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922B1 - Portable faucet set - Google Patents
Portable faucet s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9922B1 KR102529922B1 KR1020210162354A KR20210162354A KR102529922B1 KR 102529922 B1 KR102529922 B1 KR 102529922B1 KR 1020210162354 A KR1020210162354 A KR 1020210162354A KR 20210162354 A KR20210162354 A KR 20210162354A KR 102529922 B1 KR102529922 B1 KR 102529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installation object
- fixing unit
- unit
-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수전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공급되는 호스를 연결하고 다양한 지점에 수전을 설치함으로써 누구든지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캠핑 등 야외 활동시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고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토출유닛; 상기 토출유닛을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각기 다른 고정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토출유닛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는 설치대상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토출유닛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전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aucet set, in particular, by connecting a hose supplied with water and installing faucets at various points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water,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hrough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ischarge unit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wherein, the fix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have different fixing structur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so that the user can use a plurality of fixing units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It relates to a portable faucet se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xed units can be selected and combined with the discharg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수전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캠핑 등 야외 활동시 다양한 지점에 수전을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수전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faucet 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faucet set capable of installing faucets at various points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근래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야외에서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텐트 등을 설치하여 캠핑 등을 할 수 있는 캠핑장이 많이 조성되어 있다. 캠핑장에는 음식을 하거나 손, 얼굴 등을 씻기 위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개수대나 세면대가 마련되기도 하나, 넓은 캠핑장 중 특정 위치에 개수대나 세면대가 마련되어 있는바, 텐트 등을 설치한 지점에 따라 거리가 멀어 사용에 불편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Recently, as interest in leisure life increases, the population enjoying outdoor camping is increasing. Accordingly, there are many campgrounds where tents and the like can be installed to camp. There are sinks and washbasins where you can use water for cooking or washing your hands and face at campsites, but there are sinks and washstands at specific locations in the large campsite,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you set up your ten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far away and inconvenient to use.
그리고 개수대나 세면대가 갖춰지지 않은 캠핑장이 여전히 있으며, 강가, 바다 등과 같은 노지에서 캠핑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 개수대나 세면대가 없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there are still camping sites that are not equipped with sinks or washbasins,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are no sinks or washbasins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in open areas such as riversides and the sea.
이에 따라, 자바라나 비닐팩 형태인 물통을 휴대하면서 필요한 물을 채워 필요시마다 물통을 기울여 물이 배출되도록 하거나, 밸브가 구비된 호스가 연결되고 내부에 물이 채워진 물주머니를 준비하여 소정의 높이에 걸어 필요시마다 밸브를 열어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Accordingly, while carrying a water bottle in the form of a bellows or plastic bag, fill the water bottle with the necessary water, tilt the water bottle whenever necessary, or prepare a water bag with a hose equipped with a valve and filled with water, and hang it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n necessary, the valve is opened to allow water to drain.
그러나, 물통을 사용하는 경우 물을 배출하기 위해 물통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물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되며, 물주머니를 사용하는 경우, 호스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지 않고 물주머니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키가 작은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using a water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may be discharged more than necessary in the process of tilting the water tank to discharge water, and when a water bag is used, the hose is not fixed and the water bag is not fixed. Depending on the height at which it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short users to use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공급되는 호스를 연결하고 다양한 지점에 수전을 설치함으로써 누구든지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캠핑 등 야외 활동시 편의성이 증대되는 휴대용 수전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portable faucet set that increases convenience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by connecting a hos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and installing faucets at various points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water.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는, 호스가 연결되고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토출유닛; 상기 토출유닛을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각기 다른 고정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토출유닛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ischarge unit to which a hose is connected and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s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fixing unit fixing the discharge unit to the installation object; includes, wherein the fix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to have different fixing structur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또한, 상기 토출유닛와 고정유닛은, 결합돌기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돌기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and the fixing unit may be combined in a protrusion groove structure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결합홈의 최내측에 위치되는 단부가 나머지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측이 막히게끔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most end of the coupling groove has a wider width than the rest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groove has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so that the lower side is blocked while being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formed up to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설치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체가 상호 결합되어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제1 고정유닛과, 일 지점이 개폐되는 링 형태인 고정링을 포함하여 고정링을 통해 설치대상물을 감싸며 고정되는 제2 고정유닛과, 스트랩이 끼워질 수 있으며 끼워진 스트랩을 통해 설치대상물을 감싸며 고정되는 제3 고정유닛과, 상기 설치대상물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설치대상물의 하측에 위치되는 조절지지부와 상기 조절지지부를 관통하며 설치대상물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제4 고정유닛과, 공기의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탈착될 수 있는 흡착판을 포함하여 흡착판을 통해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제5 고정유닛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in which a pair of fixtures provid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interposed therebetween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and a ring-shaped fixing ring in which one point is opened and closed. A second fixing unit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installation object through a fixing ring, a third fixing unit that can be fitted with a strap and is fixed while surrounding the installation object through the fitted strap, and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 fourth fixing unit including an adjusting support por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nd an adjustment screw that can be moved and fixed to pres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through the adjusting support portion, and , It may be any one of the fifth fixing units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through a suction plate, including a suction plate that can be detached using a vacuum state of air.
