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32B1 -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 Google Patents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9532B1 KR102519532B1 KR1020210010714A KR20210010714A KR102519532B1 KR 102519532 B1 KR102519532 B1 KR 102519532B1 KR 1020210010714 A KR1020210010714 A KR 1020210010714A KR 20210010714 A KR20210010714 A KR 20210010714A KR 102519532 B1 KR102519532 B1 KR 102519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w blade
- guide
- crankshaft
- crank arm
- m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50 lubr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138 pru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91761 Sida cord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6—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actuated by electric or magnetic power or prime m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hand-held or hand-opera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발란스추에 의해 크랭크암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본체(10), 도킹실(20), 도킹플레이트(30), 메인 크랭크암(40), 베벨기어(50), 유성기어(60), 링기어(70), 멀티 크랭크암(80), 축핀(9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which has a plurality of gear parts that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is compactly modularized in one piece, and has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a bolt, so that anyone can easily disassemble and clean it And the lubrication oil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and in particular, the balance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k arm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rotation by the balance weight, so that fatigue due to high-speed operation and work at high place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Main body 10 , docking room 20, docking plate 30, main crank arm 40, bevel gear 50, planetary gear 60, ring gear 70, multi-crank arm 80, shaft pin 90 including the main compone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발란스추에 의해 크랭크암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place work,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gear parts that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re compactly modularized in one piece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bolts, so that anyone can easily It can be disassembled to perform cleaning and lubricating work. In particular, the balance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k arm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rotation by the balance weight, so that fatigue caused by high-speed operation and work at high places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It is about a saw system for high-altitude work.
통상적으로 톱은 강철로 된 얇은 톱양에 날카로운 이가 형성되고, 길이방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력에 의해 날카로운 이가 나무를 포함하는 피절삭물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주로 과수 가지치기, 가로수 가지정리, 산림 숲 가꾸기 사업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원거리에 피절삭물을 수작업으로 톱질함에 있어 많은 힘이 소요됨과 더불어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In general, a saw is a device in which sharp teeth are formed on a thin saw made of steel, and sharp teeth are cut by a linear reciprocating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ut objects including trees, mainly fruit tree pruning, street tree pruning, forests and forests Although it is widely used for high-altitude work including gardening business, it takes a lot of power and cannot work for a long time in manually sawing a workpiece at a long distance.
이에 본 출원인은 등록번호 10-1972418호에서, 손잡이대가 구비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고,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홀이 구비되는 구동휠; 상기 편심홀에 설치되어 구동휠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구동휠과 동심원 상에 설치된 링기어와 치합되어 구동휠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되는 유성기어부; 상기 유성기어부에 연결되어, 유성기어 자전운동력에 의해 편심회전되며 직선로드를 왕복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유성편심암; 상기 직선로드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장착되어 미는 방향으로 켜지도록 미는날부가 구비되는 톱날 절삭기구;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톱날 절삭기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날 절삭기구 일측 단부가 수용되도록 제1홀이 형성되는 제1톱날가이드; 상기 제1톱날가이드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1홀 일측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톱날 절삭기구의 다른 일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제2홀이 형성되는 제2톱날가이드; 상기 톱날 절삭기구의 미는날부측과 대응하는 제2톱날가이드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 registration number 10-1972418,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provided with a handlebar, is rotated by a driving source, and has a driving wheel provided with an eccentric hole at an off-center position; a planetary gear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eccentric hole and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the drive wheel, and engages with a ring gear installed on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drive wheel to rotate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drive wheel; A planetary eccentric arm connected to the planetary gear unit, rotated