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157B1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ing method - Google Patent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5157B1 KR102535157B1 KR1020200120415A KR20200120415A KR102535157B1 KR 102535157 B1 KR102535157 B1 KR 102535157B1 KR 1020200120415 A KR1020200120415 A KR 1020200120415A KR 20200120415 A KR20200120415 A KR 20200120415A KR 102535157 B1 KR102535157 B1 KR 1025351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suction
- hand
- receiving portion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7723 transport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05—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characterized by movements or sequence of movements of transfer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과제)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본원은, 기판 처리 장치(1) 및 기판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핸드(61)는 베이스부(65)와 흡인부(68)와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와 받이부 구동부(86)를 구비한다. 흡인부(68)는, 베이스부(65)에 장착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W)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에 지지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을 받을 수 있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1 받이부(82)에 제2 받이부(83)를 접근시키고, 또한, 제1 받이부(82)로부터 제2 받이부(83)를 이반시킨다.(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capable of appropriately transporting a substrate.
(Solution Means)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 and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The hand 61 includes a base part 65, a suction part 68, a first receiving part 82, a second receiving part 83, and a receiving part driving part 86. The suction part 68 is attached to the base part 65. The suction portion 68 causes the gas to flow along the upper surface 16 of the substrate W to suck the substrate W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W. The 1st receiving part 82 and the 2nd receiving part 83 are supported by the base part 65. The 1st receiving part 82 and the 2nd receiving part 83 are arrange|positioned below the board|substrate W attracted by the suction part 68. The first receiving portion 82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83 may receive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W. The receiving part drive part 86 moves the 2nd receiving part 83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65. The receiving part drive part 86 brings the 2nd receiving part 83 closer to the 1st receiving part 82, and separates the 2nd receiving part 83 from the 1st receiving part 82 fur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판에 처리를 행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판은,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용 기판, FPD(Flat Panel Display)용 기판, 광 디스플레이용 기판, 자기 디스크용 기판, 광디스크용 기판, 광 자기 디스크용 기판, 포토마스크용 기판, 또는, 태양 전지용 기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for performing processing on a substrate. Substrates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wafers, substrates for liquid crystal displays, substrates for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substrates for FPD (Flat Panel Display), substrates for optical displays, substrates for magnetic disks, substrates for optical disks, and magneto-optical disks. It is a board|substrate, a board|substrate for photomasks, or a board|substrate for solar cells.
일본국 특허공개 2008-270626호 공보는, 기판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에서는, 일본국 특허공개 2008-270626호 공보에 기재되는 부호를 괄호로 표기한다. 기판 처리 장치(1)는, 로드 포트(16)와 검사 장치를 구비한다. 로드 포트(16)는 카세트(C)를 수납한다. 카세트(C)는, 복수의 웨이퍼(W)를 수납한다. 검사 장치는, 메인 척(13)과 프로브 카드(14)를 구비한다. 기판(W)은 메인 척(13) 상에 재치(載置)된다. 프로브 카드(14)는, 메인 척(13)의 상방에 설치된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270626 disclose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Below, the code|symbol described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8-270626 is expressed by parenthesis. The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 반송 장치(18)를 구비한다. 기판 반송 장치(18)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거하여, 기판(W)을 유지한다. 기판 반송 장치(18)는, 로드 포트(16)에 수납되는 카세트(C)와, 메인 척(13) 사이에서 기판(W)을 반송한다.The
기판 반송 장치(18)는, 핀셋(17)과 흡착 수단(171)을 구비한다. 흡착 수단(171)은, 핀셋(17)의 하면에 설치된다. 흡착 수단(171)은, 고압 공기원과 연통하고 있다. 고압 공기원은, 흡착 수단(171)에 고압 공기를 공급한다. 흡착 수단(171)이 기판(W)의 상방에 위치할 때, 고압 공기는, 흡착 수단(171)으로부터 흡착 수단(171)과 기판(W)의 상면의 간극을 통해 유출된다. 이에 의해, 흡착 수단(171)은, 기판(W)의 상면을 유지한다.The
최근, 기판은, 박형화 및 대구경화되어 있다. 기판의 두께가 얇고, 또한, 기판의 직경이 커지면, 기판의 휨량이 현저하게 커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판 반송 장치(18)에서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In recent years, substrates have become thinner and larger in diameter. Wh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thin and the diameter of the substrate is large, the amount of warpage of the substrate is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반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capable of appropriately transporting a substrate.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로서,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is provide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핸드와,hand,
상기 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하고,A ha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and,
상기 핸드는,The hand,
베이스부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는 흡인부와,a suction portion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figured to flow a ga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1 받이부와,A first receiving part supported by the base part,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art,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edge of the substrate;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상기 하면 및 기판의 상기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2 받이부와,A second receiving part supported by the base part,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art,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에 상기 제2 받이부를 접근시키고, 또한, 상기 제1 받이부로부터 상기 제2 받이부를 이반시키는 받이부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기판 처리 장치이다.By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brought closer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drive unit for separat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t is a substrate processing device.
제1 반송 기구는, 핸드를 구비한다. 핸드는, 베이스부와 흡인부를 구비한다. 흡인부는, 베이스부에 장착된다. 흡인부는,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흡인부는,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따라서, 핸드는, 기판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ncludes a hand. The hand has a base part and a suction part. The suction part is attached to the base part. The suction portion causes the gas to flow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attracts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Therefore, the hand can properly support the substrate.
제1 반송 기구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한다. 핸드 구동부는, 핸드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핸드에 의해 지지된 기판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1st conveyance mechanism is equipped with the hand drive part. The hand driver moves the hand.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suitably convey the board|substrate supported by the hand.
핸드는, 추가로,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를 구비한다. 제1 받이부 및 제2 받이부는, 베이스부에 지지된다. 제1 받이부 및 제2 받이부는 각각,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 및 제2 받이부는 각각, 기판의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만일 기판이 흡인부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도,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는, 기판을 받을 수 있다. 즉,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다.The hand further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1st receiving part and the 2nd receiving part are supported by the base part. The 1st receiving part and the 2nd receiving part are each arrange|positioned below the board|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ar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may each receive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edge of the substrate. For this reason, even if the substrate falls downward from the suction porti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receive the substrate. That is, there is no fear that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will drop the substrate.
핸드는, 받이부 구동부를 구비한다. 받이부 구동부는, 제2 받이부를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는, 제1 받이부에 제2 받이부를 접근시키고, 또한, 제1 받이부로부터 제2 받이부를 이반(離反)시킨다. 이 때문에,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가 기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는 기판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가 기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는 기판을 용이하게 둘 수 있다.The hand is equipped with a receiving part drive part. 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moves the 2nd receiving part with respect to the base part. 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brings the 2nd receiving part close to the 1st receiving part, and separates the 2nd receiving part from the 1st receiving part. For this reason, the hand can easily take the substrate withou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substrate. The hand can easily place the substrate withou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substrate.
이상과 같이, 본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1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conveys the substrat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receiving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receiving part overlap with the substrate sucked by the suction part in plan view. .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할 때, 기판이 핸드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conveys the substrat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reliably prevent the substrate from falling off from the hand.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기판을 재치하는 재치부를 구비하고,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substrate is provide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흡인부에 의한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고 나서, 상기 재치부에 기판을 재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placing portion after stopping the suction of the substrate by the suction portion to raise the substrate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제1 반송 기구가 재치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 흡인부는 기판을 흡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재치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에, 핸드가 기판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재치부에 적절히 기판을 재치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mounting portion, the suction portion does not suck the substrate.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hand will damage the substrate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mounting unit.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place a board|substrate appropriately on a mounting part.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기판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ubstrate is provided;
상기 처리 유닛은,The processing unit is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유지부를 구비하고,A substrate holding portion for holding a substrate is provide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흡인부에 의한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고 나서, 상기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재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holding portion after lifting the substrate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by stopping suction of the substrate by the suction portion.
제1 반송 기구가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 흡인부는 기판을 흡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에, 핸드가 기판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기판 유지부에 적절히 기판을 재치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holding portion, the suction portion does not suck the substrate.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hand will damage the substrate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holding part.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place a board|substrate appropriately on a board|substrate holding part.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2 받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받이부는 탈락 방지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By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be moved to a position to prevent falling off and a retracted position,
상기 제2 받이부가 상기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겹치고,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anti-falling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verlaps a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상기 제2 받이부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기판은, 수평 자세로, 상기 제1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strate can pass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horizontal posture.
제2 받이부가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기판이 핸드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2 받이부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받이부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기판은, 수평 자세로,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가 기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는 기판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제1 받이부와 제2 받이부가 기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는 기판을 용이하게 둘 수 있다.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drop-off preventing posi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reliably prevent the substrate from falling off from the hand. 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substrate can pass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horizontal posture. Accordingly, the hand can easily take the substrate withou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substrate. The hand can easily place the substrate without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받이부 구동부는,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탈락 방지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the drop-off prevention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탈락 방지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urges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ward the anti-falling position.
받이부 구동부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받이부는, 탈락 방지 위치 및 퇴피 위치로 적합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받이부 구동부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가 액추에이터의 동력원으로부터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만이 제2 받이부에 작용한다. 그 결과, 제2 받이부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탈락 방지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가 동력원으로부터 차단되었을 때여도, 기판이 핸드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2 받이부는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driving unit includes an actuator. For this reason, the 2nd receiving part can move suitably to a falling-off prevention position and a retracted position. 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is equipped with an elastic member. For this reason, when the actuator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actuator, onl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cts 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s a result, the 2nd receiving part moves to the falling-off prevention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an elastic member. Therefore, even when the actuator is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ourc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suitably prevent the substrate from falling off from the hand.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받이부 구동부는,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ectric motor for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받이부 구동부가 전동 모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받이부의 이동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만일 제2 받이부의 이동 중에 제2 받이부가 기판과 접촉하는 경우여도, 제2 받이부가 기판에 부여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받이부가 기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motor. For this reason, the moving speed of the 2nd receiving part is easily controllable. Thus, even i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ontacts the substrate during movement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impact applied to the substrate by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be suppressed. Therefore, it can avoid that the 2nd receiving part damages a board|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1 받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receiving part is fixed to the said base part.
베이스부가 제1 받이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핸드는,The hand,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상기 상면 및 기판의 상기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a first contact portion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상기 제1 접촉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측방을 통과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를 구비하고,a first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through a side of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상기 제1 받이부는,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receiving part is connected to the said 1st wall part.
제1 접촉부와 제1 벽부와 제1 받이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제1 접촉부는,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1 벽부는, 기판이 수평 방향으로 과도하게 어긋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The structure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first wall portion, and the first receiving portion can be simplified. The first contact portion can hold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first wall portion can restrict excessive displacement of the subst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은, 기판 반송 방법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베이스부에 장착된 흡인부가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핸드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와,a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by allowing a suction uni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to flow ga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further moving the base portion by the hand drive unit;
상기 흡인부가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흡인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는 단계와,a step of raising the substrate on a receiving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disposed below the suction portion by stopping the su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상기 받이부로부터 재치부에 기판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하는 기판 반송 방법이다.It is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assing a substr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placing portion.
본 기판 반송 방법에 의하면, 재치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에, 기판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재치부에 기판을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판 반송 방법은,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ubstrate transport method,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substrate when placing the substrate on the mounting portion. Therefore, the substrate can be appropriately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In this way, the present substrate transport method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반송 방법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베이스부에 장착된 흡인부가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핸드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와,a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by allowing a suction uni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to flow ga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further moving the base portion by the hand drive unit;
상기 흡인부가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흡인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는 단계와,a step of raising the substrate on a receiving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disposed below the suction portion by stopping the su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상기 받이부로부터 처리 유닛의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하는 기판 반송 방법이다.and passing a substr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a substrate holding portion of a processing unit.
본 기판 반송 방법에 의하면,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재치할 때에, 기판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판 반송 방법은,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ubstrate transport method, there is no fear of damaging the substrate when placing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holding part. Therefore, the substrate can be appropriately placed on the substrate holder. In this way, the present substrate transport method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기판을 반송하는 제2 반송 기구와,a second transport mechanism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상기 제1 반송 기구와 상기 제2 반송 기구 사이에서 반송되는 기판을 재치하는 재치부를 구비하고,a mounting unit for placing a substrate transported betwe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port mechanism;
상기 제1 반송 기구는,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핸드를 구비하고,have a hand,
상기 핸드는,The hand,
기판의 상면 및 기판의 하면 중 어느 한쪽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이다.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suction portion for sucking a substrate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by flowing a gas along either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제1 반송 기구는, 핸드를 구비한다. 핸드는, 흡인부를 구비한다. 흡인부는,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흡인부는,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흡인한다. 따라서, 핸드는, 기판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ncludes a hand. The hand has a suction part. The suction portion causes the gas to flow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sucks the substrate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Therefore, the hand can properly support the substrate.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appropriately convey the board|substrate. In this way, the presen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n appropriately convey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재치부는,The wit department,
기판의 제1 측부와 접하는 제1 경사면과,a first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상기 제1 경사면과 수평 방향으로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기판의 제2 측부와 접하는 제2 경사면을 구비하고,A second inclined surfac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a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경사면의 상단과 상기 제2 경사면의 상단의 간격은, 기판의 직경보다 크고,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bstrate,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경사면의 하단과 상기 제2 경사면의 하단의 간격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경사면의 상기 상단과 상기 제2 경사면의 상기 상단의 상기 간격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상단과 제2 경사면의 상단의 간격은, 기판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 및 제2 반송 기구가 재치부에 두는 기판의 위치가 불균일해도, 재치부는 기판을 적절히 받을 수 있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하단과 제2 경사면의 하단의 간격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상단과 제2 경사면의 상단의 간격보다 좁다. 따라서,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기판을 소정의 위치로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bstrate. Therefor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placed on the mounting unit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and the second transport mechanism is not uniform, the mounting unit can properly receive the substrat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can suitably guide the substrat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기판을 처리하는 제1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A firs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ubstrate is provide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제1 처리 유닛에 기판을 반송하고,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conveys the substrate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상기 제1 처리 유닛은,The first processing unit,
제1 기판 유지부를 구비하고,A first substrate holder is provided;
상기 제1 기판 유지부는,The first substrate holding part,
제1 플레이트와,a first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기판의 상기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기판을 재치하는 지지부와,A support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edge of the substrate, and placing the substr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과,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판의 상기 하면의 사이에 기체를 취출(吹出)하고, 기판을 하방으로 흡인하는 기체 취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gas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configured to take out ga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and suck the substrate downward. It is desirable to do
제1 기판 유지부는 지지부와 기체 취출구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1 기판 유지부는 기판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holding portion has a support portion and a gas outlet. Because of this, the first substrate holding portion can properly hold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복수 장의 기판을 수용하는 캐리어를 재치하는 캐리어 재치부를 구비하고,A carrier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carrie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substrates is provided;
상기 제2 반송 기구는, 상기 캐리어 재치부에 재치되는 상기 캐리어에 기판을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conveyance mechanism conveys the board|substrate to the said carrier mounted on the said carrier mounting part.
제2 반송 기구는, 캐리어로부터 제1 반송 기구에 기판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 제2 반송 기구는, 제1 반송 기구로부터 캐리어에 기판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port mechanism can suitably transport the substrate from the carrier to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 second transport mechanism can suitably transport the substrate from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o the carrier.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기판을 처리하는 제1 처리 유닛과,a firs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ubstrate;
상기 제1 처리 유닛에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to the first processing unit;
상기 제1 처리 유닛과 상기 제1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processing unit and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상기 제1 처리 유닛은,The first processing unit,
제1 플레이트와,a first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기판의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a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contacting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n edge of the substrate, and supporting the substrat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상면과,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판의 상기 하면의 사이에 기체를 취출하여, 기판을 하방으로 흡인하는 기체 취출구를 구비하고,a gas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configured to take out ga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and suction the substrate downwar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기판의 상면 및 기판의 상기 하면 중 어느 한쪽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흡인하는 흡인부와,a suction portion for flowing gas along eith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상기 흡인부에 공급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흡인 조정부를 구비하고,A suctio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의 형상에 따라,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바꾸는, 기판 처리 장치이다.The control unit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hat changes the flow rate of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기판 처리 장치는, 제1 처리 유닛을 구비한다. 제1 처리 유닛은, 제1 플레이트와 지지부와 기체 취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처리 유닛은 기판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처리 유닛은, 기판을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ocessing unit. The first processing unit includes a first plate, a support portion, and a gas outlet. Thus, the first processing unit can suitably hold the substrate. Thus, the first processing unit can suitably process the substrate.
기판 처리 장치는, 제1 처리 유닛에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제1 반송 기구는, 흡인부와 흡인 조정부를 구비한다. 흡인 조정부가 흡인부에 공급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흡인 조정부는 흡인부의 흡인력을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a substrate to a first processing unit. A 1st conveyance mechanism is equipped with a suction part and a suction adjustment part. By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gas supplied by the suction controller to the suction unit, the suction controller can suitably adjust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unit.
기판 처리 장치는, 제1 처리 유닛과 제1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제1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의 형상에 따라, 흡인 조정부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제1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의 형상에 따라,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바꾼다. 따라서, 기판의 형상에 관계없이, 흡인부는, 적절한 흡인력으로, 기판을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first processing unit and a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c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flow rate of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refor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can attract the substrate with an appropriate suction force.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appropriately convey the board|substrate.
이상과 같이, 본 기판 처리 장치에 의하면,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the substrate can be conveyed appropriately.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는, 기판의 주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의 주부(主部)의 두께에 따라,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ler changes the flow rate of the gas supplied to the su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portion of the substrate located insid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기판의 주부의 두께에 관계없이, 흡인부는, 적절한 흡인력으로, 기판을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의 주부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can attract the substrate with an appropriate suction force. Therefore,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main portion of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기판은,the substrate,
기판의 주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의 주부가 기판의 상기 주연부보다 패임으로써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고, 또한, 유리제의 보호 플레이트를 갖지 않는 제1 기판과,A first substrate having a concave portion formed by a main portion of the substrate located insid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being dente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having no glass protective plate;
상기 오목부를 갖지 않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a second substrate not having the concave portion;
제1 반송 기구가 상기 제1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제1 유량으로 조정하고,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ransports the first substrate, the control unit adjusts a flow rate of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to a first flow rate;
제1 반송 기구가 상기 제2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2 유량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ransports the second substrate, the control unit preferably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to a second flow rate greater than the first flow rate.
흡인부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각각, 적절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반송하는 기판이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어느 쪽이어도,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can attract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with an appropriate suction force. Therefore, even if the substrate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either the first substrate or the second substrate,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기판은,the substrate,
기판의 주연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의 주부가 기판의 상기 주연부보다 패임으로써 형성되는 오목부를 갖고, 또한, 유리제의 보호 플레이트를 갖지 않는 제1 기판과,A first substrate having a concave portion formed by a main portion of the substrate located insid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being dente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having no glass protective plate;
상기 오목부를 갖고, 또한, 유리제의 보호 플레이트를 갖는 제3 기판을 포함하고,a third substrate having the concave portion and having a glass protective plate;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상기 제1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제1 유량으로 조정하고,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ransports the first substrate, the control unit adjusts a flow rate of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to a first flow rate;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상기 제3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인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상기 제1 유량보다 큰 제3 유량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ransports the third substrate, the controller preferably adjusts a flow rate of gas supplied to the suction unit to a third flow rate higher than the first flow rate.
흡인부는, 제1 기판 및 제3 기판을 각각, 적절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반송하는 기판이 제1 기판 및 제3 기판 중 어느 쪽이어도,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suction unit can attract the first substrate and the third substrate with an appropriate suction force. Therefore, even if the substrate transported by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either the first substrate or the third substrate,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와,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상기 제1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provided;
상기 제1 반송 기구는,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핸드와,hand,
상기 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하고,A ha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and,
상기 핸드는,The hand,
베이스부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기판의 제1 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의 상기 제1 면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하고,a suction portion mounted on the base portion to flow a gas along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o suck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핸드를 제1 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핸드를 상기 제1 속도보다 큰 제2 속도로 이동시키는 기판 처리 장치이다.The controller moves the hand at a first speed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and moves the hand at a second speed higher than the first speed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not conveying the substrate. It is a substrate processing device that moves at high speed.
기판 처리 장치는, 제1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제1 반송 기구는, 핸드를 구비한다. 핸드는, 베이스부와 흡인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핸드는, 기판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 반송 기구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핸드에 의해 지지된 기판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ncludes a hand. The hand has a base part and a suction part. Therefore, the hand can properly support the substrat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is equipped with the hand drive part.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suitably convey the board|substrate supported by the hand.
기판 처리 장치는, 제1 반송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핸드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vement speed of the hand.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핸드의 이동 속도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 흡인부는 기판을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the moving speed of the hand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can appropriately suck the substrate. Therefore, the 1st conveyance mechanism can appropriately convey the board|substrate.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의 이동 속도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의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not conveying the substrate, the moving speed of the hand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not transporting the substrate, the hand movement time can be shortened.
