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22534B1 -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534B1
KR102522534B1 KR1020160097481A KR20160097481A KR102522534B1 KR 102522534 B1 KR102522534 B1 KR 102522534B1 KR 1020160097481 A KR1020160097481 A KR 1020160097481A KR 20160097481 A KR20160097481 A KR 20160097481A KR 102522534 B1 KR102522534 B1 KR 10252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node
tft
period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387A (ko
Inventor
김동익
김승태
손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534B1/ko
Priority to US15/659,529 priority patent/US10147354B2/en
Priority to CN201710630744.5A priority patent/CN107665664B/zh
Publication of KR20180014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5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230/00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1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used for counteracting undesired variations, e.g. feedback or autozero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2Geometry or disposition of elements in pixels, e.g. address-lines or gat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에 따라 구동 TFT의 이동도 편차를 보상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화소들 각각은, 게이트 노드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소스 노드에 소스전극이 접속되며 드레인 노드에 드레인전극이 접속된 구동 TFT와, 제1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1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TFT와, 제2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TFT와, 제3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3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의 애노드전극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 TFT와,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소스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TFT와 상기 구동 TFT는 P-type TFT이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자발광 소자인 OLED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구동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OLED를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화소들의 휘도를 조절한다. 화소들 각각은 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구동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공정 편차 등의 이유로 화소마다 구동 TFT의 문턱 전압 및 이동도 펙터와 같은 TFT의 전기적 특성이 불균일하여 동일 데이터 전압에 따른 전류와 그에 대응되는 OLED 발광량이 화소마다 달라짐으로써 휘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내부 보상 방식과 외부 보상 방식이 알려져 있다. 내부 보상 방식은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구동 TF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이용하여 화소들 간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한다. 외부 보상 방식은 구동 TFT들의 전기적 특성에 대응되는 센싱 전압들을 측정하고, 이 센싱 전압들을 기반으로 외부 회로에서 영상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화소들 간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한다.
내부 보상 방식은 보상 프로세스가 간소하고 보상에 필요한 택 타임(Tact time)이 짧은 장점이 있지만 화소 회로가 다소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외부 보상 방식은 간소한 화소 회로를 갖는데 반해, 보상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보상 택 타임이 긴 단점을 갖는다.
내부 보상 방식과 외부 보상 방식의 장점을 취하기 위해,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은 구동 TFT의 문턱전압 편차를 외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하고, 구동 TFT의 이동도 편차를 내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한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은 N-type 구동 TFT를 대상으로만 연구되고 있을 뿐, P-type 구동 TFT에 대해서는 제시된 바가 없다. P-type 구동 TFT를 대상으로 한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화소 구조가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type 구동 TFT에 대해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및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마련된 표시패널과, 상기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상기 화소들 각각은, 게이트 노드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소스 노드에 소스전극이 접속되며 드레인 노드에 드레인전극이 접속된 구동 TFT와, 제1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1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TFT와, 제2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TFT와, 제3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3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의 애노드전극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 TFT와,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소스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TFT와 상기 구동 TFT는 P-type TFT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노드에 접속된 게이트전극과 소스 노드에 접속된 소스전극과 드레인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갖는 구동 TFT와, OLED와, 다수의 스위치 TFT들을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가지며, 상기 구동 TFT와 상기 스위치 TFT들이 P-type TFT로 구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데이터라인의 기준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기간에 이은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 이은 보상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P-type 구동 TFT를 포함한 화소들을 대상으로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를 외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하고 이동도 변화를 내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한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 연결 방식으로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거나 또는 구동 TFT의 이동도를 보상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진다.