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7917B1 -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 Google Patents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917B1
KR102537917B1 KR1020200113541A KR20200113541A KR102537917B1 KR 102537917 B1 KR102537917 B1 KR 102537917B1 KR 1020200113541 A KR1020200113541 A KR 1020200113541A KR 20200113541 A KR20200113541 A KR 20200113541A KR 102537917 B1 KR102537917 B1 KR 10253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uide
plate frame
bracing
filter clo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141A (ko
Inventor
밍-왕 루
Original Assignee
타이완 프레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완 프레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완 프레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0011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91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9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164Chamber-plate presses, i.e. th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s being clamped between two successive filter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5/21Plate and frame presses
    • B01D25/215Construction of the filter plates,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 있어서, 래크의 레일에 제어를 받아 변위되어 중첩되는 플레이트 프레임이 설치되고, 고품질의 오니 슬러리가 중량을 이용해 아래로 신속하게 압착되어 각 필터링 챔버에 충진되도록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상부 구간에 슬러지 포트가 설치되며,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각각 형성하도록 2개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인접한 여과포의 최상측에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인접한 여과포 사이에서 오니 슬러리를 압착하여 진흙 케이크(mud cake)로 탈수시킨 다음, 가압 여과기가 플레이트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풀링할 경우, 대응되는 여과포의 좌우측을 각각 폴딩시켜 플레이트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가 신속하게 푸싱(pushing)되어 언로딩되도록, 좌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를 연동 개방하며, 또한 여과포에 별도의 진동 언로딩용 동력원을 사용할 필요 없으므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FILTER PRESS WITH LEFT AND RIGHT FOLDING FUNCTION OF FILTER CLOTH}
본 발명은 가압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흔히 사용되는 플레이트 프레임식 오니 가압 여과기에서, 래크(9)의 양측 레일에, 이동되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고 또한 고정단 시트(92) 및 이동단 시트(921)의 협력 하에 강제적으로 위치결정되는 플레이트 프레임(91) 및 풀러(puller)(93)가 설치된다. 고정단 시트(92)의 오니 슬러리 파이프라인(97)과 오수 배출 파이프라인(98)을 연통시키기 위해, 각 플레이트 프레임(91) 양측의 필터링 챔버에는 슬러지 포트(911), 배수홀(912) 및 여과포(94)가 설치된다. 래크(9)에 진동 래크(95) 및 드라이버(951)가 설치되고, 각 여과포(94)를 각각 행잉 연결시키도록, 진동 래크(95)의 가이드 레일(952)에 복수 그룹의 탄성력 행잉 부재(96)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오니 가압 여과기가 각 플레이트 프레임(91)이 변위되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도록 구동시킬 경우, 오수가 배수홀(912)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고 오니가 여과포(94)에 의해 필터링 챔버 내에 감싸져 압착 탈수 목적에 도달하도록, 펌프를 이용하여 오니 슬러리를 지속적으로 이송 및 가압한다. 이어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99, mud cake)를 아래로 언로딩시키도록, 오니 가압 여과기는 풀러(93)를 통해 각 플레이트 프레임(91) 및 여과포(94)를 하나씩 풀링(pulling)하여 개방하고, 드라이버(951)는 여과포(94)를 반복적으로 풀링하도록 진동 래크(95), 탄성력 행잉 부재(96)를 구동시킨다.
