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610B1 - Adhesive tap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tape - Google Patents
Adhesive tap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ta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4610B1 KR102534610B1 KR1020207009453A KR20207009453A KR102534610B1 KR 102534610 B1 KR102534610 B1 KR 102534610B1 KR 1020207009453 A KR1020207009453 A KR 1020207009453A KR 20207009453 A KR20207009453 A KR 20207009453A KR 102534610 B1 KR102534610 B1 KR 1025346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tape
- tape
- adhesive
- adhesive layer
- sepa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6 oriented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00 acrylic rubber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69 carnauba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3 carnauba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69 petroleum derived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1 petroleum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8 polyacrylate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urethane group Chemical group NC(=O)OCC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B65H75/08—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 B65H75/14—Kinds or types of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 with two end flan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65H75/285—Holding devices to prevent the wound material from unwind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3—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applying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re Bond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접착 테이프(11)는 세퍼레이터(12)의 일면(12a)측에 접착층(13)이 마련된 접착 테이프로서,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에는, 적어도 리드 부분(L)의 선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3)이 노출되지 않도록, 당해 리드 부분(L)과 동일 위치에서 종단하는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21)가 마련되어 있다.The adhesive tape 11 is an adhesive tape in which an adhesive layer 13 is provided on one surface 12a side of the separator 12, and in the lead part L of the adhesive tape 11, at least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ad part L. A pick-up tape 21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is provided that terminate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ead portion L so that the adhesive layer 13 is not exposed.
Description
본 개시는, 접착 테이프, 접착 테이프 권회 릴, 및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dhesive tape, an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dhesive tape.
종래, 다수의 전극을 갖는 피접속 부재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 테이프로서, 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테이프가 있다. 이방 도전성 테이프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프린트 배선 기판, LCD용 유리 기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의 기판에 IC, LSI와 같은 반도체 소자 등을 접속할 때, 상대하는 전극끼리를 도통시키는 한편,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n adhesive tape for connecting to-be-connected members having a large number of electrodes is used. As such an adhesive tape, there is an anisotropic conductive tape, for example. When an anisotropic conductive tape is used, for example, when connecting semiconductor elements such as ICs and LSIs to substrates such as printed wiring boards, glass substrates for LCDs, and flexible printed boards, the opposing electrodes are conducted while the adjacent electrodes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ulation state of each other.
접착 테이프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 성분과,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도전 입자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등의 기재 상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접착 테이프는, 시트상의 원단을 용도에 따른 폭으로 길게 슬릿 가공함으로써 제작되고, 릴에 권회한 권회체의 상태로 보존·운반·사용이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An adhesive tape is formed by forming,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dhesive component containing a thermosetting resin and conductive particles blended as needed on a substrate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ET). An adhesive tape is produced by slitting a sheet-like original fabric to a width suitable for use, and stored, transported, and used in the state of a wound body wound on a reel (see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종래에는, 릴에 감긴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권출 부분)에 접착 테이프의 단보다도 돌출되는 리드 테이프를 부착하고, 리드 테이프를 릴에 부착함으로써 리드 부분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근년에는, 보다 폭이 가는 접착 테이프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리드 테이프의 두께가 접착 테이프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져 오고 있어, 리드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을 슬릿 가공하는 것이 곤란해져 있다. 현재 상태에서는, 리드 부분에 부착한 리드 테이프를 일단 벗기고, 슬릿 가공을 행한 후, 폭이 가늘게 된 접착 테이프의 각각에 리드 테이프를 부착하고 있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의 제조 공정이 번잡하게 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the lead portion is fixed by attaching a lead tape protruding beyond the edge of the adhesive tape to a lead portion (unwinding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wound on a reel, and attaching the lead tape to the reel. However,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adhesive tapes with a narrower width has become stronger.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lead tape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adhesive tape, and it is difficult to slit the lea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in the state where the lead tape is attached. In the present state, the lead tape attached to the lead portion is once peeled off, and after performing a slit process, the lead tape is affixed to each of the thinned adhesive tapes. Therefore, there existed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dhesive tape became complicated.
본 개시는,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는 폭이 가는 접착 테이프, 접착 테이프 권회 릴, 및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dication was made for the solution of the said subject, and aims at providing the thin adhesive tape which can simplify a manufacturing process, an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tape.
본 개시의 일측면에 관한 접착 테이프는,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측에 제1 접착층이 마련된 접착 테이프로서,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에는, 적어도 리드 부분의 선단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당해 리드 부분과 동일 위치에서 종단하는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다.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adhesive tape in which a first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urface side of a first separator, so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on the lea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at least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that terminate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ead portion is provided.