eccentrically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lanetary gear, and provided to reciprocate a linear rod; a fasten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straight rod; A saw blade cutting mechanism equipped with a pushing blade portion mounted on the fastening portion so as to turn in a pushing direction; a first saw blade guide connected to the main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w blade cutting mechanism, and having a first hol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n end of one side of the saw blade cutting mechanism; a second saw blade guid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aw blade guide and having a second hol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other end of the saw blade cutting mechanism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first hol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saw blade guide corresponding to the pushing blade of the saw blade cutting mechanism; A technology comprising a has been pre-register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직선로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왕복운동방향으로 편심량이 증가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체 회전반경 대비 확장된 스트로크를 제공하려는 기술이나, 구조가 복잡하면서 각각의 부품들이 개별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비숙련공에 의한 조립성이 저하되고, 또 사용자에 의한 분해가 불가능하여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청소 및 윤활유 재도포 작업에 어려움이 따르고, 특히, 고속 운전시 편심 진동이 심각하여 작업 피로도가 증가되는 폐단이 따랐다.However, the prior art is a technology to provide an extended stroke compared to the rotating radius of the rotating body by using a variable eccentric trajectory in which the amount of eccentricity is increased in the reciprocat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straight rod,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each part is individually It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so assemblyability by unskilled workers is reduced, and disassembly by users is impossible, making cleaning and re-lubricating work difficult due to long-term use. In particular, eccentric vibration is serious during high-speed operation, resulting in work fatigue. Increasing evil follow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발란스추에 의해 크랭크암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plurality of gear parts that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re compactly modularized in one piece and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the bolts, so that anyone can easily It can be disassembled to perform cleaning and lubricating work. In particular, the balance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k arm is aligned with the center of rotation by the balance weight, so that fatigue caused by high-speed operation and work at high places can be dramatically improv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aw system for high-altitude 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덮개(11a)에 의해 개폐되는 작동실(11)과, 작동실(11) 일측에 구동축모듈(1)과 함께 구동피니언(2)이 수용되도록 개방되는 입력포트(12)와, 작동실(11) 다른 일측에 직선 왕복운동되는 톱날 작동바(3)가 설치되도록 개방되는 출력포트(13)를 포함하는 본체(10);An
상기 작동실(11) 내부 바닥에 음각 형성되고,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21)가 본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홀(22)이 구비되는 도킹실(20);A
상기 도킹실(20)에 삽입되어 체결구(21)에 의해 결속되고, 일측에 메인축(31)이 구비되는 도킹플레이트(30);A
상기 메인축(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 편심 위치에 크랭크축(42)이 형성되는 메인 크랭크암(40);a
상기 메인축(31)과 동심원상에 설치되어 구동피니언(2)과 치합되고, 메인 크랭크암(40)의 수나사부(41)와 치합되어 연계구동되도록 내부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되는 베벨기어(50);It is installed concentrically with the
상기 크랭크축(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60);a
상기 크랭크축(42)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작동실(11) 내에 고정되고, 크랭크축(42)과 함께 회전운동되는 유성기어(60)와 치합되어, 유성기어(60)를 회전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링기어(70);It is fixed in the
상기 유성기어(60) 일면에 장착되고, 크랭크축(42)과 편심위치에 크랭크축홀(81)이 형성되는 멀티 크랭크암(80); 및A
상기 크랭크축홀(8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베어링부(91)가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축핀(90);을 포함하고,A
상기 체결구(21)를 분리하면, 도킹플레이트(30)와 함께 메인 크랭크암(40), 베벨기어(50), 유성기어(60), 링기어(70), 멀티 크랭크암(80)으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이때, 상기 메인 크랭크암(40)은, 수나사부(41)와 동심원을 이루고, 가장자리부에 크랭크축(42)이 설치되는 원형플레이트(43)와,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크랭크축(42)과 대칭되는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볼트로 체결되어, 크랭크암(40) 무게 발란스를 조절하는 발란스추(44)를 포함하고,At this time, the