이상과 같이,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an appropriately transport the substrate.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1 속도는, 상기 제2 속도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peed is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second speed.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흡인부는 기판을 한층 더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의 이동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can more appropriately suck the substrate.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not conveying the substrate, the hand movement time can be further shortened.
상술한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핸드를 제1 가속도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핸드를 상기 제1 가속도보다 큰 제2 가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oves the hand at a first acceleration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transporting the substrate, and moves the hand at a second acceleration greater than the first acceleration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not transporting the substrate. It is desirable to move with acceleration.
제어부는, 핸드의 가속도를 제어한다.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핸드의 가속도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흡인부는 기판을 한층 더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의 가속도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의 이동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acceleration of the hand.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the acceleration of the hand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conveying the substrate, the suction portion can more appropriately suck the substrate.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is not conveying the substrate, the acceleration of the hand is relatively large. Therefore, whe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is not transporting the substrate, the hand movement time can be further shortened.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현재의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는 몇 개의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발명이 도시된 대로의 구성 및 방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길 바란다.
도 1은, 실시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기판 처리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제1 기판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제2 기판의 단면도이며, 도 4c는 제3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통상 직경 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대경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캐리어의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장치의 중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핸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핸드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기판 처리 장치의 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재치부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재치부의 선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재치부의 선반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핸드의 저면도이다.
도 16a, 도 16b는 각각, 핸드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흡인부와,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받이부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받이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1 처리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1a, 도 21b는 각각, 위치 조정 핀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22a, 도 22b는 각각, 위치 조정 핀의 측면도이다.
도 23a, 도 23b는 각각, 리프트 핀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2 처리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제2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6a, 도 26b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27a, 도 27b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제어부가 기판의 형상을 취득하는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제어부의 제어 및 반송 기구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0a~도 30d는, 반송 기구가 캐리어의 선반으로부터 기판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a, 도 31b는, 선반에 재치되는 기판과 핸드의 삽입 높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a~도 32d는, 반송 기구가 재치부의 선반으로부터 기판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어부의 제어 및 반송 기구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4a~도 34d는, 반송 기구가 재치부의 선반으로부터 기판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도 35d는, 반송 기구가 재치부의 선반으로부터 기판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a~도 36f는, 반송 기구가 처리 유닛의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건네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a~도 37f는, 반송 기구가 처리 유닛의 기판 유지부로부터 기판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a~도 38d는, 반송 기구가 재치부의 선반에 기판을 두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a~도 39d는, 반송 기구가 재치부의 선반에 기판을 두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제1 처리 유닛의 동작예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1은, 제1 처리 유닛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2는,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처리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처리 유닛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While several forms which are believed to be presently suitable for illustrating the invention are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rrangements and arrangements shown.
1 is a plan view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3 i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ubstrate,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substrate, and FIG.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substrate.
5A is a plan view of a normal-diameter substrate, and FIG. 5B is a plan view of a large-diameter substrate.
6 is a front view of the carrier.
7 is a plan view of a shelf of a carrier.
8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9 is a plan view of the h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hand.
1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portion of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12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portion.
13 is a plan view of the shelf of the mounting unit.
14 is a detailed view of the shelf of the mounting unit.
Fig. 15 is a bottom view of the hand.
16A and 16B are side views of the hand, respectively.
Fig. 17 is a plan view of a suction unit, a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unit, and a receiving unit.
Fig. 18 is a plan view of a receiving part.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20 is a plan view of the first plate.
21A and 21B are plan detail views of a positioning pin, respectively.
22A and 22B are side views of the positioning pin, respectively.
23A and 23B are side views of lift pins, respectively.
2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25 is a plan view of the second plate.
26A and 26B are planar detailed views of the edge contact pins.
27A and 27B are side views of the edge contact pins.
Fig. 28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equence of operations in which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shape of the substrate.
Fig. 2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of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operation of the transport mechanism.
30A to 30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takes a substrate from a shelf of a carrier.
31A and 31B are diagrams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ubstrate placed on a shelf and a hand insertion height.
32A to 32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takes a substrate from the shelf of the placing unit.
Fig. 3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rder of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operation of the transport mechanism.
34A to 34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takes a substrate from the shelf of the placing unit.
35A to 35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takes a substrate from the shelf of the placing unit.
36A to 36F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passes a substrate to a substrate holding unit of a processing unit.
37A to 37F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takes a substrate from the substrate holding unit of the processing unit.
38A to 38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conveying mechanism places a substrate on a shelf of a mounting unit.
39A to 39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mechanism places a substrate on a shelf of a placing unit.
4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41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4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processing unit in a modified embodiment.
4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processing unit in a modified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판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기판 처리 장치의 개요><Overview of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도 1은, 실시형태의 기판 처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에 처리를 행한다.1 is a plan view of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기판(W)은, 예를 들면, 반도체 웨이퍼,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판, 유기 EL(Electroluminescence)용 기판, FPD(Flat Panel Display)용 기판, 광 디스플레이용 기판, 자기 디스크용 기판, 광 디스크용 기판, 광 자기 디스크용 기판, 포토마스크용 기판, 또는, 태양 전지용 기판이다.The substrate W is, for example, a semiconductor wafer, a substrat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 substrate for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a substrate for FPD (Flat Panel Display), a substrate for an optical display, a substrate for a magnetic disk, a substrate for an optical disk, A substrate for a magneto-optical disk, a substrate for a photomask, or a substrate for a solar cell.
기판 처리 장치(1)는, 인덱서부(2)를 구비한다. 인덱서부(2)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캐리어 재치부(3)를 구비한다. 각 캐리어 재치부(3)는 각각, 1개의 캐리어(C)를 재치한다. 캐리어(C)는, 복수 장의 기판(W)을 수용한다. 캐리어(C)는, 예를 들면,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이다. 인덱서부(2)는, 반송 기구(4)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4)는, 모든 캐리어 재치부(3)에 재치되는 캐리어(C)에 액세스 가능하다.The
기판 처리 장치(1)는, 처리 블록(5)을 구비한다. 처리 블록(5)은 인덱서부(2)에 접속된다.The
처리 블록(5)은, 재치부(6)를 구비한다. 재치부(6)는, 복수 장의 기판(W)을 재치한다. 처리 블록(5)은, 복수의 처리 유닛(7)을 구비한다. 각 처리 유닛(7)은 각각, 1장의 기판(W)을 처리한다. 처리 블록(5)은, 반송 기구(8)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8)는, 재치부(6)와 모든 처리 유닛(7)에 액세스 가능하다. 반송 기구(8)는, 재치부(6)와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한다.The
재치부(6)는, 반송 기구(4)와 반송 기구(8) 사이에 배치된다. 반송 기구(4)는 재치부(6)에도 액세스 가능하다. 반송 기구(4)는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한다. 재치부(6)는, 반송 기구(4)와 반송 기구(8) 사이에서 반송되는 기판(W)을 재치한다.The mounting
기판 처리 장치(1)는, 제어부(9)를 구비한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 8)와 처리 유닛(7)을 제어한다.The
도 2는, 기판 처리 장치(1)의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 8)와 처리 유닛(7)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제어부(9)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연산 처리의 작업 영역이 되는 RAM(Random-Access Memory), 고정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 등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기억 매체는, 각종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반송 기구(4, 8) 및 처리 유닛(7)의 동작 조건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처리 유닛(7)의 동작 조건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면, 기판(W)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레시피(처리 프로그램)이다. 기억 매체는, 예를 들면, 각 기판(W)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기억한다.The
기판 처리 장치(1)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반송 기구(4)는, 캐리어 재치부(3) 상의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한다. 반송 기구(8)는, 재치부(6)로부터 1개의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한다. 처리 유닛(7)은, 기판(W)을 처리한다. 반송 기구(8)는, 처리 유닛(7)으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한다. 반송 기구(4)는, 재치부(6)로부터 캐리어 재치부(3) 상의 캐리어(C)에 기판(W)을 반송한다.An operation example of the
반송 기구(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반송 기구의 예이다. 반송 기구(8)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반송 기구의 예이다. 재치부(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한쪽의 예이다. 처리 유닛(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다른 쪽의 예이다.The
도 1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인덱서부(2)와 처리 블록(5)이 늘어서는 방향을 「전후 방향(X)」이라고 부른다. 전후 방향(X)은 수평이다. 전후 방향(X) 중, 처리 블록(5)으로부터 인덱서부(2)로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른다. 전방과 반대의 방향을 「후방」이라고 부른다. 전후 방향(X)과 직교하는 수평인 방향을 「폭 방향(Y)」 또는 「측방」이라고 부른다. 「폭 방향(Y)」의 한 방향을 적절히 「우방」이라고 부른다. 우방과는 반대의 방향을 「좌방」이라고 부른다.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Z)」이라고 부른다. 상하 방향(Z)은, 전후 방향(X)과 직교하고, 또한, 폭 방향(Y)과 직교한다. 각 도면에서는, 참고로서, 전, 후, 우, 좌, 상, 하를 적절히 나타낸다.See Figure 1. In this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기판(W)의 형상><Shape of Substrate W>
도 3은, 기판(W)의 평면도이다. 기판(W)의 기본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기판(W)은, 얇은 평판 형상을 갖는다. 기판(W)은,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형상을 갖는다. 기판(W)은, 주연부(12)와 주부(13)를 갖는다. 주부(13)는, 주연부(12)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판(W)의 부분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주부(13)에 형성된다. 도 3은, 편의상, 주연부(12)와 주부(13)의 경계를 파선으로 나타낸다.3 is a plan view of the substrate W. The basic shape of the substrate W will be described. The substrate W has a thin flat plate shape. The substrate W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in plan view. The substrate W has a
본 명세서에서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기판(W)을 복수의 종류로 분류한다. 첫째,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따라, 기판(W)을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으로 분류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ubstrate W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ty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Firs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도 4a는, 제1 기판(W1)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제2 기판(W2)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제3 기판(W3)의 단면도이다. 제1 기판(W1)은, 주부(13)가 주연부(12)보다 패임으로써 형성되는 오목부(14)를 포함하고, 또한, 유리제의 보호 플레이트(15)를 포함하지 않는 기판(W)이다. 오목부(14)는, 예를 들면, 연삭 처리(그라인드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제2 기판(W2)은, 오목부(14)를 포함하지 않는 기판(W)이다. 제3 기판(W3)은, 오목부(14)를 포함하고, 또한, 유리제의 보호 플레이트(15)를 포함하는 기판(W)이다. 제1 기판(W1)은, 기판 본체(11)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제1 기판(W1)은, 기판 본체(11)에 더하여, 수지 피막, 수지 테이프, 수지 시트 및 수지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해도 된다. 제2 기판(W2)은, 기판 본체(11)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혹은, 제2 기판(W2)은, 기판 본체(11)에 더하여, 수지 피막, 수지 테이프,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및 보호 플레이트(15)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해도 된다. 제3 기판(W3)은, 기판 본체(11)와 보호 플레이트(15)를 포함한다. 보호 플레이트(15)는, 예를 들면, 기판 본체(11)에 부착된다. 제3 기판(W3)은, 추가로, 수지 피막, 수지 테이프, 수지 시트 및 수지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포함해도 된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bstrate W1.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substrate W2.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ird substrate W3. The first substrate W1 is a substrate W including a
제1 기판(W1)의 주부(13)는, 제2 기판(W2)의 주부(13)보다 얇다. 제1 기판(W1)의 주부(13)는, 제3 기판(W3)의 주부(13)보다 얇다. 제1 기판(W1)은,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보다 강성이 낮다. 제1 기판(W1)은,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보다 휘기 쉽다.The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W1)의 주부(13)는, 두께(T1)를 갖는다. 제2 기판(W2)의 주부(13)는, 두께(T2)를 갖는다. 제3 기판(W3)의 주부(13)는, 두께(T3)를 갖는다. 두께(T1)는, 두께(T2)보다 작다. 두께(T1)는, 두께(T3)보다 작다. 두께(T1)는, 예를 들면, 10[μm] 이상 200[μm] 이하이다. 두께(T2)는, 예를 들면, 60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다. 두께(T3)는, 예를 들면, 800[μm] 이상 1200[μm] 이하이다.Specifically, the
제1 기판(W1)의 주연부(12)는, 두께(T4)를 갖는다. 제2 기판(W2)의 주연부(12)는, 두께(T5)를 갖는다. 제3 기판(W3)의 주연부(12)는, 두께(T6)를 갖는다. 두께(T4)는, 예를 들면, 두께(T5)와 같다. 두께(T4)는, 두께(T6)보다 작다. 두께(T4)는, 예를 들면, 60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다. 두께(T5)는, 예를 들면, 60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다. 두께(T6)는, 예를 들면, 1400[μm] 이상 2200[μm] 이하이다.The
둘째, 기판(W)의 직경(D)에 따라, 기판(W)을 통상 직경 기판(WN)과 대경 기판(WL)으로 분류한다. Second, according to the diameter D of the substrate W, the substrate W is classified into a normal diameter substrate WN and a large diameter substrate WL.
도 5a는, 통상 직경 기판(WN)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대경 기판(WL)의 평면도이다. 통상 직경 기판(WN)은, 직경(D1)을 갖는다. 대경 기판(WL)은, 직경(D2)을 갖는다. 직경(D2)은, 직경(D1)보다 크다.5A is a plan view of the normal diameter substrate WN. 5B is a plan view of the large-diameter substrate WL. The normal diameter substrate WN has a diameter D1. The large-diameter substrate WL has a diameter D2. The diameter D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D1.
직경(D1)은, 예를 들면, 300[mm]이다. 직경(D2)은, 예를 들면, 301[mm]이다.The diameter D1 is, for example, 300 [mm]. The diameter D2 is, for example, 301 [mm].
예를 들면, 제1 기판(W1) 및 제2 기판(W2)은, 통상 직경 기판(WN)에 속한다. 예를 들면, 제3 기판(W3)은, 대경 기판(WL)에 속한다.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W1 and the second substrate W2 belong to the normal diameter substrate WN. For example, the third substrate W3 belongs to the large-diameter substrate WL.
기판 처리 장치(1)는,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을 처리한다. 기판 처리 장치(1)는, 통상 직경 기판(WN) 및 대경 기판(WL)을 처리한다.The
<캐리어(C)><Carrier (C)>
도 6은, 캐리어(C)의 정면도이다. 캐리어(C)는, 용기(21)와 복수의 선반(22)을 구비한다. 선반(22)은, 용기(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선반(22)은, 상하 방향(Z)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은, 서로 근접해 있다.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의 간격은, 예를 들면, 10[mm]이다.6 is a front view of the carrier C. The carrier C includes a
각 선반(22)은 각각, 1장의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재치한다. 선반(22)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한다. 예를 들면, 선반(22)은,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하면(16)과 접한다. 선반(22)은, 기판(W)의 상면(17)과 접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선반(22)은 기판(W)을 지지한다. 선반(22)이 기판(W)을 지지할 때, 선반(22)은, 기판(W)이 선반(22)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On each
각 선반(22)은 각각,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을 구비한다.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은,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은, 수평 방향으로 대향한다.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는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의 간격(E1)은, 기판(W)의 직경(D)보다 작다.Each
도 7은, 캐리어(C)의 선반(22)의 평면도이다. 제1 선반(23)은, 기판(W)의 제1 측부(18)를 지지한다. 제2 선반(24)은, 기판(W)의 제2 측부(19)를 지지한다. 제2 측부(19)는, 기판(W)의 중심(J)에 대해 제1 측부(18)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제1 측부(18) 및 제2 측부(19)는 각각, 기판(W)의 주연부(12)의 일부를 포함한다. 제1 측부(18) 및 제2 측부(19)는 각각, 추가로, 기판(W)의 주부(13)의 일부를 포함해도 된다.7 is a plan view of the
캐리어(C)는, 바코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바코드는, 예를 들면, 캐리어(C)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바코드는, 예를 들면, 캐리어(C) 내의 기판(W)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바코드는, 예를 들면, 용기(21)에 붙여진다.The carrier C has a barcode (not shown). The barcode is, for exampl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arrier C. The barcode is, for exampl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substrate W in the carrier C. A barcode is pasted on the
이하, 기판 처리 장치(1)의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each part of the
<인덱서부(2)><Index West (2)>
도 1을 참조한다. 캐리어 재치부(3)는, 폭 방향(Y)으로 일렬로 늘어선다. 인덱서부(2)는, 바코드 리더(31)를 구비한다. 바코드 리더(31)는, 캐리어 재치부(3)에 재치된 캐리어(C)에 붙여지는 바코드를 판독한다. 바코드 리더(31)는, 예를 들면, 캐리어 재치부(3)에 장착된다.See Figure 1. The
인덱서부(2)는, 반송 스페이스(32)를 구비한다. 반송 스페이스(32)는, 캐리어 재치부(3)의 후방에 배치된다. 반송 스페이스(32)는, 폭 방향(Y)으로 연장된다. 반송 기구(4)는, 반송 스페이스(32)에 설치된다. 반송 기구(4)는, 캐리어 재치부(3)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반송 기구(4)는 핸드(33)와 핸드 구동부(34)를 구비한다. 핸드(33)는, 1장의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지지한다. 핸드(33)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함으로써 기판(W)을 지지한다. 핸드 구동부(34)는, 핸드(33)에 연결된다. 핸드 구동부(34)는, 핸드(33)를 이동시킨다.The conveying
도 1, 도 8을 참조한다. 도 8은, 폭 방향(Y)에 있어서의 기판 처리 장치(1)의 중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핸드 구동부(34)는, 레일(34a)과 수평 이동부(34b)와 수직 이동부(34c)와 회전부(34d)와 진퇴 이동부(34e)를 구비한다. 레일(34a)은,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레일(34a)은, 반송 스페이스(32)의 저부에 배치된다. 레일(34a)은, 폭 방향(Y)으로 연장된다. 수평 이동부(34b)는, 레일(34a)에 지지된다. 수평 이동부(34b)는, 레일(34a)에 대해 폭 방향(Y)으로 이동한다. 수직 이동부(34c)는, 수평 이동부(34b)에 지지된다. 수직 이동부(34c)는, 수평 이동부(34b)에 대해 상하 방향(Z)으로 이동한다. 회전부(34d)는, 수직 이동부(34c)에 지지된다. 회전부(34d)는, 수직 이동부(34c)에 대해 회전한다. 회전부(34d)는, 회전축선(A1) 둘레로 회전한다. 회전축선(A1)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진퇴 이동부(34e)는, 회전부(34d)의 방향에 의해 결정되는 수평인 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See Figures 1 and 8. 8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핸드(33)는 진퇴 이동부(34e)에 고정된다. 핸드(33)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Z)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다. 핸드(33)는, 회전축선(A1)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The
