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9960B1 -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960B1
KR102559960B1 KR1020220184887A KR20220184887A KR102559960B1 KR 102559960 B1 KR102559960 B1 KR 102559960B1 KR 1020220184887 A KR1020220184887 A KR 1020220184887A KR 20220184887 A KR20220184887 A KR 20220184887A KR 102559960 B1 KR102559960 B1 KR 10255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ask
inner tube
cuff
laryngeal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형준
Original Assignee
주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준 filed Critical 주형준
Priority to KR1020220184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960B1/ko
Priority to PCT/KR2023/018955 priority patent/WO2024143921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02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M16/0409Special features for tracheal tub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 for closing the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일정 각도 범위에서 가변, 또는 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공급, 또는 내시경이 삽입되는 공기통로(300)가 마련되는 내부튜브(110)와, 상기 내부튜브(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튜브(120)를 포함하는 마스크 튜브(100); 상기 외부튜브(120)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키는 커프스(200); 상기 마스크 튜브(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공기 공급부재를 연결하거나,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분리되어 상기 공기통로(300)측으로 상기 내시경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튜브(110)에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연장튜브(116)가 더 구성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Laryngeal mask for tracheal intubation}
본 발명은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두 마스크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기관삽관이 가능하고, 삽관 이후 후두 마스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삽관하기 어려운 환자에게도 원활하게 기관삽관이 가능하고, 삽관 이후 후두 마스크를 제거할 수 없다는 기존의 한계점을 극복한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삽관술이란 사람의 입이나 코를 통해 기관 튜브를 삽입하여 관을 통해 공기가 기관지로 갈 수 있도록 기도 확보를 하는 것으로, 외상이나 이물에 의한 기도 막힘, 다양한 호흡성 질환에 의한 호흡부전, 또는 응급 환자에게 소생술을 시행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서 기관내삽관술을 통해 기도를 확보하여 호흡을 보조하는 술기이다.
이에 따라, 응급의료인들과 의사들은 기관삽관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숙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턱이 작은 경우,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경우, 턱관절에 관절염이 있는 경우, 구강 내 붓기가 심한 경우 또는 안면부의 손상이 심각한 경우 등과 같이 후두경을 이용한 기관삽관술을 통해 기도확보가 어려운 환자의 경우 숙달된 의사라도 기관삽관술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후두 마스크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안으로 적절한 위치까지만 삽입해 주면 기도확보를 할 수 있으나, 후두 마스크는 위내용물의 흡인이 일어날 수 있고, 반복 사용시 인두 주위에 불필요한 자극으로 인한 부종이 생길 수 있고, 또한 인공환기시 압력이 높으면 공기의 유출이 일어날 수 있는 등 다양한 한계점으로 인해 임시적인 기도확보의 한 방편으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결국 기관삽관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기도를 확보해야만 한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1211호에는, 환자의 성문개구부에 기도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환자에게 삽입하기 위한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기도 튜브와 상기 기도 튜브에 부착된 마스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는 원위부 말단과 근위부 말단을 갖는 보디 및 주변의 팽창가능한 커프를 포함하고, 가스 출구를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튜브와 상기 마스크 간의 가스상 전달을 위해 상기 기도 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마스크의 원위부 말단은 상기 근위부 말단에 대해 복부 측에 배치되는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가 게재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 역시 기존의 후두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임시적인 방편에 불과하고, 결국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관삽관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기도를 확보해야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후두 마스크의 통로를 통해 직접적으로 기관튜브를 삽입하는 기관삽관술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환자 체형에 맞는 적절한 크기의 기관튜브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지 않은 후두 마스크 통로를 통해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하며, 삽입이 되더라도 기관 튜브가 후두를 통해 정확히 기도내로 삽입되었는지 확인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기도내로 삽입되었더라도 인두내에 위치한 후두 마스크를 제거하지 못하고 기관 튜브를 고정해야 하는 문제점 등 다양한 한계점들이 있다.