상기 발란스추(44)는, 원형플레이트(43)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종형 블록(44a)과, 종형 블록(44a) 상부에서 메인축(31)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밀착되는 횡형 블록(44b)과, 종형 블록(44a)과 횡형 블록(44b)이 접하는 경계부에 형성되어 원형플레이트(43) 일면과 외주면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맞물려 결합되는 ㄱ형 걸림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톱날 작동바(3)는 출력포트(13) 내에서 한 쌍의 가이드모듈(100)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이 안내되고,In addition, the saw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톱날 작동바(3)의 폭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음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10)과, 가이드홈(110)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축홀(120)과, 가이드축홀(12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가이드홈(110) 내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축핀(130)과, 가이드축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 양측 단부의 직선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40)와, 가이드축핀(140)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홀(152)이 형성되고, 출력포트(13)에 볼트 체결되어 복수의 가이드롤러(140)를 일괄 구속하는 가이드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The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톱날 작동바(3) 폭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센터롤러(142)와, 센터롤러(142)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센터롤러(142) 지름 대비 확장 형성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사이드롤러(144)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롤러(144)는 이웃하는 가이드롤러(14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용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톱날 작동바(3) 단부에 톱날(S)이 탈착가능하도록 클램프모듈(200)이 구비되고,In addition, a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톱날 작동바(3) 길이방향으로 음각형성되면서 일측이 톱날 작동바(3) 단부로 개방되는 메인클램프홈(210)과, 메인클램프홈(210)과 직교하도록 톱날 작동바(3)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형 키홈(230)을 형성하는 멀티클램프홈(220)과, +형 키홈(230) 중앙에 관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클램프홀(240)과, +형 키홈(230)에 맞물려 볼트 체결되도록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형 키(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톱날(S)은 간격유지모듈(300)에 의해 직선 이동이 안내되고, In addition, the saw blade (S) is guided by the linear movement by the
상기 간격유지모듈(300)은, 출력포트(13) 측에 일단이 볼트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톱날(S)과 이격되도록 아치형 곡률로 형성되며, 양측에 확장날개(312)가 돌출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10)과, 고리암(310) 단부에서 톱날(S)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확장암(320)과, 확장암(320)을 고리암(310) 두께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하여, 확장암(320)과 고리암(310) 두께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부(330)와, 걸림턱부(330)에 수용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고, 톱날(S)의 날 영역(S1)을 제외한 바디 영역(S2)이 국부적으로 수용되도록 슬록홈(342)이 형성되는 슬롯블록(340)을 포함하고,The
상기 슬롯블록(34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톱날(S) 대비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고,The
상기 톱날(S)의 바디 영역(S2)이 슬록홈(342)에 수용된 상태로 슬롯블록(340) 일측 두께에 의해 날 영역(S1)이 확장암(320)과 이격되어 비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area S2 of the saw blade S is accommodated in the
또한, 상기 베벨기어(50)에는 메인축(31)을 중심으로 복수의 발란스홀(52)이 형성되고, 발란스홀(52)은 크랭크암(40)의 크랭크축(42)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단계적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발라스홀(52)에 의해 크랭크축(42)과 대응하는 베벨기어(50) 영역이 다른 영역 대비 경량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발란스추에 의해 크랭크암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gear parts that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re compactly modularized in one piece,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the bolts, so that anyone can easily disassemble, clean, and apply lubricant The work can be performed, and in particular, the balance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k arm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rotation by the balance weight, so that fatigue due to high-speed driving and work at high place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내부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가이드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클램프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간격유지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간격유지모듈의 발란스홀을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isassembled top system for non-vibration high-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whole top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top system for non-vibration high-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disassembly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top system for non-vibration high-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uide modul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lamp modul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istance maintenance modul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al high-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lance hole of the spacing maintenance module of the top system for non-vibration high plac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ed known func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bvious matt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내부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가이드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클램프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간격유지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의 간격유지모듈의 발란스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ploded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top system for work at high places without vib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and FIG. It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uide modul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lamp module of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balance