이 접착 테이프에서는, 리드 부분에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 테이프의 폭에 대한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의 선단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을 릴 등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릴 등으로부터 뗄 때에 제1 접착층이 제1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dhesive tape,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is provided on the lead portion. By making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into the said range,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with respect to the width|variety of an adhesive tape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ut the adhesive tape into a narrow width by slit processing in the state where the pick-up tape is appli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even when the lead portion is fixed to a reel, etc., when the lead portion is removed from the reel or the like during us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prevented from peeling off from the first separator can do.
또한, 픽업 테이프는,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측에 제2 접착층을 갖고, 제2 접착층과 접착 테이프측의 제1 접착층이 대향하도록 리드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픽업 테이프를 접착 테이프에 대하여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k-up tape may have a second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and may be fixed to the lead portion so that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adhesive tape side face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fix the pick-up tape to the adhesive tape.
또한, 픽업 테이프는, 제2 세퍼레이터의 다른 면측에 제3 접착층을 갖고, 리드 부분의 종단측에는, 제2 세퍼레이터가 제3 접착층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시일을 사용하지 않고, 제3 접착층에 의해 리드 부분을 릴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부분의 종단측에 노출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릴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뗄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k-up tape may have a third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and an exposed area where the second separator is exposed from the third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on the terminal side of the lead portion. In this case, the lea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reel or the like by the third adhesive layer without using a separate seal. In addition, by forming the exposed area on the terminal side of the lead portion, the lead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reel or the like during use.
또한, 픽업 테이프는, 제2 세퍼레이터의 다른 면측에 제4 접착층을 갖고, 제2 세퍼레이터가 접착 테이프측의 제1 접착층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리드 부분에 고정되고, 리드 부분의 종단측에는, 제2 세퍼레이터가 제4 접착층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시일을 사용하지 않고, 제4 접착층에 의해 리드 부분을 릴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부분의 종단측에 노출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접착 테이프의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릴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뗄 수 있다. 또한,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측에 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픽업 테이프를 포함한 리드 부분의 전체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의 슬릿 가공을 한층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Further, the pick-up tape has a fourth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the second separator is fixed to the lead portion by being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adhesive tape side, and the second separator is attached to the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An exposed area exposed from the fourth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lea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reel or the like by the fourth adhesive layer without using a separate seal.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exposed area at the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the lead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reel or the like at the time of use of the adhesive tape. Further, by not providing an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ead portion including the pick-up tape can be suppressed. Therefore, sli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in a state where the pick-up tape is applied.
또한, 픽업 테이프는, 제2 세퍼레이터만에 의해 구성되고, 제2 세퍼레이터가 접착 테이프측의 제1 접착층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리드 부분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픽업 테이프를 포함한 리드 부분의 전체의 두께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의 슬릿 가공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kup tape may be composed of only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second separator may be fixed to the lead portion by being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adhesive tape side. In this cas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ead portion including the pickup tape can be further suppressed. Therefore, sli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in a state where the pick-up tape is applied.
또한, 픽업 테이프측의 접착층에는, 제1 접착층과는 상이한 색이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픽업 테이프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의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절단하는 경우 등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on the pick-up tape side may be colored with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reby, th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pick-up tape can be impr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workability in the case of cutting the lead portion at the time of using the adhesive tape.
또한, 접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은 0.8㎜ 이하여도 된다. 접착 테이프의 폭이 0.8㎜ 이하인 경우, 종래와 같은 리드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을 슬릿 가공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의 폭이 0.8㎜ 이하인 경우에는, 상술한 픽업 테이프의 적용이 특히 유용하게 된다.Moreover, the width|variety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 adhesive tape may be 0.8 mm or less. When the width of the adhesive tape is 0.8 mm or less, it becomes difficult to slit the lea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in a state where the conventional lead tape is attached. Therefore, when the width of the adhesive tape is 0.8 mm or less, appl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pickup tape becomes particularly useful.
또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관한 접착 테이프 권회 릴은, 상기 접착 테이프가 감긴 권취 코어와, 권취 코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권취 코어로부터 인출된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이 측판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inding core on which the adhesive tape is wound, and a pair of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winding cor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ead of the adhesive tape pulled out from the winding core The par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ide plate.
이 접착 테이프 권회 릴에서는,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리드 부분에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 테이프의 폭에 대한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의 선단측에 있어서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릴로부터 뗄 때에 제1 접착층이 제1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dhesive tape winding reel,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is provided in the lea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By making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into the said range,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with respect to the width|variety of an adhesive tape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ut the adhesive tape into a narrow width by slit processing in the state where the pick-up tape is appli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on the tip side of the lea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dhesive lay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separator when the lead portion is removed from the reel during use.
