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943B1 -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8943B1 KR102538943B1 KR1020210154125A KR20210154125A KR102538943B1 KR 102538943 B1 KR102538943 B1 KR 102538943B1 KR 1020210154125 A KR1020210154125 A KR 1020210154125A KR 20210154125 A KR20210154125 A KR 20210154125A KR 102538943 B1 KR102538943 B1 KR 102538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layer
- semiconductor layer
- light emitting
- for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0407 epitax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JMASRVWKEDWRBT-UHFFFAOYSA-N Gall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Ga]#N JMASRVWKEDWRB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29910002601 Ga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29910052594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0980 sapphi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6911 nucle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12868 Overgrowth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RNQKDQAVIXDKAG-UHFFFAOYSA-N aluminum gallium Chemical compound [Al].[Ga] RNQKDQAVIXDKA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AJGDITRVXRPLBY-UHFFFAOYSA-N aluminum indium Chemical compound [Al].[In] AJGDITRVXRPLB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group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PIGFYZPCRLYGLF-UHFFFAOYSA-N Aluminum nitride Chemical compound [Al]#N PIGFYZPCRLYGL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NWAIGJYBQQYSPW-UHFFFAOYSA-N azanylidyneindigane Chemical compound [In]#N NWAIGJYBQQYSP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JBRZTFJDHDCESZ-UHFFFAOYSA-N AsGa Chemical compound [As]#[Ga] JBRZTFJDHDCES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5543 GaS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PXJNWSHGFTCBW-UHFFFAOYSA-N Indium phosphide Chemical compound [In]#P GPXJNWSHGFTCB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h-B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QHASIAZYSXZCGO-UHFFFAOYSA-N selanylidenenickel Chemical compound [Se]=[Ni] QHASIAZYSXZCG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596 spin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029 spin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248 hydride vapour-phase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20 plasma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29 chemical vapou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ZNSFCLAULLKQX-UHFFFAOYSA-N Bor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B PZNSFCLAULLK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78 Iron(I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9 carrier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MHQVHHXPFUNSP-UHFFFAOYSA-M copper(1+);methylsulfanylmethane;bromide Chemical compound Br[Cu].CSC PMHQVHHXPFUNSP-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18 dip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616 inductively coupled plasm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82 B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05 SiNX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GGLLRJQCZROSE-UHFFFAOYSA-K ammonium iron(iii) sulfate Chemical compound [NH4+].[Fe+3].[O-]S([O-])(=O)=O.[O-]S([O-])(=O)=O XGGLLRJQCZROSE-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BANFLSTOJPTFW-UHFFFAOYSA-N azane;boron Chemical compound [B].N JBANFLSTOJPT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99 exfoli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UTXIHLAWFEWGM-UHFFFAOYSA-H iron(3+) sulfate Chemical compound [Fe+3].[Fe+3].[O-]S([O-])(=O)=O.[O-]S([O-])(=O)=O.[O-]S([O-])(=O)=O RUTXIHLAWFEWGM-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NPFOYSMITVOQOS-UHFFFAOYSA-K iron(III) citrate Chemical compound [Fe+3].[O-]C(=O)CC(O)(CC([O-])=O)C([O-])=O NPFOYSMITVOQOS-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0 iron(I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65 me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51 molecular beam epitax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L33/007—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 H01L33/16—
-
- H01L33/32—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7—Bodies characterised by the crystal structures or orientations,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22—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 H10H20/824—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 H10H20/825—Materials of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e.g. GaP containing nitrogen, e.g. GaN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 에피택시(Thru-Hole Epitaxy)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질 절연층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을 지지체(support)를 이용하여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정질 절연층이 형성된 성장 기판 상에 다층의 2차원 물질층을 포함하여도 반도체층이 기판의 결정성을 따라 성장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박리가 가능한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렉서블(flexible) 및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변형이 자유로운 소재 제조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기물 반도체 기반 소자는 장수명, 높은 효율 및 성능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의 장시간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자에 응용이 될 경우 유기물 기반 플렉서블 소자 보다 활용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다.
플렉서블 전자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배열의 소자를 제조 하고 이를 대량으로 전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박막형태의 무기물 반도체는 강한 공유결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딱딱한 무기물 기판 상에 제조되기 때문에 변형이 자유롭지 못하고, 제조한 소자의 대면적 박리(exfoliation) 및 전사가 어려워 여전히 플렉서블 소자 응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존에 알려진 박막성장방법에 의하면 결정성 기판 상에 한, 두 층의 2차원 물질인 그래핀(graphene)이나 질화붕소(h-BN)를 전사한 후, 박막을 성장시킴으로써, 기판의 결정성을 따라 성장시키는 동시에 쉽게 박리가 가능한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는 전사되는 2차원 물질의 층 수가 특정한 값 보다 작아야 하며, 매우 양질의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엄밀한 제약 조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약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나노 사이즈의 미세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사용하여 2차원 물질층의 층 수에 제한없이 성장 기판 상에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수 있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정질 절연층이 형성된 성장 기판 상에 다층의 2차원 물질층을 전사한 다음, 반도체층을 성장시킴으로써, 성장 기판의 결정성을 따라 성장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박리가 가능한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절연층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을 지지체(support)를 이용하여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한다.
