가이드 홈(37)을 가진다. 이 직진 가이드 홈(37)에 상기 볼(36)이 삽입된다.
통부(2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환상 홈(32)이 형성되고, 이 환상 홈(32)에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서의 고정링(retaining ring)(33)이 장착된다. 상기 환상 홈(32)과 고정링(33)으로,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34)가 구성된다. 또한, 부호 33a로 나타내는 부분은, 고정링(33)의 슬릿 부분이며, 이 고정링(33)은, 이른바 C자 형상의 고정링이다. 링 모양의 탄성 부재로서 C자 형상의 고정링 대신에, 완전한 링 모양의 고정링을 사용해도 된다. 상부 하우징(5)의 내주면에는 환상의 홈(5a)이 설치되어 있으며, 언클램프 상태일 때, 상기 고정링(33)은 홈(5a)에 끼워져 들어간다.
상기 구성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에서는, 클램프실(8)의 압축 공기가 배출됨과 더불어 언클램프실(11)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6)이 클램프 로드(7)를 스프링(14, 15)의 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에 대항하여 상방의 언클램프 위치로 이동시키며, 각 로크 부재(23)는 결합 유지 기구(26)에 의해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되어 있다.
이때,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의 외주면이,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의 외주면보다 안쪽으로 후퇴되기 때문에, 워크(W)의 반입시에, 워크(W)의 구멍(Wa)의 둘레벽이 로크 부재(23)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언클램프 상태에서 워크(W)를 하강시키면, 워크(W)의 구멍(Wa)이,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와 로크 부재(23)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바깥으로 끼워진다.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로 전환할 때는, 언클램프실(11)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클램프실(8)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클램프 로드(7)가 하강해 간다.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저항 부여 기구(34)를 구성하는 고정링(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에서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약간 하강한다.
클램프 로드(7)가 하강해 가면, 그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밀어내 가며, 로크 부재(23)의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이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에 접촉함과 더불어, 상부 하우징(5)의 상단부에 설치된 돌출부(30)의 내주면에 맞닿는다(當接).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에 로크 부재(23)의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이 접촉함으로써, 워크(W)는 수평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로크 부재(23)를 구성하는 돌출부(29)가 구멍(Wa)의 둘레벽에 상방으로부터 대면(對面)한다.
상기 돌출부(30)의 내주면에 로크 부재(23)가 맞닿으면, 로크 부재(23)는 이 이상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므로,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를 하방으로 밀며,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고정링(33)의 탄성 복원력에 대항하여 일체가 되어 하강해 간다.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이, 워크(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게 되어 있음으로써,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에 로크 부재(23)가 강하게 닿는 일이 없으므로, 구멍(Wa)의 내주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의 하면이 워크(W)의 구멍(Wa)의 둘레벽의 상면 위치에 도달하고(reach), 구멍(Wa)의 둘레벽은,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에 의해 상부 하우징(5)의 착좌부(16)에 밀어 붙여진다(押付). 이에 의해, 워크(W)는 클램프된다. 클램프실(8)에 수납되어 있는 스프링(14, 15)의 부세력에 의해, 워크(W)의 보지력(保持力)이 높아져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에서는, 상기 검출로(17)가 워크(W)의 하면에 의해 닫히므로, 검출로(17)에 공급되고 있는 워크 검출용의 가압 에어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상승한다. 이 압력 상승을 압력 스위치 등으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워크(W)가 클램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할 때는, 클램프실(8)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언클램프실(1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간다.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저항 부여 기구(34)를 구성하는 고정링(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도 3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에서의 위치(하강 위치)에서 보지된다.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가면, 로크 부재(23)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지지 부재(19)에 의해 제한되는(가이드 구멍(21a)의 상단면에서 로크 부재(23)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결합 유지 기구(26)에 의해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과 로크 부재(23)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켜 가고,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가 워크(W)의 구멍(Wa)의 둘레벽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간(離間)된다.
