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663B1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Google Patents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9663B1 KR101709663B1 KR1020160008742A KR20160008742A KR101709663B1 KR 101709663 B1 KR101709663 B1 KR 101709663B1 KR 1020160008742 A KR1020160008742 A KR 1020160008742A KR 20160008742 A KR20160008742 A KR 20160008742A KR 101709663 B1 KR101709663 B1 KR 101709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opening
- storage box
- shower
- washst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 E03C1/324—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connected to the wall on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세면기용 하부장을 구성하되, 세면기 주변의 물청소는 물론 간단한 손세탁이 가능토록 하며, 하부장 전면의 디자인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세면기의 높낮이 조정 및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체결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세면기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장의 본체 하단에 구성된 일측 수납실에 다용도 샤워기를 설치하고, 하부장의 본체 전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을 간단히 조립시공할 수 있게 하고, 세면기 설치를 위한 체결볼트의 높이와 폭조절이 가능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desig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to make it possible to clean the water around the wash basin as well as to simplify the cleaning of the water around the wash basin and also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and the different fasteners So that the washbasin can be easi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shower set in one housing compartme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a main body of a dumbbell, and can easily assemble and construct an assembly panel designed in various patterns on the main body of the dumbbell,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width of fastening bolts for install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부장 하단에 구성된 수납실에 다용도 샤워기를 설치하여 세면기 주변의 청소는 물론 손세탁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다양한 문양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을 이용하여 하부장의 전면디자인을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교체할 수 있게 하며, 하부장 전면에 설치되는 세면기의 높이조정과 함께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체결공의 위치에 범용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 basin-integrated bottom unit for a bathroom, and in particular, a versatile shower unit is installed in a compartme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a lower portion of the toilet so tha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and washing, The front design of the bottom pa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customer and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bottom part can be adjusted and various parts can be used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근래에 시공되는 아파트의 경우 다른 아파트와의 차별성을 위해 매우 다양한 형식의 평면설계가 적용되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설계는 거주자의 동선을 참고함은 물론 미감을 부가하여 보다 편리하고 특이하며 아름다운 형태의 내부 구조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partments constructed in recent years, a very wide variety of plan designs are applied to differentiate from other apartments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s. This plan design not only refers to the residents' movement but also adds a sense of beauty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nique and beautiful interior structure.
한편, 욕실의 건축에 있어서도 최근에는 건식공법을 주로 적용한다. 건식공법은 습식공법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욕실의 바닥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미리 제작된 방수판과, 상기 판넬의 테두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네 벽을 이루는 벽판넬과, 상기 벽판넬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욕실의 천장면을 제공하는 천장판넬을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dry building methods are main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bathrooms. The dry method comprises a waterproof plate prepared in advance so as to have the same area as the floor area of the bathroom, a wall panel vertically erected at four corners of the panel, and an upper end of the wall panel And assembling a ceiling panel providing a ceiling scene of the bathroom.
특히 상기 벽판넬은 그 안쪽면에 타일이 부착된 상태로, 건축시공을 통해 마련된 시멘트 건축벽(건물의 종류에 따라 콘크리트벽일 수도 있음)에 브라켓을 통해 고정된다.Particularly, the wall panel is fixed to the cement building wall (which may be a concrete wall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bracket with the til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thereof.
이러한 욕실의 일반적인 구조는 욕실을 구획하는 건축벽의 내부에 사각판 형태의 방수판이 깔려 있고, 상기 방수판의 테두리부에 벽판넬이 세워져 있다. 상기 방수판은 슬라브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그 위에 배치된 욕조와 세면대와 변기 등을 지지한다. 상기 방수판은 이를테면 FRP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미감을 고려하여 그 상면에 타일을 부착한다.The general structure of such a bathroom includes a waterproof plat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inside a building wall for partitioning the bathroom, and a wall panel is installed at the rim of the waterproof plate. The waterproof plate supports the bathtub, the washstand, the toilet, and the lik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ab. Since the waterproof plate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FRP, the tile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proof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s.
여하튼 상기 벽판넬은 그 하단부가 방수판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브라켓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다.In any case, the wall panel is vertically erected by the fixing bracket with its lower end supported by the rim of the waterproof plate.