상기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은 상기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기 위한 핵 생성 지점으로 사용되어, 상기 반도체층이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epitaxial lateral overgrowth)되어 상기 성장 기판과 결정학적으로 정렬(crystallographically align)될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은 상기 2차원 물질층의 전면에 컨포멀(conformal)하기 성장되거나, 상기 2차원 물질층의 핵 생성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로 패턴으로 성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각 층에 형성된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의 크기는 1 nm 내지 50 nm 일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장 기판 상에 비정질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질 절연막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정질 절연층의 두께는 5 nm 내지 1000nm 일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은 2층 내지 100층일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 기판은 사파이어(sapphire), 갈륨 비소(GaAs; gallium arsenide), 스피넬(spinel), 실리콘(Si; silicon), 인화 인듐(InP; indium phosphide) 및 실리콘 카바이드(SiC; silicon carb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원 물질층은 그래핀(graphene), h-BN, MoS2, WS22, WSe2, MoTe2, WTe2, ZrS2, ZrSe2, NbS2, TaS2, TiS2, NiSe2, GaSe, GaTe, InSe 및 Bi2Se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층은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인듐 질화물(InN; indium nitride), 알루미늄 질화물(AlN; alumin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절연층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패턴 상단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 패턴 하단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은 상기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기 위한 핵 생성 지점으로 사용되어,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이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epitaxial lateral overgrowth)되어 상기 성장 기판과 결정학적으로 정렬(crystallographically align)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각 층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의 크기는 1 nm 내지 50 nm 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노 사이즈의 미세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을 사용하여 2차원 물질층의 층 수에 제한없이 성장 기판 상에 반도체층을 성장시킬 수 있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질 절연층이 형성된 성장 기판 상에 다층의 2차원 물질층을 전사한 다음, 반도체층을 성장시킴으로써, 성장 기판의 결정성을 따라 성장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박리가 가능한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단층의 2차원 물질층을 이용한 단층 전사 공정 및 2차원 물질층 구조물을 이용한 다층 전사 공정을 통해 전사된 2차원 물질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을 도시한 SEI(secondary electron image) 측정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θ-2θ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φ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의 고해상도 단면 TEM 측정 이미지이다.
도 2a 및 도 2b는 단층의 2차원 물질층을 이용한 단층 전사 공정 및 2차원 물질층 구조물을 이용한 다층 전사 공정을 통해 전사된 2차원 물질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을 도시한 SEI(secondary electron image) 측정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θ-2θ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φ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의 고해상도 단면 TEM 측정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성장 기판(111)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121)을 형성하는 단계(S110), 비정질 절연층(121) 상에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120), 2차원 물질층(130)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140)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S130) 및 반도체층(140)을 지지체(support)를 이용하여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 112)에 전사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비정질 절연층(121)이 형성된 성장 기판(111) 상에 다층의 2차원 물질층(130)을 전사한 다음, 반도체층(140)을 성장시킴으로써, 성장 기판(111)의 결정성을 따라 성장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박리가 가능하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성장 기판(111)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121)을 형성하는 단계(S110)를 진행한다.
성장 기판(111)은 단결정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기판(111)은 사파이어(sapphire), 갈륨 비소(GaAs; gallium arsenide), 스피넬(spinel), 실리콘(Si; silicon), 인화 인듐(InP; indium phosphide) 및 실리콘 카바이드(SiC; silicon carb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성장 기판(111)은 결정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장 기판(111)의 결정면이 c-plane (0001), a-plane (11-20), m-plane (1-100) 또는 r-plane (1-102)일 수 있다.
성장 기판(111)이 육방(Hexagonal) 결정 계(system)에 속하는 경우, 동일한 물질이더라도 결정 면이 c-plane, r-plane, m-plane, a-plane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성장 기판(111)이 입방(Cubic) 결정계에 속하는 경우, 동일한 물질이더라도 결정면이 [100], [111] 또는 [110]로 서로 다를 수 있다.