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중에 구동 TFT의 이동도를 내부적으로 보상하기 때문에, 그 만큼 보상 프로세스가 간소해지고 보상에 필요한 택 타임(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에 따라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가 보상되는 기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5는 도 4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각각 도 5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7은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8은 도 7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도 8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10은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11은 도 10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도 11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보상 전후에 있어, 구동 전류 편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문턱전압 외부 보상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에 형성된 화소 어레이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에 따라 구동 TFT의 전기적 특성 편차가 보상되는 기간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및 타이밍 콘트롤러(11)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14)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15)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화소들(P)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게이트라인들(15)은 화소 구조에 따라 각 화소들(P)에 3개씩 연결(도 4의 15A,15B,15C 참조)될 수도 있고, 각 화소들(P)에 4개씩 연결(도 7의 15A,15B,15C,15D 참조)될 수도 있고, 각 화소들(P)에 5개씩 연결(도 10의 15A,15B,15C,15D,15E 참조)될 수도 있다. 또한, 화소 구조에 따라 표시패널(10)에는 화소들(P)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 라인들(도 10의 '20' 참조)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화소(P) 각각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발생부로부터 고전위 구동전압(EVDD)과 저전위 구동전압(EVSS)을 공급받는다. 화소(P) 각각은 P-type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4, 도 7, 도 10 참조). 본 발명은 P-type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에 따라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와 이동도 변화를 보상한다. 즉, 본 발명은 구동 TFT의 문턱전압 편차로 인한 휘도 불균일을 외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하고, 구동 TFT의 이동도 편차로 인한 휘도 불균일을 내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도트클럭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생성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소정의 참조 신호(구동전원 인에이블신호, 수직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구동전원 디스에이블신호 등)를 기반으로 입력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노멀 구동 모드와,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 및 보상하기 위한 센싱 구동 모드를 판단하고, 각 모드에 맞게 제어신호들을 활성화한다. 노멀 구동 모드는 도 3의 화상 표시 구간(DP)에서 활성화되는 데 반해, 센싱 구동 모드는 도 3의 화상 표시 구간(DP)의 전단에 배치된 제1 비표시 구간(X1) 및/또는 화상 표시 구간(DP)의 후단에 배치된 제2 비표시 구간(X2)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는 노멀 구동 모드가 활성화되는 화상 표시 구간(DP)에서 내부 보상 방식에 따라 보상될 수 있다. 반면,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는 센싱 구동 모드가 활성화되는 제1 비표시 구간(X1) 및/또는 제2 비표시 구간(X2)에서 외부 보상 방식에 따라 보상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표시 구간(X1)은 구동전원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구동전원이 인가된 직후부터 화상 표시 구간(DP)이 시작되기 직전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되며, 제2 비표시 구간(X2)은 화상 표시 구간(DP)이 종료된 직후부터 구동전원 디스에이블신호에 따라 구동전원이 차단될 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는 OLED를 비 발광시킨 상태에서 센싱해야 그 정확도가 높다. 따라서, 센싱 구동 모드는 OLED가 발광되지 않는 제1 비표시 구간(X1) 및/또는 제2 비표시 구간(X2)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외부 보상 방식을 위한 센싱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화소들(P)의 구동 TFT에 대한 문턱전압 편차를 보상할 수 있는 보상값을 산출하고, 이 보상값으로 입력 영상 데이터(DATA)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콘트롤러는 내부 보상 방식을 위한 노멀 구동 모드에서, 상기 보정된 입력 영상 데이터(DATA)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센싱 구동 모드에서, 소정의 센싱용 데이터전압을 화소들(P)에 공급하여 화소들(P)에 포함된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고, 센싱 전압을 디지털 신호인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센싱 채널들에 연결된 센싱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센싱 채널들은 데이터라인들(14) 또는, 기준 라인들(20)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노멀 구동 모드에서,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가 보상된 영상 데이터(DATA)를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공급받고,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따라 이 영상 데이터(DATA)를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 그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14)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노멀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따라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과 기준전압을 번갈아 데이터라인(14)에 공급할 수 있다(도 4, 도 7 참조).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노멀 구동 모드에서,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따라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14)에 공급하고, 기준전압을 기준라인(20)에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노멀 구동 모드에서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따라 게이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센싱 구동 모드에서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따라 게이트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신호는 동일 수평라인(L#1~L#n)에 배치된 화소들에 공통으로 인가되는 것으로, 각 수평라인마다 다수개씩 인가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GIP(Gate-driver In Panel) 방식에 따라 표시패널(1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화소(P)는 OLED, 구동 TFT(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제1 스위치 TFT(ST1), 제2 스위치 TFT(ST2) 및 제3 스위치 TFT(ST3)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은 P-type으로 구현된다. 또한,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OLED는 저전위 구동전압(EVSS)의 입력단에 연결된 캐소드 전극과 제3 스위치 TFT(ST3)에 연결된 애노드 전극과,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화합물층을 포함한다. OLED는 구동 전류에 따라 발광량이 제어되는 발광 소자이다.
구동 TFT(DT)는 소스-게이트 간 전압(Vsg)에 따라 OLED에 입력되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소자이다. 구동 TFT(DT)는 게이트 노드(Ng)에 접속된 게이트전극, 소스 노드(Ns)에 접속된 소스전극, 및 드레인 노드(Nd)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구비한다. 소스 노드(Ns)는 고전위 구동전압(EVDD)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게이트 노드(Ng)와 소스 노드(Ns) 사이에 접속된다.
제1 스위치 TFT(ST1)는 제1 게이트라인(15A)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1 게이트신호(SN1)에 따라 데이터라인(14)과 게이트 노드(Ng)를 연결한다. 제1 스위치 TFT(ST1)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14)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게이트 노드(Ng)에 접속된다.