클램프 로드(7)가 더 상승하면, 클램프 로드(7)의 외주에 형성된 테이퍼면(tapered surface)(7a)이,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내주측의 상단 모서리부에 닿고, 그 후는,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고정링(33)의 탄성 복원력에 대항하여 일체가 되어 상승해 간다. 환언하면, 클램프 로드(7)가 지지 부재(19)를 통해 로크 부재(23)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통부(20)의 상단면이 상부 하우징(5)의 내주측의 천면(天面, ceiling surface)에 닿아 클램프 로드(7)의 상승이 정지하고, 도 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가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2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의 차이는,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의 구성의 차이이다. 제2 실시형태의 저항 부여 기구(3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5)의 측벽, 즉 하우징(1)의 선단측의 측벽에 횡공(38)이 뚫린다. 이 횡공(38)에, 결합 부재로서의 볼(39), 및 이 볼(39)을 지지 부재(19)의 통부(20)를 향해 부세하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40)이 장착된다. 상기 횡공(38)과 볼(39)과 스프링(40)으로 저항 부여 기구(34)가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40)의 바깥쪽의 상부 하우징(5)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플레이트(41)가 장착된다. 또한, 언클램프 상태일 때에 상기 볼(39)의 일부가 끼워져 들어가는 횡공(50)이 통부(20)에 뚫려 있다. 횡공(50)의 지름은, 횡공(38)의 지름보다 작고, 지지 부재(19)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볼(39)의 절반 미만의 부분만이 횡공(50)에 끼워진다. 볼(39)은, 스프링(40)과 더불어 횡공(38) 내에 항상 장착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를 도 6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언클램프 구동할 때에,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상기 클램프 상태의 클램프 장치에서, 클램프실(8)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언클램프실(1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상승시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간다.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저항 부여 기구(34)를 구성하는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에서의 위치(하강 위치)에서 보지된다.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가면, 그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켜 가고,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가 워크(W)의 구멍(Wa)의 둘레벽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간된다.
클램프 로드(7)가 더 상승하면, 클램프 로드(7)의 외주에 형성된 테이퍼면(7a)이,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내주측의 상단 모서리부에 닿고, 그 후는,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대항하여 일체가 되어 상승해 간다. 그 후, 상기 통부(20)의 상단면이 상부 하우징(5) 내주측의 천면에 닿아 클램프 로드(7)의 상승이 정지하고, 도 5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가 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3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의 차이는,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의 구성의 차이이다. 제3 실시형태의 저항 부여 기구(3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지 부재(19)의 통부(20)의 외주에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42)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42)에 하방으로부터 결합하는 쐐기 부재(43)가, 경사면(42)과 상부 하우징(5)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쐐기 부재(43)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44)이, 환상의 스프링받이(46)와 고정링(47)으로 구성되는 보지 수단(45)에 의해 통부(20)의 외주면측에 보지(保持, hold)된다. 상기 쐐기 부재(43)와 스프링(44)과 보지 수단(45)으로 저항 부여 기구(34)가 구성된다. 또한, 환상의 쐐기 부재(43)는 슬릿(slit)(43a)을 가지며,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언클램프 구동시,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클램프실(8)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언클램프실(1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상승시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간다.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저항 부여 기구(34)를 구성하는 스프링(44)의 부세력을 반경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쐐기 부재(43)에 의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에서의 위치(하강 위치)에서 보지된다.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가면, 그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켜 가고, 로크 부재(23)의 돌출부(29)가 워크(W)의 구멍(Wa)의 둘레벽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간된다.
클램프 로드(7)가 더 상승하면, 클램프 로드(7)의 외주에 형성된 테이퍼면(7a)이,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내주측의 상단 모서리부에 닿고, 그 후는,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쐐기 부재(43)의 저항력에 대항하여 일체가 되어 상승해 간다. 그 후, 상기 통부(20)의 상단면이 상부 하우징(5)의 내주측의 천면에 닿아 클램프 로드(7)의 상승이 정지하고, 도 8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가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4 실시형태와 제3 실시형태의 차이는, 지지 부재(19)의 구성의 차이와, 상기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의 구성의 차이와, 저항 부여 기구(34)의 구성의 차이와, 로크 부재(23)의 구성의 차이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의 워크(W)(클램프 대상물)는, 얇은(薄肉) 것인 것에 대해, 제4 실시형태에서의 워크(W)는, 두꺼운 것이다.
제4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19)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지 부재(19)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의 것과 달리, 주벽부(21) 및 꼭대기 벽부(22)를 가지지 않고, 통부(20)만으로 구성된다.