상기 고정브라켓은 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에 위치하여 건축벽에 대해 벽판넬을 평행하게 지지한다.The fixing bracket is positioned between the wall panel and the building wall to support the wall panel parallel to the building wall.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구조는, 수평의 슬라브 위에 방수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벽판넬의 하단부가 방수판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끼워진 채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벽판넬이 하부벽판넬과 상부벽판넬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벽판넬과 상부벽판넬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판넬로서 다수의 연결용 철편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In another general structure, it is seen that a waterproof plate is installed on a horizontal slab, and a lower end of the wall panel is vertically erected while being fitted in a groove provided on a rim of the waterproof plate. Such a wall panel can be divided into a lower wall panel and a top wall panel. The lower wall panel and the upper wall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ng steel pieces as panel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상기 하부벽판넬은 고정브라켓을 통해 건축벽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브라켓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고정브라켓을 필요한 부위에 적절히 배치하여 상하부벽판넬을 건축벽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시킨다.The lower wall panel is supported on the building wall through a fixing bracket. In the drawing, only one fixing bracket is shown, but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are appropriately disposed at necessary positions to firml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wall panels against the building wall.
상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에도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함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fixing bracke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wall panel and the building wall.
종래 욕실에서의 벽판넬은 수직한 내벽면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색이 없다. (기껏해야 타일 문양의 디자인을 특이하게 하거나 또는 큰 거울을 부착시켜 놓거나, 벽의 귀퉁이부에 수납장을 설치하는 정도이다.) 이러한 형태의 욕실은 다른 아파트와의 차별성을 제공할 수 없고 수요자에게 별다른 인상을 심어줄 수 없다.The wall panels in the conventional bathrooms provide a vertical inner wall surface, but have no particular characteristics. (At best, the design of the tile pattern is unusual, or a large mirror is attached, or a storage room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wall.) This type of bathroom can not provide a difference from other apartments, Impression can not be given.
아울러 보통의 경우, 욕실을 시공할 때 욕실의 바닥면적을 가급적 넓게 하기 위하여 최대한 넓은 방수판을 적용하는데, 이는 하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 간격을 그만큼 좁히는 결과를 낳는다. 하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가 좁으면, 그만큼 세면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이나 급탕관을 배관하기가 어려워진다.In addition, in general, when installing the bathroom, the waterproof plate is applied as wide as possible to widen the floor area of the bathroom as much as possible, resulting in a narrower distance between the lower wall panel and the building wall. Whe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wall panel and the building wall is narrow, it is difficult to pipe the water supply pipe or the hot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shstand.
더 나아가 하부벽판넬의 뒤쪽이 급수관과 급탕관 등으로 꽉 차 있다면, 세면대에서 나오는 배수관을 하부벽판넬의 뒤쪽으로 빼낼 수 없으므로, 배수관을 배관하기 위하여 방수판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방수판에 구멍을 형성한다는 것은 방수처리를 추가로 해야함을 의미한다.Furthermore, if the rear wall of the lower wall panel is filled wit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hot water supply pipe, the drain pipe coming out of the sink can not be pulled out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wall panel,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hole is made in the waterproof plate to pipe the drain pipe. The formation of a hole in the waterproofing plate means that an additional waterproofing treatment is required.
즉, 배수관을 방수판을 통해 하부로 연장시킨다는 것은 (보기에 좋지 않은) 배수관이 욕실 내부공간에 노출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배수관을 감추기 위하여 배수관을 내장하는 타입의 세면대를 선택하던가 아니면 배수관을 노출시키던지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extending the drain pipe downward through the watertight plate means that the drain pipe (which is not easy to see) is expos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athroom.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of selecting a type of wash basin containing a drain pipe or exposing a drain pipe in order to hide the drain pipe.
