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41484B1 -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84B1
KR102541484B1 KR1020220134202A KR20220134202A KR102541484B1 KR 102541484 B1 KR102541484 B1 KR 102541484B1 KR 1020220134202 A KR1020220134202 A KR 1020220134202A KR 20220134202 A KR20220134202 A KR 20220134202A KR 102541484 B1 KR102541484 B1 KR 10254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exercise
outpu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Original Assignee
이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22013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과 뇌파음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평상시나 운동 또는 수면하는 등의 상황에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집중력 향상,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발향을 위한 디퓨저 모듈이 내부에 구비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와 스피커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향과 곡 또는 뇌파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핸디형 출력 장치 및,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핸디형 출력 장치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저장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Health care system using incense and brain wave sound output device}
본 발명은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향과 뇌파음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평상시나 운동 또는 수면하는 등의 상황에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집중력 향상,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는 사람의 활동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뇌파, 즉 알파파, 베타파, 세타파, 델타파, 감마파로 구분할 수 있는 뇌파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동일한 주파수의 뇌파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뇌의 특성에 착안하여 13 내지 14Hz의 알파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보조용의 제품이나 0.5 내지 4Hz의 델타파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숙면에 들 수 있도록 하는 수면 보조용의 제품 등이 상용화된 바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목적으로도 뇌파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1199호의 “뇌파유도 음향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138호의 “뇌파 유도 장치”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즉,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1199호의 “뇌파유도 음향장치”에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뇌파 유도음향을 출력함에 있어 그 뇌파 유도음향과 동일한 배음 구조와 파형 구조로 변조된 PCM 음향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뇌파 자극의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138호의 “뇌파 유도 장치”에는 바이노럴 비트의 주파수 음원을 모노톤 전자음이 없는 18,000Hz 근방의 주파수로 제작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생활을 하면서도 방해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선행 발명들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뿐만 아니라 불면증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발명들은 사용자의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그리고 불면증 개선 등을 위한 수단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단독 기능의 장치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는 다소 맞지 않는 아쉬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도 제한적으로만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기존의 제품이나 발명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그리고 불면증 개선 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운동 또는 수면하는 등의 상황에 맞춤형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장치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1199호(2011. 09. 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1138호(2012. 09. 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 발명들이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그리고 불면증 개선 등을 위한 수단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단독 기능의 장치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는 다소 맞지 않는 아쉬움이 발생하고 있고, 그에 따른 효과도 제한적으로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발향을 위한 디퓨저 모듈이 내부에 구비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와 스피커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향과 곡 또는 뇌파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핸디형 출력 장치; 및,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저장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생성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고,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 방법과 맨손으로 실시하는 운동 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공된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추가로 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핸디형 출력 장치는 발향을 위한 방향제,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와 스피커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향과 곡 또는 뇌파음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 등의 효과가 기존의 제품이나 발명들에 비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되어 핸디형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와 그 스마트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운동 방법과 피드백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운동 또는 수면하는 등의 상황에 맞춤형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핸디형 출력 장치에 디퓨저 모듈을 삽입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핸디형 출력 장치의 음향 출력을 위한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도.
도 6a는 스마트 장치의 화면에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b는 사용자에 의한 운동기구의 선택이 발생한 상태에서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발향을 위한 디퓨저 모듈(120)이 내부에 구비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130)와 스피커(140)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향과 곡 또는 뇌파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핸디형 출력 장치(100); 및,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저장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장치(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향과 곡 그리고 뇌파음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향과 음향 출력 겸용의 장치이다.
