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36611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611B1
KR102536611B1 KR1020180055323A KR20180055323A KR102536611B1 KR 102536611 B1 KR102536611 B1 KR 102536611B1 KR 1020180055323 A KR1020180055323 A KR 1020180055323A KR 20180055323 A KR20180055323 A KR 20180055323A KR 102536611 B1 KR102536611 B1 KR 10253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inlet
guide part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914A (ko
Inventor
강인근
고재우
김영근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18002642.6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8002642T5/de
Priority to US16/605,541 priority patent/US11383581B2/en
Priority to CN201880030963.2A priority patent/CN110621521B/zh
Priority to PCT/KR2018/005708 priority patent/WO2018216965A1/ko
Publication of KR2018012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6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0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 F04D17/105Centrifugal pumps for compressing or evacuating with double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원활히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하되, 이 가이드 수단을 고정하는 최적화된 구조와 배치를 정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시 디포깅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는 2층류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특히,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Two-Layer) 구조의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선 출원된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900965호(2007.01.12)에는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이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케이스(1)를 구비하고, 케이스(1)에는 내기를 유입하는 내기유입구(11)와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유입구(12)가 형성된다. 케이스(1)에는 내기유입구(11)의 개도를 조절하는 내기 도어(43) 및 외기유입구(12)의 개도를 조절하는 외기 도어(44)가 구비된다. 공기 유동 방향으로 내,외기 도어(43,44)의 하류 측에는 에어 필터(5)가 구비된다.
에어 필터(5)의 하류 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듀얼 팬(2,3)이 구비되고, 듀얼 팬(2,3)의 하류 측에는 케이스(1)의 격벽(14)에 의해 제1 송풍통로(15)와 제2 송풍통로(16)가 구획 형성된다. 내기 도어(43) 및 외기 도어(44)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칸막이 판(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칸막이 판(42)은 회전축(41)에서 케이스(1)의 원호면 측으로 연장되는 제1 판부(42a)와 회전축(41)에서 에어 필터(5) 측으로 연장되는 제2 판부(42b)로 구성된다. 2층류 모드 시 제1 판부(42a)의 선단이 내,외기유입구(11,12)의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내기유입구(11)에서 제1 송풍통로(15)를 연결하는 유로와 외기유입구(12)에서 제2 송풍통로(16)를 연결하는 유로가 구분된다.
종래의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은 팬의 회전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반경 방향으로 송풍되는 구조로 인해, 바람이 원활히 이동하지 못하고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등록특허공보 제3900965호(2007.01.12)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2층류 구조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원활히 안내하는 수단을 구비하되, 이 가이드 수단을 고정하는 최적화된 구조와 배치를 정의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와 외기를 나누어 흡입할 수 있는 2층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흡입하는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갖고, 상기 제1 입구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1 통로와 상기 제2 입구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2 통로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 상기 제1 통로에 구비되어 제1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상기 제1 팬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통로에 구비되어 제2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 팬; 상기 제1 팬 및 제2 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스크롤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통로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통로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복수개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팬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2 가이드부는 제2 팬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 별도로 결합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테이퍼 형상이다.
상기에서, 모터의 회전축을 결합시키는 보스를 갖는 메인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 팬이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제2 팬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모터는 회전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을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연장축을 결합시키는 제2 보스를 갖는다.
상기에서, 제2 가이드부는 메인 몸체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2 가이드부는 상부가 개구된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개구부를 커버한다.
상기에서, 복수개의 팬은 지름이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팬의 지름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상기에서, 지름이 더 큰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이 지름이 작은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먼 공기 통로에 배치되는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이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가까운 공기 통로에 배치되는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모터의 회전축은 복수의 가이드부를 모두 관통하며 조립된다.
상기에서, 모터의 회전축의 끝단부는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에서, 가이드부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하부의 가이드부는 모터 하우징에 대응하는 단차부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메인 몸체와 상부 가이드부 중 하나에는 홈이 요입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내기와 외기를 나누어 흡입할 수 있는 2층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흡입하는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갖고, 상기 제1 입구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1 통로와 상기 제2 입구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2 통로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 상기 제1 통로에 구비되어 제1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 상기 제1 팬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통로에 구비되어 제2 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 팬; 상기 제1 팬 및 제2 팬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스크롤 케이스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제2 팬에 일체로 형성도니다.
