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3660B1 -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 Google Patents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660B1
KR102523660B1 KR1020170142033A KR20170142033A KR102523660B1 KR 102523660 B1 KR102523660 B1 KR 102523660B1 KR 1020170142033 A KR1020170142033 A KR 1020170142033A KR 20170142033 A KR20170142033 A KR 20170142033A KR 102523660 B1 KR102523660 B1 KR 10252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ixing
box
main body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293A (ko
Inventor
박종선
Original Assignee
(주)하이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플 filed Critical (주)하이플
Priority to KR102017014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6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6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는 컨테이너 박스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테두리부재에 있어서,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통공되어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본체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와, 본체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1 부재와,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타단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본체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와, 본체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가 형성되는 제2 부재로 이루어져, 제1 부재의 결합공에 제2 부재의 결합축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코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코너부재와;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에 결합된 코너부재와 코너부재의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고정부를 덮도록 컨테이너 박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앙부 부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assembly container one touch clip receive box}
본 발명은 박스용 테두리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골판지 등으로 제작되는 컨테이너 박스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져 컨테이너 박스를 강화하면서도 코너 부재를 힌지형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원터치로 컨테이너 박스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assembly container,AC)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박스는 물품을 운반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과거에는 종이 골판지로 제작된 종이 박스가 이용되었으나 이러한 종이 박스는 쉽게 손상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근래에는 종이 골판지보다 내구성, 내마멸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골판지로 제작된 컨테이너 박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테이너 박스는 연결부를 금속 리벳이나 스테플러를 이용하여 접합시켰기 때문에 못쓰게 된 박스를 재활용할 때 금속 리벳이나 스테플러 핀을 일일이 뽑아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리벳이나 스테플러를 이용하여 박스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조립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박스의 보관 시 부피를 크게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 등록 제0477161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일측에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측 모서리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 박스 날개를 구비하는 박스와; 상기 박스의 일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벽부와; 측면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의 타측 내측면에 상호 마주보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의 개구부측 상기 모서리와 상기 박스 날개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측 모서리 외측 방향으로 접히는 박스 날개가 내부에 개재되도록 제1 측벽부 상단 부위를 접었을 때 이 접혀진 내부에는 박스 날개가 개재되는 결합공간이 구비되고, 이 결합공간 내부에는 제2 측벽부의 측면 날개가 대응하여 결합되는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테두리를 끼운 상태에서 박스를 접기가 어려웠으며, 테두리를 박스에 결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등록 제0477161호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테이너 박스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립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코너부재가 힌지형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를 테두리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워터치로 접을 수 있어 보관 시 박스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박스의 적층 시 적층돌기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다수개의 박스들을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쌓아 올릴 수 있으며, 강도를 보강하여 박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박스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테두리부재에 있어서,
제1 부재의 결합공에 제2 부재의 결합축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코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코너부재와;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에 결합된 코너부재와 코너부재의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고정부를 덮도록 컨테이너 박스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앙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결합부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일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통공되어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본체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와, 본체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가 형성되고, 제2결합부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타단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본체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와, 본체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컨테이너 박스의 각 변의 중앙부에는 상부에 결합공이 통공되고,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 부재가, 결합공에 결합돌기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부 부재의 고정돌기가 결합 부재의 하단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정부는 외측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2 부재의 결합부의 외측에는 정지턱(222)이 형성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내측의 각도가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는 컨테이너 박스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립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코너부재가 힌지형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를 테두리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접을 수 있어 보관 시 박스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박스의 적층 시 적층돌기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다수개의 박스들을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쌓아 올릴 수 있으며, 강도를 보강하여 박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가 