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1972B1 - 실통 - Google Patents

실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972B1
KR102541972B1 KR1020230001056A KR20230001056A KR102541972B1 KR 102541972 B1 KR102541972 B1 KR 102541972B1 KR 1020230001056 A KR1020230001056 A KR 1020230001056A KR 20230001056 A KR20230001056 A KR 20230001056A KR 102541972 B1 KR102541972 B1 KR 10254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lower case
case
drum
upp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덕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유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덕 filed Critical 유영덕
Priority to KR102023000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9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91/00Tools, implements, or accessories for hand sewing
    • D05B91/16Thread-spool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뽈대가 구비되어 실타래가 상기 뽈대에 끼워지도록 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측에 실타래에 권취된 실이 인출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인출되는 실을 절단하는 커터가 구비된 컷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통{CASE OF THREAD}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실타래 보관 실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이 권귀되어 있는 실타래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실을 인출하거나 권출하는 동작이 용이하며, 이때, 실의 엉킴(꼬임)을 방지하고, 실통의 개폐가 용이하여 실타래를 쉽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실의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타래는 실의 보관을 위해 통상 원통형 보빈에 다량의 실이 감겨있는 형태를 말한다. 하지만, 종래의 실타래는 실을 감고 푸는 과정이 번거로웠고, 실이 감겨있는 상태에서는 실의 끝단을 찾기 어려웠으며, 실의 끝단을 찾는 과정에서 실이 서로 엉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 예로 건축현장에서는 마감재나 패널 등의 고정을 위해 고정위치의 선정이 필요할 때, 또는 마감재나 판재의 절단을 일직선으로 할 필요가 있을 때 식별이 용이하도록 선을 표시하는 도구로서 실이 활용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실타래를 취급함에 있어 실타래로부터 실이 자주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실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도칼이나 카위 등과 같이 날카로운 절단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실타래를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종래 실타래를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는 실타래를 원통형 케이스 안에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의 엉킴을 최소화하고, 현장에서 실타래를 분실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실타래의 실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날카로운 절단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나아가, 실타래에 실이 얼마만큼 남았는지 확인이 어려우며, 더 나아가, 케이스를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20-0409473호(2006.02.1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부케이스로부터 개폐 가능한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실타래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실이 권취되어 있는 실타래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실타래의 교체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뽈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뽈대에 원통형 실타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실이 권출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권출하는 동작이 용이하여 실의 엉킴(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실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부케이스에 고리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고리를 이용하여 작업 조끼나 바지 등 작업복이나 장비 등에 실통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통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부케이스 상단에 인출되는 실의 절단과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컷팅부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날카로운 절단부재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며, 인출된 실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실의 끝단을 고정시켜 실통으로부터 새로운 실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실통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은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뽈대가 구비되어 실타래가 뽈대에 끼워지도록 하는 하부케이스; 하부케이스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측에 실타래에 권취된 실이 인출되도록 인출공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인출되는 실을 절단하는 커터가 구비된 컷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로부터 개폐 가능한 상부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실타래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실이 권취되어 있는 실타래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실타래의 교체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뽈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뽈대에 원통형 실타래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실이 권출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권출하는 동작이 용이하여 실의 엉킴(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에 고리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고리를 이용하여 작업 조끼나 바지 등 작업복이나 장비 등에 실통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 상단에 인출되는 실의 절단과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컷팅부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날카로운 절단부재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며, 인출된 실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실의 끝단을 고정시켜 실통으로부터 새로운 실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드럼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에 의해 실이 절단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를, (b)는 우측면도를, (c)는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하부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은 실(11)이 권귀되어 있는 실타래(10)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고, 실(11)을 인출하거나 권출하는 동작이 용이하며, 이때, 실(11)의 엉킴(꼬임)을 방지하고, 실통의 개폐가 용이하여 실타래(10)를 쉽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실(11)의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통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구성되는 하부케이스(100) 및 상부케이스(2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특징을 갖도록 구성되나, 첨부된 도면에서는 내부 구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이는, 당업자로 하여금 도면을 통해 구성을 이해하는 있어, 내부 구성이 외부로 보여짐에 따른 혼돈을 방지하고자 각 구성들의 식별력을 높히기 위함으로, 반드시 도시된 구성만이 본 발명에 국한되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은 투명한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되, 내부 공간에 실타래(10)가 보관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100), 