상기에서, 상부에 상기 제1 팬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제2 팬이 구비되는 메인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몸체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형 부재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는 평판형의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2개의 통로에 모두 가이드 수단을 구비하여 유동 공기를 쏠림없이 고르게 토출할 수 있고 성형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배치 및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2층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팬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절단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팬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상하 방향이 "축 방향"이고, 좌우 방향이 "반경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은 내기와 외기를 나누어 흡입할 수 있는 2층 구조로서, 스크롤 케이스(110)와, 제1 팬(120)과, 제2 팬(130)과, 모터(160) 및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롤 케이스(110)는 내기와 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흡입하는 제1 입구(111)와 제2 입구(112)를 갖는다. 스크롤 케이스(110)에는 제1 입구(111)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1 통로(113)와, 제2 입구(112)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2 통로(114)가 형성된다. 스크롤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와, 내기와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기 위한 내외기 전환도어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미도시)이 결합된다.
제1 입구(111)는 상부를 향해 개구되고, 제2 입구(112)는 하부를 향해 개구된다. 제1 통로(113)는 스크롤(Scroll) 형상을 가지며, 제1 통로(113)를 통해 제1 입구(111)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 진다. 제2 통로(114)는 스크롤 형상을 가지며, 제2 통로(114)를 통해 제2 입구(112)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 진다. 스크롤 케이스(110)의 단부(115)는 개구되어 공조유닛과 연결된다.
제1 팬(120)은 제1 통로(113)에 구비되어, 제1 입구(111)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제2 팬(130)은 제2 통로(114)에 구비되어, 제2 입구(112)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은 원심 타입 팬으로 이루어진다.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의 휠 끝단부에는 테두리부(129)가 복수의 휠들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의 회전에 의해 공기는 축 방향으로 빨아들여 지고 반경 방향을 향해 스크롤 케이스(110)의 외부로 보내진다.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은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디스크(또는 보드) 형상의 메인 몸체(1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 팬(120)의 축 방향으로 내측 단부, 즉 하단부는 제2 팬(130)의 축 방향으로 내측 단부, 즉 상단부와 메인 몸체(1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메인 몸체(140)는 중심부에 보스(141)를 갖는다. 보스(141)는 제2 팬(130)에서 제1 팬(120)을 향해 돌출 연장된다. 모터(160)의 회전축(162)은 보스(14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메인 몸체(140)의 상부에 제1 팬(120)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2 팬(130)이 구비된다. 제2 입구(112)는 스크롤 케이스(110) 하부의 커버에 의해 커버된다. 모터(160)는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을 회전 구동시킨다.
가이드부는 실린더형 부재(Cylindrical member)로 이루어지고 스크롤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부는 제1 통로(113)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300)와, 제2 통로(114)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부(200)로 구성된다.
제1 가이드부(300)는 상부 가이드부이며, 제2 가이드부(200)는 하부 가이드부이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1 입구(11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제1 통로(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 가이드부(200)는 제2 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제2 통로(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제2 가이드부(200)는 모터(160)에 구비되며, 제2 입구(112)의 내측 중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2 팬(130)의 날개부 내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가이드부(200)는 축 방향으로도 제2 팬(130)의 날개부 내측에 배치된다. 제2 가이드부(200)는 모터(160)의 회전축(162)을 커버하도록 축 방향으로 모터(160)에서 메인 몸체(140)를 향해 연장된다.
제2 가이드부(200)는 제2 입구(112)로 흡입된 바람을 가이드하여 제2 팬(130)의 날개부로 쏠림 없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2 팬(130)에 의해 공기가 바르게 빨아들여 지도록 하는 유동 제어 요소로 작용한다. 아울러, 제2 가이드부(200)는 물이 모터(16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요소로서 작용한다. 제2 가이드부(200)는 반경 방향 외측부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1 입구(111)의 내측 중에서 반경 방향으로 제1 팬(120)의 날개부 내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이드부(300)는 축 방향으로도 제1 팬(120)의 날개부 내측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1 입구(111)로 흡입된 바람을 가이드하여 제1 팬(120)의 날개부로 쏠림 없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팬(120)에 의해 공기가 바르게 빨아들여 지도록 하는 유동 제어 요소로 작용한다.
