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6986B1 -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 Google Patents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986B1
KR102536986B1 KR1020190047580A KR20190047580A KR102536986B1 KR 102536986 B1 KR102536986 B1 KR 102536986B1 KR 1020190047580 A KR1020190047580 A KR 1020190047580A KR 20190047580 A KR20190047580 A KR 20190047580A KR 102536986 B1 KR102536986 B1 KR 102536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ensing
sensing module
unit
speed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116A (ko
Inventor
임재완
김영태
전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04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986B1/ko
Priority to PCT/KR2020/005399 priority patent/WO2020218860A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16A/ko
Priority to US17/509,274 priority patent/US12000860B2/en
Priority to KR1020230065915A priority patent/KR20230078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9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43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mounted in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47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 B60B27/0068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8Sharing hardware components like housing, antenna, receiver or signal transmission line with other vehicle systems like keyless entry or brake control units
    • B60C23/042Sharing hardware components like housing, antenna, receiver or signal transmission line with other vehicle systems like keyless entry or brake control units cooperating with wheel hub mounted speed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 G01P1/026Housings for speed measuring devices, e.g. pulse gener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7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rotating 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센싱 모듈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센싱 모듈과, 제1 센싱 모듈과는 독립적으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2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제2 센싱 모듈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WHEEL SPEED SENSOR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AND WHEEL BEARING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속도 센서에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를 구비해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리던던시(redundancy)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휠속도 센서와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들은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어 시스템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어 시스템에 차량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다.
차량에 구비되는 센서의 일례로 차량의 차륜을 지지하는 휠베어링에는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WSS; Wheel Speed Sensor)가 장착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휠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차륜의 회전속도 정보는 ECU 등으로 전달되어 ABS(Anti-locking Brake System)나 ECS(Electronic Control System) 등의 제어 시스템을 작동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휠베어링(10)은 회전요소[휠허브(20) 및 내륜(30)]가 비회전요소(40; 외륜)에 전동체(50)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요소에 장착된 차륜이 비회전요소에 연결된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휠베어링의 일측에는 휠속도 센서(60)가 구비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휠속도 센서(60)는 센싱부(64)가 회전요소[예컨대, 내륜(30)]에 장착되어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타겟(70; 예컨대, 엔코더)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회전하는 센서타겟(7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휠속도 센서(60)를 통해 검출된 차륜의 회전속도 정보는 차량의 ECU 등으로 전달되어 ABS나 ECS 등의 제어 시스템을 작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휠속도 센서(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베어링의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62) 내에 센싱부(64)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센싱부(64)를 통해 센서타겟(70)의 회전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센싱부(64)로부터 연장하거나 센싱부(64)에 연결된 단자부가 하우징(62)에 형성된 커넥터부(66)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케이블 등에 연결됨으로써 검출된 회전속도 정보를 외부의 제어장치 등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휠베어링(10)에 장착되는 휠속도 센서(60)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센싱부를 이용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싱부나 센싱부에 연결된 단자부 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차륜의 정확한 회전속도 정보가 제공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ABS 등과 같은 차량의 제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제어되지 못해 제동시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해지거나 조향능력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자율주행차 등의 경우에는 차량 구동의 대부분이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차량 작동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어렵고, 따라서 휠속도 센서 등에서 발생된 문제는 차량의 주행에 더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4138호 (등록일: 2015.01.1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휠속도 센서에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를 구비해 하나의 센싱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센싱부를 통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센싱 모듈이 내장되는 하우징과,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센싱 모듈과, 제1 센싱 모듈과는 독립적으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2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1 센싱부를 포함하고, 제2 센싱 모듈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2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의 제1 센싱부는 제1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제2 센싱 모듈의 제2 센싱부는 제2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제1 인서트 바디부와 제2 인서트 바디부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은 제1 센싱 모듈의 단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1 커넥터부와 제2 센싱 모듈의 단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의 제1 센싱부와 제2 센싱 모듈의 제2 센싱부는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은 제1 센싱 모듈의 단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1 커넥터부와 제2 센싱 모듈의 