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2347B1 -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347B1
KR101702347B1 KR1020150053048A KR20150053048A KR101702347B1 KR 101702347 B1 KR101702347 B1 KR 101702347B1 KR 1020150053048 A KR1020150053048 A KR 1020150053048A KR 20150053048 A KR20150053048 A KR 20150053048A KR 101702347 B1 KR101702347 B1 KR 10170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double
packaging box
rear dou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043A (ko
Inventor
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to KR102015005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3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타측 측판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것으로 운반 중 내용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전,후방의 단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중앙이 횡방향 절첩부로 절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전,후방 이중판과; 상기 하판의 양측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타측 측판과; 상기 일,타측 측판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이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내부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전방 이중판이나 후방 이중판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측 전,후방 삽입판 및 타측 전,후방 삽입판과; 상기 일측 전,후방 삽입판의 외측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횡방향 절첩부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1 경사 밀착단부와; 상기 타측 전,후방 삽입판의 외측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횡방향 절첩부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2 경사 밀착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박스{PACKING BOX}
본 발명은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타측 측판이 경사지게 개방되는 것으로 운반 중 내용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옮기는데 사용하거나, 또는 물건을 수납하여 선물을 줄 경우에 사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포장박스는, 상부의 뚜껑이 일체로 구성되는 포장박스나, 뚜껑과 본체가 상호 분리되는 포장박스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뚜껑과 본체가 상호 분리되는 포장박스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뚜껑과 본체가 분리되는 포장박스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90546호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이하,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1)의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한편, 수직상방으로 연장되는 양단으로부터 전술한 바닥판(101) 방향으로 연장 절곡되는 끼움판(103) 및 끼움판(103)의 소정위치를 절결하여 일측으로 절곡 돌출시켜서 된 걸림편1(104)을 갖으면서 박스의 높이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판1(102)과, 전술한 측면판1(102)의 끼움판(103)이 끼워지는 끼움공간(106)이 형성되도록 전술한 바닥판(101)의 다른 마주보는 양단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절곡되면서, 절곡된 내부면 소정위치에 전술한 측면판1(102)의 걸림편1(104)에 대응하는 걸림편2(107)가 형성되어, 전술한 바닥판(101)과 측면판1(102)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측면판1(102)이 외곽으로 벌어지되, 소정의 각도에서 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측면판2(105)로 이루어진 본체(1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의 내부에 케이크를 수납한 상태에서, 운반중에 포장용 박스가 경사지게 기울어져 케이크가 측면판1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끼움판에 형성된 걸림편1과 측면판2에 형성된 걸림편2의 상호 걸림력이 약함으로써, 측면판1이 완전히 개방되어 케이크가 외부로 이탈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의 측면판1의 걸림력이 약함으로써 중량물인 책 등은 전혀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의 내부에 케이크를 수납하여 측면판을 수직으로 세울 경우에는, 끼움판에 형성된 걸림편1이 끼움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펼쳐지게 되고, 측면판2에 형성된 걸림편2도 측면판2에 형성된 걸림편의 내부에 삽입되어 펼쳐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납된 케이크를 빼내기 위하여 양측의 측면판1을 양측으로 경사지게 벌리는 과정에서는, 끼움판에 형성된 걸림편1이 측면판2에 형성된 걸림편2에 걸리지 않고 그대로 개방되어 완전히 개방됨으로써, 포장박스가 해체되어 펼쳐져 포장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90546호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2005.07.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 삽입판의 상부 모서리부분에 전,후방 이중판의 횡방향 절첩부의 내측에 밀착되는 경사 밀착단부를 형성하여, 운반 중 포장 박스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일측 측판이나 타측 측판에 밀착되더라도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운반 중 내용물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수납된 내용물을 빼내기 위하여 일,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벌리는 과정에서도 일,타측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뚜껑을 상판과 둘레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내용물의 포장 후 일,타측 측판의 개방을 좀 더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타측 측판과 전,후방 삽입판을 이중판으로 구성하여 포장박스의 일,타측 측판을 좀 더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타측 측판에 손잡이홀을 더 형성함으로써 일,타측 측판을 좀 더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후방 이중판의 내측판의 하단을 상기 하판에 끼움식으로 고정함으로써, 포장박스를 좀 더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포장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전,후방의 단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중앙이 횡방향 절첩부로 절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전,후방 이중판과; 상기 하판의 양측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타측 측판과; 상기 일,타측 측판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이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내부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전방 이중판이나 후방 이중판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측 전,후방 삽입판 및 타측 전,후방 삽입판과; 상기 일측 전,후방 삽입판의 외측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횡방향 절첩부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1 경사 밀착단부와; 상기 타측 전,후방 삽입판의 외측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횡방향 절첩부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2 경사 밀착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상기 포장박스는,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뚜껑은, 직사각형 형상의 상판과, 