관련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0527호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특허문헌 1)가 있다.A related prior art i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0527 entitled " Prefabricated wall for bathroom with shelf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단순히 배수관의 배관조건을 충족케 함과 동시에, 선반을 구성하여 여러 소품들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배수관이 설치되는 공간의 활용이 미흡하고, 다양한 소품들이 선반에 보관됨으로 인하여 주변분위기가 어수선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the case of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가 특허 제10-1476336호 "세면기용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특허문헌 2) 등이 제공된바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or has provided a Japanese Patent No. 10-1476336 entitled " Integrated type shelf for a washstand "(Patent Document 2) and the like.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을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욕실용품함의 두께에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선반의 위치를 임의대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세면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수도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세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면부의 상측 및 하측 주변에 형성되며, 욕실용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덮으며, 상측에 욕실용품이 적재되는 판넬이 구성되게 한 것이다.The shelf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is formed by protruding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bathroom article box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elf, and the position of the shelf thus formed can be arbitrarily changed, A main body part protruding by the same thickness as a thickness of a bath room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a bathroom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thin surface par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A main body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formed with a water surface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main body part and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rface part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upper surface is covered with a bathroom article on the upper side.
따라서 세면부와 본체부로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이 구성되므로 선반을 원하는 위치의 욕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어 인테리어를 임의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shelf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at a desired position, the interior can be arbitrarily installed because the shelf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shstand-equipped storage box.
그러나 욕실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 샤워부스 내에 호스와 연결된 샤워기를 사용하게 되나, 호스의 길이가 짧아 세면부나 변기가 설치된 위치까지 물을 뿌려주기가 곤란하여 욕실청소시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However, when a user wishes to clean the bathroom, the shower connected to the hose is used in the shower booth. 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hose is short, it is difficult to spray water to the place where the toilet or the toilet is installed.
또한 세면부와 본체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번 설치된 본체부는 완전 교체가 아니면 디자인변경이 곤란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세면기 설치를 위한 체결볼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세면기의 높이조정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제조사마다 다른 세면기의 체결공 위치 때문에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07-034062호 "싱크장치"(특허문헌 3)로 공개된 기술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싱크 아랫쪽에 주수노즐과 배수노즐을 설치하고, 상기 주수노즐의 플랙시블호스는, 싱크에 배치된 선택밸브를 통하여 냉,온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에 접속되게 하고, 배수노즐의 플랙시블호스는 배수펌프를 통하여, 싱크의 배수구에 접속되어 있는 배수관에 연결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3의 경우 주수노즐을 이용하여 싱크주변바닥에서 물을 공급받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겠으나, 상기 주수노즐을 보관하기 위한 노즐수납부는 단순히 플랙시블호스가 끼워져 지탱되는 수단일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려한 디자인의 실내인테리어를 요구하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미흡하고, 또한 주수노즐을 직수관에 설치하는 작업에도 전문시공업자를 통하여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since the washing unit and the body unit are integrally formed, the body unit once installed can not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the users becaus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design unless it is completely replaced.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bolt for installing the washstand is fixe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ing machine,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washing machine due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hole of the washstand which is different for each make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7-034062, "sink device" (Patent Document 3).
In examining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atent Document 3, it is found that a water supply nozzle and a water drain nozzle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a sink, and the flexible hose of the water supply nozzle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ld / hot water through a selector valve disposed in the sink And the flexible hose of the drain nozzl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ink through a drain pump.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water may be supplied from the bottom of the sink by using a water nozzle, but the nozzle housing for storing the water injecting nozzle is not only a means for supporting and holding the flexible hose, It is not sufficient to meet the desire of consumers demanding an interior design of a beautiful design becaus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water main nozzle in a direct pipe, and also through a professional contractor.
본 발명은 욕실세면기용 하부장을 구성하되, 세면기 주변의 물청소는 물론 간단한 손세탁이 가능토록 하며, 하부장 전면의 디자인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세면기의 높낮이 조정 및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체결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세면기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implify the desig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toilet, to make it possible to clean the water around the wash basin as well as to simplify the cleaning of the water around the wash basin and also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 basin and the different fasteners So that the washbasin can be easily install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부장의 본체 하단에 구성된 일측 수납실에 다용도 샤워기를 설치하되, 보관함을 설치하여 샤워기의 편리한 보관과 하부장의 미려한 외관이 유지되게 하며, 하부장의 본체 전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을 간단히 조립시공할 수 있게 하고, 세면기 설치를 위한 체결볼트의 높이와 폭조절이 가능케 한 것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shower set in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a main body of a dumbbell, wherein a convenient storage of the shower and an exquisite appearance of the dumbbell are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assemble an assembly panel designed with various patterns and to control the height and width of fastening bolts for installation of washstand.