비정질 절연층(121)은 실리콘 산화물(SiO2; silicon oxide), 실리콘 질화물(SiNx; silicon nitride) 및 실리콘 산질화물(SiON; silicon oxy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절연층(121)은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물은 이미 반도체층(140)을 성장시키기 위한 성장 분위기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물질로 900℃이상의 고온 및 고압의 분위기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정질 절연층(121)으로 실리콘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반도체층(140)의 성장과정에서의 가스에 대한 내식각성이 충분히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비정질 절연층(121)의 두께는 5 nm 내지 1000nm 일 수 있으며, 비정질 절연층(121)의 두께가 5 nm 미만이면, 균일성(uniformity)이 나빠짐에 따라 성장 기판(111)이 노출되는 영역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고, 1000nm 를 초과하면, 제1 관통홀이 원활하게 생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성장 기판(111)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121)을 형성하는 단계는, 성장 기판(111) 상에 비정질 절연막(120)을 형성하는 단계(S111) 및 비정질 절연막(120)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성장 기판(111) 상에 비정질 절연막(120)을 형성하는 단계(S111)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정질 절연막(120)은 일반적으로 기판 상에 형성되는 자연 산화물층 상이한 것으로, 자연 산화물층은 고온에서 열분해되어 2차원 물질층(130)에 구멍(hole)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에서 사용되는 비정질 절연막(120)은 제1 관통홀을 포함하여 반도체층(140)의 박리성 및 결정성을 조절할 수 있다.
비정질 절연막(120)은 드랍-캐스팅(drop casting), 스핀 코팅(Spin-coating), 슬릿 다이 코팅(Slit dye coa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및 딥 코팅(dip coating)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후, 비정질 절연막(120)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S112)를 진행할 수 있다.
비정질 절연막(120)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비정질 절연막(120)에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방법은 산화제를 이용한 열적 분해 방법으로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121)를 형성할 수 있다.
산화제로는 염화철(iron(III) chloride), 황산철 (iron(III) sulfate), 구연산철 (iron(III) citrate) 및 황산암모늄철 (ammonium iron(III) sulf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화제를 이용한 열적 분해 방법은 산화제를 통해 반도체층(140)의 성장을 위한 예열 단계에서 제1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정질 절연막(120) 상에 산화제 용액을 도포하고 고온에서 어닐링(annealing)을 진행하면, 산화제가 비정질 절연막(120)을 열분해시켜 제1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절연막(120)으로 실리콘 산화물이 사용되는 경우, 실리콘 산화물에 염화철(iron(III) chloride)을 포함하는 산화제 용액을 도포하면, 반도체층(140)의 성장을 위한 예열 단계에서 가해지는 어닐링에 의해 Fe 방울(Fe droplet)이 비정질 절연막(120)의 Si를 열분해시켜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이 생성될 수 있다.
어닐링 온도는 반도체층(140)의 성장을 위한 예열 온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어닐링 온도는 1000℃일 수 있다.
따라서, 비정질 절연층(121)은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의 크기(너비)는 1 nm 내지 50 nm 일 수 있고, 제1 관통홀의 크기가 1 nm 미만이면 성장 기판(111)과의 결합을 통한 결정 방향성에 대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50 nm 를 초과하면, 지지체를 이용하여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반도체층(140)을 박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제1 관통홀은 성장 기판(111)과 반도체층(140)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통홀은 2차원 물질층(130)의 제2 관통홀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성장 기판(1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비정질 절연층(121) 상에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120)를 진행한다.
종래의 경우, 2차원 물질층(130)을 한, 두층 형성하기 때문에 2차원 물질층(130)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을 종래 대비 다층으로 형성함으로써, 층수에 대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수월성이 월등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130)은 전사 공정에 의해 성장 기판(1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원 물질층(130)은 반도체층(140)과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vdW) 힘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원 물질층(130)은 반 데르 발스 인력을 통해 반도체층(140)과 약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반도체층(140)으로부터 2차원 물질층(130)을 분리 시, 상부에 형성되는 층 또는 구조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성장 기판(111)을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층(140)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전사 공정은 단층의 2차원 물질층(130)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단층 전사 공정 및 적어도 2층 이상의 2차원 물질층(130)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30) 구조물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다층 전사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사 공정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단층의 2차원 물질층을 이용한 단층 전사 공정 및 2차원 물질층 구조물을 이용한 다층 전사 공정을 통해 전사된 2차원 물질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단층의 2차원 물질층(131, 132, 133)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단층 전사 공정의 경우, 각각의 2차원 물질층(130)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이 랜덤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2차원 물질층(131), 제2 2차원 물질층(132) 및 제3 2차원 물질층(133)에 형성된 제2 관통홀 중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2 관통홀(H1)에서 반도체층(140)이 성장될 수 있다.