hole of the spacing maintenance module of the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발란스추에 의해 크랭크암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본체(10), 도킹실(20), 도킹플레이트(30), 메인 크랭크암(40), 베벨기어(50), 유성기어(60), 링기어(70), 멀티 크랭크암(80), 축핀(9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 work at high places, which has a plurality of gear parts that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nd is compactly modularized in one piece, and has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loosening a bolt, so that anyone can easily disassemble and clean it And the lubrication oil application can be performed, and in particular, the balance is adju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rank arm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rotation by the balance weight, so that fatigue due to high-speed operation and work at high places can be drastically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덮개(11a)에 의해 개폐되는 작동실(11)과, 작동실(11) 일측에 구동축모듈(1)과 함께 구동피니언(2)이 수용되도록 개방되는 입력포트(12)와, 작동실(11) 다른 일측에 직선 왕복운동되는 톱날 작동바(3)가 설치되도록 개방되는 출력포트(13)를 포함한다.The
상기 본체(10)는 입력포트(12) 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에 구동축모듈(1)의 외부하우징이 볼트 체결되는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출력포트(13)는 판형 톱날 작동바(3)가 안착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한다.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실(20)은 상기 작동실(11) 내부 바닥에 음각 형성되고,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21)가 본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홀(22)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도킹실(20)은 후술하는 도킹플레이트(3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킹실(20)에 삽입된 도킹플레이트(30)는 체결홀(22)을 통하여 본체(10)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킹플레이트(30)는 상기 도킹실(20)에 삽입되어 체결구(21)에 의해 결속되고, 일측에 메인축(31)이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도킹플레이트(30)는 메인축(31)을 본체(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적용하는 구성으로서, 도킹플레이트(30) 일면과 직교하도록 메인축(31)이 돌출 형성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크랭크암(40)은 상기 메인축(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 편심 위치에 크랭크축(4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메인 크랭크암(40)은 베어링부재에 지지되어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때 상기 메인축(31)은 단부에 고정너트가 나사결합되어 메인 크랭크암(40)을 구속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41)는 후술하는 베벨기어(50)의 암나사부(51)와 치합되어 연계구동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크랭크축(42)은 메인 크랭크암(40)의 회전 중심 즉, 메인축(31)과 동축상에 불일치하도록 배치되어, 메인 크랭크암(40)이 회전 운동시, 크랭크축(42)은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편심회전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베벨기어(50)는 상기 메인축(31)과 동심원상에 설치되어 구동피니언(2)과 치합되고, 메인 크랭크암(40)의 수나사부(41)와 치합되어 연계구동되도록 내부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베벨기어(50)와 구동피니언(2)은 크라운기어로 형성되어 콤팩트하는 구조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베벨기어(5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되고, 암나사부(51)는 메인 크랭크암(40)에 삽입된 상태로 수나사부(41)에 치합되므로 콤팩트한 구조로 일체성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기어(60)는 상기 크랭크축(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유성기어(60)는 베어링부재에 의해 크랭크축(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크랭크축(42) 단부에 너트가 나사결합되어 유성기어(60)를 구속하도록 구비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기어(70)는 상기 크랭크축(42)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작동실(11) 내에 고정되고, 크랭크축(42)과 함께 회전운동되는 유성기어(60)와 치합되어, 유성기어(60)를 회전운동시키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링기어(7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작동실(11)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유성기어(60)와 치합되도록 구비된다.The
이에 상기 메인 크랭크암(40)의 회전운동에 의해 크랭크축(42)과 함께 유성기어(60)가 회전되면, 유성기어(60)가 링기어(70)와 치합되어 메인 크랭크암(40)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구비된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크랭크암(80)은 상기 유성기어(60) 일면에 장착되고, 크랭크축(42)과 편심위치에 크랭크축홀(8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멀티 크랭크암(80)은 일단이 유성기어(60)에 볼트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크랭크축홀(81)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홀(8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베어링부(91)가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에 연결되도록 축핀(90)이 설치된다.In addition, one end is fastened to the
이에 상기 크랭크암(40)의 회전운동에 의해 유성기어(60)가 링기어(70)와 치합되어 메인 크랭크암(40)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면서 멀티 크랭크암(80)이 메인 크랭크암(40)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이로 인해 도 6과 같이 축핀(90)이 크랭크암(40)의 회전중심을 경유하는 일직선상에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톱날 작동바(3)를 직선 운동하도록 구비된다.Accordingly, the
이처럼 도 1과 같이 상기 체결구(21)를 분리하면, 도킹플레이트(30)와 함께 메인 크랭크암(40), 베벨기어(50), 유성기어(60), 링기어(70), 멀티 크랭크암(80)으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바, 즉,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복수의 기어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콤팩트하게 모듈화됨과 더불어 볼트를 풀면 간단하게 분리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누구나 손쉽게 분해하여 청소 및 윤활유 도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 the