또한, 상기 토출유닛은,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호스에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가 구비되거나, 상기 토출구에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수도꼭지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may have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nd may include a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hose, or a fauce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at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설치대상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토출유닛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시 주변에 마련된 폴대, 테이블, 창문 등 다양한 지점에 수전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누구든지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바 캠핑 등 야외 활동시 편의성이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fixed unit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bject and combine it with the discharge unit, the faucet can be easily installed at various points such as poles, tables, windows, etc. , Anyone can easily use water, which increases convenience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를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 호스, 수도꼭지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가 설치대상물에 설치되어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고정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제1 고정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이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제2 고정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이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제3 고정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이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제4 고정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이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에 적용되는 토출유닛과 제5 고정유닛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이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 hose, and a fauce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and water is discharg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unit and a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unit and a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unit and a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nd a first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7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nd a second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9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nd a third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1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nd a fourth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3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discharge unit and a fifth fixing unit applied to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5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object;
본 발명에서는 물이 공급되는 호스를 연결하고 다양한 지점에 수전을 설치함으로써 누구든지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캠핑 등 야외 활동시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호스가 연결되고 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토출유닛; 상기 토출유닛을 설치대상물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각기 다른 고정 구조를 가지도록 복수 개가 마련되며, 토출유닛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는 설치대상물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토출유닛과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전세트를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is connected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s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water by connecting a hose supplied with water and installing faucets at various points, increasing convenience dur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a discharge unit that may b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discharge unit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wherein, the fix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o have different fixing structures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so that the user can use a plurality of fixing units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installed. A portable faucet se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fixed units can be selected and combined with the discharge unit is propos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fauce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6 attached thereto.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배출하는 토출유닛(100)과, 토출유닛(100)을 설치대상물(a)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유닛(200)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설치대상물(a)은, 봉이나 막대 형태를 이루는 폴대, 판 형태를 이루는 테이블, 건물이나 차량에 구비된 유리창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 및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장소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토출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0)가 연결되고 호스(10)를 통해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게끔 구성된다. 일 예로, 토출유닛(100)은, 물을 공급받아 배출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토출부(100a)와, 고정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00b)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토출부(100a)는, 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평을 이루게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부(100a)는 전방을 향해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될 수 있고, 물을 공급받기 위한 호스(10)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120)가 상방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구(120)와 토출구(110)는 연통되게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연결구(120)에 결합된 호스(10)로부터 공급된 물은,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토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에서의 호스(10)는 일단이 연결구(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물이 수용된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호스(10)의 타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에 매달려 있으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된 물주머니(30)에 연결되어, 자중에 의해 물이 호스(10)를 따라 토출부(100a)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호스(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물주머니(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통, 