제4 실시형태의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클램프 로드(7)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핀 부재(48)가 클램프 로드(7)에 장착된다.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長孔)(49)이 지지 부재(19)(통부 20)의 둘레벽에 형성되며, 이 장공(49)에 상기 핀 부재(48)의 단부(48a)가 삽입된다. 상기 핀 부재(48)와 장공(49)으로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가 구성된다.
제4 실시형태의 저항 부여 기구(3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저항 부여 기구(34)의 부세 수단은,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스프링 대신에, O링(44) 및 압축 공기에 의해 구성된다. 에어 공급 포트(18)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검출로(17)에 흐르는 것에 더해, 상부 하우징(5) 내를 상승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공급 포트(18)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하부 하우징(2)의 상단 오목부(窪部, recessed portion)의 바닥면(底面)과 상부 하우징(5)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부터, 상부 하우징(5)의 통 구멍(筒穴) 내에도 공급된다. 상부 하우징(5)의 통 구멍 내에 공급된 압축 에어가, 상기 부세 수단의 하나로서 O링(44)을 상방으로 압압(押壓)한다. 이 O링(44)은, 상부 하우징(5)의 내주면과 통부(20)의 하부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쐐기 부재(43)를 상방을 향해 밀어 넣도록 장착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의 스프링받이(46)는, 제4 실시형태에서는 O링받이가 된다. 또한, O링(44)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서는, 상부 하우징(5)의 통 구멍 내에 그 하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즉, O링(44)만으로 저항 부여 기구(34)의 부세 수단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부세 수단을 O링(44)의 탄성 복원력만으로 구성하는 것 대신에, 상부 하우징(5)의 통 구멍 내에 그 하부로부터 공급하는 압축 공기만으로 쐐기 부재(43)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의 로크 부재(23)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로크 부재(23)는,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의 것과 달리, 돌출부(29)를 가지 않고, 기단부(27)와 베이스부(28)로 구성된다. 또한, 베이스부(28)의 외주벽에 수용 홈(28b)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도 11 및 12에는 3개의 로크 부재(23) 중 하나의 로크 부재(23)만을 나타낸다), 그 3개의 로크 부재(23)의 수용 홈(28b)에 걸쳐 링 모양의 탄성 부재(28c)가 장착된다. 이 탄성 부재(28c)는, 고무 또는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이 탄성 부재(28c)가 3개의 로크 부재(23)를 클램프 로드(7)의 축심을 향해 부세한다. 탄성 부재(28c)는, 클램프 로드(7)의 선단부에 로크 부재(23)를 안정적으로 보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이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에 밀어 붙여짐으로써, 워크(W)는 클램프된다.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로 전환할 때는, 언클램프실(11)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클램프실(8)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클램프 로드(7)가 하강해 가면, 그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밀어내 가고, 로크 부재(23)의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이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을 압압한다. 이에 의해, 워크(W)는 클램프된다. 또한, 클램프 로드(7)를 하강시키면, 상기 핀 부재(48)의 단부(48a)가, 상기 장공(49)의 바닥면에 맞닿고,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약간 하강한다. 핀 부재(48)의 단부(48a)가, 장공(49)의 바닥면에 맞닿으면, 로크 부재(23)의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에서는, 상기 검출로(17)가 워크(W)의 하면에 의해 폐쇄되므로, 검출로(17)에 공급되어 있는 워크 검출용의 가압 에어의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상승한다. 이 압력 상승을 압력 스위치 등으로 검지하는 것에 의해, 워크(W)가 클램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클램프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로 전환할 때는, 클램프실(8)의 압축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언클램프실(11)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고, 피스톤(6)을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우선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간다. 지지 부재(19) 및 로크 부재(23)는, 저항 부여 기구(34)를 구성하는 O링(44)의 부세력을 반경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쐐기 부재(43)에 의해 클램프 상태에서의 위치(하강 위치)에서 보지된다.