이때, 상기 메인 크랭크암(40)은, 수나사부(41)와 동심원을 이루고, 가장자리부에 크랭크축(42)이 설치되는 원형플레이트(43)와,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크랭크축(42)과 대칭되는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볼트로 체결되어, 크랭크암(40) 무게 발란스를 조절하는 발란스추(44)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발란스추(44)는, 도 1의 확대도와 같이 원형플레이트(43)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종형 블록(44a)과, 종형 블록(44a) 상부에서 메인축(31)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밀착되는 횡형 블록(44b)과, 종형 블록(44a)과 횡형 블록(44b)이 접하는 경계부에 형성되어 원형플레이트(43) 일면과 외주면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맞물려 결합되는 ㄱ형 걸림홈(45)을 포함한다.The
이처럼 상기 발란스추(44)가 종형 블록(44a)과 횡형 블록(44b) 조합으로 형성되므로 콤팩트한 구조에서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특히, 발란스추(44)에 의해 크랭크암(40)의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과 일치되도록 발란스가 조절되어 고속운전 및 고소 작업에 따른 피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since the
도 5에서, 상기 톱날 작동바(3)는 출력포트(13) 내에서 한 쌍의 가이드모듈(100)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이 안내되도록 구비된다.In FIG. 5 , the saw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톱날 작동바(3)의 폭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음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10)과, 가이드홈(110)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축홀(120)과, 가이드축홀(12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가이드홈(110) 내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축핀(130)과, 가이드축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 양측 단부의 직선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40)와, 가이드축핀(140)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홀(152)이 형성되고, 출력포트(13)에 볼트 체결되어 복수의 가이드롤러(140)를 일괄 구속하는 가이드플레이트(150)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톱날 작동바(3) 폭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센터롤러(142)와, 센터롤러(142)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센터롤러(142) 지름 대비 확장 형성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사이드롤러(144)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롤러(144)는 이웃하는 가이드롤러(14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용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를 분리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복수의 가이드롤러(140)가 일괄 분해 조립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교체 및 청소가 용이하고, 특히, 가이드플레이트(150) 체결압력에 의해 이웃하는 가이드롤러(140)에 구비된 사이드롤러(144) 간에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의 톱날 작동바(3)를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제공됨과 더불어 장시간 운전으로 톱날 작동바(3) 두께가 마모되더라도 가이드플레이트(150)를 이용하여 간격 보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또 복수의 가이드롤러(140)에 의해 톱날 작동바(3) 양단부가 각각 3면에서 가이드되어 직선 왕복운동 중에 유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a plurality of
도 7에서, 상기 톱날 작동바(3) 단부에 톱날(S)이 탈착가능하도록 클램프모듈(200)이 구비된다.7, a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톱날 작동바(3) 길이방향으로 음각형성되면서 일측이 톱날 작동바(3) 단부로 개방되는 메인클램프홈(210)과, 메인클램프홈(210)과 직교하도록 톱날 작동바(3)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형 키홈(230)을 형성하는 멀티클램프홈(220)과, +형 키홈(230) 중앙에 관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클램프홀(240)과, +형 키홈(230)에 맞물려 볼트 체결되도록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형 키(250)를 포함한다.The
이에 상기 톱날 작동바(3)와 톱날(S)이 +형 키홈(230)과 +형 키(250)의 맞물림 조립 구조에 의해 톱날(S) 직선 이동방향 및 톱날(S) 직선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합적으로 지지되므로 하나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더라도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이로 인해 향후 하나의 볼트만을 풀고 조이는 간단한 방식으로 톱날(S)을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aw
도 8에서, 상기 톱날(S)은 간격유지모듈(300)에 의해 직선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비된다.In Figure 8, the saw blade (S) is provided so that the linear movement is guided by the distance maintaining module (300).
상기 간격유지모듈(300)은, 출력포트(13) 측에 일단이 볼트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톱날(S)과 이격되도록 아치형 곡률로 형성되며, 양측에 확장날개(312)가 돌출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10)과, 고리암(310) 단부에서 톱날(S)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확장암(320)과, 확장암(320)을 고리암(310) 두께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하여, 확장암(320)과 고리암(310) 두께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부(330)와, 걸림턱부(330)에 수용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고, 톱날(S)의 날 영역(S1)을 제외한 바디 영역(S2)이 국부적으로 수용되도록 슬록홈(342)이 형성되는 슬롯블록(340)을 포함한다.The
상기 슬롯블록(34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톱날(S) 대비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톱날(S)의 손상 및 마찰열로 인한 열변형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된다.The
또한, 상기 톱날(S)의 바디 영역(S2)이 슬록홈(342)에 수용된 상태로 슬롯블록(340) 일측 두께에 의해 날 영역(S1)이 확장암(320)과 이격되어 비접촉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날 영역(S1)과 확장암(320)의 마찰로 인한 손상이 미연에 방지된다.In addition, the body area S2 of the saw blade S is accommodated in the
도 9에서, 상기 베벨기어(50)에는 메인축(31)을 중심으로 복수의 발란스홀(52)이 형성되고, 발란스홀(52)은 크랭크암(40)의 크랭크축(42)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단계적으로 확장 형성된다.9, a plurality of balance holes 52 are formed around the
이에 상기 발라스홀(52)에 의해 크랭크축(42)과 대응하는 베벨기어(50) 영역이 다른 영역 대비 경량화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크랭크축(42)에 의한 편심하중이 발라스홀(52)에 의해 상쇄되어 편심회전으로 인한 진동발생이 미연에 방지된다.Accordingly, as the area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recognized from the technique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from these techniques to equivalent technical means.