물탱크 등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호스(1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토출유닛(100)보다 높게 마련되어,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와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호스(10)로부터 공급받은 물이 토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있어, 본 발명은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10)에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11)를 잠가 호스(10)로부터 토출부(100a)를 향해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밸브(11)를 열어 호스(10)로부터 토출부(100a)를 향해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10)에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수도꼭지(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꼭지(20)를 잠가 호스(10)로부터 토출부(100a)로 공급된 물이 토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수도꼭지(20)를 열어 호스(10)로부터 토출부(100a)로 공급된 물이 토출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다른 일 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밸브(11)와 수도꼭지(20)가 모두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 및 필요에 따라 각각을 제어하여, 토출유닛(100)으로의 물 공급 및 토출유닛(100)으로부터의 물 배출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체결부(100b)는, 고정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체결부(100b)의 전방으로 토출부(100a)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토출부(100a)가 결합될 수 있으며, 체결부(100b)의 후방부는 고정유닛(20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끔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00b)의 후방부는 고정유닛(200)과 자력, 벨크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돌기홈 구조로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홈 구조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16에서는, 체결부(100b)에 결합돌기(310)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100b)에 결함홈(3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한편, 고정유닛(200)은, 토출유닛(100)을 설치대상물(a)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토출유닛(100)과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의 고정유닛(200)은, 토출유닛(100)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구조를 가지는 복수 개의 고정유닛(20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설치대상물(a)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유닛(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토출유닛(100)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시 주변에 마련된 폴대, 테이블, 창문 등 다양한 설치대상물(a)에 수전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누구든지 물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바 캠핑 등 야외 활동시 편의성이 증대된다.Meanwhile, the fixing
토출유닛(100)과 고정유닛(200)의 분리가능한 결합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토출유닛(100)과 고정유닛(200)은, 자력, 벨크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돌기홈 구조로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310)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홈(320)으로 이루어진 돌기홈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결합돌기(310)가 토출유닛(100)에 형성되고, 결함홈(320)이 고정유닛(20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결합돌기(310)가 고정유닛(200)에 형성되고, 결합홈(320)이 토출유닛(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detachable coupling structure of the
구체적으로, 결합돌기(310)는 결합홈(320)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결합홈(320)과 결합시 결합홈(320)의 최내측에 위치되는 단부가 나머지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결합시 전후 방향으로 빠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측이 막히게끔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320)에 결합돌기(310)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면 결합홈(320)의 하측이 막혀있음에 따라 하방으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방으로 결합홈(320) 또는 결합돌기(310)가 형성된 구성을 이동시킴으로써 토출유닛(100)과 고정유닛(20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복수 개가 마련되어 설치대상물(a)의 형태 등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토출유닛(100)과 결합시킬 수 있는 고정유닛(200)은, 다양한 종류의 설치대상물(a)에 고정이 가능하게끔 형성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고정유닛(200)은,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유닛(210), 제2 고정유닛(220), 제3 고정유닛(230), 제4 고정유닛(240), 제5 고정유닛(25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정방식 이외에도, 양면 테이프, 나사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제1 고정유닛(210)은, 봉 또는 막대 형태를 이루는 설치대상물(a)에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상물(a)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체(210a,2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체(210a,210b)는, 상호 결합됨에 따라 설치대상물(a)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한 쌍의 고정체(210a,210b) 양측 방향으로 고정돌기(211)가 돌출형성되고, 일 고정체(210a)의 고정돌기(211)와 타 고정체(210b)의 고정돌기(211)에 고정나사(212)가 나사결합되어, 일 고정체(210a)와 타 고정체(210b)가 그 사이에 위치한 설치대상물(a)을 조임으로써 일 고정체(21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토출유닛(100)이 설치대상물(a)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The
제2 고정유닛(220)은, 봉 또는 막대 형태를 이루는 설치대상물(a)에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점이 개폐되는 링 형태인 고정링(22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링(221)은 일 지점의 개방 편의성 측면에서 개방되는 지점의 반대편이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폐쇄된 고정링(221)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고정링(221)은, 제2 고정유닛(220)의 후방부 상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유닛(220)의 전방 측에 토출유닛(1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된 고정링(221)이 설치대상물(a)을 감싸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폐쇄시킴에 있어, 고정링(221)의 개방된 양단에 결합수단이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링(221)의 개방된 양단을 관통하게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The
제3 고정유닛(230)은, 봉 또는 막대 형태를 이루는 설치대상물(a)에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231)이 끼워질 수 있으며, 끼워진 스트랩(231)을 통해 설치대상물(a)을 감싸며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고정유닛(230)은, 양측이 연장형성되고 연장된 양측부에 스트랩(231)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스트랩(231)은, 줄, 끈, 밴드 등일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제3 고정유닛(230)의 양측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스트랩(231)이 각각 끼워져 고정되고, 각 스트랩(231)이 설치대상물(a)을 감싼 상태로 벨크로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3 고정유닛(230)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3 고정유닛(230)의 일측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스트랩(231)이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고, 스트랩(231)이 설치대상물(a)을 감싼 후 타단이 제3 고정유닛(230)의 타측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제3 고정유닛(230)이 고정될 수 있다. The