즉,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발향을 위한 디퓨저 모듈(120)이 외부와 연통되는 형태로 내부에 구비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130)와 스피커(140)가 내부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발향과 함께 곡 또는 뇌파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단독으로 작동하여 발향과 함께 기저장된 곡 또는 뇌파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된 외부 장치, 즉 스마트 장치(200)에 의해 제어되며 새로운 곡 또는 뇌파음을 전송받아 즉시 출력하거나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에는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130)와 스피커(140)에 더하여 외부 장치와의 유선 연결을 위한 외부 포트가 구비되어야 하며, 추가로 외부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도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가 외출한 상태에서도 한 손으로 간편하게 들고 이용하거나 목에 걸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전체의 크기와 외형이 휴대성의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며, 이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손목이나 목에 걸 수 있는 스트랩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 등의 구조가 외부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디퓨저 모듈(120)이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111)가 형성되는 전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편인 후단면에 충전용 포트(미도시)가 구비되며, 상단면에는 상기 삽입구(111)와 연결되는 다수의 발향구(112)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113)이 각각 형성되거나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작동 버튼(114)이 구비되며, 하단면 또는 타측면에는 다수의 음향 출력구(미도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인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하우징(110)은 핸디형 출력 장치(100)의 외형을 구성하며, 사용자가 한 손에 간편하게 들 수 있도록 길이가 15cm 이하로 형성되고 두께는 1cm 정도로 형성되는 소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상의 편의 향상을 도모하고, 외부 물체와의 충돌이나 바닥으로 낙하한 상황에서의 충격 완화 등을 위해 전체 또는 일부의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상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121)와 그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방향제(12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하우징(110)에의 탈부착과 방향제(122)의 교환이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디퓨저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디퓨저 모듈(120)은 핸디형 출력 장치(100)에서의 발향을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물이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110)에의 설치와 분리가 간단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퓨저 모듈(120)을 구성하는 방향제(122)는 고체형 방향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체형 방향제로만 종류가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액상형이 이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방향제(122)는 심신안정과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에 모두 효과적인 레몬그라스 향 또는 라벤더 향을 발향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로즈메리 향, 식탐 완화에 효과적인 사과 향, 통증 완화에 효과적인 페퍼민트 향 등을 발향할 수 있는 것이 대신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타측면에는 추가의 디퓨저 모듈(120)이 삽입 설치되거나 여분의 방향제(122)가 밀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삽입구가 삽입구(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다른 방향제(122)로의 교체가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디퓨저 모듈(120)은 방향제(122)가 설치된 방향이 하우징(110)의 발향구(112)를 향하도록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 설치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외부로 발향되게 하거나 발향이 제한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디퓨저 모듈(120)의 말단에는 방향제가 설치된 방향을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표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여러 종류의 곡과 뇌파음이 저장된 상태로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작동 버튼(114)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곡 또는 뇌파음이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게 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음향 재생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에 음향 출력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상태로 음향 재생부(130)와 연계하여 곡 또는 뇌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음향 재생부(130)와 상기 스피커(140)는 핸디형 출력 장치(100)에서의 음향 출력을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물이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구비된 다수의 작동 버튼(114)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거나 스마트 장치(200)에 의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사용자가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하여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거나 출력을 위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음향 데이터 전송용의 장치이다.
이때,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곡 또는 뇌파음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곡 또는 뇌파음의 입력이나 수집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데이터의 입력, 검색, 다운로드 그리고 전송이 모두 가능하고 휴대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휴대성이 뛰어난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인터넷에 공개된 사용자용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실행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함으로써 곡 또는 뇌파음을 자료실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운로드 완료된 곡 또는 뇌파음을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저장되게 할 수 있고, 출력이 일시 정지되게 하거나 다시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다른 곡이나 뇌파음으로 스킵(skip)되게 하거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기설정된 시각에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와의 무선 연결을 자동으로 시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면질 개선을 위한 뇌파음이 스피커(140)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기능, 즉 수면질 개선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용 앱(App)을 실행하여 수면질 