또한, 본 개시의 일측면에 관한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은, 제1 세퍼레이터의 일면측에 제1 접착층이 마련된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접착 테이프를 원단으로부터 풀어내면서,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게 되는 방향으로 원단의 폭과 등폭인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를 일정한 길이마다 제1 접착층에 부착하고, 픽업 테이프가 부착된 접착 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슬릿 가공하여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로 절단하고,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를 픽업 테이프와 함께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리드 부분을 종단시킨 후,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를 각각 릴에 권취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in which a first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first separator, so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while releasing the adhesive tape from the fabric.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which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fabric, is attach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at predetermined lengths, and the adhesive tape with the pick-up tape is sl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ut into a plurality of sets of adhesive tapes. After cutting a plurality of sets of adhesive tapes in the width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ick-up tape to terminate the lead portion, the plurality of sets of adhesive tapes are wound on a reel, respectively.
이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에서는, 리드 부분에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를 적용한다.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 테이프의 폭에 대한 픽업 테이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제작된 접착 테이프에 있어서 리드 부분의 선단측에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을 릴 등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을 릴 등으로부터 뗄 때에 제1 접착층이 제1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is applied to the lead portion. By making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into the said range, the thickness of a pick-up tape with respect to the width|variety of an adhesive tape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ut the adhesive tape into a narrow width by slit processing in the state where the pick-up tape is appli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in the produced adhesive tape, even when the lead portion is fixed to a reel or the like, when the lead portion is removed from the reel or the like during us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removed from the first separator. Separation can be prevented.
본 개시에 의하면, 폭이 가는 접착 테이프의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dica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narrow adhesive tape can be simplified.
도 1은 접착 테이프 권회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접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접착 테이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접착 테이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접착 테이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tape winding reel.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tape.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n adhesive tap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an adhesive tape.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dhesive tape.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측면에 관한 접착 테이프, 접착 테이프 권회 릴, 및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SCRIPTION OF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dhesive tape, an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an adhesive tap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접착 테이프 권회 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은 접착 테이프(11)가 감기는 권취 코어(2)와, 권취 코어(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3, 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은 접착 테이프(11)의 제조, 공급, 보존에 사용되는 릴이며, 한 쌍의 측판(3, 3)에 의해 권취 코어(2)에 감긴 접착 테이프(11)의 감기 붕괴를 방지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tape winding reel. As shown in the figure, the adhesive tape winding reel 1 includes a
권취 코어(2)는 접착 테이프(11)를 감는 부분이다. 권취 코어(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접착 테이프(11)의 폭과 마찬가지 두께의 원환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테이프(11)의 접착층(13)(도 2 참조)이 내측(권취 코어(2)측)을 향하도록 하여 권취 코어(2)에 접착 테이프(11)가 감겨 있다. 권취 코어(2)의 중공 부분(2a)에는,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의 접착 테이프(11)의 감기에 사용하는 권취 장치, 혹은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의 접착 테이프(11)의 풀어내기에 사용하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축 구멍에 권취 장치 또는 조출 장치의 회전축을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축을 구동시킴으로써,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이 공전 없이 회전하게 되어 있다.The winding