상부케이스(200), 컷팅부(300) 및 연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실타래(10)는 실(11)이 권취된 상태로 실통에 보관되는 것을 의미하며, 실(11)이 권취되도록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기둥 형태의 실타래(10)는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개구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개구되거나 또는 상측과 하측이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하부케이스(100)의 뽈대(110) 또는 드럼(12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즉 실타래(10)는 원기둥 형태의 중간 부재에 실(11)이 권취된 형태로 이루어져 실통에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드럼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하부케이스(100)는 후술되는 상부케이스(200)가 상측에 탈부착 되며, 상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타래(10)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뽈대(110)가 구비되어 원기둥 형태의 실타래(1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하부케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측에 탈부착되는 상부케이스(200)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하부케이스(100)는 하단면이 평평한 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하부케이스(100)가 지면에 지지되면, 실통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하부케이스(100)는 플라스틱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실통 외부에서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타래(10)의 실(11)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11)의 사용량 및 실타래(10)의 교체주기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뽈대(11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실타래(10)가 끼워지거나 또는 후술되는 드럼(120)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설계조건에 따라, 뽈대(110)는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성형되어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하부케이스(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사산 체결에 의한 스크류 타입 또는 억지끼움 방식을 이용하여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00)는 뽈대(110)에 끼워져 실타래(10)가 거치되는 드럼(12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럼(12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중간 부분이 상측으로 개구되거나 또는 하측으로 개구되거나 또는 상측과 하측이 연통된 형태로 이루어져, 뽈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러한 드럼(120)은 뽈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럼(120)에 실타래(1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실(11)이 권출되어 실통으로부터 인출시, 실타래(10)의 회전이 보다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11)이 꼬이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드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드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일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의 경사면(1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21)은 원기둥 형태의 드럼(120) 외주면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원주 길이가 점점 커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드럼(120)의 상측으로 실타래(10)가 끼워지면, 실타래(10)의 하단은 경사면(121)에 접촉됨에 따라, 드럼(120)으로부터 실타래(1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실타래(10)가 좌,우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중공부 및 베어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드럼(120)은 뽈대(110)가 끼워지는 내부 공간 또는 하단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중공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122)는 드럼(120)의 내측으로 파여진 공간에 베어링(123)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케이스(100) 또는 뽈대(110)로부터 드럼(120)이 보다 부드럽고 유연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베어링(123)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뽈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상,하측이 관통된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부(122) 및 베어링(123)이 배치되는 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중공부(122)가 형성된 일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2)는 드럼(120)과 뽈대(110)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뽈대(110)가 끼워지는 드럼(120)의 내부 공간 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부(122)에 베어링(123)이 배치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2)에 베어링(123)이 배치되면, 상기 베어링(123)은 뽈대(110) 내부면과 드럼(120)의 내부 공간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뽈대(110)로부터 드럼(120)의 회전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공부(122)가 형성된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공부(122)는 드럼(120)의 하단면에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부(122)에 베어링(123)이 배치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2)에 베어링(123)이 배치되면, 상기 베어링(123)은 드럼(120)의 하단면과 하부케이스(100)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베어링(123)에 의해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에 지지된 드럼(120)의 회전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중공부(122)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공부(122)는 드럼(120)의 하단면에 상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뽈대(110)가 끼워지는 내부 공간, 즉 뽈대(110)의 외면과 인접한 측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중공부(122)에는 베어링(123)이 배치된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2)에 베어링(123)이 배치되면, 상기 베어링(123)은 뽈대(110)의 외면과 드럼(12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측면 및 하부케이스(100)의 바닥면이 서로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베어링(123)에 의해 드럼(120)의 회전이 부드럽고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부연하면, 드럼(120)은 뽈대(110)와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으로부터 베어링(123)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됨으로써, 드럼(120)의 좌,우 흔들림 등 유동을 최소화하여 실타래(10)로부터 실(11)이 꼬이지 않고 용이하게 권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실타래(10)에 권취된 실(11)이 인출되도록 상측에 인출공(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케이스(200)는 하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실타래(10)가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에 대응되도록 원형 단면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측 일부분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의 라운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부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과 같이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투명한 재질의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를 통해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타래(10)의 실(11) 잔량을 육안으로 확이할 수 있도록 한다.