상판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전,후방 이중판의 외면 상부와 상기 일,타측 측판의 외면 상부에 밀착되는 둘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상기 일,타측 측판과 전,후방 삽입판은, 외측판과 내측판의 이중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상기 일,타측 측판의 상부에는 손잡이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상기 전방 이중판의 내측판과 후방 이중판의 내측판의 하단에는 다수의 삽입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전,후방에는 상기 삽입돌기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장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포장박스의 운반 중 포장박스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일측 측판이나 타측 측판에 밀착되더라도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운반 중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중량물인 책 등도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납된 내용물을 빼내기 위하여 일,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벌리는 과정에서도 일,타측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포장박스가 해체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뚜껑을 상판과 둘레판으로 구성하여 내용물의 포장 후 일,타측 측판의 개방을 좀 더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타측 측판과 전,후방 삽입판을 이중판으로 구성하여 포장박스의 일,타측 측판을 좀 더 보강함으로써, 내구성이 좀 더 향상된 포장박스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타측 측판에 손잡이홀을 더 형성하여 일,타측 측판을 좀 더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방 이중판의 내측판의 하단을 상기 하판에 끼움식으로 고정함에 따라, 포장박스를 좀 더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개도를 접어서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일측 측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타측 측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후방 이중판를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도 2d는 전방 이중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케이크 포장용 박스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개도를 접어서 포장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일측 측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타측 측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며, 도 2c는 후방 이중판를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내고, 도 2d는 전방 이중판을 접어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타측 측판을 경사지게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두꺼운 종이나 골판지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판(1)과, 하판(1)의 전,후방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전,후방 이중판(2a)(2b)과, 하판(1)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타측 측판(3a)(3b)과, 일,타측 측판(3a)(3b)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전방 이중판(2a) 또는 후방 이중판(2b)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측 전,후방 삽입판(4a)(4b) 및 타측 전,후방 삽입판(4a)(4b)과, 상기 일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 밀착단부(5a)와, 상기 타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 밀착단부(5b)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1)은 포장할 내용물의 하부를 받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은 상기 하판(1)의 전,후방의 단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중앙이 횡방향 절첩부(21)로 절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장박스를 좀 더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이중판(2a)의 내측판(23)과 후방 이중판(2b)의 내측판(23)의 하단에 다수의 삽입돌기(2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판(1)의 전,후방에는 상기 삽입돌기(231)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장홀(1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의 양측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포장 내용물의 양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은 내구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중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각의 일측 측판(3a)과 타측 측판(3b)은 상기 하판(1)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돌출되고, 중앙의 종방향 절첩부(31)로 절첩되어 외측판(0)과 내측판(I)의 이중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의 각각의 상부에는 일,타측 측판(3a)(3b)을 좀 더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전,후방 삽입판(4a)(4b)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타측 측판(3a)(3b)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이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전,후방 삽입판(4a)(4b)은 내구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측판(0)과 내측판(I)의 이중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경사 밀착단부(5a)는 상기 일측 측판(3a)을 경사지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일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경사 밀착단부(5b)는 상기 타측 측판(3a)(3b)을 경사지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2 경사 밀착단부(5a)(5b)를 통해, 포장박스의 운반 중 포장박스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일측 측판(3a)이나 타측 측판(3b)에 밀착되더라도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됨으로써, 운반 중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 뚜껑(6)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뚜껑(6)은 내용물의 포장 후 일,타측 측판(3a)(3b)이 개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상판(61)과, 상판(61)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외면 상부와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의 외면 상부에 밀착되는 둘레판(62)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박스를 접어서 포장 내용물을 포장할 경우에는, 일,타측 측판(3a)(3b)을 수직으로 세운 다음, 일,타측 측판(3a)(3b)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전,후방 삽입판(4a)(4b)을 하판(1)의 전,후방 단부의 쪽으로 접는다.
다음 전,후방 이중판(2a)(2b)을 접어 수직으로 세우면서 상기 전,후방 삽입판(4a)(4b)들이 전,후방 이중판(2a)(2b)의 내부에 삽입되게 한다. 그리고, 전,후방 이중판(2a)(2b)의 내측판(23)에 형성된 삽입돌기(231)들을 상기 하판(1)의 삽입장홀(11)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전,후방 이중판(2a)(2b)을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다.
다음 내부에 포장 내용물을 수납한 다음, 상부 뚜껑(6)을 덮어 내용물의 포장을 완료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포장을 완료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빼낼 경우에는, 먼저, 상부 뚜껑(6)을 개방한다.