측판(3)은 예를 들어 권취 코어(2)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원판상을 이루고 있다. 측판(3)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다. 측판(3)의 직경은, 권취 코어(2)에 감기는 접착 테이프(T)의 길이에 따라, 권취 코어(2)의 직경에 대하여 충분히 큰 직경이 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측판(3)의 중앙 부분에는, 상술한 축 구멍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권취 코어(2)의 중공 부분(2a)에 연통하는 원형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The side plate 3 is made of the same plastic as the winding
측판(3)의 내면에는,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의 중심측으로부터 주연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4)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22.5°의 위상각을 갖고서 16개의 직선상의 리브(4)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4)는 예를 들어 원호상의 단면상을 이루고, 예를 들어 0.05㎜ 내지 1.00㎜ 정도의 범위로 측판(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4)의 배치에 의해, 권취 코어(2)에 감긴 접착 테이프(11)의 감기 붕괴의 억제, 및 측판(3)으로의 충돌에 의한 접착 테이프(11)의 접착층(13)(도 2 참조)의 박리(블로킹 현상)의 억제 등의 효과가 발휘된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3, a plurality of
이어서, 접착 테이프(1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도 2는, 접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1)는 세퍼레이터(제1 세퍼레이터)(12)와, 세퍼레이터(12)의 일면(12a)측에 형성된 접착층(제1 접착층)(13)에 의한 2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테이프(11)는 피접속 부재끼리의 접속에 사용되는 이방 도전성 테이프를 예시한다. 이방 도전성 테이프는, 예를 들어 프린트 배선 기판, LCD용 유리 기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같은 각종 기판에, IC, LSI와 같은 반도체 소자 등을 접속할 때에 사용되는 접착 테이프이다. 이방 도전성 테이프는, 상대하는 전극끼리를 도통시키는 한편,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dhesive tape. As shown in the figure, the
접착 테이프(11)의 길이는, 예를 들어 10m 이상 1000m 이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300m이다. 접착 테이프(11)는 상술한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을 사용함으로써 권회체의 상태에서 보존 및 반송된다. 접착 테이프(11)의 폭은, 예를 들어 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접착 테이프(11)의 두께(세퍼레이터(12) 및 접착층(13)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어 5㎛ 이상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The length of the
세퍼레이터(12)의 재료로서는, 접착 테이프(11)의 강도 및 접착층(13)의 박리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합성 고무계, 액정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세퍼레이터(12)의 다른 면(12b)측에는,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형 처리를 행하는 이형제로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이형제, 에틸렌글리콜몬탄산에스테르, 카르나우바 왁스, 석유계 왁스 등의 저융점 왁스, 저분자량 불소 수지, 실리콘계 또는 불소계의 계면 활성제, 오일, 왁스, 레진, 폴리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실리콘 수지가 사용된다.The mold release process may be given to the
접착층(1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혹은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의 혼합계(혼합 수지)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들 수 있다.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를 들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접착 테이프(11)가 이방 도전성 테이프인 경우, 접착층(13)은 접착제 성분과, 필요에 따라 함유되는 도전 입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열이나 광에 의해 경화성을 나타내는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고, 접속 후의 내열성이나 내습성이 우수한 점에서, 가교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폭시계 접착제는, 단시간 경화가 가능하여 접속 작업성이 좋고, 분자 구조상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등의 특징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고분자량 에폭시, 고형 에폭시 또는 액상 에폭시, 혹은 이들을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NBR), 합성 선상 폴리아미드 등으로 변성한 에폭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계 접착제는, 주성분을 이루는 상기 에폭시에 경화제, 촉매, 커플링제, 충전제 등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the
도전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Au, Ag, Pt, Ni, Cu, W, Sb, Sn, 땜납 등의 금속, 혹은 카본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비도전성의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핵으로 하여, 이 핵을 상기 금속이나 카본으로 피복한 피복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도전 입자의 평균 입경은, 분산성 및 도전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1㎛ 이상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도전 입자를 절연층으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절연 피복 입자를 사용해도 되고, 인접하는 전극끼리의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도전 입자와 절연성 입자를 병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nclude metals such as Au, Ag, Pt, Ni, Cu, W, Sb, Sn, and solder, or particles of carbon. Alternatively, coated particles made of non-conductive glass, ceramics, plastic, etc. as nuclei and coated with the metal or carb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rticles is preferably 1 μm or more and 18 μm or less,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s of dispersibility and conductivity. Incidentally, insulated-coated particles formed by covering conductive particles with an insulating layer may be used, or conductive particles and insulating particl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insulation between adjacent electrodes.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의 인출 부분)에는 픽업 테이프(21)가 마련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2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1)가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감긴 상태에 있어서 측판(3, 3) 사이에서 인출되고, 시일(S)에 의해 한쪽 측판(3)의 외면에 고정된다. 접착 테이프(11)의 사용 시에는, 시일(S)을 박리한 후, 픽업 테이프(21)를 파지하여 접착 테이프(11)를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시일(S)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인 시일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1)의 사용 시에는, 리드 부분(L)을 픽업 테이프(21)와 함께 절단해도 된다.A