그 외에도 가이드관을 후두 마스크의 내부로 삽입하여 후두 마스크를 제거하고 가이드를 따라 기관삽관을 시도하는 방법 등 다양한 술기들을 연구하고 있지만, 이는 기관삽관을 성공하기 위해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하고, 이로 인해 기관삽관을 위한 준비 과정이 번거롭거나 시간이 오래걸려 응급환자에게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1211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후두 마스크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기관삽관이 가능하고, 삽관 이후 후두 마스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관삽관하기 어려운 환자에게도 원활하게 기관삽관이 가능하고, 이전의 삽관 이후 후두 마스크를 제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극복한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일정 각도 범위에서 가변, 또는 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공급, 또는 내시경이 삽입되는 공기통로(300)가 마련되는 내부튜브(110)와, 상기 내부튜브(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튜브(120)를 포함하는 마스크 튜브(100); 상기 마스크 튜브(10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키는 커프스(200); 상기 마스크 튜브(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공기 공급부재를 연결하거나,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분리되어 상기 공기통로(300)측으로 상기 내시경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튜브(110)에는 상기 연결부재(40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연장튜브(116)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튜브(110)는, 중앙부(A)를 기준으로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제1내부튜브(112)와, 상기 제1내부튜브(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제2내부튜브(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튜브(1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프스(200)가 환자의 기도를 개방할 때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패널(14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통로(300)는, 상기 내부튜브(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세로직경으로 5mm ~ 20mm로 형성되고, 가로직경이 15mm ~ 35mm 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내홀(310)과, 상기 안내홀(31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프스(200)의 표면측으로 향할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통홀(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튜브(116)는, 상기 연결부재(400)와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400)에는, 상기 연장튜브(116)와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는 결합 플랜지(42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후두 마스크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연결부재만을 제거하여, 더 넓은 직경을 가진 마스크 튜브의 공기통로를 통해 기관내 삽관된 튜브가 삽입된 상태로 후두 마스크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관삽관하기 어려운 환자에게도 원활하게 기관삽관이 가능하고, 장기간 유지가 어려운 후두마스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의 마스크 튜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도삽관용 후드 마스크는, 후드 마스크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기도삽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연결부재(400)를 제거하면 더 넓은 직경을 가진 공기통로(300)를 통해 기관내 삽관술 및 내시경을 이용한 술기들을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드 마스크는, 내부튜브(110) 및 외부튜브(120)로 구성되는 마스크 튜브(100)와, 마스크 튜브(100)의 하단부측 끝단부에 형성되고, 환자의 기도부에 삽입이 이루어지면서 기도를 개방시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프스(200)가 형성되고, 마스크 튜브(100)의 상단부측 끝단부에는 공기 공급을 위한 장치들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내부튜브(110)는 마스크 튜브(100)의 형태가 소정의 호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커프스(200)가 용이한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내부튜브(110)는 견고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VC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내부튜브(110)는 상기 소정의 호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 가변, 또는 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내부튜브(110)는 중앙부(A)를 기준으로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내부튜브(112)와, 이 제1내부튜브(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연결부재(4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내부튜브(114)로 구성된다.
이때, 제1내부튜브(112)는 마스크 튜브(100)의 형태가 소정의 호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커프스(200)가 용이한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내부튜브(112)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외부튜브의 내용 설명시 추가하였으므로, 해당 부분에서는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제2내부튜브(114)는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후두마스크 삽입시 환자의 치악력에 의하여 눌리지 않게 하고 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제2내부튜브(114)는 연결부재(400)와 같은 재질로서 소정의 마찰력에 의하여 결합되게 되고 이는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과 연결된 연결부재(400)를 통해 공기가 공기통로(300)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내부튜브(114)와 연결부재(400)는 견고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내부튜브(112)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부튜브(110)는 중공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연결부재(400)와 연결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환자의 개방된 기도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기도삽관시 기관튜브와 내시경 삽입시 삽입경로를 유도하는 공기통로(300)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기통로(300)는 내부튜브(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연결부재(400)가 결합된 상단부의 직경과 커프스(200)가 형성되는 하단부의 직경이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안내홀(310)이 형성된다.