클램프 로드(7)가 상승해 가면, 그 쐐기면(24)이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후퇴시켜 가고, 로크 부재(23)의 베이스부(28)의 외주면(28a)이 워크(W)의 구멍(W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램프 로드(7)가 더 상승하면, 클램프 로드(7)의 상부측의 모서리부(7b)가 지지 부재(19)의 내주측의 상단 모서리부에 닿거나, 또는, 핀 부재(48)의 단부(48a)가 장공(49)의 천면에 닿고, 그 후는,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쐐기 부재(43)의 저항력에 대항하여 일체가 되어 상승해 간다. 그 후, 클램프 로드(7)의 상승이 정지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언클램프 상태가 된다.
도 13a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5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의 주된 차이는, 하우징(1)의 구성의 차이와, 클램프 로드(7)의 구성의 차이이다.
제5 실시형태의 하우징(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지름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 모양의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5)의 기단부에 지름 바깥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鍔部, flange portion)(5b)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5b)에 선단측으로부터 대면하는 환상의 상부 하우징 보지 부재(51)가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볼트(4)로 고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부 하우징(5)은 그 지름방향으로 하부 하우징(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로드(7)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클램프 로드(7)는, 피스톤(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로드 본체(52)와, 로드 본체(52)의 선단부에 핀 부재(53)를 통해 해당 로드 본체(5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선단부(54)를 구비한다. 로드 선단부(54)의 기단부에는, 장공(5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54b)에 상기 핀 부재(53)가 삽입된다. 이 로드 선단부(54)에 상기 쐐기면(24)이 형성되어 있다. 핀 부재(53)가 삽입되는 구멍이 장공(54b)이 됨으로써, 로드 선단부(54)는 핀 부재(53)의 축방향에 더해, 해당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도 로드 본체(52)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로드 선단부(54)의 기단부에 형성되는, 핀 부재(53)가 삽입되는 구멍은, 장공(54b) 대신에, 핀 부재(53)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지름의 진원(眞圓)이어도 된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하우징(5)에 검출로(17)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에어 공급 포트(18)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는, 하부 하우징(2) 내를 통해,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외주면과 상부 하우징(5)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환상의 간극(gap)을 상승하여 외부로 분출(噴出)한다. 이 압축 공기는, 에어 블로우(air blow)용으로 기능한다. 또한, 제5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15), 직진 가이드 기구(35)(볼(36) 및 직진 가이드 홈(37))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저항 부여 기구(34)(환상 홈(32) 및 고정링(33))는, 상기 통부(20)의 하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저항 부여 기구(34)(환상 홈(32) 및 고정링(33))는, 상기 통부(20)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항 부여 기구(34)(환상 홈(32) 및 고정링(33))는, 통부(20)의 축방향의 중앙부 등, 상단부, 하단부 이외의 외주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구멍(Wa)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워크(W)를 하강시켜 그 구멍(Wa)을 지지 부재(19)에 바깥으로 끼워 갈 때,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3a,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구멍(Wa)의 중심축(Z1)과 상부 하우징(5)의 중심축(Z2)이, 수평방향이고, 또한 핀 부재(53)의 축방향으로 거리(L)만큼 위치 어긋나 있었던 것으로 한다.
워크(W)를 하강시켜 가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W)의 구멍(Wa)의 하부 모서리부가, 지지 부재(19)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끝이 가는 꼭대기 벽부(22)의 측면에 상방으로부터 닿는다. 워크(W)를 더 하강시키면, 구멍(Wa)의 하부 모서리부가 꼭대기 벽부(22)를 밀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9), 클램프 로드(7)의 로드 선단부(54), 로드 선단부(54)에 결합하는 로크 부재(23), 및 상부 하우징(5)은, 수평방향에서 상기 거리(L)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워크(W)의 구멍(Wa)은,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에 바깥으로 끼워진다.
그 후의, 클램프 구동의 동작, 언클램프 구동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구멍(Wa)이 수평방향으로 약간 위치 어긋난 워크(W)라도, 그 구멍(Wa)을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에 적절하게 바깥으로 끼울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6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의 차이는, 하우징(1)의 구성의 차이와,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구성의 차이이다.
제6 실시형태의 하우징(1)을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5)은, 제1 실시형태의 상부 하우징(5)과 동일하게,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볼트(4)로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하우징(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는 되어 있지 않다.