흔히 사용되는 오니 가압 여과기는 여과포(94)를 전후 경사지게 풀링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또한 각 플레이트 프레임(91)은 여과포(94)의 전후 경사 풀링 방식과 협력하기 위해, 플레이트 프레임(91)의 하부 구간 위치에만 슬러지 포트(911)를 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고품질의 오니 슬러리를 위로 압착하여 필터링 챔버로 충진시키는데 불리하므로, 신속하게 이송 피딩(feeding)하여 오니 슬러리를 압착할 수 없기에, 피딩 작업 시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운동 에너지를 더욱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어떻게 상기 공지된 오니 가압 여과기의 결점과 부족점을 해결할 것인가는 관련 분야에서 연구 개발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고품질의 오니 슬러리가 중량을 이용하여 아래로 신속하게 압착되어 각 필터링 챔버에 충진되도록 가압 여과기로 하여금 상부 구간의 슬러지 포트를 사용하여 피딩함으로써, 피딩 작업 시간을 절감시키고, 가압 여과기가 플레이트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풀링하여 언로딩할 경우, 2개의 인접한 여과포 사이의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연동 개방하는 동시에, 대응되는 여과포의 좌우측을 각각 폴딩시켜 플레이트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를 신속하게 언로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 여과기가 플레이트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풀링하여 언로딩할 경우,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가 더욱 신속하게 언로딩되도록, 가이드 암을 이용하여 여과포 및 좌측 링크 어셈블리와 우측 링크 어셈블리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가이드하고, 또한 여과포에 별도의 진동 언로딩용 동력원을 사용할 필요 없으므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래크의 좌우측에 대향되는 레일에 제어를 받아 후측으로 변위되어 중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설치되고, 래크의 각 플레이트 프레임 상측에 좌우측이 대향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 전후에 직사각형 필터링 챔버가 각각 설치되며 여과포가 커버되어 있고, 2개의 플레이트 프레임 각각의 2개의 인접한 여과포 사이에서 오니 슬러리를 압착하여 탈수시키기 위해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필터링 챔버와 여과포 상부 구간 위치에 슬러지 포트가 연통되게 연결되며; 앞쪽으로 각 플레이트 프레임과 여과포를 풀링하고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를 아래로 언로딩시키기 위해 2개의 레일 측에 풀링 기구가 각각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여과포 중간 위치에 대응되게 2개의 지지 로드가 각각 직립 설치되되, 각 지지 로드에 스프링이 씌움 설치되고; 상기 각 여과포의 상부에 좌측 브레이싱 로드(bracing rod)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일단은 대응되는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지지 로드에 각각 피벗되고, 스프링은 위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에 브레이싱되며;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 사이에 좌측 피벗 부재가 피벗되어 좌측 링크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 사이에 우측 피벗 부재가 피벗되어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서 각 2개의 인접한 플레이트 프레임 사이에 대응되게 가이드 로드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침 설치되고, 각 가이드 로드의 양단에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며, 각 좌측 스프링 밑단은 대향되는 좌측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각 우측 스프링 밑단은 대향되는 우측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이로써,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중첩되어 나란히 근접할 경우,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며; 풀링 기구가 앞쪽으로 플레이트 프레임을 하나씩 풀링할 경우,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연동 풀링하여 상대적 협각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대응되는 여과포의 좌우측을 각각 폴딩시켜 플레이트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가 언로딩되도록,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는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을 각각 풀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지지 로드는 슬러지 포트의 좌우측에 대응되고,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에는 대응되는 지지 로드에 피벗되는 피벗홀이 설치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피벗홀이 설치되고, 각 좌측 피벗 부재 및 우측 피벗 부재는 ∩형 로드로 설치되며, 좌측 피벗 부재, 우측 피벗 부재의 양측은 아래로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대응되는 피벗홀에 각각 관통 피벗되고 또한 좌측 피벗 부재 및 우측 피벗 부재의 상단을 이용하여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의 밑단에 각각 연결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각 가이드 로드의 양단에 가이드 링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각 가이드 링을 전후로 관통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스틸 로프가 고정 설치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로드 하측에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암이 대향되게 피벗되고, 각 가이드 암에 아래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로 연장된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부가 앞쪽 상방으로 스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제한 부재가 설치되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후측으로 변위되어 중첩될 경우, 플레이트 프레임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대응되는 가이드 암의 가이드부를 밀어 뒤쪽 상방으로 스윙 후진시키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앞쪽으로 풀링될 경우,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가이드부를 따라 앞쪽으로 하강하여 통과된 후 좌측 스프링 및 우측 스프링의 회복 탄성력을 통해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위로 승강되도록 풀링하여 여과포를 진동시켜 진흙 케이크를 언로딩시키도록, 플레이트 프레임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대응되는 가이드 암에 맞닿게 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 중 하나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로드부가 구비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 중 하나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로드부가 구비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앞쪽으로 풀링될 경우, 플레이트 프레임은 좌측 로드부, 우측 로드부에 의해 가이드 암에 맞닿게 되고 또한 가이드부를 따라 앞쪽으로 하강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지지축이 설치되고, 각 가이드 암은 대응되는 지지축에 피벗되며, 각 가이드 암의 가이드부의 후측 가장자리에 가이드 변이 설치된다.