반면, 제2 2차원 물질층(132)에 막힌 제1 2차원 물질층(131)의 제2 관통홀(H2)에서는 제1 2차원 물질층(131)의 상부에 형성된 제2 2차원 물질층(132)에 의해 반도체층(140)이 성장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적어도 2층 이상의 2차원 물질층(131, 132, 133)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 구조물(130-1, 130-2, 130-3)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다층 전사 공정의 경우, 2차원 물질층 구조물(130-1, 130-2, 130-3)에 포함된 제1 2차원 물질층(131), 제2 2차원 물질층(132) 및 제3 2차원 물질층(133)의 제2 관통홀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2차원 물질층(130) 구조물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은 랜덤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제1 2차원 물질층 구조물(130-1), 제2 2차원 물질층 구조물(130-2) 및 제3 2차원 물질층 구조물(103-3)에 형성된 제2 관통홀(H1, H2) 중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2 관통홀(H1)에서 반도체층(140)이 성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적어도 2층 이상의 2차원 물질층(131, 132, 133)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 구조물(130-1, 130-2, 130-3)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다층 전사 공정은 단층의 2차원 물질층(131, 132, 133)을 적어도 2회 이상 반복하여 전사하는 단층 전사 공정보다 전사 공정 횟수는 감소되지만, 2차원 물질층(130)의 층수는 증가되어, 2차원 물질층(130)의 두께가 증가(T1<T2)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2차원 물질층(130)은 그래핀(graphene), h-BN, MoS2, WS22, WSe2, MoTe2, WTe2, ZrS2, ZrSe2, NbS2, TaS2, TiS2, NiSe2, GaSe, GaTe, InSe 및 Bi2Se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홀은 2차원 물질층(130)에 자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결함인 핀 홀(pin hole)이거나, 인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을 인공적으로 형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지지 기판 상에 2차원 물질막을 성장시키는 단계, 성장된 2차원 물질막에 산화제를 이용하여 식각함으로써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30)을 성장 기판(111)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홀을 형성하는 방법은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제2 관통홀의 크기(너비)는 1 nm 내지 50 nm 일 수 있고, 제2 관통홀의 크기가 1 nm 미만이면 성장 기판(111)과의 결합을 통한 결정 방향성에 대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50 nm 를 초과하면, 지지체를 이용하여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반도체층(140)을 박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제2 관통홀의 크기에 따라 반도체층(140)의 박리성(detachability)이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관통홀의 크기가 감소되면 성장 기판(111)과 반도체층(14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영역(H1에 대응)이 줄어들어 박리성이 증가될 수 있으나, 제2 관통홀의 크기가 증가되면 성장 기판(111)과 반도체층(14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영역(H1에 대응)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가됨으로써 박리성이 감소될 수 있다.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130)은 각 층에 형성된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성장 기판(111)을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은 반도체층(140)을 성장시키기 위한 핵 생성 지점(H1)으로 사용되어, 반도체층(140)이 제2 관통홀을 통해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epitaxial lateral overgrowth)되어 성장 기판(111)과 결정학적으로 정렬(crystallographically align)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나노 사이즈의 미세한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2차원 물질층(130)을 사용하여 2차원 물질층(130)의 층 수에 제한없이 성장 기판(111) 상에 반도체층(140)을 성장시킬 수 있다.
2차원 물질층(130)은 2층 내지 100층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차원 물질층(130)은 2층 내지 40층일 수 있다. 만약, 2차원 물질층(130)이 2층 미만이면 성장 기판(111)과의 결합을 통한 결정 방향성에 대한 정보가 잘 전달되지만,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반도체층(140)을 박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100층을 초과하면,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반도체층(140)의 박리가 잘 되지만 성장 기판(111)과의 결합을 통한 결정 방향성에 대한 정보가 잘 전달되지 않아, 단결정이 아닌 다결정(polycrystalline) 형태로 성장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 2차원 물질층(130)의 층수 제한은 개별 2차원 물질에 제2 관통홀이 얼마나 많이 존재하느냐(제2 관통홀의 개수 밀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기에, 양질의 2차원 물질이라면 2층만 적층하여도 제2 관통홀이 모두 막히면서 관통홀 에피택시(thru-hole epitaxy)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나, 2차원 물질층(130)에 제2 관통홀이 충분히 많으면 100층에서도 관통홀 에피택시(thru-hole epitaxy)가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의 층수에 따라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차원 물질층(130)의 층수가 증가될수록 각각의 2차원 물질층(130)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제2 관통홀(H1)의 개수 밀도가 감소되어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의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에 따라 반도체층(140)의 박리성이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가 감소되면 성장 기판(111)과 반도체층(14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영역(H1에 대응)이 줄어들어 박리성이 증가될 수 있으나,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가 증가되면 성장 기판(111)과 반도체층(140)이 직접적으로 접하는 영역(H1에 대응)이 증가되어 결합력이 증가되어 박리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의 층수 또는 2차원 물질층(130)의 핵 형성 지점(H1에 대응)의 개수 밀도에 따라, 반도체층(140)의 박리성 및 성장 기판(111)과의 결합을 통한 결정 방향성에 대한 정보 전달로 인해 결정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140)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S130)을 진행한다.
