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500B1 -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 Google Patents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9500B1 KR102529500B1 KR1020180029623A KR20180029623A KR102529500B1 KR 102529500 B1 KR102529500 B1 KR 102529500B1 KR 1020180029623 A KR1020180029623 A KR 1020180029623A KR 20180029623 A KR20180029623 A KR 20180029623A KR 102529500 B1 KR102529500 B1 KR 102529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ove box
- airbag
- box cover
- link
- knee prot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60R21/2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in the lower part of dashboards, e.g. for protecting the kne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1—Kn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릎 보호 가변구조는 크래쉬 패드 아래에 위치하는 글러브박스 커버부, 상기 크래쉬 패드와 글러브박스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회전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 전개를 조건으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일단을 회전시키고 개방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orm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deploy a glove box cover.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otate and open the glove box cover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glove box cover part located under the crash pad, the air bag located between the crash pad and the glove box, and the air bag deployment. A deployment unit is provided, and the deployment unit provides a knee protection deformable structure configured to rotate one end of the glove box cover and support the opened glove box cover under the condition of deploying the airbag.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릎 가변 보호구조로서, 차량의 충돌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와 연동되도록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회전지지구조를 제공하는바, 차량 충격에 따라 에어백은 탑승자의 가슴 부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전개되는 무릎 가변 보호구조는 탑승자의 무릎 부분과 마주하는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거동을 제어하여 무릎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무릎 가변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and provides a rotational support structure of a glove box cover part to interlock with the deployment of an airbag in response to a vehicle collision. The deployed knee variable protection structure relates to a knee variable protection structure for absorbing an impact generated on the knee by controlling the behavior of a glove box cover part facing the occupant's knee.
차량용 에어백은 충돌 사고 발생 시 에어백쿠션을 전개시켜 착석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장치로, 운전석 에어백(DAB, Driver Air-Bag)과 동승석 에어백(PAB, Passenger Air-Bag), 사이드 에어백(SAB, Side Air-Bag), 커튼 에어백(CAB, Curtain Air-Bag), 무릎 에어백(KAB, Knee Air-Bag)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릎 에어백은 리테이너, 리테이너에 설치되어 가스를 제공하는 인플레이터, 인플레이터의 가스를 주입받아 전개되는 쿠션, 쿠션을 리테이너의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커버를 포함하여, 글러브박스의 하부에 설치된다. 무릎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시 착석자의 무릎측으로 전개되면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무릎을 보호하게 된다.Automotive airbags are safety devices that deploy airbag cushions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o mitigate the impact on occupants. (SAB, Side Air-Bag), Curtain Air-Bag (CAB), and Knee Air-Bag (KAB). In general, a knee airbag includes a retainer, an inflator installed in the retainer to provide gas, a cushion deployed by receiving gas from the inflator, and a cover for accommodating the cushion inside the retainer, and is installed below the glove box. The knee airbag protects the knee of a driver or passenger by deploying to the knee of an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도 1은 글러브박스 내측에 위치하여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전개되는 무릎 에어백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박스 내측에 리테이너에 위치하도록 권취되고, 충격에 의해 가스가 무릎 에어백으로 주입되어 개구부를 따라 무릎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구성된다.1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a knee airbag that is located inside a glove box and deploys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vehicle. As disclosed, it is wound up to be located in the retainer inside the glove box, and is configured such that gas is injected into the knee airbag by impact to deploy the knee airbag along the opening.
다만, 최근에는 차량의 레이아웃의 변화에 따라 더욱 얇은 글러브박스를 구성할 수 있고, 탑승자와 글러브박스 사이의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레이아웃이 인기를 얻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 vehicle layout capable of configuring a thinner glove box according to changes in vehicle layout and providing a wider space between an occupant and the glove box is gaining popularity.