즉, 커프스측(200)에 형성되는 제1내부튜브(112)와 연결부재(400)측에 형성되는 제2내부튜브(114) 및 이 제1내부튜브(112)와 제2내부튜브(114)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튜브(120)를 통하여 안내홀(31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통로(300)는 안내홀(310)과 후술하게 될 연통홀(320)이 서로 연통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기도삽관시 기관튜브와 내시경 삽입시 삽입경로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기도 장치들의 연결부는 15mm의 튜브를 갖고 있고, 이전의 후두 마스크의 내경은 15mm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커프스까지 이어져 잇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이전의 후두 마스크는 통로의 직경이 15mm로 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관삽관 이후 후두마스크 제거에 어려웠고, 그 이유에는, 기관튜브의 커프가 적절한 압력으로 부풀었는지 확인하는 밸브라는 부재로 인해 통과시키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성인용 후두 마스크의 경우 연결부재(400)를 이탈시키면 공기통로(300)의 시작점인 안내홀(310)의 직경이 세로직경으로 18mm ~ 20mm로 형성되고, 가로직경이 30mm ~ 35mm 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기관튜브의 밸브까지도 여유있게 통과시킬 수 있고 기관튜브 고정 후 후두마스크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게 될 연결부재(400)의 공기 공급홀(410)은 그 직경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15mm로 동일할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의 공기통로(300)는 사용자, 즉 환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 그 직경이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관삽관이 필요한 환자에서 기관튜브 선택시 신생아, 또는 유아는 경우 2.5mm ~ 4.5mm, 청소년의 경우 5.0mm ~ 7.0mm, 성인의 경우 7.5mm ~ 8.5mm 내경의 기관튜브를 사용한다.
이에 맞게 후두 마스크의 공기통로(300)의 세로직경은 환자에 맞는 기관튜브 직경의 5mm ~ 13mm 정도 크게, 가로직경은 환자에 맞는 기관튜브 직경의 15mm ~ 25mm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내부튜브(110)는 하단부측 끝단부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내부튜브(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기준으로 상부면 보다 하부면이 더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튜브(110)의 하부면은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커프스(200)가 환자의 기도를 개방할 때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패널(140)을 더 형성하는 것이다.
외부튜브(120)는 내부튜브(110)의 외면에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튜브(110)의 전체면을 감싸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통상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튜브(120)는 하측 단부로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어 식도를 폐쇄하는 한편, 식도와 이격되는 기도를 개방시키는 커프스(200)가 형성된다.