개선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수면질 개선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각과 유지되는 시간을 확인하거나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각을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와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주변에 두고 취침함으로써 기설정된 시각에 핸디형 출력 장치(100)에 대한 스마트 장치(200)의 자동으로의 제어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기설정된 시각과 그에 따른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수면질 개선을 위한 뇌파음이 최대 출력의 40 내지 60%의 범위에서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용 앱(App)을 이용하여 핸디형 출력 장치(100)의 출력 음량을 확인만하거나 확인 후 최대 출력의 4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생성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고,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 방법과 맨손으로 실시하는 운동 방법을 제공하며, 제공된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의 구성과 연계하여,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운동 방법을 캐릭터가 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사용자에게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서버 장치이며, 사용자에게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그 온라인 공간에 구현되는 캐릭터를 제공하고,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입력이나 영상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장치(200)에 설치된 사용자용 앱을 이용하여 회원 가입하는 과정이나 회원 가입후에 헬스 케어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추가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며, 부가적으로는 자신의 얼굴 사진을 업로드함으로써 관리 서버(300)에 의한 사용자 캐릭터의 생성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생성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고, 일정 기간동안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반영하여 캐릭터의 전체 또는 부위별 형상을 변화시키는 그래픽 생성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는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하는 과정이나 회원 가입후에 입력한 사용자 자신의 나이와 신체 스펙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실제 체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체형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업로드한 얼굴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그 캐릭터의 얼굴을 사용자의 얼굴과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신체 스펙 정보의 입력이나 얼굴 사진의 업로드가 강제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는 신체 스펙 등을 임의로 입력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실제 체형이나 얼굴과는 관련 없는 가상의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시된 보기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얼굴형, 이목구비, 헤어스타일과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캐릭터가 착용할 의류의 종류와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는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다수의 운동기구가 설치된 헬스장 형태의 가상의 온라인 공간을 기본으로 제공하되, 제공된 가상의 온라인 공간을 사용자가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 선택을 기반으로 하여 가상의 온라인 공간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화면에는 그래픽 생성부(310)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함께 사용자의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캐릭터는 화면 터치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캐릭터의 제어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위한 것이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과 운동횟수 등의 부가 선택이 발생하게 되면, 선택된 운동기구를 이용한 캐릭터의 운동 동작이 자세한 설명과 함께 그래픽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에 구비된 다수의 운동기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대신 매트를 선택하는 방식 등의 임의의 방식으로 맨손 운동을 선택할 수 있고, 제시된 보기를 이용하여 맨손의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맨손 운동을 위한 캐릭터의 운동 동작이 자세한 설명과 함께 그래픽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그래픽 생성부(310)와 연계하여 운동 방법과 캐릭터의 운동 동작을 설명과 함께 제공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기반으로 피드백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의 운동 동작과 자세한 설명을 확인한 사용자는 실제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거나 맨손으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상기 정보 제공부(320)에 의해 제공되는 캐릭터의 운동 동작과 그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도록 전체 설정하거나 각 운동기구마다 개별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설명을 언제든지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의 운동 동작을 보며 단순히 기구 운동 또는 맨손 운동만을 실시할 수 있으나, 스마트 장치(2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 동작이 영상으로 실시간 촬영되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운동을 위한 피드백이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기반으로 그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분석하고, 분석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측정하는 분석부(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상기 정보 제공부(320)는 분석부(330)에 분석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기반으로 피드백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스마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동작을 영상으로 실시간 촬영할 때에는 사용자의 실제 운동 동작이 표시되는 화면과 캐릭터의 운동 동작이 표시되는 화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2분할 화면이 그 스마트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캐릭터의 운동 동작을 확인하고 그대로 운동 동작을 실시하거나 캐릭터의 운동 동작에 맞추어 함께 운동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정보 제공부(320)는 분석부(330)가 생성한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그 사용자가 자신의 잘못된 운동 동작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공되는 피드백의 종류에는 영상을 통한 피드백과 함께 음성을 통한 피드백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330)는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피드백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피드백에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피드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과도한 