단부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제2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부와 제2 커넥터부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의 제1 센싱부는 제1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제2 센싱 모듈의 제2 센싱부는 제2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제1 인서트 바디부와 제2 인서트 바디부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제1 센싱 모듈과 제2 센싱 모듈은 하우징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를 통해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의 제1 센싱부와 제2 센싱 모듈의 제2 센싱부는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고, 제1 센싱 모듈과 제2 센싱 모듈은 하우징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를 통해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캡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는 휠베어링의 회전요소에 부착된 센서타겟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리드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에 구비되는 센서는 각각 홀 센서, 이방성 자기 저항 센서 및 거대 자기 저항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에는 제1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가 더 포함되고, 제2 센싱 모듈에는 제2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는 각각 전원단자 및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드단자 중 어느 하나는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에 구비된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센싱부 및 제2 센싱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드단자 중 다른 하나는 제1 단자부 및 제2 단자부에 구비된 신호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은 차륜이 장착되는 회전요소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에 대해 전동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속도 센서는 차체에 결합되는 비회전요소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의 회전요소에 장착되어 차륜과 함께 회전하면서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센서타겟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가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센싱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센싱부를 통해 통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의 작동 신뢰성 및 리던던시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작동되는 제어 시스템들의 작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인서트 바디부에 따로 수용되어 장착되거나 및/또는 복수의 센싱 모듈의 일측 단부(단자부)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별도의 커넥터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센싱 모듈의 인서트 바디부나 일측 커넥터부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어 일측 센싱부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센싱부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센서의 리던던시 및 작동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휠속도 센서를 구비한 종래의 휠베어링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베어링에 이용될 수 있는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휠속도 센서에 연결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부가 분리되어 형성된 인서트 바디부에 각각 수용되어 센싱 모듈이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에서 센싱 모듈에 구비되는 인서트 단자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부가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어 센싱 모듈이 형성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휠속도 센서에서 복수의 센싱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이용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작동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에서 센싱 모듈의 고장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신호특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휠속도 센서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휠속도 센서와 같이 휠베어링의 일측에 장착되어 차륜와 함께 회전하는 센서타겟(엔코더, 톤휠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속도 센서(100)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 내에 내장되는 센싱 모듈(300)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00) 내에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센서)를 구비해 휠속도 센서(10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리던던시(redundancy)를 확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휠속도 센서(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몸통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부(210)와 하우징 바디부(2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센싱 모듈(300)을 수용하는 커넥터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바디부(210)는 전술한 종래의 휠속도 센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캡형상으로 형성되어 휠베어링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도록(예컨대, 휠베어링의 차체측 단부에서 비회전요소인 외륜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의 커넥터부(220)는 내부에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센싱 모듈(300)이 수용되며 센싱 모듈(300)의 일측 단부(단자부)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외부의 전원장치 및/또는 제어장치에 케이블 등을 통해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우징(200)의 커넥터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장착된 센싱 모듈의 단자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2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장착된 연결 커넥터(400)가 결합되어 센싱 모듈의 단자부가 외부의 전원장치나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속도 센서(100)의 하우징(200)에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부[제1 커넥터부(220a) 및 제2 커넥터부(220b)]가 구비되어 복수의 센싱 모듈의 일측 단부[예컨대, 복수의 센싱 모듈의 단자부]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참조)
이와 같이 하우징(200)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부[제1 커넥터부(220a) 및 제2 커넥터부(220b)]를 마련하고 복수의 센싱 모듈의 단자부를 서로 다른 커넥터부에 수용해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면, 일측 커넥터부를 통해 수분 등이 유입되어 커넥터부에 수용된 센싱 모듈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커넥터부에 수용된 센싱 모듈은 이러한 고장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휠속도 센서의 리던던시 및 작동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가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커넥터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쪽의 커넥터 및 이에 연결된 센싱 모듈을 통해 센서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한 리던던시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하우징에 서로 분리된 복수의 커넥터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센서 모듈의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넥터부의 개구부가 복수의 영역으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하고(도 4 참조), 하우징에 하나의 커넥터부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센서 모듈의 단자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하나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함(도 