이때, 커프스(200)는 열가소성 탄소 중합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커프스(200)는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면서 공기통로(300)와 개방된 기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후두 마스크가 환자의 기도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기도의 개방시 환자의 기도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프스(200)는 공기통로(300)에 형성된 안내홀(310)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홀(320)을 더 형성하여 공기의 공급 및 내시경 등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연통홀(320)은 안내홀(310)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커프스(200)의 표면측으로 향할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통홀(320)은 단면을 기준으로 연통홀(320)의 상부면을 이루고, 커프스(200)의 상측부에 인접한 위치로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내부튜브(110)의 상부면과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부 연통부(322)와, 연통홀(320)의 하부면을 이루며, 커프스(200)의 중앙부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커프스(200)의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연통홀(320)의 면적을 향상시켜 환자의 기도측으로 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연통부(324)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공기통로(300)는 공급된 공기의 이동, 내시경의 삽입 및 이탈을 안내하는 안내홀(310)과, 이 안내홀(310)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공기를 환자의 기도로 배출하고, 상기 내시경이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통홀(320)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내부튜브(110), 바람직하게는 제2내부튜브(114)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연결부재(400)의 연결 플랜지(42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연장튜브(116)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튜브(116)에 의해 연결부재(400)와의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이 연결부재(400)에 구성되는 결합 플랜지(420)의 내주면과 긴밀한 밀착력에 의해 고정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연장튜브(116)의 외주면으로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력 제공수단이 도포되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연장튜브(116)와 연결부재(400)의 결합 플랜지(4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및 돌기 고정홈에 의한 끼움 결합 방식, 또는 오링 등을 포함하는 실링부재에 의한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400)에는 상기 돌기나 실링부재로 구성되는 고정부재(430)가 결합 플랜지(4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연장튜브(116)에는 상기 고정부재(430)가 삽입 및 분리되는 삽입홈(118)을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마스크 튜브(100)와 연결부재(400) 간의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연결부재(400)가 마스크 튜브(10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만 있다면, 상기 연장튜브(116)와 연결부재(400)의 결합 플랜지(4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부재(400)는 마스크 튜브(100)의 상부측 끝단부에 형성되는 연장튜브(11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시 기존의 후두마스크와 같은 기능을 하는 공기 공급부재를 통한 공기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연결부재(400)을 이탈 시에는 더 넓은 직경을 가진 공기통로(300)을 통해 기관튜브 및 기관삽관용 내시경, 기관지내시경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400)는 상기한 공기 공급부재와 연결되어 일정량의 공기를 공기통로(300)의 안내홀(310)측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홀(410)이 형성되고, 이 공기 공급홀(410)과 연통되게 형성되되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제2내부튜브(114)의 연장튜브(11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420)로 구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마스크 튜브
110: 내부튜브
112: 제1내부튜브
114: 제2내부튜브
116: 연장튜브
118: 삽입홈
120: 외부튜브
200: 커프스
300: 공기통로
310: 안내홀
320: 연통홀
322: 상부 연통부
324: 하부 연통부
400: 연결부재
410: 공기 공급홀
420: 결합 플랜지

Claims (6)

  1.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일정 각도 범위에서 가변, 또는 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공기의 공급, 또는 내시경이 삽입되는 공기통로(300)가 마련되는 내부튜브(110)와, 상기 내부튜브(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부튜브(120)를 포함하는 마스크 튜브(100);
    상기 마스크 튜브(10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며, 환자의 기도를 개방시키는 커프스(200);
    상기 마스크 튜브(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공기 공급부재를 연결하거나, 상기 마스크 튜브(100)와 분리되어 상기 공기통로(300)측으로 상기 내시경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튜브(110)는,
    중앙부(A)를 기준으로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제1내부튜브(112)와, 상기 제1내부튜브(1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견고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제2내부튜브(114)와, 상기 제2내부튜브(114)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는 연장튜브(116)와, 상기 연장튜브(116)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00)가 삽입 및 분리되는 삽입홈(1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로(300)는,
    상기 내부튜브(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세로직경으로 5mm ~ 20mm로 형성되고, 가로직경이 15mm ~ 35mm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내홀(310)과, 상기 안내홀(31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프스(200)의 표면측으로 향할수록 그 면적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통홀(3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튜브(110)는,