따라서, 얇은 글러브박스 내측면에 무릎 에어백을 설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하며, 무릎 에어백이 설치되어도 넓은 공간에 전개되는 상기 에어백에 의해 탑승자의 하체 상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Therefore, there is a case where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install a knee airba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in glove box, and even if the knee airbag is installed, the airbag deployed in a wide space does not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injury to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There were cases where it was not possible.
이처럼, 얇은 글러브박스를 갖거나, 별도의 무릎 에어백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의 경우, 탑승자의 하체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구조가 요구되고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a vehicle having a thin glove box or not having a separate knee airbag, a separate protective structure is required to prevent injuries to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무릎 가변 보호구조를 통해 글러브박스와 탑승자 무릎 사이의 간격이 넓게 구성된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에 발생한 충격을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통해 줄이기 위한 구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ven in the case of a vehicle configured with a wide gap between the glove box and the occupant's knee through the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impact generated in the vehicle through the glove box cover. Its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개방된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무릎이 글러브박스 커버부와 접하는 경우 승객의 상해를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injury to passengers when a user's kne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love box cover by supporting the opened glove box cover.
또한,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상에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백과 연동하는 보호구조를 구성하여, 에어백 전개 이후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무릎 가변 보호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onfigured to rotate and open a glove box cover after airbag deployment by constructing a protection structure that interlocks with an airbag configured to be opened on a crash pa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릎 가변 보호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Knee variable protection struc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은 크래쉬 패드 아래에 위치하는 글러브박스 커버부; 상기 크래쉬 패드와 글러브박스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회전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 전개를 조건으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일단을 회전시키고 개방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love box cover portion located below the crash pad; an airbag positioned between the crash pad and the glove box; and a deployment unit configured to rotate and open the glove box cover in conjunction with airbag deployment, wherein the deployment unit rotates one end of the glove box cover and supports the opened glove box cover under conditions of airbag deployment. Provides a knee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configured.
또한, 상기 전개부는, 상기 개방된 글러브박스 커버부 하단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된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ployment un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rotate a lower end of the opened glove box cover unit; It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rotated glove box cover portion.
또한,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ployment unit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as generator configured to deploy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또한, 상기 전개부와 상기 에어백을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deployment unit and the airbag.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에어백 일단과 연결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의 일단과 마주하여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반력에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 2링크; 상기 제 2링크와 고정되어, 상기 제 2링크로부터 인가되는 반력에 따라 가스 발생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3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ink member may include a first lin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bag; a second link that faces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a reaction force from which the airbag deploys; A third link fixed to the second link and configured to operate the gas generator according to the reaction force applied from the second link; provides a knee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또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가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전개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개방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성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ink member is connected to a stopper fixed so that the support member does not deploy, and the support memb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또한, 상기 가스 발생기가 상기 에어백 전개시 발생하는 음압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음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as generator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negative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deploy the support member in response to negativ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또한,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ployment unit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after the airbag is deployed.
또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차량의 충돌에 따라 상기 글로브박스로부터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solenoid plung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glove box cover part and configured to separate the glove box cover part from the glove box in response to a vehicle collision;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또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는 글러브박스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로드를 중심으로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glove box cover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fixing rod located at the top of the glove box.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a constant tens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love box cover unit is deployed in a closed state of the glove box cover unit.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글러브박스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따라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provide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eployed along the guide portion located inside the glove box.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and using the above embodiments and configuration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글러브박스와 탑승자의 무릎 사이의 공간이 넓은 차량의 경우에도, 차량에 발생하는 충격에 대응하여 탑승자의 무릎을 보호할 수 있는 가변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able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the knee of the occupant in response to an impact generated in the vehicle even in the case of a vehicle in which the space between the glove box and the knee of the occupant is wide.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과 연동되는 가변구조를 제공하여, 차량에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탑승자의 상체뿐 아니라 무릎 공간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formable structure interlocked with an airbag,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stability of the knee space as well as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when an impact occurs in the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무릎 보호를 위해 글러브박스에 구성되는 무릎 에어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릎 보호 가변구조를 포함하는 글로브박스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글러브박스와 결합된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회전이동되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전개부 구성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에어백과 연동되는 전개부의 작동 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백과 연동되는 전개부의 작동 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에어백과 연동되는 전개부의 작동 도를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knee airbag configured in a glove box to protect a knee as a prior art.