11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300)은 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속도 정보를 ECU 등의 외부 장치(미도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싱 모듈(300)은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며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센싱 모듈[제1 센싱 모듈(310) 및 제2 센싱 모듈(3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싱 모듈에 구비되는 센싱부가 각각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 모듈(310)은 휠베어링의 회전요소에 장착되어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타겟(M; 예컨대, 엔코더)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1 센싱부(320)와, 제1 센싱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부(320)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타겟(M)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부분으로, 센서타겟(M)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센서(322)와 제1 센서(322)로부터 연장해 후술하는 제1 단자부(3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리드단자(3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322)는 센서타겟(M)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홀(Hall) 센서, 이방성 자기 저항(AMR; Anisotropic Magneto Resistance) 센서, 거대 자기 저항(GMR; Giant Magneto Resistance)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드단자(324)는 제1 센서(322)를 외부의 전원장치나 제어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1 센서(322)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리드단자[전원단자(324a) 및 신호단자(324b)]로 구성되어 일측 리드단자[전원단자(324a)]를 통해서는 전원을 공급받고 타측 리드단자[신호단자(324b)]를 통해서는 제1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리드단자(324)의 중간에는 센서 바디(326)가 구비되어 복수의 리드단자가 안정적으로 형성 및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부(330)는 제1 센싱 모듈(310)의 제1 센싱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센싱부(320)에 구비되는 리드단자에 대응해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부(3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고 길게 연장하는 한 쌍의 금속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단자(330a)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단자(330b)를 포함해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자부(330)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바디(332)의 일측에 연결부(334)가 구비되어 연결부(334)를 통해 제1 센싱부(320)의 제1 리드단자(3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단자 바디(332)의 타측에는 연결팁(336)이 구비되어 연결 커넥터 및/또는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의 전원장치나 제어장치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34)에는 일측으로 돌출한 돌기부(338)가 형성되어 제1 센싱부(320)와 전기적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단자부(330)에 구비되는 복수의 단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단자부(330)는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센싱부(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복수의 단자(전원단자 및 신호단자)가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센싱부와 단자부가 별도로 형성된 다음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센싱부의 리드단자가 더 길게 연장되어 단자부 없이 센싱 모듈이 형성되도록(즉, 센싱부와 단자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싱부(320)는 제1 인서트 바디부(340)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일례로, 제1 인서트 바디부(340)는 사출성형 등으로 형성되어 제1 센싱부(320) 및/또는 제1 단자부(3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센싱 모듈(310)은 제1 단자부(330)와 함께 제1 인서트 바디부(340)를 사출성형한 다음 제1 센싱부(320)를 제1 단자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거나, 제1 센싱부(320)와 제1 단자부(33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에서 제1 인서트 바디부(340)를 사출성형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전술한 제1 센싱 모듈(310)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제2 센싱 모듈(350)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싱 모듈(3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모듈(3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센싱 모듈(3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타겟(M)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2 센싱부(360)와 제2 센싱부(3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싱부(360)는 전술한 제1 센싱부와 유사하게 제2 센서(362)와 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하는 제2 리드단자(3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리드단자(364)는 복수의 리드단자[전원단자(364a) 및 신호단자(364b)]로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는 제2 센서 바디(366)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단자부(370)는 전술한 제1 단자부와 유사하게 복수의 단자[전원단자(370a) 및 신호단자(370b)]로 형성되어 제2 센싱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센싱부(360)와 제2 단자부(370)는 제1 인서트 바디부(340)와 분리된 별도의 인서트 바디부[제2 인서트 바디부(380)]에 수용되어 제2 센싱 모듈(350)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모듈(310)과 제2 센싱 모듈(350)이 서로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인서트 바디부[제1 인서트 바디부(340) 및 제2 인서트 바디부(380)]에 수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어 하나의 센싱부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센싱부의 이상이 다른 센싱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다른 센싱부를 통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속도 센서의 리던던시를 확보하고 작동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 모듈의 일측 단부[예컨대, 제1 단자부(330) 및 제2 단자부(370)]가 각각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별도의 커넥터부[제1 커넥터부(220a) 및 제2 커넥터부(220b)]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커넥터부를 통해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일측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타측 센싱 모듈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될 수 있어 센서의 리던던시 및 작동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의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센싱 모듈 및/또는 커넥터부의 구조에 있어서만 전술한 실시형태와 다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조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는 센싱 모듈 및 커넥터부의 구성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이용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의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복수의 센싱부[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가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휠속도 센서(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모듈(310)의 제1 센싱부(320)와 제2 센싱 모듈(350)의 제2 센싱부(360)가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390)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200)은 