라운드부(220)는 상부케이스(200) 상측 일부분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통된 형태의 연결공(230)이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공(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리(231)나 비너 또는 끈 등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공(23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허리와 같은 신체 일부에 매달거나 다양한 사물에 매달아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에 의해 실이 절단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컷팅부(300)는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인출되는 실(11)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커터(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터(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부(300)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판 형태의 컷팅부(300)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인출공(210)으로 인출된 실(11)은 컷팅부(300)와 커터(310) 사이 공간에 끼워짐으로써,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실통으로부터 새로운 실(11)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커터(310)를 포함하는 컷팅부(300)는 실(11)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비철금속 등 소정의 강도들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측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컷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를, (b)는 우측면도를, (c)는 배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건축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실(11)은 도 1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얇은 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비닐노끈, 바인더끈, 포장끈, 이사끈, 나일론끈 등 실(11) 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고, 여러 가닥이 꼬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이 불규칙한 형상의 다양한 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11을 참조하여, 두께가 두껍고 불규칙한 외관을 갖는 다양한 끈도 절단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터(3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커터(31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성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커터(3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컷팅부(300)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케이스(200)에 형성된 인출공(210)과 인접한 측에 고정면(311)이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먼 측에 절단면(312)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면(311)과 절단면(312)은 도 11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컷팅부(300)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끈 등이 컷팅부(300) 바닥면과 커터(310) 하단면 사이에 끼워지되, 컷팅부(300) 바닥면과 절단면(312) 사이에 끼워져 절단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끈은 실(11)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면(311) 보다 컷팅부(300)와의 사이 간격이 좁게 형성된 절단면(312)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두꺼운 두께와 좁은 간격으로 인하여 고정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커터(310)의 하단면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상측돌기(313)가 구비되고, 컷팅부(300) 바닥면에는 상기 상측돌기(313)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하측돌기(3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측돌기(313) 및 하측돌기(314)는 컷팅부(300) 바닥면과 커터(310) 하측면 사이 공간에 끈이 고정되는 과정에서, 여러 가닥이 꼬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이 불규칙한 형상의 끈이 상기 공간에 끼워지게 되면, 상측돌기(313) 및 하측돌기(314)는 끈 사이사이 공간으로 침투하게 되고, 이에, 끈은 상측돌기(313)와 하측돌기(314)에 엇갈린 형태로 맞물려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서는 커터(310)가 절단면(312), 고정면(311), 상측돌기(313) 및 하측돌기(3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커터(310)와 함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커터(310)의 구성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커터(310)의 구성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각각 구비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커터(310)의 구성으로는 얇은 실(11)을 절단하고 고정되도록 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절단면(312), 고정면(311), 상측돌기(313) 및 하측돌기(314)를 포함하는 커터(310)의 구성으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거나 여러 가닥이 꼬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외관이 불규칙한 형상의 끈 등이 절단되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연결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내부 공간에 실타래(1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탈부착은 연결수단(400)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400)의 일 예로, 하부케이스(100) 또는 상부케이스(20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암나사산(41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구성에 수나사산(412)이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산(411)과 수나사산(412)의 나사산 체결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케이스(100)의 상측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산(411)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산(411)에 맞물리도록 상부케이스(200) 하측 외주면에 수나사산(412)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를 회전시키거나 상부케이스(200)로부터 하부케이스(100)를 회전시키면, 상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실타래(10)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연결수단(4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케이스(200)와 하부케이스(100)가 접하는 부분 일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를 회동시키는 힌지부(421)가 구비되고, 반대측 타측에는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를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속부(422)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각각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를 선택적으로 잠금할 수 있는 자물쇠나 비너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공(230)에 걸림되는 고리(231)로 잠금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끈이나 철사와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감아서 잠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속부(422)는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가 접하는 외측면 각각에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되, 하부케이스(100) 외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와 상부케이스(200) 외측면에 돌출된 돌출부 사이에 접합을 위한 벨크로, 자석, 똑딱이 단추(스냅 단추) 등이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결속부(422)의 결합된 상태를 해제시키면,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 내부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실타래(1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통에서 