전술한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서, 가이드부가 앞쪽 상방으로 스윙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각 가이드 암은 위로 연장되어 스토퍼를 형성하고, 제한 부재는 스토퍼의 후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도 1은 흔히 사용되는 오니 가압 여과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니 가압 여과기의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오니 슬러리에 대해 가압 여과 탈수를 수행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이어 오니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개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오니 슬러리에 대해 가압 여과 탈수를 수행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고 또한 전후측의 여과포와 좌우측의 러그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고 또한 각 여과포와 좌우측 러그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각 지지 로드와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가압 여과기의 좌측 링크 어셈블리와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중첩되어 후측으로 변위되는 동작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개방 상태의 동작도 1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개방 상태의 동작도 2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개방 상태의 동작도 3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플레이트 프레임의 개방 상태의 동작도 4이다.
아래, 실행 가능한 실시예를 통해 도면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된 기술적 해결수단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주요 부분 구성 및 원리는 대체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가압 여과기와 유사한데, 가압 여과기는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몸체로 설치되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1)의 좌우측이 대향되는 레일(11)에 풀러(18)가 각각 설치되어 스프로킷 휠(181), 체인(182)과 함께 풀링 기구를 구성하며, 플레이트 프레임(2)이 고정단 시트(12)에 맞닿게 된 후 고정 시트(15)의 유압 실린더(14)에 의해 이동단 시트(13)가 강제적으로 위치결정되도록, 2개의 레일(11)에 제어를 받아 후측으로(도 4의 좌측 방향) 변위되어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는 플레이트 프레임(2)이 걸침 설치된다. 래크(1)의 각 플레이트 프레임(2) 상측에 좌우측이 대향되는 가이드 레일(6)이 설치되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의 양측에 레일(11)에 걸침 설치된 러그(24)가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2) 전후에 여과포(3)가 각각 커버되어 설치되고, 플레이트 프레임(2) 전후에 직사각형 필터링 챔버(21)가 각각 오목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은 2개의 필터링 챔버(21) 상부 구간 위치에 서로 연통되는 슬러지 포트(22)가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2) 전후의 대향되는 여과포(3) 사이에, 대응되게 형성된 슬러지 포트(31)를 연결하여, 고정단 시트(12)의 오니 슬러리 파이프라인(16)과 연통시키고, 여과포(3)의 코너 위치에 복수의 배수홀(32)이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의 코너 위치에 복수의 배수홀(23)이 대향되게 설치되고, 필터링 챔버(21)에 배수홀(23)과 연통되는 통공(211)이 설치되어 고정단 시트(12)의 오수 배출 파이프라인(17)과 연통시킨다.
가압 여과기에 의해 모든 플레이트 프레임(2)가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어 오니 슬러리에 대해 가압 여과를 수행할 경우, 오수가 배수홀(23, 32) 및 오수 배출 파이프라인(17)에 의해 밖으로 배출되고 오니가 여과포(3)에 의해 필터링 챔버(21) 내에 감싸져 진흙 케이크(8)로 압착 탈수되도록, 펌프를 이용하여 오니 슬러리를 지속적으로 이송 및 가압한다(도 5를 참조). 다음, 가압 여과기는 유압 실린더(14)에 의해 이동단 시트(13)를 개방한 다음, 풀러(18)가 왕복 변위하도록 구동시키고, 앞쪽으로(도 4의 우측 방향) 각 플레이트 프레임(2) 및 여과포(3)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풀링하여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8)를 아래로 언로딩시킨다(떨어뜨린다).