본 발명은 하부장의 본체 하단에 구성된 일측 수납실에 다용도 샤워기를 설치하고, 하부장의 본체 전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을 간단히 조립시공할 수 있게 하고, 세면기 설치를 위한 체결볼트의 높이와 폭조절이 가능케 함으로서, 세면기 주변의 물청소는 물론 간단한 손세탁이 가능토록 하며, 하부장 전면의 디자인을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세면기의 높낮이 조정 및 제조사에 따라 상이한 체결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세면기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의 편의성과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케 하며, 세면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function shower unit is provided in one storage compartment formed at the lower end of a main body of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assembling panel designed with various patterns can be easily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main body of the lower portion. This allows the user to easily change the design of the front of the saddle, adjust the height of the washbasin and adjust the washbasi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ifferent fastener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ple installation, thereby satisfying consumers' desire for ease of use and design, and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washstand.
도 1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측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납함의 개방상태도
도 6 : 본 발명의 하부장과 조립판넬의 분해상태도
도 7 : 본 발명의 하부장과 조립판넬의 분해상태단면도
도 8 : 도 7의 조립상태 단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의 하부장 전면에 조립판넬이 시공된 상태도
도 10 : 도 9의 상태에서 세면기를 분리한 상태도
도 11 : 본 발명의 하부장으로부터 세면기를 분리한 상태도
도 12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세면기 조립용 체결브라켓의 사시도
도 13 : 도 12의 분해상태도
도 14 : 도 12의 단면구성도1: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Partial maritime attempt of the invention
Fig. 5: Open state diagram of a storage box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Disassembly stat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assembl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ttom plate and the assembl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 assembled state sectional view of Fig. 7
Fig. 9: State in which the assembly panel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tate in which the toilet is detached in the state of Fig. 9
Fig. 11: State in which the toilet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bracket for assembling a washsta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3: decomposition state diagram of Fig. 12
14: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Fig. 1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 전면에 세면기(11)가 설치되고, 하단 양측에는 수납실(22)을 설치하되, 상기 하부장(10)을 원하는 위치의 욕실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의 편의성과 인테리어를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설치사용토록 한다는 것과,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에 다용도 샤워기(40)를 설치하여 하부장(10) 주변의 청소 및 간단한 손세탁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공지된 기술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 basin-integrated bottom unit for a bathroom, in which a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하부장(10)에 설치된 다용도 샤워기(40)의 보관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갖는 하부장(10)을 제공케 한다는 것과, 조립판넬(60)을 이용하여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전면 디자인을 수요자가 원하는 취향으로 변형할 수 있게 한다는 것과,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 상단에 조립된 체결브라켓(80)을 통하여 본체(20) 전면에 설치되는 세면기(11)의 높낮이 조정은 물론, 세면기(11)에 구성된 체결공(16)의 위치에 관계없이 체결고정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The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하부장(10)의 본체(20)에 구성되는 다용도 샤워기(40)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The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하단 일측에 수납실(22)을 구성하되, 상기 수납실(22)에 급수관(41)과 연결된 다용도 샤워기(40)를 설치한다.A