제6 실시형태의 통부(20)는, 통부 본체부(55)와, 환상의 저항 부여 기구 보지부(56)로 구성된다. 저항 부여 기구 보지부(56)는, 고정링(57) 및 링 부재(58)로 통부 본체부(5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통부 본체부(55)(저항 부여 기구 보지부(56) 부분을 제외한 지지 부재(19))는, 그 지름방향으로 저항 부여 기구 보지부(56) 및 상부 하우징(5)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멍(Wa)이 수평방향으로 위치 어긋난 워크(W)를 하강시켜 그 구멍(Wa)을 지지 부재(19)에 바깥으로 끼워 갈 때, 제6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구멍(Wa)의 중심축(Z1)과 상부 하우징(5)의 중심축(Z2)이, 수평방향이며, 또한 핀 부재(53)의 축방향으로 거리(L)만큼 위치 어긋나 있었던 것으로 한다.
워크(W)를 하강시키면, 구멍(Wa)의 하부 모서리부가 꼭대기 벽부(22)를 밀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 부여 기구 보지부(56) 부분을 제외한 지지 부재(19), 클램프 로드(7)의 로드 선단부(54), 및 로드 선단부(54)에 결합하는 로크 부재(23)는, 수평방향에서 상기 거리(L)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워크(W)의 구멍(Wa)은,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에 바깥으로 끼워진다.
제6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구멍(Wa)이 수평방향으로 약간 위치 어긋난 워크(W)라도, 그 구멍(Wa)을 지지 부재(19)의 주벽부(21)에 적절하게 바깥으로 끼울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7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7 실시형태와 제5 실시형태의 차이는, 지지 부재(19)의 구성의 차이와, 클램프 로드(7)를 구성하는 로드 선단부(54)의 구성의 차이와, 로크 부재(23)를 구성하는 돌출부(29)의 구성의 차이이다.
제7 실시형태의 지지 부재(19)는, 제5 실시형태에서의 것과 달리, 주벽부(21) 및 꼭대기 벽부(22)를 가지지 않고, 통부(20)만으로 구성된다.
제7 실시형태의 클램프 로드(7)를 구성하는 로드 선단부(54)는, 그 선단부(54a)가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23)를 구성하는 돌출부(29)도, 그 선단부(29a)가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워크(W)를 하강시키면, 구멍(Wa)의 하부 모서리부가 상기 선단부(54a)를 밀고, 지지 부재(19), 클램프 로드(7)의 로드 선단부(54), 로드 선단(54)에 결합하는 로크 부재(23), 및 상부 하우징(5)은, 수평방향에서 거리(L)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8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와, 제5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차이는 하기와 같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저항 부여 기구(3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8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19)를 선단측에 부세하는 부세 수단으로서의 스프링(59)이 상부 하우징(5)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 가능하다.
구동 수단(13)에 사용하는 작동 유체는, 압축 공기 대신에 압유(壓油, pressurized oil) 등의 액체여도 된다. 구동 수단(13)으로서, 예시된 복작동식(複作動式, double-acting type) 대신에, 스프링 릴리스식(spring-releasing type)이나 스프링 로크식(spring-locking type) 등의 단작동식(單作動式, single-acting type)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구동 수단(13)은, 예시된 유체 액추에이터 대신에, 전동 액츄에이터 등의 다른 액추에이터여도 된다.
클램프실(8)에 2개의 스프링(14, 15)이 수납되어 있다. 클램프실(8)에 수납되는 스프링은 예를 들면 제5, 6 실시형태와 같이 1개여도 되고, 클램프실(8)에 스프링이 수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로크 부재(23)는, 3개를 설치하는 것 대신에 2개를 설치해도 되고, 4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 슬릿을 가지는 환상 콜릿(annular collet)에 의해 로크 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 유지 기구(26)에 관하여, 로크 부재(23)의 경사면(25)에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 대신에 홈 형상의 로크 부재측 결합 홈을 설치하고,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에 로드측 결합홈(24a) 대신에, 상기 로크 부재측 결합 홈에 끼워 맞추는 로드측 결합부를 설치해도 된다.
나아가, 상기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 및 상기 로드측 결합 홈(24a)을 설치하지 않고, 쐐기면(24)이 형성된 클램프 로드(7)의 상단부 및 로크 부재(23)에 환상의 탄성체를 바깥으로 끼워,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과 로크 부재(23)의 결합을 유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의 로크 부재(23)와 같이, 베이스부(28)의 외주벽에 수용 홈(28b)을 형성하고, 이 수용 홈(28b)에 상기 탄성체로서의 환상의 탄성 부재(28c)를 바깥으로 끼워, 클램프 로드(7)의 쐐기면(24)과 로크 부재(23)의 결합을 유지해도 된다.