재차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의 주요 특징은 하기와 같다.
상기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의 상부에서 각 여과포(3) 중간 위치에 대응되게 2개의 지지 로드(25)가 간격을 두고 각각 직립 설치되되, 각 지지 로드(25)에 스프링(27)이 씌움 설치되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2) 전후의 2개의 지지 로드(25)는 슬러지 포트(22)의 좌우측에 대응되며, 각 지지 로드(25)의 밑단에 고정판(26)이 연결된다(도 8 및 도 9를 참조).
상기 각 여과포(3)의 상부에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가 가로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일단에는, 아래로 대응되는 플레이트 프레임(2)의 2개의 지지 로드(25)에 반경 방향으로 각각 피벗되고 스프링(27)이 위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레이싱 로드(51)에 브레이싱되도록, 피벗홀(411, 511)이 설치되고(도 9를 참조);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3)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의 타단 사이에 좌측 피벗 부재(42)가 피벗되어 좌측 링크 어셈블리(4)를 형성하고,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3)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타단 사이에 우측 피벗 부재(52)가 피벗되어 우측 링크 어셈블리(5)를 형성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타단에 마찬가지로 피벗홀(412, 512)이 각각 설치되고, 각 좌측 피벗 부재(42) 및 우측 피벗 부재(52)는 각각 ∩형 로드로 설치되며, 좌측 피벗 부재(42), 우측 피벗 부재(52)의 양측은 아래로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반경 방향으로 대응되는 피벗홀(412, 512)에 각각 관통 피벗되도록 나사산부(421, 521)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4) 중 하나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의 타단에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로드부(413)가 구비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5) 중 하나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타단에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로드부(513)가 구비된다.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6)(도 4 및 도 5를 참조)에서 각 2개의 인접한 플레이트 프레임(2) 사이에 대응되게 가이드 로드(61)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침 설치되고, 각 가이드 로드(61)의 양단에 가이드 링(64)이 각각 설치되며(도 10을 참조), 각 가이드 로드(61)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2개의 가이드 레일에(6), 대응되는 각 가이드 링(64)을 전후로 관통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스틸 로프(65)가 고정 설치된다. 각 가이드 로드(61)의 양단 하측에 좌측 스프링(62), 우측 스프링(63)이 각각 연결되고, 각 좌측 스프링(62)의 밑단은 하측이 대향되는 좌측 피벗 부재(42)의 상단에 연결되며, 각 우측 스프링(63)의 밑단은 하측이 대향되는 우측 피벗 부재(52)의 상단에 연결된다. 또한, 2개의 가이드 레일(6)은 가이드 로드(61) 하측에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암(7)이 각각 대향되게 피벗되고, 각 가이드 암(7)은 통공에 의해 가이드 레일(6)의 대향되는 지지축(66)에 피벗되며, 가이드 암(7)에 아래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우측 브레이싱 로드(51)로 연장된 가이드부(71)가 설치되고, 가이드부(71)의 후측 가장자리에 가이드 변(711)이 설치되며, 가이드 암(7)은 위로 스토퍼(72)가 연장되어 형성하고, 가이드 레일(6)에 가이드부(71)가 앞쪽 상방으로 스윙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한 제한 부재(67)가 설치되며, 제한 부재(67)는 스토퍼(72)의 후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본 발명의 가압 여과기가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이 후측으로(도 4, 도 5 및 도 11의 좌측 방향) 변위되어 중첩되도록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플레이트 프레임(2)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의 좌측 로드부(413)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우측 로드부(513)는 대응되는 가이드 암(7)의 가이드부(71)를 밀어 뒤쪽 상방으로 스윙 후진시키고(도 11을 참조), 플레이트 프레임(2)을 후측으로 통과시킨 다음,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은 나란히 근접하여 중첩되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큰 질량의 오니 슬러리가 중량을 이용하여 아래로 신속하게 압착되어 각 필터링 챔버(21)에 충진되도록,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은 상부 구간의 슬러지 포트(22, 31)를 사용하여 피딩함으로써, 피딩 작업 시간을 절감시키고, 다음, 2개의 플레이트 프레임 각각(2)의 2개의 인접한 여과포(3) 사이에서 오니 슬러리를 압착하여 탈수시킬 경우,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4)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5)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51)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며, 가압 여과기는 오니 슬러리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진흙 케이크(8)로 탈수시킨다(도 5를 참조).