적용된 컨테이너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가 적용된 컨테이너 박스의 접혀지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골판지 등으로 제작되는 컨테이너 박스의 상단부 테두리에 끼워져 컨테이너 박스를 강화하면서도 코너 부재를 힌지형으로 구성하여 용이하게 컨테이너 박스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가 적용된 컨테이너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는 컨테이너 박스(5)의 상단부의 각 모서리에 코너 부재(1)를 끼워 결합하고, 각 코너 부재(1)와 코너 부재(1)의 사이에 중앙부 부재(4)를 끼워 결합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코너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코너 부재(1)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부재(10)와 제1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20)로 이루어져 컨테이너 박스(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여 컨테이너 박스(5)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재(10)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11)와, 본체(11)의 일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통공되어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결합부(12)와, 본체(11)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3)와, 본체(11)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14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142)이 형성되는 고정부(14)와, 고정부(14)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15)가 형성된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와 유사한 형상이나 제1 부재(10)에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부(12)에 대응하는 결합부(22)가 형성된다.
즉, 제2 부재(20)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21)와, 본체(21)의 타단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축(221)이 형성되는 결합부(22)와, 본체(21)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23)와, 본체(21)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24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242)이 형성되는 고정부(24)와, 고정부(24)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2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25)가 형성되는 제2 부재(20)로 이루어져, 제1 부재(11)의 결합공(121)에 제2 부재(20)의 결합축(22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컨테이너 박스(5)의 코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여,
제1 부재(10)의 결합공(121)을 축으로 제2 부재(20)의 결합축(221)이 회전하여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간의 내측 모서리의 각도를 직각에서 그 이하로 줄여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가 평행하게 접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간의 내측 모서리의 각도는 직각의 범위를 쉽게 벗어나지 않도록 제2 부재(20)의 결합부(22)의 외측에는 정지턱(222)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내측의 각도가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며, 컨테이너 박스(5)를 접을 시에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정지턱(222)을 넘을 수 있도록 하여 내측 모서리의 각도를 직각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본체(21)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도록 하여 컨테이너 박스(5)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며, 가이드(13)(23)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외측면의 상부로 일정 높이로 돌출하도록 하여 상부에 컨테이너 박스(5)를 쌓을 때 컨테이너 박스(5)의 하부가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1 부재(10) 및 제2 부재(20)의 고정부(14)(24)는 본체(11)(21)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141)(24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142)(242)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고정봉(141)(24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컨테이너 박스(5)에는 별도의 결합공(52)이 통공되도록 하여, 고정봉(142)(242)이 결합공(5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고정부(14)(24)는 외측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부(14)(24)를 외측으로 접어 펼쳐서 결합공(52)에 용이하게 고정봉(142)(24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봉(142)(242)이 결합공(52)의 외측에서 결합공(52)을 관통하여 컨테이너 박스(5)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데, 이와 같이 고정봉(142)(242)이 돌출되는 위치에는 고정부(14)(24)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142)(2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15)(25)가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봉(142)(242)이 관통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코너 부재(1)는 컨테이너 박스(5)의 코너에 각각 끼워지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코너 부재(1)의 결합부(12)(22)가 용이하게 컨테이너 박스(5)에 끼워지도록 컨테이너 박스(5)의 모서리의 상단부에는 일정 크기의 절개구(5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6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6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컨테이너 박스(5)의 모서리에는 각각 코너 부재(1)를 끼워 결합하고, 컨테이너 박스(5)에 결합된 코너부재(1)와 코너부재(1)의 사이에는 각각 중앙부 부재(4)를 끼워 결합하도록 한다.
중앙부 부재(4)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의 고정부(14)(24)를 덮도록 컨테이너 박스(5)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컨테이너 박스(5)의 각 변의 중앙부에는 상부에 결합공(53)이 통공되고,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결합돌기(31)가 형성된 결합 부재(3)가, 결합공(53)에 결합돌기(31)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중앙부 부재(4)의 고정돌기(41)가 결합 부재(3)의 하단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3)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여, 중앙부 부재(4)의 중앙부는 결합 부재(3)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양단부는 양단부가 각각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의 고정부(14)(24)에 걸려 이탈되지 않고도 고정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가 적용된 컨테이너 박스의 접혀지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코너 부재(1)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부재(10)와 제1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20)로 이루어져 컨테이너 박스(5)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여 컨테이너 박스(5)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는 컨테이너 박스에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립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코너부재가 힌지형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를 테두리 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접을 수 있어 보관 시 박스의 부피를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박스의 적층 시 적층돌기에 의해 유동을 방지되므로 다수개의 박스들을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쌓아 올릴 수 있으며, 강도를 보강하여 박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코너 부재 10 : 제1 부재
20 : 제2 부재 11, 21 : 본체
12, 22 : 결합부 13, 23 : 가이드
14, 24 : 고정부 15, 25 : 고정구
3 : 결합 부재 31 : 결합돌기
4 : 중앙부 부재 41 : 고정 돌기
5 : 컨테이너 박스