제4 고정유닛(240)은, 테이블 등과 같이 판 형태를 이루는 설치대상물(a)에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41), 조절지지부(242) 및 조절나사(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고정유닛(240)은, 전방 측에 토출유닛(1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부에 안착부(241), 조절지지부(242) 및 조절나사(24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착부(241)는 제4 고정유닛(24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설치대상물(a)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조절지지부(242)는 안착부(241)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바, 제4 고정유닛(24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대상물(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조절지지부(242)는 설치대상물(a)의 저면과 이격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절나사(243)는, 조절지지부(242)를 관통하며 안착부(241)와 조절지지부(242) 사이에 위치된 설치대상물(a)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제5 고정유닛(240)은, 차량의 유리, 건물의 유리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a)에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것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탈착될 수 있는 흡착판(2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고정유닛(250)은, 전방 측에 토출유닛(1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을 향해 흡착판(251)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흡착판(251)을 통해 유리 등과 같은 설치대상물(a)에 제5 고정유닛(240)을 부착함으로써 토출유닛(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휴대용 수전세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설치대상물(a)에 적합한 고정유닛(200)을 이용하여 토출유닛(100)을 고정시켜, 야외에서도 수전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야외 활동시 주변에 마련된 폴대, 테이블, 창문 등 다양한 다양한 설치대상물(a) 각각에 적합한 고정유닛(200)을 설치해놓은 상태에서, 수전 설치가 필요한 지점에 설치된 고정유닛(200)에 토출유닛(100)을 결합시킴으로써 수전 설치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Using the portable faucet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install the faucet even outdoors by fixing the
a : 설치대상물
10 : 호스 11 : 밸브
20 : 수도꼭지 30 : 물주머니
100 : 토출유닛 100a : 토출부
100b : 체결부 110 : 토출구
120 : 연결구
200 : 고정유닛 210 : 제1 고정유닛
210a,210b : 고정체 211 : 고정돌기
212 : 고정나사
220 : 제2 고정유닛 221 : 고정링
230 : 제3 고정유닛 231 : 스트랩
240 : 제4 고정유닛 241 : 안착부
242 : 조절지지부 243 : 조절나사
250 : 제5 고정유닛 251 : 흡착판
310 : 결합돌기 320 : 결합홈a: installation object
10: hose 11: valve
20: faucet 30: water bag
100:
100b: fastening part 110: discharge port
120: connector
200: fixed unit 210: first fixed unit
210a, 210b: fixed body 211: fixed protrusion
212: fixing screw
220: second fixing unit 221: fixing ring
230: third fixing unit 231: strap
240: fourth fixing unit 241: seating part
242: adjustment support 243: adjustment screw
250: fifth fixing unit 251: suction plate
310: coupling protrusion 320: coupling groove
Claims (5)
상기 토출유닛(100)은, 호스(10)가 결합되는 연결구(120)가 상방을 향해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물이 배출되는 토출구(110)가 형성된 토출부(100a)와, 고정유닛(200)과 결합될 수 있는 체결부(100b)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설치대상물(a)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체(210a,210b)가 상호 결합되어 설치대상물(a)에 고정되는 제1 고정유닛(210)과,
일 지점이 개폐되는 링 형태인 고정링(221)을 포함하여 고정링(221)을 통해 설치대상물(a)을 감싸며 고정되는 제2 고정유닛(220)과,
스트랩(231)이 끼워질 수 있으며 끼워진 스트랩(231)을 통해 설치대상물(a)을 감싸며 고정되는 제3 고정유닛(230)과,
상기 설치대상물(a)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41)와, 상기 안착부(241)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고 설치대상물(a)의 하측에 위치되는 조절지지부(242)와, 상기 조절지지부(242)를 관통하며 설치대상물(a)의 저면을 가압하도록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는 조절나사(243)를 포함하는 제4 고정유닛(240)과,
공기의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탈착될 수 있는 흡착판(251)을 포함하여 흡착판(251)을 통해 설치대상물(a)에 고정되는 제5 고정유닛(250)
이 마련되어, 설치대상물(a)에 따라 제1 고정유닛(210) 내지 제5 고정유닛(25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설치대상물(a)의 외측에 고정되고, 결합돌기(310)와 이에 결합되는 결합홈(320)으로 이루어진 돌기홈 구조를 통해 토출유닛(100)과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전세트.A discharge unit 100 to which the hose 10 is connected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se 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fixing unit 200 for fixing the discharge unit 100 to the installation object (a); including,
The discharge unit 100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100a in which a connector 120 to which the hose 10 is coupled is formed upward and a discharge port 110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forward, and a fixing unit 200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100b)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fixing unit 200,
A first fixing unit 210 in which a pair of fixtures 210a and 210b provid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a) interposed therebetween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a);
A second fixing unit 220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installation object (a) through the fixing ring 221, including a fixing ring 221 in the form of a ring in which one point is opened and closed,
A third fixing unit 230 in which the strap 231 can be fitted and which is fixed while surrounding the installation object (a) through the fitted strap 231;
A seating portion 241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 and a control support portion 242 spaced downward from the seating portion 2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 A fourth fixing unit 240 that penetrates the adjusting support 242 and includes an adjusting screw 243 that can be moved and fixed to pres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
A fifth fixing unit 250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a) through the suction plate 251, including the suction plate 251 that can be detached using the vacuum state of ai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bject (a),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fixing unit 210 to the fifth fixing unit 25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installation object (a),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10 A portable faucet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unit 100 through a protruding groove structure formed of a coupling groove 320.