10: 본체 20: 도킹실 30: 도킹플레이트
40: 메인 크랭크암 50: 베벨기어 60: 유성기어
70: 링기어 80: 멀티 크랭크암 90: 축핀10: main body 20: docking room 30: docking plate
40: main crank arm 50: bevel gear 60: planetary gear
70: ring gear 80: multi-crank arm 90: axis pin
Claims (6)
상기 작동실(11) 내부 바닥에 음각 형성되고,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구(21)가 본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홀(22)이 구비되는 도킹실(20);
상기 도킹실(20)에 삽입되어 체결구(21)에 의해 결속되고, 일측에 메인축(31)이 구비되는 도킹플레이트(30);
상기 메인축(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 외주면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며, 다른 일측 편심 위치에 크랭크축(42)이 형성되는 메인 크랭크암(40);
상기 메인축(31)과 동심원상에 설치되어 구동피니언(2)과 치합되고, 메인 크랭크암(40)의 수나사부(41)와 치합되어 연계구동되도록 내부에 암나사부(51)가 형성되는 베벨기어(50);
상기 크랭크축(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60);
상기 크랭크축(42)의 회전 중심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작동실(11) 내에 고정되고, 크랭크축(42)과 함께 회전운동되는 유성기어(60)와 치합되어, 유성기어(60)를 회전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링기어(70);
상기 유성기어(60) 일면에 장착되고, 크랭크축(42)과 편심위치에 크랭크축홀(81)이 형성되는 멀티 크랭크암(80); 및
상기 크랭크축홀(81)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베어링부(91)가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축핀(90);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21)를 분리하면, 도킹플레이트(30)와 함께 메인 크랭크암(40), 베벨기어(50), 유성기어(60), 링기어(70), 멀티 크랭크암(80)으로 이루어진 기어조립체가 일체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n operating chamber 11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11a, an input port 12 opened to accommodate the drive pinion 2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module 1 on one side of the operating chamber 11, and an operating chamber 11 ) A body 10 including an output port 13 opened to install a saw blade operation bar 3 that linearly reciprocates on the other side;
A docking room 20 formed intaglio on the inner floor of the operation chamber 11 and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22 so that the fastener 21 including a bolt is fasten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docking plate 30 inserted into the docking chamber 20 and bound by a fastener 21 and having a main shaft 31 on one side thereof;
a main crank arm 40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shaft 31, having a male screw portion 41 form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crankshaft 42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on the other side;
It is installed concentrically with the main shaft 31, meshes with the drive pinion 2, and has a female screw part 51 formed therein so that it engages with the male screw part 41 of the main crank arm 40 and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bevel. gear 50;
a planetary gear 60 rotatably installed on the crankshaft 42;
It is fixed in the operating chamber 11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rankshaft 42, and is meshed with the planetary gear 60 rotating together with the crankshaft 42 to rotate the planetary gear 60. A ring gear 70 provided to;
A multi-crank arm 80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planetary gear 60 and having a crankshaft hole 81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with the crankshaft 42; and
A shaft pin 90 having one end fastened to the crankshaft hole 81 and a bearing part 91 installed at the other end to be connected to the saw blade operation bar 3;
When the fastener 21 is separated, the main crank arm 40, the bevel gear 50, the planetary gear 60, the ring gear 70, and the multi-crank arm 80 together with the docking plate 30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al high-pla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assembly is provided so that it is integrally separated.
상기 메인 크랭크암(40)은, 수나사부(41)와 동심원을 이루고, 가장자리부에 크랭크축(42)이 설치되는 원형플레이트(43)와, 메인축(31)을 중심으로 크랭크축(42)과 대칭되는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볼트로 체결되어, 크랭크암(40) 무게 발란스를 조절하는 발란스추(44)를 포함하고,
상기 발란스추(44)는, 원형플레이트(43)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종형 블록(44a)과, 종형 블록(44a) 상부에서 메인축(31)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형플레이트(43) 상에 밀착되는 횡형 블록(44b)과, 종형 블록(44a)과 횡형 블록(44b)이 접하는 경계부에 형성되어 원형플레이트(43) 일면과 외주면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에 맞물려 결합되는 ㄱ형 걸림홈(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crank arm 40 forms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male threaded portion 41, and the circular plate 43 on which the crankshaft 42 is installed on the edge portion, and the crankshaft 42 around the main shaft 31 It is fastened with bolts on the circular plate 43 that is symmetrical to and includes a balance weight 44 for adjust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crank arm 40,
The balance weight 44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axis 31 from the top of the bell-shaped block 44a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43 and the bell-shaped block 44a, and adheres to the circular plate 43. A horizontal block (44b), which is formed at the boundary where the vertical block (44a) and the horizontal block (44b) come into contact with the circular plate (43) One surfac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plate (43) A-shaped engaging groove (45) coupled by engaging A vibration-free top system for high-pla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톱날 작동바(3)는 출력포트(13) 내에서 한 쌍의 가이드모듈(100)에 의해 직선 왕복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모듈(100)은, 톱날 작동바(3)의 폭방향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음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10)과, 가이드홈(110)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축홀(120)과, 가이드축홀(120)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단이 가이드홈(110) 내부로 돌출되는 가이드축핀(130)과, 가이드축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톱날 작동바(3) 양측 단부의 직선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40)와, 가이드축핀(140)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홀(152)이 형성되고, 출력포트(13)에 볼트 체결되어 복수의 가이드롤러(140)를 일괄 구속하는 가이드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140)는, 톱날 작동바(3) 폭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센터롤러(142)와, 센터롤러(142)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센터롤러(142) 지름 대비 확장 형성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접촉되는 사이드롤러(144)로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롤러(144)는 이웃하는 가이드롤러(14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적용되어 톱날 작동바(3) 두께방향 양측 단부에 교대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saw blade actuation bar 3 is guided in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by a pair of guide modules 100 in the output port 13,