제1, 5∼7 실시형태에서의 저항 부여 기구(34)에 관하여, 고정링(33) 대신에 O링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언클램프 구동시의 동작 설명 중에, 클램프 로드(7)의 외주에 형성된 테이퍼면(7a)이,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통부(20)의 내주측의 상단 모서리부에 닿고, 그 결과,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가 일체가 되어 상승해 가는 것으로 했다. 이 대신에, 클램프 로드(7)의 상단면을, 지지 부재(19)를 구성하는 꼭대기 벽부(22)의 내벽면에 대고 지지 부재(19)를 들어올림으로써, 로크 부재(23) 및 지지 부재(19)와 클램프 로드(7)를 일체적으로 상승시켜도 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지지 부재(19) 대신에, 제4 실시형태, 또는 제7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지지 부재(19)와 같이, 주벽부(21) 및 꼭대기 벽부(22)를 가지지 않고 통부(20)만으로 구성되는 지지 부재(19)를 채용해도 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 대신에,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 대신에,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를 채용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서,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저항 부여 기구(34)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저항 부여 기구(34)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제5, 제7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서, 제2 내지 제4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의 저항 부여 기구(34)를 채용해도 된다.
제8 실시형태의 클램프 장치에서, 스프링(59)의 부세력에 의해 지지 부재(19)를 상방으로 부세하는 것 대신에, 지지 부재(19)의 하방(下方)에 형성되는 유체실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여, 그 압력 유체의 압력에 의해 지지 부재(19)를 상방(선단측)으로 부세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 장치는, 예시된 상하 자세(position)로 배치하는 것 대신에, 상하가 뒤집힌 자세, 수평 자세, 또는 경사진 자세로 배치해도 된다.
그 밖에, 당업자가 상정(想定)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행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1 : 하우징, 2 : 하부 하우징, 5 : 상부 하우징, 7 : 클램프 로드, 13 : 구동 수단, 19 : 지지 부재, 20 : 통부, 21 : 주벽부, 21a : 가이드 구멍, 22 : 꼭대기 벽부, 23 : 로크 부재, 24 : 쐐기면, 24a : 로드측 결합 홈, 25a : 로크 부재측 결합부, 26 : 결합 유지 기구, 30 : 돌출부, 31 : 상대 이동 제한 기구, 32 : 환상 홈, 33 : 고정링(탄성 부재), 34 : 저항 부여 기구, 38 : 횡공, 39 : 볼(결합 부재), 40 : 스프링(부세 수단), 42 : 경사면, 43 : 쐐기 부재, 44 : 스프링(부세 수단), 45 : 보지 수단, 52 : 로드 본체, 53 : 핀 부재, 54 : 로드 선단부, W : 워크(클램프 대상물), Wa : 구멍

Claims (11)

  1. 삭제
  2. 하우징(housing)(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先端側)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clamp rod)(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 base end side)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unclamping action)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
    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筒部, tubular portion)(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통부(20)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된 환상(環狀, annular) 홈(32)과,
    상기 환상 홈(32)에 장착된 링 모양의 탄성 부재(33),
    를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3. 하우징(housing)(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先端側)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clamp rod)(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 base end side)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unclamping action)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
    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측벽에 뚫린 횡공(橫孔, lateral hole)(38)과,
    상기 횡공(38)에 장착된, 결합 부재(39) 및 이 결합 부재(39)를 상기 통부(20)를 향해 부세(付勢, bias)하는 부세 수단(40),
    을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4. 하우징(housing)(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先端側)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clamp rod)(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 base end side)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unclamping action)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
    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를 가지며,
    상기 저항 부여 기구(34)는,
    상기 통부(20)의 외주에 형성된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42)에 기단측으로부터 결합하는 쐐기 부재(43)로서, 상기 경사면(42)과 상기 하우징(1)의 내주면 사이에 장착된 쐐기 부재(43)와,
    상기 쐐기 부재(43)를 선단측으로 부세하는 부세 수단(44)과,
    상기 부세 수단(44)을 상기 통부(20)의 외주면측에 보지(保持, hold)하는 보지 수단(45),
    을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지 기구(26)는,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에 형성된 로드측 결합 홈(24a) 또는 로드측 결합부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형성된, 상기 로드측 결합 홈(24a)에 끼워 맞추는(嵌合) 로크 부재측 결합부(25a) 또는 상기 로드측 결합부에 끼워 맞추는 로크 부재측 결합 홈,
    을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6. 하우징(housing)(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先端側)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clamp rod)(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 base end side)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unclamping action)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
    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클램프 로드(7)가 기단측에 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 로드(7)에 대해 상기 로크 부재(23)가 소정량을 초과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relative movement restriction mechanism)(31)를 더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돌출부(30)로서, 해당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이,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은, 또는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보다 작은,
    클램프 장치.