가압 여과기가 오니 슬러리를 지속적으로 가압하여 진흙 케이크(8)로 탈수시킨 후, 풀링 기구의 풀러(18)를 이용하여 앞쪽으로(도 4의 우측 방향) 플레이트 프레임(2)을 하나씩 풀링하고,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플레이트 프레임(2)은 변위되는 동시에 좌측 링크 어셈블리(4)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5)를 연동 개방하여 상대적인 협각을 각각 형성하고, 가이드 로드(61)를 연동 풀링하여 앞쪽으로 변위시키며, 좌측 링크 어셈블리(4)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5)의 좌측 피벗 부재(42), 우측 피벗 부재(52)는 좌측 스프링(62), 우측 스프링(63)을 각각 풀링하여,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및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51)가 대응되는 여과포(3)의 좌우측을 각각 폴딩시켜 플레이트 프레임(2) 및 필터링 챔버(21)로부터 이탈시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8)를 신속하게 푸싱하여 언로딩시킨다(도 5를 참조). 또한, 각 플레이트 프레임(2)이 순차적으로 앞쪽으로 풀링되는 과정에서, 좌측 브레이싱 로드(41)의 좌측 로드부(413)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우측 로드부(513)가 가이드부(71)의 가이드 변(711)을 따라 앞으로 하강하여 통과된 후 좌측 스프링(62) 및 우측 스프링(63)의 회복 탄성력을 통해 좌측 브레이싱 로드(41)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가 위로 승강되도록 풀링하여 여과포(3)를 진동시켜 진흙 케이크(8)를 언로딩시키도록, 플레이트 프레임(2)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41)의 좌측 로드부(413)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51)의 우측 로드부(513)는 앞쪽으로 대응되는 가이드 암(7)에 맞닿게 되고, 가이드 암(7)은 제한 부재(67)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또한 여과포(3)에 별도의 진동 언로딩용 동력원을 사용할 필요 없으므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예를 든 실시예는 본 발명을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간단한 변경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되,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본 발명)
1: 래크
11: 레일
12: 고정단 시트
13: 이동단 시트
14: 유압 실린더
15: 고정 시트
16: 오니 슬러리 파이프라인
17: 오수 배출 파이프라인
18: 풀러
181: 스프로킷 휠
182: 체인
2: 플레이트 프레임
21: 필터링 챔버
211: 통공
22: 슬러지 포트
23: 배수홀
24: 러그
25: 지지 로드
26: 고정판
27: 스프링
61: 가이드 로드
62: 좌측 스프링
63: 우측 스프링
64: 가이드 링
65: 스틸 로프
66: 지지축
3: 여과포
31: 슬러지 포트
32: 배수홀
4: 좌측 링크 어셈블리
41: 좌측 브레이싱 로드
411: 피벗홀
412: 피벗홀
413: 좌측 로드부
42: 좌측 피벗 부재
421: 나사산부
43: 너트
5: 우측 링크 어셈블리
51: 우측 브레이싱 로드
511: 피벗홀
512: 피벗홀
513: 우측 로드부
52: 우측 피벗 부재
521: 나사산부
53: 너트
6: 가이드 레일
67: 제한 부재
7: 가이드 암
71: 가이드부
711: 가이드 변
72: 스토퍼
8: 진흙 케이크
(선행기술)
9: 래크
91: 플레이트 프레임
911: 슬러지 포트
912: 배수홀
92: 고정단 시트
921: 이동단 시트
93: 풀러
94: 여과포
95: 진동 래크
951: 드라이버
952: 가이드 레일
96: 탄성력 행잉 부재
97: 오니 슬러리 파이프라인
98: 오수 배출 파이프라인
99: 진흙 케이크

Claims (8)

  1. 래크의 좌우측에 대향되는 레일에 제어를 받아 후측으로 변위되어 중첩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프레임이 설치되고, 래크의 각 플레이트 프레임 상측에 좌우측이 대향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 전후에 직사각형 필터링 챔버가 각각 설치되며 여과포가 커버되어 있고, 2개의 플레이트 프레임 각각의 2개의 인접한 여과포 사이에서 오니 슬러리를 압착하여 탈수시키기 위해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필터링 챔버와 여과포 상부 구간 위치에 슬러지 포트가 연통되게 연결되며, 앞쪽으로 각 플레이트 프레임과 여과포를 풀링하고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를 아래로 언로딩시키기 위해 2개의 레일 측에 풀링 기구가 각각 설치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상부에서 각 여과포 중간 위치에 대응되게 2개의 지지 로드가 각각 직립 설치되되, 각 지지 로드에 스프링이 씌움 설치되고;