다음 일,타측 측판(3a)(3b)의 상부를 양측으로 벌리는 과정을 통해 일,타측 측판(3a)(3b)을 경사지게 개방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타측 측판(3a)(3b)을 개방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1,2 경사 밀착단부(5a)(5b)들이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의 내측에 형성된 개방 공간으로 손을 투입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후방 삽입판(4a)(4b)의 모서리부분에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되는 제1,2 경사 밀착단부(5a)(5b)들 형성함으로써, 포장박스의 운반 중 포장박스가 기울어져 내용물이 일측 측판(3a)이나 타측 측판(3a)(3b)에 밀착되더라도 측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포장박스의 운반 중에 내용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중량물인 책 등도 포장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된 내용물을 빼내기 위하여 일,타측 측판(3a)(3b)을 경사지게 벌리는 과정에서도 일,타측 측판(3a)(3b)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내용물을 빼내는 과정에서 포장박스가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하판
11 : 삽입장홀
2a : 전방 이중판, 2b : 후방 이중판
21 : 횡방향 절첩부
22 : 외측판
23 : 내측판
231 : 삽입돌기
3a : 일측 측판, 3b : 타측 측판
31 : 종방향 절첩부
32 : 손잡이홀
4a : 전방 삽입판, 4b : 후방 삽입판
5a : 제1 경사 밀착단부, 5b : 제2 경사 밀착단부
6 : 상부 뚜껑
61 : 상판
62 : 둘레판

Claims (5)

  1. 직사각형 형상의 하판(1)과;
    상기 하판(1)의 전,후방의 단부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중앙이 횡방향 절첩부(21)로 절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게 구비되는 전,후방 이중판(2a)(2b)과;
    상기 하판(1)의 양측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일,타측 측판(3a)(3b)과;
    상기 일,타측 측판(3a)(3b)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이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내부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전방 이중판(2a)이나 후방 이중판(2b)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일측 전,후방 삽입판(4a)(4b) 및 타측 전,후방 삽입판(4a)(4b)과;
    상기 일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일측 측판(3a)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1 경사 밀착단부(5a)와;
    상기 타측 전,후방 삽입판(4a)(4b)의 상부 전,후방의 모서리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횡방향 절첩부(21)의 내측에 밀착되게 형성되어 상기 타측 측판(3b)을 경사지게 개방시키는 제2 경사 밀착단부(5b);를 포함하는 포장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박스는 상부를 덮어주는 상부 뚜껑(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뚜껑(6)은 직사각형 형상의 상판(61)과, 상판(61)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전,후방 이중판(2a)(2b)의 외면 상부와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의 외면 상부에 밀착되는 둘레판(62)을 포함하며,
    상기 일,타측 측판(3a)(3b)과 전,후방 삽입판(4a)(4b)은 외측판(0)과 내측판(I)의 이중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타측 측판(3a)(3b)의 상부에는 손잡이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중판(2a)의 내측판(23)과 후방 이중판(2b)의 내측판(23)의 하단에는 다수의 삽입돌기(231)가 더 형성되고,
    상기 하판(1)의 전,후방에는 상기 삽입돌기(231)들이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장홀(1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박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53048A 2015-04-15 2015-04-15 포장박스 Active KR10170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48A KR101702347B1 (ko) 2015-04-15 2015-04-15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048A KR101702347B1 (ko) 2015-04-15 2015-04-15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43A KR20160123043A (ko) 2016-10-25
KR101702347B1 true KR101702347B1 (ko) 2017-02-03

Family

ID=574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048A Active KR101702347B1 (ko) 2015-04-15 2015-04-15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587Y1 (ko) 2020-03-05 2021-11-08 노승연 포장박스
WO2023108229A1 (en) * 2021-12-17 2023-06-22 Ography Pty Ltd Folda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495U (ko) * 1978-07-13 1980-01-26
JPS5752414U (ko) * 1980-09-10 1982-03-26
JPS60110210U (ja) * 1983-12-27 1985-07-26 暁教育図書株式会社 テストペ−パ−用包装函
KR100390546B1 (ko) 2001-02-19 2003-07-07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면역활성 촉진기능이 향상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균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043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689B1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180087242A (ko) 소비재용 팩
KR101702347B1 (ko) 포장박스
US3784083A (en) Tote tray
KR101111350B1 (ko) 강성의 담배 패킷, 및 이를 형성하는 접기용 블랭크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US2007697A (en) Container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456896Y1 (ko) 종이상자
KR200453822Y1 (ko) 포장용기
KR20160001163U (ko) 피자 박스
JP3204791U (ja) 包装箱
US3504843A (en) Container lid
KR101623971B1 (ko) 접이식 대형포장박스
US6357653B1 (en) Wood charcoal container
KR102126862B1 (ko) 포장용기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101057823B1 (ko) 접이식 용기 및 즉석식품
JP3160659U (ja) 身蓋一体の組立包装箱
JP7344528B2 (ja) 包装容器およびその板材
KR102244462B1 (ko) 식품 포장상자
SK50202014U1 (sk) Škatuľa na zemiaky alebo cibuľu
JP2006321538A (ja) 組立式梱包体
JPH086739Y2 (ja) 提手付包装用紙箱
KR101579751B1 (ko) 절첩식 골판지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