FIG. 2 shows a combination view of a glove box including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glove box cover unit combined with a glove box is rotated and mov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ployment unit configured to deploy a glove box cover unit.
5 illustrates an operation diagram of a deployment unit interlocked with an air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operation diagram of a deployment unit interlocked with an airbag.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operation diagram of a deployment unit interlocked with an airba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어셈블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assembly"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및 제3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ird, etc., in order to classify them based on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글러브박스 커버부(120)가 회전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탑승자의 무릎을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하고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occurs, the
또한, 최근에 적용되는 얇은 형태의 글러브박스 어셈블리(100)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충격이 발생한 상태에서 글러브박스(110)와 탑승자의 무릎(하체)간의 넓은 이격공간에 따라 보다 큰 상해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recently applied thin
도 2는 본 발명의 글러브박스 어셈블리(100)의 결합도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2 shows a combined view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박스 어셈블리(100)는 러기지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글러브박스(110), 글러브박스(110)의 개방된 일단은 덮도록 구성되는 글로브박스 커버부(120)로 구성된다. 글러브박스(110)와 글로브박스 커버부(120)는 강제 압입되는 힌지 결합을 수행하여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the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차량에 장착되는 글러브박스 어셈블리(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일단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타단은 힌지구조(13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상단이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하단 힌지구조(130)와 결합되는 솔레노이드 플런저(1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f the glove
솔레노이드 플런저(131)는 차량에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힌지결합을 수행하는 글러브박스(110)와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체결구조를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이후, 글러브박스 커버부(120)가 회전 전개되도록 구성된다.The
이렇게 솔레노이드 플런저(131)에 의해 체결이 해제된 글러브박스(110) 하단은 글러브박스(110)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글러브박스(110) 상단의 고정로드(140)를 중심으로 탑승자의 무릎과 가까운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is way, the lower part of the
더 바람직하게, 회전된 글러브박스 커버부(120)는 전개부(200)의 탄성부재(210)에 의해 회전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지지부재(220)가 글러브박스(110) 내측에서 탑승자 방향으로 전개되어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와 탑승자의 무릎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the rotated glove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20)는 글로브박스(110)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30)를 따라 탑승자 전방으로 전개되는바, 가이드부(230) 일단에는 가스 발생기(300)와 연결되어 유압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220)가 이동하고, 글러브박스 커버부(120)를 지지한다.The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300)는 지지부재(220)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스토퍼(400)와 연동하여 스토퍼(400)가 이동되는 경우 가스 발생기(300)가 작동되도록 차량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The
지지부재(220)가 돌출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230) 타단에 위치하는 가스 발생기(300)를 포함하고, 지지부재(220)가 전개된 가이드부(230) 내부는 가스 발생기(300)로부터 유입된 가스로 채워지는바, 밀폐된 공간에 유입된 가스는 상기 지지부재(220)가 글러브박스 커버부(120) 방향으로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한다.In order for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글러브박스(110)와 글로브 박스 커버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박스(110)와 글러브박스 커버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일단에 탄성부재(21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탄성부재(210)는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와 글로브박스(110)가 힌지결합되는 일단에 압축되어 위치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10)는 힌지결합이 해제될 경우,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일단이 개방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한다.More preferably,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단이 개방되는 글러브박스 커버부(120)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하단이 힌지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솔레노이드 플런저(131)는 상기 힌지결합을 해제하고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상단을 중심으로 글러브박스 커버부(120)가 회전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회전되는 글러브박스 커버부(120)는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로드(140)를 중심축으로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glove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전개부(200)에 의해 글러브박스 커버부(120)가 회전되고 지지되는 구조를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4 