상기 결합돌기(310)는, 결합홈(320)의 최내측에 위치되는 단부가 나머지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0)은, 결합돌기(31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하측이 막히게끔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전세트.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310 is formed so that the end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coupling groove 320 has a wider width than the rest,
The coupling groove 3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310 and is formed from the upper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lower side is blocked.
상기 호스(10)에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1)가 구비되거나, 상기 토출구(110)에 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수도꼭지(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전세트.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faucet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se 10 is provided with a valve 11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or a faucet 2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is provided at the outlet 1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354A KR102529922B1 (en) | 2021-11-23 | 2021-11-23 | Portable faucet s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2354A KR102529922B1 (en) | 2021-11-23 | 2021-11-23 | Portable faucet s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922B1 true KR102529922B1 (en) | 2023-05-08 |
Family
ID=8638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2354A Active KR102529922B1 (en) | 2021-11-23 | 2021-11-23 | Portable faucet s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922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077Y1 (en) | 2004-07-24 | 2004-10-15 | 이광수 | A multipurpose water bag |
JP3117646U (en) * | 2005-09-30 | 2006-01-12 | アステージ株式会社 | Faucet mounting device |
KR20110001659U (en) * | 2009-08-11 | 2011-02-17 | 김성환 | Socket cover for coupling tap to pipe |
KR20120008021U (en) * | 2011-05-17 | 2012-11-27 | 박노준 | Fixing apparatus for shower device |
KR102074371B1 (en) * | 2018-12-10 | 2020-02-06 | 박정호 | Faucet establishing jig |
-
2021
- 2021-11-23 KR KR1020210162354A patent/KR10252992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077Y1 (en) | 2004-07-24 | 2004-10-15 | 이광수 | A multipurpose water bag |
JP3117646U (en) * | 2005-09-30 | 2006-01-12 | アステージ株式会社 | Faucet mounting device |
KR20110001659U (en) * | 2009-08-11 | 2011-02-17 | 김성환 | Socket cover for coupling tap to pipe |
KR20120008021U (en) * | 2011-05-17 | 2012-11-27 | 박노준 | Fixing apparatus for shower device |
KR102074371B1 (en) * | 2018-12-10 | 2020-02-06 | 박정호 | Faucet establishing ji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90046B1 (en) | Portable kitchen, toilet and shower unit | |
US4413363A (en) | Portable shower system | |
CA2879050C (en) | Multi-purpose hand washing station | |
EP1041914B1 (en) | Cabinet shower | |
CN104641047A (en) | Support device for a sanitary element | |
RU2314740C2 (en) | Apparatus for washing, support for washing (versions) and wash bowl | |
KR102529922B1 (en) | Portable faucet set | |
KR101709663B1 (en)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
AU2003261555A1 (en) | Sanitary tub | |
CN217066174U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rame | |
JP6579373B2 (en) | Toilet device | |
KR100965853B1 (en) | Outdoor chairs with water storage | |
KR101971165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p of toilet | |
NO177800B (en) | Profile for water drainage and, for example, handrails on balconies | |
US2841799A (en) | Fountain receptor | |
JP2007044390A (en) | Washing machine installation stand | |
KR20180001969A (en) | Shower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 |
JPH0255570B2 (en) | ||
JP2020084742A (en) | Structure, drainage fac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rainage facility | |
KR100630901B1 (en) | Mechanical bidet | |
JPH1150680A (en) | Bathroom unit | |
JP2002302978A (en) | Drain port structure in siphon type drain system | |
KR200474024Y1 (en) | pole | |
KR200300769Y1 (en) | Water change ease aquarium | |
US20100307620A1 (en) | Roof drain re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