    하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커프스(200)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프스(200)가 환자의 기도를 개방할 때 소정의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패널(14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320)은,
    상기 연통홀(320)의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내부튜브(110)의 상부면과 직교를 이루도록 형성되되,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프스(200)의 상측부과 연통되는 상부 연통부(322)와,
    상기 연통홀(320)의 하부면을 이루며, 상기 커프스(200)의 중앙부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프스(200)의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연통홀(320)의 면적을 향상시켜 환자의 기도측으로 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연통부(32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튜브(116)는,
    상기 연결부재(400)와 소정의 마찰력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0)는,
    일정량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300)측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홀(410)과,
    상기 공기 공급홀(410)과 연통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장튜브(116)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플랜지(420)와,
    상기 결합 플랜지(420)의 내주면에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118)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부재(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KR1020220184887A 2022-12-26 2022-12-26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Active KR10255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87A KR102559960B1 (ko) 2022-12-26 2022-12-26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PCT/KR2023/018955 WO2024143921A1 (ko) 2022-12-26 2023-11-23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87A KR102559960B1 (ko) 2022-12-26 2022-12-26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960B1 true KR102559960B1 (ko) 2023-07-25

Family

ID=8742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887A Active KR102559960B1 (ko) 2022-12-26 2022-12-26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9960B1 (ko)
WO (1) WO20241439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43921A1 (ko) * 2022-12-26 2024-07-04 주형준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995A (ja) * 1998-11-19 2000-06-06 Keishichiro Moroi 薄型人工気道装置
KR20040048399A (ko) * 2001-08-23 2004-06-09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후두부 마스크 기도 장치
JP2007502137A (ja) * 2003-08-14 2007-02-08 ナジール,ムハマド,アスラム 改良されたエアウェイ装置
KR20080031211A (ko) 2005-05-27 2008-04-08 더 라린질 마스크 컴퍼니 리미티드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
KR101508131B1 (ko) * 2013-09-26 2015-04-07 정민호 기도 유지장치
KR20180081131A (ko) * 2015-11-09 2018-07-13 리 탕 다수의 튜브 캐비티 후두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60B1 (ko) * 2022-12-26 2023-07-25 주형준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995A (ja) * 1998-11-19 2000-06-06 Keishichiro Moroi 薄型人工気道装置
KR20040048399A (ko) * 2001-08-23 2004-06-09 아치발드 이안 제레미 브레인 후두부 마스크 기도 장치
JP2007502137A (ja) * 2003-08-14 2007-02-08 ナジール,ムハマド,アスラム 改良されたエアウェイ装置
KR20080031211A (ko) 2005-05-27 2008-04-08 더 라린질 마스크 컴퍼니 리미티드 후두 마스크 기도 장치
KR101508131B1 (ko) * 2013-09-26 2015-04-07 정민호 기도 유지장치
KR20180081131A (ko) * 2015-11-09 2018-07-13 리 탕 다수의 튜브 캐비티 후두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43921A1 (ko) * 2022-12-26 2024-07-04 주형준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43921A1 (ko) 202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409A (en) Intubating laryngeal mask
US4700700A (en) Endotracheal tube
RU2406544C2 (ru) Воздухо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ларингеальной маски
CA2231331C (en) Laryngeal mask
KR0138517B1 (ko) 인공 기도 장치
US6196224B1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US7174889B2 (en) Device for insertion of endotracheal tube
CA1324551C (en) Artificial airway device
EP2903673B1 (en) Reversible airway device
US6386199B1 (en) Perilaryngeal oral airway
JP3565866B2 (ja) 人工呼吸具
JPH10165504A (ja) 気管内用チューブ構造
AU2011293089A1 (en) Laryngeal mask with enhanced insertion
GB2489407A (en) Laryngeal mask and tracheal tube airway devices
WO2015152985A1 (en) Laryngeal mask with piriform-fossa conduit
US20080230054A1 (en) Oropharyngeal Airway Device
EP3883449B1 (en) Bi-functional intubating and ventilating supraglottic airway
KR102559960B1 (ko) 기관삽관용 후두 마스크
KR102040815B1 (ko) 기관 삽관용 튜브
KR102327349B1 (ko) 내시경 장치
JP2009072465A (ja) 上気道エアウェイ
CN113412134A (zh) 用于维持患者中的气道的装置
JP2002113101A (ja) 分離肺換気専用コネクターとその使用方法
CN115209934B (zh) 气道管理装置
US20230233783A1 (en) Endotracheal tube attach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