제2 스위치 TFT(ST2)는 제2 게이트라인(15B)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2 게이트신호(SN2)에 따라 게이트 노드(Ng)와 드레인 노드(Nd)를 연결한다. 제2 스위치 TFT(ST2)의 소스전극은 드레인 노드(Nd)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게이트 노드(Ng)에 접속된다.
제3 스위치 TFT(ST3)는 제3 게이트라인(15C)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드레인 노드(Nd)와 OLED 애노드전극을 연결한다. 제3 스위치 TFT(ST3)의 소스전극은 드레인 노드(Nd)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OLED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이러한 화소(P)는, 데이터라인(14)을 통해 데이터전압(Vdata)과 기준전압(Vref)을 번갈아 공급받고, 고전위 구동전압(EVDD)을 2 레벨로 공급받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도 5는 도 4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그리고,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각각 도 5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보상 방식을 위한 노멀 구동 모드에서는 1 프레임이 초기화 기간(Ti), 프로그래밍 기간(Tw), 보상 기간(Tc) 및 발광 기간(Te)을 포함하게 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보상 기간(Tc)에 앞선 초기화 기간(Ti)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고, 초기화 기간(Ti)과 보상 기간(Tc) 사이의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한다. 그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은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되고, 이어서 데이터 전압(Vdata)이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된다.
또한,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초기화 기간(Ti)과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구동 TFT(DT)를 오프 시킬 수 있는 오프 레벨(Loff)로 입력되고, 보상 기간(Tc)과 그에 이은 발광 기간(Te)에서 오프 레벨(Loff)보다 높으며 구동 TFT(D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Lon)로 입력됨으로써, 구동 전류의 패스를 제어하고 동작의 안성을 확보한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초기화 기간(Ti)에서 게이트 노드(Ng)와 OLED의 애노드 전극이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내지 제3 스위치 TFT(ST1,ST2,ST3)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내지 제3 게이트신호(SN1,SN2,SN3)에 따라 턴 온 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14)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오프 레벨(Loff)로 입력되어 구동 TFT(DT)를 오프 시킨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오프 레벨(Loff)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이 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기준 전압(Vref)이 된다.
도 5 및 도 6b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게이트 노드(Ng)가 데이터전압(Vdata)으로 프로그래밍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및 제2 스위치 TFT(ST1,ST2)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및 제2 게이트신호(SN1,SN2)에 따라 턴 온 상태를 유지하는 데 반해,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라인(14)에는 데이터전압(Vdata)이 인가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오프 레벨(Loff)로 유지되어 구동 TFT(DT)를 오프 시킨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오프 레벨(Loff)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이 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데이터전압(Vdata)이 된다.
도 5 및 도 6c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고전위 구동전압(EVDD)으로 고정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이를 위해, 보상 기간(Tc)에서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으로 상향 고정된다.
보상 기간(Tc) 동안,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온 레벨(Lon)로 높아짐으로써 구동 TFT(DT)를 온 시킨다. 구동 TFT(DT)에는 소스-게이트 전압(Vsg), 즉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에서 데이터전압(Vdata)을 뺀 값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1 스위치 TFT(ST1)는 오프 레벨의 제1 게이트신호(SN1)에 따라 턴 오프 되는데 반해, 제2 스위치 TFT(ST2)는 온 레벨의 제2 게이트신호(SN2)에 따라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보상 기간(Tc) 동안, 구동 TFT는 게이트 노드(Ng)와 드레인 노드(Nd)의 쇼트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에 의해 상승한다.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승한다. 구동 전류의 크기는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비례하므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도 5에서, 게이트 노드(Ng)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실선, 굵은 점선, 및 가는 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실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대응되고, 굵은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되며, 가는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된다.
보상 기간(Tc)을 통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반비례하게 결정됨으로써, 구동 TFT(DT)의 이동도 변화에 따른 구동전류 편차가 자동으로 보상된다. 즉,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작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크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한편, 보상 기간(Tc) 동안 OLED로 구동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도 5 및 도 6d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셋팅된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 간 전압(Vsg)이 발광 기간(Te) 동안에도 그대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구동 TFT(DT)에는 이동도 보상에 따른 구동 전류가 흐른다. 발광 기간(Te)에서 제3 스위치 TFT(ST3)는 온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됨으로써,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가 OLED에 인가되도록 한다. OLED는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밝기로 발광한다.