Claims (5)

  1. 컨테이너 박스(5)의 상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테두리부재에서,
    고정부(14)(24)는 외측으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에 있어서,
    제1 부재(11)의 결합공(121)에 제2 부재(20)의 결합축(22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 컨테이너 박스(5)의 코너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코너부재(1)와;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박스(5)에 결합된 코너부재(1)와 코너부재(1)의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제1 부재(10) 또는 제2 부재(20)의 고정부(14)(24)를 덮도록 컨테이너 박스(5)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앙부 부재(4);로 이루어지고,
    제1 부재(10)는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11)와, 본체(11)의 일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통공되어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결합부(12)와, 본체(11)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3)와, 본체(11)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14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142)이 형성되는 고정부(14)와, 고정부(14)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15)가 형성되고, 제2 부재(20)은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을 갖는 본체(21)와, 본체(21)의 타단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수직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축(221)이 형성되는 결합부(22)와, 본체(21)의 상단부의 외측단부에서 수직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23)와, 본체(21)의 타단부에 내측면에는 외주면에 고정돌기(241)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고정봉(242)이 형성되는 고정부(24)와, 고정부(24)와 대응하는 면의 고정봉(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크기로 절개되어 고정구(25)가 형성되고,
    컨테이너 박스(5)의 각 변의 중앙부에는 상부에 결합공(53)이 통공되고,
    하부가 개방된 삽입홈으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결합돌기(31)가 형성된 결합 부재(3)가, 결합공(53)에 결합돌기(31)가 안착되도록 끼워져 고정되며,
    중앙부 부재(4)의 고정돌기(41)가 결합 부재(3)의 하단부에 걸려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3)의 외측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제2 부재(20)의 결합부(22)의 외측에는 정지턱(222)이 형성되어,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의 내측의 각도가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2033A 2016-09-26 2017-10-30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Active KR10252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033A KR102523660B1 (ko) 2016-09-26 2017-10-30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967 2016-09-26
KR1020170142033A KR102523660B1 (ko) 2016-09-26 2017-10-30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967 Division 2016-09-26 201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293A KR20180034293A (ko) 2018-04-04
KR102523660B1 true KR102523660B1 (ko) 2023-04-19

Family

ID=6197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033A Active KR102523660B1 (ko) 2016-09-26 2017-10-30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3837B2 (ja) * 2019-09-09 2023-11-06 三甲株式会社 容器
CN111017367B (zh) * 2020-01-03 2024-06-07 林照民 一种用于厚纸板直角转弯接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4662A1 (en) * 1992-12-18 1994-07-07 Bradford Company Tote box with self locking top rail
WO2008011237A2 (en) * 2006-07-19 2008-01-24 Bradford Company Stackable multi-component tote having locking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69653A (ja) * 1990-03-19 1990-11-05 Ishizaki Sangyo Kk 紙段ボール製の通い函
JPH05294343A (ja) * 1992-04-16 1993-11-09 Tomy Ltd 組立て式コンテナ
JPH0678229U (ja) * 1993-04-14 1994-11-04 ジーエーシー株式会社 組立式通箱
US6331642B1 (en) 1999-07-12 2001-12-18 Hoffmann-La Roche Inc. Vitamin D3 analo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4662A1 (en) * 1992-12-18 1994-07-07 Bradford Company Tote box with self locking top rail
WO2008011237A2 (en) * 2006-07-19 2008-01-24 Bradford Company Stackable multi-component tote having locking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293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689B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JP6955776B2 (ja) 容器装置
US20240278979A1 (en) Bulk bin, bulk bin sleeve pack, and related method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US4458838A (en) Folding container
US20130105563A1 (en) Foldable container
US20090294519A1 (en) Bulk material box
US10370153B2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KR101702347B1 (ko) 포장박스
JP5349902B2 (ja) 緩衝機能付包装箱
KR20160132647A (ko) 포장박스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KR101550259B1 (ko) 다단으로 적층가능한 락수단을 갖는 조립식 박스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KR101354472B1 (ko) 가구용 공간박스
KR101320691B1 (ko) 손잡이 일체형 포장상자
JP6122697B2 (ja) 組み合わせ容器
JP5943478B2 (ja) 折畳式コンテナ
JP7344528B2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板材
KR200478815Y1 (ko) 2겹 손잡이 일체형 듀얼 뚜껑 상자
JPH09286433A (ja) 合成樹脂製箱
JP3217601U (ja) 包装箱
KR20170002660U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9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12296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1030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30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2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2101001279

Request date: 202206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27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630

Effective date: 2023022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20630

Decision date: 20230221

Appeal identifier: 2022101001279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2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