제2 가이드부(200)는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20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이한 성형이 가능하다. 가이드부(200)가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가이드부가 스크롤 케이스에 고정된 구조와 비교하여, 사출 성형 공법에 있어서 금형 설계를 고려할 때 성형성이 우수하다. 제2 가이드부(200)는 사출 성형시 빼기 구조를 고려할 때 개구부가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제2 가이드부(200)는 상부가 개구되며, 실린더형 부재의 상부 개구부를 제1 가이드부(300)가 커버한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2 가이드부(200)의 상부에 별도로 결합된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2 가이드부(200)의 개구부를 커버하여 제1 통로(113)와 제2 통로(114)를 구획한다. 아울러, 제1 가이드부(300)는 제2 가이드부(200)와 마찬가지로 제1 입구(111)로 흡입된 바람을 가이드하여 제1 팬(120)의 날개부로 쏠림 없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 팬(120)에 의해 공기가 빠르게 빨아들여 지도록 하는 유동 제어 요소로 작용한다.
제2 가이드부(200)는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통해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상하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구조의 경우, 금형 빼기 구조상 하나의 가이드부만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부만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경우, 조립시 상부 가이드부를 별물로 하여 조립하는 것이 조립성에 유리해진다.
한편, 복수개의 팬은 지름이 다르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가이드부는 팬의 지름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지름이 더 큰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은 지름이 작은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제2 팬(130)의 지름(d2)은 제1 팬(120)의 지름(d1)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2 가이드부(200)의 기울기 값은 제1 가이드부(300)의 기울기 값보다 크게 형성된다. 팬의 지름이 더 크면 공기 통로가 더 커지게 되어, 그만큼 공기압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압을 갖는 공기 통로 측의 가이드부의 기울기를 크게하여 공기를 더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먼 공기 통로에 배치되는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이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가까운 공기 통로에 배치되는 팬의 가이드부의 기울기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멀리 배치된 제2 가이드부(200)의 기울기 값은 반대측의 제1 가이드부(300)의 기울기 값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통로(113) 쪽으로 바로 유입되는 공기보다 공기 통로를 거치면서 방향이 변경되어 공기 저항이 커지는 제2 통로(114) 쪽에는 공기 유동 가이드가 더 필요하므로, 제2 가이드부(200)의 기울기를 제1 가이드부(300)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모터(160)의 회전축은 복수의 가이드부를 모두 관통하며 조립된다. 즉, 모터(160)의 회전축(162)은 제2 가이드부(200)와 제1 가이드부(300)를 순차로 관통하여 조립된다. 모터(160)의 회전축의 끝단부는 클립(325)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팬이 모터 회전축에 조립이 잘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오조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부의 내부에 공간부(128,328)를 형성한다. 제1 가이드부(300) 및 제2 가이드부(200)는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127,32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327)는 제1 가이드부(300)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며, 또 하나의 리브(127)는 제2 가이드부(200)에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또한, 하부의 가이드부는 모터 하우징에 대응하는 단차부(145)를 구비한다. 제2 가이드부(200)에 형성된 보스(141)에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단차진 복수개의 단차부(145)가 형성된다. 단차부(145)는 모터(160)와의 조립 시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모터와 팬 간의 축 방향으로의 구속력을 강화시킨다. 모터(160)는 회전축(162)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163)을 갖는다. 제1 가이드부(300)는 연장축(163)을 결합시키는 제2 보스(326)를 구비한다.