도 7은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화소(P)는 OLED, 구동 TFT(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제1 스위치 TFT(ST1), 제2 스위치 TFT(ST2), 제3 스위치 TFT(ST3) 및 제4 스위치 TFT(ST4)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은 P-type으로 구현된다. 또한,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화소(P)는 도 4의 그것에 비해 제4 스위치 TFT(ST4)를 더 구비하고, 소스 노드(Ns)가 제4 스위치 TFT(ST4)에 연결되는 점에서 다르다. 이를 제외한 도 7의 화소(P)에 대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4 스위치 TFT(ST4)는 제4 게이트라인(15D)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4 게이트신호(SN4)에 따라 고전위 구동전압(EVDD)의 입력단과 소스 노드(Ns)를 연결한다. 제4 스위치 TFT(ST4)의 소스전극은 고전위 구동전압(EVDD)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소스 노드(Ns)에 접속된다.
이러한 도 7의 화소(P)는, 도 4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라인(14)을 통해 데이터전압(Vdata)과 기준전압(Vref)을 번갈아 공급받는다. 하지만, 도 7의 화소(P)는 구동 전류 패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4 스위치 TFT(ST4)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와 달리 고전위 구동전압(EVDD)을 1 레벨로 공급받는다.
도 8은 도 7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그리고,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각각 도 8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보상 방식을 위한 노멀 구동 모드에서는 1 프레임이 초기화 기간(Ti), 프로그래밍 기간(Tw), 보상 기간(Tc) 및 발광 기간(Te)을 포함하게 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보상 기간(Tc)에 앞선 초기화 기간(Ti)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고, 초기화 기간(Ti)과 보상 기간(Tc) 사이의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한다. 그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은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되고, 이어서 데이터 전압(Vdata)이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된다.
또한,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1 프레임 동안 항상 온 레벨(Lon)로 입력된다. 그 대신 제4 스위치 TFT(ST4)가 초기화 기간(Ti) 동안 턴 오프 됨으로써, 구동 전류의 패스를 제어하고 동작의 안성을 확보한다.
도 8 및 도 9a를 참조하면, 초기화 기간(Ti)에서 게이트 노드(Ng)와 OLED의 애노드 전극이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내지 제3 스위치 TFT(ST1,ST2,ST3)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내지 제3 게이트신호(SN1,SN2,SN3)에 따라 턴 온 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14)에는 기준전압(Vref)이 인가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4 스위치 TFT(ST4)는 오프 레벨의 제4 게이트신호(SN4)에 따라 턴 오프 되어 구동 TFT(DT)를 오프 시킨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기준 전압(Vref)이 되고, 그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통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소스 노드(Ns)의 전위도 Vx로 낮아진다.
도 8 및 도 9b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게이트 노드(Ng)가 데이터전압(Vdata)으로 프로그래밍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제2, 및 제4 스위치 TFT(ST1,ST2,ST4)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제2 및 제4 게이트신호(SN1,SN2,SN4)에 따라 턴 온 상태가 되는 데 반해,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라인(14)에는 데이터전압(Vdata)이 인가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4 스위치 TFT(ST4)는 턴 온 됨으로써 구동 TFT(DT)를 고전위 구동전압(EVDD)에 연결시키고, 구동 TFT(DT)를 온 시킨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이 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데이터전압(Vdata)이 된다.
도 8 및 도 9c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고전위 구동전압(EVDD)으로 고정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보상 기간(Tc)에서 제4 스위치 TFT(ST4)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 TFT(DT)로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보상 기간(Tc) 동안, 구동 TFT(DT)에는 소스-게이트 전압(Vsg), 즉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에서 데이터전압(Vdata)을 뺀 값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1 스위치 TFT(ST1)는 오프 레벨의 제1 게이트신호(SN1)에 따라 턴 오프 되는데 반해, 제2 스위치 TFT(ST2)는 온 레벨의 제2 게이트신호(SN2)에 따라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보상 기간(Tc) 동안, 구동 TFT는 게이트 노드(Ng)와 드레인 노드(Nd)의 쇼트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에 의해 상승한다.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승한다. 구동 전류의 크기는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비례하므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도 8에서, 게이트 노드(Ng)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실선, 굵은 점선, 및 가는 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실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대응되고, 굵은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되며, 가는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된다.
보상 기간(Tc)을 통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반비례하게 결정됨으로써, 구동 TFT(DT)의 이동도 변화에 따른 구동전류 편차가 자동으로 보상된다. 즉,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작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크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한편, 보상 기간(Tc) 동안 OLED로 구동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도 8 및 도 9d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셋팅된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 간 전압(Vsg)이 발광 기간(Te) 동안에도 그대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구동 TFT(DT)에는 이동도 보상에 따른 구동 전류가 흐른다. 발광 기간(Te)에서 제3 스위치 TFT(ST3)는 온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됨으로써,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가 OLED에 인가되도록 한다. OLED는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밝기로 발광한다.