sequentially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박스(110) 하단이 개방되도록 탄성부재(210)가 위치되고 순차적으로 글러브박스(110) 내측에 가이드부(230)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지지부재(220)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차량의 충격이 발생하기 이전, 본 발명의 지지부재(220)는 글러브박스(110) 내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부(230)에 삽입된 형태로 존재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부재(220)가 돌출되는 일단에 스토퍼(400)가 존재하여 차량의 충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20)가 불필요하게 글러브박스(1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Before the impact of the vehicle occurs, the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가이드부(230) 일단에 위치하는 스토퍼(400) 구성은 에어백(600)과 연동되어 제거되도록 구성되는바, 에어백(600)과 상기 스토퍼(400) 구성은 링크부재(500)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When a vehicle impact is applied, the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00)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링크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400) 구성은 링크부재(500) 또는 별물로 구성되어, 지지부재(220)의 전개를 방지하도록 기능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즉, 지지부재(220)가 글러브박스(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글러브박스 커버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조건으로, 가이드부(230)의 일단에 위치하는 스토퍼(400)의 이동이 요구되는바, 상기 스토퍼(400)와 에어백(60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500)를 제공한다.That is, as a condition for the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무릎 보호 가변구조의 경우, 에어백(600)이 작동함과 동시에 글러브박스(110) 힌지결합이 해제되고, 이후, 전개부(200)를 통해 지지부재(220)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바, 충격이 발생한 이후 상기 무릎 보호 가변구조는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coupling of the
도 5 내지 7은, 2가지 서로 다른 링키지 구조를 제공하고, 음압센서(540)를 통해 스토퍼(400) 구성을 이동시키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5 to 7 show different embodiments of providing two different linkage structures and moving the
도 5에서는 에어백(600)과 스토퍼(400)와 연결되는 링크부재(500)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5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600)의 개방부(610)에 고정되는 링크부재(500)의 일단을 포함하고, 링크부재(500)의 타단은 가이드부(230) 일단에 위치하는 스토퍼(400)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the
차량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링크부재(500)의 일단과 연결되는 에어백(600)의 개방부(610)의 일단은 외측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부(610)(200)의 배면에 고정되는 링크부재(500)는 개방부(610)의 전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a vehicle impact is applied, one end of the
이렇게 이동된 링크부재(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에어백(600) 개방부(610)의 개방에 따라 스토퍼(400)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The moved
즉, 세 개의 로드를 포함하는 링크부재(500)를 통해 상 방향으로 전개되는 에어백(600) 개방부(610)의 전개력이 가이드부(230)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스토퍼(400)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가스 발생기(300)에 의해 압력을 받는 지지부재(220)가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deployment force of the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어백(600)의 전개력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20)가 글러브박스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바, 개방된 지지부재(220)는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u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는바, 에어백(600) 배면과 연결되어 위치되는 링크부재(500)를 통해 지지부재(220)가 전개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FIG. 6 disclos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도 6에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링크로 구성되는 링크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500)는 에어백(600)의 전개 반력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6 includes a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부재(500)는 지지부재(220)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스 발생기(30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도시된 제 1링크(510)는 에어백(600) 하우징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제 2링크(520)는 제 1링크(510)에서 인가되는 반력을 제 3링크(530)로 전환하도록 연결된다.The illustrated
더 바람직하게, 제 2링크(520)의 일단은 지지부재(22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400)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 1링크(510)로부터 반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 3링크(530)로 반력을 전달하는 기능과 동시에 지지부재(220)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스토퍼(400) 기능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one end of the
