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174B1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7174B1 KR102517174B1 KR1020200145890A KR20200145890A KR102517174B1 KR 102517174 B1 KR102517174 B1 KR 102517174B1 KR 1020200145890 A KR1020200145890 A KR 1020200145890A KR 20200145890 A KR20200145890 A KR 20200145890A KR 102517174 B1 KR102517174 B1 KR 1025171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licon carbide
- particles
- group
- organic functional
- silica partic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68—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with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68—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with silicon
- C01B21/0687—After-treatment, e.g. grinding, purif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열환원 단계를 거친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a) 산 에칭 전 및 (b) 산 에칭 후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열환원 단계를 거친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온도에 따른 열중량 분석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1은 각각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입자의 (a)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b)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및 (c) X선 회절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는 각각 실시예 6 내지 9에서 제조된 입자의 (a)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b)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16 내지 도 19는 각각 실시예 10 내지 13에서 제조된 입자의 (a) 투과전자현미경 및 (b) X선 회절 분석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0 내지 도 27은 실시예 14 내지 21에서 제조된 입자의 (a)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및 (b)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실리카 입자의 작용기 |
제조된 입자 | ||
구조 | 형태 | ||
실시예 1 | 비닐기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2 | 머캡토기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중공형(hollow) |
실시예 3 | 메틸기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rattle) |
실시예 4 | 페닐기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시예 5 | 2종(비닐기, 비탄소기) | 실리콘/실리콘 카바이드 복합체 | 구형 |
실리카 입자의 작용기 |
실리카 입자의 환원 반응 시간 |
제조된 입자 | ||
구조 | 형태 | |||
실시예 1 | 비닐기 | 5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6 | 비닐기 | 12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2 | 머캡토기 | 5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중공형(hollow) |
실시예 7 | 머캡토기 | 12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3 | 메틸기 | 5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rattle) |
실시예 8 | 메틸기 | 12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구형(sphere) |
실시예 4 | 페닐기 | 5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시예 9 | 페닐기 | 12시간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리카 입자의 작용기 |
실리카 입자의 전처리 |
제조된 입자 | ||
구조 | 형태 | |||
실시예 1 | 비닐기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10 | 비닐기 | 3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구형(sphere) |
실시예 2 | 머캡토기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중공형(hollow) |
실시예 11 | 머캡토기 | 3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rattle) |
실시예 3 | 메틸기 | -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rattle) |
실시예 12 | 메틸기 | 3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rattle) |
실시예 4 | 페닐기 | -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시예 13 | 페닐기 | 35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비구형 (non-sphere) |
실리카 입자의 작용기 |
실리카 입자의 환원 반응 시간 |
환원 반응 후 추가 열처리 | 제조된 입자 | ||
구조 | 형태 | ||||
실시예 1 | 비닐기 | 5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14 | 비닐기 | 5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6 | 비닐기 | 12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18 | 비닐기 | 12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구형(sphere) |
실시예 2 | 머캡토기 | 5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중공형 (hollow) |
실시예 15 | 머캡토기 | 5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7 | 머캡토기 | 12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19 | 머캡토기 | 12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3 | 메틸기 | 5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래틀형 (rattle) |
실시예 16 | 메틸기 | 5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8 | 메틸기 | 12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복합체 | 구형(sphere) |
실시예 20 | 메틸기 | 12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중공형 (hollow) |
실시예 4 | 페닐기 | 5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시예 17 | 페닐기 | 5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실시예 9 | 페닐기 | 12시간 | - | 실리콘 카바이드/탄소 복합체 | 불규칙함 |
실시예 21 | 페닐기 | 12시간 | 70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 |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
불규칙함 |
20: 쉘(shell)
30: 기공(void)
Claims (17)
-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를 금속 물질과 혼합하고 열환원시켜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를 제조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를 산(acid) 용액으로 에칭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는 실리콘 카바이드 단일구조, 실리콘 카바이드와 실리콘의 복합체 구조,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와 탄소의 복합체 구조를 가지고,