아울러, 메인 몸체(140)에는 홈(147)이 요입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부인 제1 가이드부(300)에는 홈(147)에 결합되는 돌기(301)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은 스크롤 케이스(110)와, 제1 팬(120)과, 제2 팬(130)과, 모터(160) 및 가이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크롤 케이스(110)와, 제1 팬(120)과, 제2 팬(130)과, 모터(160)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부(200)는 제1 실시 예의 제2 가이드부(200)와 유사한 구성이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가이드부(200)는 원통 형상의 실린더형 부재(Cylindrical member)로 이루어지고 스크롤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부(200)는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된다. 가이드부(200)는 제2 입구(11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제2 통로(114)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이드한다.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은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메인 몸체(14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메인 몸체(140)는 중심부에 보스(141)를 갖는다. 보스(141)는 제2 팬(130)을 향해 돌출된다. 모터(160)의 회전축(162)은 보스(141)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메인 몸체(140)의 상부에 제1 팬(120)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2 팬(130)이 구비된다.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200)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에서 축 방향으로 외측, 즉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 방향 내측부(220)와, 축 방향 내측부(220)에서 하부를 향해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210)과, 경사면(210)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 방향 외측부(230)로 구성된다. 축 방향 내측부(220)와 축 방향 외측부(230)는 균일한 직경을 갖는다.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에 일체로 형성되어 용이한 성형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송풍유닛
110: 스크롤 케이스 111: 제1 입구
112: 제2 입구 113: 제1 통로
114: 제2 통로 120: 제1 팬
130: 제2 팬 140: 메인 몸체
141: 보스 160: 모터
162: 회전축 163: 연장축
200: 제2 가이드부 300: 제1 가이드부

Claims (21)

  1. 내기와 외기를 나누어 유동시킬 수 있는 2층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 중 하나를 흡입하는 제1 입구(111)와 내기와 외기 중 다른 하나를 흡입하는 제2 입구(112)를 갖고, 상기 제1 입구(111)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1 통로(113)와 상기 제2 입구(112)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2 통로(114)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110);
    상기 제1 통로(113)에 구비되어 제1 입구(11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120);
    상기 제1 팬(1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통로(114)에 구비되어 제2 입구(11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 팬(130);
    상기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60); 및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통로(113)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300)와 상기 제2 통로(114)에 구비되는 제2 가이드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200)는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160)의 회전축(162)을 결합시키는 보스(141)를 갖는 메인 몸체(140)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몸체(140)의 상부에 상기 제1 팬(120)이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제2 팬(130)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200)는 메인 몸체(14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200)는 상부가 개구된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2 가이드부(200)의 개구부를 커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300)는 상기 제2 가이드부(200)의 상부에 별도로 결합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류 측에서 하류 측으로 갈수록 횡단면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테이퍼 형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7. 삭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60)는 회전축(162)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163)을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300)는 상기 연장축(163)을 결합시키는 제2 보스(326)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130)은 제1 팬(120)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2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기울기가 제1 가이드부(3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130)은 제1 팬(120)보다 공기 유입구로부터 거리가 더 멀게 배치되고, 제2 가이드부(2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기울기가 제1 가이드부(3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기울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4. 제1 항에 있어서,
    모터(160)의 회전축은 복수의 가이드부를 모두 관통하며 조립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5. 제14 항에 있어서,
    모터(160)의 회전축의 끝단부는 클립(325)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6. 제1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내부에 공간부(128,328)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7. 제16 항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127,327)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8. 제1 항에 있어서,
    하부의 가이드부는 모터 하우징에 대응하는 단차부(145)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19. 제1 항에 있어서,
    메인 몸체(140)와 상부 가이드부 중 하나에는 홈(147)이 요입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147)에 결합되는 돌기(301)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20. 내기와 외기를 나누어 유동시킬 수 있는 2층 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100)에 있어서,
    내기와 외기 중 하나를 흡입하는 제1 입구(111)와 내기와 외기 중 다른 하나를 흡입하는 제2 입구(112)를 갖고, 상기 제1 입구(111)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1 통로(113)와 상기 제2 입구(112)를 통한 공기의 통로인 제2 통로(114)가 형성된 스크롤 케이스(110);
    상기 제1 통로(113)에 구비되어 제1 입구(111)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팬(120);
    상기 제1 팬(1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통로(114)에 구비되어 제2 입구(11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2 팬(130);
    상기 제1 팬(120) 및 제2 팬(130)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60); 및