제 3링크(530)는 가스 발생기(300)와 일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 2링크(520)로부터 힘이 인가되는 경우, 가스 발생기(3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3링크(530)는 가스 발생기(300)를 구동하기 위한 택타일 스위치, 온오프 스위치 및 뇌관 스위치 등과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차량에 발생한 충격에 따라 에어백(600)이 전개되며 동시에 글로브박스 커버부(120)가 탄성부재(210)에 의해 회전개방되고, 링크부재(500)는 에어백(600) 전개에 따라 발생하는 반력에 의해 가스 발생기(300)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글러브박스(110) 내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220)가 개방된 글러브박스 커버부(12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refore, th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음압센서(540)를 포함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7 shows a cross section of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including a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음압센서(540)를 포함하는바, 음압센서(540)에서 측정된 음압에 따라서, 지지부재(220)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스토퍼(400)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스토퍼(400)를 제거함과 동시에 가스 발생기(300)를 통해 지지부재(220)가 가이드부(23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a
음압센서(540)는 에어백(600) 전개시 발생하는 음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음압값을 제어부에 저장하고, 이후, 차량의 충격이 발생하여 에어백(600)이 전개되는 경우, 지지부재(220)를 가로막는 스토퍼(400)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The
본 발명의 제어부는 에어백(600)의 전개와 동시에 스토퍼(400)를 제거하거나, 또는 에어백(600) 전개 이후 순차적으로 스토퍼(400)를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remove the
더 바람직하게, 스토퍼(400)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4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엑츄에이터(550)를 포함하는바, 제어부는 에어백(600) 전개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이 미리 설정된 음압 이상일 경우, 엑츄에이터(550)를 작동시켜 가이드부(230)를 가로막는 위치에 존재하는 스토퍼(400)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More preferably, it includes an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scribed by indic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other combinations, modifications, and environments. That is,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disclosed contents and / or within the scope of skill or knowledge in the art. The described embodiment describes the best state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required in specific application fields and u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cover other embodiments as well.
100: 글러브박스 어셈블리
110: 글러브박스
120: 글러브박스 커버부
130: 힌지구조
131: 솔레노이드 플런저
140: 고정로드
200: 전개부
210: 탄성부재
220: 지지부재
230: 가이드부
300: 가스 발생기
400: 스토퍼
500: 링크부재
510: 제 1링크
520: 제 2링크
530: 제 3링크
540: 음압센서
550: 엑츄에이터
600: 에어백
610: 개방부100: glove box assembly
110: glove box
120: glove box cover
130: hinge structure
131: solenoid plunger
140: fixed rod
200: development unit
210: elastic member
220: support member
230: guide unit
300: gas generator
400: stopper
500: link member
510: first link
520: second link
530: third link
540: negative pressure sensor
550: actuator
600: air bag
610: opening
Claims (12)
상기 크래쉬 패드와 글러브박스 사이에 위치하는 에어백;
상기 에어백 전개와 연동하여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회전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전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 전개를 조건으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일단을 회전시키고 개방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 glove box cover part located below the crash pad;
an airbag positioned between the crash pad and the glove box;
A deployment unit configured to rotate and open the glove box cover in conjunction with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The deployment unit is configured to rotate one end of the glove box cover and support the opened glove box cover under the condition of deploying the airbag.
상기 전개부는,
상기 개방된 글러브박스 커버부 하단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탄성부재;
상기 회전된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development part,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rotate a lower end of the opened glove box cover;
Knee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rotated glove box cover portion.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가스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deform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gas generator configured to deploy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deployment of the airbag.
상기 전개부와 상기 에어백을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1,
Knee protection deform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deployment unit and the airbag.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에어백 일단과 연결되는 제 1링크;
상기 제 1링크의 일단과 마주하여 상기 에어백이 전개되는 반력에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제 2링크;
상기 제 2링크와 고정되어, 상기 제 2링크로부터 인가되는 반력에 따라 상기 에어백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가스 발생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 3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4,
The link member,
a first lin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bag;
a second link that faces one end of the first link and performs a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a reaction force from which the airbag deploys;
and a third link fixed to the second link and configured to operate a gas generator positioned adjacent to the airbag according to a reaction force applied from the second link.