도 9는, 핸드(33)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핸드(33)의 측면도이다. 핸드(33)의 구조를 설명한다. 핸드(33)는, 연결부(35)를 구비한다. 연결부(35)는, 진퇴 이동부(34e)에 접속된다.9 is a plan view of the
핸드(33)는, 2개의 로드(36)를 구비한다. 각 로드(36)는, 연결부(35)에 지지된다. 2개의 로드(36)는, 서로 떨어져 있다. 2개의 로드(36)는 각각,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2개의 로드(36)는 각각, 연결부(35)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2개의 로드(36)는, 서로 평행이다. 각 로드(36)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1 방향(F1)이라고 한다. 제1 방향(F1)은, 수평이다. 제1 방향(F1)은, 진퇴 이동부(34e)가 회전부(34d)에 대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같다. 제1 방향(F1)과 직교하는 수평인 방향을 제2 방향(F2)이라고 한다. 2개의 로드(36)는, 제2 방향(F2)으로 늘어선다.The
제2 방향(F2)에 있어서의 2개의 로드(36)의 전체의 길이(L1)는, 간격(E1)보다 작다. 이 때문에, 2개의 로드(36)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마주 보는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 사이를, 상하 방향(Z)으로 통과 가능하다.The total length L1 of the two
각 로드(36)는, 기판(W)의 직경(D)과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즉, 제1 방향(F1)에 있어서의 로드(36)의 길이(L2)는, 기판(W)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Each
각 로드(36)는 각각, 가늘다. 즉, 제2 방향(F2)에 있어서의 1개의 로드(36)의 길이(L3)는 작다. 길이(L3)는, 예를 들면, 10[mm]이다. 길이(L3)는, 제1 방향(F1)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즉, 길이(L3)는, 로드(36)의 기단부로부터 로드(36)의 선단부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 각 로드(36)는, 제1 방향(F1)에 걸쳐 대략 일정한 단면형상을 갖는다. 즉, 로드(36)의 단면형상은, 로드(36)의 기단부로부터 로드(36)의 선단부에 걸쳐 대략 일정하다.Each
핸드(33)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접촉부(37)를 구비한다. 접촉부(37)는, 각 로드(36)에 장착된다. 각 접촉부(37)는, 각 로드(3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각 접촉부(37)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 접촉부(37)는,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하면(16)과 접한다. 이에 의해, 핸드(33)는 1장의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지지한다. 각 접촉부(37)는, 기판(W)의 상면(17)과 접하지 않는다. 핸드(33)는, 기판(W)이 핸드(33)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핸드(33)가 기판(W)을 지지할 때, 접촉부(37)와 로드(36)는, 평면에서 봤을 때 기판(W)과 겹친다.The
핸드(33)는, 기판 검출부(38)를 구비한다. 기판 검출부(38)는,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을 검출한다. 기판 검출부(38)는, 로드(36)에 장착된다.The
도 2를 참조한다. 바코드 리더(31)는, 제어부(9)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반송 기구(4)의 핸드 구동부(34) 및 기판 검출부(38)는, 제어부(9)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부(9)는, 바코드 리더(31) 및 기판 검출부(38)의 검출 결과를 받는다. 제어부(9)는, 핸드 구동부(34)를 제어한다.See Figure 2. The
<처리 블록(5)><processing block (5)>
도 1을 참조한다. 처리 블록(5)의 각 요소의 배치를 설명한다. 처리 블록(5)은, 반송 스페이스(41)를 구비한다. 반송 스페이스(41)는, 폭 방향(Y)에 있어서의 처리 블록(5)의 중앙에 배치된다. 반송 스페이스(41)는, 전후 방향(X)으로 연장된다. 반송 스페이스(41)는, 인덱서부(2)의 반송 스페이스(32)와 접해 있다.See Figure 1. Arrangement of each element of
재치부(6)와 반송 기구(8)는, 반송 스페이스(41)에 설치된다. 재치부(6)는, 반송 기구(8)의 전방에 배치된다. 재치부(6)는, 반송 기구(4)의 후방에 배치된다. 재치부(6)는, 반송 기구(4)와 반송 기구(8) 사이에 배치된다.The mounting
처리 유닛(7)은, 반송 스페이스(41)의 양측에 배치된다. 처리 유닛(7)은, 반송 기구(8)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처리 블록(5)은, 제1 처리 섹션(42)과 제2 처리 섹션(43)을 구비한다. 제1 처리 섹션(42)과 반송 스페이스(41)와 제2 처리 섹션(43)은, 폭 방향(Y)으로 이 순번으로 늘어선다. 제1 처리 섹션(42)은, 반송 스페이스(41)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 처리 섹션(43)은, 반송 스페이스(41)의 좌방에 배치된다.The
도 11은, 기판 처리 장치(1)의 좌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제2 처리 섹션(43)에는, 복수의 처리 유닛(7)이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행렬형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섹션(43)에는, 6개의 처리 유닛(7)이 전후 방향(X)으로 2열, 상하 방향(Z)으로 3단으로 늘어선다.1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at portion of the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처리 섹션(42)에는, 복수의 처리 유닛(7)이 전후 방향(X) 및 상하 방향(Z)으로 행렬형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처리 섹션(42)에는, 6개의 처리 유닛(7)이 전후 방향(X)으로 2열, 상하 방향(Z)으로 3단으로 늘어선다.Although illustration is omitted, in the
도 12는, 재치부(6)의 정면도이다. 재치부(6)의 구조를 설명한다. 재치부(6)는, 복수 장의 기판(W)을 재치 가능하다. 재치부(6)는, 복수의 선반(45)과 지지벽(48)을 구비한다. 지지벽(48)은 각 선반(45)을 지지한다. 선반(45)은, 상하 방향(Z)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된다.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은, 서로 근접해 있다.12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각 선반(45)은 각각, 1장의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재치한다. 선반(45)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한다. 예를 들면, 선반(45)은,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하면(16)과 접한다. 선반(45)은, 기판(W)의 상면(17)과 접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선반(45)은, 기판(W)을 지지한다. 선반(45)이 기판(W)을 지지할 때, 선반(45)은, 기판(W)이 선반(45)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On each
각 선반(45)은 각각,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을 구비한다.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은,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은, 수평 방향(구체적으로는 폭 방향(Y))으로 대향한다.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는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의 간격(E2)은, 기판(W)의 직경(D)보다 작다. 간격(E2)은, 길이(L1)보다 크다.Each
도 13은, 재치부(6)의 선반(45)의 평면도이다. 제1 선반(46)은, 기판(W)의 제1 측부(18)를 지지한다. 제2 선반(47)은, 기판(W)의 제2 측부(19)를 지지한다.13 is a plan view of the
도 14는, 재치부(6)의 선반(45)의 상세도이다. 제1 선반(46)은, 제1 경사면(51)을 갖는다. 제2 선반(47)은, 제2 경사면(55)을 구비한다.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은, 서로 떨어져 있다. 제2 경사면(55)은, 제1 경사면(51)과 수평 방향(구체적으로는 폭 방향(Y))으로 대향한다.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은, 정면에서 봤을 때, 좌우 대칭이다.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은, 전후 방향(X)에서 봤을 때, 좌우 대칭이다. 제1 경사면(51)은, 기판(W)의 제1 측부(18)와 접한다. 제2 경사면(55)은, 기판(W)의 제2 측부(19)와 접한다.14 is a detailed view of the
간격(E2)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의 간격에 상당한다. 간격(E2)은, 하방을 향해 감소한다.The distance E2 correspond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제1 경사면(51)은, 상단(51T)을 갖는다. 제2 경사면(55)은, 상단(55T)을 갖는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51T)과 상단(55T)의 간격(ET)은, 기판(W)의 직경(D)보다 크다. 예를 들면, 간격(ET)은, 306[mm]이다. 예를 들면, 간격(ET)과 기판(W)의 직경(D)의 차는, 기판(W)의 직경의 1[%] 이상이다. 예를 들면, 간격(ET)과 기판(W)의 직경(D)의 차는, 2[mm] 이상이다.The first
제1 경사면(51)은, 하단(51B)을 갖는다. 제2 경사면(55)은, 하단(55B)을 갖는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하단(51B)과 하단(55B)의 간격(EB)은, 간격(ET)보다 좁다. 간격(EB)은, 기판(W)의 직경(D)보다 작다.The first
제1 경사면(51)의 각도는, 제1 경사면(51)의 전체에 걸쳐 일정하지 않다. 제1 경사면(51)은, 상측 경사면(52)과 하측 경사면(53)을 갖는다. 하측 경사면(53)은, 상측 경사면(52)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측 경사면(53)은, 상측 경사면(52)의 하단에 접한다. 상측 경사면(52)은, 수평면에 대해 제1 각도(θ1)로 경사진다. 하측 경사면(53)은, 수평면에 대해 제2 각도(θ2)로 경사진다. 제2 각도(θ2)는, 제1 각도(θ1)보다 작다. 하측 경사면(53)은, 상측 경사면(52)보다 수평에 가깝다.The angle of the first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55)은, 상측 경사면(56)과 하측 경사면(57)을 갖는다. 제2 경사면(55)은, 좌우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제1 경사면(51)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측 경사면(56) 및 하측 경사면(57)도 각각 좌우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상측 경사면(52) 및 하측 경사면(53)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Similarly, the second
제1 경사면(51)은, 중간점(51M)을 갖는다. 중간점(51M)은, 상측 경사면(52)과 하측 경사면(53)의 접속 위치이다. 제2 경사면(55)은, 중간점(55M)을 갖는다. 중간점(55M)은, 상측 경사면(56)과 하측 경사면(57)의 접속 위치이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점(51M)과 중간점(55M)의 간격(EM)은, 기판(W)의 직경(D)과 대략 동일하다.The first
도 1, 도 7을 참조한다. 반송 기구(8)의 구조를 설명한다.See FIGS. 1 and 7 . The structure of the
반송 기구(8)는 핸드(61)와 핸드 구동부(62)를 구비한다. 핸드(61)는, 1장의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지지한다. 핸드 구동부(62)는, 핸드(61)에 연결된다. 핸드 구동부(62)는, 핸드(61)를 이동시킨다.The conveying
핸드 구동부(62)는, 지주(62a)와 수직 이동부(62b)와 회전부(62c)와 진퇴 이동부(62d)를 구비한다. 지주(62a)는,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지주(62a)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된다. 수직 이동부(62b)는, 지주(62a)에 지지된다. 수직 이동부(62b)는, 지주(62a)에 대해 상하 방향(Z)으로 이동한다. 회전부(62c)는, 수직 이동부(62b)에 지지된다. 회전부(62c)는, 수직 이동부(62b)에 대해 회전한다. 회전부(62c)는, 회전축선(A2) 둘레로 회전한다. 회전축선(A2)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진퇴 이동부(62d)는, 회전부(62c)의 방향에 의해 정해지는 수평인 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The
핸드(61)는, 진퇴 이동부(62d)에 고정된다. 핸드(61)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Z)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다. 핸드(61)는, 회전축선(A2)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The
도 15는, 핸드(61)의 저면도이다. 도 16a, 도 16b는, 핸드(61)의 측면도이다. 핸드(61)의 구조를 설명한다. 핸드(61)는, 연결부(64)를 구비한다. 연결부(64)는, 진퇴 이동부(62d)에 접속된다.Fig. 15 is a bottom view of the
핸드(61)는, 베이스부(65)를 구비한다. 베이스부(65)는, 연결부(64)에 지지된다. 베이스부(65)는, 연결부(64)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The
베이스부(65)는, 2개의 가지부(66)를 포함한다. 각 가지부(66)는, 서로 떨어져 있다. 각 가지부(66)는, 연결부(64)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가지부(66)가 연장되는 방향을 제3 방향(F3)이라고 한다. 제3 방향(F3)은, 수평이다. 제3 방향(F3)은, 진퇴 이동부(62d)가 회전부(62c)에 대해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같다. 제3 방향(F3)과 직교하는 수평인 방향을 제4 방향(F4)이라고 한다. 2개의 가지부(66)는, 제4 방향(F4)으로 늘어선다. 2개의 가지부(66)는, 평면에서 봤을 때, 2개의 가지부(66) 사이를 통과해, 제3 방향(F3)과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 선대칭이다. 각 가지부(66)는, 만곡하고 있다. 각 가지부(66)는, 서로 이반되도록 만곡하는 부분을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각 가지부(66)는, 제4 방향(F4)의 외방으로 부풀어 오르도록 만곡한 부분을 갖는다.The
핸드(61)는, 흡인부(68)를 구비한다. 흡인부(68)는, 베이스부(65)에 장착된다. 흡인부(68)는, 기체를 취출한다. 흡인부(68)는, 기체를 하방으로 취출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기체를 기판(W)으로 취출한다. 여기서, 「기판(W)의 상방의 위치」란, 기판(W)보다 높은 위치이며, 평면에서 봤을 때 기판(W)과 겹치는 위치이다. 도 15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으로 기체를 취출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이에 의해, 흡인부(68)는, 기판(W)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W)을 흡인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체가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흐름으로써 부압이 형성된다. 즉, 기판(W)의 상면(17)이 받는 기압은, 기판(W)의 하면(16)이 받는 기압보다 작다.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기판(W)에 상향의 힘이 작용한다. 즉, 기판(W)이 상방으로 흡인된다. 기판(W)은 흡인부(68)를 향해 흡인된다. 단, 흡인부(68)는, 흡인부(68)가 흡인하는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 베이스부(65)도,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The
흡인부(68)는, 복수(6개)의 흡인 패드(69)를 포함한다. 각 흡인 패드(69)는, 베이스부(65)의 하면에 설치된다. 흡인 패드(69)는, 베이스부(65)에 매설된다. 각 흡인 패드(69)는, 서로 떨어져 있다. 각 흡인 패드(69)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중심(J)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The
각 흡인 패드(69)는,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이다. 각 흡인 패드(69)는, 상하 방향(Z)과 평행한 중심축심을 갖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각 흡인 패드(69)는, 하방으로 개방된 하부를 갖는다. 흡인 패드(69)는, 흡인 패드(69)의 하부로부터 기체를 취출한다. 흡인 패드(69)는, 선회류를 형성해도 된다. 선회류는, 흡인 패드(69)의 내부에 있어서 흡인 패드(69)의 중심축선 둘레로 선회하는 기류이다. 예를 들면, 흡인 패드(69)가 기체를 취출하기 전에, 흡인 패드(69)는, 선회류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흡인 패드(69)는 선회류를 형성하고, 그 후, 흡인 패드(69)는 선회류를 흡인 패드(69)의 외부로 방출해도 된다.Each
반송 기구(8)는, 기체 공급로(71)를 구비한다. 기체 공급로(71)는,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기체 공급로(71)는,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기체 공급로(71)의 제1 단은, 기체 공급원(72)에 접속된다. 기체 공급로(71)의 제2 단은, 흡인부(68)에 접속된다. 기체 공급로(71)의 제2 단은, 각 흡인 패드(69)에 접속된다.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나 공기이다.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는, 예를 들면, 고압 가스 또는 압축 가스이다.The
반송 기구(8)는, 흡인 조정부(73)를 구비한다. 흡인 조정부(73)는, 기체 공급로(71)에 설치된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공급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즉,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무단계로 조정해도 된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조정해도 된다. 흡인부(68)에 공급하는 기체의 유량이 커짐에 따라, 기판(W)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커진다. 흡인 조정부(73)는, 예를 들면, 유량 조정 밸브를 포함한다. 흡인 조정부(73)는, 추가로, 개폐 밸브를 포함해도 된다.The
핸드(61)는, 접촉부(74)를 구비한다. 접촉부(74)는, 베이스부(65)의 하면에 장착된다. 접촉부(74)는, 베이스부(6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접촉부(74)는, 흡인부(68)보다 낮은 위치까지 돌출한다. 접촉부(74)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접촉부(74)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부(74)는,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상면(17)과 접촉한다. 접촉부(74)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하지 않는다. 접촉부(74) 자체는, 기판(W)이 접촉부(74)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흡인부(68)가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접촉부(74)가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함으로써 기판(W)은 지지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즉, 흡인부(68)가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접촉부(74)가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함으로써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한다.The
접촉부(74)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중심(J)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접촉부(74)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된다.The
접촉부(74)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1 접촉부(75)와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2 접촉부(76)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75)의 위치는, 저면에서 봤을 때, 후술하는 제1 받이부(82)의 위치와 대략 같다. 제1 접촉부(75)와 제2 접촉부(76)는,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접촉부(75)는, 베이스부(65)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제1 접촉부(75)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제2 접촉부(76)는, 베이스부(65)의 기단부에 장착된다. 제2 접촉부(76)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The
핸드(61)는, 벽부(77)를 구비한다. 벽부(77)는, 베이스부(65)의 하면에 장착된다. 벽부(77)는, 베이스부(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벽부(77)는, 접촉부(74)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벽부(77)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벽부(77)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벽부(77)는,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측방에 배치된다. 벽부(77)는,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 단, 기판(W)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치 이상 어긋났을 때, 벽부(77)는 기판(W)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벽부(77)는, 기판(W)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치 이상 어긋나는 것을 규제한다. 소정치는, 예를 들면, 3[mm]이다.The
벽부(77)는, 접촉부(74)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중심(J)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벽부(77)는, 접촉부(74)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된다.The
벽부(77)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1 벽부(78)와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2 벽부(79)를 포함한다. 제1 벽부(78)와 제2 벽부(79)는, 베이스부(65)에 고정된다. 제1 벽부(78)와 제2 벽부(79)는,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벽부(78)는, 베이스부(65)의 선단부에 장착된다. 제1 벽부(78)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벽부(79)는, 베이스부(65)의 기단부에 장착된다. 제2 벽부(79)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The
제1 벽부(78)는, 제1 접촉부(75)와 접속된다. 제1 벽부(78)는, 제1 접촉부(7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2 벽부(79)는, 제2 접촉부(76)와 접속된다. 제2 벽부(79)는, 제2 접촉부(7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The
핸드(61)는, 받이부(81)를 구비한다. 받이부(81)는, 베이스부에 지지된다. 받이부(81)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방에 배치된다. 받이부(81)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 받이부(81)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즉, 받이부(81)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 가능하다. 받이부(81)는, 기판(W)을 지지할 수 있다. 받이부(81)는,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하지 않는다. 받이부(81)는, 기판(W)이 받이부(8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받이부(81)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1 받이부(82)를 구비한다.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지지된다.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고정된다.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다. 제1 받이부(82)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즉, 제1 받이부(82)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 가능하다.The receiving
제1 받이부(82)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중심(J)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의 선단부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receiving
제1 받이부(82)는, 제1 접촉부(75)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접촉부(75)와 겹친다.The
제1 받이부(82)는, 제1 벽부(78)에 접속된다. 제1 받이부(82)는, 제1 벽부(78)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벽부(78)로부터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중심(J)을 향해 연장된다.The
상술한 제1 접촉부(75)와 제1 벽부(78)와 제1 받이부(82)는, 일체로 성형된 부재이다. 제1 접촉부(75)와 제1 벽부(78)와 제1 받이부(82)는, 서로 분리 불가능하다. 제2 접촉부(76)와 제2 벽부(79)는, 일체로 성형된 부재이다. 제2 접촉부(76)와 제2 벽부(79)는, 서로 분리 불가능하다.The
받이부(81)는,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2 받이부(83)를 구비한다.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에 지지된다.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즉,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 가능하다.The receiving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중심(J)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보다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의 기단부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보다 연결부(6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2개의 가지부(66)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받이부(83)는, 2개의 제2 접촉부(76) 사이에 배치된다.The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도 15는, 탈락 방지 위치에 있는 제2 받이부(83)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5는, 퇴피 위치에 있는 제2 받이부(83)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받이부(83)는 제1 받이부(82)에 접근한다.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받이부(83)는 제1 받이부(82)로부터 멀어진다.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다.The 2nd receiving
도 17은, 흡인부(68)와,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받이부(81)의 평면도이다. 도 17에서는,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에 위치한다. 제1 받이부(82)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제2 받이부(83)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에 흡인된 기판(W)의 중심(J)에 대해, 제1 받이부(82)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17 is a plan view of the
도 18은, 받이부(81)의 평면도이다. 도 18에서는, 제2 받이부(83)는 퇴피 위치에 위치한다.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 사이의 스페이스는, 기판(W)보다 크다.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기판(W)은, 수평 자세로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 사이를 상하 방향(Z)으로 통과 가능하다. 도 18에서는, 편의상, 기판(W)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에 나타나는 기판(W)의 위치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위치와는 상이하다.18 is a plan view of the receiving
도 15, 도 16a, 도 16b를 참조한다. 벽부(77)는, 추가로, 제3 벽부(80)를 포함한다. 제3 벽부(80)는, 제2 받이부(83)에 접속된다. 제3 벽부(80)는, 제2 받이부(8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2 받이부(83)는, 제3 벽부(8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3 벽부(80)로부터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중심(J)을 향해 연장된다.See FIGS. 15, 16A, and 16B. The
제2 받이부(83)와 제3 벽부(80)는, 일체로 성형된 부재이다. 제2 받이부(83)와 제3 벽부(80)는, 서로 분리 불가능하다. 제2 받이부(83)와 제3 벽부(80)는, 일체로 이동한다. 제3 벽부(80)도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The 2nd receiving
핸드(61)는, 받이부 구동부(86)를 구비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65)에 지지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와 연결한다. 예를 들면, 받이부 구동부(86)는, 제3 벽부(80)를 개재하여, 제2 받이부(83)와 연결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제3 방향(F3)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제1 받이부(82)에 접근시키고, 또한, 제2 받이부(83)를 제1 받이부(82)로부터 이반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탈락 방지 위치와 퇴피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The
받이부 구동부(86)는, 액추에이터(87)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87)는, 액추에이터(87)에 입력된 동력원에 의해,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액추에이터(87)는,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키고, 또한, 탈락 방지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액추에이터(87)는, 예를 들면, 에어 실린더이다. 에어 실린더의 동력원은, 공기압이다. 액추에이터(87)는, 예를 들면, 전동 모터이다. 전동 모터의 동력원은, 전력이다.The receiving
받이부 구동부(86)는, 추가로, 탄성 부재(88)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88)는, 제2 받이부(83)를,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한다. 탄성 부재(88)는, 예를 들면,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88)는, 액추에이터(87)의 외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혹은, 탄성 부재(88)는, 액추에이터(87)의 내부에 배치되어도 된다.The receiving
액추에이터(87)의 동력원이 정지했을 때, 제2 받이부(83)는, 탄성 부재(88)에 의해, 퇴피 위치에 유지된다.When the power source of the
핸드(61)는, 기판 검출부(89)를 구비한다. 기판 검출부(89)는, 핸드(61)에 지지되는 기판(W)을 검출한다. 기판 검출부(89)는, 베이스부(65)에 장착된다.The
도 2를 참조한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의 핸드 구동부(62), 흡인 조정부(73), 받이부 구동부(86)(액추에이터(87)) 및 기판 검출부(89)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부(9)는, 기판 검출부(89)의 검출 결과를 받는다. 제어부(9)는, 핸드 구동부(62), 흡인 조정부(73) 및 받이부 구동부(86)(액추에이터(87))를 제어한다.See Figure 2. The