픽업 테이프(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제2 세퍼레이터)(22)와, 세퍼레이터(12)의 일면(22a)측에 형성된 접착층(제2 접착층)(23)에 의한 2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픽업 테이프(21)는 접착층(23)과 접착 테이프(11)측의 접착층(13)이 대향하도록 리드 부분(L)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픽업 테이프(21)의 종단부 위치 F2는,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의 종단부 위치 F1과 일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에서는, 접착층(13)이 세퍼레이터(12)와 픽업 테이프(21)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서, 접착층(13)이 외측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ick-up
픽업 테이프(21)의 길이는,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에 대응하는 길이이며, 예를 들어 30㎜ 이상 300㎜ 이하이다. 또한, 픽업 테이프(21)의 폭은, 예를 들어 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고, 접착 테이프(11)의 폭과 등폭이 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21)의 두께(세퍼레이터(12) 및 접착층(13)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 픽업 테이프(21)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접착 테이프(11)로의 부착 시에 픽업 테이프(21)가 컬링하여, 접착층(13, 23)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픽업 테이프(21)의 두께가 30㎛를 초과하는 경우, 픽업 테이프(21)를 접착 테이프(11)와 등폭으로 절단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두께의 범위라면,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픽업 테이프(21)의 절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pick-up
세퍼레이터(22)의 재료로서는, 접착 테이프(11)의 세퍼레이터(12)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합성 고무계, 액정 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접착층(23)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점착제 혹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고객 최종 제품의 사양상, 접착층(13) 이외의 부자재도 포함하여 실리콘 프리가 요구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접착층(23)의 재료로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23)에는, 픽업 테이프(21)의 시인성 및 식별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접착 테이프(11)측의 접착층(13)과는 상이한 색이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3, 23)의 색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례로서, 접착 테이프(11)측의 접착층(13)의 색을 무색 투명으로 하고, 픽업 테이프(21)측의 접착층(23)의 색을 청색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12)에 백색 PET를 사용한 경우에는, 콘트라스트의 관계로부터 픽업 테이프(21)의 세퍼레이터(22) 및 접착층(23)의 색을 흑색으로 할 수도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계속해서, 접착 테이프(1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Subsequent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도 3은, 접착 테이프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도면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1)의 제조에는, 제조 장치(101)를 사용한다. 제조 장치(101)는 접착 테이프(11)의 원단(P)이 감긴 조출 장치(102)와, 복수의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권취 장치(103)와, 접착 테이프(11)의 슬릿 가공을 행하는 가공 장치(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dhesive tape. As shown in the same figure, the
조출 장치(102)로부터는, 일정한 속도로 원단(P)으로부터 접착 테이프(11)가 풀어내진다. 조출 장치(102)로부터 풀어내진 접착 테이프(11)에는, 원단(P)의 폭과 등폭인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넓은 지면의 픽업 테이프(21)가 일정한 길이마다 부착된다. 이때, 픽업 테이프(21)의 접착층(23)을 접착 테이프(11)의 접착층(13)과 대향시킨다. 이에 의해, 픽업 테이프(21)가 부착된 부분에서는, 접착 테이프(11)의 접착층(13)이 외측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From the
픽업 테이프(21)의 부착 후, 접착 테이프(11)를 가공 장치(104)로 보낸다. 그리고, 픽업 테이프(21)가 부착된 접착 테이프(11)를 길이 방향으로 슬릿 가공하고, 폭 0.8㎜ 이하의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11)로 절단한다. 접착 테이프(11)를 슬릿 가공한 후,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11)를 픽업 테이프(21)와 함께 폭 방향으로 절단하여 리드 부분(L)을 종단시킨다(도 3에 있어서의 A-A선). 이에 의해, 접착 테이프(11)의 리드 부분(L)의 종단부 위치 F1과, 픽업 테이프(21)의 종단부 위치 F2가 일치한 상태로 된다.After attaching the pick-up
리드 부분(L)을 종단시킨 후, 픽업 테이프(21)가 부착된 복수 조의 접착 테이프(11) 각각을 권취 장치(103)에 의해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의 권취 코어(2)에 감는다. 그리고,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의 측판(3, 3) 사이에서 인출하고, 시일(S)에 의해 한쪽 측판(3)의 외면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감긴 접착 테이프(11)가 얻어진다.After the lead portion L is terminated, each of the plurality of sets o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11)에서는, 리드 부분(L)에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21)가 마련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21)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접착 테이프(11)의 폭에 대한 픽업 테이프(21)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21)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11)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선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3)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뗄 때에 접착층(13)이 세퍼레이터(12)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픽업 테이프(21)는 세퍼레이터(22)의 일면(22a)측에 접착층(23)을 갖고, 