상기 링크부재는,
지지부재가 전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토퍼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전개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가 개방되도록 상기 스토퍼 구성을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4,
The link member,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a stopper fixed so that it does not deploy, and moves the stopper configuration so that the support member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ployment of the airbag.
상기 가스 발생기가 상기 에어백 전개시 발생하는 음압에 반응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음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3,
The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negative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deploy the support member in response to negativ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gas generator deploys the airbag.
상기 전개부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된 이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deployment unit i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riven after the airbag is deployed.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차량의 충돌에 따라 상기 글러브박스로부터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솔레노이드 플런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1,
A solenoid plunger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glove box cover part and configured to separate the glove box cover part from the glove box in response to a vehicle collision; knee protection deform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는 글러브박스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로드를 중심으로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1,
Knee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glove box cover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around the fixing rod located at the top of the glove box.
상기 탄성부재는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글러브박스 커버부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
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member i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a constant tens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love box cover portion is deployed in a closed state of the glove box cover portion.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글러브박스 내부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따라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 보호 가변구조.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member is a variable knee protec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deployed along the guide portion located inside the glove bo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623A KR102529500B1 (en) | 2018-03-14 | 2018-03-14 |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9623A KR102529500B1 (en) | 2018-03-14 | 2018-03-14 |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294A KR20190108294A (en) | 2019-09-24 |
KR102529500B1 true KR102529500B1 (en) | 2023-05-04 |
Family
ID=6806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9623A Active KR102529500B1 (en) | 2018-03-14 | 2018-03-14 |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5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7660A (en) * | 2022-06-29 | 2022-09-27 | 东风延锋汽车座舱系统有限公司 | Glove box with knee collision protection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7034B1 (en) | 2006-06-08 | 2007-08-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Driver's Knee Protect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88268A (en) * | 2003-04-09 | 2004-10-1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Glove box in vehicle |
KR101052988B1 (en) * | 2009-02-11 | 2011-07-29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Airbag assembly |
KR101250653B1 (en) * | 2011-03-25 | 2013-04-03 |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 knee-bolster structure for automobile |
KR102439460B1 (en) | 2015-09-30 | 2022-09-0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knee airbag |
-
2018
- 2018-03-14 KR KR1020180029623A patent/KR1025295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7034B1 (en) | 2006-06-08 | 2007-08-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Driver's Knee Prot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294A (en) | 2019-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48092A (en) | Airbag device | |
CN214189584U (en) | Roof airbag device | |
GB2420748A (en) | A vehicle seat airbag assembly with inflation shield | |
KR19980024157A (en) |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 |
US11214214B2 (en) | Vehicle seat incorporating a seat bottom front edge airbag | |
JPH1067292A (en) | Knee holding device for vehicle occupant | |
US7802810B2 (en) |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 |
KR102529500B1 (en) | Protection Variable Structure for Knee | |
US7219957B1 (en) | Vehicle seat with articulating cushion component | |
KR102452472B1 (en) | Occupant ankle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 |
JPH07125603A (en) | Air bag device | |
US6270112B1 (en) | Mechanism for securing passenger side air bag door | |
US20070057498A1 (en) | Airbag device | |
JP7053888B2 (en) | Airbag device | |
KR20230063378A (en) | Apparatus for Knee Air-bag | |
JP4760698B2 (en) | Knee airbag device with column | |
JP2006188206A (en) | Knee protector device | |
KR100629348B1 (en) | Curtain airbag | |
JP2938835B2 (en) | Energy absorption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vehicle | |
JPH0642925Y2 (en) | Airbag device for restraining passengers | |
EP4454955A1 (en) | Side airbag device | |
JP7492605B2 (en) |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 |
WO2022044578A1 (en) |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device | |
JP3614795B2 (en) |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 |
KR102661044B1 (en) | Passenger restraint apparatus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