상기 다용도 샤워기(40)는 여러구성으로 연결설치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수납실(22)을 구성하는 격판(23)에 개폐밸브(42)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개폐밸브(42)에 급수관(41)과 다용도 샤워기(40)를 각각 연결한다.(도 3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 closing
수납실(22)에 설치된 다용도 샤워기(40)는 수납실(22) 내에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보관수단없이 수납보관할 수도 있으나, 다용도 샤워기(40)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함(50)을 구성하고, 상기 보관함(50)을 수납실(22)에 이중설치할 수 있다.The
즉 도 5에서와 같이 보관함(50) 전면에 개폐문(51)을 설치하여 보관함(50) 내에 구성된 수장실(52)이 개폐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수장실(52)에는 고정축(53)을 축으로 회전하는 수납통(54)을 설치한다.5,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수납통(54) 양측판(55)에는 개폐안내공(56)을 뚫고, 상기 개폐안내공(56)에 보관함(50) 내측에 고정된 축봉(57)이 끼워지게 함으로서, 보관함(50) 내에 끼워진 수납통(54)의 회전개폐가 안내되도록 하면서,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구성한다.An opening and
상기 수납통(54)에 다용도 샤워기(40)를 편리하게 수납보관할 수 있게 하며, 수납통(54) 하단에는 거치대(57)를 설치한 다음 케이스(58)를 안치하여 수세미나 솔 등 다양한 청소용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한다.The
이때 개폐밸브(42)는 보관함(50)을 관통하여 수장실(52) 내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개폐밸브(42)에 다용도 샤워기(40)를 연결한다.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또한 보관함(50)과 본체(20)의 체결수단은 여러구성이 제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보관함(50)의 플랜지(59)와 본체(20)를 체결볼트(49)와 너트(48)로 체결고정한다.2, the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 전면의 디자인변경을 위한 조립판넬(6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다.The
조립판넬(60)은 도 6에서와 같이 전면커버(61)와 조립테(62)로 구성되고, 전면커버(61)에는 하단 양측에 개폐문(63)을 설치하고, 상단에는 관통공(65)을, 중앙에는 개방공(64)을 구성하며, 조립테(62) 내측면에는 걸림돌기(66)를 등간격을 구성한다.6, the
상기 조립판넬(60)은 합성수지와 같이 습기와 물기에 내구성을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성형하며, 전면커버(61)에는 전사지나 무늬지를 래핑하거나 인쇄 혹은 성형하여 다양한 문양(68)이 디자인되게 한다.The
상기 조립판넬(60)을 본체(20) 전면에 결합하게 되면, 조립판넬(60) 테두리에 구성된 조립테(62)가 본체(20)의 측판(25)에 끼워지면서 조립테(62) 내측면에 돌출구성된 걸림돌기(66)가, 본체(20)의 측판(25)에 구성된 걸림공(26)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본체(20) 전면에 조립판넬(60)이 간단하게 조립된다.When the
이때 본체(20)와 조립판넬(60)의 결합수단은 걸림돌기(66)와 걸림공(26) 이외에 다른 여러 결합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means of the
상기에서와 같이 본체(20) 전면에 조립판넬(60)이 결합되면 조립판넬(60)의 개폐문(63)은 본체(20)의 수납실(22) 전면에 위치하여 수납실(22)을 개폐하게 되고, 개방공(64)은 개방부(24)와, 관통공(65)은 본체(20) 상단에 설치된 체결브라켓(80)과 나란히 일치되게 한 다음, 체결브라켓(80)을 이용하여 세면기(11)를 설치하게 된다.When the
본체(20)의 수납실(22)에 별도의 보관함(50)이 설치될 경우에는 보관함(50)에 설치된 개폐문(51)을 제거하고, 조립판넬(60)에 설치된 개폐문(63)을 이용하여 보관함(50)이 개폐되게 하면 된다.When a
하부장(10)의 본체(20) 상단 관통공(65)에 위치하면서 세면기(11) 설치를 위한 체결브라켓(8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즉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체결브라켓(80)은 직사각형상으로 구성되고, 전면에 플랜지(84)가 형성된 함체(81) 내에 격판(82)을 구성하여 격판(82) 전면에 결합홈(8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결합홈(83) 내에 결합소켓(90)을 끼운 다음, 결합볼트(91)와 너트(92)로 이들이 결합고정되게 한다.12 to 14, the
상기 결합소켓(90)은 외면에 한쌍의 이동관체(93)를 좌우이동가능케 끼워 설치하고, 상기 이동관체(93)의 전면판(96)에는 체결볼트(94)를 체결고정한다.The