일측이 개방된 구조의 하우징 바디부(210)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부[220; 제1 커넥터부(220a) 및 제2 커넥터부(220b)]가 구비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커넥터부(220a)에는 제1 센싱 모듈(310)의 일측 단부[제1 단자부(330)]가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2 커넥터부(220b)에는 제2 센싱 모듈(350)의 일측 단부[제2 단자부(370)]가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는 하우징 바디부(210) 내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의 다른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휠속도 센서는 복수의 센싱 모듈에 각각 별도의 센싱부를 구비하고 이들 센싱부의 단자를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휠속도 센서(예컨대, 센싱부 및 커넥터)의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복수의 센싱부를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하여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비해 휠속도 센서의 제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복수의 센싱부[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와 유사하게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인서트 바디부에 각각 수용되고[예컨대, 제1 센싱부(320)는 제1 인서트 바디부(340)에 수용되고, 제2 센싱부(360)는 제1 인서트 바디부와 분리되어 형성된 제2 인서트 바디부(380)에 수용되도록 구성됨], 이러한 복수의 센싱 모듈이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220)를 통해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부[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인서트 바디부[제1 인서트 바디부(340) 및 제2 인서트 바디부(380)]에 수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어느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어 하나의 센싱부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센싱부의 이상이 다른 센싱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센서의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제1 센싱 모듈(310)의 일측 단부[제1 단자부(330)]와 제2 센싱 모듈(350)의 일측 단부[제2 단자부(370)]가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22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200)에 커넥터부(220)를 하나만 형성하면 되고 이로 인해 전술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비해 휠속도 센서의 제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복수의 센싱 모듈의 센싱부[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부(360)]가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센싱 모듈의 단부가 하우징(200)에 구비된 하나의 커넥터부(220)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센싱 모듈(310)의 제1 센싱부(320) 및 제2 센싱 모듈(350)의 제2 센싱부(360)가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390)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 모듈의 단부[제1 단자부(330) 및 제2 단자부(370)]가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220)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휠속도 센서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센싱부에 의해 센서의 리던던시가 확보될 수 있으며, 동시에 복수의 센싱부를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를 통해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비해 휠속도 센서(예컨대, 휠속도 센서의 센싱 모듈)의 제조 및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하우징(200)에 하나의 커넥터부(220)만 형성해도 되기 때문에 휠속도 센서(예컨대, 휠속도 센서의 하우징)의 제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복수의 센싱부가 각각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인서트 바디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센서 모듈이 별도의 커넥터부를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센서 모듈 내로 수분이 유입되거나 일측 커넥터부 내로 수분이 유입되어 일측 센서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타측 센서 모듈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어 휠속도 센서의 리던던시 및 작동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데 반해,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센싱 모듈이 수용되는 인서트 바디부 및/또는 하우징의 커넥터부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비해 제조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휠속도 센서의 안전성 및 작동 신뢰성 측면에서는 보다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차륜이 장착되는 회전요소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에 전동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에 있어서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에 장착되어 회전요소에 장착되어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센서타겟(M; 엔코더)에 의한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의 작동 프로세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내부에 서로 독립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센싱 모듈(센싱부)을 구비해 어느 하나의 센싱 모듈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타측 센싱 모듈을 통해 휠속도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는 복수의 센싱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센서타겟(예컨대, 엔코더)의 회전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검출된 회전속도 정보는 ECU 등의 외부 제어장치로 전달되어 차량의 제어 시스템을 작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100)를 이용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프로세스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속도 센서는 복수의 센싱 모듈(제1 센싱 모듈 및 제2 센싱 모듈) 중 어느 하나를 메인 센싱 모듈로 하고 다른 하나를 보조 센싱 모듈로 설정해 평상시에는 메인 센싱 모듈(예컨대, 제1 센싱 모듈)에서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S100). 이 경우, 휠속도 센서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싱 모듈에는 모두 전원이 공급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면서, 메인 센싱 모듈의 신호만 이용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보조 센싱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는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데만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단계 S200), 제어부 등에서는 이러한 이상이 메인 센싱 모듈의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300).
여기서, 어느 하나의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메인 센싱 모듈의 검출 신호와 보조 센싱 모듈의 검출 신호를 비교하거나 각각의 센싱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센싱 모듈의 고장 여부는 센싱 모듈의 검출 신호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지 여부 등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모듈의 고장 여부는 센싱 모듈에서 전달된 검출 신호 정보에서 전류의 최대값(IHIGH), 전류의 최소값(ILOW), 전류값의 상승시간(Tr: Rising Time), 전류값의 하강시간(Tf: Falling Time), Duty ratio[(t1/T)*100%] 중 하나 이상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센싱 모듈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16 참조).
메인 센싱 모듈의 고장 여부 판단 결과, 메인 센싱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휠속도 측정의 기준 신호를 메인 센싱 모듈에서 보조 센싱 모듈의 신호로 전환하고, 보조 센싱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단계 S400), 이와 함께 계기판의 점등 등을 통해 휠속도 센서(메인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S500).