도 1, 도 11을 참조한다. 처리 유닛(7)의 기본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각 처리 유닛(7)은, 기판 유지부(91)와 회전 구동부(92)와 가드(93)를 구비한다. 기판 유지부(91)는, 1장의 기판(W)을 유지한다. 기판 유지부(91)는, 기판(W)을 수평 자세로 유지한다. 회전 구동부(92)는, 기판 유지부(91)에 연결된다. 회전 구동부(92)는, 기판 유지부(91)를 회전시킨다. 가드(93)는, 기판 유지부(91)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가드(93)는, 처리액을 받는다.See FIGS. 1 and 11 . The basic structure of the
처리 유닛(7)은, 기판 유지부(91)의 구조에 따라, 제1 처리 유닛(7A)과 제2 처리 유닛(7B)으로 분류된다. 제1 처리 유닛(7A)의 기판 유지부(91)는, 베르누이 척, 또는, 베르누이 그리퍼로 불린다. 베르누이 척은, 비교적 얇은 기판(W)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제2 처리 유닛(7B)의 기판 유지부(91)는, 메커니컬 척, 또는, 메커니컬 그리퍼로 불린다. 메커니컬 척은, 비교적 두꺼운 기판(W)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The
예를 들면, 제1 처리 섹션(42)에 배치되는 6개의 처리 유닛(7)은 각각, 제1 처리 유닛(7A)이다. 예를 들면, 제2 처리 섹션(43)에 배치되는 6개의 처리 유닛(7)은 각각, 제2 처리 유닛(7B)이다.For example, each of the six
이하에서는, 제1 처리 유닛(7A)의 기판 유지부(91)를, 적절히 「제1 기판 유지부(91A)」라고 표기한다. 제1 처리 유닛(7A)의 회전 구동부(92)를, 적절히 「제1 회전 구동부(92A)」라고 표기한다. 제2 처리 유닛(7B)의 기판 유지부(91)를, 적절히 「제2 기판 유지부(91B)」라고 표기한다. 제2 처리 유닛(7B)의 회전 구동부(92)를, 적절히 「제2 회전 구동부(92B)」라고 표기한다.Below, the
도 19는, 제1 처리 유닛(7A)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가드(93)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1 처리 유닛(7A)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7A. 19, illustration of the
제1 기판 유지부(91A)는, 제1 플레이트(101)를 구비한다. 제1 플레이트(101)는, 대략 원반형상을 갖는다. 제1 플레이트(101)는, 상면(102)을 갖는다. 상면(102)은, 대략 수평이다. 상면(102)은, 대략 평탄하다.The
제1 회전 구동부(92A)는, 제1 플레이트(101)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1 회전 구동부(92A)는, 제1 플레이트(101)를 회전시킨다. 제1 회전 구동부(92A)에 의해, 제1 플레이트(101)는, 회전축선(A3) 둘레로 회전한다. 회전축선(A3)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회전축선(A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중심을 통과한다.The first
도 20은, 제1 플레이트(101)의 평면도이다.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이다.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은, 평면에서 봤을 때, 기판(W)보다 크다.20 is a plan view of the
제1 기판 유지부(91A)는, 복수(예를 들면 30개)의 고정 핀(103)을 구비한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을 지지한다. 각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에 고정된다. 각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이동 불가능하다. 각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다. 각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부를 갖지 않는다.The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고정 핀(103)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선(A3)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 각 고정 핀(103)은, 서로 떨어져 있다.The fixing
도 19, 도 20을 참조한다.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핀(103)은,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하면(16)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보다 높은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한다. 도 20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을 파선으로 나타낸다.See Figures 19 and 20. The fixing
고정 핀(103)은,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하지 않는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이 고정 핀(103)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하지 않는다. 고정 핀(103) 자체는, 기판(W)이 고정 핀(103)에 대해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고정 핀(103) 자체는, 기판(W)을 유지하지 않는다.The fixing
제1 기판 유지부(91A)는, 기체 취출구(104)를 구비한다. 기체 취출구(104)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에 형성된다. 기체 취출구(104)는, 평면에서 봤을 때,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기체 취출구(104)는, 상방으로 기체를 취출한다. 기체 취출구(104)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 사이에, 기체를 취출한다. 기체 취출구(104)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방의 위치로부터 기판(W)으로 기체를 취출한다. 기체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 사이에 공급된다. 기체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을 따라 흐른다. 이에 의해, 기체 취출구(104)는, 기판(W)을 흡인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체가 기판(W)의 하면(16)을 따라 흐름으로써 부압이 형성된다. 즉, 기판(W)의 하면(16)이 받는 기압은, 기판(W)의 상면(17)이 받는 기압보다 작다.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기판(W)에 하향의 힘이 작용한다. 즉, 기판(W)이 하방으로 흡인된다. 기판(W)은 기체 취출구(104) 및 제1 플레이트(101)를 향해 흡인된다. 단, 기체 취출구(104)는,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 제1 플레이트(101)도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The
기체 취출구(104)가 기판(W)을 하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고정 핀(103)이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함으로써 기판(W)은 지지되고, 또한,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기판(W)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의해, 기판(W)은 고정 핀(10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즉, 기체 취출구(104)가 기판(W)을 하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고정 핀(103)이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함으로써 제1 기판 유지부(91A)는, 기판(W)을 유지한다.The
기체 취출구(104)는, 1개의 제1 취출구(105)와 복수의 제2 취출구(106)를 구비한다. 제1 취출구(105)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제1 취출구(105)는, 회전축선(A3) 상에 배치된다. 제2 취출구(106)는, 제1 취출구(105)보다 회전축선(A3)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된다. 제2 취출구(106)는, 고정 핀(103)보다 회전축선(A3)의 경방향 내방에 배치된다. 제2 취출구(106)는,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선(A3)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The
제1 처리 유닛(7A)은, 제1 기체 공급로(107)와 제2 기체 공급로(108)를 구비한다. 제1 기체 공급로(107)는, 제1 취출구(105)에 기체를 공급한다. 제2 기체 공급로(108)는, 제2 취출구(106)에 기체를 공급한다. 제1 기체 공급로(107)의 일부 및 제2 기체 공급로(108)의 일부는, 제1 플레이트(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기체 공급로(107)는,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제1 기체 공급로(107)의 제1 단은, 기체 공급원(109)에 접속된다. 제1 기체 공급로(107)의 제2 단은, 제1 취출구(105)에 접속된다. 제2 기체 공급로(108)는,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제2 기체 공급로(108)의 제1 단은, 기체 공급원(109)에 접속된다. 제2 기체 공급로(108)의 제2 단은, 제2 취출구(106)에 접속된다. 제1 취출구(105) 및 제2 취출구(106)에 공급되는 기체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나 공기이다. 제1 취출구(105) 및 제2 취출구(106)에 공급되는 기체는, 예를 들면, 고압 가스 또는 압축 가스이다.The
제1 처리 유닛(7A)은, 제1 취출 조정부(111)와 제2 취출 조정부(112)를 구비한다. 제1 취출 조정부(111)는, 제1 기체 공급로(107)에 설치된다.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제2 기체 공급로(108)에 설치된다. 제1 취출 조정부(111)는,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즉, 제1 취출 조정부(111)는, 제1 취출구(105)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제2 취출구(106)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즉,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제2 취출구(106)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이 커짐에 따라, 기판(W)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커진다. 제2 취출구(106)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이 커짐에 따라, 기판(W)에 작용하는 흡인력은 커진다.The
제1 취출 조정부(111)는, 제2 취출구(106)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 불가능하다.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 불가능하다. 제1 취출 조정부(111)와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과, 제2 취출구(106)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을, 서로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제1 취출 조정부(111)와 제2 취출 조정부(112)는 각각, 예를 들면, 유량 조정 밸브를 포함한다. 제1 취출 조정부(111)와 제2 취출 조정부(112)는 각각, 추가로, 개폐 밸브를 포함해도 된다.The first blow-out
도 20을 참조한다. 처리 유닛(7)은, 복수(예를 들면 6개)의 위치 조정 핀(113)을 구비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제1 플레이트(101)에 지지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위치 조정 핀(113)이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과 접촉할 수 있고, 또한,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 가능하다.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의 위치를 조정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W)의 위치를 조정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중심(J)을 회전축선(A3) 상에 위치시킨다.See Figure 20. The
본 명세서에서는, 기판(W)과 접촉하고 있는 위치 조정 핀(113)의 위치를 「조정 위치」라고 한다. 기판(W)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 조정 핀(113)의 위치를 「퇴피 위치」라고 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조정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on of the
위치 조정 핀(11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위치 조정 핀(113)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선(A3)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과 대략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Positioning pins 113 are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도 21a, 도 21b는, 위치 조정 핀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22a, 도 22b는, 위치 조정 핀의 측면도이다. 도 21a, 도 22a는, 퇴피 위치에 있는 위치 조정 핀(113)을 나타낸다. 도 21b, 도 22b는, 조정 위치에 있는 위치 조정 핀(113)을 나타낸다. 각 위치 조정 핀(113)은 각각, 축부(114)에 고정된다. 축부(114)는, 위치 조정 핀(11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축부(114)는, 제1 플레이트(101)에 지지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축부(114)를 개재하여, 제1 플레이트(101)에 지지된다. 축부(114)는,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축부(114)는, 회전축선(A4)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축선(A4)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회전축선(A4)은, 축부(114)의 중심을 통과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회전축선(A4)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 축부(114)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위치 조정 핀(113)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조정 핀(113)은, 회전축선(A4) 둘레로 선회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위치 조정 핀(113)은, 회전축선(A3)에 가까워지고, 또한, 회전축선(A3)으로부터 멀어진다. 위치 조정 핀(113)이 회전축선(A3)에 가까워짐으로써 위치 조정 핀(113)은 조정 위치로 이동한다. 위치 조정 핀(113)이 조정 위치에 있을 때,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접촉한다. 또한, 위치 조정 핀(113)은, 위치 조정 핀(113)과 접촉하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회전축선(A3)을 향해 누른다.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위치 조정 핀(113)이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누름으로써 기판(W)은 소정의 위치로 조정된다. 위치 조정 핀(113)이 회전축선(A3)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위치 조정 핀(113)은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위치 조정 핀(113)이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로부터 떨어져 있다. 위치 조정 핀(113)이 퇴피 위치에 있을 때,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된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다.21A and 21B are planar detailed views of positioning pins. 22A and 22B are side views of positioning pins. 21A and 22A show the
도 20을 참조한다. 처리 유닛(7)은,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리프트 핀(116)을 구비한다. 리프트 핀(116)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리프트 핀(116)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선(A3)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See Figure 20. The
도 23a, 도 23b는, 리프트 핀(116)의 측면도이다. 리프트 핀(116)은, 제1 플레이트(101)에 지지된다. 리프트 핀(116)은,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지지한다. 리프트 핀(116)은, 리프트 핀(116)이 지지하는 기판(W)을, 상하 방향(Z)으로 이동시킨다.23A and 23B are side views of the lift pins 116. The lift pins 116 are supported by the
도 23a는, 상측 위치에 있는 리프트 핀(116)을 나타낸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상측 위치는, 고정 핀(103)보다 높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 가능하다. 리프트 핀(116)이 상측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할 때, 기판(W)은 고정 핀(103)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23A shows the lift pins 116 in the upper position. The
도 23b를 참조한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기판(W)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넨다. 이와 같이, 리프트 핀(116)이 기판(W)을 지지한 상태에서 리프트 핀(116)이 상측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넨다. 리프트 핀(116)이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넨 후, 리프트 핀(116)은 추가로 제1 플레이트(101)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해,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See FIG. 23B. The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과 접촉하지 않는 리프트 핀(116)의 위치를 하측 위치라고 한다. 도 23b는, 하측 위치에 있는 리프트 핀(116)을 나타낸다. 하측 위치는, 상측 위치보다 낮다. 리프트 핀(116)은, 하측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on of the lift pins 116 not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W supported by the fixing pins 103 is referred to as a lower position. 23B shows the lift pins 116 in the lower position. The lower position is lower than the upper position. The
리프트 핀(116)이 하측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 핀(103)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When the
이와 같이, 리프트 핀(116)이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네고, 또한, 고정 핀(103)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Thus, the lift pins 116 mov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As a result, the lift pins 116 pass the substrate W to the fixing pins 103 and take the substrate W from the fixing pins 103 .
도 19를 참조한다. 제1 처리 유닛(7A)은, 처리액 공급부(121)를 구비한다. 처리액 공급부(121)는,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한다.See Figure 19. The
처리액 공급부(121)는, 노즐(122)을 구비한다. 노즐(122)은, 처리액을 기판(W)에 토출한다. 노즐(122)은, 처리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9는, 처리 위치에 있는 노즐(122)을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9는, 퇴피 위치에 있는 노즐(122)을 실선으로 나타낸다. 처리 위치는, 제1 기판 유지부(91A)에 유지된 기판(W)의 상방의 위치이다. 노즐(122)이 처리 위치에 있을 때, 노즐(12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기판 유지부(91A)에 유지된 기판(W)과 겹친다. 노즐(122)이 퇴피 위치에 있을 때, 노즐(12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기판 유지부(91A)에 유지된 기판(W)과 겹치지 않는다.The processing
처리액 공급부(121)는, 배관(123)을 구비한다. 배관(123)은, 노즐(122)에 처리액을 공급한다. 배관(123)은,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배관(123)의 제1 단은, 처리액 공급원(124)에 접속된다. 배관(123)의 제2 단은, 노즐(122)에 접속된다.The treatment
제1 처리 유닛(7A)은, 유량 조정부(125)를 구비한다. 유량 조정부(125)는, 배관(123)에 설치된다. 유량 조정부(125)는, 처리액 공급부(121)가 기판(W)에 공급하는 처리액의 유량을 조정한다. 즉, 유량 조정부(125)는, 노즐(122)이 토출하는 처리액의 유량을 조정한다.The
제1 처리 유닛(7A)은, 기판 검출부(127)를 구비한다. 기판 검출부(127)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을 검출한다. 또한, 기판 검출부(127)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위치를 검출한다. 기판 검출부(127)는, 예를 들면,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촬상한다. 기판 검출부(127)는, 예를 들면, 화상 센서이다. 기판 검출부(127)는, 예를 들면, 제1 기판 유지부(91A)의 상방에 배치된다.The
도 2를 참조한다. 제어부(9)는, 제1 처리 유닛(7A)의 제1 회전 구동부(92a), 위치 조정 핀(113), 리프트 핀(116), 제1 취출 조정부(111), 제2 취출 조정부(112), 유량 조정부(125) 및 기판 검출부(127)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부(9)는, 기판 검출부(127)의 검출 결과를 받는다. 제어부(9)는, 제1 회전 구동부(92a), 위치 조정 핀(113), 리프트 핀(116), 제1 취출 조정부(111), 제2 취출 조정부(112) 및 유량 조정부(125)를 제어한다.See Figure 2. The
고정 핀(10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예이다. 위치 조정 핀(11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위치 조정부의 예이다. 리프트 핀(11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승강부의 예이다.The fixing
도 24는, 제2 처리 유닛(7B)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가드(93)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2 처리 유닛(7B)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1 처리 유닛(7A)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2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unit 7B. 24, illustration of the
제2 기판 유지부(91b)는, 제2 플레이트(131)를 구비한다. 제2 플레이트(131)는, 대략 원반형상을 갖는다. 제2 플레이트(131)는, 상면(132)을 갖는다. 상면(132)은, 대략 수평이다. 상면(132)은, 대략 평탄하다.The second substrate holder 91b includes a
제2 회전 구동부(92b)는, 제2 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연결된다. 제2 회전 구동부(92b)는, 제2 플레이트(131)를 회전시킨다. 제2 회전 구동부(92B)에 의해, 제2 플레이트(131)는, 회전축선(A5) 둘레로 회전한다. 회전축선(A5)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회전축선(A5)은, 제2 플레이트(131)의 중심을 통과한다.The second rotation driving unit 92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도 25는, 제2 플레이트(131)의 평면도이다. 제2 플레이트(131)의 상면(132)은,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이다. 제2 플레이트(131)의 상면(132)은, 평면에서 봤을 때, 기판(W)보다 크다.25 is a plan view of the
제2 기판 유지부(91b)는,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을 구비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제2 플레이트(131)에 장착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제2 플레이트(131)에 지지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회전 구동부(92B)가 제2 기판 유지부(91B)를 회전시킬 때,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한다. 제2 회전 구동부(92B)가 제2 기판 유지부(91B)를 회전시킬 때,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대해 기판(W)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유지한다. 도 25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유지되는 기판(W)을 파선으로 나타낸다.The second substrate holder 91b includes a plurality (for example, six) of edge contact pins 133 . The edge contact pins 133 are mounted on the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제2 플레이트(131)의 주연부에 배치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평면에서 봤을 때, 회전축선(A5) 둘레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The edge contact pins 133 are disposed on the periphery of the
도 26a, 도 26b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의 평면 상세도이다. 도 27a, 도 27b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의 측면도이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 및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관련된 구성을 예시한다.26A and 26B are planar detailed views of the edge contact pins 133. 27A and 27B are side views of the
각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각각, 소편부(134)에 고정된다. 소편부(134)는, 제2 플레이트(131)보다 충분히 작다. 소편부(134)는, 평면에서 봤을 때, 쐐기형상을 갖는다. 소편부(134)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Each end
소편부(134)는, 또한, 하면 접촉 핀(135)을 지지한다. 하면 접촉 핀(135)도 소편부(134)에 고정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 및 하면 접촉 핀(135)은, 각각 소편부(134)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의 주연부(12)에 있어서의 하면(16)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을 지지한다.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하지 않는다.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이 하면 접촉 핀(135)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소편부(134)는, 축부(136)에 고정된다. 축부(136)는, 소편부(13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축부(136)는, 제2 플레이트(131)에 지지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 및 하면 접촉 핀(135)은, 축부(136)를 개재하여, 제2 플레이트(131)에 지지된다. 축부(136)는,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축부(136)는, 회전축선(A6)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축선(A6)은, 상하 방향(Z)과 평행이다. 회전축선(A6)은, 축부(136)의 중심을 통과한다.The
하면 접촉 핀(135)은, 회전축선(A6) 상에 배치된다. 회전축선(A6)은, 하면 접촉 핀(135)의 중심을 통과한다. 축부(136)가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할 때, 하면 접촉 핀(135)도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한다. 단,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한 하면 접촉 핀(135)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바뀌지 않는다. 하면 접촉 핀(135)과 회전축선(A5)의 거리는, 바뀌지 않는다.The lower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회전축선(A6)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된다.The
축부(136)가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제2 플레이트(13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회전축선(A5)에 가까워지고, 또한, 회전축선(A5)으로부터 멀어진다.As the
도 26a, 도 27a를 참조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이 회전축선(A5)에 가까워짐으로써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하면 접촉 핀(135)에 지지된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접촉한다. 또한,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과 접촉하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회전축선(A5)을 향해 눌러도 된다.See FIGS. 26A and 27A. As the
도 26b, 도 27b를 참조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이 회전축선(A5)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하면 접촉 핀(135)에 지지된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로부터 떨어진다.See FIGS. 26B and 27B. As the
제2 회전 구동부(92B)가 제2 기판 유지부(91B)를 회전시킬 때,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는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이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2 회전 구동부(92b)는 제2 기판 유지부(91B)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제2 기판 유지부(91B)가 회전할 때, 기판(W)은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는다. 즉,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유지한다.When the second
제2 기판 유지부(91B)에서는, 리프트 핀(116)은, 하면 접촉 핀(135)보다 높은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 가능하다. 리프트 핀(116)은, 하면 접촉 핀(135)에 기판(W)을 건넬 수 있고, 또한, 하면 접촉 핀(13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할 수 있다.In the
또한, 제2 기판 유지부(91b)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유지된 기판(W)을 흡인하지 않는다. 제2 기판 유지부(91b)는, 제2 플레이트(131)의 상면(132)과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유지된 기판(W)의 하면(16) 사이에 기체를 취출하지 않는다. 제2 플레이트(131)는, 기체 취출구를 갖지 않는다.Further, the second substrate holding portion 91b does not attract the substrate W held by the edge contact pins 133 . The second substrate holder 91b does not blow out gas between the
도 2를 참조한다. 제어부(9)는, 제2 처리 유닛(7B)의 제2 회전 구동부(92B), 리프트 핀(116), 유량 조정부(125) 및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부(9)는, 제2 회전 구동부(92B), 리프트 핀(116), 유량 조정부(125) 및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을 제어한다.See Figure 2. The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끝가장자리 접촉부의 예이다.The
<기판 처리 장치(1)의 동작예><Operation example of
이하의 동작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operation examples are described in order.