이동관체(93)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볼트(94)는 이동관체(93)의 전면판(96)에 상하방향으로 약1/3정도 편심되게 설치하여, 결합소켓(90)에 끼워지는 이동관체(93)의 방향에 따라 체결볼트(94)의 위치가 높게, 혹은 낮게 위치되게 한다.The
상기한 구성의 체결브라켓(80)을 본체(20) 전면 상단에 구성된 관통공(29)에 끼워 함체(81) 테두리에 구성된 플랜지(84)가 본체(20)와 접하게 한 다음, 고정볼트(86)와 너트(87)로 고정하여 체결브라켓(80)이 본체(20) 전면에 고정설치되게 한다.The
본체(20) 전면에 체결브라켓(80)이 고정설치되면 체결볼트(94)를 세면기(11)의 체결공(16)에 끼운 다음 너트(도시안됨)로 체결되게 함으로서 본체(20) 전면에 체결브라켓(80)을 이용한 세면기(11)의 설치가 완료된다.When the
이때 세면기(11)에 구성된 수도(14)는 급수관(27)과 연결하고, 배수구(15)는 배수관(28)과 연결되게 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At this time, the tap
미설명부호 (100)은 선반이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로 욕실의 벽면에 세면기(11) 설치와 함께 하부장을 설치하여 사용한다는 것은 특허 제10-1476336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과 다를바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atent No. 10-1476336, "a washstand-integrated storage box integral shelf ", in which a basin is installed with a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하부장(10)은 수납실(22)에 설치된 다용도 샤워기(40)를 통하여 하부장(10) 주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되, 사용하지 않는 다용도 샤워기(40)는 별도의 보관함(50) 내에 보관하여, 편의성과 함께 미려한 외관을 유지케 하며, 또한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 전면에 다양한 문양(68)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60)을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하부장(10)을 구성할 수 있고, 본체(20) 상단에 결합고정되는 체결브라켓(80)을 통하여 세면기(11)의 높낮이 조정은 물론, 세면기(11)의 제조사마다 체결공(16)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문제없이 편리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tank 10 is easily cleaned around the sub-tank 10 through the
먼저 다용도 샤워기(40)의 사용을 설명하면, 수납실(22)에 위치한 다용도 샤워기(40)를 인출한 다음 개폐밸브(42)를 개방시키면 급수관(41)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이 다용도 샤워기(40)로부터 분사되므로 세면기(11)나 변기는 물론, 바닥 주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 손세탁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open /
이때 수납실(22) 내에 별도의 보관함(50)을 설치할 경우에는 보관함(50) 내에 회전개폐식으로 설치된 수납통(54)에 다용도 샤워기(40)를 가지런히 수납보관할 수 있어 편리한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하단에 설치된 케이스(58)에는 솔이나 브러쉬 등과 같은 다양한 청소용구를 보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상기 보관함(50)을 설치한 상태에서 본체(20) 전면에 조립판넬(60)을 시공할 경우에는 보관함(50)의 개폐문(51)을 제거하고, 조립판넬(60)에 별도의 개폐문(6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하부장(10)을 구성하는 본체(20)의 디자인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20) 전면에 수요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디자인된 조립판넬(60)을 본체(20) 전면에서 조립하면 도 7에서와 같이 조립판넬(60) 테두리 내측에 구성된 걸림돌기(66)가 본체(20)의 측판(25) 테두리에 구성된 걸림공(26)에 결합되므로 조립판넬(60)의 시공이 간단히 완료된다.7 (a) and 7 (b), when an assembling
체결브라켓(80)을 이용한 세면기(11)의 높낮이 조정 및 설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of the
즉 체결브라켓(80)의 함체(81) 전면에 구성된 결합홈(83)에 결합소켓(90)을 결합하기 전에, 결합소켓(90)에 끼워지는 이동관체(93)의 결합방향을 통하여 이동관체(93)에 구성된 체결볼트(94)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That is, before the
즉 이동관체(93)에 구성된 체결볼트(94)는 전면판(96)에 상하방향으로 1/3정도 편심된 위치에 구성되어 있어, 이동관체(93)를 회전시켜 체결볼트(94)를 높은 곳에 위치되게 한 다음 결합소켓(90)에 끼우고, 상기 결합소켓(90)을 함체(81)의 결합홈(83)에 끼워 결합볼트(91)와 너트(92)로 이들을 결합한다.That is, the
함체(81)와 결합소켓(90)이 체결고정된 체결브라켓(80)을 본체(20)의 상단에 구성된 관통공(29)에 끼워 고정볼트(86)와 너트(87)를 이용하여 본체(20) 상단에 체결고정한다.The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브라켓(80) 양측에 돌출구성된 체결볼트(94)에 세면기(11) 배면에 구성된 체결공(16)을 끼워 너트(도시안됨)로 체결고정하면 세면기(11)의 설치가 완료된다.When the
