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50149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149B1
KR102550149B1 KR1020210166403A KR20210166403A KR102550149B1 KR 102550149 B1 KR102550149 B1 KR 102550149B1 KR 1020210166403 A KR1020210166403 A KR 1020210166403A KR 20210166403 A KR20210166403 A KR 20210166403A KR 102550149 B1 KR102550149 B1 KR 102550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s
unit
discharging
casing
discharge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559A (ko
Inventor
정원식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주)에코탄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탄소 filed Critical (주)에코탄소
Priority to KR102021016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1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1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91Configuration of solids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Food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고, 이렇게 배출되는 각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면서 처리토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포저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여 하수구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던 것으로서, 근래에는 환경오염방지를 위하여 그 사용이 법률에 의해 제한되거나 금지되는 형편에 이르렀다.
한편, 최근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 수거하여 분쇄, 건조, 압축한 다음 유기질 비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친환경적 처리 방안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를 분리 수거하는 것은 일손이 많이 가고 위생상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음식물 찌꺼기의 발생량이 많지 않은 가정에서는 디스포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고,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건조한 다음 배출하는 방안이 시도됨으로써 다시금 디스포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44132호에서는 외부로부터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투입받아서 분쇄하는 분쇄부; 내측에 상기 분쇄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분쇄부를 보호하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분쇄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탈수 또는 압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압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경우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것은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의 문제가 있어 그 적용성에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0441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토록 하고, 별도의 장소에서 이렇게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생물반응 등에 의해 처리토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이하 “본 발명의 장치”이라함)은,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저장부에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케익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가압관에는 상기 케이싱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외관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에 상기 내관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스크류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로 구성되는 파쇄돌기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케이싱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 하부에는 수분낙하부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분낙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스크류의 날개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가압테두리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이 형성되는 솔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각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토록 하고, 별도의 장소에서 이렇게 모인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생물반응 등에 의해 처리토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면이나 소음 등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일 구성으로 저장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탈수부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부분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 가압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 탈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2); 상기 분쇄부(2)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31)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32)이 형성되는 저장부(3); 상기 월류수배출라인(32)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5); 상기 저장부(3)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411)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412)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461)이 형성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42)를 포함하는 탈수부(4); 상기 탈수부(4)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61)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부(2)는 각 가정 등에 설치되는 구성에 해당하고, 이렇게 복수의 분쇄부(2)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저장부(3) 및 탈수부(4)에 의해 처리가 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우선 분쇄부(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분쇄부(2)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싱크대 저부에 음식물 분쇄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분쇄부(2)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장부(3)는 상기 분쇄부(2)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31)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3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저장부(3)는 예로 아파트 등에서 복수의 가정에 구비된 분쇄부(2)에서 분쇄된 음식물들이 모여서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저장된 분쇄된 음식물이 상기 저장부(3)에서 저장되면서 비중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1차적으로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을 후단의 탈수부(4)로 고형물배출라인(31)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형물배출라인(31)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당연히 펌프가 구성되어 고형물배출라인(31)을 통해 고형물이 탈수부(4)로 전달되도록 하여야 한다.
도 2에서는 저장부(3)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34)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35)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부유물저장챔버에는 부유물배출라인(33)이 더 구성된다. 상기 부유물배출라인(33)은 상기 탈수부(4)의 고형물유입구(411)와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배출라인(33)을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의 경우도 탈수부(4)에서 탈수과정을 거쳐 케익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미세기포발생장치(34)는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세기포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저장부(3)에서도 호기반응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지며 이렇게 1차적으로 정화된 처리수가 후단의 생물반응부(5)로 유입되도록 하여 2차적으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처리수가 방류되도록 함으로써 방류수의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생물반응부(5)는 상기 월류수배출라인(32)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 하여 처리수를 배출토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생물반응부(5)에는 월류수를 유입하여 저장하는 생물반응조(51)와 상기 생물반응조(51) 내부에 구성되어 폭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산기관(53)이 구성되고, 상기 생물반응조(51)에는 정화처리가 이루어진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처리수배출라인(511)이 구성된다. 또한 생물반응부(5)에는 상기 생물반응조(51)로 호기성 미생물을 저장하면서 공급하는 미생물저장조(52)가 더 구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생물반응부(5)의 생물반응에 의한 정화처리 작동기작은 공지의 작동기작으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생물반응조(51)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탈수부(4)에서 탈수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도 유입되도록 하여 생물반응에 의한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탈수부(4)는 상기 저장부(3)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411)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412)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461)이 형성되는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4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형물유입구(411)에서 상향으로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탈수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케이싱(41)에서 하방향으로 유도되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분낙하부(45)를 통해 수분저장부(46)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42)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연동을 하며 회전몸체(421)와 나선형의 날개(42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탈수부(4)는 탈수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케익배출구(412)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41)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432-2)가 형성되는 가압관(43)과, 상기 가압관(43)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4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관(43)에는 상기 케이싱(41)과 배출관(44)을 연결하는 외관(431)과, 상기 외관(431)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432-2)가 형성되는 내관(4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41), 상기 외관(431) 및 상기 배출관(44)은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 구성의 단부에 구성되는 플랜지의 부착에 의해 체결이 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탄성재질의 가스켓이 게재되도록 하여 수밀성이 담보되도록 체결됨이 타당하다. 각 플랜지 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볼트결합 등에 의해 고정이 될 수 있다.