상기 유기 작용기를 머캡토기 또는 C1-C4 알킬기를 포함하도록 조절하여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형태를 래틀형(rattle) 또는 중공형(hollow)의 형태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물, 염기성 촉매, 및 유기 작용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혼합하여 반응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혼합물을 교반하여 가수분해 반응 및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생성된 입자를 여과, 세정 및 건조하여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은 실리콘 알콕사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성 촉매는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수 및 테트라메틸암모니움하이드록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마그네슘, 칼슘, 알루미늄, 나트륨 및 리튬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의 형태는 파우더(powder), 조각(turnings), 액체 및 기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와 금속 물질의 혼합비율은 몰비로 0.5:1 내지 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환원은 400~12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acid)은 염산, 질산, 황산, 인산, 불산 및 염소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입자의 유기 작용기가 알킬기인 경우, 상기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는 실리콘 카바이드와 실리콘의 복합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입자의 유기 작용기가 알킬기인 경우, 열환원 반응시간을 조절하여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형태를 래틀형(rattle)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입자의 유기 작용기가 머캡토기인 경우, 열환원 반응시간을 조절하여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형태를 중공형(hollow)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유기 작용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는 금속과 혼합되기 전에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실리카 입자의 유기 작용기가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열환원시 형성된 실리콘 카바이드 내의 실리콘 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는 산 에칭 전에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입자의 형태 및 구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90A KR102517174B1 (ko) | 2020-11-04 | 2020-11-04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890A KR102517174B1 (ko) | 2020-11-04 | 2020-11-04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191A KR20220060191A (ko) | 2022-05-11 |
KR102517174B1 true KR102517174B1 (ko) | 2023-03-31 |
Family
ID=8160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5890A Active KR102517174B1 (ko) | 2020-11-04 | 2020-11-04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71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83666A (zh) * | 2022-06-23 | 2022-11-04 | 江苏岐铭新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铝合金粉体球化处理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19473B1 (ko) | 1995-06-22 | 1997-10-27 | 손경식 | 연마제가 함유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 |
KR20080085383A (ko) * | 2007-03-19 | 2008-09-24 | (주)석경에이.티 | 다관능기를 함유하는 유기 실리카 미세입자 및 이의제조방법 |
KR101582109B1 (ko) * | 2013-12-27 | 2016-01-0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능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입자 |
KR101598696B1 (ko) * | 2014-06-03 | 2016-02-29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선택적 에칭 공정을 통한 hollow/rattle/raspberry/mesoporous 구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
-
2020
- 2020-11-04 KR KR1020200145890A patent/KR102517174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60191A (ko) | 2022-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858730B (zh) | 一种氮化碳/氧化钨复合空心微球及其制备方法 | |
CN100378033C (zh) | 多孔体及其制造方法 | |
WO2019027337A1 (en) | STABLE GRAPHENE-SILICA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1274246A (zh) | 二氧化硅/二氧化钛空心微球的溶胶-凝胶法制备方法 | |
CN105752953B (zh) | 一种石墨相氮化碳的制备方法 | |
KR101598696B1 (ko) | 선택적 에칭 공정을 통한 hollow/rattle/raspberry/mesoporous 구조를 갖는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 |
JP2018048033A (ja) | 球状窒化アルミニウム粉末の製造方法 | |
CN105272269A (zh) | 一种氮化硅/六方氮化硼纳米复相陶瓷的制备方法 | |
CN109019536A (zh) | 一种制备纳米氮化铝粉末的方法 | |
KR101627371B1 (ko) | 입도 조절이 가능한 탄화규소 분말의 제조방법 | |
KR102517174B1 (ko)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 |
KR102149834B1 (ko) | 열 탄소 환원 공정에 의한 다공질 탄화규소 소결체 제조방법 | |
CN106115708A (zh) | 一种蜂窝状三维连续多孔硅材料及其制备方法 | |
KR101762874B1 (ko) | 저온 합성 메조기공 중공형 나노 실리카 물질 합성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실리카 물질 | |
KR101200087B1 (ko) | 메조세공 질화탄소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2607741A (zh) | 氧化钛包覆多孔中空硅球、其制备方法及其应用 | |
CN107746285A (zh) | 一种三维多孔氮化物纳米陶瓷及其制备方法 | |
KR101466095B1 (ko) | 중공형 나노 실리카 물질 합성방법. | |
KR102666528B1 (ko) | 수지상 섬유질 실리카 나노층을 갖는 물유리 기반 합성 나노실리카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200136627A (ko) | 황을 담지하고 있는 중공형 메조포러스 탄소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3929128B (zh) | CuO@SiO2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 | |
Hasegawa | Porous reduced ceramic monoliths derived from silicon-and titanium-based preceramic polymer gels | |
KR101322796B1 (ko) | 열탄소환원법에 의한 수율이 향상된 탄화규소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서 제조된 탄화규소 분말 | |
CN111762764B (zh) | 一种以笼型聚倍半硅氧烷为模板制备的氮化碳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CN103553043A (zh) | 一种制备高比表面积SiC纳米微球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