이때 세면기(11)를 고정하는 체결볼트(94)는 이동관체(93)의 전면판(96)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설치되는 세면기(11)의 위치도 높게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세면기(11)의 설치위치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소켓(90)에 끼워지는 이동관체(93)를 회전시켜 전면판(96)에 위치하는 체결볼트(94)를 낮은 곳에 위치되게 하면 된다.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또한 체결브라켓(80)이 본체(20)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결합소켓(90)에 끼워진 양측 이동관체(93)는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세면기(11) 배면에 뚫린 체결공(16)의 위치와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어, 제조사마다 체결공(16)의 위치가 틀리더라도 설치에 어려움이 없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장(10)에 다용도 샤워기(40)를 설치하여 주변청소 등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하고, 또한 조립판넬(60)을 이용하여 하부장(10)의 디자인을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체결브라켓(80)을 이용하여 세면기(11)의 높낮이는 물론 체결공(16)의 위치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체결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10)--하부장 (11)--세면기
(14)--수도 (15)--배수구
(16)--체결공 (20)--본체
(22)--수납실 (23)--격판
(24)--개방부 (25)--측판
(26)--걸림공 (27)--급수관
(28)--배수관 (29)--관통공
(40)--다용도 샤워기 (41)--급수관
(42)--개폐밸브 (48)--너트
(49)--체결볼트 (50)--보관함
(51)--개폐문 (52)--수장실
(53)--고정축 (54)--수납통
(55)--측판 (56)--개폐안내공
(57)--축봉 (58)--케이스
(59)--플랜지 (60)--조립판넬
(61)--전면커버 (62)--조립테
(63)--개폐문 (64)--개방공
(65)--관통공 (66)--걸림돌기
(68)--문양 (80)--체결브라켓
(81)--함체 (82)--격판
(83)--결합홈 (84)--플랜지
(86)--고정볼트 (87)--너트
(90)--결합소켓 (91)--결합볼트
(92)--너트 (93)--이동관체
(94)--체결볼트 (96)--전면판(10) - Saddle (11) - Wash basin
(14) - water (15) - drain
(16) - fastening hole (20) - body
(22) - storage chamber (23) - diaphragm
(24) -opening (25) -shroud
(26), a catching hole (27), a water supply pipe
(28) - Drain pipe (29) - Through hole
(40) - Multipurpose shower (41) - Water supply
(42) - opening and closing valve (48) - nut
(49) - Fastening bolts (50) - Storage box
(51) - Opening and closing door (52) - Drawing room
(53) - fixed shaft (54) - receiving cylinder
(55) - side plate (56) - opening and closing guide hole
(57) - shaft (58) - case
(59) - Flange (60) - Assembly panel
(61) - Front cover (62) - Assembly frame
(63) - Opening / closing door (64) - Opening hole
(65) through hole (66)
(68) - pattern (80) - fastening bracket
(81) - Enclosure (82) - Diaphragm
(83) - coupling groove (84) - flange
(86) - Fixing bolts (87) - Nuts
(90) - coupling socket (91) - coupling bolt
(92) - Nut (93) - Movable pipe body
(94) - fastening bolt (96) - front plat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742A KR101709663B1 (en) | 2016-01-25 | 2016-01-25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8742A KR101709663B1 (en) | 2016-01-25 | 2016-01-25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663B1 true KR101709663B1 (en) | 2017-02-23 |
Family
ID=5831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87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663B1 (en) | 2016-01-25 | 2016-01-25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663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5913B1 (en) * | 2019-07-26 | 2020-09-14 | 심재용 | A bathroom shelf construction method using rear extension washbasin and bathroom shelf module |
KR102193149B1 (en) * | 2019-07-26 | 2020-12-18 | 심재용 | A bathroom shelf construction method using washbasin integrated bathroom shelf module |
KR20220055574A (en)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카비스 |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
KR102495765B1 (en) * | 2021-08-27 | 2023-02-06 | 서병수 | Washbasin-mounted dry structure |