a)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취득하는 동작예a)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b) 반송 기구(4)의 동작예b) Example of Operation of
c) 반송 기구(8)의 동작예c) Example of Operation of
d) 제1 처리 유닛(7A)의 동작예d) Example of operation of the
e) 제2 처리 유닛(7B)의 동작예e) Example of Operation of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취득하는 동작예><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28은,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취득하는 동작예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Fig. 28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단계 S1Step S1
바코드 리더(31)가 캐리어(C)에 붙여지는 바코드를 판독한다. 바코드 리더(31)는, 바코드 리더(31)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9)에 출력한다.A
단계 S2Step S2
제어부(9)는, 바코드 리더(3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기판(W)의 형상을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캐리어(C) 내의 기판(W)이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특정한다. 제어부(9)는, 캐리어(C) 내의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 및 대경 기판(WL)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특정한다.The
또한, 제어부(9)는, 캐리어(C)로부터 기판(W)이 반출된 후에 있어서도, 기판(W)의 위치와 기판(W)의 형상을 관련지어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반송 기구(4, 8)가 각 시각에 있어서 반송하는 기판(W)의 형상을 관리한다. 제어부(9)는, 각 시각에 있어서 재치부(6)에 재치되는 기판(W)의 형상을 관리한다. 제어부(9)는, 처리 유닛(7)이 각 시각에 있어서 처리하는 기판(W)의 형상을 관리한다. 제어부(9)가 기판(W)의 위치 및 기판(W)의 형상을 관리하기 위해서, 제어부(9)는 기판 검출부(38, 89, 127)의 검출 결과를 적절히 참조해도 된다.Further, the
<반송 기구(4)의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of
도 29는, 제어부(9)의 제어 및 반송 기구(4)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Fig. 2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of the
단계 S11Step S11
제어부(9)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캐리어(C)에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높이 위치(HA)」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높이 위치(HA)를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높이 위치(HA)를 바꾼다.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를 제1 높이 위치(HA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이 제2 기판(W2)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를 제2 높이 위치(HA2)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이 제3 기판(W3)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를 제3 높이 위치(HA3)로 결정한다. 제2 높이 위치(HA2)는, 제1 높이 위치(HA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A3)는, 제1 높이 위치(HA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A3)는, 제2 높이 위치(HA2)와 같다.Specifically, 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재치부(6)에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높이 위치(HB)」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높이 위치(HB)를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높이 위치(HB)를 바꾼다.Similarly, 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B)를 제1 높이 위치(HB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2 기판(W2)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B)를 제2 높이 위치(HB2)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3 기판(W3)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B)를 제3 높이 위치(HB3)로 결정한다. 제2 높이 위치(HB2)는, 제1 높이 위치(HB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B3)는, 제1 높이 위치(HB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B3)는, 제2 높이 위치(HB2)와 같다.Specifically, 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단계 S12Step S12
제어부(9)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삽입량을 결정한다.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삽입되는 핸드(33)의 삽입량은,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삽입할 때의 전후 방향(X)에 있어서의 핸드(33)의 이동량에 상당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삽입되는 핸드(33)의 삽입량을 「삽입량(KA)」이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삽입량(KA)을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삽입량(KA)을 바꾼다.The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A)을 제1 삽입량(KA1)으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22)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22)에 두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A)을 제2 삽입량(KA2)으로 결정한다. 제2 삽입량(KA2)은, 제1 삽입량(KA1)보다 크다.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마찬가지로, 제어부(9)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를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삽입량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되는 핸드(33)의 삽입량을 「삽입량(KB)」이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삽입량(KB)을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삽입량(KB)을 바꾼다.Similarly, the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B)을 제1 삽입량(KB1)으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4)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B)을 제2 삽입량(KB2)으로 결정한다. 제2 삽입량(KB2)은, 제1 삽입량(KB1)보다 크다.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단계 S13Step S13
제어부(9)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의 이동 속도와 가속도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의 이동 속도를 「이동 속도(VA)」라고 약기한다. 이하에서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의 가속도를 「가속도(AA)」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동 속도(VA)를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속도(AA)를 바꾼다.The
제어부(9)가 이동 속도(VA)와 가속도(AA)를 결정할 때, 제어부(9)는 기판 검출부(38)의 검출 결과를 적절히 참조해도 된다.When the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을 때, 제어부(9)는 이동 속도(VA)를 제1 속도(VA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을 때, 제어부(9)는 이동 속도(VA)를 제2 속도(VA2)로 결정한다. 제2 속도(VA2)는, 제1 속도(VA1)보다 크다. 예를 들면, 제1 속도(VA1)는, 제2 속도(VA2)의 50% 이하이다.When the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을 때, 제어부(9)는 가속도(AA)를 제1 가속도(AA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4)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을 때, 제어부(9)는 가속도(AA)를 제2 가속도(AA2)로 결정한다. 제2 가속도(AA2)는, 제1 가속도(AA1)보다 크다. 예를 들면, 제1 가속도(AA1)는, 제2 가속도(AA2)의 70% 이하이다.When the
단계 S14Step S14
제어부(9)는, 결정된 높이 위치(HA, HB), 삽입량(KA, KB), 이동 속도(VA), 및 가속도(AA)에 따라, 반송 기구(4)(구체적으로는 핸드 구동부(34))를 제어한다.The
단계 S15Step S15
제어부(9)에 의한 제어에 따라, 반송 기구(4)의 핸드 구동부(34)는, 핸드(3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반송 기구(4)는 기판(W)을 반송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하기의 동작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operation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1) 반송 기구(4)가 캐리어(C)의 선반(22)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b1) An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b2) 반송 기구(4)가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하는 동작예b2)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conveying
b3) 반송 기구(4)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두는 동작예b3)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반송 기구(4)가 캐리어(C)의 선반(22)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0a~도 30d는, 반송 기구(4)가 캐리어(C)의 선반(22)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0A to 30D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examples of operations in which the
도 30a를 참조한다. 핸드(33)는,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다. 핸드(33)는, 캐리어(C)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한다. 핸드(3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A)로 조정된다.See FIG. 30A. The
도 30b를 참조한다. 핸드(33)는, 캐리어(C)의 내부에 들어간다.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A)에서 진입한다.See FIG. 30B. The
핸드(33)가 캐리어(C)에 들어갈 때, 핸드(33)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핸드(33)는 전후 방향(X)으로 이동한다. 핸드(33)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로드(36)가 연장되는 제1 방향(F1)은 핸드(33)의 이동 방향과 일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방향(F1)이 핸드(33)의 이동 방향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진입한다.When the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삽입량(KA)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The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33)는, 제2 속도(VA2) 및 제2 가속도(AA2)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0c를 참조한다. 핸드(33)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핸드(33)는, 1개의 선반(22)에 포함되는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핸드(33)는, 1개의 선반(22)으로부터 1장의 기판(W)을 취한다.See FIG. 30C. The
도 30d를 참조한다. 핸드(33)가 기판(W)을 지지한 상태에서, 핸드(33)는, 후방으로 이동해, 캐리어(C)의 외부로 나온다. 이 순서로부터, 핸드(33)는, 제1 속도(VA1) 및 제1 가속도(AA1)로 이동한다.See FIG. 30D. In a state where the
상술한 동작예에 있어서,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1 기판(W1)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1 높이 위치(HA1)에서 진입한다.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2 기판(W2)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2 높이 위치(HA2)에서 진입한다.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3 기판(W3)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3 높이 위치(HA3)에서 진입한다.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일 때,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1 삽입량(KA1)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제2 삽입량(KA2)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xample, when the substrate W placed on the
도 31a, 도 31b는, 선반(22)에 재치되는 기판(W)과 핸드(33)의 삽입 높이(HA)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a에서는, 선반(22)에 제1 기판(W1)이 재치된다. 도 31b에서는, 선반(22)에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이 재치된다.31A and 31B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trate W placed on the
제1 기판(W1)은,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보다 휜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판(W1)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높이 위치(HA1)는, 제2 높이 위치(HA2) 및 제3 높이 위치(HA3)보다 낮다. 이 때문에, 핸드(33)가 제1 기판(W1)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진입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W1 is more curved than the second substrate W2 and the third substrate W3. Specifically, the first substrate W1 is convexly curv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eight position HA1 is lower than the second height position HA2 and the third height position HA3. For this reason, the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의 휨량은, 제1 기판(W1)보다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높이 위치(HA2) 및 제3 높이 위치(HA3)는 모두 제1 높이 위치(HA1)보다 높다. 이 때문에, 핸드(33)가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22) 사이에, 진입할 수 있다.The amount of warping of the second substrate W2 or the third substrate W3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bstrate W1. As described above, both the second height position HA2 and the third height position HA3 are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position HA1. For this reason, the
≪반송 기구(4)가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하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conveying
핸드(33)가 기판(W)을 지지한 상태에서, 핸드(33)는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반송 기구(4)는,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한다. 반송 기구(4)가 캐리어(C)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반송할 때, 핸드(33)는, 제1 속도(VA1) 및 제1 가속도(AA1)로 이동한다.With the
≪반송 기구(4)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두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도 32a~도 32d는, 반송 기구(4)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두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2A to 32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2a를 참조한다. 핸드(33)는, 기판(W)을 지지한다. 핸드(33)는, 재치부(6)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한다. 핸드(3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B)로 조정된다.See FIG. 32A. The
도 32b를 참조한다. 핸드(33)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핸드(33)는, 재치부(6)에 진입한다.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B)에서 진입한다.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삽입량(KB)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See FIG. 32B. The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33)는, 제1 속도(VA1) 및 제1 가속도(AA1)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2c를 참조한다. 핸드(33)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핸드(33)는, 1개의 선반(45)에 포함되는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 사이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핸드(33)는, 1개의 선반(45)에 1장의 기판(W)을 둔다. 핸드(33)는, 선반(45) 상의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See Figure 32c.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45)의 간격(ET)은, 기판(W)의 직경(D)보다 크다. 따라서, 만일 핸드(33)가 선반(45)에 건네는 기판(W)의 위치가 불균일해도, 선반(45)은, 기판(W)을 적합하게 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ET between the
기판(W)은, 선반(45)의 제1 경사면(51) 및 제2 경사면(55)에 의해 안내된다. 이에 의해, 기판(W)이 선반(45)에 재치될 때, 기판(W)은, 소정의 위치로 위치 결정 된다. 만일 핸드(33)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의 위치가 불균일해도, 기판(W) 위치의 불균일이 작아지도록 선반(45)은 기판(W)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substrate W is guided by the first
도 32d를 참조한다. 핸드(33)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33)는, 전방으로 이동해, 재치부(6)의 외부로 나온다. 이 순서로부터, 핸드(33)는, 제2 속도(VA2) 및 제2 가속도(AA2)로 이동한다.See Figure 32d. In a state where the
상술한 동작예에 있어서,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이 제1 기판(W1)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1 높이 위치(HB1)에서 진입한다.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이 제2 기판(W2)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2 높이 위치(HA2)에서 진입한다.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이 제3 기판(W3)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3 높이 위치(HA3)에서 진입한다.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에 속하는 경우,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1 삽입량(KB1)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 핸드(33)에 지지되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핸드(33)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2 삽입량(KB2)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xample, when the substrate W supported by the
반송 기구(4)가 재치부(6)의 선반(4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은, 반송 기구(4)가 캐리어(C)의 선반(22)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과 대략 같다. 반송 기구(4)가 캐리어(C)의 선반(22)에 기판(W)을 두는 동작은, 반송 기구(4)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두는 동작과 대략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veying
<반송 기구(8)의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of
도 33은, 제어부(9)의 제어 및 반송 기구(8)의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Fig. 3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control of the
단계 S21Step S21
제어부(9)는, 반송 기구(8)의 핸드(61)를 재치부(6)에 삽입할 때의 핸드(33)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9)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반송 기구(8)의 핸드(61)를 삽입할 때의 핸드(61)의 높이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반송 기구(8)의 핸드(61)를 삽입할 때의 핸드(61)의 높이 위치를 「높이 위치(HC)」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높이 위치(HC)를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높이 위치(HC)를 바꾼다.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C)를 제1 높이 위치(HC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2 기판(W2)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C)를 제2 높이 위치(HC2)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제3 기판(W3)일 때, 제어부(9)는, 높이 위치(HC)를 제3 높이 위치(HC3)로 결정한다. 제2 높이 위치(HC2)는, 제1 높이 위치(HC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C3)는, 제1 높이 위치(HC1)보다 높다. 제3 높이 위치(HC3)는, 제2 높이 위치(HC2)와 같다.Specifically, 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단계 S22Step S22
제어부(9)는, 반송 기구(8)의 핸드(61)를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할 때의 핸드(61)의 삽입량을 결정한다.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되는 핸드(61)의 삽입량은, 반송 기구(8)의 핸드(61)를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할 때의 전후 방향(X)에 있어서의 핸드(61)의 이동량에 상당한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삽입되는 핸드(61)의 삽입량을 「삽입량(KC)」이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삽입량(KC)을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의 형상 및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의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따라, 삽입량(KC)을 바꾼다.The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C)을 제1 삽입량(KC1)으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선반(45)으로부터 취하는 기판(W) 또는 반송 기구(8)가 선반(45)에 두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제어부(9)는, 삽입량(KC)을 제2 삽입량(KC2)으로 결정한다. 제2 삽입량(KC2)은, 제1 삽입량(KC1)보다 크다.When the substrate W taken from the
단계 S23Step S23
제어부(9)는,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유량(M)」이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에 반송되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유량(M)을 바꾼다.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기구(8)가 제1 기판(W1)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1 유량(M1)으로 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제2 기판(W2)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2 유량(M2)으로 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제3 기판(W3)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3 유량(M3)으로 조정한다. 제2 유량(M2)은, 제1 유량(M1)보다 크다. 제3 유량(M3)은, 제1 유량(M1)보다 크다.Specifically, when the
단계 S24Step S24
제어부(9)는, 기판(W)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7)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기판(W)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7)을, 제1 처리 유닛(7A) 및 제2 처리 유닛(7B) 중 어느 1개로 결정한다.The
구체적으로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일 때, 제어부(9)는, 그 기판(W)을 제1 처리 유닛(7A)에 있어서 처리하는 것을 결정한다. 기판(W)이 제2 기판(W2)일 때, 제어부(9)는, 그 기판(W)을 제2 처리 유닛(7B)에 있어서 처리하는 것을 결정한다. 기판(W)이 제3 기판(W3)일 때, 제어부(9)는, 그 기판(W)을 제2 처리 유닛(7B)에 있어서 처리하는 것을 결정한다.Specifically, when the substrate W is the first substrate W1, the
단계 S25Step S25
제어부(9)는, 반송 기구(8)의 핸드(61)의 이동 속도와 가속도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반송 기구(8)의 핸드(61)의 이동 속도를 「이동 속도(VB)」라고 약기한다. 이하에서는, 반송 기구(8)의 핸드(61)의 가속도를 「가속도(AB)」라고 약기한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동 속도(VB)를 바꾼다. 제어부(9)는,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속도(AB)를 바꾼다.The
제어부(9)가 이동 속도(VB)와 가속도(AB)를 결정할 때, 제어부(9)는 기판 검출부(89)의 검출 결과를 적절히 참조해도 된다.When 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을 때, 제어부(9)는 이동 속도(VB)를 제1 속도(VB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을 때, 제어부(9)는 이동 속도(VB)를 제2 속도(VB2)로 결정한다. 제2 속도(VB2)는, 제1 속도(VB1)보다 크다. 예를 들면, 제1 속도(VB1)는, 제2 속도(VB2)의 50% 이하이다.Specifically, when the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을 때, 제어부(9)는 가속도(AB)를 제1 가속도(AB1)로 결정한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지지하고 있지 않을 때, 제어부(9)는 가속도(AB)를 제2 가속도(AB2)로 결정한다. 제2 가속도(AB2)는, 제1 가속도(AB1)보다 크다. 예를 들면, 제1 가속도(AB1)는, 제2 가속도(AB2)의 70% 이하이다.When the
단계 S26Step S26
제어부(9)는, 결정된 높이 위치(HC), 삽입량(KC), 유량(M), 처리 유닛(7), 이동 속도(VB), 및 가속도(AB)에 따라, 반송 기구(8)(구체적으로는 핸드 구동부(62))를 제어한다. 결정된 처리 유닛(7)은, 제1 처리 유닛(7A) 및 제2 처리 유닛(7B) 중 어느 1개이다. 결정된 처리 유닛(7)은, 구체적으로는, 제1 처리 유닛(7A) 및 제2 처리 유닛(7B) 중에서 결정된 1개이다.The
단계 S27Step S27
제어부(9)에 의한 제어에 따라, 반송 기구(8)의 핸드 구동부(62)는, 핸드(61)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반송한다.Under the control of the
하기의 동작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ollowing operation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1)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c1) An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c2) 반송 기구(8)가 재치부(6)로부터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하는 동작예c2)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conveying
c3)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의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예c3)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c4)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c4)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c5)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예c5) 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4a~도 34d, 및 도 35a~도 35d는,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4A to 34D and FIGS. 35A to 35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4a를 참조한다.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하고 있지 않다. 흡인부(68)는, 기체를 취출하고 있지 않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고 있지 않다. 제2 받이부(83)는,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핸드(61)는, 재치부(6)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한다. 핸드(61)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C)로 조정된다.See FIG. 34A. The
도 34b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핸드(61)는, 재치부(6)에 진입한다.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C)에서 진입한다.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삽입량(KC)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 핸드(61)가 정지했을 때,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다.See FIG. 34B. The
도 34c를 참조한다. 핸드(61)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1개의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의 측방을 통과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에 가까워진다.See FIG. 34C. The
도 34d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수평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과 겹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은 그대로이다.See Figure 34d. The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61)는, 제2 속도(VB2) 및 제2 가속도(AB2)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5a를 참조한다. 흡인 조정부(7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유량(M)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이에 의해, 흡인부(68)는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기판(W)은, 상방으로 뜬다. 기판(W)은, 선반(45)으로부터 떨어진다. 기판(W)의 상면(17)은, 접촉부(74)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해서, 핸드(61)는, 선반(45)으로부터 1장의 기판(W)을 취한다.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한다.See FIG. 35A. The
도 35b를 참조한다. 핸드(61)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순서로부터, 핸드(61)는, 제1 속도(VB1) 및 제1 가속도(AB1)로 이동한다.See Figure 35B. The
도 35c를 참조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의 양쪽 모두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See FIG. 35C. The receiving
이 때문에, 만일, 기판(W)이 접촉부(74)로부터 떨어져 하방으로 낙하해도, 받이부(81)는 기판(W)을 받아낸다. 즉, 핸드(61)는, 기판(W)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substrate W is separated from the
도 35d를 참조한다.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한 상태에서, 핸드(61)는, 후방으로 이동해, 재치부(6)의 외부로 나온다.See Figure 35d. In the state where the
상술한 동작예에 있어서,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1 기판(W1)에 속하는 경우,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1 높이 위치(HC1)에서 진입한다. 또한, 흡인 조정부(73)는 제1 유량(M1)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2 기판(W2)에 속하는 경우,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2 높이 위치(HC2)에서 진입한다. 또한, 흡인 조정부(73)는 제2 유량(M2)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이 제3 기판(W3)에 속하는 경우,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3 높이 위치(HC3)에서 진입한다. 또한, 흡인 조정부(73)는 제3 유량(M3)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이 통상 직경 기판(WN)일 때,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1 삽입량(KC1)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 선반(45)에 재치되는 기판(W)이 대경 기판(WL)일 때,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2 삽입량(KC2)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example, when the substrate W placed on the
≪반송 기구(8)가 재치부(6)로부터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하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조정부(7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유량(M)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핸드(61)가 유지하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인 경우, 흡인 조정부(73)는, 제1 유량(M1)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핸드(61)가 유지하는 기판(W)이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인 경우, 흡인 조정부(73)는, 제2 유량(M2)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하고 있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고 있다.The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에 위치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의 양쪽 모두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The 2nd receiving
핸드(61)는, 재치부(6)로부터,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처리 유닛(7)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반송 기구(8)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한다. 핸드(61)가 유지하는 기판(W)이 제1 기판(W1)인 경우, 반송 기구(8)는, 제1 처리 유닛(7A)에 기판(W)을 반송한다. 핸드(61)가 유지하는 기판(W)이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인 경우, 반송 기구(8)는, 제2 처리 유닛(7B)에 기판(W)을 반송한다.The
반송 기구(8)가 재치부(6)로부터 처리 유닛(7)에 기판(W)을 반송할 때, 핸드(61)는, 제1 속도(VB1) 및 제1 가속도(AA1)로 이동한다.When the conveying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도 36a~도 36f는,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기판 유지부(91)가 제1 기판 유지부(91A)여도 제2 기판 유지부(91B)여도,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은 같다.36A to 36F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6a를 참조한다.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조정부(7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유량(M)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하고 있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고 있다.See FIG. 36A. The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핸드(61)는 처리 유닛(7)의 내부에 진입하고 있다. 핸드(61)는, 기판 유지부(9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The 2nd receiving
도 36b를 참조한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로의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한다. 기판(W)은, 하방으로 떨어진다. 받이부(81)는, 기판(W)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는다. 이와 같이, 흡인부(68)가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기판(W)을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에 올린다.See FIG. 36B. The
도 36c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약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기판(W)을 건넨다. 리프트 핀(116)은, 받이부(81)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에서 기판(W)을 받는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See FIG. 36C. The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61)는, 제1 속도(VB1) 및 제1 가속도(AB1)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6d를 참조한다. 받이부 구동부(86)가 탈락 방지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친 그대로이다.See FIG. 36D. The receiving
도 36e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수평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의 양쪽 모두가,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된 기판(W)과 겹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순서로부터, 핸드(61)는, 제2 속도(VB2) 및 제2 가속도(AB2)로 이동한다.See FIG. 36E. The
도 36f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의 측방을 통과해,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동한다.See FIG. 36F. The
그 후, 도시를 생략하지만,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61)는, 기판 유지부(91)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처리 유닛(7)의 외부로 나온다.After that, although illustration is om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도 37a~도 37f는, 반송 기구(8)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기판 유지부(91)가 제1 기판 유지부(91A)여도 제2 기판 유지부(91B)여도,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로부터 기판(W)을 취하는 동작은 같다.37A to 37F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7a를 참조한다.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하고 있지 않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하고 있지 않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하고 있지 않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고 있지 않다. 제2 받이부(83)는,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핸드(61)는 처리 유닛(7)의 내부에 진입하고 있다. 핸드(61)는, 기판 유지부(9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상측 위치에서 지지하고 있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다.See FIG. 37A. The
도 37b를 참조한다. 핸드(61)가 약간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의 측방을 통과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에 가까워진다.See Figure 37B. The
도 37c를 참조한다. 핸드(61)가 약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리프트 핀(116)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은 그대로이다.See FIG. 37C. The
도 37d를 참조한다. 받이부 구동부(86)가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받이부(83) 및 제1 받이부(82)의 양쪽 모두가,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See Figure 37d. The receiving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61)는, 제2 속도(VB2) 및 제2 가속도(AB2)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7e를 참조한다. 흡인 조정부(7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유량(M)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이에 의해, 흡인부(68)는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기판(W)은, 상방으로 뜬다. 기판(W)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떨어진다. 기판(W)의 상면(17)은, 접촉부(74)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해서, 핸드(61)는,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1장의 기판(W)을 취한다. 핸드(61)는, 기판(W)을 유지한다.See Fig. 37E. The
도 37f를 참조한다.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한 상태에서, 핸드(61)는 상방으로 이동한다.See FIG. 37F. With the
이 순서로부터, 핸드(61)는, 제1 속도(VB1) 및 제1 가속도(AB1)로 이동한다.From this sequence, the
그 후, 도시를 생략하지만,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한 상태에서, 핸드(61)는, 기판 유지부(91)의 상방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처리 유닛(7)의 외부로 나온다.After that, although illustration is omitted, in the state where the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건네는 동작예≫<<Example of Operation in which the
도 38a~도 38d, 및 도 39a~도 39d는,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의 선반(45)에 기판(W)을 두는 동작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8A to 38D and FIGS. 39A to 39D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in which the
도 38a를 참조한다.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하고 있다. 흡인 조정부(73)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유량(M)으로 흡인부(68)에 기체를 공급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하고 있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고 있다.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핸드(61)는, 재치부(6)와 마주 보는 위치로 이동한다. 핸드(61)는,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C)로 조정된다.See FIG. 38A. The
도 38b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핸드(61)는, 재치부(6)에 진입한다.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높이 위치(HC)에서 진입한다. 핸드(61)는, 상하 방향(Z)으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선반(45) 사이에, 제어부(9)에 의해 결정된 삽입량(KC)만큼 진행되고, 그 후, 정지한다.See FIG. 38B. The
도 38c를 참조한다.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로의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한다. 기판(W)은, 하방으로 떨어진다. 받이부(81)는, 기판(W)을 받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는다. 이와 같이, 흡인부(68)가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기판(W)을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에 올린다.See FIG. 38C. The
도 38d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약간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선반(45)에 기판(W)을 건넨다. 선반(45)은, 받이부(81)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 선반(45)은, 기판(W)을 지지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See FIG. 38D. The
여기까지의 순서에서는, 핸드(61)는, 제1 속도(VB1) 및 제1 가속도(AB1)로 이동한다.In the procedure so far, the
도 39a를 참조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탈락 방지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제2 받이부(8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받이부(8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친 그대로이다.See FIG. 39A. The receiving
도 39b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수평 방향으로 약간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의 양쪽 모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과 겹치지 않는다. 이 순서로부터, 핸드(61)는, 제2 속도(VB2) 및 제2 가속도(AB2)로 이동한다.See Figure 39B. The
도 39c를 참조한다. 핸드(61)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의 측방을 통과해, 선반(45)에 지지되는 기판(W)보다 높은 위치까지 이동한다.See FIG. 39C. The
도 39d를 참조한다. 핸드(61)가 기판(W)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핸드(61)는 물러나, 재치부(6)의 외부로 나온다.See Figure 39D. In a state where the
<제1 처리 유닛(7A)의 동작예><Operation example of the
도 40은, 제1 처리 유닛(7A)의 동작예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1은, 제1 처리 유닛(7A)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1에 나타내는 t31은, 도 40에 나타내는 단계 S31이 실행되는 시각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도 41에 나타내는 t32~t35, t37~t39, t41~t44는 각각, 도 40에 나타내는 단계 S32~S35, S37~S39, S41~S44가 실행되는 시각에 상당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요소의 동작은,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예의 일부는, 상술한 반송 기구(8)의 동작예의 설명과 중복된다.Fig. 40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of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irst processing unit 7A. 41 is a timing ch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단계 S31(시각 t31) : 리프트 핀(116)이 상승한다Step S31 (time t31): The lift pins 116 rise.