한편, 메인 센싱 모듈의 고장 여부 판단 결과, 메인 센싱 모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계속해서 메인 센싱 모듈의 신호를 기초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면서, 보조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해 계기판의 점등 등을 통해 휠속도 센서(보조 센싱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S500).
다만, 전술한 휠속도 센서의 작동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전술한 작동 프로세스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 모듈 가운데 어느 하나를 메인 센싱 모듈로 하여 평상시에 메인 센싱 모듈로부터의 신호 정보를 기초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센싱 모듈에서 전달된 신호 정보를 취합해 이들의 평균값으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복수의 센싱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각각의 센싱 모듈의 신호를 검사해 센싱 모듈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어느 하나의 센싱 모듈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에는 고장으로 판단되지 않은 센싱 모듈을 통해서만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도록 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내부에 복수의 센싱부를 구비하고 있어 일측 센싱부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타측 센싱부를 통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휠속도 센서의 리던던시를 확보할 수 있고 센서의 작동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휠속도 센서에 2개의 센싱부가 구비되는 실시형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속도 센서는 3개 이상의 센싱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도 좋고, 속도 센서 이외에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등이 휠속도 센서 대신 또는 휠속도 센서와 함께 구비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휠속도 센서
200: 하우징
210: 하우징 바디부
220: 커넥터부
220a: 제1 커넥터부
220b: 제2 커넥터부
300: 센싱 모듈
310: 제1 센싱 모듈
320: 제1 센싱부
330: 제1 단자부
340: 제1 인서트 바디부
350: 제2 센싱 모듈
360: 제2 센싱부
370: 제2 단자부
380: 제2 인서트 바디부
390: (하나의) 인서트 바디부

Claims (14)

  1. 휠베어링에 장착되어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휠속도 센서(100)이며,
    하우징(200)과,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1 센싱 모듈(310)과,
    상기 제1 센싱 모듈(310)과는 독립적으로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제2 센싱 모듈(3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310)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1 센싱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은 차륜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제2 센싱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0)은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캡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바디부(210)와, 상기 하우징 바디부(2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커넥터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싱부(320) 및 상기 제2 센싱부(360)는 휠베어링의 회전요소에 부착된 센서타겟(M)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리드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310)에는 상기 제1 센싱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자부(33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에는 상기 제2 센싱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단자부(37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1 센싱 모듈(310)과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은 상기 하우징(200)에 내장되되, 상기 제1 센싱 모듈(310)과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은 상기 하우징(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310)의 제1 센싱부(320)는 제1 인서트 바디부(340)에 수용되고,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의 제2 센싱부(360)는 제2 인서트 바디부(380)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인서트 바디부(340)와 상기 제2 인서트 바디부(380)는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싱 모듈(310)과 상기 제2 센싱 모듈(350)은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하나의 커넥터부(220)를 통해 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휠속도 센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320) 및 상기 제2 센싱부(360)에 구비되는 센서는 각각 홀(Hall) 센서, 이방성 자기 저항 센서(AMR) 및 거대 자기 저항 센서(GMR)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휠속도 센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330) 및 상기 제2 단자부(370)는 각각 전원단자 및 신호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부(320) 및 상기 제2 센싱부(360)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드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단자부(330) 및 상기 제2 단자부(370)에 구비된 전원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센싱부(320) 및 상기 제2 센싱부(360)에 구비되는 복수의 리드단자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단자부(330) 및 상기 제2 단자부(370)에 구비된 신호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휠속도 센서.
  11. 제1항에 따른 휠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휠베어링은 차륜이 장착되는 회전요소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에 대해 전동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휠속도 센서는 차체에 결합되는 비회전요소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휠베어링.
  14. 제13항에 있어서,
    휠베어링의 회전요소에 장착되어 차륜과 함께 회전하면서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센서타겟(M)이 더 구비되는,
    휠베어링.