운동량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의 피드백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분석부(33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측정된 운동량을 기반으로 하여 각 부위별로 과도한 운동량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제공부(320)는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한 피드백과 함께 사용자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피드백을 생성하거나 사용자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피드백을 단독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신체의 부상이나 근손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사용자의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후에도 동일한 부위에 대한 운동이 계속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알람음 또는 안내 멘트의 출력과 함께 촬영을 자동으로 종료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신체의 부상이나 근손실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 서버(300)는 집중력 강화 또는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핸디형 출력 장치(100) 또는 스마트 장치(200)에서 출력되게 하는 음향 제공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음향 제공부(3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기구의 선택이 발생할 때 선택된 운동기구와 매칭된 상태인 다수의 곡 또는 뇌파음 중 어느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스마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곡 또는 뇌파음은 그 스마트 장치(200)에서 출력되거나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다시 전송되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 향상이나 신체 기능 향상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운동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가상의 온라인 공간에서 구현되는 캐릭터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분석부(330)에 의해 일정 기간동안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반영하여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에 의한 캐릭터의 전체 또는 부위별 형상의 변화가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당량의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자신이 생성한 캐릭터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의 변화에는 일정 기간동안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의 종류와 각 부위별 운동량이 반영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가슴 부위에 자극이 집중되는 운동 영상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그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받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생성한 캐릭터의 형상이 가슴 부위가 발달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장치(200)를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 영상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그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받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생성한 캐릭터의 형상이 체중이 감소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석부(330)는 사용자의 현재 나이와 키와 몸무게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일일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는 캐릭터의 형상을 변형함에 있어 일일 칼로리 소모량을 반영함으로써 서로 다른 사용자가 항상 동일하게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도 각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릭터 형상의 변화는 일정 기간동안 사용자가 실시한 운동의 종류와 각 부위별 운동량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발생하는 것이므로,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캐릭터의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반대로 운동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다시 캐릭터의 형상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꾸준한 운동의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는 캐릭터의 형상을 변형함에 있어 하루동안 측정되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고려하여 계산된 일일 칼로리 소모량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사용자의 걸음수의 측정은 스마트 장치(200)를 통해 하루를 주기로 하여 실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걸음수를 측정하는 기능은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핸디형 출력 장치
→ 110 : 하우징 → 111 : 삽입구
→ 112 : 발향구
→ 113 : 표시등
→ 114 : 작동 버튼
→ 120 : 디퓨저 모듈 → 121 : 케이스
→ 122 : 방향제
→ 130 : 음향 재생부
→ 140 : 스피커
200 : 스마트 장치
300 : 관리 서버
→ 310 : 그래픽 생성부
→ 320 : 정보 제공부
→ 330 : 분석부
→ 340 : 음향 제공부

Claims (5)

  1. 발향을 위한 디퓨저 모듈(120)이 내부에 구비되고, 음향 출력을 위한 음향 재생부(130)와 스피커(140)가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향과 곡 또는 뇌파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핸디형 출력 장치(100); 및,
    사용자용 앱(App)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로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즉시 출력되게 하거나 저장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장치(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디퓨저 모듈(120)이 삽입 설치되는 삽입구(111)가 형성되는 전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편인 후단면에 충전용 포트가 구비되며, 상단면에는 상기 삽입구(111)와 연결되는 다수의 발향구(112)와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113)이 각각 형성되거나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작동 버튼(114)이 구비되며, 하단면 또는 타측면에는 다수의 음향 출력구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인 하우징(110);
    상단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삽입구(111)에 삽입 설치되는 케이스(121)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 설치되는 방향제(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퓨저 모듈(120);