리프트 핀(116)이 상측 위치로 이동한다.The
단계 S32(시각 t32) :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Step S32 (time t32): The lift pins 116 receive the substrate W from the
반송 기구(8)는, 리프트 핀(116)에 기판(W)을 건넨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 기구(8)가, 리프트 핀(116)에 1장의 제1 기판(W1)을 건넨다. 리프트 핀(116)은,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에서 기판(W)을 지지한다. 기판(W)은, 고정 핀(103)의 상방에 위치한다. 기판(W)은, 고정 핀(103)과 접촉하지 않는다.The
단계 S33(시각 t33) :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개시한다Step S33 (time t33): The
제1 취출 조정부(111)가 제1 취출구(105)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제1 취출구(105)는, 기체의 취출을 개시한다. 제1 취출구(105)는, 상방으로 기체를 취출한다. 제2 취출 조정부(112)는, 아직 제2 취출구(106)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개시하지 않는다. 제2 취출구(106)는, 기체를 취출하지 않는다.The first blow-out
단계 S34(시각 t34) : 리프트 핀(116)이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넨다Step S34 (time t34): The
리프트 핀(116)이, 상측 위치로부터 하측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보다 높은 위치로부터 기판(W)을 하강시킨다.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에 기판(W)을 건넨다. 고정 핀(103)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을 지지한다.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The
단계 S35(시각 t35) : 위치 조정 핀(113)이 기판(W)의 위치를 조정한다Step S35 (time t35): The
위치 조정 핀(113)이 퇴피 위치로부터 조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위치 조정 핀(113)은,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과 접촉한다. 위치 조정 핀(113)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기판(W)의 위치를 조정한다.The
단계 S36:기판(W)의 위치를 체크한다.Step S36: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W is checked.
기판(W)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검출부(127)가 기판(W)을 검출한다. 기판 검출부(127)는, 기판 검출부(127)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9)에 출력한다. 제어부(9)는, 기판(W)이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기판(W)이 소정의 위치에 있다고 제어부(9)가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37로 진행된다. 만일, 기판(W)이 소정의 위치에 없다고 제어부(9)가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 S37로 진행되지 않고, 이상(異常)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 처리는, 예를 들면, 단계 S35로 돌아오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 처리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이상이 발생했음을 통지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s check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W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pecifically, the
단계 S37(시각 t36) : 제2 취출구(106)가 기체의 취출을 개시한다Step S37 (time t36): The
제2 취출 조정부(112)가 제2 취출구(106)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제2 취출구(106)는, 기체의 취출을 개시한다. 제2 취출구(106)는, 기체를 상방으로 취출한다. 제2 취출구(106)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은,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보다 크다.The second blow-out
단계 S38(시각 t38) : 위치 조정 핀(113)이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Step S38 (time t38): The
위치 조정 핀(113)이 조정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위치 조정 핀(113)이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The
단계 S39(시각 t39) : 기판(W)을 처리한다(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한다)Step S39 (time t39): process the substrate W (a process liquid is supplied to the substrate W)
제1 회전 구동부(92A)는, 제1 기판 유지부(91A) 및 기판(W)을 회전시킨다. 처리액 공급부(121)는,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한다. 처리액 공급부(121)가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할 때에 있어서도, 제1 취출구(105)는 기체를 취출하고, 제2 취출구(106)는, 제1 취출구(105)보다 큰 유량으로 기체를 취출한다.The first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기판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단계 S40으로 진행된다.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processing of the substrate is ende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0.
단계 S40: 기판(W)의 위치를 체크한다Step S40: Check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W
기판(W)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다시 체크한다. 본 단계 S40은, 단계 S36과 대략 같다.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W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checked again. Step S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step S36.
단계 S41(시각 t41) : 제2 취출구(106)가 기체의 취출을 정지한다Step S41 (Time t41): The
제2 취출 조정부(112)가 제2 취출구(106)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제2 취출구(106)는, 기체의 취출을 정지한다.The second blow-out
단계 S42(시각 t42) : 리프트 핀(116)이 고정 핀(103)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Step S42 (time t42): The lift pins 116 take the substrate W from the fixing pins 103
리프트 핀(116)이 하측 위치로부터 상측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지지한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리프트 핀(116)은, 고정 핀(103)보다 높은 위치로 기판(W)을 상승시킨다. 기판(W)은, 고정 핀(103)으로부터 떨어진다. 리프트 핀(116)은, 기판(W)을 상측 위치에서 지지한다. 기판(W)은, 고정 핀(103)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된다.The lift pins 116 move from the lower position to the upper position. As a result, the lift pins 116 take the substrate W from the fixing pins 103 . The lift pins 116 support the substrate W. The lift pins 116 lift the substrate W. Specifically, the lift pins 116 lift the substrate W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xing pins 103 . The substrate W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단계 S43(시각 t43) :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정지한다Step S43 (time t43): The
제1 취출 조정부가 제1 취출구(105)에 대한 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제1 취출구(105)는, 기체의 취출을 정지한다.The first blow-out adjusting unit stops the gas supply to the first blow-out
단계 S44(시각 t44) :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넨다Step S44 (time t44): The lift pins 116 deliver the substrate W to the
반송 기구(8)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 그 후, 반송 기구(8)는, 제1 처리 유닛(7A)의 외부로 기판(W)을 반출한다.The
<제2 처리 유닛(7B)의 동작예><Operation Example of
제2 처리 유닛(7B)의 동작예는, 제1 처리 유닛(7A)의 동작예에서, 단계 S33, S35~S38, S40~S41을 생략한 것과 유사하다. 제2 처리 유닛(7B)의 동작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example of the
리프트 핀(116)은 상측 위치로 이동한다. 리프트 핀(116)은 반송 기구(8)로부터 1장의 기판(W)(구체적으로는, 제2 기판(W2) 또는 제3 기판(W3))을 받는다. 리프트 핀(116)은, 하면 접촉 핀(135)에 기판(W)을 건넨다. 하면 접촉 핀(135)은 기판(W)을 지지한다.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하면 접촉 핀(135)에 지지되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을 유지한다.The lift pins 116 move to an upper position. The lift pins 116 receive one substrate W (specifically, the second substrate W2 or the third substrate W3) from the
기판(W)이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유지된 상태에서, 기판(W)은 처리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회전 구동부(92b)는, 제2 기판 유지부(91B) 및 기판(W)을 회전시킨다. 제2 회전 구동부(92B)가 제2 기판 유지부(91B)를 회전시킬 때,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대해 기판(W)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유지한다. 처리액 공급부(121)는,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에 유지되는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한다.With the substrate W held on the edge contact pins 133, the substrate W is processed. Specifically, the second rotation driving unit 92b rotates the second
기판(W)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끝가장자리 접촉 핀(133)은 기판(W)으로부터 떨어진다. 리프트 핀(116)이 하면 접촉 핀(135)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 반송 기구(8)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기판(W)을 취한다.When the processing of the substrate W is finished, the edge contact pins 133 are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W. The lift pins 116 take the substrate W from the bottom contact pins 135 . The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embodiment>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8)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8)는, 핸드(61)를 구비한다. 핸드(61)는, 베이스부(65)와 흡인부(68)를 구비한다. 흡인부(68)는, 베이스부(65)에 장착된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흡인부(68)는, 기판(W)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따라서, 핸드(61)는, 기판(W)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반송 기구(8)는, 핸드(61)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62)를 구비한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핸드(61)에 의해 지지된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핸드(61)는, 추가로,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를 구비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베이스부(65)에 지지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하방에 배치된다.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만일 기판(W)이 흡인부(68)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져도,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을 받을 수 있다. 즉,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다.The
핸드(61)는, 받이부 구동부(86)를 구비한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시킨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1 받이부(82)에 제2 받이부(83)를 접근시키고, 또한, 제1 받이부(82)로부터 제2 받이부(83)를 이반시킨다. 이 때문에,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61)는 기판(W)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61)는 기판(W)을 용이하게 둘 수 있다.The
이상과 같이, 기판 처리 장치(1)에 의하면,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할 때, 제1 받이부(82)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받이부(83)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한다는 것은, 핸드(61)가 기판(W)을 지지하고, 또한, 핸드 구동부(62)가 핸드(61)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할 때, 기판(W)이 핸드(6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을 재치하는 재치부(6)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8)는, 흡인부(68)에 의한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에 기판(W)을 올린 후,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한다. 즉,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할 때,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지 않는다.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할 때,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가 재치부(6)에 기판(W)을 건넨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할 때에, 핸드(61)가 기판(W)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예를 들면,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할 때에, 핸드(61)가 기판(W)을 재치부(6)에 누를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재치부(6)에 적절히 기판(W)을 재치할 수 있다.The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7)을 구비한다. 처리 유닛(7)은, 기판(W)을 유지하는 기판 유지부(91)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8)는, 흡인부(68)에 의한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에 기판(W)을 올린 후,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재치한다. 즉,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재치할 때, 흡인부(68)는 기판(W)을 흡인하지 않는다.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재치할 때, 제1 받이부(82) 및 제2 받이부(83)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넨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재치할 때에, 핸드(61)가 기판(W)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 유지부(91)에 적절히 기판(W)을 재치할 수 있다.The
제2 받이부(83)가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제2 받이부(83)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과 겹친다. 따라서,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기판(W)이 핸드(6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2 받이부(83)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기판(W)은, 수평 자세로,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의 사이를 상하 방향(Z)으로 통과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61)는 기판(W)을 용이하게 취할 수 있다. 제1 받이부(82)와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간섭하는 일 없이, 핸드(61)는 기판(W)을 용이하게 둘 수 있다.When the second receiving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탈락 방지 위치 및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87)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2 받이부(83)는, 탈락 방지 위치 및 퇴피 위치로 적합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받이부 구동부(86)는, 제2 받이부(83)를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88)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87)가 액추에이터(87)의 동력원으로부터 차단되었을 때, 탄성 부재(88)의 탄성력만이 제2 받이부(83)에 작용한다. 그 결과, 제2 받이부(83)는, 탄성 부재(88)의 탄성력에 의해 탈락 방지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87)가 동력원으로부터 차단되었을 때여도, 기판(W)이 핸드(6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제2 받이부(83)는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받이부 구동부(86)가 액추에이터(87)로서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 제어부(9)는, 제2 받이부(83)의 이동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만일 제2 받이부(83)의 이동 중에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접촉하는 경우여도, 제2 받이부(83)가 기판(W)을 손상시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받이부(83)가 퇴피 위치로부터 탈락 방지 위치로 이동할 때, 전동 모터는,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2 받이부(83)의 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 제2 받이부(83)의 이동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들에 의해, 만일 제2 받이부(83)가 탈락 방지 위치에 도달할 때에 제2 받이부(83)가 기판(W)과 접촉하는 경우여도, 제2 받이부(83)가 기판(W)에 부여하는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receiving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이스부(65)가 제1 받이부(82)를 지지하는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The
핸드(61)는, 접촉부(74)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핸드(61)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The
핸드(61)는, 벽부(77)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핸드(61)는, 기판(W)이 수평 방향으로 과도하게 어긋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The
핸드(61)는, 제1 접촉부(75)를 구비한다. 제1 접촉부(75)는, 베이스부(65)에 고정된다. 제1 접촉부(75)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한다. 핸드(61)는, 제1 벽부(78)를 구비한다. 제1 벽부(78)는, 제1 접촉부(75)에 접속된다. 제1 벽부(78)는, 제1 접촉부(75)로부터,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의 측방을 통과해,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1 받이부(82)는, 제1 벽부(78)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제1 접촉부(75)와 제1 벽부(78)와 제1 받이부(82)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75)는, 흡인부(68)에 흡인되는 기판(W)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1 벽부(78)는, 기판(W)이 수평 방향으로 과도하게 어긋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The
반송 기구(8)의 기판 반송 방법은, 기판(W)을 반송하는 단계와, 받이부(81)에 기판(W)을 올리는 단계와, 재치부(6)에 기판(W)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한다. 기판(W)을 반송하는 단계는, 베이스부(65)에 장착된 흡인부(68)가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W)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또한, 기판(W)을 반송하는 단계는, 핸드 구동부(62)가 베이스부(65)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W)을 반송한다. 받이부(81)에 기판(W)을 올리는 단계는, 흡인부(68)가 기판(W)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받이부(81)에 기판(W)을 올린다. 받이부(81)는, 베이스부(65)에 지지되고, 또한, 흡인부(68)의 하방에 배치된다. 재치부(6)에 기판을 건네는 단계는, 받이부(81)로부터 재치부(6)에 기판(W)을 건넨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재치부(6)에 기판(W)을 재치할 때에,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재치부(6)에 기판(W)을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The substrate conveying method of the conveying
이상과 같이, 기판 반송 방법에 의하면,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bstrate transport method, the substrate W can be appropriately transported.
반송 기구(8)의 기판 반송 방법은, 기판(W)을 반송하는 단계와, 받이부(81)에 기판(W)을 올리는 단계와, 처리 유닛(7)의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한다.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네는 단계는, 받이부(81)로부터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건넨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재치할 때에,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 유지부(91)에 기판(W)을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The substrate conveying method of the conveying
이상과 같이, 기판 반송 방법에 의하면,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bstrate transport method, the substrate W can be appropriately transported.