  8. 청구항 2 내지 4, 6,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9)는,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부(20)와,
    상기 통부(20)의 선단측에 형성된 주벽부(周壁部, peripheral wall portion)(21)로서,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21a)을 가지는 주벽부(21)와,
    상기 주벽부(21)의 선단측에 형성된 끝이 가는 꼭대기 벽부(頂壁部, top wall portion)(22),
    를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9. 하우징(housing)(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先端側)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locking member)(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engage)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clamp rod)(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基端側, base end side)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unclamping action)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基端部)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지지 부재(19)의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의 어느 쪽 축방향으로의 움직임에도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부여 기구(resistance giving mechanism)(34)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engagement maintaining mechanism)(26),
    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로크 부재(23)가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클램프 로드(7)가 상기 지지 부재(19)를 통해 상기 로크 부재(23)를 선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과,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통 모양의 상부 하우징(5)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19)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로드(7)는,
    로드 본체(52)와,
    상기 로드 본체(52)의 선단부에 핀 부재(53)를 통해 해당 로드 본체(5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선단부(54)로서, 상기 쐐기면(24)이 형성된 로드 선단부(54)를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10. 청구항 2 내지 4, 6,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하부 하우징(2)과,
    상기 하부 하우징(2)의 상면에 고정된 통 모양의 상부 하우징(5)으로서, 상기 지지 부재(19)가 축방향 및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하우징(5)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 로드(7)는,
    로드 본체(52)와,
    상기 로드 본체(52)의 선단부에 핀 부재(53)를 통해 해당 로드 본체(52)의 지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로드 선단부(54)로서, 상기 쐐기면(24)이 형성된 로드 선단부(54)를 구비하는,
    클램프 장치.
  11.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보다 선단측으로 돌출되어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에 삽입 가능한 로크 부재(23)와,
    상기 로크 부재(23)에 선단측으로부터 결합하는 쐐기면(24)을 가지는 클램프 로드(7)와,
    상기 클램프 로드(7)를 기단측으로 클램프 구동함과 더불어 선단측으로 언클램프 구동하는 구동 수단(13)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로크 부재(23)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로서,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 부재(19)와,
    상기 클램프 로드(7)의 상기 쐐기면(24)과 상기 로크 부재(23)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유지 기구(26)와,
    상기 클램프 로드(7)가 기단측으로 클램프 구동되었을 때, 상기 클램프 로드(7)에 대해 상기 로크 부재(23)가 소정량을 초과하여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
    를 구비하고,
    상기 상대 이동 제한 기구(31)는, 상기 하우징(1)의 선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반경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환상의 돌출부(30)로서, 해당 돌출부(30)의 구멍 지름이,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과 같은, 또는 상기 클램프 대상물(W)의 구멍(Wa)의 지름보다 작은,
    클램프 장치.
KR1020217019500A 2018-12-10 2019-12-06 클램프 장치 Active KR102566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0576 2018-12-10
JP2018230576 2018-12-10
PCT/JP2019/047790 WO2020121960A1 (ja) 2018-12-10 2019-12-06 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822A KR20210092822A (ko) 2021-07-26
KR102566000B1 true KR102566000B1 (ko) 2023-08-10

Family

ID=7107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500A Active KR102566000B1 (ko) 2018-12-10 2019-12-06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72239B2 (ko)
EP (2) EP3895840B1 (ko)
JP (1) JP7477169B2 (ko)
KR (1) KR102566000B1 (ko)
CN (1) CN113165126B (ko)
TW (1) TWI721695B (ko)
WO (1) WO2020121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1960A1 (ja) * 2018-12-10 2020-06-1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MX2022009738A (es) * 2020-02-08 2023-01-11 Jr Automation Tech Llc Aparato de mango para herramienta de maquina industrial.