    심신안정, 스트레스 완화, 수면유도 또는 수면질 개선을 위한 여러 종류의 곡과 뇌파음이 저장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작동 버튼(114)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곡 또는 뇌파음이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게 하거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140)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음향 재생부(130);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에 음향 출력구와 인접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음향 재생부(130)와 연계하여 곡 또는 뇌파음을 출력하는 스피커(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기설정된 시각에 상기 핸디형 출력 장치(100)와의 무선 연결을 자동으로 시도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면질 개선을 위한 뇌파음이 스피커(140)로 출력되게 제어하고,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생성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고,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 방법과 맨손으로 실시하는 운동 방법을 제공하며, 제공된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화면을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가 운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된 운동 방법을 캐릭터가 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운동 방법에 의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촬영하여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다시 관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퓨저 모듈(120)은 방향제(122)가 설치된 방향이 하우징(110)의 발향구(112)를 향하도록 하우징(110)의 삽입구(111)에 삽입 설치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 장치(200)는 기설정된 시각과 그에 따른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수면질 개선을 위한 뇌파음이 최대 출력의 40 내지 60%의 범위에서 출력되게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용 앱(App)을 이용하여 핸디형 상기 출력 장치(100)의 출력 음량을 확인만하거나 확인 후 최대 출력의 4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설정을 변경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300)는,
    가상의 온라인 공간과 캐릭터를 생성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제공하고, 일정 기간동안 측정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반영하여 캐릭터의 전체 또는 부위별 형상을 변화시키는 그래픽 생성부(310);
    상기 그래픽 생성부(310)와 연계하여 운동 방법과 캐릭터의 운동 동작을 설명과 함께 제공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기반으로 피드백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320);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기반으로 그 사용자의 운동 동작을 분석하고, 분석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운동량을 측정하는 분석부(330); 및,
    집중력 강화 또는 신체 기능 향상을 위한 곡 또는 뇌파음을 상기 스마트 장치(200)로 데이터의 형태로 전송하여 핸디형 출력 장치(100) 또는 스마트 장치(200)에서 출력되게 하는 음향 제공부(3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220134202A 2022-10-18 2022-10-18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Active KR10254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02A KR102541484B1 (ko) 2022-10-18 2022-10-18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202A KR102541484B1 (ko) 2022-10-18 2022-10-18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484B1 true KR102541484B1 (ko) 2023-06-14

Family

ID=86744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202A Active KR102541484B1 (ko) 2022-10-18 2022-10-18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706A (ko) * 2009-12-08 2011-06-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1071199B1 (ko) 2008-12-22 2011-10-12 (주)에쓰앤아이 뇌파유도 음향장치
KR101181138B1 (ko) 2012-06-15 2012-09-14 (주)다보산업 뇌파 유도 장치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60143096A (ko) * 2015-06-04 2016-12-14 임영현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KR102306509B1 (ko) * 2020-06-26 2021-09-30 주식회사 이엠텍 수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
KR102450736B1 (ko) * 2021-11-03 2022-10-05 이영규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셀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199B1 (ko) 2008-12-22 2011-10-12 (주)에쓰앤아이 뇌파유도 음향장치
KR20110064706A (ko) * 2009-12-08 2011-06-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발생장치 및 발생방법
KR101181138B1 (ko) 2012-06-15 2012-09-14 (주)다보산업 뇌파 유도 장치
KR20140015678A (ko) * 2012-07-06 2014-02-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피드백을 이용한 맞춤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20160143096A (ko) * 2015-06-04 2016-12-14 임영현 수면 유도 및 휴식을 위한 목베개 및 그것을 이용한 뇌파 유도 신호 출력 방법
KR102306509B1 (ko) * 2020-06-26 2021-09-30 주식회사 이엠텍 수면 관리 기능을 구비한 음향 변환 장치
KR102450736B1 (ko) * 2021-11-03 2022-10-05 이영규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셀프 트레이닝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554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サーバ、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02065759B (zh) 用于压力和放松管理的系统及成套仪器
US8321006B1 (en) Biometric data display system and method
US9779751B2 (en) Respiratory biofeedbac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7063665B2 (en) Health care system
US20190254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nsory stimulation to a user based on a sleep architecture model
US200802149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hysiological and Psycho-Physiological Monitoring and Uses Thereof
JP2004513669A (ja) 集積カロリー管理システム
CN101969841A (zh) 修改对象的心理生理状态
JP2004538066A (ja) 健康及び壮健状態をモニターする装置
WO20020014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psychophysiological data
TWI373323B (ko)
JP6285002B1 (ja) 顎関節症等歯科疾患治療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0061034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19150546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マインドフルネス支援装置
CN116868277A (zh) 基于受试者实时生物传感器信号的情绪调节方法和系统
JP5991872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215722A (ja) ウォーキング・エクササイザー
US20210020069A1 (en) Touch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2541484B1 (ko) 향과 뇌파음의 출력 장치를 이용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JP2005074107A (ja) 生活管理システム
JP2004537343A (ja) 個人情報配信システム
US20170140662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for youth and developmentally disabled
WO2025105227A1 (ja) サービス出力システム
CN114333435A (zh) 训练系统和训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