    상기 각 여과포의 상부에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일단은 대응되는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지지 로드에 각각 피벗되고, 스프링은 위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에 브레이싱되며;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 사이에 좌측 피벗 부재가 피벗되어 좌측 링크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각 2개의 인접한 여과포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 사이에 우측 피벗 부재가 피벗되어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형성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서 각 2개의 인접한 플레이트 프레임 사이에 대응되게 가이드 로드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침 설치되고, 각 가이드 로드의 양단에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이 각각 연결되며, 각 좌측 스프링 밑단은 대향되는 좌측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각 우측 스프링 밑단은 대향되는 우측 링크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이로써,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중첩되어 나란히 근접할 경우,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의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평행되게 근접하여 배열되며; 풀링 기구가 앞쪽으로 플레이트 프레임을 하나씩 풀링할 경우,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를 연동 풀링하여 상대적 협각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대응되는 여과포의 좌우측을 각각 폴딩시켜 플레이트 프레임으로부터 이탈시켜 이미 탈수된 진흙 케이크가 언로딩되도록, 좌측 링크 어셈블리 및 우측 링크 어셈블리는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을 각각 풀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의 2개의 지지 로드는 슬러지 포트의 좌우측에 대응되고,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에는 대응되는 지지 로드에 피벗되는 피벗홀이 설치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피벗홀이 설치되고, 각 좌측 피벗 부재 및 우측 피벗 부재는 ∩형 로드로 설치되며, 좌측 피벗 부재, 우측 피벗 부재의 양측은 아래로 2개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2개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대응되는 피벗홀에 각각 관통 피벗되고 또한 좌측 피벗 부재 및 우측 피벗 부재의 상단을 이용하여 좌측 스프링, 우측 스프링의 밑단에 각각 연결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로드의 양단에 가이드 링이 각각 설치되고, 2개의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각 가이드 링을 전후로 관통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스틸 로프가 고정 설치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로드 하측에 전후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암이 대향되게 피벗되고, 가이드 암에 아래로 좌측 브레이싱 로드, 우측 브레이싱 로드로 연장된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에 가이드부가 앞쪽 상방으로 스윙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제한 부재가 설치되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후측으로 변위되어 중첩될 경우, 플레이트 프레임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대응되는 가이드 암의 가이드부를 밀어 뒤쪽 상방으로 스윙 후진시키고;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앞쪽으로 풀링될 경우,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가이드부를 따라 앞쪽으로 하강하여 통과된 후 좌측 스프링 및 우측 스프링의 회복 탄성력을 통해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가 위로 승강되도록 풀링하여 여과포를 진동시켜 진흙 케이크를 언로딩시키도록, 플레이트 프레임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 및 우측 브레이싱 로드는 대응되는 가이드 암에 맞닿게 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좌측 