도 10은 하이브리드 보상 방식이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화소(P)는 OLED, 구동 TFT(D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제1 스위치 TFT(ST1), 제2 스위치 TFT(ST2), 제3 스위치 TFT(ST3), 제4 스위치 TFT(ST4) 및 제5 스위치 TFT(ST5)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은 P-type으로 구현된다. 또한, 화소(P)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화소(P)는 도 7의 그것에 비해 제5 스위치 TFT(ST5)를 더 구비하고, 별도의 기준 라인(20)을 통해 기준 전압(Vref)을 공급받는 점에서 다르다. 이를 제외한 도 10의 화소(P)에 대한 나머지 구성들은 도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5 스위치 TFT(ST5)는 제5 게이트라인(15E)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5 게이트신호(SN5)에 따라 기준 라인(20)과 드레인 노드(Nd)를 연결한다. 제5 스위치 TFT(ST5)의 소스전극은 기준 라인(20)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드레인 노드(Nd)에 접속된다.
이러한 도 10의 화소(P)는, 도 4 및 도 7과 달리 데이터라인(14)을 통해 기준전압(Vref)을 공급받지 않고, 별도의 기준 라인(20)을 통해 기준 전압(Vref)을 공급받는다.
도 11은 도 10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변화가 보상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그리고, 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는 각각 도 11의 초기화 기간, 프로그래밍 기간, 보상 기간 및 발광 기간에 대한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내부 보상 방식을 위한 노멀 구동 모드에서는 1 프레임이 초기화 기간(Ti), 프로그래밍 기간(Tw), 보상 기간(Tc) 및 발광 기간(Te)을 포함하게 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보상 기간(Tc)에 앞선 초기화 기간(Ti)에서 기준라인들(20)에 기준 전압(Vref)을 공급하고, 초기화 기간(Ti)과 보상 기간(Tc) 사이의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한다. 그에 따라 기준 전압(Vref)은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5 스위치 TFT(ST5)를 통해 드레인 노드(Nd)에 인가되고, 이어서 데이터 전압(Vdata)이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된다. 한편,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초기화 기간(Ti)에서 데이터라인들(14)에 데이터전압보다 낮은 일정 전압(VR)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일정 전압(VR)은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스위치 TFT(ST1)를 통해 게이트 노드(Ng)에 인가됨으로써 게이트 노드(Ng)의 초기화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전위 구동전압(EVDD)은 1 프레임 동안 항상 온 레벨(Lon)로 입력된다. 그 대신 제4 스위치 TFT(ST4)가 초기화 기간(Ti) 동안 턴 오프 됨으로써, 구동 전류의 패스를 제어하고 동작의 안성을 확보한다.
도 11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초기화 기간(Ti)에서 게이트 노드(Ng)는 일정 전압(VR)으로 초기화되고, OLED의 애노드 전극이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 제3 및 제5 스위치 TFT(ST1,ST3,ST5)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제3 및 제5 게이트신호(SN1,SN3,SN5)에 따라 턴 온 된다. 그리고, 데이터라인(14)에는 일정전압(VR)이 인가되고, 기준 라인(20)에는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2 및 제4 스위치 TFT(ST2,ST4)는 각각 오프 레벨의 제2 및 제4 게이트신호(SN2,SN4)에 따라 턴 오프 되고, 구동 TFT(DT)는 오프 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일정 전압(VR)이 되고, 그에 따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통한 커플링 효과에 의해 소스 노드(Ns)의 전위도 Vy로 낮아진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드레인 노드(Nd)와 OLED 애노드 전극은 제5 스위치 TFT(ST5)를 통해 입력되는 기준 전압(Vref)으로 초기화된다.
도 11 및 도 12b를 참조하면, 프로그래밍 기간(Tw)에서 게이트 노드(Ng)가 데이터전압(Vdata)으로 프로그래밍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 제2, 및 제4 스위치 TFT(ST1,ST2,ST4)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제2 및 제4 게이트신호(SN1,SN2,SN4)에 따라 턴 온 상태가 되는 데 반해, 제3 및 제5 스위치 TFT(ST3,ST5)는 각각 오프 레벨의 제3 및 제5 게이트신호(SN3,SN5)에 따라 턴 오프 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라인(14)에는 데이터전압(Vdata)이 인가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4 스위치 TFT(ST4)는 턴 온 됨으로써 구동 TFT(DT)를 고전위 구동전압(EVDD)에 연결시키고, 구동 TFT(DT)를 온 시킨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이 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데이터전압(Vdata)이 된다.