반도체층(140)은 성장 기판(111)과 에피택시(Epitaxy) 관계를 가지고, 이에 따라, 동일한 면내 방향(in-plane orientation) 및 성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140)은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방법으로 성장될 수 있다.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는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2차원 물질층(130) 상부의 측면 방향으로도 반도체층(140)이 성장될 수 있다.
먼저, 반도체층(140)이 2차원 물질층(130)의 제1 관통홀을 통하여 수직 성장된다. 이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2차원 물질층(130)의 제1 관통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반도체층(140)이 성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방향으로 성장되는 반도체층(140)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수직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병합되어 성장 기판(111) 및 2차원 물질층(130) 상부 표면에 전체적으로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2차원 물질층(130)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140)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S130)에서,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140)은 2차원 물질층(130)의 전면에 컨포멀(conformal)하기 성장되거나, 2차원 물질층(130)의 핵 생성 지점(H1에 대응)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로 패턴(141)으로 성장될 수 있다.
즉, 반도체층(140)은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방법에 의해 2차원 물질층(130) 상부의 측면 방향으로도 반도체층(140)이 성장되는데, 이때, 성장 공정 조건에 따라, 수직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측면 방향으로 성장되어 병합되어 성장 기판(111) 및 2차원 물질층(130) 상부 표면에 전체적으로 컨포멀하게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형성되거나, 수직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측면 방향으로 성장되기는 하나 성장된 반도체층(140)이 병합되지는 않고, 자체적으로 마이크로 패턴(141) 반도체층이 성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마이크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 없이 단일 관통홀 에피택시 공정을 통해 손쉽게 마이크로 패턴의 반도체층(141)을 제조할 수 있다.
컨포멀하게 성장된 반도체층(140)과 마이크로 패턴으로 성장된 반도체층(141)은 구조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컨포멀하게 성장된 반도체층(14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반도체층(140)은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인듐 질화물(InN; indium nitride), 알루미늄 질화물(AlN; alumin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40)은 유기금속화학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및 수소화물 기상증착법(hydride vapor phase epitaxy: HVP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반도체층(140)은 유기금속화하기상증착법(MOCVD)에 의해 성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2차원 물질층(130)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S130)는, 반도체층(14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각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사용되는 식각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각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건식 식각 방법으로 식각될 수 있고, 건식 식각 방법은 RIE(Reactive Ion Etching),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및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반도체층(140)을 지지체(support)를 이용하여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 112)에 전사하는 단계(S140)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지지체는 열 박리 테이프(thermal release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성장된 반도체층(140)과 성장 기판(111) 사이에 비정질 절연층(120) 및 2차원 물질층(130)을 포함하기 때문에, 지지체를 이용하여 손쉽게 분리되어 타겟 기판(112)에 전사될 수 있다.
종래에는,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반도체층(140)을 분리하기 위해 주로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 Laser Lift Off) 방식 또는 화학적 리프트 오프(CLO; Chemical Lift Off)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 Laser Lift Off) 방식은 레이저로 기판과 후막 사이 계면을 녹여서 분리하는 기술로 분리 과정에서 결함 발생율이 높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화학적 리프트 오프(CLO; Chemical Lift Off) 방식은 비교적 저렴하고 분리 과정에서 추가적인 결함 발생률이 낮으나, 화학적으로 식각 가능한 희생층(sacrificial layer)이 필요하기 때문에, 희생층 상에 성장된 질화 갈륨의 결정성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2차원 물질층(130)과 성장 기판(111) 사이에 약한 정전기적 인력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2차원 물질층(130)의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2차원 물질층(130)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층(140)을 손상없이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깨끗하게 박리할 수 있다. 이때, 2차원 물질층(130)은 반도체층(140)을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희생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층(140)의 박리 후 성장 기판(111)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에피택시 반도체 구조물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은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120) 및 2차원 물질층(130)을 이용하여 추가 희생층 필요 없이 반도체층(140)을 성장 기판(111)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성장 기판(111) 제거 공정으로 인한 반도체층(140), 더 나아가 발광 소자의 손상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반도체층(140)의 특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기에,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성장 기판(211)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220)을 형성하는 단계(S210) 및 비정질 절연층(220)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230)을 형성하는 단계(S220)를 진행한다.