링크 어셈블리 중 하나의 좌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로드부가 구비되고, 각 우측 링크 어셈블리 중 하나의 우측 브레이싱 로드의 타단에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로드부가 구비되며; 각 플레이트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앞쪽으로 풀링될 경우, 플레이트 프레임은 좌측 로드부, 우측 로드부에 의해 가이드 암에 맞닿게 되고 또한 가이드부를 따라 앞쪽으로 하강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이드 레일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지지축이 설치되고, 각 가이드 암은 대응되는 지지축에 피벗되며, 각 가이드 암의 가이드부의 후측 가장자리에 가이드 변이 설치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8. 제7항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앞쪽 상방으로 스윙되지 않도록 저지하기 위해, 상기 각 가이드 암은 위로 스토퍼가 연장되어 형성하고, 제한 부재는 스토퍼의 후측 가장자리에 맞닿게 되는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KR1020200113541A 2020-09-07 2020-09-07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Active KR10253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41A KR102537917B1 (ko) 2020-09-07 2020-09-07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41A KR102537917B1 (ko) 2020-09-07 2020-09-07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41A KR20220032141A (ko) 2022-03-15
KR102537917B1 true KR102537917B1 (ko) 2023-05-26

Family

ID=8081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541A Active KR102537917B1 (ko) 2020-09-07 2020-09-07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1833B (zh) * 2023-12-07 2024-02-13 潍坊山水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000A (zh) 2020-06-12 2020-08-07 核工业烟台同兴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立式压滤机专用机械齿轮式同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1107U (ko) * 1985-05-23 1986-11-28
JPH0331369Y2 (ko) * 1987-06-26 1991-07-0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000A (zh) 2020-06-12 2020-08-07 核工业烟台同兴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立式压滤机专用机械齿轮式同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41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5661B1 (ko) 필터 프레스
CN205095490U (zh) 一种大隔膜自卸式压滤机
CN205627231U (zh) 高压深度脱水自动全开压滤机
KR102537917B1 (ko) 여과포 좌우 폴딩 기능을 구비한 가압 여과기
RU2245736C2 (ru) Фильтр-пресс
DK149688B (da) Filterpresse
CN112973211A (zh) 一种污泥压滤机及污泥压滤方法
CN208265874U (zh) 一种滤布走行式全自动压滤机废水回收装置
CN206980212U (zh) 一种带有卸料刮板的新型带式压滤机
CN212687877U (zh) 具有滤布左右翻折功能的压滤机
CN207928789U (zh) 滤板单元的拖动装置
EP0117159B1 (fr) Filtre presse comprenant des moyens d'extraction des boues
TWI743957B (zh) 具有濾布左右翻折功能之壓濾機
CN212067867U (zh) 板框压泥机自动卸饼装置
CN211752755U (zh) 一种防止泥饼沾留滤布的厢式压滤机
CN114105436A (zh) 具有滤布左右翻折功能的压滤机
CN201988241U (zh) 一种压滤机
JP3959157B2 (ja) 汚泥の脱水処理装置
JP3824222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ケーキの剥離装置
CN209466703U (zh) 一种液压侧挤压螺杆排料污泥脱水设备
CN114870452B (zh) 一种高效板框压滤机及污水综合治理系统
CN110407434A (zh) 一种连续自动张紧带式压滤机
CN115231795A (zh) 一种具有压滤功能的污泥处理装置
JP5513110B2 (ja) 材料の取扱いおよび処理
AU2014345418B2 (en) A filter press with a wa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