도 11 및 도 12c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소스 노드(Ns)의 전위는 고전위 구동전압(EVDD)으로 고정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보상 기간(Tc)에서 제4 스위치 TFT(ST4)는 턴 온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 TFT(DT)로의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보상 기간(Tc) 동안, 구동 TFT(DT)에는 소스-게이트 전압(Vsg), 즉 온 레벨(Lon)의 고전위 구동전압(EVDD)에서 데이터전압(Vdata)을 뺀 값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1 스위치 TFT(ST1)는 오프 레벨의 제1 게이트신호(SN1)에 따라 턴 오프 되는데 반해, 제2 스위치 TFT(ST2)는 온 레벨의 제2 게이트신호(SN2)에 따라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 결과, 보상 기간(Tc) 동안, 구동 TFT는 게이트 노드(Ng)와 드레인 노드(Nd)의 쇼트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에 의해 상승한다.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는 구동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승한다. 구동 전류의 크기는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비례하므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상대적으로 클수록 게이트 노드(Ng)의 전위도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도 11에서, 게이트 노드(Ng)의 전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해 실선, 굵은 점선, 및 가는 점선이 도시되어 있다. 실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대응되고, 굵은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되며, 가는 점선은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 대응된다.
보상 기간(Tc)을 통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은 구동 TFT(DT)의 이동도에 반비례하게 결정됨으로써, 구동 TFT(DT)의 이동도 변화에 따른 구동전류 편차가 자동으로 보상된다. 즉,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작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또한,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20%인 경우에는 구동 TFT(DT)의 이동도가 Δα인 경우에 비해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간 전압(Vsg)이 더 크게 되므로,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크기로 보상되는 것이다.
한편, 보상 기간(Tc) 동안 OLED로 구동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보상 기간(Tc) 동안 제5 스위치 TFT(ST5)는 오프 레벨의 제5 게이트신호(SN5)에 따라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 및 도 12d를 참조하면, 보상 기간(Tc)에서 셋팅된 구동 TFT(DT)의 소스-게이트 간 전압(Vsg)이 발광 기간(Te) 동안에도 그대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구동 TFT(DT)에는 이동도 보상에 따른 구동 전류가 흐른다. 발광 기간(Te)에서 제3 스위치 TFT(ST3)는 온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됨으로써, 구동 TFT(DT)에서 생성되는 구동 전류가 OLED에 인가되도록 한다. OLED는 구동 전류에 상응하는 밝기로 발광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이동도 보상 전후에 있어, 구동 전류 편차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소(P)는 P-type 구동 TFT(DT)를 포함하기 때문에, 구동 전류(Ioled)가 데이터전압(Vdata)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구동 전류(Ioled)와 데이터전압(Vdata)간의 관계 그래프는 구동 TFT(DT)의 이동도(Δα) 편차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데, 도 13의 (B)와 같이 전술한 이동도 보상을 수행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13의 (A)참조)에 비해 이동도(Δα) 편차에 따른 구동 전류 차이가 획기적으로 완화된다. 예를 들어, 도 14와 같이, 이동도(Δα)가 1.1인 경우와 1인 경우의 차이가 보상 전에는 10%로 컸다면, 보상 후에는 0.2%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동도(Δα)가 1인 경우와 0.9인 경우의 차이가 보상 전에는 10%로 컸다면, 보상 후에는0.7%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화소를 대상으로 한 구동 TFT의 문턱전압 외부 보상 방식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전술한 본 발명의 화소들은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외부 보상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데이터전압(Vdata)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압 생성부(30) 외에,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싱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전압 생성부(30)와 센싱부(40)를 선택적으로 데이터라인(14)에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SWS)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는 센싱부(4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 받고, 외부 보상 방식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구동 TFT(D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스위치 TFT(ST1,ST2)는 각각 온 레벨의 제1 및 제2 게이트신호(SN1,SN2)에 따라 턴 온되고, 제3 스위치 TFT(ST3)는 오프 레벨의 제3 게이트신호(SN3)에 따라 턴 오프 될 수 있다. 구동 TFT(DT)는 온 상태로 다이오드 연결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g) 전위는 문턱전압(Vth)으로 세츄레이션 된다. 센싱부(40)는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g)에 충전된 전압을 문턱전압(Vth)으로 샘플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type 구동 TFT를 포함한 화소들을 대상으로 구동 TFT의 문턱전압 변화를 외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하고 이동도 변화를 내부 보상 방식으로 보상한다. 본 발명은 다이오드 연결 방식으로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거나 또는 구동 TFT의 이동도를 보상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진다.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중에 구동 TFT의 이동도를 내부적으로 보상하기 때문에, 그 만큼 보상 프로세스가 간소해지고 보상에 필요한 택 타임(Tact time)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표시패널 11 : 타이밍 콘트롤러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4 : 데이터라인들 15 : 게이트라인들
20 : 기준라인들

Claims (20)

  1.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및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마련된 표시패널;
    상기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 각각은,
    게이트 노드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소스 노드에 소스전극이 접속되며 드레인 노드에 드레인전극이 접속된 구동 TFT;
    제1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1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TFT;
    제2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TFT;
    제3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3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의 애노드전극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 TFT;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소스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TFT와 상기 구동 TFT는 P-type TFT이고,
    상기 구동 TFT의 소스전극에 인가될 고전위 구동전압은,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기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로 입력되고,
    상기 보상 기간에 앞선 초기화 기간과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오프 시킬 수 있는 오프 레벨로 입력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는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의 쇼트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상기 소스 노드의 전위는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으로 고정되고 상기 게이트 노드의 전위는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노드의 전위는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에 비례하게 결정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초기화 기간과 상기 보상 기간 사이의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기준 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삭제