JP7485283B2 (ja) 2020-06-30 2024-05-16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CN118081010B (zh) * 2024-04-10 2024-10-18 杭州丰凡五金机械有限公司 一种模具线切割设备用夹持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737A1 (ja) * 2005-12-27 2007-07-05 Kosmek Ltd. 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システム並びにクランプ装置
JP2018008324A (ja) *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位置決め機構付きク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227A1 (de) * 1997-01-23 1998-07-30 3R Syst Int Ab Halt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Werkstück
JP2002263975A (ja) 2001-03-05 2002-09-17 Smc Corp クランプ装置
JP3941059B2 (ja) * 2003-07-01 2007-07-04 Smc株式会社 ロケートクランプ装置
JP4302174B1 (ja) * 2008-02-15 2009-07-22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2011121144A (ja) * 2009-12-11 2011-06-23 Pascal Engineering Corp クランプ装置
US8459626B2 (en) * 2010-05-28 2013-06-11 Btm Corporation Pin clamp
JP5557630B2 (ja) * 2010-07-13 2014-07-23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5674010B2 (ja) * 2010-09-27 2015-02-1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JP5768062B2 (ja) * 2010-12-02 2015-08-26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JP5827602B2 (ja) * 2012-06-28 2015-12-02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US9770810B2 (en) * 2014-11-12 2017-09-26 De-Sta-Co Europe Gmbh Pin clamp
JP6402013B2 (ja) 2014-12-05 2018-10-10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JP6341186B2 (ja) * 2015-11-24 2018-06-13 マツダ株式会社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6683472B2 (ja) 2015-11-30 2020-04-22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JP6751914B2 (ja) * 2017-11-14 2020-09-09 Smc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WO2020121960A1 (ja) * 2018-12-10 2020-06-1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クラ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4737A1 (ja) * 2005-12-27 2007-07-05 Kosmek Ltd. 位置決め装置および位置決めシステム並びにクランプ装置
JP2018008324A (ja) * 2016-07-11 2018-01-18 株式会社コスメック 位置決め機構付き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65126B (zh) 2023-03-21
TW202027903A (zh) 2020-08-01
TWI721695B (zh) 2021-03-11
EP4403297A2 (en) 2024-07-24
WO2020121960A1 (ja) 2020-06-18
EP4403297A3 (en) 2024-10-16
KR20210092822A (ko) 2021-07-26
JP7477169B2 (ja) 2024-05-01
EP3895840B1 (en) 2025-01-29
JPWO2020121960A1 (ko) 2020-06-18
EP3895840A4 (en) 2022-06-29
US20220024000A1 (en) 2022-01-27
US11772239B2 (en) 2023-10-03
CN113165126A (zh) 2021-07-23
EP3895840A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6000B1 (ko) 클램프 장치
KR100637276B1 (ko) 데이텀기능을 부착한 클램프장치
JP4086281B2 (ja) クランプ装置
KR102120782B1 (ko) 리프트 기능 부여 클램프 장치
KR20060091304A (ko) 클램프 장치
JP4864164B2 (ja) 流体カプラ付きクランピングシステム
WO2004060607A1 (ja) 調心駆動機構およびその機構を備えた位置決め装置
JPH11129136A (ja) クランプ装置
KR200496444Y1 (ko) 워크 서포트
JP6283219B2 (ja) クランプ装置
JP6417127B2 (ja) クランプ装置
JP2017154246A5 (ko)
CN107073663B (zh) 夹紧装置
KR20060037336A (ko) 클램프 장치
JP3527738B2 (ja) データム機能付きクランプ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クランプシステム
JP3459414B2 (ja) データム機能付きクランプ装置
JP6886158B2 (ja) クランプ装置
JP2020078843A (ja) 固定装置、および当該固定装置を備えた固定システム
JP2023164116A (ja) ロック装置
JP2024046792A (ja) ク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6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