기판 처리 장치(1)는, 반송 기구(4)와 반송 기구(8)와 재치부(6)를 구비한다. 반송 기구(4)는 기판(W)을 반송한다.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반송한다. 재치부(6)는, 반송 기구(4)와 반송 기구(8) 사이에서 반송되는 기판(W)을 재치한다. 따라서, 반송 기구(4)는, 재치부(6)를 개재하여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 반송 기구(8)도, 재치부(6)를 개재하여 반송 기구(4)에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반송 기구(8)는, 핸드(61)를 구비한다. 핸드(61)는, 흡인부(68)를 구비한다. 따라서, 핸드(61)는, 기판(W)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conveying
재치부(6)는,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을 구비한다. 제1 경사면(51)은, 기판(W)의 제1 측부(18)와 접한다. 제2 경사면(55)은, 제1 경사면(51)과 수평 방향으로 마주 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경사면(55)은, 기판(W)의 제2 측부(19)와 접한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51)의 상단(51T)과 제2 경사면(55)의 상단(55T)의 간격(ET)은, 기판(W)의 직경(D)보다 크다. 따라서, 반송 기구(4, 8)가 재치부(6)에 두는 기판(W)의 위치가 불균일해도, 재치부(6)는 기판(W)을 적절히 받을 수 있다.The mounting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51)의 하단(51B)과 제2 경사면(55)의 하단(55B)의 간격(EB)은, 간격(ET)보다 좁다. 따라서,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은, 기판(W)을 소정의 위치로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distance EB between the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의 간격(E2)은, 하방을 향해 감소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51)과 제2 경사면(55)은, 기판(W)을 소정의 위치로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distance E2 between the first
제1 경사면(51)은 상측 경사면(52)을 구비한다. 상측 경사면(52)의 제1 각도(θ1)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상측 경사면(52)은, 기판(W)을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55)은 상측 경사면(56)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측 경사면(56)은, 기판(W)을 적합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제1 경사면(51)은 하측 경사면(53)을 구비한다. 하측 경사면(53)의 제2 각도(θ2)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하측 경사면(53)은, 기판(W)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경사면(55)은 하측 경사면(57)을 구비한다. 따라서, 하측 경사면(57)은, 기판(W)을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을 처리하는 제1 처리 유닛(7A)을 구비한다. 반송 기구(8)는, 제1 처리 유닛(7A)에 기판(W)을 반송한다. 제1 처리 유닛(7A)은, 제1 기판 유지부(91A)를 구비한다. 제1 기판 유지부(91A)는, 제1 플레이트(101)와 고정 핀(103)과 기체 취출구(104)를 구비한다.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고정 핀(103)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고정 핀(103)은,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보다 높은 위치에서 기판(W)을 재치한다. 기체 취출구(104)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에 형성된다. 기체 취출구(104)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의 사이에 기체를 취출한다. 기체 취출구(104)는, 기판(W)을 하방으로 흡인한다. 따라서, 제1 기판 유지부(91A)는 기판(W)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기판 처리 장치(1)는, 캐리어(C)를 재치하는 캐리어 재치부(3)를 구비한다. 캐리어(C)는, 복수 장의 기판(W)을 수용한다. 반송 기구(4)는, 캐리어 재치부(3)에 재치되는 캐리어(C)에 기판을 반송한다. 따라서, 반송 기구(4)는, 캐리어(C)로부터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 반송 기구(4)는, 반송 기구(8)로부터 캐리어(C)에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을 처리하는 제1 처리 유닛(7A)을 구비한다. 제1 처리 유닛(7A)은, 제1 플레이트(101)와 고정 핀(103)과 기체 취출구(104)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1 처리 유닛(7A)은 기판(W)을 적합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처리 유닛(7A)은, 기판(W)을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The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에 공급하는 기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따라서, 흡인 조정부(73)는, 흡인부(68)의 흡인력을 적합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기판 처리 장치(1)는, 제어부(9)를 구비한다. 제어부(9)는, 제1 처리 유닛(7A)과 반송 기구(8)를 제어한다. 제어부(9)는, 구체적으로는, 흡인 조정부(73)를 제어한다. 반송 기구(8)에 의해 반송되는 기판(W)의 형상에 따라, 제어부(9)는 흡인부(5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바꾼다. 따라서, 기판(W)의 형상에 관계없이, 흡인부(68)는, 적절한 흡인력으로, 기판(W)을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제어부(9)는,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따라,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을 바꾼다. 따라서,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관계없이, 흡인부(68)는, 적절한 흡인력으로, 기판(W)을 흡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가 비교적 두꺼운 경우여도, 기판(W)의 주부(13)가 비교적 얇은 경우여도, 흡인부(68)는, 적절한 흡인력으로, 기판(W)을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관계없이, 기판(W)을 적합하게 반송할 수 있다.The
기판(W)은, 제1 기판(W1)과 제2 기판(W2)을 포함한다. 반송 기구(8)가 제1 기판(W1)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1 유량(M1)으로 조정한다. 반송 기구(8)가 제2 기판(W2)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1 유량(M1)보다 큰 제2 유량(M2)으로 조정한다. 따라서, 흡인부(68)는, 제1 기판(W1) 및 제2 기판(W2)을 각각, 적절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W)이 제1 기판(W1) 및 제2 기판(W2) 중 어느 쪽이어도,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substrate W includes a first substrate W1 and a second substrate W2. When the
기판(W)은, 제1 기판(W1)과 제3 기판(W3)을 포함한다. 반송 기구(8)가 제3 기판(W3)을 반송할 때, 제어부(9)는 유량(M)을 제1 유량(M1)보다 큰 제3 유량(M3)으로 조정한다. 따라서, 흡인부(68)는, 제1 기판(W1) 및 제3 기판(W3)을 각각, 적절한 흡인력으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W)이 제1 기판(W1)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이어도,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The substrate W includes a first substrate W1 and a third substrate W3. When the
반송 기구(8)는, 재치부(6)와 처리 유닛(7) 사이에서 기판(W)을 반송한다. 반송 기구(8)는, 핸드(61)와 핸드 구동부(62)를 구비한다. 핸드(61)는, 베이스부(65)와 흡인부(68)를 구비한다. 제어부(9)는, 핸드 구동부(62)를 제어한다. 제어부(9)는, 핸드(61)의 이동 속도를 조정한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부(9)는, 핸드(61)를 제1 속도(VB1)로 이동시킨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9)는, 핸드(61)를 제1 속도(VB1)보다 큰 제2 속도(VB2)로 이동시킨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핸드(61)의 이동 속도(VB)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흡인부(68)는 기판(W)을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 핸드(61)가 기판(W)을 떨어뜨릴 우려가 없다. 따라서, 반송 기구(8)는, 기판(W)을 적절히 반송할 수 있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61)의 이동 속도(VB)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61)의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제1 속도(VB1)는, 제2 속도의 50% 이하이다. 이 때문에,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흡인부(68)는 기판(W)을 한층 더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61)의 이동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The first speed VB1 is 50% or less of the second speed. For this reason, when the
제어부(9)는, 핸드(61)의 가속도를 조정한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제어부(9)는 핸드(61)를 제1 가속도(AB1)로 이동시킨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9)는 핸드(61)를 제1 가속도(AB1)보다 큰 제2 가속도(AB2)로 이동시킨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핸드(61)의 가속도(AB)는 비교적 작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을 때에는, 흡인부(68)는 기판(W)을 한층 더 적절히 흡인할 수 있다.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61)의 가속도(AB)는 비교적 크다. 따라서, 반송 기구(8)가 기판(W)을 반송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핸드(61)의 이동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하기와 같이 변형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as follows.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반(22)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반(22)은,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선반(22)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핸드(33)는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핸드(33)는,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핸드(33)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반(45)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반(45)은,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선반(45)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74)는 기판(W)의 상면(17)과 접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촉부(74)는, 기판(W)의 상면(17)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촉부(74)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받이부(82)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받이부(82)는,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받이부(82)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받아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receiving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을 받을 수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받이부(83)는, 기판(W)의 끝가장자리(20)를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받아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receiving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핀(103)은 기판(W)의 하면(16)과 접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 핀(103)은, 기판(W)의 하면(16) 및 기판(W)의 끝가장자리(20)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고정 핀(103)은, 기판(W)의 끝가장자리(20)에 비스듬한 하방으로부터 접촉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xing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고정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받이부(82)는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 가능해도 된다. 본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핸드(61)는, 추가로, 제1 받이부(82)를 베이스부(65)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제2 받이부 구동부)를 구비해도 된다.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인부(68)는 기판(W)의 상면(17)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한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상방으로 흡인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흡인부(68)는 기판(W)의 하면(16)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도 된다. 흡인부(68)는 기판(W)을 하방으로 흡인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기구(4)의 핸드(33)는 흡인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반송 기구(4)의 핸드(33)는, 기판(W)의 제1 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하는 흡인부를 구비해도 된다. 여기서, 제1 면은, 기판(W)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1개이다. 반송 기구(4)의 핸드(33)는, 기판(W)을 흡인하는 흡인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반송 기구(4)는, 기판(W)이 핸드(3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이부를 구비해도 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반송 기구(4)의 핸드(33)가 흡인부를 구비하는 경우, 반송 기구(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반송 기구의 예이기도 하다. 캐리어(C)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한쪽의 예이다. 재치부(6)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중 다른 쪽의 예이다.When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판(W)이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인지에 따라,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 HB, HC)를 바꾼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따라,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 HB, HC)를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 HB, HC)를 높게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pending on whether the substrate W is the first substrate W1, the second substrate W2, or the third substrate W3,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판(W)이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인지에 따라, 제어부(9)는, 기판(W)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7)을, 제1 처리 유닛 및 제2 처리 유닛 중 어느 1개로 결정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따라, 제어부(9)는, 기판(W)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7)을, 제1 처리 유닛 및 제2 처리 유닛 중 어느 1개로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는, 기판(W)의 주부(13)가 제1 두께를 갖는 기판(W)을 제1 처리 유닛(7A)에 반송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는, 기판(W)의 주부(13)가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기판(W)을 제2 처리 유닛(7B)에 반송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는, 기판(W)의 주부(13)가 제1 두께를 갖는 기판(W)을 제1 처리 유닛(7A)에 있어서 처리하게 해도 된다. 제어부(9)는, 기판(W)의 주부(13)가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기판(W)을 제2 처리 유닛(7B)에 있어서 처리하게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판(W)이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인지에 따라, 제어부(9)는 유량(M)을 바꾼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에 따라, 제어부(9)는 유량(M)을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판(W)의 주부(13)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제어부(9)는 유량(M)을 크게 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 속도(VA)를 더욱 세분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동 속도(VA)를, 수평 이동 속도(VAH)와 연직 이동 속도(VAZ)와 회전 속도(VAR)로 나누어도 된다. 여기서, 수평 이동 속도(VAH)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핸드(33)의 이동 속도이다. 연직 이동 속도(VAZ)는, 상방 방향(Z)에 있어서의 핸드(33)의 이동 속도이다. 회전 속도(VAR)는, 회전축선(A1) 둘레로 회전하는 핸드(33)의 이동 속도이다. 제어부(9)는, 단계 S13에 있어서, 수평 이동 속도(VAH)와 연직 이동 속도(VAZ)와 회전 속도(VAR)를 개별적으로 결정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ving speed VA may be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the moving speed VA may be divided into the horizontal moving speed VAH, the vertical moving speed VAZ, and the rotational speed VAR. Here,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VAH) is the movement speed of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속도(AA)를 더욱 세분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속도(AA)를, 수평 가속도(AAH)와 연직 가속도(AAZ)와 회전 가속도(AAR)로 나누어도 된다. 여기서, 수평 가속도(AAH)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핸드(33)의 가속도이다. 연직 가속도(AAZ)는, 상방 방향(Z)에 있어서의 핸드(33)의 가속도이다. 회전 가속도(AAR)는, 회전축선(A1) 둘레로 회전하는 핸드(33)의 가속도이다. 제어부(9)는, 단계 S13에 있어서, 수평 가속도(AAH)와 연직 가속도(AAZ)와 회전 가속도(AAR)를 개별적으로 결정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cceleration AA may be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acceleration AA may be divided into horizontal acceleration AAH, vertical acceleration AAZ, and rotational acceleration AAR. Here, the horizontal acceleration (AAH) is the acceleration of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동 속도(VB)를 더욱 세분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동 속도(VB)를, 수평 이동 속도(VBH)와 연직 이동 속도(VBZ)와 회전 속도(VBR)로 나누어도 된다. 여기서, 수평 이동 속도(VBH)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핸드(61)의 이동 속도이다. 연직 이동 속도(VBZ)는, 상방 방향(Z)에 있어서의 핸드(61)의 이동 속도이다. 회전 속도(VBR)는, 회전축선(A2) 둘레로 회전하는 핸드(61)의 이동 속도이다. 제어부(9)는, 단계 S25에 있어서, 수평 이동 속도(VBH)와 연직 이동 속도(VBZ)와 회전 속도(VBR)를 개별적으로 결정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oving speed VB may be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the moving speed VB may be divided into a horizontal moving speed VBH, a vertical moving speed VBZ, and a rotational speed VBR. Here, the horizontal movement speed VBH is the movement speed of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속도(AB)를 더욱 세분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속도(AB)를, 수평 가속도(ABH)와 연직 가속도(ABZ)와 회전 가속도(ABR)로 나누어도 된다. 여기서, 수평 가속도(ABH)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핸드(61)의 가속도이다. 연직 가속도(ABZ)는, 상방 방향(Z)에 있어서의 핸드(61)의 가속도이다. 회전 가속도(ABR)는, 회전축선(A2) 둘레로 회전하는 핸드(61)의 가속도이다. 제어부(9)는, 단계 S25에 있어서, 수평 가속도(ABH)와 연직 가속도(ABZ)와 회전 가속도(ABR)를 개별적으로 결정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cceleration AB may be further subdivided. For example, acceleration AB may be divided into horizontal acceleration ABH, vertical acceleration ABZ, and rotational acceleration ABR. Here, the horizontal acceleration (ABH) is the acceleration of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레이트(101)에 형성되는 제1 취출구(105)의 수는 1개이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플레이트(101)에 형성되는 제1 취출구(105)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고(단계 S32), 그 후,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개시한다(단계 S33).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기 전에,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개시해도 된다. 본 변형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취출구(105)가 기체를 취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프트 핀(116)은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을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ft pins 116 receive the substrate W from the transport mechanism 8 (step S32), and then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정지하고(단계 S43), 그 후,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넨다(단계 S44).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넨 후에, 제1 취출구(105)가 기체의 취출을 정지해도 된다. 본 변형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취출구(105)가 기체를 취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프트 핀(116)은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넬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본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제1 취출구(105)가 취출하는 기체의 유량은, 반송 기구(8)의 흡인부(68)에 공급되는 기체의 유량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반송 기구(8)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기판(W)을 취할 때, 흡인부(68)는 기판(W)을 용이하게 흡인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기구(8)가 리프트 핀(116)으로부터 기판(W)을 취할 때, 핸드(61)는 기판(W)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is modifi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rate of the gas blown out by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는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핀(103)이 반송 기구(8)로부터 기판(W)을 받아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기구(8)는, 리프트 핀(116)을 개재하지 않고, 고정 핀(103)에 기판(W)을 직접적으로 건네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ft pins 116 receive the substrate W from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리프트 핀(116)이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넨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 핀(103)이 반송 기구(8)에 기판(W)을 건네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기구(8)는, 리프트 핀(116)을 개재하지 않고, 고정 핀(10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기판(W)을 취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ft pins 116 pass the substrate W to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처리 유닛(7A)의 제1 취출구(105)는, 기체에 더하여, 순수를 토출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42는,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처리 유닛(14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1 처리 유닛(7A)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처리 유닛(141)은, 순수 공급부(142)를 구비한다. 순수 공급부(142)는, 제1 취출구(105)를 통해 기판(W)에 순수를 토출한다.The
순수 공급부(142)는, 배관(143)을 구비한다. 배관(143)은, 제1 취출구(105)에 순수를 공급한다. 배관(143)은,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배관(143)의 제1 단은, 순수 공급원(144)에 접속된다. 배관(143)의 제2 단은, 제1 취출구(105)에 접속된다.The pure
제1 처리 유닛(141)은, 유량 조정부(145)를 구비한다. 유량 조정부(145)는, 배관(143)에 설치된다. 유량 조정부(145)는, 순수 공급부(142)가 기판(W)에 공급하는 순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즉, 유량 조정부(145)는, 제1 취출구(105)가 토출하는 순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유량 조정부(145)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된다.The
제1 취출구(105)는, 기체와 순수를 동시에 내도 된다. 혹은, 제1 취출구(105)는, 기체를 취출하는 일 없이, 순수를 토출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제1 취출구(105)로부터 토출된 순수가, 기판(W)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하면(16)에 닿아, 기판(W)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하면(16)이 하방으로 만곡하는 것을 한층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W)이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에 접촉하는 것을 한층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The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할 때(단계 S39), 제1 취출구(105)는, 기체와 순수를 동시에 내도 된다. 혹은,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할 때(단계 S39), 제1 취출구(105)는, 기체를 취출하는 일 없이, 순수를 토출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처리액 공급부(121)가 처리액을 기판(W)에 공급할 때, 기판(W)이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에 접촉하는 것을 한층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When supplying the processing liquid to the substrate W (step S39), the
본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 사이의 공간을 순수로 채우지 않는(액밀(液密)하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 사이의 공간에 기체를 흐르게 해,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에 적절한 흡인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이다.In this modified embodiment, the space between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취출구(105)는, 기체에 더하여, 처리액을 토출해도 된다. 처리액 공급부(121)는, 제1 취출구(105)를 통해 기판(W)에 처리액을 토출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43은,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처리 유닛(151)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형태의 제1 처리 유닛(7A)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처리액 공급부(121)는, 배관(153)을 구비한다. 배관(153)은, 제1 취출구(105)에 처리액을 공급한다. 배관(153)은, 제1 단과 제2 단을 갖는다. 배관(153)의 제1 단은, 처리액 공급원(154)에 접속된다. 배관(153)의 제2 단은, 제1 취출구(105)에 접속된다.The processing
제1 처리 유닛(141)은, 유량 조정부(155)를 구비한다. 유량 조정부(155)는, 배관(153)에 설치된다. 유량 조정부(155)는, 처리액 공급부(121)가 기판(W)에 공급하는 처리액의 유량을 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량 조정부(155)는, 제1 취출구(105)가 토출하는 처리액의 유량을 조정한다. 유량 조정부(155)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된다.The
기판(W)에 처리액을 공급할 때(단계 S39), 제1 취출구(105)는, 기체와 처리액을 동시에 내도 된다. 이에 의하면, 기판(W)의 하면(16)에 처리액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W)의 하면(16)을 적합하게 처리할 수 있다.When supplying the processing liquid to the substrate W (step S39), the
본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레이트(101)의 상면(102)과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의 하면(16) 사이의 공간을 처리수로 채우지 않는(액밀하게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핀(103)에 지지되는 기판(W)에 적절한 흡인력을 작용시키기 때문이다.In this modified embodiment, the space between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9)는, 바코드 리더(31)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기판(W)의 형상을 취득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취득하는 변형 실시형태로서, 4개의 예를 이하에 예시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제1 예Example 1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에 부여되는 기판 정보를 판독하는 기판 정보 검출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부(9)는, 기판 정보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기판(W)의 형상을 판정해도 된다. 여기서, 기판(W)에 부여되는 기판 정보는, 예를 들면, 기판(W)에 인자되는 식별 코드이다. 기판 정보 검출부는, 예를 들면, 리더이다.The
제2 예2nd example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W)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부(9)는, 촬상부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기판(W)의 형상을 판정해도 된다. 촬상부는, 예를 들면, 일차원 이미지 센서나 이차원 이미지 센서이다.The
제3 예Example 3
제어부(9)는, 기판 처리 장치(1)의 외부 기기로부터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기판 처리 장치(1)의 외부 기기는,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이다. 제어부(9)가 외부 기기로부터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어부(9)는, 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31)의 검출 결과를 외부 기기에 송신해도 된다. 제어부(9)가 외부 기기로부터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어부(9)는, 예를 들면, 기판 검출부(38, 89, 127)의 검출 결과를 외부 기기에 송신해도 된다.The
제4 예Example 4
기판 처리 장치(1)는, 기판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구비해도 된다. 제어부(9)는, 입력부에 입력된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The
제3 예 또는 제4 예에 있어서,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는, 기판(W)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기판(W)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기판(W)이 제1 기판(W1), 제2 기판(W2) 및 제3 기판(W3)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을 판정하는 단계 S2를 행하지 않는다.In the third or fourth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may be information directly indicating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The information directly indicating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is, for example, directly indicating which of the first substrate W1, the second substrate W2, and the third substrate W3 the substrate W belongs to. It is information. When the
제3 예 또는 제4 예에 있어서, 기판(W)의 형상에 관한 정보는, 기판(W)의 형상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제어부(9)가 기판(W)의 형상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 경우, 제어부(9)는, 기판(W)의 형상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에 의거하여, 기판(W)의 형상을 판정하는 단계 S2를 행한다.In the third example or the fourth example, the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may be information indirectly indicating the shape of the substrate W. When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9)는, 높이 위치(HA, HB)를 결정하는 단계 S11, 삽입량(KA, KB)을 결정하는 단계 S12, 및 이동 속도(VA) 및 가속도(AA)를 결정하는 단계 S13을 실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11, S12, S1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는, 단계 S11, S12, S13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9)는, 높이 위치(HC)를 결정하는 단계 S21, 삽입량(KC)을 결정하는 단계 S22, 유량(M)을 결정하는 단계 S23, 처리 유닛(7)을 결정하는 단계 S24, 및 이동 속도(VB) 및 가속도(AB)를 결정하는 단계 S25를 실행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계 S21, S22, S23, S24, S25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생략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9)는, 단계 S21, S22, S23, S24, S25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기구(4, 8)의 구조를 예시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 기구(4)는, 회전부(34d) 및 진퇴 이동부(34e)를 대신해서, 다관절 아암을 구비해도 된다. 다관절 아암은, 수직 이동부(34c)에 지지되고, 또한, 핸드(33)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반송 기구(4)는, 레일(34a) 및 수평 이동부(34b)를 생략하고, 대 또는 지주를 구비해도 된다. 대 또는 지주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수직 이동부(34c)를 지지한다. 예를 들면, 반송 기구(8)는, 회전부(62c) 및 진퇴 이동부(62d)를 대신해서, 다관절 아암을 구비해도 된다. 다관절 아암은, 수직 이동부(62b)에 지지되어, 핸드(61)를 지지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블록(5)에 설치되는 반송 기구의 수는 1개이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처리 블록(5)에 설치되는 반송 기구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즉, 처리 블록(5)은, 2개 이상의 반송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반송 기구를 처리 블록(5)의 반송 스페이스(41)에 설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반송 기구는 전후 방향(X)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처리 블록(5)에 있어서의 반송 기구의 수에 따라, 처리 유닛(7)의 개수를 늘려도 된다. 전후 방향(X)으로 늘어서는 처리 유닛(7)의 수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number of transport mechanisms installed in the
상술한 실시형태 및 각 변형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추가로 각 구성을 다른 변형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 또는 조합하는 등 해서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Regard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nd each modified embodiment, further, you may change suitably by substituting or combining each structure with the structure of another modified embodiment.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상의 설명이 아닌, 부가된 클레임을 참조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ce, and therefore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ppended claims, not the above description, as indica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기판 처리 장치 2: 인덱서부