  6. 다수의 게이트라인들, 다수의 데이터라인들, 및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화소들이 마련된 표시패널;
    상기 게이트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회로;
    상기 데이터라인들을 통해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데이터 구동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화소들 각각은,
    게이트 노드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소스 노드에 소스전극이 접속되며 드레인 노드에 드레인전극이 접속된 구동 TFT;
    제1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1 게이트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TFT;
    제2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2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 TFT;
    제3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3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의 애노드전극을 연결하는 제3 스위치 TFT;

    제4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4 게이트신호에 따라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연결하는 제4 스위치 TFT; 및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소스 노드 사이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스위치 TFT는, 상기 게이트 노드에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초기화 기간에서만 턴 오프되고, 상기 초기화 기간 이어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프로그래밍 기간과,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 이어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 기간과,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턴 온 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상기 보상 기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로 입력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화소들에 연결된 기준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화소들 각각은,
    제5 게이트라인에 게이트전극이 접속되고 제5 게이트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는 제5 스위치 TFT를 더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기준라인들에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기준 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동안 상기 제5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드레인 노드에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 전압은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상기 보상 기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로 입력되고,
    상기 제5 스위치 TFT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턴 온 되고,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과 상기 보상 기간과 상기 발광 기간에서 턴 오프 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조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3. 게이트 노드에 접속된 게이트전극과 소스 노드에 접속된 소스전극과 드레인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갖는 구동 TFT와, OLED와, 다수의 스위치 TFT들을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가지며, 상기 구동 TFT와 상기 스위치 TFT들이 P-type TFT로 구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데이터라인의 기준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 기간에 이은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 이은 보상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TFT의 소스전극에 인가될 고전위 구동전압은,
    상기 보상 기간과 상기 발광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로 입력되고,
    상기 초기화 기간과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오프 시킬 수 있는 오프 레벨로 입력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는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의 쇼트에 의해 다이오드 연결되고,
    상기 소스 노드의 전위는 고전위 구동전압으로 고정되고 상기 게이트 노드의 전위는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기간에서, 상기 게이트 노드의 전위는 상기 구동 TFT의 이동도에 비례하게 결정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6. 삭제
  17. 게이트 노드에 접속된 게이트전극과 소스 노드에 접속된 소스전극과 드레인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갖는 구동 TFT와, OLED와, 다수의 스위치 TFT들을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가지며, 상기 구동 TFT와 상기 스위치 TFT들이 P-type TFT로 구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데이터라인의 기준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 기간에 이은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 이은 보상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화 기간에는, 상기 스위치 TFT들 중에서 제4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분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상기 보상 기간 및 상기 발광 기간 각각에는, 상기 제4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연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은 상기 초기화 기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 상기 보상 기간 및 상기 발광 기간에서 상기 구동 TFT를 온 시킬 수 있는 온 레벨로 입력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9. 게이트 노드에 접속된 게이트전극과 소스 노드에 접속된 소스전극과 드레인 노드에 접속된 드레인전극을 갖는 구동 TFT와, OLED와, 제1 내지 제5 스위치 TFT를 각각 포함한 화소들을 가지며, 상기 구동 TFT와 상기 제1 내지 제5 스위치 TFT가 P-type TFT로 구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고, 상기 제4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분리하며, 상기 제5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기준 라인의 기준 전압을 상기 드레인 노드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초기화 기간에 이은 프로그래밍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게이트 노드에 인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고, 상기 제4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5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기준 라인과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프로그래밍 기간에 이은 보상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분리하고, 상기 제4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5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기준 라인과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 기간에 이은 발광 기간에서, 상기 제1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데이터라인과 상기 게이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게이트 노드와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고, 상기 제3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드레인 노드와 상기 OLED를 연결하고, 상기 제4 스위치 TFT를 턴 온 시켜 상기 고전위 구동전압의 입력단과 상기 소스 노드를 연결하며, 상기 제5 스위치 TFT를 턴 오프 시켜 상기 기준 라인과 상기 드레인 노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0. 제 13 항, 제 17 항, 및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TFT의 문턱전압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60097481A 2016-07-29 2016-07-29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ctive KR10252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1A KR102522534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US15/659,529 US10147354B2 (en) 2016-07-29 2017-07-25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1710630744.5A CN107665664B (zh) 2016-07-29 2017-07-28 有机发光显示器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81A KR102522534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87A KR20180014387A (ko) 2018-02-08