하부케이스의 저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은 하부케이스(100) 하단면에 자석으로 이루어진 부착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부착부(500)는 다양한 작업현장에서 빔이나 철골 구조물, 금속 파이프 등 다양한 금속 구조물에 자력을 이용하여 임시로 부착시켜, 실통으로부터 실(11) 인출시 실통이 움직이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자석은 하부케이스(100)의 하단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부착부(500)는 자석 이외에 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하부케이스(100)를 바닥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바닥에 접촉됨에 따라, 마찰에 의해 실통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통은 하부케이스(100)로부터 개폐 가능한 상부케이스(200)가 구비되되,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 실타래(10)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실(11)이 권취되어 있는 실타래(10)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실타래(10)의 교체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00)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뽈대(11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뽈대(110)에 원통형 실타래(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짐으로써, 실(11)이 권출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권출하는 동작이 용이하여 실(11)의 엉킴(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00)에 고리(231)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고리(231)를 이용하여 작업 조끼나 바지 등 작업복이나 장비 등에 실통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200) 상단에 인출되는 실(11)의 절단과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컷팅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날카로운 절단부재를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며, 인출된 실(11)의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절단된 실의 끝단을 고정시켜 실통으로부터 새로운 실(11)의 인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실타래 11 : 실
100 : 하부케이스 110 : 뽈대
120 : 드럼 121 : 경사면
122 : 중공부 123 : 베어링
200 : 상부케이스 210 : 인출공
220 : 라운드부 230 : 연결공
231 : 고리
300 : 컷팅부 310 : 커터
311 : 고정면 312 : 절단면
313 : 상측돌기 314 : 하측돌기
400 : 연결수단 411 : 암나사산
412 : 수나사산 421 : 힌지부
422 : 결속부
500 : 부착부

Claims (10)

  1.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뽈대(110)가 구비되어 실타래(10)가 상기 뽈대(110)에 끼워지도록 하는 하부케이스(100);
    상기 하부케이스(100)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며, 상측에 실타래(10)에 권취된 실(11)이 인출되도록 인출공(210)이 형성된 상부케이스(200); 및
    상기 상부케이스(2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인출되는 실(11)을 절단하는 커터(310)가 구비된 컷팅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케이스(100)는
    상기 뽈대(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드럼(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120)은
    외면에 실타래(1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12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120)은
    상기 뽈대(110)가 끼워지는 내부 공간 또는 하단면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중공부(122); 및
    상기 중공부(122)에 배치되는 베어링(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베어링(123)은
    상기 드럼(120)과 뽈대(110) 사이 또는 드럼(120)과 하부케이스(100) 바닥면 사이 또는 드럼(120), 뽈대(110) 및 하부케이스(100) 바닥면 사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의 라운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200)는
    상기 라운드부(220)에 관통된 형태의 연결공(230)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를 탈부착시키는 연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하부케이스(100) 또는 상부케이스(20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암나사산(41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구성에 수나사산(412)이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산(411)과 수나사산(412)의 나사산 체결에 의해 하부케이스(100)와 상부케이스(200)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를 회동시키는 힌지부(421);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00)로부터 상부케이스(200)를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부(4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00)의 하단면에 자석을 갖는 부착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통.
KR1020230001056A 2023-01-04 2023-01-04 실통 Active KR10254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056A KR102541972B1 (ko) 2023-01-04 2023-01-04 실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056A KR102541972B1 (ko) 2023-01-04 2023-01-04 실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972B1 true KR102541972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1056A Active KR102541972B1 (ko) 2023-01-04 2023-01-04 실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9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583A (ja) * 1996-09-25 1998-04-21 Yoshiko Hosoda ボビンホルダー
KR200409473Y1 (ko) 2005-12-12 2006-02-24 김희덕 엉킴 방지용 실통
WO2018081302A1 (en) * 2016-10-25 2018-05-03 Kathleen Sullivan An improvement of a yarn-carry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220001262U (ko) * 2020-11-26 2022-06-03 김상현 수작업 봉제용 실패 거치대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583A (ja) * 1996-09-25 1998-04-21 Yoshiko Hosoda ボビンホルダー
KR200409473Y1 (ko) 2005-12-12 2006-02-24 김희덕 엉킴 방지용 실통
WO2018081302A1 (en) * 2016-10-25 2018-05-03 Kathleen Sullivan An improvement of a yarn-carrying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220001262U (ko) * 2020-11-26 2022-06-03 김상현 수작업 봉제용 실패 거치대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1887A (en) Portable storage reel for lines
US5280861A (en) Spool assembly for pintle
KR102541972B1 (ko) 실통
US20200029542A1 (en) Outrigger kit for fishing
WO1996003035A1 (en) Rod connector
US5915947A (en) Tippet dispenser
US2275545A (en) Crochet kit
US5490624A (en) Tippet tamer
US20090212151A1 (en) Yarn holding device
KR102762281B1 (ko) 훅 키퍼 및 낚시용 릴
US2763083A (en) Device for holding a line on a rod
US3295245A (en) Fishhook guard and leader aligning device
KR101697050B1 (ko) 주낙채비 정리수단
CN210054346U (zh) 一种鱼竿
KR102163092B1 (ko) 훌치기 낚시채비용 낚싯줄 엉킴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훌치기 낚시채비
JP3116330U (ja) 釣り用の小物物品の吊支装置
KR101797394B1 (ko) 휴대용 실타래 보관 케이스
JP4497504B2 (ja) ピンオンリールホルダー
KR101912533B1 (ko) 낚시용 릴 스트링거
KR200408595Y1 (ko) 자성체를 이용한 고정구
KR200176842Y1 (ko) 릴낚시대
KR200162512Y1 (ko) 회전 낚시바늘용 연결구의 구조
KR200315435Y1 (ko) 릴 낚시대
CN210655621U (zh) 一种纺织绕线器
CN213978063U (zh) 一种具有提示装置的环形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