상기 외관(431)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431-1)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431-1)에 상기 내관(432)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테두리(431-1)는 상기 케이싱(41)의 케익배출구(412) 및 상기 배출관(44)과 연하도록 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관몸체(432-1)의 두께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돌출됨에 의해 상기 케이싱(41), 상기 내관몸체(432-1) 및 상기 배출관(44)은 내주연이 연하도록 연결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돌출된 부분에 케익이 침적되는 것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관(432)은 관형의 내관몸체(432-1)와 상기 내관몸체(432-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선날개(432-2)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날개(432-2)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의 직경(d)은 상기 회전몸체(421) 끝단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류(42)에 의해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의 전체면적이 상기 나선날개(432-2)에 의해 접하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구성되어 상기 내관(432)은 상기 외관(431)의 내주연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내관(432)은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이 상기 나선날개(432-2)를 가압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에 상기 나선날개(432-2)가 가압력을 주어 탈수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고 스크류(42)의 공회전을 제어토록 하는 것인데, 상기 내관(432)이 고정된 구조일 경우 케익이 너무 견고하게 고화되어 스크류(42)에 회전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는데, 케익배출구(412)로 배출되는 케익이 상기 나선날개(432-2)를 가압함으로써 내관(432)의 회전연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회전연동에 의해 케익이 계속적으로 가압관(43) 외측으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탈수와 탈수된 케익의 배출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균형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다양한 공지의 구조에 의해 상기 내관(432)의 회전을 어느 정도 제어함으로써 가압에 의한 탈수와 탈수된 케익의 배출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스크류(42)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423-1)과 상기 회전핀(423-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423-2)로 구성되는 파쇄돌기(423)가 더 구성된 예가 제시된다.
상기 파쇄돌기(423)는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케익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 2나선날개(423-2)의 회전에 의해 케익의 중앙부에서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관(43)에 의해 배출되는 케익의 탈수효율을 높임으로써 더욱 경화가 되는데 이러한 경화에 의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관(432)에 있어 나선날개(432-2)의 회전에 의해서도 케익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쇄돌기(423)가 더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파쇄돌기(423)는 케익을 중앙부에서 파쇄시키면서 외측에서 케익의 페이스트가 헐거워지도록 함으로써 배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41)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411)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45)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45) 하부에는 수분낙하부(45)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46)가 구성된다.
케이싱(41)에서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탈수작업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상기 케이싱(41)의 경사구배에 의해 수분낙하부(45)로 유도되고, 유도된 수분은 상기 수분낙하부(45)를 통해 수분저장부(46)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분저장부(461)에는 수분배출라인(461) 및 하단부에 침적된 고형물배출라인(462)이 구성된다.
특히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분낙하부(45)에 대향하는 위치(422-1)에서 스크류(42)의 날개(422)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423)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압테두리(423)의 구성에 의해 수분낙하부(45)에서 고형분(S)이 수분낙하부(45)의 메쉬에 침적됨 없이 케이싱(41)의 상방향으로 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가압테두리(423)의 탄성에 의해 수분낙하부(45)의 메쉬를 메우면서 회전함에 따라 고형분이 메쉬에 침적됨이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테두리(423)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424-1)이 형성되는 솔부(424)가 더 구성되어 스크류(42)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솔부(424)가 상기 수분낙하부(45)에 접하면서 회전시 복수의 솔(424-1)이 수분낙하부(45)의 메쉬를 관통하여 메쉬에 침적된 고형분(S)을 수분저장부(461)로 탈리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탈리된 고형분(S)은 수분저장부(461)에서 침적되어 고형분배출라인(4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유지 및 관리의 용이성이 도모되는 것이다.