KR102522534B1 true KR102522534B1 (ko) 2023-04-18

Family

ID=6101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81A Active KR102522534B1 (ko) 2016-07-29 2016-07-29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47354B2 (ko)
KR (1) KR102522534B1 (ko)
CN (1) CN1076656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5638B2 (en) * 2016-08-16 2020-08-25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external compensation
US10460665B2 (en) * 2017-10-24 2019-10-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LED pixel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8806610A (zh) * 2018-05-30 2018-11-13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驱动电路、像素电路、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20190143309A (ko) * 2018-06-20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9119027B (zh) * 2018-09-10 2020-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以及显示面板
KR102584639B1 (ko) * 2018-11-21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픽셀 회로
KR102612016B1 (ko) * 2018-12-13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120733B2 (en) * 2019-05-17 2021-09-14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switched to different driving modes according to gray level
CN110111712B (zh) * 2019-05-30 2021-12-17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阈值电压漂移检测方法和阈值电压漂移检测装置
CN110428776B (zh) * 2019-08-14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及检测方法、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0969987A (zh) * 2019-12-20 2020-04-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显示面板、显示装置及驱动方法
TWI717996B (zh) * 2020-02-11 2021-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驅動電路
CN111653240A (zh) * 2020-06-30 2020-09-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9459A (ja) * 2008-08-07 2014-05-15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6075836A (ja) * 2014-10-08 2016-05-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素回路、そ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4509A (ko) * 1997-04-23 2005-08-26 사르노프 코포레이션 능동 매트릭스 발광 다이오드 화소 구조물 및 이를동작시키는 방법
JP4357413B2 (ja) * 2002-04-26 2009-11-04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El表示装置
JP5044883B2 (ja) * 2004-03-31 2012-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電気回路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731741B1 (ko) * 2005-04-29 2007-06-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장치
KR101222541B1 (ko) * 2005-06-30 201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소자
TWI338874B (en) * 2006-03-10 2011-03-11 Au Optronics Corp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pixel method thereof
KR101285537B1 (ko) * 2006-10-31 2013-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52111B1 (ko) * 2008-03-31 2010-04-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광 감지 기능을 가지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화소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260230B2 (ja) * 2008-10-16 2013-08-14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表示装置
JP2010249955A (ja) * 2009-04-13 2010-11-04 Global Oled Technology Llc 表示装置
KR101296908B1 (ko) * 2010-08-26 2013-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8878589B2 (en) * 2011-06-30 2014-11-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016562B1 (ko) * 2013-07-31 2019-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53444B1 (ko) * 2013-11-06 2019-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이동도 보상방법
KR101661016B1 (ko) * 2013-12-03 2016-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화질 보상방법
KR102241440B1 (ko) * 2013-12-20 2021-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83458B1 (ko) * 2013-12-26 2020-03-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81132B1 (ko) * 2013-12-30 2020-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4167171B (zh) * 2014-07-17 2016-08-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像素电路和显示装置
KR101577909B1 (ko) * 2014-09-05 2015-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열화 센싱 방법
CN105741781B (zh) * 2016-04-12 2018-10-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像素驱动电路及像素驱动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9459A (ja) * 2008-08-07 2014-05-15 Sharp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6075836A (ja) * 2014-10-08 2016-05-12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画素回路、その駆動方法及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87A (ko) 2018-02-08
CN107665664A (zh) 2018-02-06
US10147354B2 (en) 2018-12-04
US20180033367A1 (en) 2018-02-01
CN107665664B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53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312348B1 (ko) 표시패널과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10679562B2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KR10207592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문턱전압 보상방법
KR102326166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401355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50589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4751788A (zh) 有机发光显示器
KR102603538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62834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센싱 방법
KR20210075431A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666124B2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7375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3168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4613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424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80766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729886B1 (ko) 픽셀 회로,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의 특성 센싱 방법
KR102417423B1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210001047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62833B1 (ko) 유기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장치
KR10228293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236936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33058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20014714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