KR1020190047580A 2019-04-23 2019-04-23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Active KR102536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0A KR102536986B1 (ko) 2019-04-23 2019-04-23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PCT/KR2020/005399 WO2020218860A1 (ko) 2019-04-23 2020-04-23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US17/509,274 US12000860B2 (en) 2019-04-23 2021-10-25 Wheel speed sensor having multiple sensing units and wheel bearing comprising same
KR1020230065915A KR20230078612A (ko) 2019-04-23 2023-05-22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80A KR102536986B1 (ko) 2019-04-23 2019-04-23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915A Division KR20230078612A (ko) 2019-04-23 2023-05-22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16A KR20200124116A (ko) 2020-11-02
KR102536986B1 true KR102536986B1 (ko) 2023-05-26

Family

ID=729414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80A Active KR102536986B1 (ko) 2019-04-23 2019-04-23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KR1020230065915A Ceased KR20230078612A (ko) 2019-04-23 2023-05-22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915A Ceased KR20230078612A (ko) 2019-04-23 2023-05-22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000860B2 (ko)
KR (2) KR102536986B1 (ko)
WO (1) WO2020218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5020B1 (fr) * 2019-04-12 2022-01-14 Safran Electrical & Power dispositif de surveillance de dégradation de paliers roulants
KR102330813B1 (ko) * 2021-06-11 2021-12-01 아센텍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용 센싱 축 가변형 휠 속도 센서 장치
KR20230030365A (ko) 2021-08-25 202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속도 센싱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작동 방법
KR102670369B1 (ko) 2021-09-27 2024-05-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휠스피드센서
WO2023171596A1 (ja) * 2022-03-08 2023-09-14 日立Astemo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診断方法
US20240182010A1 (en) * 2022-12-01 2024-06-06 Donald Pieronek Retrofit Anti-lock Braking Tone Ring and Sens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3976A (ja) * 2005-04-04 2006-10-19 Robert Bosch Gmbh ホイールベアリングの回転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2017096828A (ja) * 2015-11-26 2017-06-01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輪速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0193A (en) * 1997-05-19 1999-07-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Snap-fit integrated wheel speed sensor assembly
JP4843286B2 (ja) * 2005-09-29 2011-12-21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3317B2 (ja) * 2007-02-23 2014-09-03 Ntn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付き軸受
JP5382465B2 (ja) * 2008-08-01 2014-01-0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2002318A1 (ja) * 2010-06-30 2012-01-05 Ntn株式会社 回転センサ付軸受
US9194726B2 (en) * 2010-12-17 2015-11-24 Aktiebolaget Skf Support member, detection set comprising such a support member,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tection set and bearing assembly including such a detection set
KR101484138B1 (ko) 2013-06-25 2015-01-19 주식회사 일진베어링 휠 베어링
EP3028804B1 (de) * 2014-12-04 2017-02-22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Übertragungsanordnung, insb. zur Energie- und/oder Signalübertragung
JP6759751B2 (ja) * 2016-06-23 2020-09-23 日立金属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及びセンサ付きケーブル
KR20180108238A (ko) * 2017-03-24 2018-10-04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속도 검출 장치
DE102018217278A1 (de) * 2017-10-10 2019-04-11 Aktiebolaget Skf Radnabenanordnung mit dualen Winkelpositionssensor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3976A (ja) * 2005-04-04 2006-10-19 Robert Bosch Gmbh ホイールベアリングの回転運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2017096828A (ja) * 2015-11-26 2017-06-01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輪速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612A (ko) 2023-06-02
US12000860B2 (en) 2024-06-04
US20220043018A1 (en) 2022-02-10
KR20200124116A (ko) 2020-11-02
WO2020218860A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986B1 (ko)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US7615986B2 (en) Temperature detection function-incorporating current sensor
GB2451559A (en) Electrically operated brake having brake sensor fail safety
US9291666B2 (en) Detecting device and current sensor
JP5056310B2 (ja) トルク検出装置
JP2018505417A (ja) ホイールセンサ装置のためのセンサハウジング、ホイールセンサ装置及びその接続部品
KR20150048873A (ko) 휠 속도 센서
WO2002020998A9 (en) High reliability pressure sensor
KR102758801B1 (ko)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N103171618A (zh) 操纵转向装置
JP5041139B2 (ja) トルクセンサ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8026305A1 (en) Sensor-equipped bearing for wheel
JP6789387B2 (ja) 電子制御装置
JP2004513335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の計装付き軸受け
KR102686046B1 (ko) 복수의 센싱부를 갖는 휠속도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N112186979B (zh) 电路板、电机以及电动助力转向系统
CN109831921B (zh) 传感器装置
US12270439B2 (en) Wheel bearing provided with wheel speed sensor having plurality of sensing units
WO2007041465A1 (en) Redundant angle sensor
CN112146685A (zh) 传感器装置
US20230018082A1 (en) Braking system and vehicle having the braking system
US12024148B2 (en) Apparatus for sensing speed of wheel,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10203960A (ja) トルク検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WO2010100754A1 (ja) 検出システム及び電気システム
JP5458497B2 (ja) 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状態量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09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