단계 S210 및 S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의 단계 S110 및 단계 S120과 동일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230)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241)을 형성하는 단계(S230)를 진행한다.
단계 S230에서, 적어도 한 층의 발광 구조물 패턴(241)은 2차원 물질층(230)의 전면에 컨포멀(conformal)하기 성장되거나, 2차원 물질층(230)의 핵 생성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발광 구조물 패턴(241)으로 성장될 수 있다.
n-type 반도체층은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방법으로 성장될 수 있다.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는 성장 기판(211)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2차원 물질층(230) 상부의 측면 방향으로도 n-type 반도체층이 성장될 수 있다.
n-type 반도체층이 2차원 물질층(230)의 제2 관통홀을 통하여 수직 성장된다. 이후, 성장의 마지막 단계에서, 2차원 물질층(230)의 제2 관통홀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n-type 반도체층이 성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방향으로 성장되는 n-type 반도체층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수직 성장된 n-type 반도체층이 병합되어 성장 기판(211) 및 2차원 물질층(230) 상부 표면에 전체적으로 성장된 n-type 반도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n-type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240)이 형성될 수 있다.
2차원 물질층(230) 상부 표면에 전체적으로 발광 구조물(240)이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230)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241)을 형성하는 단계(S231)는,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230)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240)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240)을 형성하는 단계(S231) 및 발광 구조물(24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241)을 형성하는 단계(S232)를 포함할 수 있다.
n-type 반도체층은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이 사용될 수 있다.
활성층은 에너지 밴드 갭이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양자우물(quantum well) 및 에너지 밴드 갭이 큰 물질을 사용하는 양자 배리어(quantum barrier)이 적어도 1회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양자우물은 단일 양자우물(single quantum well) 구조 또는 다중 양자우물(MQW; multi-quantum w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자우물로는 인듐 갈륨 질화물(InGaN)이 사용될 수 있고, 양자 배리어로는 질화 갈륨(GaN)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층은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p-type 반도체층은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인듐 질화물(InN; indium nitride), 알루미늄 질화물(AlN; alumin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이 사용될 수 있다.
식각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 사용되는 식각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식각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건식 식각 방법으로 식각될 수 있고, 건식 식각 방법은 RIE(Reactive Ion Etching), ECR(Electron Cyclotron Resonance) 및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마이크로 크기를 갖는 발광 구조물 패턴(241)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발광 구조물 패턴(241) 상단에 제1 전극(250)을 형성하는 단계(S240)를 진행한다.
제1 전극(250)은 p-형 전극일 수 있으며, 제1 전극(250)은 백금(Pt), 팔라듐(Pd), 알루미늄(Al), 금(Au), 은(Ag), 니켈/금(Ni/Au), 티타늄/알루미늄(Ti/Al),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아연 산화물(ZnO)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전극(250)은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2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열 증착(thermal evaporator) 방법, 전자 빔 증착(E-beam evaporator) 방법, 스퍼터링(RF or DC sputter) 방법 또는 다양한 전극 형성 방법을 통하여 형성된 제1 전극(250)을 발광 구조물 패턴(240)에 부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은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2차원 물질층(230)이 발광 구조물 패턴(240)과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vdW) 힘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손쉽게 성장 기판(211)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2차원 물질층(230)은 반 데르 발스 인력을 통해 발광 구조물 패턴(240)과 약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발광 구조물 패턴(240)으로부터 성장 기판(211)을 분리 시, 상부에 형성되는 층 또는 구조물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성장 기판(211)을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발광 소자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지지체를 이용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240)을 제1 전극(250)에 전사하거나, 성장 기판(211)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물 패턴(240) 상단에 제1 전극(250)을 형성한 다음, 성장 기판(211)을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발광 구조물 패턴(241)의 하단에 제2 전극(260)에 전사하는 단계(S250)를 진행한다.
발광 구조물 패턴(240)의 하단에, 즉, 제1 전극(250)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제2 전극(260)을 부착시킨다.