접착층(23)과 접착 테이프(11)측의 접착층(13)이 대향하도록 리드 부분(L)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픽업 테이프(21)를 접착 테이프(11)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ick-up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픽업 테이프(21)측의 접착층(23)에는, 접착 테이프(11)측의 접착층(13)과는 상이한 색이 착색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픽업 테이프(21)의 시인성 및 식별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11)의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절단하는 경우 등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 테이프(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폭은 0.8㎜ 이하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착 테이프(11)를 슬릿 가공하는 가공 장치(104)에서는, 상측 날과 하측 날을 랩시켜서 접착 테이프(11)의 절단을 행하는데, 슬릿 폭이 좁아지면, 상측 날과 하측 날 사이의 클리어런스도 좁아진다. 이 때문에, 절단 대상의 두께가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지면, 절단 대상에 날을 통과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측 날을 박형화함으로써 어느 정도 대응 가능하게 되지만, 날의 마모성 등의 문제로부터 상측 날의 박형화에도 한계가 있다. 이러한 사정에 의해, 접착 테이프의 폭이 0.8㎜ 이하인 경우, 종래와 같은 리드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는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을 슬릿 가공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접착 테이프(11)의 폭이 0.8㎜ 이하인 경우에는, 리드 부분(L)에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21)를 적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게 된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width|variety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접착 테이프는, 다양한 변형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접착 테이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접착 테이프(31)에서는, 리드 부분(L)에 마련되는 픽업 테이프(41)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픽업 테이프(41)는 세퍼레이터(제2 세퍼레이터)(22)와, 세퍼레이터(22)의 일면(22a)측에 형성된 접착층(제2 접착층)(23)과, 세퍼레이터(22)의 다른 면(22b)측에 형성된 접착층(제3 접착층)(43)에 의한 3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픽업 테이프(41)의 두께(세퍼레이터(22), 접착층(23), 및 접착층(43)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An adhesive tape can adopt various deformation|transforma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n adhesive tape. In the
접착층(43)은 예를 들어 접착층(23)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접착층(43)에는, 접착층(23)과 마찬가지로, 접착 테이프(31)측의 접착층(13)과는 상이한 색이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접착 테이프(31)에서는, 픽업 테이프(41)의 종단부 위치 F2는, 접착 테이프(31)의 리드 부분(L)의 종단부 위치 F1과 일치하고 있으나, 리드 부분(L)의 종단측에는, 세퍼레이터(22)의 다른 면(22b)이 접착층(13)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R)이 마련되어 있다. 종단부 위치 F2로부터의 노출 영역(R)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이상 30㎜ 미만으로 되어 있다.The
이러한 접착 테이프(31)에 있어서도, 픽업 테이프(41)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31)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선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3)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뗄 때에 접착층(13)이 세퍼레이터(12)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in such an
또한, 접착 테이프(31)에서는, 시일(S)(도 1 참조)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접착층(43)에 의해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종단측에 노출 영역(R)을 마련함으로써, 노출 영역(R)이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박리할 때의 파지부가 되어,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용이하게 뗄 수 있다.Moreover, in the
도 5는, 접착 테이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접착 테이프(51)에서는, 리드 부분(L)에 마련되는 픽업 테이프(61)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 더욱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픽업 테이프(61)는 세퍼레이터(제2 세퍼레이터)(22)와, 세퍼레이터(22)의 다른 면(22b)측에 형성된 접착층(제4 접착층)(63)에 의한 2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픽업 테이프(61)는 접착 테이프(51)측의 접착층(13)에 세퍼레이터(22)의 일면(22a)측이 직접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접착 테이프(51)에 고정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61)의 두께(세퍼레이터(22) 및 접착층(63)의 합계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dhesive tape. In the
접착층(63)은 예를 들어 접착층(23)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접착층(63)은 접착층(23)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층(63)에는, 접착 테이프(51)측의 접착층(13)과는 상이한 색이 착색되어 있다. 픽업 테이프(61)의 종단부 위치 F2는, 접착 테이프(51)의 리드 부분(L)의 종단부 위치 F1과 일치하고 있으나, 리드 부분(L)의 종단측에는, 세퍼레이터(22)의 다른 면(22b)이 접착층(63)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R)이 마련되어 있다. 종단부 위치 F2로부터의 노출 영역(R)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이상 30㎜ 미만으로 되어 있다.The
이러한 접착 테이프(51)에 있어서도, 픽업 테이프(61)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51)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선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3)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뗄 때에 접착층(13)이 세퍼레이터(12)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in such an