3: 캐리어 재치부 4: 반송 기구(제2 반송 기구)
5: 처리 블록 6: 재치부(제1 위치, 제2 위치)
7: 처리 유닛(제1 위치, 제2 위치) 7A: 제1 처리 유닛
7B: 제2 처리 유닛 8: 반송 기구(제1 반송 기구)
9: 제어부 11: 기판 본체
12: 기판의 주연부 13: 기판의 주부
14: 기판의 오목부 15: 보호 플레이트
16: 기판의 하면 17: 기판의 상면
18: 기판의 제1 측부 19: 기판의 제2 측부
20: 기판의 끝가장자리 22: 선반
23: 제1 선반 24: 제2 선반
31: 바코드 리더 33: 핸드
34: 핸드 구동부 35: 연결부
36: 로드 37: 접촉부
38: 기판 검출부 45: 선반
46: 제1 선반 47: 제2 선반
51: 제1 경사면 51T: 제1 경사면의 상단
51B: 제1 경사면의 하단 51M: 제1 경사면의 중간점
52: 상측 경사면 53: 하측 경사면
55: 제2 경사면 56: 상측 경사면
57: 하측 경사면 61: 핸드
62: 핸드 구동부 64: 연결부
65: 베이스부 66: 가지부
68: 흡인부 69: 흡인 패드
71: 기체 공급로 72: 기체 공급원
73: 흡인 조정부 74: 접촉부
75: 제1 접촉부 76: 제2 접촉부
77: 벽부 78: 제1 벽부
79: 제2 벽부 80: 제3 벽부
81: 받이부 82: 제1 받이부
83: 제2 받이부 86: 받이부 구동부
87: 액추에이터 88: 탄성 부재
89: 기판 검출부 91: 기판 유지부
91A: 제1 기판 유지부 91B: 제2 기판 유지부
92: 회전 구동부 92A: 제1 회전 구동부
92B: 제2 회전 구동부 93: 가드
101: 제1 플레이트 102: 상면
103: 고정 핀(지지부) 104: 기체 취출구
105: 제1 취출구 106: 제2 취출구
107: 제1 기체 공급로 108: 제2 기체 공급로
109: 기체 공급원 111: 제1 취출 조정부
112: 제2 취출 조정부 113: 위치 조정 핀(위치 조정부)
114: 축부 116: 리프트 핀(승강부)
121: 처리액 공급부 122: 노즐
123: 배관 124: 처리액 공급원
125: 유량 조정부 127: 기판 검출부
131: 제2 플레이트 132: 상면
133: 끝가장자리 접촉 핀(끝가장자리 접촉부)
134: 소편부 135: 하면 접촉 핀
136: 축부 141: 제1 처리 유닛
142: 순수 공급부 143: 배관
144: 순수 공급원 145: 유량 조정부
151: 제1 처리 유닛 153: 배관
154: 처리액 공급원 155: 유량 조정부
A1, A2, A3, A4, A5, A6: 회전축선 C: 캐리어(제1 위치, 제2 위치)
D: 기판의 직경 D1: 통상 직경 기판의 직경
D2: 대경 기판
E1: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는 제1 선반(23)과 제2 선반(24)의 간격
E2: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는 제1 선반(46)과 제2 선반(47)의 간격(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간격)
ET: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상단과 제2 경사면의 상단의 간격
EB: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하단과 제2 경사면의 하단의 간격
EM: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경사면의 중간점과 제2 경사면의 중간점의 간격
F1: 제1 방향 F2: 제2 방향
F3: 제3 방향 F4: 제4 방향
HA, HB, HC: 높이 위치 HA1, HB1, HC1: 제1 높이 위치
HA2, HB2, HC2: 제2 높이 위치 HA3, HB3, HC3: 제3 높이 위치
J: 기판의 중심 KA, KB: 삽입량
KA1, KB1: 제1 삽입량 KA2, KB2: 제2 삽입량
L1: 제2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로드의 전체의 길이
L2: 제1 방향에 있어서의 로드의 길이
L3: 제2 방향에 있어서의 1개의 로드의 길이
T1, T2, T3: 기판의 주부의 두께
T4, T5, T6: 기판의 주연부의 두께
VA, VB: 이동 속도 VA1, VB1: 제1 이동 속도
VA2, VB2: 제2 이동 속도 AA, AB: 가속도
AA1, AB1: 제1 가속도 AA2, AB2: 제2 가속도
M: 유량 M1: 제1 유량
M2: 제2 유량 M3: 제3 유량
W: 기판 W1: 제1 기판
W2: 제2 기판 W3: 제3 기판
WN: 통상 직경 기판 WD: 대경 기판
X: 전후 방향 Y: 폭 방향
Z: 상하 방향 θ1: 상측 경사면의 각도
θ2: 하측 경사면의 각도1: substrate processing device 2: index server
3: carrier mounting unit 4: transport mechanism (second transport mechanism)
5: processing block 6: mounting unit (first position, second position)
7: processing unit (first position, second position) 7A: first processing unit
7B: second processing unit 8: transport mechanism (first transport mechanism)
9: control unit 11: board body
12: periphery of board 13: main part of board
14: concave portion of substrate 15: protective plate
16: lower surface of substrate 17: upper surface of substrate
18 first side of
20: end edge of substrate 22: shelf
23: first shelf 24: second shelf
31: barcode reader 33: hand
34: hand drive unit 35: connection unit
36: rod 37: contact
38: substrate detection unit 45: shelf
46: first shelf 47: second shelf
51: first
51B: lower end of the
52: upper slope 53: lower slope
55: second inclined surface 56: upper inclined surface
57: lower slope 61: hand
62: hand drive unit 64: connection unit
65: base part 66: branch part
68: suction part 69: suction pad
71: gas supply path 72: gas supply source
73: suction adjustment unit 74: contact unit
75: first contact portion 76: second contact portion
77: wall part 78: first wall part
79: second wall portion 80: third wall portion
81: receiving part 82: first receiving part
83: second receiving part 86: receiving part driving part
87: actuator 88: elastic member
89: substrate detection unit 91: substrate holding unit
91A: first
92:
92B: second rotation drive unit 93: guard
101: first plate 102: upper surface
103: fixing pin (support part) 104: gas outlet
105: first outlet 106: second outlet
107: first gas supply passage 108: second gas supply passage
109: gas supply source 111: first intake adjustment unit
112: second take-out adjustment unit 113: position adjustment pin (position adjustment unit)
114: shaft part 116: lift pin (elevating part)
121: treatment liquid supply unit 122: nozzle
123: pipe 124: treatment liquid supply source
125: flow rate adjustment unit 127: substrate detection unit
131: second plate 132: upper surface
133: end edge contact pin (end edge contact portion)
134: small piece portion 135: lower surface contact pin
136: shaft part 141: first processing unit
142: pure water supply unit 143: piping
144: pure water source 145: flow control unit
151: first processing unit 153: piping
154: treatment liquid supply source 155: flow rate adjustment unit
A1, A2, A3, A4, A5, A6: Axis of rotation C: Carrier (1st position, 2nd position)
D: Diameter of substrate D1: Diameter of normal diameter substrate
D2: large-diameter board
E1: Interval between the
E2: Spacing between the
ET: Interval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B: Interval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M: Interval between the midpoint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midpoint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1: first direction F2: second direction
F3: 3rd direction F4: 4th direction
HA, HB, HC: height position HA1, HB1, HC1: first height position
HA2, HB2, HC2: 2nd height position HA3, HB3, HC3: 3rd height position
J: center of board KA, KB: insertion amount
KA1, KB1: 1st insertion amount KA2, KB2: 2nd insertion amount
L1: the total length of the two rods in the second direction
L2: the length of the rod in the first direction
L3: length of one rod in the second direction
T1, T2, T3: thickness of the main part of the board
T4, T5, T6: thickness of the periphery of the substrate
VA, VB: movement speed VA1, VB1: first movement speed
VA2, VB2: 2nd movement speed AA, AB: acceleration
AA1, AB1: 1st acceleration AA2, AB2: 2nd acceleration
M: flow rate M1: first flow rate
M2: 2nd flow rate M3: 3rd flow rate
W: substrate W1: first substrate
W2: second substrate W3: third substrate
WN: normal diameter substrate WD: large diameter substrate
X: front-to-back direction Y: width direction
Z: up-down direction θ1: angle of the upper slope
θ2: angle of the lower slope
Claims (22)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핸드와,
상기 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는 흡인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1 받이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상기 하면 및 기판의 상기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2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에 상기 제2 받이부를 접근시키고, 또한, 상기 제1 받이부로부터 상기 제2 받이부를 이반(離反)시키는 받이부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이 상기 제1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기 제1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는 허용하고,
상기 흡인부가 상기 기판을 흡인함과 더불어, 상기 제1 받이부 및 상기 제2 받이부가 상기 기판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기판을 반송하는, 기판 처리 장치.A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is provided;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hand,
A ha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and,
The hand,
base part,
a suction portion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figured to flow a ga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 first receiver supported by the base unit,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unit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wealth,
An agent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disposed under a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ortion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ortion,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2 receiving part;
By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brought closer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receiving portion drive unit for separat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d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llow the substrate to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uction portion sucks the substrate and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transports the substrate in a state wher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do not contact the substrate.
상기 제1 반송 기구가 기판을 반송할 때, 상기 제1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conveying mechanism conveys the subs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ar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a substrate sucked by the suction portion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Device.
기판을 재치(載置)하는 재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흡인부에 의한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고 나서, 상기 재치부에 기판을 재치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mounting unit for placing a substrate is provid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placing portion after stopping the suction of the substrate by the suction portion to raise the substrate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기판을 처리하는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기판을 유지하는 기판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상기 흡인부에 의한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 및 상기 제2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고 나서, 상기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재치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substrate is provided;
The processing unit is
A substrate holding portion for holding a substrate is provided;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places the substrate on the substrate holding portion after stopping the suction of the substrate by the suction portion to raise the substrate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상기 제2 받이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 받이부는 탈락 방지 위치와 퇴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2 받이부가 상기 탈락 방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받이부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에서 봤을 때,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겹치고,
상기 제2 받이부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 기판은, 수평 자세로, 상기 제1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By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an be moved to a position to prevent falling off and a retracted position,
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anti-falling pos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verlaps a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 wherein, wh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in the retracted position, the substrate is capable of passing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horizontal posture.
상기 받이부 구동부는,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탈락 방지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탈락 방지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an actuator for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the drop-off prevention position and the retracted position;
and an elastic member for urg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oward the drop-preventing position.
상기 받이부 구동부는,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eceiving part driving part,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for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기판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송 기구는,
핸드와,
상기 핸드를 이동시키는 핸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핸드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는 흡인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하면 및 기판의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1 받이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하방에 배치되며, 기판의 상기 하면 및 기판의 상기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받을 수 있는 제2 받이부와,
상기 제2 받이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받이부에 상기 제2 받이부를 접근시키고, 또한, 상기 제1 받이부로부터 상기 제2 받이부를 이반시키는 받이부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어 있는, 기판 처리 장치.A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 first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substrate is provided;
The first transport mechanism,
hand,
A hand driving unit for moving the hand,
The hand,
base part,
a suction portion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figured to flow a ga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 first receiver supported by the base unit,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unit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wealth,
An agent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disposed under a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ortion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ttracted by the suction portion, and capable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2 receiving part;
By mov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relative to the base portion, a receiving portion drive unit for bring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lose to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separating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from the first receiving por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상기 핸드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상기 상면 및 기판의 상기 끝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쪽과 접촉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의 측방을 통과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이부는,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되는, 기판 처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
a first contact portion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contacting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edge of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a first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through a side of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wall portion.
베이스부에 장착된 흡인부가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핸드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흡인부가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흡인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는 단계와,
상기 받이부로부터 재치부에 기판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기판이 상기 받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기 받이부는 허용하는, 기판 반송 방법.As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a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by allowing a suction uni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to flow ga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further moving the base portion by the hand drive unit;
a step of raising the substrate on a receiving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disposed below the suction portion by stopping the su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A step of handing a substr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placing portion;
In the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the receiving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The method of conveying a substrate,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allows the substrate to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베이스부에 장착된 흡인부가 기판의 상면을 따라 기체를 흐르게 해, 기판과 접촉하는 일 없이 기판을 상방으로 흡인하고, 또한, 핸드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흡인부가 기판의 흡인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고, 또한, 상기 흡인부의 하방에 배치되는 받이부에 기판을 올리는 단계와,
상기 받이부로부터 처리 유닛의 기판 유지부에 기판을 건네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을 반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흡인부에 흡인되는 기판과 접촉하지 않고,
기판이 상기 받이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상기 받이부는 허용하는, 기판 반송 방법.As a substrate transport method,
a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by allowing a suction unit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to flow ga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suck the substrate upward without contacting the substrate, and further moving the base portion by the hand drive unit;
a step of raising the substrate on a receiving portion supported by the base portion and disposed below the suction portion by stopping the suction portion of the substrate;
handing a substrate from the receiving portion to a substrate holding portion of a processing unit;
In the step of conveying the substrate, the receiving portion does not contact the substrate attracted to the suction portion,
The method of conveying a substrate,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allows the substrate to move upward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3077A KR102823236B1 (en) | 2019-09-20 | 2023-05-16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71512A JP7390142B2 (en) | 2019-09-20 | 2019-09-20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and substrate transport method |
JPJP-P-2019-171512 | 2019-09-20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3077A Division KR102823236B1 (en) | 2019-09-20 | 2023-05-16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4524A KR20210034524A (en) | 2021-03-30 |
KR102535157B1 true KR102535157B1 (en) | 2023-05-22 |
Family
ID=748766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0415A Active KR102535157B1 (en) | 2019-09-20 | 2020-09-18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ing method |
KR1020230063077A Active KR102823236B1 (en) | 2019-09-20 | 2023-05-16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3077A Active KR102823236B1 (en) | 2019-09-20 | 2023-05-16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850623B2 (en) |
JP (3) | JP7390142B2 (en) |
KR (2) | KR102535157B1 (en) |
CN (1) | CN112542417B (en) |
TW (3) | TWI765319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24667B2 (en) | 2019-09-20 | 2023-08-10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CN113385939B (en) * | 2021-06-28 | 2024-06-14 | 江苏龙城精锻集团有限公司 | Hydraulic clamp for cutting machining of pump head of high-pressure fuel pump |
CN114559453B (en) * | 2022-02-28 | 2024-06-04 | 上海普达特半导体设备有限公司 | Manipulator and semiconductor device |
TWI862273B (en) * | 2022-11-28 | 2024-11-11 |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 Transferring apparatus in airflow type |
TWI814679B (en) * | 2023-02-13 | 2023-09-01 | 盛詮科技股份有限公司 | Carrier suspended ar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3180A (en) * | 2002-08-26 | 2004-03-18 | Sharp Corp | Transporting method and device for sheet-form base board |
JP2013086241A (en) * | 2011-10-21 | 2013-05-13 | Ihi Corp | Chuck device and chuck method |
WO2018207599A1 (en) | 2017-05-11 | 2018-11-15 | ローツェ株式会社 | Thin-plate substrate holding finger and transfer robot provided with said finger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82933A (en) * | 1988-06-03 | 1989-11-28 | Novasensor | Accelerometer with integral bidirectional shock protection and controllable viscous damping |
JP3246514B2 (en) * | 1991-11-19 | 2002-01-15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Processing equipment |
JP2000306877A (en) * | 1999-04-26 | 2000-11-02 | Hitachi Ltd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US6669808B2 (en) * | 2001-03-22 | 2003-12-30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US20050000449A1 (en) * | 2001-12-21 | 2005-01-06 | Masayuki Ishibashi | Susceptor for epitaxial growth and epitaxial growth method |
US7087117B2 (en) * | 2002-11-15 | 2006-08-08 | Ebara Corporatio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JP2004235622A (en) * | 2003-01-09 | 2004-08-19 | Disco Abrasive Syst Ltd | Plate-like material transfer device |
JP2005228863A (en) * | 2004-02-12 | 2005-08-25 | Seiko Epson Corp |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semiconductor device and sensor |
CN100594261C (en) * | 2004-05-18 | 2010-03-17 | 胜高股份有限公司 | Susceptor for vapor phase growth apparatus |
JP4601341B2 (en) * | 2004-07-02 | 2010-12-22 |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JP2006024683A (en) * | 2004-07-07 | 2006-01-26 | Nikon Corp | Conveying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and conveyance method |
JP2006049449A (en) * | 2004-08-03 | 2006-02-16 |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US7611322B2 (en) * | 2004-11-18 | 2009-11-03 | Intevac, Inc. | Processing thin wafers |
JP4564022B2 (en) * | 2007-01-16 | 2010-10-20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vertical heat treatment device |
JP4740414B2 (en) | 2007-04-24 | 2011-08-03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transfer device |
US20080314319A1 (en) | 2007-06-19 | 2008-12-25 | Memc Electronic Materials, Inc. | Susceptor for improving throughput and reducing wafer damage |
JP4616873B2 (en) * | 2007-09-28 | 2011-01-19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substrate holding method, and program |
KR101883319B1 (en) * | 2010-02-17 | 2018-07-31 |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 Transfer apparatus, transfer method,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
JP6001961B2 (en) | 2012-08-29 | 2016-10-05 | 株式会社Screenセミコンダク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CN104813460A (en) * | 2012-11-27 | 2015-07-29 | 盛美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 Substrate supporting apparatus |
JP2014127654A (en) * | 2012-12-27 | 2014-07-07 | Nikon Corp | Suction apparatus, method, and exposure device |
JP6188123B2 (en) * | 2012-12-28 | 2017-08-30 |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 Bonding device and bonding processing method |
JP2014138078A (en) * | 2013-01-17 | 2014-07-28 | Nikon Corp | Conveyance system and conveyance method, exposure device and exposure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vice |
JP2014150206A (en) * | 2013-02-04 | 2014-08-21 | Disco Abrasive Syst Ltd | Conveyance device of plate-like material |
JP6128050B2 (en) | 2014-04-25 | 2017-05-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Non-contact transfer hand |
US9536764B2 (en) * | 2015-01-27 | 2017-01-03 | Lam Research Corporation | End effector for waf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wafers |
JP6352827B2 (en) * | 2015-02-12 | 2018-07-04 | 株式会社テックインテック |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JP6486779B2 (en) * | 2015-06-24 | 2019-03-20 | 株式会社ディスコ | Transport device |
JP6568773B2 (en) * | 2015-11-10 | 2019-08-28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transfer device and peeling system |
JP2017120805A (en) * | 2015-12-28 | 2017-07-06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Wafer processing device and transport robot |
TWM527155U (en) * | 2016-05-06 | 2016-08-11 | Warde Tec Taiwan Co Ltd | Robot |
JP6870941B2 (en) | 2016-09-15 | 2021-05-12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Transport condition setting device, board processing device, and transport condition setting method |
JP6814009B2 (en) * | 2016-10-04 | 2021-01-13 | 株式会社ディスコ | Transport method for transport pads and wafers |
JP6853646B2 (en) * | 2016-10-04 | 2021-03-31 | 株式会社ディスコ | Robot hand and transfer robot |
KR20180045666A (en) * | 2016-10-26 | 2018-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oducting substrate |
JP7030440B2 (en) * | 2017-07-27 | 2022-03-07 |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substrate processing liquid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
JP6363284B2 (en) * | 2017-10-05 | 2018-07-25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Substrate processing system |
-
2019
- 2019-09-20 JP JP2019171512A patent/JP7390142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8-17 CN CN202010823740.0A patent/CN112542417B/en active Active
- 2020-08-21 TW TW109128505A patent/TWI765319B/en active
- 2020-08-21 TW TW113103731A patent/TW202425197A/en unknown
- 2020-08-21 TW TW110137106A patent/TWI850591B/en active
- 2020-09-08 US US17/014,036 patent/US11850623B2/en active Active
- 2020-09-18 KR KR1020200120415A patent/KR102535157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05-16 KR KR1020230063077A patent/KR102823236B1/en active Active
- 2023-06-21 JP JP2023101717A patent/JP7559146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6-06 JP JP2024092294A patent/JP2024110997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83180A (en) * | 2002-08-26 | 2004-03-18 | Sharp Corp | Transporting method and device for sheet-form base board |
JP2013086241A (en) * | 2011-10-21 | 2013-05-13 | Ihi Corp | Chuck device and chuck method |
WO2018207599A1 (en) | 2017-05-11 | 2018-11-15 | ローツェ株式会社 | Thin-plate substrate holding finger and transfer robot provided with said fi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850623B2 (en) | 2023-12-26 |
JP7559146B2 (en) | 2024-10-01 |
CN112542417B (en) | 2024-09-06 |
TWI765319B (en) | 2022-05-21 |
JP2023115122A (en) | 2023-08-18 |
CN112542417A (en) | 2021-03-23 |
KR102823236B1 (en) | 2025-06-20 |
TW202119541A (en) | 2021-05-16 |
TWI850591B (en) | 2024-08-01 |
TW202203361A (en) | 2022-01-16 |
JP7390142B2 (en) | 2023-12-01 |
JP2024110997A (en) | 2024-08-16 |
JP2021048358A (en) | 2021-03-25 |
TW202425197A (en) | 2024-06-16 |
US20210086222A1 (en) | 2021-03-25 |
KR20230074670A (en) | 2023-05-31 |
KR20210034524A (en) | 2021-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33973B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KR102535157B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ansporting method | |
KR102425863B1 (en) |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
KR102490337B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2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