제2 전극(260)은 n-형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260)은 백금(Pt), 팔라듐(Pd), 알루미늄(Al), 금(Au), 은(Ag), 니켈/금(Ni/Au), 티타늄/알루미늄(Ti/Al),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아연 산화물(ZnO)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극(260)은 열 증착(thermal evaporator) 방법, 전자 빔 증착(E-beam evaporator) 방법, 스퍼터링(RF or DC sputter) 방법 또는 다양한 전극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260)은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2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열 증착(thermal evaporator) 방법, 전자 빔 증착(E-beam evaporator) 방법, 스퍼터링(RF or DC sputter) 방법 또는 다양한 전극 형성 방법을 통하여 형성된 제2 전극(260)을 발광 구조물 패턴(240)에 부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지 기판(도시하지 않음)은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는 제1 전극(250) 및 제2 전극(260)이 수직 구조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 전극(250) 및 제2 전극(2360)은 발광 소자(300)에 대하여 전류를 수직으로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의 발광 구조물 패턴(240)의 전면에 전극이 형성되면 램프(lamp)에 사용하기에 용이하고, 발광 구조물 패턴(240)의 각각에 전극이 형성되면 디스플레이(display)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는 무기물질기반의 플렉서블 & 투명 디스플레이 소자(flexible & transparent display)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는 마이크로 발광 소자(micro LE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발광 램프(luminescent lamp)를 대체할 수 있는 전반 조명(general lighting)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 소자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 현실에 사용되는 헤드셋 디스플레이(head set display)에 사용될 수 있다.
제조예
수소(50 sccm)와 아르곤(100 sccm)을 캐리어 가스로 사용하여 1000 ℃에서 화학 기상 증착(CVD)에 의해 Cu 호일 위에 다결정 h-BN 박막을 성장시켰다. Cu 호일을 2시간 어닐링한 후, 2시간 동안 전구체로 암모니아 보란(NH3BH3)을 사용하여 성장시켰다.
r-사파이어 기판 상에 SiO2를 형성한 다음, SiO2를 열적으로 분해하는 FeCl3를 사용하여 GaN 성장의 예열 단계에서 제1 관통홀을 형성하였다.
Cu 호일 상에 성장된 성장된 h-BN 상에 PMMA를 스핀 코팅한 다음, FeCl3로 식각한 다음, PMMA를 사용한 습식 전사 방법을 이용하여 r-사파이어/SiO2 상에 전사한 후, 탈이온수로 2번 세정하였다. 그 후, PMMA를 아세톤으로 제거하고, r-사파이어/SiO2/h-BN을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세척하는 단계를 수회 반복하였다.
r-사파이어/SiO2/h-BN 상에 HVPE(hydride vapor phase epitaxy)를 사용하여 960℃에서 GaN을 성장시켰다. 이 때, GaN 성장은 Ga 금속 및 N2 캐리어 가스에 의해 주입된 NH3(1500 sccm) 및 HCl(10 sccm)를 사용하였다.
도 4는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을 도시한 SEI(secondary electron image) 측정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θ-2θ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은 φ 스캔(scan)에서의 r-사파이어 기판 및 GaN 반도체층의 XRD 측정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의 고해상도 단면 TEM 측정 이미지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r-사파이어/SiO2/h-BN 상에 성장된 GaN 반도체층은 r-사파이어에서 직접 성장된 것처럼 가블-지붕 형상(garble-roof shape)으로 성장되고, [11-20]-배향(orientation)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r-사파이어 기판과 GaN 반도체층 사이에 형성된 SiO2/h-BN이 나노 사이즈의 관통홀을 포함하여 r-사파이어 기판과 GaN 반도체층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1, 211: 성장 기판 112: 타겟 기판
120, 220: 비정질 절연층
121, 221: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
130, 230: 2차원 물질층 131. 231: 제1 2차원 물질층
132, 232: 제2 2차원 물질층 133, 233: 제3 2차원 물질층
130-1: 제1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30-2: 제2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30-3: 제3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40: 반도체층
240: 발광 구조물 250: 제1 전극
260: 제2 전극
120, 220: 비정질 절연층
121, 221: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
130, 230: 2차원 물질층 131. 231: 제1 2차원 물질층
132, 232: 제2 2차원 물질층 133, 233: 제3 2차원 물질층
130-1: 제1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30-2: 제2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30-3: 제3 2차원 물질층 구조물 140: 반도체층
240: 발광 구조물 250: 제1 전극
260: 제2 전극
Claims (19)
-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절연층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층을 지지체(support)를 이용하여 타겟 기판(target substrate)에 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Thru-Hole Epitaxy)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은 상기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기 위한 핵 생성 지점으로 사용되어, 상기 반도체층이 상기 제2 관통홀을 통해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epitaxial lateral overgrowth)되어 상기 성장 기판과 결정학적으로 정렬(crystallographically alig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은 상기 2차원 물질층의 전면에 컨포멀(conformal)하게 성장되거나, 상기 2차원 물질층의 핵 생성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로 패턴으로 성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각 층에 형성된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의 크기는 1 nm 내지 5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성장 기판 상에 비정질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정질 절연막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절연층의 두께는 5 nm 내지 10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2층 내지 100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 상에 적어도 한 층의 반도체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반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기판은 사파이어(sapphire), 갈륨 비소(GaAs; gallium arsenide), 스피넬(spinel), 실리콘(Si; silicon), 인화 인듐(InP; indium phosphide) 및 