또한, 접착 테이프(51)에서는, 시일(S)(도 1 참조)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접착층(63)에 의해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종단측에 노출 영역(R)을 마련함으로써, 노출 영역(R)이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박리할 때의 파지부가 되어,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용이하게 뗄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51)에서는, 픽업 테이프(61)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22)의 일면(22a)측에 접착층을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픽업 테이프(61)를 포함한 리드 부분(L)의 전체의 두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61)를 붙인 상태에서의 슬릿 가공을 한층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도 6은, 접착 테이프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동도에 도시하는 접착 테이프(71)에서는, 리드 부분(L)에 마련되는 픽업 테이프(81)의 구성이 상기 실시 형태와 더욱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픽업 테이프(81)는 세퍼레이터(제2 세퍼레이터)(22)만의 1층 구성을 이루고 있다. 픽업 테이프(81)는 접착 테이프(71)측의 접착층(13)에 세퍼레이터(22)의 일면(22a)측이 직접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접착 테이프(7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접착 테이프(71)의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일(S)을 사용하면 된다. 픽업 테이프(81)의 두께(세퍼레이터(22)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0㎛ 이하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adhesive tape. In the
이러한 접착 테이프(71)에 있어서도, 픽업 테이프(81)를 붙인 상태에서 슬릿 가공에 의해 접착 테이프(71)를 폭이 가늘게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단화가 도모된다. 또한, 리드 부분(L)의 선단측에 있어서 접착층(13)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에 고정한 경우에도, 사용 시에 리드 부분(L)을 접착 테이프 권회 릴(1)로부터 뗄 때에 접착층(13)이 세퍼레이터(12)로부터 박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 테이프(71)에서는, 픽업 테이프(81)가 세퍼레이터(22)만의 일층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픽업 테이프(81)를 포함한 리드 부분(L)의 전체의 두께를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테이프(81)를 붙인 상태에서의 슬릿 가공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Also in such an
1: 접착 테이프 권회 릴
2: 권취 코어
3: 측판
11, 31, 51, 71: 접착 테이프
12: 세퍼레이터(제1 세퍼레이터)
12a: 일면
13: 접착층(제1 접착층)
21, 41, 61, 81: 픽업 테이프
22: 세퍼레이터(제2 세퍼레이터)
22a: 일면
22b: 다른 면
23: 접착층(제2 접착층)
43: 접착층(제3 접착층)
63: 접착층(제4 접착층)
L: 리드 부분
R: 노출 영역1: adhesive tape winding reel
2: winding core
3: side plate
11, 31, 51, 71: adhesive tape
12: separator (first separator)
12a: one side
13: adhesive layer (first adhesive layer)
21, 41, 61, 81: pickup tape
22: separator (second separator)
22a: one side
22b: the other side
23: adhesive layer (second adhesive layer)
43: adhesive layer (third adhesive layer)
63: adhesive layer (fourth adhesive layer)
L: lead part
R: exposure area
Claims (9)
상기 접착 테이프의 리드 부분에는, 적어도 상기 리드 부분의 선단측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당해 리드 부분과 동일 위치에서 종단하는 두께 10㎛ 이상 30㎛ 이하의 픽업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픽업 테이프는, 제2 세퍼레이터의 일면측에 제2 접착층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2 세퍼레이터의 다른 면측에 제3 접착층을 갖고, 상기 제2 접착층과 상기 접착 테이프측의 제1 접착층이 대향하도록 상기 리드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리드 부분의 종단측에는, 상기 제2 세퍼레이터가 상기 제3 접착층으로부터 노출되는 노출 영역이 마련되어 있는 접착 테이프.An adhesive tape in which a first adhesive lay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first separator,
The lead portion of the adhesive tape is provided with a pickup tape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that terminates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ead portion so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exposed at least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lead portion,
The pick-up tape has a second adhesive layer on one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and a third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parato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on the adhesive tape face each other fixed to the lead part,
An adhesive tape wherein an exposed area where the second separator is exposed from the third adhesive layer is provided at a terminal side of the lead portion.
상기 권취 코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 코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접착 테이프의 상기 리드 부분이 상기 측판의 외면측에 고정된 접착 테이프 권회 릴.A winding core on which the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s wound;
A pair of side plat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winding cor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adhesive tape winding reel in which the lead part of the adhesive tape drawn out from the winding core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side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190298 | 2017-09-29 | ||
JP2017190298 | 2017-09-29 | ||
PCT/JP2018/036045 WO2019065881A1 (en) | 2017-09-29 | 2018-09-27 | Adhesive tape, reel of adhesive tape, and production method for adhesive ta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212A KR20200062212A (en) | 2020-06-03 |
KR102534610B1 true KR102534610B1 (en) | 2023-05-19 |
Family
ID=659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9453A Active KR102534610B1 (en) | 2017-09-29 | 2018-09-27 | Adhesive tap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tap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7180606B2 (en) |
KR (1) | KR102534610B1 (en) |
CN (1) | CN111133069B (en) |
TW (1) | TWI774850B (en) |