KR102653495B1 (en) * | 2022-10-05 | 2024-03-29 | 서병수 | Washbasin-mounted dry multifunctional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203U (en) * | 1992-10-15 | 1994-05-10 | 株式会社ゼクセル | Waste treatment equipment |
JPH0734062U (en) | 1993-11-22 | 1995-06-23 |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 Sink device |
KR200430527Y1 (en) | 2006-08-22 | 2006-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fabricated wall for bathroom with shelves |
KR101162598B1 (en) * | 2010-03-04 | 2012-07-04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Bathroom module |
KR101476336B1 (en) | 2013-02-04 | 2014-12-24 | 서병수 | Integral shelf with cabinet and washbasin |
-
2016
- 2016-01-25 KR KR1020160008742A patent/KR1017096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5203U (en) * | 1992-10-15 | 1994-05-10 | 株式会社ゼクセル | Waste treatment equipment |
JPH0734062U (en) | 1993-11-22 | 1995-06-23 |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 Sink device |
KR200430527Y1 (en) | 2006-08-22 | 2006-11-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Prefabricated wall for bathroom with shelves |
KR101162598B1 (en) * | 2010-03-04 | 2012-07-04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Bathroom module |
KR101476336B1 (en) | 2013-02-04 | 2014-12-24 | 서병수 | Integral shelf with cabinet and washbasi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5913B1 (en) * | 2019-07-26 | 2020-09-14 | 심재용 | A bathroom shelf construction method using rear extension washbasin and bathroom shelf module |
KR102193149B1 (en) * | 2019-07-26 | 2020-12-18 | 심재용 | A bathroom shelf construction method using washbasin integrated bathroom shelf module |
KR20220055574A (en) | 2020-10-27 | 2022-05-04 | 주식회사 카비스 |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
KR102541895B1 (en) * | 2020-10-27 | 2023-06-12 | 주식회사 카비스 | Module of washstand furniture |
KR102495765B1 (en) * | 2021-08-27 | 2023-02-06 | 서병수 | Washbasin-mounted dry structure |
KR102653495B1 (en) * | 2022-10-05 | 2024-03-29 | 서병수 | Washbasin-mounted dry multifunctional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663B1 (en) | Under wardrobe of one united bathroom wash bawl | |
KR20130029152A (en) | Shelf unit | |
KR200430527Y1 (en) | Prefabricated wall for bathroom with shelves | |
KR101588085B1 (en) | Eco-friendly shelf unit for bathroom and construction method in the same | |
KR101476336B1 (en) | Integral shelf with cabinet and washbasin | |
KR200490022Y1 (en) | Shelf for bathroom | |
CN211534150U (en) | Cabinet body type hand washing sink | |
KR101325099B1 (en) | A shower board for bathroom | |
KR20120134829A (en) | Module type variable bathroom furniture | |
CN104120757A (en) | Structure of multifunctional washstand | |
JPS6343325Y2 (en) | ||
RU2199935C1 (en) | Screen for bath | |
US376871A (en) | Combined wash-stand and water-closet | |
KR200451254Y1 (en) | Bathroom Shower | |
JPH08103394A (en) | Cabinet for bathroom | |
JPH0324696Y2 (en) | ||
JPH0866328A (en) | Structure of bathroom | |
JPS5853860Y2 (en) | bathroom feature wall | |
KR100684363B1 (en) | Multi-function wash stand | |
KR200266213Y1 (en) | Single type washbasin | |
JPH0431331Y2 (en) | ||
JPH0732770Y2 (en) | shower room | |
JP2573705Y2 (en) | Toilet washstand | |
JP2003245148A (en) | Washroom and partition storage unit used for this | |
JPH047325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0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