실리콘 카바이드(SiC; silicon carb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물질층은 그래핀(graphene), h-BN, MoS2, WS22, WSe2, MoTe2, WTe2, ZrS2, ZrSe2, NbS2, TaS2, TiS2, NiSe2, GaSe, GaTe, InSe 및 Bi2Se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질화 갈륨(GaN; gallium nitride), 알루미늄 갈륨 질화물(AlGaN; aluminium gallium nitride), 인듐 갈륨 질화물(InGaN; indium gallium nitride), 인듐 질화물(InN; indium nitride), 알루미늄 질화물(AlN; aluminum nitride) 및 알루미늄 인듐 갈륨 질화물(AlInGaN;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 성장 기판 상에 나노 크기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하는 비정질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정질 절연층 상에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구조물 패턴 상단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 패턴 하단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Thru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크기의 제2 관통홀은 상기 반도체층을 성장시키기 위한 핵 생성 지점으로 사용되어,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상기 반도체층이 에피택셜 측면 오버그로스(ELOG; epitaxial lateral overgrowth)되어 상기 성장 기판과 결정학적으로 정렬(crystallographically alig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은, 각 층에 형성된 제2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성장 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 또는 제2 관통홀의 크기는 1 nm 내지 5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적어도 두 층의 2차원 물질층 상에 n-type 반도체층, 활성층 및 p-type 반도체층을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발광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발광 구조물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발광 구조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4125A KR102538943B1 (ko) | 2021-11-10 | 2021-11-10 |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54125A KR102538943B1 (ko) | 2021-11-10 | 2021-11-10 |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8123A KR20230068123A (ko) | 2023-05-17 |
KR102538943B1 true KR102538943B1 (ko) | 2023-06-01 |
Family
ID=8654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54125A Active KR102538943B1 (ko) | 2021-11-10 | 2021-11-10 |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894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54937A1 (fr) | 2001-12-20 | 2003-07-0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rocede de fabrication d'un substrat et d'un dispositif a semi-conducteur sous forme de nitrure |
KR102043601B1 (ko) | 2018-06-27 | 2019-11-1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3778B1 (ko) * | 2017-01-23 | 2018-12-2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질화 갈륨 기판의 제조 방법 |
KR102300006B1 (ko) | 2020-02-12 | 2021-09-09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그래핀층 위의 선택적 영역 에피텍시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
-
2021
- 2021-11-10 KR KR1020210154125A patent/KR1025389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54937A1 (fr) | 2001-12-20 | 2003-07-0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Procede de fabrication d'un substrat et d'un dispositif a semi-conducteur sous forme de nitrure |
KR102043601B1 (ko) | 2018-06-27 | 2019-11-1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8123A (ko) | 2023-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702562B (zh) | 使用化学剥离方法的ⅲ族氮化物基板的制备方法 | |
US7871845B2 (en) | Nitride-bas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5679494B2 (ja) | 窒化物半導体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 |
US8803189B2 (en) | III-V compound semiconductor epitaxy using lateral overgrowth | |
CN101689483B (zh) | 第ⅳ族衬底表面上的氮化物半导体元件层结构 | |
KR100956499B1 (ko) | 금속층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 기판, 그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 소자 | |
US20050215049A1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06060599A2 (en) | Semiconductor devices based on coalesced nano-rod arrays | |
TW201118946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free-standing substrate and free-standing light-emitting device | |
CN103378238A (zh) | 发光二极管 | |
CN101197409A (zh) | 复合半导体基板及其制造方法及使用其的复合半导体器件 | |
CN103378234A (zh) | 发光二极管 | |
US7888270B2 (en) | Etching method for nitride semiconductor | |
CN103378223A (zh) | 外延结构体的制备方法 | |
JP2011086928A (ja) | 化合物半導体結晶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基板 | |
CN103378237A (zh) | 外延结构 | |
CN103378236A (zh) | 具有微构造的外延结构体 | |
KR20080088278A (ko) | 수직형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 |
EP2401774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 |
US9997893B2 (en) | Semiconductor laser di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538943B1 (ko) | 관통홀 에피택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 |
US20160133792A1 (en) | Semiconductor substr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2001148348A (ja) | GaN系半導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 | |
EP2534705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a semiconductor substrate | |
JP2005097045A (ja) | Iii族窒化物ウエハ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