WO (1) | WO2019065881A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9198A (en) * | 2000-01-28 | 2001-10-10 | Nitto Denko Hoso System Kk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
JP2010248485A (en) * | 2009-03-26 | 2010-11-04 | Hitachi Chem Co Ltd | Adhesive material reel |
JP2015009910A (en) * | 2013-06-26 | 2015-01-19 | 日立化成株式会社 | Adhesive reel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9695A (en) * | 1992-08-28 | 1994-03-22 | New Oji Paper Co Ltd | Cutting method for pressure adhesive paper |
DE19632689A1 (en) * | 1996-08-14 | 1998-02-19 | Beiersdorf Ag | Adhesive tape and method of using it |
US6413606B1 (en) * | 2000-03-20 | 2002-07-02 | Carlos R. Calderon | Drywall tape |
JP2001270649A (en) * | 2000-03-27 | 2001-10-02 | Kamoi Kakoshi Kk | End treatment method and device for adhesive tape |
JP4465788B2 (en) * | 2000-03-28 | 2010-05-19 |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 Anisotropic conductive tape and reel |
JP3517195B2 (en) * | 2000-09-21 | 2004-04-05 | 池田機械産業株式会社 | Adhesive tape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
JP3959247B2 (en) | 2001-02-16 | 2007-08-15 |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 Reel member and film winding method |
JP2007128993A (en) * | 2005-11-02 | 2007-05-24 | Sony Corp | Adhesive tape for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dhesive tape feeder |
WO2008053824A1 (en) * | 2006-10-31 | 2008-05-08 |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 Adhesive tape and adhesive tape roll |
JP4596086B2 (en) * | 2009-02-27 | 2010-12-08 |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 Adhesive reel |
DE102009011164A1 (en) * | 2009-03-04 | 2010-09-09 | Tesa Se | Adhesive tape, in particular for bonding photovoltaic laminates |
JP2013065625A (en) * | 2011-09-15 | 2013-04-11 | Sekisui Chem Co Ltd | Dicing-die bonding tape, manufacturing kit of semiconductor chip with adhes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chip with adhesive layer |
JP2014146639A (en) * | 2013-01-28 | 2014-08-14 | Toray Ind Inc |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with adhesive layer |
KR20140132973A (en) * | 2013-05-09 | 2014-11-19 | 백남님 | Non-Slip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6742723B2 (en) * | 2015-01-16 | 2020-08-19 | 日東電工株式会社 | Surface protection film and optical member |
JP6693161B2 (en) * | 2016-02-16 | 2020-05-13 |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 Film connection body, film winding body, reel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connection body |
-
2018
- 2018-09-27 KR KR1020207009453A patent/KR102534610B1/en active Active
- 2018-09-27 WO PCT/JP2018/036045 patent/WO201906588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9-27 CN CN201880062239.8A patent/CN111133069B/en active Active
- 2018-09-27 JP JP2019545626A patent/JP7180606B2/en active Active
- 2018-09-28 TW TW107134367A patent/TWI774850B/en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9198A (en) * | 2000-01-28 | 2001-10-10 | Nitto Denko Hoso System Kk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
JP2010248485A (en) * | 2009-03-26 | 2010-11-04 | Hitachi Chem Co Ltd | Adhesive material reel |
JP2015009910A (en) * | 2013-06-26 | 2015-01-19 | 日立化成株式会社 | Adhesive r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212A (en) | 2020-06-03 |
JP7180606B2 (en) | 2022-11-30 |
CN111133069A (en) | 2020-05-08 |
TWI774850B (en) | 2022-08-21 |
CN111133069B (en) | 2023-01-10 |
WO2019065881A1 (en) | 2019-04-04 |
JPWO2019065881A1 (en) | 2020-10-22 |
TW201919872A (en) | 2019-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17680A (en) |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WO2015064709A1 (en) |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housing | |
JP2010222144A (en) | Adhesive material reel | |
KR101384832B1 (en) | Adhesive tape reel | |
JP6085970B2 (en) | Reel for adhesive tape, wound body, package, use as reel for adhesive tape for winding reel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el for adhesive tape | |
US9555749B2 (en) | Wire harness | |
KR102291382B1 (en) |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 |
KR102286222B1 (en) | Adhesive tape structure and adhesive tape container | |
CN103569802B (en) | Splicing tape spool and band | |
KR102534610B1 (en) | Adhesive tape, adhesive tape winding re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dhesive tape | |
JP6783552B2 (en) | Adhesive tape structure | |
JP6696826B2 (en) | Adhesive tape structure | |
JP6186941B2 (en) | Adhesive reel | |
JP2009149397A (en) | Reel for adhesive tape | |
JP7443690B2 (en) | Adhesive tape reel | |
JP5050832B2 (en) | Reel for adhesive tape | |
JP6696828B2 (en) | Adhesive tape structure | |
JP2007231236A (en) | Adhesive tape and reel wound adhesive tape | |
JP2012102220A (en) | Adhesive tape, roll of adhesive ta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4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