The guide modul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10 formed intaglio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saw blade operating bar 3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opening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110 at the center of the guide grooves 110.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ormed guide shaft hole 120 and the guide shaft hole 120,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guide shaft pin 130 protruding into the guide groove 110 and the guide shaft pin 130. A plurality of fixing holes 152 ar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40, which guide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both ends of the saw blade operating bar 3, and the ends of the guide shaft pins 140 are fitted, and the output port 13 It includes a guide plate 150 that is bolted to and collectively restrains the plurality of guide rollers 140,
The guide roller 14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enter roller 142 and the center roller 142 contacting both ends of the saw blade actuation bar 3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ormed to expand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center roller 142 to form a saw blade. It is formed of side rollers 144 contacting both ends of the operating bar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side rollers 144 are applied to the neighboring guide rollers 140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o form the saw blade operating bar 3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al high-pla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alternately contact both ends.
상기 톱날 작동바(3) 단부에 톱날(S)이 탈착가능하도록 클램프모듈(200)이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모듈(200)은, 톱날 작동바(3) 길이방향으로 음각형성되면서 일측이 톱날 작동바(3) 단부로 개방되는 메인클램프홈(210)과, 메인클램프홈(210)과 직교하도록 톱날 작동바(3) 폭방향으로 확장되어 +형 키홈(230)을 형성하는 멀티클램프홈(220)과, +형 키홈(230) 중앙에 관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클램프홀(240)과, +형 키홈(230)에 맞물려 볼트 체결되도록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형 키(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A clamp module 20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aw blade operation bar 3 so that the saw blade S is detachable,
The clamp module 200 has a saw blad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main clamp groove 210, one side of which is open to the end of the saw blade operating bar 3 and the main clamp groove 210, while having a negativ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w blade operating bar 3. A multi-clamp groove 220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erating bar 3 to form a +-type keyway 230, a clamp hole 240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type keyway 230 and fastening a bolt, and a +-type keyway 230 A top system for non-vibrational high-pla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ype key 250 in which a through hole 252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keyway 230 and fastened with a bolt.
상기 톱날(S)은 간격유지모듈(300)에 의해 직선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간격유지모듈(300)은, 출력포트(13) 측에 일단이 볼트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톱날(S)과 이격되도록 아치형 곡률로 형성되며, 양측에 확장날개(312)가 돌출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고리암(310)과, 고리암(310) 단부에서 톱날(S)과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도록 연장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확장암(320)과, 확장암(320)을 고리암(310) 두께 대비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하여, 확장암(320)과 고리암(310) 두께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부(330)와, 걸림턱부(330)에 수용된 상태로 볼트 체결되고, 톱날(S)의 날 영역(S1)을 제외한 바디 영역(S2)이 국부적으로 수용되도록 슬록홈(342)이 형성되는 슬롯블록(340)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블록(340)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톱날(S) 대비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톱날(S)의 바디 영역(S2)이 슬록홈(342)에 수용된 상태로 슬롯블록(340) 일측 두께에 의해 날 영역(S1)이 확장암(320)과 이격되어 비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ccording to claim 4,
The saw blade (S) is guided in linear movement by the distance maintaining module 300,
The distance maintenance module 300 has one end fastened to the output port 13 by bolts and the other end formed in an arcuate curvatur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aw blade S, and the expansion wings 312 protrude on both sides to be cut. The ring arm 310 mounted on the water, the extension arm 320 extending to intersect the saw blade S at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end of the ring arm 310 and mounted on the object to be cut, and the extension arm 320 It is formed in a reduced size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ring arm 310, and the locking jaw portion 330 formed by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extension arm 320 and the ring arm 310 is bolt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locking jaw portion 330. , including a slot block 340 in which a slot groove 342 is formed so that the body area S2 of the saw blade S, except for the blade area S1, is locally accommodated,
The slot block 34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softer than the saw blade S containing synthetic resin,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area S2 of the saw blade S is accommodated in the slot groove 342, and the blade area S1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arm 320 by the thickness of one side of the slot block 340 so as to be non-contact. Vibration-free top system for high-place work.