    상기 스크롤 케이스(110) 내에 구비되어 입구를 통해 축 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제2 팬(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팬(120)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제2 팬(130)이 구비되는 메인 몸체(14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 몸체(14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된 실린더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형 부재의 상부 개구부를 커버하는 평판형의 커버 부재(145)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21. 삭제
KR1020180055323A 2017-05-22 2018-05-15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ctive KR10253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8002642.6T DE112018002642T5 (de) 2017-05-22 2018-05-18 Gebläseeinheit einer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US16/605,541 US11383581B2 (en) 2017-05-22 2018-05-18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201880030963.2A CN110621521B (zh) 2017-05-22 2018-05-18 车用空调的鼓风机单元
PCT/KR2018/005708 WO2018216965A1 (ko) 2017-05-22 2018-05-18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64 2017-05-22
KR20170062664 2017-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914A KR20180127914A (ko) 2018-11-30
KR102536611B1 true KR102536611B1 (ko) 2023-05-25

Family

ID=6456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23A Active KR102536611B1 (ko) 2017-05-22 2018-05-15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83581B2 (ko)
KR (1) KR102536611B1 (ko)
CN (1) CN110621521B (ko)
DE (1) DE112018002642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03B1 (ko) * 2018-12-26 2024-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2698344B1 (ko) * 2020-02-27 2024-08-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20220140907A (ko) 2021-04-09 2022-10-1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CN115008967A (zh) * 2022-05-17 2022-09-06 天津三电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送风方式改进型内外气双层流空调箱总成
WO2024214244A1 (ja) * 2023-04-13 2024-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遠心送風機、空気調和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075B2 (ja) * 2008-02-15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送風機
JP2012166658A (ja) * 2011-02-14 2012-09-06 Denso Corp 送風機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286B2 (ja) 1996-06-26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ユニット
KR100623504B1 (ko) * 2000-05-31 2006-09-1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94614B1 (ko) 2001-04-04 2007-03-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JP3900965B2 (ja) 2002-02-21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881033B2 (en) * 2002-09-30 2005-04-19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Impeller
KR20050038710A (ko) * 2003-10-22 2005-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송풍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US20060093472A1 (en) * 2004-11-02 2006-05-04 Hsiu Yin Chen Blower structure
KR200436612Y1 (ko) 2006-12-07 2007-09-11 주식회사 두원공조 공기조화기용 양흡입 블로아
US8235649B2 (en) * 2007-04-12 2012-08-07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Blower for vehicles
KR101278629B1 (ko) 2007-05-08 2013-06-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송풍휠
US9568020B2 (en) * 2011-06-03 2017-02-14 Denso Corporation Blower
KR20140054655A (ko) * 2012-10-29 2014-05-0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JP6011348B2 (ja) * 2013-01-10 2016-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用送風機
JP6143596B2 (ja) * 2013-07-30 2017-06-07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JP6722013B2 (ja) * 2016-03-22 2020-07-15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空調用送風装置
EP3467322B1 (en) * 2016-05-30 2020-04-01 Denso Corporation Blowe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lower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075B2 (ja) * 2008-02-15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送風機
JP2012166658A (ja) * 2011-02-14 2012-09-06 Denso Corp 送風機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1521A (zh) 2019-12-27
US20200122551A1 (en) 2020-04-23
DE112018002642T5 (de) 2020-03-05
CN110621521B (zh) 2023-03-24
KR20180127914A (ko) 2018-11-30
US11383581B2 (en)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66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US11639084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20140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US2017028268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3581410B1 (en) Air-blowing device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US20230097990A1 (en) Blow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6979911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WO2018216965A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KR101820793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WO2019188366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6966369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KR2021011395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WO2019239777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JP7036644B2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CN109551994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6983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679431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ための遠心送風機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7314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닛
JP5527302B2 (ja) 送風装置
KR1028060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H111154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445208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0253400Y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KR100807751B1 (ko) 2층 공기유동구조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