상기 탈수부(4)를 거쳐 탈수된 고형분(케익)은 후단의 케익저장부(6)로 유입되며, 케익저장부(6)에서는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61)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한다. 즉 케익저장부(6)에서 케익의 완전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온수단(61)은 열선 등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의 장치 2 : 분쇄부
3 : 저장부 4 : 탈수부
5 : 생물반응부 6 : 케익저장부

Claims (9)

  1. 싱크대 배수구의 저부에 결합되고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고 분쇄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면서 하단에 침전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고형물배출라인이 형성되고 상단에 월류수를 배출하는 월류수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저장부;
    상기 월류수배출라인을 통해 월류수를 전달받아 생물반응에 의해 정화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생물반응부;
    상기 저장부에서 고형물이 유입되는 고형물유입구와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케익배출구와 탈수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배출라인이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성되어 회전연동을 하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에서 탈수된 고형물을 유입하여 저장하면서 가온수단에 의해 건조시키는 케익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내부에 미세기포가 공급되도록 하는 미세기포발생장치와, 미세기포에 의해 부유된 부유물을 부유물저장챔버로 유도하는 스키머가 더 구성되고,
    상기 케익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가압관에 연결되며 탈수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압관에는 상기 케이싱과 배출관을 연결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의 내주연에서 회전연동을 하며 내주연에 나선날개가 형성되는 내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관의 양단에는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양 돌출테두리에 상기 내관이 회전가능 하도록 내재되고,
    상기 스크류의 끝단에는 중앙부에서 돌출되는 회전핀과 상기 회전핀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 2나선날개로 구성되는 파쇄돌기가 더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에 있어 상기 고형물유입구가 형성된 부분의 하단에는 메쉬망으로 형성된 수분낙하부가 구성되며, 상기 수분낙하부 하부에는 수분낙하부를 통해 낙하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분저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분낙하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스크류의 날개에는 끝단부에 탄성재질의 가압테두리가 구성되고,
    상기 가압테두리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솔이 형성되는 솔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20210166403A 2021-11-29 2021-11-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550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403A KR102550149B1 (ko) 2021-11-29 2021-11-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403A KR102550149B1 (ko) 2021-11-29 2021-11-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559A KR20230079559A (ko) 2023-06-07
KR102550149B1 true KR102550149B1 (ko) 2023-07-03

Family

ID=8676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403A Active KR102550149B1 (ko) 2021-11-29 2021-11-29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1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373A (ja) * 2007-03-30 2008-10-16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100937519B1 (ko) * 2009-07-29 2010-01-19 박대식 압축이송용 스크류 장치
KR101209907B1 (ko) * 2012-05-25 2012-12-11 (주) 대성이앤비 음식 폐기물 감량장치
KR101751489B1 (ko) * 2016-07-08 201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003A (ko) * 2000-11-01 2002-05-08 황부연 폐수정화 시스템
KR20040103852A (ko) * 2004-11-12 2004-12-09 고정순 싱크대 부착형 다기능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101443819B1 (ko) * 2012-07-24 2014-09-26 하이에나 (주) 고형물 수분감량장치
KR102446483B1 (ko) 2019-10-14 2022-09-23 (주)비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6373A (ja) * 2007-03-30 2008-10-16 Nishihara Engineering Co Ltd 厨芥処理システム
KR100937519B1 (ko) * 2009-07-29 2010-01-19 박대식 압축이송용 스크류 장치
KR101209907B1 (ko) * 2012-05-25 2012-12-11 (주) 대성이앤비 음식 폐기물 감량장치
KR101751489B1 (ko) * 2016-07-08 201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 쓰레기 다중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559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7339B2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US9381711B2 (en) Screw press dewatering device using shearing blade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JP2008246373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980000664A (ko)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공동처리시스템
KR10188100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TW201325749A (zh) 分離方法及裝置
KR1025501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100824A (ko) 연속 탈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JP2004322074A (ja) 脱水装置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2659228B1 (ko)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집중처리시스템
KR100681494B1 (ko)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및 장치.
JP2002136960A (ja) 生ごみ処理装置
JP4183845B2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110025465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JPH0910617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KR101463574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소멸장치
KR101427170B1 (ko) 개수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4195280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KR102681657B1 (ko) 음식물류폐기물 고액분리장치
KR200165321Y1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처리 장치
JPH09240802A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