상기 베벨기어(50)에는 메인축(31)을 중심으로 복수의 발란스홀(52)이 형성되고, 발란스홀(52)은 크랭크암(40)의 크랭크축(42) 방향으로 갈수록 사이즈가 단계적으로 확장 형성되고, 상기 발란스홀(52)에 의해 크랭크축(42)과 대응하는 베벨기어(50) 영역이 다른 영역 대비 경량화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balance holes 52 are formed around the main shaft 31 in the bevel gear 50, and the balance holes 52 gradually increase in size toward the crankshaft 42 of the crank arm 40. The top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place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bevel gear 50 corresponding to the crankshaft 42 is formed to be expanded and lightened compared to other areas by the balance hole 5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0714A KR102519532B1 (en) | 2021-01-25 | 2021-01-25 |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0714A KR102519532B1 (en) | 2021-01-25 | 2021-01-25 |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7718A KR20220107718A (en) | 2022-08-02 |
KR102519532B1 true KR102519532B1 (en) | 2023-04-06 |
Family
ID=8284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0714A Active KR102519532B1 (en) | 2021-01-25 | 2021-01-25 |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953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44134A (en) | 2017-03-02 | 2018-09-20 | 株式会社マキタ | Reciprocating tool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24732B2 (en) * | 1994-05-31 | 2000-03-21 | 株式会社共立 | Pruning machine |
KR101972418B1 (en) * | 2016-09-26 | 2019-04-25 | 김근혜 | The saw device |
KR101878952B1 (en) * | 2016-11-22 | 2018-07-17 | 김근혜 | Saw for high place works |
KR20200013583A (en) * | 2018-07-30 | 2020-02-07 | 스리플주식회사 | Electromotive underwater cutsaw |
-
2021
- 2021-01-25 KR KR1020210010714A patent/KR10251953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8144134A (en) | 2017-03-02 | 2018-09-20 | 株式会社マキタ | Reciprocating too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7718A (en) | 2022-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24771B2 (en) | Reciprocating power tool | |
US4685342A (en) | Device for converting linear motion 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
US8826546B2 (en) | Cutting assembly for hand-held power tool | |
US20150033565A1 (en) |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including the same | |
US3962924A (en) | Double cam drive for a hedge trimmer having two reciprocating cutting blades | |
JP2017501341A (en) | Reciprocating plunger pump and its housing, crank circular slider mechanism and circular slider, bearing housing, crankshaft case top cover and plunger seat | |
EP3222379A1 (en) | Dies for threaded rod cutting machine | |
KR102519532B1 (en) | Saw system for vibration-free high place work | |
EP3006149A1 (en) | Dies for threaded rod cutting machine | |
EP3230583A1 (en) | A fluid motor and a fluid pump | |
KR20190001542A (en) | Decelerator | |
US4185508A (en) | Motion change transmission | |
US10092966B2 (en) | Dies for threaded rod cutting machine | |
HU207383B (en) | Crank drive with epicyclic gear swivel pin particularly piston power- and working-machines | |
KR101972418B1 (en) | The saw device | |
CN110566426A (en) | Double-acting groove cam constant-flow reciprocating pump | |
KR860700278A (en) | Drive driven by piston | |
JP2744848B2 (en) | Reciprocating saw | |
FI117327B (en) | Device for forming an oval hole in a pipe wall | |
KR102132119B1 (en) | Top using crank arm refraction | |
CN204366161U (en) | A kind of coal mine pneumatic belt saw | |
KR101931282B1 (en) | The saw device | |
RU2329421C1 (en) | Motion converter | |
RU2390120C2 (en) | Knife drive mechanism | |
DE102005052623A1 (en) | Compressor has roller holder that swivels around housing axle where bars lie in level perpendicular to housing axle on circle and form equilateral polyg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